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282A - 승차인 구속 장치 - Google Patents

승차인 구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282A
KR20220107282A KR1020227022667A KR20227022667A KR20220107282A KR 20220107282 A KR20220107282 A KR 20220107282A KR 1020227022667 A KR1020227022667 A KR 1020227022667A KR 20227022667 A KR20227022667 A KR 20227022667A KR 20220107282 A KR20220107282 A KR 20220107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irbag
tension member
ban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마츠시타
아브히로프 비와나타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2010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54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cushion
    • B60N2/42763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cushion with anti-submari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 B60R21/08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automatically movable from an inoperativ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a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8Ex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의 구속을 촉진시킬 수 있는 승차인 구속 장치를 제공한다.
승차인 구속 장치는 시트백(4) 및 시트 쿠션(81)을 가지는 차량용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시트백의 우측 및 좌측의 적어도 일방에 배치된 사이드 에어백(3)과, 상기 시트백의 측부 및 시트 쿠션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외면에 일부가 설치된 장력 부재(2)와, 상기 장력 부재의 타부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 쿠션의 내부 또는 하측에 수납되어 상기 장력 부재를 인입 가능한 견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부에 의해 상기 시트백의 측부에 배치된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차량용 좌석의 중앙을 향하여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승차인 구속 장치
본 기술은 충돌 시에 차량의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 관한다.
종래 시트백의 좌우 각각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과,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외면에 설치된 장력포(밴드)를 구비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한 경우, 밴드는 사이드 에어백에 눌려 밴드에는 장력이 발생한다. 상기 장력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은 착석한 승차인을 꽉 누르고 승차인은 구속되어 보호된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공개2019-137319호 공보
최근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의 구속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의 구속을 촉진시킬 수 있는 승차인 구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는 시트백 및 시트백을 가지는 차량용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시트백의 우측 및 좌측의 적어도 일방에 배치된 사이드 에어백과, 상기 시트백의 측부 및 시트 쿠션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외면에 일부가 설치된 장력 부재와, 상기 장력 부재의 타부(他部)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 쿠션의 내부 또는 하측에 수납되어 상기 장력 부재를 인입 가능한 견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부에 의해 상기 시트백의 측부에 배치된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차량용 좌석의 중앙을 향하여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견인부는 리트랙터를 가지고, 상기 리트랙터의 권취에 의해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차량용 좌석의 중앙을 향하여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상면부를 지나도록 설치된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은 상기 시트 쿠션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장력 부재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장력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이 팽창 전개한 경우,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전부(前部)를 지나도록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은 상하로 중첩하도록 접히고, 상기 장력 부재가 상기 시트 내 에어백 상에 배치되는 부분은 상기 시트 내 에어백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끼워지고, 상면에서 보아 전후 방향으로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전후 방향의 길이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은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전후 방향으로 감긴 권취 부재를 더 가지고, 상기 시트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상기 권취 부재의 권취 원주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권취 부재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후방 부분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밸로스(Bellows) 형상으로 접힌 접음부를 가지고,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접음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팽창 전개 시에 상기 장력 부재의 상기 접음부와의 연결 부분이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전단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권취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접음부는 적어도 1회 되접혀 있고 상기 권취 부재의 되접힌 부분의 최상부에 상기 장력 부재는 연결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은 상기 차량용 좌석의 테두리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권취 부재의 전후 양단부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전후 양단부에서 상기 시트 내 에어백 또는 상기 테두리체에 고정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에 있어서는 시트 쿠션의 내부 또는 하측에 수납된 시트 내 에어백에 장력 부재를 설치하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장력 부재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시트백의 측부에 배치된 장력 부재는 좌석의 중앙 및 전방을 향하여 당겨지고 사이드 에어백이 승차인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이드 에어백을 장력 부재로 승차인측으로 누름으로써 승차인의 구속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시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는 시트 내 에어백이 접힌 시트의 약시(略示)적인 좌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b는 시트 내 에어백이 전개한 시트의 약시적인 좌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가 설치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사이드 에어백의 도시 생략).
