KR102543922B1 -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922B1
KR102543922B1 KR1020200123278A KR20200123278A KR102543922B1 KR 102543922 B1 KR102543922 B1 KR 102543922B1 KR 1020200123278 A KR1020200123278 A KR 1020200123278A KR 20200123278 A KR20200123278 A KR 20200123278A KR 102543922 B1 KR102543922 B1 KR 102543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tretch marks
extract
preventing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288A (ko
Inventor
염미지
이한송이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9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은 비만세포와 세포기질인 피브로넥틴과의 결합을 약화시키고 활성화된 비만세포와 섬유아세포의 결합을 저해함으로써 비만세포에 가해지는 물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11β-HSD1의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코티솔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 합성을 증진함으로써 피부의 튼살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striae distensae comprising Euscaphis japonica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튼살 형성에 주요 기전인 부피팽창으로 인한 세포에 가해지는 물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부신피질호르몬인 코티솔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튼살은 의학적 용어로 팽창선조(striae distensae)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의 팽창으로 인해 콜라겐 섬유의 결합이 느슨해지거나 끊어지게 되면서 피부가 갈라져 생기는 위축성 선형띠가 형성되는 것이다. 튼살은 크게 2단계로 나뉘는데, 손상 부위에 빨간 선 모양의 얼룩(자주색 선조, striae rubra)이 생기는 초기 단계와 얼룩에서 색이 빠지고 원래 피부의 색깔보다 밝은 색의 얼룩(백색 선조, striae alba)으로 변하는 후기 단계가 있다.
이러한 튼살은 병리학적으로 크게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주변의 정상 피부와는 다른 색상과 촉감 때문에, 튼살에 의한 사람들의 미용적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어서, 튼살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또는 외용제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튼살의 원형 회복은 현대의학에서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치료보다는 개선이 우선시 되고 있다.
튼살이 발생하는 기전을 크게 2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물리적 스트레스로 인해 튼살이 유발된다. 튼살은 주로 청소년기, 임신, 또는 비만일 경우 발생한다. 특히, 청소년의 급격한 성장이나 임신에 의한 급격한 몸무게 변화는 근육이나 피하지방의 부피증가로 인해 생기는 물리적 힘에 의해서 피부가 찢어지게 된다. 주로 피부의 급격한 팽창이 많이 발생하는 배와 엉덩이, 허벅지 등에 많이 발생하며 여성의 경우는 가슴에 발생한다 (Ud-Din, S. et al.,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30, 211-222 (2016)). 급격한 성장이나 몸무게 변화로 인한 부피팽창과 같은 물리적 스트레스는 면역세포인 비만세포(mast cell)의 활성을 촉진시키고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 단계에서 튼살의 초기 단계인 자주색 선조(striae rubra)가 발생한다. 튼살의 조직을 관찰해보면 비만 세포나 대식세포(macrophages)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주변으로 엘라스틴이 단편화되어있고, 섬유아세포의 활성이 감소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엘라스틴은 콜라겐 섬유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므로 엘라스틴의 단편화로 인해 콜라겐 섬유조직이 느슨해지고 완충공간이 줄어들고 피부와 평행하게 조밀하게 콜라겐 섬유조직이 쌓이게 된다. 또한, 섬유아세포의 활성의 감소로 인해 전체적인 콜라겐 양도 감소한다(Sheu, H. M., Yu, et al., J. Cutan. Pathol. 18, 410-416 (1991)). 이로 인해 살의 결이 주변 피부와 결이 달라지고 튼살 후기 단계인 백색 선조(striae alba)가 형성된다.
둘째, 청소년기나 임신기에 많이 분비되는 부신피질호르몬이 튼살을 유발한다. 부신피질호르몬은 몸무게 증가를 유발하기 때문에 부피팽창에 의한 물리적 스트레스도 유발하지만, 직접적으로 진피층에 분포한 콜라겐을 약화시키고, 섬유 결합을 느슨하게 만든다. 이 현상이 유독 피부의 콜라겐 밀도가 높거나 살이 두터운 무릎 부근, 가슴, 엉덩이, 허벅지, 팔뚝 등에서 돋보이게 나타나서 살결이 주변 피부의 결과 달라진다. 특히, 부신피질 대표 호르몬인 코티솔은 섬유아세포의 수를 감소시키고 진피 콜라겐을 감소시키는 현상이 나타나는데(Kolbe et al., Skin Res Technol. 2001;7(2):73-77, Cutroneo et al., Coll Relat Res. 1981;1(6):557-568, Nuutinen et al.,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1;15(4):361-362),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적용 시 나타나는 피부 위축증이 이에 해당된다(Werth et al., Arch Dermatol Res. 1998;290(7):388393).
