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314B1 - 가변 교반기 - Google Patents

가변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314B1
KR102108314B1 KR1020180041637A KR20180041637A KR102108314B1 KR 102108314 B1 KR102108314 B1 KR 102108314B1 KR 1020180041637 A KR1020180041637 A KR 1020180041637A KR 20180041637 A KR20180041637 A KR 20180041637A KR 102108314 B1 KR102108314 B1 KR 102108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stirring
fixed
fixing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389A (ko
Inventor
김병완
최련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31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co-operating with deflectors or baffles fixed to the receptacle
    • B01F27/86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co-operating with deflectors or baffles fixed to the receptacle the baffles being adjustable or movable
    • B01F7/1685
    • B01F15/00538
    • B01F15/0091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5Baffles; Flow brea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가변 교반기가 개시된다. 가변 교반기는, 내부에 교반 공간이 형성된 교반 바디와, 교반 바디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서 교반 공간의 내부로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제1 가변부와, 제1 가변부에 설치되며 교반 공간의 높이 방향으로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제2 가변부와, 제2 가변부에 설치되어 교반 공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용물을 교반하는 배플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 교반기{VARIABLE MIXER}
본 발명은 방청제 내용물의 교반 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가변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있어 기관의 냉각은 냉각수(Cooling water)의 순환을 통해 구현된다.
여기서, 냉각수의 순환을 통한 냉각 과정에서 배관설비를 포함한 각종 냉각설비에 대한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냉각수 내에 적정량의 방청제(Corrosion Inhibitor)를 주입해야 한다.
이러한 방청제는 주로 고체 상태로 녹여서 투여해야 하는데, 작업자가 소량의 케미컬을 용기로 가져가 따뜻한 물을 혼합해야 원활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방청제와 청수 사이의 혼합물인 케미컬 수용액을 제조하는 데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방정체 등의 내용물의 혼합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반기는 내용물을 혼합하는 배플 등의 블레이드의 크기 및 설치된 위치가 고정되는 바, 내용물의 량에 따라 적절한 혼합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청제 등의 혼합 대상 내용물의 량에 따라 배플의 교체 및 설치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가변 교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교반 공간이 형성된 교반 바디와, 교반 바디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서 교반 공간의 내부로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제1 가변부와, 제1 가변부에 설치되며 교반 공간의 높이 방향으로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제2 가변부와, 제2 가변부에 설치되어 교반 공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용물을 교반하는 배플을 포함한다.
고정부는, 교반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 바디와, 고정바디의 일단에 연결되며 교반 바디의 내표면에 접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고정 바디의 타단에 연결되며 교반 바디의 외표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을 고정 바디에 가압 고정하는 가압 고정부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고정부는, 고정 프레임에 복수개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교반 바디의 외표면에 가압 접촉되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고정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가변부가 이동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변부는, 고정 바디의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바와, 가변바를 고정 바디에 고정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변부는, 가변바의 단부에 설치되며 로드에는 배플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부재일 수 있다.
배플은, 제2 가변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청제 등의 내용물을 교반하는 배플의 설치된 높이와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바, 내용물의 종류 및 양에 대응하여 효과적인 교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을 적절한 크기로 변경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교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변 교반기의 고정부에 제1 가변부와 제2 가변부 및 배플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변 교반기의 고정부에 제1 가변부와 제2 가변부 및 배플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변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변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변 교반기의 고정부에 제1 가변부와 제2 가변부 및 배플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가변 교반기의 고정부에 제1 가변부와 제2 가변부 및 배플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가변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가변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반기(100)는, 내부에 교반 공간이 형성된 교반 바디(10)와, 교반 바디(10)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0)와, 고정부(20)에서 교반 공간의 내부로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제1 가변부(30)와, 제1 가변부(30)에 설치되며 교반 공간의 높이 방향으로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제2 가변부(50)와, 제2 가변부(50)에 설치되어 교반 공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용물을 교반하는 배플(60)을 포함한다.
