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488A - 눌음방지효과를 높인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눌음방지효과를 높인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488A
KR20220112488A KR1020210016087A KR20210016087A KR20220112488A KR 20220112488 A KR20220112488 A KR 20220112488A KR 1020210016087 A KR1020210016087 A KR 1020210016087A KR 20210016087 A KR20210016087 A KR 20210016087A KR 20220112488 A KR20220112488 A KR 20220112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cooking vessel
plate
coupl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880B1 (ko
Inventor
오현태
Original Assignee
오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태 filed Critical 오현태
Priority to KR102021001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8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접촉링에 의해 조리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며, 클램프들에 의해 프레임부와 조리용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리용기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작업, 세척작업 등을 진행할 때 조리용기로부터 분리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축들 및 교반판들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여 조리용기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한 교반축들 및 교반판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조리용기에 적용 가능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눌음방지효과를 높인 조리용기용 교반장치{Mixing apparatus for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눌음방지효과를 높인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교반판들이 조리용기 내부의 벽과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조리용기에 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용기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교반작업 시에만 조리용기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조리공간이 증가되며,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축들 및 교반판들이 교체 가능하여 조리용기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절한 교반축들 및 교반판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조리용기에 적용 가능한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또는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대용량의 조리용기의 경우에는 한번에 많은 양의 음식이 조리되기 때문에 조리과정에서 음식이 조리용기에 눌어붙거나 서로 엉켜 음식물의 조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열의 분포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1742441(발명의 명칭 : 음식 교반기를 갖는 조리용 솥)(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솥(110)과, 솥프레임(120), 교반부(130), 교반프레임(140)으로 이루어진다.
솥프레임(120)은 솥(11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교반부(130)는 스크레이퍼교반부(131), 위성분산교반부(132) 및 교반구동부(133)로 이루어진다.
스크레이퍼교반부(131)는 교반구동부(133)와 연결되는 스크레이퍼교반축(1311)과, 스크레이퍼교반축(1311)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크레이퍼판(1312)으로 이루어지며, 스크레이퍼판(1312)에 의해 솥(110)의 내면을 스크레이핑(Scraping)한다.
위성분산교반부(132)는 교반구동부(132)와 연결되는 교반분산축(1321)과, 교반분산축(1321)의 단부에 설치되는 분산판(1322)으로 이루어지며, 솥(110) 내부의 음식물을 뒤집어 섞이도록 한다.
교반구동부(133)는 교반프레임(140)에 설치되며, 모터(미도시)를 통해 스크레이퍼교반축(1311) 및 교반분산축(1321)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분산판(1322)을 통해 솥(110) 내부의 음식물을 뒤집음과 동시에 스크레이퍼판(1312)을 통해 솥(110)의 내면을 스크레이핑함으로써 음식물이 솥(110)의 내면에 눌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솥(110)이 큰 부피를 갖는 솥프레임(12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리 작업 시, 종래기술(100)에 의해 조리작업 공간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솥(110)을 교체하거나 솥(110)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솥프레임(120)으로부터 솥(110)을 분리 및 결합하는 과정이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교반부(130)에 의해 교반되는 영역이 한정되기 때문에 교반부(1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음식이 눌어붙거나 엉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프레임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접촉링에 의해 조리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며, 클램프들에 의해 프레임부와 조리용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리용기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축들 및 교반판들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여 조리용기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한 교반축들 및 교반판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조리용기에 적용 가능한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교반판들과 교반축들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교반작업 시, 교반판들이 스프링들의 탄성력에 의해 조리용기의 벽면과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음식물이 조리용기의 벽면에 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조리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하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에 있어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용기와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고정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구동부; 일단부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교반축들과, 상기 교반축들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벽면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교반판들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로부로 구동력을 전달받았을 때, 상기 교반판들이 상기 조리용기의 벽면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부는 상단부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연결축;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이 상기 연결축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 교반축; 하단부가 상기 제1 교반축의 일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연결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교반축; 하단부가 상기 제1 교반축의 타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연결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3 