구체적 기전으로 물리적 스트레스는 세포기질을 통해 세포로 전달이 된다. 특히, 비만세포는 물리적 스트레스에 의해서 활성화되는데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인테그린(integrin) 수용체와 주변 세포기질인 피브로넥틴(fibronectin)과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의 결합을 저해하는 물질, Echistain에 의해서 물리적 스트레스에 의한 비만세포의 활성이 감소한다는 선행 연구결과가 있다(Fowlkes et al., J Biomech 2013;46, 788-795.). 이때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인 elastase를 포함한 물질들을 분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주변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주변 섬유조직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활성화된 비만세포와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결합하여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1(MMP-1)의 발현을 촉진한다.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는 활성화된 비만세포은 콜라겐 섬유조직을 느슨하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Abel, M., Vliagoftis, H., The Journal of Immunology, 2008.;180, 3543-3550).
둘째, 부신피질호르몬에 의한 튼살의 발생기전은 구체적으로는 부신피질대표 호르몬인 코티솔이 관여한다. 11베타-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탈수소 효소1(11β-HSD1)는 코티솔의 양을 조절하는 효소로써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NADPH)에 의해 비활성화된 코티손(cortisone)을 활성화된 코티솔(cortisol)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11β-HSD1을 녹아웃(knock-out)시킨 쥐에서 콜라겐 합성이 증가하고, 11β-HSD1 저해제 처리 시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구성성분을 증가하며 상처치료 효능이 개선된다는 선행 연구결과들이 있다(Tiganescu et al., J Clin Invest, 2013; 123(7):3051-3060).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튼살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소재를 위한 타켓을 크게 2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첫째, 비만세포에 가해지는 물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 비만세포와 피브로넥틴(fibronectin)과의 결합, 활성화된 비만세포와 섬유아세포(fibroblasts)의 결합을 감소 효능을 갖고, 둘째, 부신피질호르몬인 코디솔의 양을 조절하는 11β-HSD1 promoter activity를 감소시키는 소재를 찾고자했다.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는 잎이나 나뭇가지를 꺾으면 오줌 지린냄새가 나며 줄기로는 말채찍을 만들어 사용했으며 중국·베트남·타이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에 주로 분포하는 낙엽 활엽 소관목으로, 키는 5~7m정도로 자란다. 한방에서는 '야아춘'이라 하여 꽃, 뿌리, 가지와 잎, 열매를 산부인과나 비뇨기 질환, 관절통, 근육통에 사용한다. 또한, 장염, 설사 등에 이용된다.
말오줌때에 대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533625호(2015.07.06. 공고)는 말오줌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10-1688691호(2016.12.15. 공고)는 말오줌때 추출물의 주름개선 용도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10-1470572호(2014.12.10. 공고)는 말오줌때 추출물의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말오줌때는 튼살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대해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진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말오줌때가 튼살 관련 기전에 대해서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말오줌때 추출물은 비만세포와 세포기질인 피브로넥틴(fibronectin)과의 결합을 약화시키고 활성화된 비만세포와 섬유아세포(fibrobalst)와의 결합을 저해한다. 또한, 11β-HSD1 프로모터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튼살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튼살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는 산기슭이나 바닷가에서 자라는 높이 약 3m의 쌍떡잎식물의 노박덩굴목에 속하는 식물이다. 잎은 마주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며 길이 약 25cm이다. 작은잎은 5∼11개이며 바소꼴의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보통 뒷면 밑부분에 털이 난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8∼9월에 익는데, 붉은빛이 돌고 안쪽은 연한 붉은색이다. 종자는 검은빛이며 윤기가 있고 둥글다. 어린순은 식용하며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extract)"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 분획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는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양태로,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이용하여서도 말오줌때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튼살"은 의학적 용어로 팽창선조(striae distensae)라 하며, 피부의 팽창으로 인해 콜라겐 섬유의 결합이 느슨해지거나 끊어지게 되면서 피부가 갈라져 생기는 위축성 선형띠가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조성물은 비만세포와 세포기질인 피브로넥틴(fibronectin)과의 결합을 약화시키고 활성화된 비만세포와 섬유아세포(fibrobalst)와의 결합을 저해한다. 또한, 11β-HSD1 프로모터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튼살의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예방" 또는 "개선"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튼살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튼살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소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얼굴, 종아리, 팔뚝, 배 등의 튼살이 발병 또는 발생할 수 있는 피부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말오줌때 추출물이 0.0001 중량% 미만이면 효능이 미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말오줌때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닌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도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체중)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튼살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튼살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튼살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하는 방법은, 