교반 바디(10)는 내부에 교반하고자 하는 방청제 등의 내용물이 수용 가능하도록 교반 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교반 바디(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최대로 수용하면서 후술하는 배플(60)의 회전에 따라 내용물을 용이하게 교반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교반 바디(10)는 원통형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치 장소에 대응하여 적절한 형상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교반 바디(10)에는 배플(60)을 위치 이동된 상태로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교반 바디(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 바디(21)와, 고정 바디(21)의 일단에 연결되며 교반 바디(10)의 외표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프레임(23)과, 고정 프레임(23)을 고정 바디(21)에 가압 고정하는 가압 고정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바디(21)는 교반 바디(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교반 바디(10)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타단은 교반 바디(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바디(2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1 가변부(30)의 설치를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23)은 고정 바디(21)의 일단에 연결되어 교반 바디(10)의 외표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프레임(23)이 설치되는 것은 복수개의 가압 고정부(25)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가압 고정부(25)는 고정 프레임(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의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고정 프레임(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3개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가압 고정부(25)는 고정 프레임(23)에 설치되어 교반 바디(10)의 외표면에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가압 고정부와 탄성 스프링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탄성 스프링(25)은 고정 프레임(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의 복수개로 설치되어, 교반 바디(10)의 외표면에 탄성력에 의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스프링(25)이 고정 프레임(23)에 설치된 상태에서 교반 바디(10)의 외표면을 가압하는 바, 후술하는 지지 플레이트(40)와의 사이에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20)의 안정적인 고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고정부(20)는 교반 바디(10)의 일 위치에 한정되어 고정되지 않고, 교반 바디(10)의 외표면을 따라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 위치 변동이 가능하다.
한편, 고정 바디(21)에는 제1 가변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변부(30)는, 고정 바디(21)의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바(31)와, 가변바(31)를 고정 바디(21)에 고정하는 볼트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바(31)는 고정 바디(21)의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은 교반 바디(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교반 바디(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가변바(31)는 고정 바디(21)에 볼트부재(33)에 의해 이동된 상태의 고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변바(31)가 고정 바디(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후술하는 배플(60)이 교반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된 위치의 변경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변바(31)의 하부에는 지지 플레이트(4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0)는 가변바(31)의 하부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측면은 교반 바디(10)의 내벽면에 접촉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0)의 측면은 교반 바디(10)의 내벽면에 접촉을 위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40)가 가변바(31)에 설치되는 것은, 전술한 탄성 스프링(25)의 탄성력이 작용되는 과정에서 지지 플레이트(40)가 탄성 가압력에 의해 교반 바디(10)의 내벽면에 가압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고정부(20)는 지지 플레이트(40)와 탄성 스프링(25)에 의해 교반 바디(10)의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0)의 교반 바디(10)에 대면하는 표면에는 안정적인 접촉 고정을 위해 마찰부재(미도시)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가변바(31)에는 제2 가변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변부(50)는 가변바(31)에 설치된 길이 가변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2 가변부와 실린더부재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실린더부재(50)는 몸체 부분은 가변바(31)에 설치되며, 로드(51)에는 배플(6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51)의 길이 조절에 따라 배플(60)은 교반 바디(10)의 높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다.
로드(51)의 단부에는 배플(6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3)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플(60)은 구동모터(53)의 구동력에 의해 교반 바디(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교반시키고자 하는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교반시킬 수 있다.
배플(60)은, 구동모터(53)의 회전축에 교체 가능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플(60)은 구동모터(5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4개가 방사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배플(60)은 4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적절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플(60)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교반홀(61)이 메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교반 바디(10)의 내부에서 배플(60)의 회전되는 경우, 내용물의 교반 작동이 메쉬 타입의 교반홀(61)에 의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변 교반기(100)는 방청제 등의 내용물을 교반하는 배플(60)의 설치된 높이와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바, 내용물의 종류 및 양에 대응하여 효과적인 교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 교반기(200)의 배플(160)은 로드(51)에 설치된 구동모터(5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플(160)은 내용물의 종류 및 량에 따라 적절하게 교체되는 바, 효과적인 내용물 교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교반 바디 11...교반 공간
20...고정부 21...고정 바디
23...고정 프레임 25...가압 고정부
30...제1 가변부 31...가변바
33...볼트부재 40...지지 플레이트
50...제2 가변부, 실린더부재 51...로드
60, 160...배플 61...교반홀

