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122A - 플랜지 베어링, 조립체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플랜지 베어링, 조립체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122A
KR20220099122A KR1020227021643A KR20227021643A KR20220099122A KR 20220099122 A KR20220099122 A KR 20220099122A KR 1020227021643 A KR1020227021643 A KR 1020227021643A KR 20227021643 A KR20227021643 A KR 20227021643A KR 20220099122 A KR20220099122 A KR 20220099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flange
conductive region
assembly
low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1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거거 리
카이보 수
한스-위르겐 얘거
얀 플뤼게
Original Assignee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9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1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parts of bearings; sleeves; valve sea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2Layer formed of wires, e.g.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ke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7/1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 F16C17/107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with at least one surface for radial load and at least one surface for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9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solids as lubricant, e.g. dry coatings, pow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Runnin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16C33/203Multilayer structures, e.g. sleeves comprising a plastic lining
    • F16C33/206Multilayer structures, e.g. sleeves comprising a plastic lining with three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8Brasses; Bushes; Linings with embedded reinforcements shaped as frames or mesh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3Met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6Slipping, anti-blocking, low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5/00Friction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2/00Solid materials defined by their properties
    • F16C2202/30Electric properties; Magnetic properties
    • F16C2202/32Conducti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2/00Solid materials defined by their properties
    • F16C2202/50Lubricating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개방 금속 기판을 포함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베어링으로서, 측벽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본체를 더 포함하고; 및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본체의 축방향 단부와 인접하여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여기서 1) 플랜지는 플랜지의 반경 방향 길이의 적어도 25%를 따라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플랜지 측벽을 포함하는 다중 벽 구조를 포함한다. 또는 2) 측벽 또는 플랜지는 외부 전도성 영역 및 내부 전도성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랜지 베어링, 조립체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베어링, 특히 플랜지 또는 다층 베어링 측벽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플레인 베어링, 및 그 제조 및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결합된 구성요소 사이에 슬립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베어링은 조립체에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 사이를 연결하는 저마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베어링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플랜지로 구성된 플랜지 베어링이 포함된다. 베어링은 예를 들어 도어, 후드, 엔진 컴파트먼트 힌지, 시트, 스티어링 칼럼, 플라이휠, 밸런서 샤프트 베어링 등과 같은 자동차 산업의 응용 분야가 있는 조립체에 사용되거나 자동차 이외의 응용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힌지 조립체는 전자 페인팅 또는 기타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페인트 코팅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영역에서 힌지 조립체의 베어링 및 기타 구성 요소에는 과도하게 코팅되어 힌지 조립체에 부식 및 파편/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틈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술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더 긴 수명, 개선된 효율성, 개선된 부식 보호, 및 조립체 내에서 전반적으로 개선된 성능을 갖는 개선된 베어링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당업자에게 더 잘 이해될 수 있고, 그 수많은 특징 및 이점이 명백해질 수 있다.
도 1은 단계적 제조 공정의 예시;
도 2A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층 구조의 예시;
도 2B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층 구조의 예시;
도 3A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상면 투시도의 예시;
도 3B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반경방향 단면도의 예시;
도 3C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반경방향 단면도의 예시;
도 4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 내의 베어링의 예시;
도 5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 내의 베어링의 예시;
도 6은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 내의 베어링의 예시;
도 7은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 내의 베어링의 예시; 및
도 8은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 내의 베어링의 예시.
숙련된 기술자는 도면의 요소가 단순성과 명료성을 위해 예시되었으며 반드시 축척에 맞게 그려진 것은 아님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도면의 일부 요소의 치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다른 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기호를 사용하는 것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항목을 나타낸다.
도면과 함께 다음 설명은 여기에 개시된 발명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공된다. 다음 논의는 발명의 특정 구현 및 실시예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 초점은 발명을 설명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공되며 발명의 범위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발명에 기초하여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구성하다", "구성하는", "포함하다", "포함하는", "갖는", "가지는" 또는 이들의 다른 변형이라는 용어는 비 배타적인 구성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예를 들어, 특징의 목록을 포함하는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그러한 특징에만 제한되지 않고,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거나 그러한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하지 않은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은 포함을 나타내며 배타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조건 A 또는 B는 다음 중 하나에 의해 충족된다. A는 참(또는 존재)이고 B는 거짓(또는 존재하지 않음), A는 거짓(또는 존재하지 않음), B는 참(또는 존재), 그리고 A와 B는 모두 참(또는 존재)이다.
또한, "a" 또는 "an"의 사용은 여기에 설명된 요소 및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은 단지 편의를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 설명은 달리 의미하는 것이 분명하지 않는 한, 하나, 적어도 하나, 또는 단수를 복수도 포함하는 것으로 읽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단일 실시예가 여기에서 설명될 때,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단일 실시예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경우, 단일 실시예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대신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재료, 방법 및 예는 예시일 뿐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여기에 설명되지 않은 범위까지, 특정 재료 및 처리 작업에 관한 많은 세부사항은 통상적이며 베어링 및 베어링 조립 기술 내의 교과서 및 기타 출처에서 찾을 수 있다.
예시를 위해, 도 1은 베어링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 공정(10)을 도시하는 도면을 포함한다. 제조 공정(10)은 베이스 재료를 제공하는 제 1 단계(12),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재료를 저마찰 코팅으로 코팅하는 제 2 단계(14) 및 복합 재료를 베어링으로 형성하는 제 3 단계(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계(12)를 참조하면, 베이스는 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은 금속 지지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지지체는 철, 구리, 티타늄, 청동, 주석, 니켈, 알루미늄,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거나, 다른 유형의 금속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판은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또는 스프링강과 같은 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은 301 스테인리스 스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301 스테인리스 스틸은 어닐링, 1/4경질, 1/2 경질, 3/4 경질 또는 완전 경질일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베이스 재료는 다른 금속으로 코팅된 금속 지지체일 수 있으며, 이는 내식성 또는 마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판은 개방 금속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금속 기판은 기판의 방사상 표면에 복수의 구멍을 갖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의 반경방향 표면은 반경방향 표면적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구멍은 기판의 반경방향 표면적에서 복수의 구멍이 차지하는 표면적으로서 정의되는 보이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개방 금속 기판은 예를들어 개방 금속 표면의 방사상 표면의 표면적의 적어도 30%, 40%, 50%, 60%, 70%, 80% 또는 90%의 보이드 영역을 갖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이드 영역은 개방 금속 기판의 반경방향 표면적의 99%, 95%, 90%, 80%, 70%, 60%, 50%, 40%, 30% 이하를 덮을 수 있다.