상기에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튼살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튼살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선 또는 치료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튼살의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튼살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오줌때 추출물은 천연 식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튼살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에도 일반적인 합성 화합물에 비하여 부작용이 덜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포함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세포와 세포기질인 피브로넥틴과의 결합을 약화시키고 활성화된 비만세포와 섬유아세포와의 결합을 저해하여 비만세포에 가해지는 물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11β-HSD1 활성을 억제를 통해 부신피질호르몬인 코티솔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함으로써 튼살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오줌때 추출물의 비만세포와 피브로넥틴과의 결합 감소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오줌때 추출물의 비만세포와 섬유아세포와의 결합 감소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오줌때 추출물의 11β-HSD1 프로모터 활성 억제효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오줌때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효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말오줌때 추출물의 제조
말오줌때 잎 및 가지를 깨끗이 세척한 후, 20℃ 내지 35℃에서 음건한 다음 입자의 크기가 1㎜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그 후 상기 분쇄된 말오줌때 잎 및 가지 분말 100 g에 정제수 1 리터를 첨가하여 121℃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지(Advantec, No.2)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물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말오줌때 추출물에 의한 비만세포와 피브로넥틴과의 결합감소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말오줌때 추출물에 의한 비만세포와 피브로넥틴(fibronectin)과의 결합감소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쥐의 점막 비만세포인 RBL-2H3을 피브로넥틴이 코팅된 플레이트(plate)에 접종하여 부착여부를 확인하였다. RBL-2H3를 15% FBS를 포함한 EMEM 배지가 들어있는 6-웰 플레이트(6-well plate)에 접종시키고(60 × 104 세포/well),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상기 세포에 50 ppm 말오줌때 추출물과 대조군으로 DMSO(dimethyl sulfoxide)을 처리하였다.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 후 세포를 떼어내고 형광물질은 Calcein-AM 3ug/ml을 포함한 0.1% BSA를 포함한 DMEM에 부유시킨후 37℃에서 30분동안 세포에 형광표지를 부착시켰다. 이후 세포를 0.1% BSA를 포함한 DMEM 배지로 3번 세척을 통해 부유된 형광물질을 제거하고 100 × 104 세포수/mL 농도를 조절하였다. 이후 피브로넥틴(fibronectin)이 코팅된 96-웰 플레이트에 100 ㎕씩 접종한 후 37℃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형광광도계(F200, Tecan사)로 410nm에서 형광을 측정하고 0.1% BSA를 포함한 DMEM 배지로 3번 세척한 후 다시 형광을 측정한다. 결합정도는 세척전 형광값 대비 세척후 형광값의 상대적 값을 백분율로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피브로넥틴이 없이 BSA만 처리된 웰에 비해 피브로넥틴(fibronectin) 코팅된 웰에서 결합이 증가하였고, 피브로넥틴(fibronectin)이 코팅된 웰 기준으로 DMSO(dimethyl sulfoxide)를 처리한 대조군(control)에 비해 말오줌때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피브로넥틴(fibronectin)에 대한 결합력은 약 85%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말오줌때 추출물에 의한 활성화된 비만세포와 섬유아세포와의 결합 감소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말오줌때 추출물에 의한 활성화된 비만세포와 섬유아세포와의 결합 감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쥐의 점막 비만세포인 RBL-2H3을 인간 섬유아세포인 NHF가 접종되어 있는 플레이트(plate)에 함께 접종하여 부착여부를 확인하였다. RBL-2H3를 15% FBS를 포함한 EMEM 배지가 들어 있는 6-웰 플레이트(6-well plate)에 접종시키고(60 × 104 세포수/well),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상기 세포에 50 ppm 말오줌때 추출물과 비만세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IgE를 함께 처리하였다. 대조군으로 DMSO(dimethyl sulfoxide)을 처리하였다.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세포를 떼어내고 Calcein-AM 3 ㎍/mL을 포함한 0.1% BSA를 포함한 DMEM에 부유시킨후 37℃에서 30분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를 0.1% BSA를 포함한 DMEM 배지로 3번 세척을 통해 부유된 형광물질을 제거하고 100 × 104 세포수/mL 농도를 조절하였다. NHF는 10% FBS를 포함한 DMEM 배지가 들어있는 96-웰 플레이스(96-well plate)에 접종시키고(1 × 104 세포수/well),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72시간 동안 배양시킨 플레이트에 Calcein-AM로 형광표지된 비만세포를 100 ㎕씩 접종한 후 37℃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형광광도계(F200 Pro, Tecan, 스위스)로 410nm에서 형광을 측정하고 0.1% BSA를 포함한 DMEM 배지로 3번 세척한 후 다시 형광을 측정하였다. 결합 정도는 세척전 형광값 대비 세척후 형광값의 상대적 값을 백분율로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IgE를 처리한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DMSO(dimethyl sulfoxide)를 처리한 대조군(control)에 비해 말오줌때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NHF와의 결합력이 약 80%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말오줌때 추출물에 의한 11β-HSD1 promoter activity의 감소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말오줌때 추출물에 의한 11β-HSD1 프로모터 활성(promoter activity)의 감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11β-HSD1 Gaussia luciferase가 형질주입된 HaCaT 세포에 말오줌때 추출물을 처리하여 발광량을 확인하였다. HaCaT 세포를 1㎍/mL 퓨로마이신, 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 배지가 들어있는 24-웰 플레이트(24-well plate)에 접종시키고(2 × 104 세포/well),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에 말오줌때 추출물을 1시간 동안 전 처리한 후, 코티손(Cortisone)과 함께 5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 배양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상층액만 수집하였다. 수집한 상층액은 Pierce Gaussia Luciferase flash assay kit을 이용하여 발광량을 측정하였다.