Claims (7)

  1. 내부에 교반 공간이 형성된 교반 바디;
    상기 교반 바디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교반 공간의 내부로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제1 가변부;
    상기 제1 가변부에 설치되며, 상기 교반 공간의 높이 방향으로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제2 가변부; 및
    상기 제2 가변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 공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용물을 교반하는 배플;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교반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 바디;
    상기 고정바디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교반 바디의 내표면에 접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고정 바디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교반 바디의 외표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을 상기 고정 바디에 가압 고정하는 가압 고정부;
    를 포함하는 가변 교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복수개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교반 바디의 외표면에 가압 접촉되는 탄성 스프링인 가변 교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가변부가 이동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변 교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부는,
    상기 고정 바디의 상기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바; 및
    상기 가변바를 상기 고정 바디에 고정하는 볼트부재;
    를 포함하는 가변 교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부는,
    상기 가변바의 단부에 설치되며 로드에는 상기 배플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부재인 가변 교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제2 가변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 교반기.
KR1020180041637A 2018-04-10 2018-04-10 가변 교반기 KR102108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637A KR102108314B1 (ko) 2018-04-10 2018-04-10 가변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637A KR102108314B1 (ko) 2018-04-10 2018-04-10 가변 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89A KR20190118389A (ko) 2019-10-18
KR102108314B1 true KR102108314B1 (ko) 2020-05-07

Family

ID=6846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637A KR102108314B1 (ko) 2018-04-10 2018-04-10 가변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237B1 (ko) 2020-04-08 2021-11-16 (주)이웃사랑 세제 제조 장치의 교반기
CN114768584B (zh) * 2022-05-23 2024-02-27 浙江大爱遮阳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上浆机环保浆水制备设备及其制备方法
KR102573543B1 (ko) 2022-09-14 2023-08-31 연응준 액상 세제 제조용 교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0026A (ja) * 2008-01-15 2009-08-27 Kinki Sogo Giken Kk 攪拌機
JP2011230091A (ja) * 2010-04-30 2011-11-17 Hitachi Koki Co Ltd 電動工具及び攪拌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0026A (ja) * 2008-01-15 2009-08-27 Kinki Sogo Giken Kk 攪拌機
JP2011230091A (ja) * 2010-04-30 2011-11-17 Hitachi Koki Co Ltd 電動工具及び攪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89A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314B1 (ko) 가변 교반기
TWI526245B (zh) 攪拌裝置及齒輪組
KR100738643B1 (ko) 교반 장치
CN110280168B (zh) 一种搅拌器及其工作方法
KR20160023045A (ko) 머드 탱크의 교반 장치 및 그 머드 탱크의 교반 장치를 이용한 머드 순환시스템
CN214345856U (zh) 一种灭火器泡沫液生产用搅拌装置
CN111804199B (zh) 搅拌结构及具有其的搅拌器
JP3702002B2 (ja) 混合装置
KR20220112488A (ko) 눌음방지효과를 높인 조리용기용 교반장치
CN109317021A (zh) 适用于咸蛋生产的黄泥料浆搅拌机
US4506984A (en) Pan type mixing machine
CN209901152U (zh) 一种涂料分散机的搅拌装置
KR101105239B1 (ko) 교반장치
KR20050072284A (ko) 다중 날개를 가진 교반스크류 및 교반장치
JP2013063413A (ja) 処理装置
KR20130001623U (ko) 선박의 도장용 도료 교반기
CN110743414A (zh) 一种自动化混合料生产设备
KR100867815B1 (ko) 휴대용 방폭 교반장치
CN218107519U (zh) 洗衣液乳化搅拌设备
KR101867678B1 (ko) 교반장치
CN211250791U (zh) 一种土木工程用原料搅拌装置
KR19990001336U (ko)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기
JPH1024229A (ja) 流体撹拌装置
CN104906980A (zh) 一种适用于高粘度厚重物料的高速分散机的搅拌轴
CN216654154U (zh) 一种应用于混合机的安装装置和混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