교반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교반축과 결합되며, 조립 시 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제1 교반판;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교반축과 결합되며, 조립 시 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제2 교반판;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교반축과 결합되며, 조립 시 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제3 교반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교반판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가 상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교반축으로부터 상기 제2 교반축을 향하는 방향을 좌측이라고 할 때,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1 교반축의 우측단부보다 우측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교반판은 하단부가 상기 제1 교반판의 절곡부의 상단부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제2 교반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3 교반판은 하단부가 상기 제2 교반판의 상단부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3 교반축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수평판; 상단부가 상기 수평판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수직판들; 상기 수평판들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판들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조리용기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클램프들; 단면이 사각형인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에 걸림턱이 하향 돌출되며, 상면이 상기 플랜지들의 하면과 결합되며, 조립 시 바닥면이 상기 조리용기의 측벽 상단부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접촉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판들과 상기 교반축들의 사이에는 설치되는 스프링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들은 교반작업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교반판들이 상기 조리용기의 벽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부에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하면까지 관통되는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수평판;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일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수직 연결되는 수직연결판과, 상기 수직연결판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플랜지판으로 구성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연결판들에 각각 설치되는 클램프들;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으로부터 걸림턱이 하향 돌출되며, 상기 플랜지판들의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접촉판들;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으로부터 걸림턱이 하향 돌출되며, 상기 접촉판들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판들; 인접한 접촉판과 연결판을 연결하여 해당 연결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연결막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접촉링에 의해 조리용기의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며, 클램프들에 의해 프레임부와 조리용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리용기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작업, 세척작업 등을 진행할 때 조리용기로부터 분리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축들 및 교반판들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여 조리용기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한 교반축들 및 교반판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조리용기에 적용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판들과 교반축들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교반작업 시, 교반판들이 스프링들의 탄성력에 의해 조리용기의 벽면과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음식물이 조리용기의 벽면에 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프레임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교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의 제2 실시예인 제2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프레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접촉판과 연결판, 연결막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프레임부와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와, 고정부(3), 구동부(4), 교반부(5)로 이루어진다.
프레임부(2)는 수평판(21)과, 수평판(21)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수직판(22), (23)들로 이루어진다.
수평판(2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과 인접한 위치에 후술되는 구동부(4)의 구동축(42)이 관통되는 축 관통공(211)이 형성된다.
이때 축 관통공(211)의 내부에는 베어링(2111)이 설치됨으로써 구동축(42)이 회전될 때, 마찰에 의해 구동축(42)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판(21)의 상면에는 축 관통공(211)과 인접한 위치에 모터(41)와 결합되는 모터체결봉(212)들이 상향 돌출된다.
또한 수평판(21)의 상면에는 양측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손잡이(213)들이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를 원활하게 조리용기(P)에 배치 및 분리 시킬 수 있게 된다.
수직판(22), (23)들은 상단부가 수평판(21)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수평판(21)으로부터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수직판(22), (23)들의 하단부에는 플랜지(221), (231)들이 외측으로 각각 수직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부(2)는 수직판(22), (23)들에 고정부(3)가 설치되어 고정부(3)에 의해 조리용기(P)와 결합되며, 수평판(21)에 설치되는 구동부(4)가 조리용기(P)로부터 상향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부(2)는 손잡이(213)들이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리용기(P)와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를 분리 또는 배치시키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고정부(3)는 수직판(22), (23)들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클램프(31)들과, 플랜지(221), (231)들의 하면에 결합되는 링 형성의 접촉링(32)으로 이루어진다.
클램프(31)들은 수직판(22), (23)들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가 조리용기(P)에 안착되었을 때, 조리용기(P)의 외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가 조리용기(P)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교반작업 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사용되는 클램프(31)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클램프들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접촉링(32)은 단면이 사각형인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플랜지(221), (231)들의 하면과 결합된다.