개방 금속 기판은 직조 또는 부직 금속, 확장된 금속 그리드, 또는 천공된 금속 시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방사형 표면에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금속 기판은 직조된 금속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직조된 금속 메쉬는 구멍 또는 공극을 생성하기 위해 짜여진 제 1 필라멘트 및 제 2 필라멘트와 같은 필라멘트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필라멘트 및 제 2 필라멘트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직조된 금속 메쉬는 직조된 네트, 인터-크림프, 로크 크림프, 평직, 플랫 탑 직조, 플랫 스탬핑 또는 용접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직조 유형을 가질 수 있다. 직조된 금속 메쉬는 정사각형 직조, 더치 직조, 능직 더치 직조, 역 더치 직조 또는 다른 방식으로 직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금속 기판은 부직포 금속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 금속 메쉬는 화학적, 기계적, 열 또는 용매 처리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구멍 또는 공극을 생성하는 제 1 필라멘트 및 제 2 필라멘트와 같은 필라멘트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필라멘트 및 제 2 필라멘트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들은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금속 기판은 확장된 금속 그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된 금속 그리드는 여러 다른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시트에 다수의 필라멘트 및 공극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구멍이 금속 시트에 스탬핑될 수 있다. 스탬핑은 재료 제거 또는 상당한 재료 제거 없이 시트 내의 구멍 생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확장된 금속 그리드는 직조되지 않을 수 있지만 평면 주 표면을 갖는 시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팽창된 시트는 금속을 스트레칭하고 금속 격자를 생성한 후에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 표면의 평면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들은 서로 균등하게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멍은 상이한 공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시트는 스탬핑 동안 팽창되거나 신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톱니 모양의 프레스는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왕복하여 구멍을 형성하고 동시에 시트의 기복이 있는 표면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시트는 제 1 단계에서 구멍을 형성하도록 스탬핑되고 제 2 단계에서 확장될 수 있다. 시트의 팽창은 단일 방향 또는 양방향 또는 기타 다방향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시트는 반대 방향, 예를 들어,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으로부터 180°오프셋된 제 2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트는 양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제 1 및 제 3 방향은 서로 반대이고, 제 2 및 제 4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3 방향 각각은 제 2 및 제 4 방향 각각으로부터 90°오프셋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금속 기판은 천공된 금속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천공된 금속 시트는 여러 다른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시트에 다수의 필라멘트 및 공극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구멍이 금속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구멍은 절단, 드릴링, 스탬핑, 톱질, 전단, 터닝, 밀링, 그라인딩, 연소, 하이드로포밍, 연마 흐름 기계가공, 광화학 기계가공, 방전, 파일링을 통해 형성될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형성 공정(10)의 제 1 단계(12) 및 제 2 단계(14)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복합 재료(1000)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는 제 2 단계(14) 이후의 복합 재료(1000)의 층별 구성을 도시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복합 재료(1000)는 기판(1119)(즉, 위에서 언급되고 제 1 단계(12)에서 제공되는 베이스 재료) 및 저마찰층(1104)(즉, 제 2 단계(14)에서 적용된 저마찰 코팅)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기판(1119)은 복합 재료(1000)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마찰층(1104)은 기판(1119)의 적어도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저마찰층(1104)은 기판(1119)의 표면에 결합되어 다른 구성 요소의 다른 표면과 저마찰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저마찰층(1104)은 결합, 적층 또는 기판(1119)이 기판(1119) 내에 매립되도록 하여 저마찰층이 기판(1119)의 반경방향 내부 표면 상에 존재하거나 그 위에 놓일 수 있어 다른 구성 요소의 다른 표면과 저마찰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저마찰층(1104)은 결합되거나, 적층되거나, 기판(1119)이 그 내부에 기판(1119)이 매립되도록 하여 저마찰층이 기판(1119)의 반경방향 외부 표면 상에 존재하거나 그 위에 놓일 수 있어 다른 구성 요소의 다른 표면과 저마찰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저마찰층(1104)은 다른 구성 요소의 다른 표면과 저마찰 계면을 형성하기 위해 저마찰층이 기판(1119)의 반경방향 내부 표면과 반경방향 외부 표면 모두에 존재하거나 그 위에 놓일 수 있도록 기판(1119)이 그 내부에 매립되거나 결합되거나 적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금속 기판인 기판(1119)은 저마찰층(1104) 내에 부분적으로 내장될 수 있다. 저마찰 재료는 기판(1119)의 반경방향 외부 표면 및 반경방향 내부 표면을 따라 기판(1119)의 적어도 일부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금속 기판인 기판(1119)은 제 1 저마찰층(1104) 및 제 2 저마찰층(1104')을 형성하기 위해 저마찰층(110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합 재료(1000)는 선택적으로 제 2 기판(1119')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기판(1119')은 강철 기판과 같은 금속 함유 기판일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 금속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19)은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2000 마이크론, 예컨대 약 50 마이크론 내지 약 1500 마이크론, 예컨대 약 100 마이크론 내지 약 1000 마이크론, 예컨대 약 150 마이크론 내지 약 500 마이크론의 두께(Ts)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기판(1119)은 약 200 내지 600 마이크론의 두께(Ts)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기판(1119)은 약 250 내지 450 마이크론의 두께(Ts)를 가질 수 있다. 기판(1119)의 두께(Ts)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기판(1119)의 두께는 균일할 수 있으며, 즉, 기판(1119)의 제 1 위치에서의 두께는 이를 따르는 제 2 위치에서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기판(1119)의 두께는 불균일할 수 있다. 즉, 기판(1119)의 제 1 위치에서의 두께는 이를 따른 제 2 위치에서의 두께와 상이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저마찰층(1104)은 저마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저마찰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케톤, 폴리아라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 설폰, 폴리아미드이미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플루오로폴리머,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세탈,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틸렌(PE), 폴리술폰, 폴리아미드(PA),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액정 폴리머(LCP),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에서, 저마찰층(1104)은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 케톤 케톤, 폴리에테르 케톤 에테르 케톤,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폴리케톤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저마찰층(1104)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저마찰층(1104)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퍼플루오로알콕시(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삼원공중합체(THV),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또는 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를 포함하는 플루오르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저마찰층(1104)은 리튬 비누, 흑연, 질화붕소, 이황화 몰리브덴, 이황화 텅스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질화탄소, 탄화텅스텐, 또는 다이아몬드 유사 탄소, 금속(예: 알루미늄, 아연, 구리, 마그네슘, 주석, 백금, 티타늄, 텅스텐, 철, 청동, 강철, 스프링강, 스테인리스강), 금속 합금(목록에 나열된 금속 포함), 양극 산화 금속(목록에 나열된 금속 포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플루오로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저마찰층(1104)은 유리, 탄소, 실리콘, PEEK,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청동, 플루오로중합체, 열가소성 충전제, 산화알루미늄, 폴리아미드이미드(PAI), PPS, 폴리페닐렌 설폰(PPSO 2), LCP,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이황화몰리브덴, 이황화텅스텐, 흑연, 그래핀, 팽창 흑연, 활석, 불화칼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충전제는 알루미나, 실리카, 이산화티타늄, 불화칼슘, 질화붕소, 운모, 규회석, 탄화규소, 질화규소, 지르코니아, 카본 블랙, 안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제는 비드, 섬유, 분말, 메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충전제는 저마찰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 이상, 예를 들어 15중량%, 20중량%, 25중량% 또는 심지어 30중량%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저마찰층(1104)은 기판(1119)의 전기 전도도보다 낮은 전기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저마찰 층(1104)(또는 제 2 저마찰 층(1104'))은 약 1 마이크론 내지 약 500 마이크론, 예컨대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400 마이크론, 예컨대 약 30 마이크론 내지 약 300 마이크론, 예컨대 약 50 마이크론 내지 약 250 마이크론 사이의 TFL(TFL')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저마찰층(1104)(또는 제2 저마찰층(1104'))은 약 100 내지 350 미크론의 두께 TFL(TFL')을 가질 수 있다. 저마찰층(1104)(또는 제2 저마찰층(1104'))의 두께 TFL(TFL')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저마찰층(1104)(또는 제 2 저마찰층(1104'))의 두께는 균일할 수 있으며, 즉 저마찰층(1104)의 제 1 위치에서의 두께는 이를 따르는 제 2 위치에서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저마찰층(1104)(또는 제 2 저마찰층(1104'))의 두께는 불균일할 수 있으며, 즉 저마찰층(1104)의 제 1 위치에서의 두께는 그에 따른 제 2 위치에서의 두께와 상이할 수 있다. 