도 4는 시트 내 에어백, 지지부 및 하측 밴드의 약시적인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시트 내 에어백이 팽창 전개한 경우에 있어서의 승차인 구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사이드 에어백의 도시 생략).
도 6은 시트 내 에어백이 팽창 전개한 경우에 있어서의 시트 내 에어백, 지지부 및 하측 밴드의 약시적인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사이드 에어백 및 시트 내 에어백이 팽창 전개한 경우에 있어서의 승차인 구속 장치 및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접힌 시트 내 에어백을 설치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접힌 상태 및 팽창 상태의 시트 내 에어백을 나타내는 모식적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팽창 전개한 시트 내 에어백을 설치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사이드 에어백의 도시 생략).
도 11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접힌 시트 내 에어백 및 커버를 설치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사이드 에어백의 도시 생략).
도 12는 접힌 상태 및 팽창 상태의 시트 내 에어백, 및 커버를 나타내는 모식적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팽창 전개한 시트 내 에어백 및 커버를 설치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사이드 에어백의 도시 생략).
도 14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제2 테두리체의 약시적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5는 로드가 진출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2 테두리체의 약시적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한 장의 하측 밴드를 사용한 제2 테두리체의 약시적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5에 관한 제2 테두리체의 약시적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리트랙터가 구동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2 테두리체의 약시적인 정면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도에 나타내는 상하 전후 좌우를 사용한다. 도 1은 시트(1)의 외관 사시도, 도 2a는 시트 내 에어백(82)이 접힌 시트(1)의 약시적인 좌측면 부분 단면도, 도 2b는 시트 내 에어백(82)이 전개한 시트(1)의 약시적인 좌측면 부분 단면도, 도 3은 승차인 구속 장치가 설치된 시트(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시트(1)의 표피, 시트백의 쿠션재 및 착석부의 쿠션재를 제외한 시트(1)의 테두리체만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착석부의 쿠션재를 시트 쿠션(81)이라고 칭한다.
시트(1)는 테두리체와, 상기 테두리체를 덮는 쿠션재와, 쿠션재를 덮는 표피를 구비한다. 도 1에 있어서 파선은 쿠션재로 덮인 테두리체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1)의 테두리체는 시트백의 제1 테두리체(4)와 착석부의 제2 테두리체(8)를 가진다. 제1 테두리체(4)는 시트백 쿠션(40)에 의해 덮여 있으며 제2 테두리체(8)는 시트 쿠션(81)에 의해 덮여 있다. 시트백의 제1 테두리체(4) 및 착석부의 제2 테두리체(8)는 대략 직사각형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에 정상적으로 승차인이 앉은 경우에 있어서 승차인의 우측 어깨 부근을 시트백의 제1 테두리체(4)의 우측, 승차인의 좌측 어깨 부근을 시트백의 제1 테두리체(4)의 좌측으로 하고, 승차인은 시트백의 제1 테두리체(4)의 전측에 착석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시트백의 제1 테두리체(4)에서는 상측에 헤드레스트(7)가 설치되어 있다.
승차인 구속 장치(100)는 에어백 모듈(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에어백 모듈은 제1 테두리체(4)의 좌우 양측의 긴 변 프레임(41)(시트백의 측부)의 외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일방의 긴 변 프레임(41)에만 에어백 모듈이 설치되어도 된다. 
에어백 모듈은 후술하는 사이드 에어백(3)(도 7 참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도시 생략) 등을 구비한다. 사이드 에어백(3)은 접혀 있다. 사이드 에어백(3)은 예를 들어 2장의 기포(基布)의 주위를 봉제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서 사이드 에어백(3)의 내부에 상기 인플레이터를 배치하고 있다. 승차인 구속 장치(100)는 차량 충돌 시, 시트의 앞 방향으로 사이드 에어백(3)을 전개하여 승차인을 보호한다. 사이드 에어백(3)은 상하 중간 지점에서 후술하는 장력 밴드(2)(장력 부재)가 서로 봉제되어 장력 밴드(2)에 구속되어 있다. 