또한 접촉링(32)의 하면에는 걸림턱(321)이 하향 돌출되며, 접촉링(32) 하면의 외측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링(32)은 설치 시, 하면이 조리용기(P)와 접촉되며 걸림턱(321)이 조리용기(P)의 외벽을 감싸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를 조리용기(P)의 상부에 안착시켰을 때,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가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조리용기(P)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부(3)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를 조리용기(P)의 상부에 설치할 때, 접촉링(32)의 하면이 조리용기(P)의 측벽 상단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됨으로써 프레임부(2) 및 구동부(4)가 조리용기(P)의 상부에 배치되며, 클램프(31)들에 의해 조리용기(P)의 측벽들을 가압함으로써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가 구동부(4)에 의해 진동되거나 조리용기(P)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구동부(4)는 모터(41)와, 구동축(42)으로 이루어진다.
모터(41)는 수평판(21)의 모터체결봉(212)들과 결합되어 수평판(21)의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축(411)이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모터축(411)은 커플링(412)에 의해 구동축(42)과 연결된다.
커플링(412)은 모터축(411)의 하단부와 구동축(42)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모터축(411)의 토크(Torque)를 구동축(42)으로 전달한다.
이때 커플링(412)은 모터축(411)과 구동축(42)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모터축(411)의 토크를 구동축(42)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커플링들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모터(41)는 모터축(411)이 커플링(412)에 의해 구동축(42)과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동력을 구동축(42)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커플링(412)에 의해 모터축(411)과 구동축(42)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축(42)은 커플링(412)에 의해 모터축(411)과 연결되어 토크를 전달받게 되며, 수평판(21)의 베어링(211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구동축(42)은 하단부에 설치된 연결수단(421)에 의해 후술되는 교반부(5)의 연결축(51) 상단부와 결합 및 분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부(4)는 모터(41)의 구동력을 구동축(42)에 의해 교반부(5)로 전달함으로써 교반부(5)에 의해 조리용기(P) 내부 음식물의 교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구동부(4)는 구동축(42)이 연결수단(421)에 의해 교반부(5)를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조리용기(P)의 형태 및 크기에 맞는 적절한 교반부(5)를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조리용기(P)의 교반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교반부의 사시도이다.
교반부(5)는 구동축(42)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축(51)과, 연결축(51)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1 교반축(52), 제1 교반축(5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제3 교반축(53), (54)들과, 교반축(52), (53), (54)들과 각각 결합되는 제1, 제2, 제3 교반판(55), (56), (57)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 교반축(54)으로부터 제2 교반축(53)을 향하는 방향을 좌측이라고 한다.
연결축(51)은 연결수단(421)에 의해 상단부가 구동축(42)의 하단부와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교반축(52)은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이 연결축(51)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조리용기(P)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1 교반축(52)은 연결축(51)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1 교반축(52)은 제1 교반판(55)과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제1 교반판(55)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우측단부가 상향 절곡되는 절곡부(551)가 형성되며, 제1 교반축(52)와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제1 교반판(55)은 설치 시, 하단면이 조리용기(P)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절곡부(551)가 조리용기(P)의 바닥면과 측벽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절곡부(551)가 제1 교반축(52)의 우측단부보다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1 교반판(55)은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가 조리용기(P)에 설치되었을 때, 하단부가 조리용기(P)의 바닥면과 접촉됨과 동시에 절곡부(551)가 조리용기(P)의 바닥면과 측벽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설치됨으로써 교반 작업 시, 조리용기(P)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함과 동시에 조리용기(P)의 바닥면 및 모서리를 스크래핑(Scraping)하여 음식물이 눌어붙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교반축(52)의 양단부에는 제2 교반축(53)과 제3 교반축(54)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2 교반축(53)과 제3 교반축(54)은 제1 교반축(52)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2 교반축(53)은 하단부가 제1 교반축(52)의 좌측 단부와 결합되며, 상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연결축(51)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 교반축(53)은 제2 교반판(56)이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제2 교반판(56)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교반축(53)의 좌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 교반판(56)은 설치 시, 하단부가 제1 교반판(55)의 절곡부(551)의 상단부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교반판(56)은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가 조리용기(P)에 설치되었을 때, 좌측단부가 조리용기(P)의 측벽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교반 작업 시, 조리용기(P) 내부의 음식물을 섞어줄 뿐만 아니라 조리용기(P)의 측벽을 스크래핑한다.