저마찰층(1104)(또는 제 2 저마찰층(110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19)의 하나의 주요 표면 위에 놓이거나 두 주요 표면 위에 놓일 수 있다. 기판(1119)은 저마찰층(1104) 및 제 2 저마찰층(110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 즉, 저마찰층(1104)은 적어도 기판(1119)의 영역을 덮을 수 있다. 기판(1119)의 축방향 표면은 저마찰층(1104)으로부터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마찰층(1104)의 두께는 기판(1119)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제 2 저마찰층(1104')의 두께. 마찰층(1104)의 두께는 제 2 저마찰층(1104')의 두께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합 재료(1000)는 0.2mm 및 3mm 범위와 같은 0.1mm 및 5mm 범위, 또는 심지어 0.3mm 및 2mm 범위의 두께(TSW)를 가질 수 있다. 복합 재료(1000)의 두께(TSW)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복합 재료(1000)의 두께(TSW)는 균일할 수 있고, 즉 복합 재료(1000)의 제 1 위치에서의 두께는 이를 따르는 제 2 위치에서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복합 재료(1000)의 두께(TSW)는 불균일할 수 있다. 즉, 복합 재료(1000)의 제 1 위치에서의 두께는 그에 따른 제 2 위치에서의 두께와 상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도 1의 단계 14에서, 기판 재료는 저마찰 재료 층 또는 저마찰 층(1104)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매립될 수 있다.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능한 공정은 밀링, 프레싱, 압출, 몰딩, 소결 또는 다른 매립 방법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복합 재료(1000)의 층들 중 임의의 층은 함께 적층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술된 바와 같이 이들이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저마찰 층(들)(1104, 1104')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1119) 또는 다른 개재 층의 표면 상에 적층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위에 놓일 수 있다. 시트는 방사상 내부 및 외부 표면을 갖는 기판(1119)로 형성될 수 있다. 저마찰층(들)(1104, 1104')은 기판(1119)의 반경방향 내부 및 외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가 저마찰층(들)(1104, 1104')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기판(1119)을 캡슐화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저마찰층(들)(1104, 1104')의 충전제에 따라 복합 재료(1000)는 복합 재료(1000)의 적어도 일면을 향한 비전도성 표면까지 낮은 표면 관련 전기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1에 도시된 제조 공정(10)의 제 3 단계(16)를 참조하면,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재료(1000)를 베어링으로 형성하는 것은 저마찰 층(들)(1104, 1104') 또는 임의의 개재 층 캔을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여 기판(1119)에 접착하여 예비성형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폼은 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블랭크로 절단될 수 있다. 프리폼을 블랭크로 절단 하는 것은 스탬프, 프레스, 펀치, 톱, 딥 드로잉 사용을 포함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프리폼을 블랭크로 절단하는 것은 기판(1119)의 노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절단 에지를 생성할 수 있다. 블랭크는 예를 들어 원하는 형상의 반제품 베어링을 형성하기 위해 프리폼을 롤링 및 플랜지화함으로써 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랭크로부터 베어링을 형성하는 것은 스탬프, 프레스, 펀치, 톱, 딥 드로잉의 사용을 포함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기계가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블랭크의 모서리는 2차 작업에서 플랜지로 구부러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어링은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일 작업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은 단일 유닛 또는 단일 재료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도 3A 내지 도 3C는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베어링(일반적으로 300으로 지정됨)을 도시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베어링(300)은 초기에 블랭크로서 존재할 수 있는 적절한 치수의 복합 재료(1000) 조각의 압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3A는 상기 형성 공정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베어링(30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상기 형성 공정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베어링(300)의 반경방향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3C는 상기 형성 공정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베어링(300)의 근접 방사상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다수의 특정 실시예에서, 베어링은 플레인 베어링(300)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베어링(300)은 슬라이딩 베어링일 수 있다. 베어링 (300)은 중심축(3000)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심축(3000)은 베어링(100)의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베어링(300)은 베어링 측벽(308)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08)은 기판(1119) 및 도 2A-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합 재료(1000)의 적어도 하나의 저마찰 층(1104)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측벽(308)은 외측 면(312) 및 내측 면(314)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08)은 종단면에서 볼 때 제 1 축방향 단부(303) 및 제 2 축방향 단부(305)를 갖는 환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본체를 갖는 최적의 실린더에 위치할 때 최적의 실린더로부터 임의의 위치에서 15% 이하, 10%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2% 이하 또는 1% 이하 만큼 벗어나는 형상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서, "대체로 원통형"은 내부 구성요소와 외부 구성요소 사이에 조립된, 즉 설치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본체(310)를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체로 원통형"은 내부 구성요소와 외부 구성요소 사이의 조립 전, 즉,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본체(310)를 지칭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체로 원통형인 측벽은 2개의 종방향 평면 단부 섹션을 갖는 축에 대한 회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원통형 측벽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원통형 측벽은 예를 들어 전형적인 기계가공 및 제조 공정 동안 야기되는 공칭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베어링(300)은 외측 반경방향 단부(307) 및 내측 반경방향 단부(306)를 가질 수 있다. 베어링(300)은 실질적으로 L 형상인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베어링(300)은 도 3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L 베어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환형의 베어링도 가능하다. 베어링(300)을 형성하는 복합 재료(1000)의 압연 조각의 대향 단부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본체(310)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방향 갭(330)에서 바인딩될 수 있다. 도 3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300)의 중심축(3000)에 대한 회전도 가능하다. 다수의 특정 실시예에서, 축방향 갭(330)은 폐쇄된 베어링(300)을 형성하기 위해 용접되거나 다른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축방향 갭(330)은 결합되지 않은 채로 남을 수 있다. 베어링(300)은 베어링(300)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조립체의 내부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어(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어(350)는 중심축(3000)에 평행하거나 비평행일 수 있다. 보어(350)는 평면 복합 재료(1000)를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 및 측벽(308)을 형성하는 대체로 원통형인 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300) 측벽(308)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322)는 일반적으로 중심축(3000)에 대해 환형일 수 있다. 플랜지(322)는 제 1 축방향 단부(303) 또는 제 2 축방향 단부(30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플랜지(322)는 내부 반경방향 단부(306)로부터 외부 반경방향 단부(307)까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플랜지(322)는 외측 반경방향 단부(307)로부터 반경방향 내측 단부(307)(미도시)까지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플랜지(322)는 베어링(300)의 외측 반경방향 단부(307)에서 대체로 평면인 최외측 축방향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플랜지(322)는 저마찰층(1104) 또는 저마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322)는 베어링(300)의 제 2 축방향 단부(305)에 위치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외측 반경방향 단부(307)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내부 반경방향 단부(306)는 중심축(300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측정될 때 베어링(300)의 내부 반경(IR)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플랜지(322W RF)의 반경 방향 폭은 외부 반경(OR)과 내부 반경(IR)의 거리 차이로부터의 거리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플랜지(322)는 축방향 스플릿(327)을 포함할 수 있다. 축방향 스플릿(327)은 플랜지(322)에 갭을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플랜지(322)는 세그먼트화된 플랜지를 제공하는 복수의 축방향 스플릿(327)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되지 않음). 특정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스플릿(327)은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에서 축방향 갭(330)과 인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축방향 스플릿(327)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본체(310)에서 축방향 갭(330)과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300)은 중심축(3000)으로부터 내부 반경방향 단부(306)까지의 전체 내부 반경(IR)을 가질 수 있고, IR은 ≥ 1 mm, ≥ 5 mm, ≥ 10 mm, ≥ 15 mm, ≥ 20 mm, 또는 ≥ 50 mm일 수 있다. 내부 반경(IR)은 ≤ 100 mm, 예를 들어 ≤ 50 mm, ≤ 25 mm, ≤ 10 mm, ≤ 5 mm, 또는 ≤ 1 mm일 수 있다. 내부 반경(IR)은 베어링(300)의 둘레를 따라 변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베어링(300)은 약 2 내지 50mm의 전체 내부 반경(IR)을 가질 수 있다. 