승차인 구속 장치(100)는 장력 밴드(2)를 더 포함한다. 장력 밴드(2)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밴드로서 제1 테두리체(4)의 좌측에 배치된 2장의 좌측 밴드(21, 21)와, 제1 테두리체(4)의 우측에 배치된 2장의 우측 밴드(22, 22)와, 제2 테두리체(8)에 배치된 1장의 하측 밴드(23)를 구비한다. 2장의 좌측 밴드(21, 21)의 일단부는 연결되고 제1 테두리체(4)의 좌측 상부에 설치한 어태치먼트(42)에 설치된다. 좌측 밴드(21)는 좌측의 긴 변 프레임(41)의 외측 및 제2 테두리체(8)의 좌측부의 외측에 걸쳐 배치된다. 2장의 우측 밴드(22, 22)의 일단부는 연결되어 제1 테두리체(4)의 우측 상부에 설치한 어태치먼트(42)에 설치된다. 우측 밴드(22)는 우측의 긴 변 프레임(41)의 외측 및 제2 테두리체(8)의 우측부의 외측에 걸쳐 배치된다. 
2장의 좌측 밴드(21, 21)의 타단부는 하측 밴드(23)의 일단부에 연결하고 2장의 우측 밴드(22, 22)의 타단부는 하측 밴드(23)의 타단부에 연결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우측 밴드(22)는 한 개만 나타내고 있다. 또한 좌측 밴드(21)는 단수여도 되고 세 개 이상이어도 된다. 우측 밴드(22)는 단수여도 되고 세 개 이상이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테두리체(8)의 상면에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수납 오목부(8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오목부(80)의 전측에는 시트팬(8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시트팬(86)에 대한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시트팬(86)에는 시트 내 에어백(82)이 설치되고 시트 쿠션(81)에 의해 덮여 있다. 시트 내 에어백(82)은 인플레이터(82a)를 구비한다. 시트 내 에어백(82)은 접혀 있다. 시트 내 에어백(82)은 시트 쿠션(81)의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시트 내 에어백(82)은 시트 쿠션(81)의 내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시트팬(86)을 설치하지 않고 수납 오목부(80)의 전측에 시트 내 에어백(82)을 설치해도 된다.
인플레이터(82a)는 차량측 ECU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82a)는 차량의 전방 충돌 시에 그 충격을 검지한 신호를 차량측 ECU로부터 수신하여 동작하고 시트 내 에어백(82)을 향하여 가스를 순식간에 공급한다. 인플레이터(82a)로서는 가스 발생제, 압축 가스 또는 이들 양방이 충전된 것 등 여러 종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의 공급에 의해 시트 내 에어백(82)은 팽창 전개하고 시트 쿠션(81)의 전부는 상승하고 승차인(300)의 무릎 또는 대퇴부가 들어올려진다. 무릎 또는 대퇴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승차인(300)의 허리부의 전방 이동이 억제된다. 
도 4는 시트 내 에어백(82), 지지부(83) 및 하측 밴드(23)의 약시적인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수납 오목부(80)의 저면(底面)에는 두 개의 지지부(83)가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지지부(83)는 시트 내 에어백(82)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83)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83a)을 가진다. 
두 개의 지지부(83) 사이에 시트 내 에어백(82)이 배치되어 있다. 하측 밴드(23)는 각 지지부(83)의 관통 구멍(83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시트 내 에어백(82)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다. 하측 밴드(23)의 상기 상면에의 연결 방향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측 밴드(23)와 상기 상면을 봉제에 의해 접합시키는 것 또는 시트 내 에어백(82)의 상면에 하측 밴드(23)를 삽입 가능한 가이드를 설치, 상기 가이드를 개재하여 하측 밴드(23)를 상기 상면에 연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테두리체(8)의 좌우 측면 각각에 전후로 연장하는 슬릿(80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80a)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수납 오목부(80)의 내측 공간과 제2 테두리체(8)의 외측 공간을 연통시키고 있다. 좌측의 슬릿(80a)에는 하측 밴드(23) 또는 좌측 밴드(2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우측의 슬릿(80a)에는 하측 밴드(23) 또는 우측 밴드(22)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도 5는 시트 내 에어백(82)이 팽창 전개한 경우에 있어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시트 내 에어백(82)이 팽창 전개한 경우에 있어서의 시트 내 에어백(82), 지지부(83) 및 하측 밴드(23)의 약시적인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내 에어백(82)이 팽창 전개함으로써 하측 밴드(23)는 위로 당겨져 좌측 밴드(21, 21) 및 우측 밴드(22, 22)는 당겨진다. 즉, 장력 밴드(2)에 장력이 부여된다. 