도 3에서 보듯이, 코티손에 의해 유도된 11β-HSD1 promoter activity는 말오줌때 추출물 처리로 인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말오줌때 추출물에 의한 콜라겐 합성 증가 효과 측정
진피 내 존재하는 섬유모세포는 진피주요 구성성분인 ECM을 생산하는 세포로 ECM 구성 성분 중 피부 주름에 관계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은 타입-1 프로콜라겐(type-1 procollagen)이다. 시험물질의 주름개선 효능을 타입-1 프로콜라겐 콜라겐 생합성능을 통해 관찰하였다. 인체유래 정상 섬유모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ATCC)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 × 105 세포/웰),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농도별로 시료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콜라겐 측정 키트(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MK101, 다카라,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자세한 시험방법은 (주)다카라의 키트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듯이, 말오줌때 추출물이 섬유모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1. 유연화장수
성분 중량%
말오줌때 추출물 0.05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2.74
총계 100.0
1-2. 영양화장수
성분 중량%
말오줌때 추출물 0.05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69.64
총계 100.0
1-3. 영양크림
성분 중량%
말오줌때 추출물 0.05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56.74
총계 100.0
1-4. 마사지 크림
성분 중량%
말오줌때 추출물 0.05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27.45
총계 100.0
1-5. 팩
성분 중량%
말오줌때 추출물 0.05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1.34
총계 100.0
제제예 2 : 약학적 제제
2-1. 산제의 제조
성분 중량(g)
말오줌때 추출물 2
유당 1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성분 중량(mg)
말오줌때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성분 중량(mg)
말오줌때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튼살은 물리적 스트레스에 의한 비만세포의 활성화 또는 코티솔 생성의 증가에 따라 피부에 자주색 또는 백색 선조가 발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오줌때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001 내지 15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 상기 튼살은 물리적 스트레스에 의한 비만세포의 활성화 또는 코티솔 생성의 증가에 따라 피부에 자주색 또는 백색 선조가 발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200123278A 2020-09-23 2020-09-23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543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278A KR102543922B1 (ko) 2020-09-23 2020-09-23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278A KR102543922B1 (ko) 2020-09-23 2020-09-23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288A KR20220040288A (ko) 2022-03-30
KR102543922B1 true KR102543922B1 (ko) 2023-06-19

Family

ID=8094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278A KR102543922B1 (ko) 2020-09-23 2020-09-23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9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576B1 (ko) * 2014-08-08 2015-03-2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아스파라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046A (ko) * 2014-06-20 2015-12-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말오줌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688691B1 (ko) * 2014-08-12 2016-12-2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576B1 (ko) * 2014-08-08 2015-03-2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아스파라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ust, Matthias C. 등, Plast. Surg., Vol.121, No.4, 2008, pp.1421-1429.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288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5462A (ja) しわの外観を減少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35927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1967922B1 (ko)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H1160496A (ja) ヒアルロン酸産生能増強剤
JP2019147824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KR102543922B1 (ko)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65807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2016160198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KR102502443B1 (ko) 달맞이꽃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02621B1 (ko)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1438332B1 (ko) 포시티아사이드-에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97881B1 (ko)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2001B1 (ko) 갈근초 및 아데노신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9906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2542032B1 (ko)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2710B1 (ko) 장미허브 추출물, 또는 이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40114709A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9211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미세먼지 유발 염증 개선, 및 모공축소용 조성물
JP2014062090A (ja)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活性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