베어링(300)은 전체 내부 반경(IR)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베어링(300)은 전체 내부 반경(IR)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300)은 중심축(3000)으로부터 외부 반경방향 단부(307)까지의 전체 외부 반경(OR)을 가질 수 있고, OR은 ≥ 1.5 mm, ≥ 5 mm, ≥ 10 mm, ≥ 20 mm, ≥ 40 mm, 또는 ≥ 70 mm일 수 있다. 외부 반경(OR)은 ≤ 125 mm, 예를 들어 ≤ 100 mm, ≤ 75 mm, ≤ 50 mm, ≤ 25 mm, 또는 ≤ 10 mm일 수 있다. 전체 외부 반경(OR)은 베어링(300)의 원주를 따라 변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베어링(300)은 약 3 내지 60mm의 전체 외부 반경(OR)을 가질 수 있다. 베어링(300)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는 전체 외부 반경(OR)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베어링(300)은 전체 외부 반경(OR)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322)의 반경 방향 폭(W RF)은 외부 반경(OR)과 내부 반경(IR)의 거리의 차이로부터의 거리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300)은 제 1 축방향 단부(303)로부터 제 2 축방향 단부(305)까지 전체 높이 H를 가질 수 있고, H는 ≥ 0.5 mm, ≥ 1 mm, ≥ 2 mm, ≥ 5 mm, ≥ 10 mm 또는 ≥ 50 mm일 수 있다. 높이 H는 500mm 이하, 예를 들어 250mm 이하, 150mm 이하, 100mm 이하, 또는 50mm 이하일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베어링(300)은 약 5 내지 50mm의 전체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베어링(300)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는 전체 높이(H)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베어링(300)은 전체 높이(H)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322)는 베어링(300)의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의 축방향 단부(303, 305)와 인접하여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322)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에 직교하지 않게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322)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및 중심 축선(3000))와 각도 α를 형성할 수 있다. 각도(α)는 적어도 0˚ 내지 18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각도(α)는 45˚ 이상, 55˚ 이상, 또는 85˚ 이상과 같이 30˚ 이상일 수 있다. 각도(α)는 135˚ 이하, 120˚ 이하, 90˚ 이하, 60˚ 이하와 같이 150˚ 이하일 수 있다. 다수의 특정 실시예에서, 각도(α)는 60˚ 내지 12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베어링(300)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플랜지 측벽 (342, 344)을 정의하는 다중 벽 구성을 가질 수 있는 플랜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베어링(300)의 제 1 축방향 단부(303)는 플랜지 측벽(342, 344)을 갖는 플랜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어링의 제 2 축방향 단부(305)는 플랜지 측벽(342, 344)을 갖는 플랜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베어링의 양 축방향 단부(303, 305)는 플랜지 측벽(342, 344)을 갖는 플랜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다중 벽 구조"는 서로 위에 놓인 다중 플랜지 측벽을 포함하는 측벽을 말한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측벽들은 서로 접촉한다. 다중 벽 구조는 베어링(300)의 중심 축(3000)에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선이 중심 축(300)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위치를 따라 2개 이상의 개별 플랜지 측벽 (342, 344)과 교차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플랜지(322)는 자체적으로 접혀서 다수의 플랜지 측벽 (342, 344)을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 측벽(342, 344)은 측벽(308)의 일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랜지 측벽 (342, 344)은 측벽(308)의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를 향해 측벽(308)의 축방향 단부를 접음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측벽(342, 344)은 제 1 축방향 단부(303) 또는 제 2 축방향 단부(305)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접힐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플랜지 측벽(342, 344)은 베어링(300)의 중심 센터(346)를 향하여 접힐 수 있다.
플랜지 측벽 (342, 344)이 예를 들어 기판(1119) 및 저마찰층(1104)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1000)로 형성될 수 있는 실시예에서, 프리폼은 하나의 개별 플랜지 측벽 (342, 344)으로 간주된다. 다중 벽 구조는 3개의 축방향으로 인접한 플랜지 측벽, 4개의 축방향으로 인접한 플랜지 측벽, 5개의 축방향으로 인접한 플랜지 측벽, 또는 심지어 6개의 축방향으로 인접한 플랜지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벽 구조는 5개 이하의 축방향으로 인접한 플랜지 측벽, 또는 3개 이하의 축방향으로 인접한 플랜지 측벽과 같은 10개 이하의 축방향으로 인접한 플랜지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어링(300)은 예를 들어,플랜지 측벽(342, 344)이 플랜지(322)의 반경방향 길이의 적어도 25%, 50%, 60%, 75%, 80%, 85%를 따라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다중 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어링(300)은 플랜지 측벽(342, 344)이 플랜지(322)의 반경방향 길이의 100%, 99%, 98%, 97%, 96%, 95%, 90% 미만을 따라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다중 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플랜지(322)는 플랜지 측벽(342, 344)이 베어링(300)의 둘레의 적어도 210˚, 베어링(300)의 둘레의 240˚, 베어링(300)의 둘레의 270˚, 베어링(300)의 둘레의 300˚, 또는 베어링(300)의 둘레의 360˚와 같이 베어링(300)의 둘레의 적어도 180˚ 주위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다중 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랜지(322)의 플랜지 측벽(342, 344)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특징부를 정의할 수 있다, 즉, 플랜지 측벽(342, 344)은 내부 및 외부 구성요소 사이, 예를 들어 샤프트와 보어 사이의 허용오차 또는 오정렬의 흡수를 허용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22)는 약 0.2 mm 내지 약 10 mm, 예컨대 약 0.75 mm 내지 약 8 mm, 예컨대 약 1 mm 내지 약 5 mm, 예컨대 약 1.5 mm 내지 약 4 mm사이의 두께(TRF)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플랜지(322)는 약 0.7 내지 5mm의 두께(TRF)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322)는 두께(TRF)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플랜지(322)는 두께(TRF)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수 있다. 플랜지(322)의 두께(TRF)는 베어링(300)의 둘레 주위에서 변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는 반경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코이닝 영역(366)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코이닝 영역(366)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본체(310) 또는 플랜지(322)에 더 많은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코이닝 영역(366)은 쉬운 조립을 위한 인입 지지대 및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강성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본체(310) 또는 플랜지(322)를 포함한다. 코이닝 영역(366)은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복, 함몰, 홈, 골, 고원, 램프, 돌출 또는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이닝 영역(366)은 원형, 다각형, 타원형, 또는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코이닝 영역(366)은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코이닝 영역(366)은 제 1 축방향 단부(303)와 제 2 축방향 단부(305) 사이의 축방향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코이닝 영역(366)은 제 1 축방향 단부(303) 또는 제 2 축방향 단부(305)에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코이닝 영역(366)은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의 원주를 따라 임의의 곳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이닝 영역(366)은 반경 방향으로 변형된 형상일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본체(3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300)의 중심 축(3000)에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코이닝 영역(366)은 중심축(3000)에 평행한 라인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 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이닝 영역(366)은 높이(HCR)를 가질 수 있다. 높이(HCR)는 HCR ≥ 0.3 H, 예를 들어 ≥ 0.25 H, ≥ 0.20 H, ≥ 0.15 H, ≥ 0.10 H, 또는 ≥ 0.05 H가 되도록 베어링(300)의 높이(H)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높이(HCR)는 ≤ 0.5 H, 예컨대 ≤ 0.45 H, ≤ 0.40 H, ≤ 0.35 H, ≤ 0.30 H, ≤ 0.25 H, ≤ 0.20 H, ≤ 0.15 H, ≤ 0.10 H, 또는 ≤ 0.0 일 수 있다. 코이닝 영역(366)의 높이(HCR)는 중심축(3000)을 중심으로 베어링(300)의 원주를 따라 변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베어링(300)의 측벽(308) 또는 베어링 자체는 저마찰층(1104) 또는 저마찰 재료가 반경방향 내부 표면(314) 및 반경방향 외부 표면(314) 중 적어도 하나 상의 금속층 위에 놓일 수 있도록 코팅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베어링(300)의 측벽(308)은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영역(38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영역(380)은 저마찰층(1104) 또는 저마찰 재료가 없을 수 있다. 전도성 영역(380)은 베어링(300)과 조립체의 다른 구성요소 중 하나 사이의 전도성을 허용할 수 있다. 