도 7은 사이드 에어백(3) 및 시트 내 에어백(82)이 팽창 전개한 경우에 있어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 및 시트(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있어서 헤드레스트(7)에 대한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력 밴드(2)는 사이드 에어백(3)에 서로 봉제되어 있다. 좌측 밴드(21, 21)와 좌측의 긴 변 프레임(41) 사이에 일방의 사이드 에어백(3)이 배치되고 우측 밴드(22, 22)와 우측의 긴 변 프레임(41) 사이에 타방의 사이드 에어백(3)이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3)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측 밴드(21)는 좌측으로, 우측 밴드(22)는 우측으로 당겨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내 에어백(82)의 팽창 전개에 의해 승차인(300)의 무릎 또는 대퇴부가 들어올려지고 승차인(300)의 허리부의 전방 이동이 억제된다. 나아가 시트 내 에어백(82)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는 좌석의 중앙 및 전방을 향하여 당겨진다. 즉,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는 사이드 에어백(3)을 승차인측을 향하여 눌러 상기 허리부의 전방 이동의 억제와 더불어 승차인(300)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삼점식 시트 벨트(25)를 사용함으로써 승차인(300)에 대한 구속 효과는 더 증가한다.
실시형태 1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에 있어서는 시트 쿠션(81)의 내부 또는 하측에 수납된 시트 내 에어백(82)에 장력 밴드(2)를 접합시키고 시트 내 에어백(82)의 팽창 전개에 의해 장력 밴드(2)를 이동시킨다. 그 때문에 시트백의 제1 테두리체(4)의 측부에 배치된 장력 밴드(2)는 좌석의 중앙 및 전방을 향하여 당겨지고 승차인(300)의 허리부의 전방 이동을 억제함과 더불어 사이드 에어백(3)에 의한 승차인의 구속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장력 밴드(2)는 좌우로 2개의 밴드를 구비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로 1개씩의 밴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며 좌우로 3개 이상의 밴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3)은 좌측 및 우측의 긴 변 프레임(41) 중 어느 일방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2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접힌 시트 내 에어백(82)을 설치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접은 상태 및 팽창 상태의 시트 내 에어백(82)을 나타내는 모식적 우측면도, 도 10은 팽창 전개한 시트 내 에어백(82)을 설치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의 상측의 도는 접은 상태의 시트 내 에어백(82)을 나타내고 도 9의 하측의 도는 팽창 상태의 시트 내 에어백(82)을 나타낸다. 또한 도 9의 일점쇄선은 접은 상태 및 팽창 상태에 있어서의 하측 밴드(23)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10에 있어서 시트 쿠션(81)에 대한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시트 내 에어백(82)은 수납 오목부(80)에 수납되어 있다. 도 9의 상측의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내 에어백(82)의 전부는 상하로 중첩하도록 접힌다. 하측 밴드(23)는 시트 내 에어백(82)의 외면에 연결하고 중첩하는 두 개의 시트 내 에어백(82)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측 밴드(23)는 중첩하는 시트 내 에어백(82)의 하측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하측 밴드(23)는 접힌 시트 내 에어백(82)의 중앙부 및 후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밴드(23)는 중첩하는 시트 내 에어백(82)의 상측 부분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도 9의 상측의 도에 있어서 접힌 시트 내 에어백(82)은 이중으로 접혀 있는데 삼중 이상으로 접혀도 된다. 