제3 교반축(54)은 하단부가 제1 교반축(52)의 우측 단부와 결합되며, 상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연결축(51)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3 교반축(54)은 제3 교반판(57)이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제3 교반판(57)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교반축(54)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3 교반판(57)은 설치 시, 하단부가 제2 교반판(56)의 상단부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3 교반판(57)은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가 조리용기(P)에 설치되었을 때, 우측단부가 조리용기(P)의 측벽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교반판(55), (56), (57)들은 테프론 등의 내열성과 내부식성 및 내마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교반판(55), (56), (57)들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측벽과 바닥면의 전체가 스크래핑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교반판(55), (56), (57)들과 교반축(52), (53), (54)들의 사이에는 스프링(S)이 설치되어 교반판(55), (56), (57)들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하여 조리용기(P)의 벽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반작업 시, 음식물이 조리용기(P)의 벽면에 눌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교반부(5)는 연결축(51)에 연결되는 제1 교반축(52) 및 제1 교반축(52)에 연결되는 제2, 제3 교반축(53), (54)을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교반축(52), (53), (54)들에 설치되는 교반판(55), (56), (57)들을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교반 작업이 진행되는 조리용기(P)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교반판(55), (56), (57)을 교체하여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조리용기(P)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는 교반판(55), (56), (57)들이 연결축(51)을 중심으로 조리용기(P)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리용기(P) 내부의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분할하여 바닥판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영역(A)과, 제1 영역(A)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영역(B), 제2 영역(B)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영역(C)으로 나누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교반판(55)은 하단부가 조리용기(P)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절곡부(551)의 상단부가 제1 영역(A)와 제2 영역(B)의 경계선에 배치되어 회전 시, 제1 영역(A) 내부에서 연결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 영역(A)의 음식물을 교반함과 동시에 조리용기(P)의 바닥면과 측벽을 스크래핑한다.
제2 교반판(56)은 제2 영역(B) 내부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의 경계선 상에 배치되며, 상단부가 제2 영역(B)과 제3 영역(C)의 경계선 상에 배치되어 연결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제2 영역(B)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함과 동시에 제2 영역(B) 내부에 위치하는 조리용기(P)의 측벽을 스크래핑한다.
제3 교반판(57)은 제3 영역(C) 내부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제2 영역(B)과 제3 영역(C)의 경계선 상에 배치되며, 연결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제3 영역(C)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함과 동시에 제3 영역(C) 내부에 위치하는 조리용기(P)의 측벽을 스크래핑한다.
이러한 교반부(5)는 구동부(4)에 의하여 연결축(51)이 회전될 때, 제1, 제2, 제3 교반판(55), (56), (57)들이 조리용기(P)의 바닥면과 측벽을 스크래핑함과 동시에 조리용기(P)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는 접촉링(32)에 의해 조리용기(P)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며, 클램프(31)들에 의해 조리용기(P)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조리용기(P)에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반작업 시에만 조리용기(P)에 장착되기 때문에 교반작업을 제외한 조리작업을 진행할 때 분리되어 조리공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는 교반축(52), (53), (54)들 및 교반판(55), (56), (57)들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교반작업이 진행되는 조리용기(P)의 크기에 맞춰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조리용기(P)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의 제2 실시예인 제2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2 프레임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접촉판과 연결판, 연결막대의 분해사시도이다.