도전 영역(380)은 복수의 도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도성 영역(380)은 측벽(308) 상의 외측 전도성 영역(38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도성 영역(380)은 측벽(308) 상의 내측 전도성 영역(38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도성 영역(380)은 내향 전도성 영역(384) 및 외향 전도성 영역(382)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영역(380), 내향 전도성 영역(384), 또는 외향성 전도성 영역(382)은 저마찰 재료/층(1104)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고 반경방향 내부 또는 반경방향 외부로 후퇴하는 변형된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전도성 영역(380), 내측 전도성 영역(384), 또는 외측 전도성 영역(382)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1119)을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내부로"는 외측 반경방향 단부(307)(예를 들어, 측벽(308)의 반경방향 내부 표면(314))에서 제 1 축방향 단부(303)로부터 제 2 축방향 단부(308)까지 보어(350)를 향하는 베어링(300)의 내부 측면 상의 측벽(308)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외부로"는 외측 반경방향 단부(307)(예를 들어, 측벽(308)의 반경방향 외부 표면(312))에서 제 1 축방향 단부(303)로부터 제 2 축방향 단부(308)까지 보어(350)와 대면하지 않는 베어링(300)의 외부 측 상의 측벽(308)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전도성 영역(380), 내측 전도성 영역(384), 또는 외측 전도성 영역(382) 중 적어도 하나는 저마찰층(1104) 또는 저마찰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고 반경방향 내부 또는 반경방향 외부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전도성 영역(380), 내측 전도성 영역(384), 또는 외측 전도성 영역(382) 중 적어도 하나는 저마찰층(1104) 또는 저마찰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고 반경방향으로 내부 또는 후퇴하는 변형된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도성 영역(380), 내부 전도성 영역(384), 또는 외부 전도성 영역(382) 중 적어도 하나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전도성 영역(380), 내측 전도성 영역(384), 또는 외측 전도성 영역(382)은 절단, 스카이빙, 스탬핑, 프레싱, 펀칭, 소잉, 딥 드로잉, 에징, 밀링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도성 영역(380), 내측 전도성 영역(384), 또는 외측 전도성 영역(382)은 단일 공정 또는 다중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본체(310)를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소성 변형시키고 전도성 영역(380)을 생성하기 위해 기판(1119)을 노출시키는 저마찰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펀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영역(380), 내부 전도성 영역(384), 또는 외부 전도성 영역(382)은 ≥ 0.1 mm2, 예컨대 ≥ 0.5 mm2, ≥1 mm2, ≥5 mm2, ≥25 mm2, 또는 ≥50 mm2인 베어링 측벽(308)의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전도성 영역(380), 내측 전도성 영역(384), 또는 외측 전도성 영역(382)은 베어링 측벽(308)의 표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도성 영역(380), 내측 전도성 영역(384), 또는 외측 전도성 영역(382)은 베어링 측벽(308)의 표면적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어링(300)은 조립체(2000)에 포함될 수 있다. 조립체(2000)는 샤프트(28)와 같은 내부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체(2000)는 다음과 같은 외부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체(2000)는 내부 구성요소와 외부 구성요소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베어링(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베어링(300)은 베어링이 내부 구성요소 또는 샤프트(28)를 둘러싸도록 내부 구성요소(28)와 외부 구성요소(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300)은 기판(1119) 및 낮은 마찰을 갖는 측벽(308)을 가질 수 있다. 측벽(308)은 측벽(308)의 반경 방향 내부 표면(314) 및 반경 방향 외부 표면(312)을 따라 연장되는 재료(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308)은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 및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몸체(303, 305)와 인접하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322)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322)는 플랜지(322)의 반경 방향 길이의 적어도 25%를 따라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플랜지 측벽(342, 344)을 포함하는 다중 벽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및/또는 측벽(308)은 외측 전도성 영역(382) 및 내측 전도성 영역(38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자동차 도어 힌지, 후드 힌지, 엔진 컴파트먼트 힌지 등과 같은 예시적인 힌지(400) 형태의 조립체(2000)를 도시한다. 힌지(400)는 내부 구성요소(28)(예: 내부 힌지 영역(402)) 및 외부 힌지 영역(404)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영역(402 및 404)은 외부 구성요소(30)(예: 리벳(406 및 408)) 및 베어링(410 및 41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410, 412)은 이전에 설명되고 본 명세서에서 300으로 표시된 베어링일 수 있다. 도 5는 리벳(408) 및 베어링(412)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힌지(40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다른 예시적인 힌지(600) 형태의 조립체(2000)를 도시한다. 힌지(600)는 핀(606) 및 베어링(608)에 의해 결합된 제 1 힌지 영역(602) 및 제 2 힌지 영역(60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608)은 이전에 설명되고 라벨링된 베어링(300)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7은 베어링(704)을 포함하는 분해된 자동차 도어 힌지의 부품을 포함하는 다른 힌지 조립체(700)의 실시예의 형태인 조립체(2000)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프로파일 힌지의 예이다. 베어링(704)은 힌지 도어 부품(706)에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704)은 본 명세서에서 앞서 설명되고 300으로 표시된 베어링일 수 있다. 리벳(708)은 힌지 도어 부품(706)을 힌지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 부품(710)과 연결한다. 리벳(708)은 고정 나사(712)를 통해 힌지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 부품(710)으로 조이고 와셔(702)를 통해 힌지 도어 부품(706)으로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를 위한 예시적인 헤드셋 조립체(800) 형태의 조립체(2000)를 도시한다. 스티어링 튜브(802)는 헤드 튜브(804)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806, 808)은 정렬을 유지하고 스티어링 튜브(802)와 헤드 튜브(804)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스티어링 튜브(802)와 헤드 튜브(804) 사이에 배치 될 수 있다. 베어링(806) 및 808은 이전에 설명되고 여기에서 300으로 표시된 베어링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일(810, 812)은 먼지 및 기타 입자상 물질에 의한 베어링의 슬라이딩 표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그러한 조립체는 모두 예시적이며 잠재적인 다른 조립체에서 베어링(300)의 사용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베어링(300)은 파워트레인 조립체 애플리케이션(벨트 텐셔너와 같은) 또는 제한된 공간을 갖는 다른 조립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조립체(200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어링(300)은 적어도 0.05mm, 적어도 0.1mm, 적어도 0.5mm, 적어도 1mm와 같이 내부 부품 또는 외부 부품에 대해 축 방향으로 적어도 0.01mm, 적어도 2mm, 또는 심지어 적어도 5mm의 축방향 공차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축방향 공차 보상"은 베어링(300)의 플랜지(322)가 이웃하는 축방향 구성요소 사이의 크기의 축방향 조정에서 제공하는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베어링(300)을 형성하는 방법은 블랭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300)은 기판(1119) 및 기판(1119) 위에 놓이는 저마찰층(1104)을 포함하는 예비성형품을 포함하는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방법은 블랭크로부터 베어링(30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베어링은 측벽(308)을 갖고, 여기서 저마찰 재료(1104)는 측벽(308)의 반경방향 내부 표면(314) 및 반경방향 외부 표면(312)을 따라 연장되며, 측벽은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를 더 포함하고; 및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10)의 축방향 단부와 인접하여 연장되는 플랜지(322)를 포함하며, 여기서 1) 플랜지(322)는 플랜지의 반경 방향 길이의 적어도 25%를 따라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플랜지 측벽(342, 344)을 포함하는 다중 벽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2) 측벽(308)은 외부 전도성 영역(382) 및 내부 전도성 영역(384)을 포함한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조립체(2000)는 코팅 공정을 사용하여 코팅될 수 있다. 코팅 공정은 이-페인팅(e-painting) 공정과 같은 페인팅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공정은 조립체(20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베어링(300), 내부 구성요소(28), 외부 구성요소(30))의 외부 표면 상에 증착된 코팅(95)을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에서, 외측 전도성 영역 및 내측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는 베어링은 개별 구성요소 사이에 적절한 전도성을 제공함으로써 코팅이 조립체(2000)의 구성요소에 달라붙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벽 구조를 갖는 플랜지(322) 및/또는 외측 전도성 영역(382) 및 내측 전도성 영역(384)을 포함하는 측벽(308)을 갖는 베어링(300)은 카 도어(외부 구성요소(30))와 나머지 카 본체(내부 구성요소 28) 사이에 전도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힌지 및 기타 차량 구성요소용 조립체(1000)를 포함한다. 또한, 베어링(300) 또는 조립체(2000)의 사용은 차량 테일 게이트, 도어 프레임, 시트 조립체, 파워트레인 애플리케이션(벨트 텐셔너와 같은) 또는 다른 유형의 애플리케이션과 같은(이에 국한되지 않음) 여러 애플리케이션에서 증가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 에 따르면, 베어링의 플랜지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존 베어링과 비교하여 원하는 축방향 예압 및 개선된 축방향 허용오차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은 과도한 파편을 생성하지 않고 조립체의 효율적인 코팅/e-페인팅을 위해 조립체의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적절한 전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은 간단한 설치일 수 있고, 개조될 수 있고, 다양한 복잡성의 여러 가능한 조립체에 걸쳐 비용 효율적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설계는 소음, 거칠기, 비효율적인 페인트 설계 및 진동 특성을 크게 줄이는 동시에 향상된 토크 성능을 제공하여 수명을 늘리고 조립체, 베어링 및 기타 구성 요소의 효율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많은 상이한 양태 및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 및 실시예 중 일부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 숙련된 기술자는 이러한 양태 및 실시예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는 아래에 나열된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따를 수 있다.
실시예 1. 저마찰 재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개방 금속 기판을 포함하는 측벽으로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본체; 및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의 축방향 단부와 인접하여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여기서 1) 플랜지는 플랜지의 반경 방향 길이의 적어도 25%를 따라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플랜지 측벽을 포함하는 다중 벽 구조를 포함한다. 또는 2) 측벽 또는 플랜지는 외부 전도성 영역 및 내부 전도성 영역을 포함한다.