도 9의 하측의 도에 있어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내 에어백(82)이 팽창 전개한 경우, 하측 밴드(23)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밴드(23)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는 좌석의 중앙 및 전방을 향하여 당겨진다. 그 때문에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는 사이드 에어백(3)을 승차인측을 향하여 눌러 승차인(300)의 허리부의 전방 이동을 억제함과 더불어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3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3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 또는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접힌 시트 내 에어백(82) 및 커버(84)를 설치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접은 상태 및 팽창 상태의 시트 내 에어백(82), 및 커버(84)를 나타내는 모식적 우측면도, 도 13은 팽창 전개한 시트 내 에어백(82) 및 커버(84)를 설치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의 상측의 도는 접은 상태의 시트 내 에어백(82)을 나타내고 도 12의 하측의 도는 팽창 상태의 시트 내 에어백(82)을 나타낸다. 또한 도 12의 일점쇄선은 접은 상태 및 팽창 상태에 있어서의 하측 밴드(23)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3에 있어서 시트 쿠션(81)에 대한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시트 내 에어백(82)(백)은 수납 오목부(80)에 수납되어 있다. 시트 내 에어백(82)은 커버(84)(권취 부재)에 의해 덮여 있다. 도 12의 상측의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내 에어백(82)의 전단부 및 후단부 부근에 있어서 커버(84)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고정 부재(85)에 의해 제2 테두리체(8)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84)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시트 내 에어백(82)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 12의 상측의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내 에어백(82)의 상측에 있어서 커버(84)는 시트 내 에어백(82)의 상면에서 적어도 1회 되접혀 있다. 커버(84)의 되접힌 부분은 예를 들어 밸로스 형상으로 접힌 접음부를 구성한다. 커버(84)의 되접힌 부분의 최상부에 하측 밴드(23)는 연결되어 있다. 하측 밴드(23)는 상기 최상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84)의 되접힌 부분은 시트 내 에어백(82)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하측 밴드(23)는 상기 하면에 설치된 커버(84)의 되접힌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2의 하측의 도에 있어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내 에어백(82)이 팽창 전개한 경우, 커버(84) 및 하측 밴드(23)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하측 밴드(23)의 커버(84)와의 연결 부분은 시트 내 에어백(82)의 전단부에 배치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밴드(23)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는 좌석의 중앙 및 전방을 향하여 당겨진다. 그 때문에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는 사이드 에어백(3)을 승차인측을 향하여 눌러 승차인(300)의 허리부의 전방 이동을 억제함과 더불어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4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4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제2 테두리체(8)의 약시적인 정면 단면도이다.
수납 오목부(80)에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는 회전체(91)가 수납되어 있다. 회전체(91)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추축(pivot)(90) 이 설치되어 있다. 추축(90)은 회전체(9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추축(90)의 축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되도록 회전체(91)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체(91)는 추축(90)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수납 오목부(80)에 인플레이터(92)가 수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92)는 로드(92a)를 구비한다. 로드(92a)는 인플레이터(92)의 본체로부터 연장하고 회전체(91)를 누를 수 있다. 도 14에 있어서는 인플레이터(92)는 회전체(91)의 좌측이면서 또한 추축(90)의 하측에 배치되고 로드(92a)는 회전체(91)의 좌측 하방 부분을 좌측으로 누른다. 또한 인플레이터(92)를 회전체(91)의 우측이면서 또한 추축(90)의 상측에 배치하고 로드(92a)가 회전체(91)의 우측 상방 부분을 좌측으로 누르는 구성이어도 된다. 
승차인 구속 장치(100)는 제1 하측 밴드(23a) 및 제2 하측 밴드(23b)를 구비한다. 제1 하측 밴드(23a)의 일단부는 회전체(91)의 좌측 하방 부분에 연결하고 제1 하측 밴드(23a)의 타단부는 두 장의 좌측 밴드(21, 21)의 하단부에 연결한다. 제2 하측 밴드(23b)의 일단부는 회전체(91)의 우측 상방 부분에 연결하고 제2 하측 밴드(23b)의 타단부는 두 장의 우측 밴드(22, 22)의 하단부에 연결한다. 제1 하측 밴드(23a) 및 좌측 밴드(21)는 좌측의 슬릿(80a)에 삽입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 하측 밴드(23b) 및 우측 밴드(22)는 우측의 슬릿(80a)에 삽입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5는 로드(92a)가 진출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2 테두리체(8)의 약시적인 정면 단면도이다. 인플레이터(92)는 차량측 ECU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터(92)는 차량의 전방 충돌 시에 그 충격을 검지한 신호를 차량측 ECU로부터 수신하여 동작하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92a)를 진출시킨다.