제2 조리용기용 교반장치(201)는 도 2의 조리용기용 교반장치(1)의 제2 실시예이며, 제2 프레임부(202)와, 제2 고정부(203), 구동부(204), 교반부(205)로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부(204) 및 교반부(205)는 도 2의 구동부(4) 및 교반부(205)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 프레임부(20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판(2021)과, 제2 수평판(2021)의 양단부에 삽입되는 제1, 제2 가동프레임(2022a), (2022b)들로 이루어진다.
제2 수평판(202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과 인접한 위치에 축 관통공(20211)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수평판(2021)의 상면에는 모터(2041)가 결합되는 모터체결봉(20212)들이 상향 돌출된다.
또한 제2 수평판(2021)의 상면에는 양측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손잡이(20213)들이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제2 수평판(2021)의 양단부에는 가이드홈(20214)들이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홈(20214)들은 제2 수평판(2021)의 양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며, 제1, 제2 가동프레임(2022a), (2022b)들이 각각 삽입되어 제1, 제2 가동프레임(2022a), (2022b)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홈(20214)들은 제2 수평판(202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제2 가동프레임(2022a), (2022b)들이 제2 수평판(20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 수평판(2021)의 상면에는 하면까지 관통 형성되는 체결공(20215)들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체결공(20215)들은 가이드홈(20214)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체결수단(미도시)이 체결되어 가이드홈(20214)들에 삽입된 제1, 제2 가동프레임(2022a), (2022b)들이 제2 수평판(2021)과 결합된다.
제1, 제2 가동프레임(2022), (2022b)들은 가이드판(20221)과, 가이드판(20221)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연결판(20222)과, 수직연결판(20222)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플랜지판(20223)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판(2022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립 시, 제2 수평판(2021)에 형성된 가이드홈(20214)에 삽입된다.
또한 가이드판(2022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02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판(20221)은 제2 수평판(2021)의 가이드홈(20214)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설치되며, 체결수단이 관통공(202211)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수직연결판(20222)은 가이드판(20221)의 일단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직연결판(20222)으로부터 가이드판(20221)이 연결된 방향으로 내측이라고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수직연결판(20222)은 측면에 클램프(2031)가 설치된다.
또한 수직연결판(20222)의 하단부에는 플랜지판(20223)이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결된다.
플랜지판(20223)은 수직연결판(20222)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후술되는 제2 고정부(203)의 접촉판(203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제2 가동프레임(2022), (2022b)들은 가이드홈(20214)들을 따라 제2 수평판(20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제2 고정부(203)는 제1, 제2 가동프레임(2022), (2022b)들의 수직연결판(20222)들의 외측에 설치되는 클램프(2031)들과, 플랜지판(20223)의 하면에 설치되는 접촉판(2032)들, 접촉판(2032)들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연결판(2033)들과, 양단부가 연결판(2033)과 접촉판(2032)에 각각 연결되어 연결판(2033)의 회전을 제한하는 연결막대(2034)들로 이루어진다.
접촉판(203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어 플랜지판(20223)의 하면에 설치되며, 외측단부로부터 걸림턱(20321)이 하향 돌출된다.
이러한 접촉판(2032)은 설치 시, 하면이 조리용기(P)의 측벽 상단부와 접촉되며, 걸림턱(20321)이 조리용기(P)의 측벽과 접촉됨으로써 진동에 의해 조리용기(P)로부터 조리용기용 교반장치(20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접촉판(2032)의 상면에는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결합돌부(20322)들이 각각 상향 돌출되어 연결막대(2034)의 일단부와 결합된다.
또한 접촉판(2032)의 양단부에는 연결판(2033)들이 힌지결합된다.
연결판(2033)은 막대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외측단부로부터 걸림턱(20331)이 하향 돌출된다.