실시예 2. 내부 부품; 외부 구성 요소; 및 내측 구성요소와 외측 구성요소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저마찰 재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개방 금속 기판을 포함하는 측벽으로서,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본체; 및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의 축방향 단부와 인접하여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여기서 1) 플랜지는 플랜지의 반경 방향 길이의 적어도 25%를 따라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플랜지 측벽을 포함하는 다중 벽 구조를 포함한다. 또는 2) 측벽 또는 플랜지는 외부 전도성 영역 및 내부 전도성 영역을 포함한다.
저마찰 재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개방 금속 기판을 포함하는 블랭크를 제공하는 단계; 블랭크로부터 베어링을 형성하고, 측벽을 포함하는 베어링은: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 및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의 축방향 단부와 인접하여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여기서 1) 플랜지는 플랜지의 반경 방향 길이의 적어도 25%를 따라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플랜지 측벽을 포함하는 다중 벽 구조를 포함한다. 또는 2) 측벽 또는 플랜지는 외부 전도성 영역 및 내부 전도성 영역을 포함한다.
실시예 4. 선행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외측 전도성 영역 또는 내측 전도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저마찰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고 측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부 또는 반경방향 외부로 후퇴하는 변형된 노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5.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서, 외측 전도성 영역 또는 내측 전도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저마찰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고 측벽에서 반경방향 내부 또는 반경방향 외부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6.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저마찰 재료가 기판의 표면 위에 놓인다.
실시예 7. 실시예 6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저마찰 재료는 기판의 반경방향 외부 표면과 반경방향 내부 표면 모두 위에 놓인다.
실시예 8.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기재는 직조된 금속 메쉬 또는 확장된 금속을 포함한다.
실시예 9. 실시예 8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의 금속은 청동, 구리, 알루미늄, 메싱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예 10.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저마찰 재료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실시예 11.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외측 전도성 영역 또는 내측 전도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 상에 위치된다.
실시예 12.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외측 전도성 영역 또는 내측 전도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플랜지 상에 위치된다.
실시예 13.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외측 전도성 영역 또는 내측 전도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을 노출시킨다.
실시예 14.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는 베어링의 제 1 축방향 단부와 제 2 축방향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갭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플랜지가 스플릿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 벽 구성은 2개의 플랜지 측벽을 포함한다.
실시예 17. 실시예 16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 벽 구성은 적어도 4개의 플랜지 측벽, 또는 심지어 적어도 5개의 플랜지 측벽과 같은 적어도 3개의 플랜지 측벽을 포함한다.
실시예 18. 실시예 16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 벽 구조는 4개 이하의 플랜지 측벽, 또는 심지어 3개 이하의 플랜지 측벽과 같은 5개 이하의 플랜지 측벽을 포함한다.
실시예 19.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플랜지가 베어링 원주의 적어도 180˚ 주위에 다중 벽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20.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플랜지가 대체로 평면인 최외측 축방향 표면을 갖는다.
실시예 21.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플랜지는 최외측 축방향 표면을 향하는 저마찰 재료로 형성된다.
실시예 22. 선행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에 있어서, 저마찰 재료가 기판의 반경 방향 내측 표면 및 반경 방향 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기판이 저마찰 재료에 완전히 매립된다.
위에서 설명한 모든 기능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특정 기능의 영역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설명된 것 외에 하나 이상의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기능이 설명되는 순서는 반드시 기능이 설치된 순서가 아니다.
특정 특징은 명확성을 위해 별도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으며,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반대로, 간결함을 위해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하위 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점, 다른 장점 및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이점, 장점, 문제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이 발생하거나 발생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특징(들) 더 두드러진 것은 일부 또는 모든 청구항의 중요하거나, 요구되거나, 본질적인 특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의 명세서 및 예시는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사양 및 예시는 여기에 설명된 구조 또는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의 모든 요소 및 특징에 대한 철저하고 포괄적인 설명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되지 않았다. 별도의 실시예가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고, 역으로 간결함을 위해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하위 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범위에 명시된 값에 대한 참조에는 해당 범위 내의 모든 값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만 숙련된 기술자에게 많은 다른 실시예가 명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조적 대체, 논리적 대체 또는 임의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른 실시예가 사용 및 본 발명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멩세서는 제한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저마찰 재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개방 금속 기판을 포함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베어링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원통형 몸체; 및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의 축방향 단부와 인접하고 그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1) 플랜지는 플랜지의 반경 방향 길이의 적어도 25%를 따라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플랜지 측벽을 포함하는 다중 벽 구조를 포함하고, 또는
    2) 측벽 또는 플랜지는 외부 전도성 영역 및 내부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2. 내부 구성 요소; 외부 구성 요소; 및 내부 부품과 외부 부품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저마찰 재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개방 금속 기판을 포함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몸체; 및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의 축방향 단부와 인접하고 그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1) 플랜지는 플랜지의 반경 방향 길이의 적어도 25%를 따라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플랜지 측벽을 포함하는 다중 벽 구조를 포함하고, 또는
    2) 측벽 또는 플랜지는 외부 전도성 영역 및 내부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3. 저마찰 재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개방 금속 기판을 포함하는 블랭크를 제공하는 단계;
    측벽을 포함하는 베어링을 블랭크로부터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몸체; 및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의 축방향 단부와 인접하고 그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1) 플랜지는 플랜지의 반경 방향 길이의 적어도 25%를 따라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플랜지 측벽을 포함하는 다중 벽 구조를 포함하고, 또는
    2) 측벽 또는 플랜지는 외부 전도성 영역 및 내부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측 전도성 영역 또는 내측 전도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저마찰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고 측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부 또는 반경방향 외부로 후퇴하는 변형된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측 전도성 영역 또는 내측 전도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저마찰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고 측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부 또는 반경방향 외부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마찰 재료가 기판의 표면 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마찰 재료는 상기 기판의 반경방향 외부 표면 및 반경방향 내부 표면 모두 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는 직조된 금속 메쉬 또는 확장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마찰 재료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측 전도성 영역 또는 내측 전도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측 전도성 영역 또는 내측 전도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플랜지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측 전도성 영역 또는 내측 전도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랜지는 베어링 원주의 적어도 180˚ 주위에 다중 벽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랜지는 최외측 축방향 표면을 향하는 저마찰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1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마찰 재료가 상기 기판의 반경방향 내부 및 반경방향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기판이 상기 저마찰 재료에 완전히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방법.