도 15의 흰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91)는 회전하고 제1 하측 밴드(23a) 및 좌측 밴드(21)는 수납 오목부(80)의 내측을 향하여 견인되고 제2 하측 밴드(23b) 및 우측 밴드(22)도 수납 오목부(80)의 내측을 향하여 견인된다. 좌석의 좌우에 있어서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는 좌석의 중앙을 향하여 당겨진다. 그 때문에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는 사이드 에어백(3)을 승차인측을 향하여 눌러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회전체(91)는 인플레이터(92)의 구동에 대한 응답성이 높다. 그 때문에 인플레이터(92)의 구동 개시 후, 즉시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가 견인되고 사이드 에어백(3)의 팽창 전개의 초기부터 사이드 에어백(3)을 승차인을 향하여 전개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4에 있어서 회전체(91)는 전후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고 있는데 회전축 방향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해도 된다. 
도 16은 한 장의 하측 밴드(23)를 사용한 제2 테두리체(8)의 약시적인 정면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4에 있어서 제1 하측 밴드(23a) 및 제2 하측 밴드(23b) 즉, 두 장의 하측 밴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장의 하측 밴드(23)의 중도부를 Z 또는 S 형상으로 구부리고 Z 또는 S 형상으로 구부린 부분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핀 등의 연결 부재(93)에 의해 회전체(91)에 연결해도 된다. 이 경우, 하측 밴드(23)의 일단부가 좌측 밴드(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우측 밴드(22)에 연결된다. 
(실시형태 5)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5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5에 관한 구성 중 실시형태 1~4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제2 테두리체(8)의 약시적인 정면 단면도이다.
수납 오목부(80)에 리트랙터(94) 및 두 개의 안내 롤러(95, 95)가 수납되어 있다. 리트랙터(94)의 상측에서 두 개의 안내 롤러(95, 95)는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리트랙터(94)는 시트 벨트를 권취하기 위해 회전하는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스핀들(도시 생략)과 상기 스핀들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나아가 제1 연결 벨트(94a)와 두 장의 제2 연결 벨트(94b, 94b)를 구비한다. 제1 연결 벨트(94a)의 일단부는 스핀들에 연결하고 제1 연결 벨트(94a)의 타단부는 리트렉터(94)의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 제1 연결 벨트(94a)의 타단부는 두 개의 안내 롤러(95, 95) 사이에 위치하고 두 장의 제2 연결 벨트(94b) 각각의 일단부에 연결한다. 두 장의 제2 연결 벨트(94b)는 좌우에 각각 배치되고 두 개의 안내 롤러(95, 95)에 각각 안내된다. 
좌측의 제2 연결 벨트(94b)의 타단부는 제1 하측 밴드(23a)를 개재하여 두 장의 좌측 밴드(21, 21)의 하단부에 연결한다. 우측의 제2 연결 벨트(94b)의 타단부는 제2 하측 밴드(23b)를 개재하여 두 장의 우측 밴드(22, 22)의 하단부에 연결한다. 좌측의 제2 연결 벨트(94b) 및 좌측 밴드(21)는 좌측의 슬릿(80a)에 삽입 가능하게 배치되고 우측의 제2 연결 벨트(94b) 및 우측 밴드(22)는 우측의 슬릿(80a)에 삽입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8은 리트랙터(94)가 구동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2 테두리체(8)의 약시적인 정면 단면도이다. 리트랙터(94)는 차량측 ECU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리트랙터(94)는 차량의 전방 충돌 시에 그 충격을 검지한 신호를 차량측 ECU로부터 수신하여 동작하고 모터를 회전시켜 도 18의 흰 화살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을 회전시킨다. 