또한 연결판(2033)은 일단부가 접촉판(2032)과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연결판(2033)은 설치 시, 하면이 조리용기(P)의 상단부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접촉판(2032)과 힌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조리용기(P)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한 위치로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연결판(2033)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삽입공(20332)들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연결막대(2034)와 결합된다.
연결막대(2034)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접촉판(2032)의 결합돌부(20322)가 삽입되는 돌부삽입공(20341)이 형성되어 결합돌부(2032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연결막대(2034)의 타단부에는 연결판(2033)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공(20332)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삽입돌부(20342)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막대(2034)는 일단부가 접촉판(2032)의 결합돌부(20322)가 돌부삽입공(20341)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돌부(2032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에 형성된 삽입돌부(20342)가 연결판(2033)에 형성된 삽입공(20332)들 중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연결판(2033)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때 연결판(2033)은 삽입돌부(20342)가 삽입된 삽입공에 따라서 접촉판(2032)과의 각도가 변화되기 때문에 조리용기(P)의 크기가 변화되어도 해당 조리용기와 대응되는 각도로 조절하여 조리용기의 상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조리용기용 교반장치(201)는 프레임부(202)의 가동프레임(2022a), (2022b)들이 제2 수평판(2021)들로부터 돌출된 거리를 제어하여 플랜지판(20223)들의 하면에 설치된 접촉판(2032)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P)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리용기용 교반장치(201)는 연결판(2033)들이 접촉판(2032)들의 양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용기(P)와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리용기(P)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지지력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조리용기(P)의 크기가 변화되었을 때, 해당 조리용기와 대응되는 위치로 연결판(2033)들을 이동시켜 해당 조리용기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조리용기용 교반장치(201)는 연결막대(2034)들이 연결판(2033)들의 회전을 제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연결판(2033)들이 유동되어 조리용기(P)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2 : 프레임부
21 : 수평판 22, 23 : 수직판
3 : 고정부 31 : 클램프
32 : 접촉링 4 : 구동부
41 : 모터 42 : 구동축
5 : 교반부 51 : 연결축
52 : 제1 교반축 53 : 제2 교반축
54 : 제3 교반축 55 : 제1 교반판
56 : 제2 교반판 57 : 제3 교반판
P : 조리용기

Claims (7)

  1. 조리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교반하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에 있어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용기와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고정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구동부;
    일단부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교반축들과, 상기 교반축들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벽면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교반판들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로부로 구동력을 전달받았을 때, 상기 교반판들이 상기 조리용기의 벽면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단부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연결축;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이 상기 연결축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 교반축;
    하단부가 상기 제1 교반축의 일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연결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교반축;
    하단부가 상기 제1 교반축의 타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연결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3 교반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교반축과 결합되며, 조립 시 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제1 교반판;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교반축과 결합되며, 조립 시 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제2 교반판;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교반축과 결합되며, 조립 시 단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제3 교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판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가 상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교반축으로부터 상기 제2 교반축을 향하는 방향을 좌측이라고 할 때,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1 교반축의 우측단부보다 우측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반판은 하단부가 상기 제1 교반판의 절곡부의 상단부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제2 교반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3 교반판은 하단부가 상기 제2 교반판의 상단부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3 교반축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수평판;
    상단부가 상기 수평판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수직판들;