KR1020227021643A 2019-12-06 2020-12-04 플랜지 베어링, 조립체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KR20220099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44732P 2019-12-06 2019-12-06
US62/944,732 2019-12-06
PCT/US2020/063246 WO2021113599A1 (en) 2019-12-06 2020-12-04 Flanged bearin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122A true KR20220099122A (ko) 2022-07-12

Family

ID=7621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1643A KR20220099122A (ko) 2019-12-06 2020-12-04 플랜지 베어링, 조립체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873861B2 (ko)
EP (1) EP4069987A4 (ko)
JP (1) JP2023504771A (ko)
KR (1) KR20220099122A (ko)
CN (1) CN114761695B (ko)
BR (1) BR112022010840A2 (ko)
CA (1) CA3162276A1 (ko)
MX (1) MX2022006863A (ko)
WO (1) WO2021113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122A (ko) 2019-12-06 2022-07-12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플랜지 베어링, 조립체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EP4363735A1 (en) 2021-07-02 2024-05-0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Flanged bearin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4407401A (zh) * 2022-03-07 2022-04-29 上海涟屹轴承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旋转驱动装置用翻边轴承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431A (en) * 1901-05-09 1901-12-10 Brook Company Eyelet.
US1545800A (en) 1925-02-28 1925-07-14 George W Stitzer Automobile headlight
BE633744A (ko) 1963-01-09
US3311432A (en) 1964-06-23 1967-03-28 Torrington Co Bearing cup with external restraining flange
US3355695A (en) 1965-05-25 1967-11-28 Joseph E Overesch Hinge for carrying electric circuits
GB1237075A (en) * 1967-09-02 1971-06-30 Torrington Co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olling bearings
US3921225A (en) 1972-08-09 1975-11-25 Stanley Works Long life hinge
GB1446550A (en) 1972-11-27 1976-08-18 Ici Ltd Bearing member
JPS51158950U (ko) 1975-06-13 1976-12-17
DE2536113B1 (de) 1975-08-13 1976-10-21 Loehr & Bromkamp Gmbh Abdichtung fuer die Lagerkoerper des Kreuzes eines Kreuzgelenkes
DE2818014C2 (de) 1978-04-25 1986-12-04 Ed. Scharwächter GmbH & Co KG, 5630 Remscheid Wartungsfreie Lagerung für Scharnierarme
NZ213772A (en) 1985-06-28 1992-09-25 Ronald Percival Davis Frictionally pivoted components : fixing device secured beneath shoulder about and within aperture in component: window stay
DE3888265T2 (de) * 1987-09-11 1994-06-16 Kamatics Corp Geflochtenes Lager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geflochtenes Lager.
GB2237059B (en) 1989-10-07 1994-03-09 Interlock Ind Ltd A pivot bearing
US5075928A (en) 1990-08-17 1991-12-31 The Stanley Works Concealed architectural hinge assembly
GB9114291D0 (en) 1991-07-02 1991-08-21 Johnson Electric Sa A sheet metal bearing for an electric motor
US5112146A (en) 1991-07-17 1992-05-12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Functionally gradated rolling element bearing races
US5169244A (en) * 1992-02-05 1992-12-08 Metallized Carbon Corporation Releasable split bearing
US5444603A (en) 1993-07-19 1995-08-22 Koito Manufacturing Co., Ltd. Push-on fixer for screw engagement
US5385413A (en) 1993-12-09 1995-01-31 The Torrington Company Bearing assembly with axial retention
JP3009484U (ja) * 1994-09-26 1995-04-04 西武ポリマ化成株式会社 ヘリカルオーガー式削孔機におけるスクリュウロッドの軸受材
JP3666827B2 (ja) 1995-10-27 2005-06-29 株式会社青山製作所 ねじ締付用クリップ
JPH09242757A (ja) 1996-03-06 1997-09-16 Nhk Spring Co Ltd 滑り部材とその製造方法
DE19626279A1 (de) 1996-06-29 1998-0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 mit wenigstens einer, über Scharniere an der Karosserie angelenkten Klappe oder dergleichen
US5906029A (en) 1997-03-25 1999-05-25 Fox; Larry Hinge repair kit and installation method
JPH11132236A (ja) 1997-08-29 1999-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軸受装置の製造方法と軸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モータ
DE19753111A1 (de) * 1997-11-29 1999-06-10 Federal Mogul Wiesbaden Gmbh Lagerbuchse mit Mittelbund sowie deren Verwend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JP2000027904A (ja) 1998-07-15 2000-01-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ピンスライド型ディスクブレーキ
DE19833982B4 (de) 1998-07-29 2006-12-21 Robert Bosch Gmbh Pendelgleitlager
JP2000046056A (ja) * 1998-07-29 2000-02-15 Mitsubishi Heavy Ind Ltd ジャーナル軸受
US6376952B1 (en) 1999-07-14 2002-04-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earing system for a rotating shaft
DE19945371A1 (de) 1999-09-22 2001-04-26 Ks Gleitlager Gmbh Gleitlagerung
DE19960736C1 (de) 1999-12-16 2001-07-19 Edscha Ag Elektrisch leitende Lagerstelle mit nichtleitender Oberfläche
JP2003172338A (ja) * 2001-12-07 2003-06-20 Nippon Densan Corp 導通機能を有する軸受
JP4224978B2 (ja) 2002-03-26 2009-02-18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複層滑り軸受
JP4061939B2 (ja) * 2002-03-26 2008-03-19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複層滑り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GB0308957D0 (en) 2003-04-17 2003-05-28 Lillishall Plastics And Engine Tolerance ring assembly
JP2005061540A (ja) 2003-08-14 2005-03-10 Nifco Inc 合成樹脂製ブッシュ
DE102004015977A1 (de) 2004-04-01 2005-10-20 Ks Gleitlager Gmbh Gerollte Gleitlagerbundbuchse
DE102004020899B3 (de) 2004-04-28 2005-12-0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eitlagermaterials mit maschenartiger Struktur, einem danach hergestellten Gleitlagerwerkstoff, sowie eine Verwendung desselben
US7513387B2 (en) * 2004-06-08 2009-04-07 Rieke Corporation Closure assembly for a container
JP2006022930A (ja) * 2004-07-09 2006-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圧流体軸受装置
DE202005005827U1 (de) * 2005-04-11 2005-06-16 Igus Gmbh Gleitlager und Gleitlagersystem
JP2007092845A (ja) * 2005-09-28 2007-04-12 Ntn Corp 軸受装置
JP2009014164A (ja) * 2007-07-09 2009-01-22 Nsk Ltd 鍔付円筒状部材の製造方法
DE102007033647B4 (de) * 2007-07-17 2009-04-30 Webasto Ag Gleitlager und Verfahren zur Übertragung eines Messstroms
DE102007052104A1 (de) 2007-10-31 2009-06-25 Schaeffler Kg Dichtelement für ein Lager, insbesondere für ein Wälzlager
EP2058536B1 (en) 2007-11-08 2010-07-2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Bearing bush
CZ2007784A3 (cs) 2007-11-12 2009-05-20 Brano A. S. Záves pátých dverí vozidla
JP2009120150A (ja) 2007-11-19 2009-06-04 Aisin Seiki Co Ltd 電気接点機構
US8084905B2 (en) 2008-03-07 2011-12-27 Robert Bosch Gmbh Bearing for an electric actuator motor
DE102008049747A1 (de) 2008-09-30 2010-04-0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Schwingungsdämpfendes Gleitlager-Verbundmaterial und Gleitlagerbuchse und Gleitlageranordnung