도 18의 화살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결 벨트(94a), 제2 연결 벨트(94b), 제1 하측 밴드(23a) 및 제2 하측 밴드(23b)는 리트랙터(94)에 권취되고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는 수납 오목부(80)의 내측을 향하여 견인된다. 좌석의 좌우에 있어서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는 좌석의 중앙을 향하여 당겨진다. 그 때문에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는 사이드 에어백(3)을 승차인측을 향하여 눌러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리트랙터(94)는 제1 연결 벨트(94a), 제2 연결 벨트(94b), 제1 하측 밴드(23a), 제2 하측 밴드(23b),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를 권취 가능하다. 리트랙터(94)의 권취량은 차량의 사양에 따라서 결정된다. 
리트랙터(94)는 모터의 구동에 대한 응답성이 높다. 그 때문에 모터의 구동 개시 후, 즉시 좌측 밴드(21) 및 우측 밴드(22)가 견인되고 사이드 에어백(3)의 팽창 전개의 초기부터 사이드 에어백(3)을 승차인을 향하여 전개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에 있어서 리트랙터(94)의 스핀들은 전후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고 있는데 회전축 방향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여도 된다. 
실시형태 4 및 5에 있어서 시트 내 에어백을 시트 쿠션(81)의 내부 또는 하측에 수납해도 된다. 
또한 청구항에 부호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부호는 청구항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형태에 기재되는 부호에 대응시켜 참고로서 붙인 것에 불과하며 청구 범위를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번 개시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각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특징은 서로 조합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 및 청구 범위와 균등한 범위가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2  장력 밴드(장력 부재)
21  좌측 밴드
22  우측 밴드
23  하측 밴드
3  사이드 에어백
4  제1 테두리체(시트백)
8  제2 테두리체(테두리체)
81  시트 쿠션
82  시트 내 에어백
83  지지부
83a 관통 구멍
84  커버(권취 부재)
91  회전체
94  리트랙터
100 승차인 구속 장치

Claims (12)

  1. 시트백(4) 및 시트 쿠션(81)을 가지는 차량용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시트백의 우측 및 좌측의 적어도 일방에 배치된 사이드 에어백(3)과,
    상기 시트백의 측부 및 시트 쿠션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외면에 일부가 설치된 장력 부재(2)와,
    상기 장력 부재의 타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쿠션의 내부 또는 하측에 수납되어 상기 장력 부재를 인입 가능한 견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부에 의해 상기 시트백의 측부에 배치된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차량용 좌석의 중앙을 향하여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회전체(91)를 가지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차량용 좌석의 중앙을 향하여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리트랙터(94)를 가지고,
    상기 리트랙터의 권취에 의해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차량용 좌석의 중앙을 향하여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팽창 전개 가능한 시트 내 에어백(82)을 가지고,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의해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차량용 좌석의 중앙을 향하여 당겨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상면부를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은 상기 시트 쿠션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장력 부재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장력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83)가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이 팽창 전개한 경우,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전부를 지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은 상하로 중첩하도록 접히고,
    상기 장력 부재가 상기 시트 내 에어백 상에 배치되는 부분은 상기 시트 내 에어백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끼워지고, 상면에서 보아 전후 방향에서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전후 방향의 길이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은,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전후 방향으로 권취된 권취 부재(84)를 더 가지고, 상기 시트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상기 권취 부재의 권취 원주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권취 부재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후방 부분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밸로스 형상으로 접힌 접음부를 가지고,
    상기 장력 부재는 상기 접음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팽창 전개 시에 상기 장력 부재의 상기 접음부와의 연결 부분이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전단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권취 부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는 적어도 1회 되접혀 있고,
    상기 권취 부재의 되접힌 부분의 최상부에 상기 장력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은 상기 차량용 좌석의 테두리체(8)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권취 부재의 전후 양단부는 상기 시트 내 에어백의 전후 양단부에서 상기 시트 내 에어백 또는 상기 테두리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KR1020227022667A 2019-12-06 2020-10-20 승차인 구속 장치 KR20220107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21471 2019-12-06