    상기 수평판들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판들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조리용기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클램프들;
    단면이 사각형인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에 걸림턱이 하향 돌출되며, 상면이 상기 플랜지들의 하면과 결합되며, 조립 시 바닥면이 상기 조리용기의 측벽 상단부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접촉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판들과 상기 교반축들의 사이에는 설치되는 스프링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들은
    교반작업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교반판들이 상기 조리용기의 벽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부에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하면까지 관통되는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수평판;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일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수직 연결되는 수직연결판과, 상기 수직연결판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플랜지판으로 구성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연결판들에 각각 설치되는 클램프들;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으로부터 걸림턱이 하향 돌출되며, 상기 플랜지판들의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접촉판들;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으로부터 걸림턱이 하향 돌출되며, 상기 접촉판들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판들;
    인접한 접촉판과 연결판을 연결하여 해당 연결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연결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KR1020210016087A 2021-02-04 2021-02-04 눌음방지효과를 높인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KR102518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087A KR102518880B1 (ko) 2021-02-04 2021-02-04 눌음방지효과를 높인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087A KR102518880B1 (ko) 2021-02-04 2021-02-04 눌음방지효과를 높인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488A true KR20220112488A (ko) 2022-08-11
KR102518880B1 KR102518880B1 (ko) 2023-04-05

Family

ID=8280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087A KR102518880B1 (ko) 2021-02-04 2021-02-04 눌음방지효과를 높인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925B1 (ko) * 2022-10-31 2023-05-17 구영훈 젤리 제조용 교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057B1 (ko) 2023-05-11 2023-10-24 김현간 시소식 조리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6B2 (ja) * 1981-02-25 1983-01-06 株式会社 品川工業所 食品用撹拌装置
KR200365275Y1 (ko) * 2004-08-02 2004-10-20 차찬열 잼 제조공정에서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교반 장치
KR101439991B1 (ko) * 2013-05-24 2014-09-12 (주)푸른가족 죽 자동 조리장치
JP3195200U (ja) * 2014-10-21 2015-01-08 株式会社マブチ・エスアンドティー 攪拌用モーター取り付け架台
KR101931674B1 (ko) * 2018-06-05 2018-12-21 피테크주식회사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200B2 (ja) * 1994-12-09 2001-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露光装置および異物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6B2 (ja) * 1981-02-25 1983-01-06 株式会社 品川工業所 食品用撹拌装置
KR200365275Y1 (ko) * 2004-08-02 2004-10-20 차찬열 잼 제조공정에서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교반 장치
KR101439991B1 (ko) * 2013-05-24 2014-09-12 (주)푸른가족 죽 자동 조리장치
JP3195200U (ja) * 2014-10-21 2015-01-08 株式会社マブチ・エスアンドティー 攪拌用モーター取り付け架台
KR101931674B1 (ko) * 2018-06-05 2018-12-21 피테크주식회사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925B1 (ko) * 2022-10-31 2023-05-17 구영훈 젤리 제조용 교반장치
WO2024096140A1 (ko) * 2022-10-31 2024-05-10 구영훈 젤리 제조용 교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880B1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2488A (ko) 눌음방지효과를 높인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KR101931674B1 (ko)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KR101535425B1 (ko) 눌음방지 및 작업 효율을 높인 회전식 솥
TWI526245B (zh) 攪拌裝置及齒輪組
GB2205047A (en) Food mixer and blender
CN107155293B (zh) 家用电器搅拌装置
JP7025591B1 (ja) 撹拌装置
EP3626337B1 (en) Detachable rib and stir tool for a mixing bowl
JPH02228919A (ja) 電動式撹拌機
CN110193309A (zh) 一种可倾斜式食品加工搅拌机
KR102108314B1 (ko) 가변 교반기
CN211329048U (zh) 一体式搅拌机
KR101742441B1 (ko) 음식 교반기를 갖는 조리용 솥
CN105148768B (zh) 双搅拌装置
KR102542301B1 (ko) 교반 조리 장치
CN114053943A (zh) 搅拌器
JP2000342951A (ja) 食品攪拌装置
EP0081521A1 (en) Stirring device for cooking pots, etc.
KR100648522B1 (ko)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EP0235147B1 (en) A device for beating and mixing of liquids and batters
JP3164679U (ja) 攪拌装置
CN209406330U (zh) 一种搅拌均匀的反应釜
EP0629435B1 (en) Mixing apparatus for cooking vessels
JPH029884Y2 (ko)
KR200255469Y1 (ko) 교반기용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