JPJP-P-2019-221471 2019-12-06
PCT/JP2020/039402 WO2021111748A1 (ja) 2019-12-06 2020-10-20 乗員拘束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282A true KR20220107282A (ko) 2022-08-02

Family

ID=7622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667A KR20220107282A (ko) 2019-12-06 2020-10-20 승차인 구속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12314A1 (ko)
EP (1) EP4071003A4 (ko)
JP (1) JP7217366B2 (ko)
KR (1) KR20220107282A (ko)
CN (1) CN114650935B (ko)
WO (1) WO2021111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5276A1 (en) * 2016-11-01 2018-05-11 Schroth Safety Product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positioning occupant in a crash event
EP4035954A4 (en) * 2019-09-23 2023-11-01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US11865987B2 (en) * 2020-04-01 2024-01-09 Autoliv Development Ab Occupant protection device
EP4321393A1 (en) * 2021-04-09 2024-02-14 Autoliv Development AB Occupant restraint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for occupant restraint device
FR3126371B1 (fr) * 2021-08-26 2023-09-15 Renault Sas Siège de véhicule doté d’un système de sécurité embarqué
DE102022106752A1 (de) * 2022-03-23 2023-09-28 Audi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DE102022124259A1 (de) * 2022-09-21 2024-03-21 Audi Aktiengesellschaft Fangbandmechanismus für ein Airbagmodu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19A (ko) 2018-06-01 2019-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9993A (en) * 1997-10-06 2000-02-29 Inova Gmbh Technische Entwicklungen Side airbag device,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and vehicle seat therewith
JP2002145003A (ja) * 2000-11-15 2002-05-22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2211354A (ja) * 2001-01-18 2002-07-31 Takata Corp プリテンショナ装置
CN1955048A (zh) * 2005-10-25 2007-05-02 高田株式会社 乘员约束装置
JP2008201297A (ja) * 2007-02-21 2008-09-0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1240746A (ja) * 2010-05-14 2011-12-01 Denso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JP5793203B2 (ja) * 2012-01-17 2015-10-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5799841B2 (ja) * 2012-02-03 2015-10-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796552B2 (ja) * 2012-07-04 2015-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2014180966A (ja) * 2013-03-21 2014-09-29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GB2519449A (en) * 2014-12-04 2015-04-22 Daimler Ag Pre-tensioning device for a seat belt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WO2019107398A1 (ja) * 2017-11-30 2019-06-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JP6762328B2 (ja) * 2018-02-14 2020-09-3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JP6670510B2 (ja) * 2018-03-30 2020-03-25 株式会社Subaru 車両の乗員保護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19A (ko) 2018-06-01 2019-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1003A1 (en) 2022-10-12
EP4071003A4 (en) 2024-01-10
CN114650935A (zh) 2022-06-21
WO2021111748A1 (ja) 2021-06-10
JP7217366B2 (ja) 2023-02-02
US20230012314A1 (en) 2023-01-12
CN114650935B (zh) 2024-04-26
JPWO2021111748A1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7282A (ko) 승차인 구속 장치
JP6673392B2 (ja) 乗員保護装置
KR102004535B1 (ko) 승차인 보호 장치
JP538219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7896390B2 (en) Air belt system
JP455284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939276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11833990B2 (en)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US7878589B2 (en) Occupant restraint device
JP2014080169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JP2011025909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7177718A1 (zh) 车辆座椅
JP2011178188A (ja) エアバッグ装置
CN112339698A (zh) 安全气囊装置
JP7341321B2 (ja) 乗員保護装置
CN114450199B (zh) 安全气囊装置及车辆用座椅
JP2008296722A (ja) 乗員保護装置
KR20220131391A (ko)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JP714510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7125937A (ja) 車両用エアベルト装置
KR20070070296A (ko) 커버 일체형 에어백 쿠션을 갖는 차량 안전벨트용 에어벨트
JP745835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230415695A1 (en) Safety restraint system for lower extremities in automated driving
KR101697920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09166773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