US8944690B2 (en) 2009-08-28 2015-02-03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Corrosion resistant bushing
AU2009352469B2 (en) 2009-09-10 2013-09-05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Hinge for vehicle door
TWI487850B (zh) 2009-09-25 2015-06-11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用於滑移介面滑動力的公差環控制之系統、方法和裝置
PL2513505T3 (pl) 2009-12-18 2017-09-2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Układ zawierający pierścień tolerancyjny z warstwami funkcjonalnymi i sposób jego formowania
EP3115632B1 (en) 2009-12-18 2020-04-22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Assembly with bearings or tolerance rings with functional layers
RU2534192C2 (ru) 2009-12-31 2014-11-27 Сэнт-Гобен Перформанс Пластикс Пампус Гмбх Энерго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DE202010008013U1 (de) 2010-07-08 2011-11-16 Dr. Hahn Gmbh & Co. Kg Band zur um eine Scharnierachse schwenkbaren Verbindung eines Flügels mit einem Rahmen
CA2812760A1 (en) 2010-09-28 2012-04-1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Cast fluoropolymer film for bushings
EP2640989B1 (en) 2010-11-19 2019-08-2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Adhesive film for bushings
BR112013024282A2 (pt) * 2011-03-22 2017-01-17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casquilho com estado de condução elétrica transfigurável
JP2014518989A (ja) * 2011-04-29 2014-08-07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接着層中のfepまたはpfaによる保守不要のスライドベアリング
DE102011077728A1 (de) 2011-06-17 2012-12-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älzlager mit tiefgezogenem Lagerring
US8407859B1 (en) 2011-09-16 2013-04-02 Kason Industries, Inc. Hinge
DE102011087530A1 (de) * 2011-12-01 2013-06-06 Ks Gleitlager Gmbh Flachmaterialabschnitt für die Herstellung eines buchsenförmigen Gleitlagerelements sowie Gleitlagerbuchse
CN104221083B (zh) 2012-04-30 2018-01-12 圣戈班性能塑料万科有限公司 带有穿孔的波状部的公差环
PL2845192T3 (pl) 2012-04-30 2020-01-3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Rencol Limited Pierścień tolerancyjny ze szczelinową ścianką boczną
WO2014009550A1 (en) 2012-07-13 2014-01-1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Corrosion reducing flexible plain bearing materia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DE102012021687A1 (de) 2012-11-07 2014-05-2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Laufring für ein Hülsenlager
EP2938896B1 (en) 2012-12-31 2021-06-16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Rencol Limited Tolerance ring with discrete tolerance ring panels
ITTO20130715A1 (it) * 2013-09-04 2015-03-05 Skf Ab Dispositivo di tenuta e segnalazione, in particolare per un cuscinetto di rotolamento
TWI517531B (zh) 2013-12-31 2016-01-1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止推軸承的馬達
JP6148642B2 (ja) 2014-06-05 2017-06-14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装置の軸受部構造および鍔付きブッシュ
US9343862B2 (en) 2014-06-12 2016-05-17 Kamatics Corporation Electrically conductive bearing system and method
JP6100213B2 (ja) 2014-07-25 2017-03-22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装置の軸受部構造および鍔付きブッシュ
AT515701B1 (de) * 2014-08-27 2015-11-15 Miba Gleitlager Gmbh Gleitlagerelement
PL3206907T3 (pl) 2014-10-15 2024-04-15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Łożysko do stosowania w przesuwnym zagłówku
JP6760716B2 (ja) 2015-03-13 2020-09-2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軸受ブッシュ及びこの軸受ブッシュを備えた連結機構
PL3283782T3 (pl) * 2015-03-31 2021-07-1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Łożysko z segmentami kołnierzowymi
US9611887B2 (en) * 2015-05-27 2017-04-04 Kaydon Corporation Flexible insulating liner for bearings
CN111173840B (zh) 2015-06-30 2021-10-26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滑动轴承
KR101734691B1 (ko) * 2015-10-16 2017-05-12 셰플러코리아(유) 휨 방지수단을 구비한 베어링용 플링거
WO2017103117A1 (en) * 2015-12-18 2017-06-22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Integrated function of encoder in plain bearing
KR102418670B1 (ko) * 2016-06-16 2022-07-11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팜푸스 게엠베하 평 베어링 어셈블리
DE102016111708A1 (de) 2016-06-27 2017-12-28 Heiko Schmidt Gelenkanordnung, vorgefertigte Baugrupp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orgefertigten Baugruppe einer Gelenkanordnung
CA3032659C (en) * 2016-08-02 2021-08-3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Bearing
WO2018058192A1 (en) * 2016-09-28 2018-04-05 Tailored Packaging Pty Ltd Cup
CN111386403B (zh) 2017-09-26 2022-04-19 圣戈班性能塑料帕姆普斯有限公司 轴承、铰链组件及其制作和使用方法
EP3498956B1 (de) 2017-12-15 2024-03-27 MAGNA STEYR Fahrzeugtechnik GmbH & Co KG Scharnier
US11005334B2 (en) 2017-12-15 2021-05-1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Rencol Limited Annular member, method, and assembly for component displacement control
WO2020115020A1 (en) 2018-12-03 2020-06-1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Push-on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DE102018131181B3 (de) 2018-12-06 2020-02-06 Carl Freudenberg Kg Lageranordnung
DE102019110734A1 (de) 2019-04-25 2020-10-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ichtungselement und Dichtungsanordnung mit diesem
US11193544B2 (en) 2019-06-03 2021-12-0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Flanged bearin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1428267B2 (en) 2019-11-07 2022-08-30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Rencol Limited Electrically conductive bearings
KR20220099122A (ko) 2019-12-06 2022-07-12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플랜지 베어링, 조립체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KR20240027686A (ko) 2021-07-20 2024-03-04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팜푸스 게엠베하 전기 전도성 체결구
US20230193952A1 (en) 2021-12-21 2023-06-22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Electrically conductive bearing with rib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61695A (zh) 2022-07-15
US11873861B2 (en) 2024-01-16
CN114761695B (zh) 2024-04-09
US20210172475A1 (en) 2021-06-10
EP4069987A1 (en) 2022-10-12
MX2022006863A (es) 2022-07-11
EP4069987A4 (en) 2023-12-27
BR112022010840A2 (pt) 2022-08-23
JP2023504771A (ja) 2023-02-07
WO2021113599A1 (en) 2021-06-10
CA3162276A1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9122A (ko) 플랜지 베어링, 조립체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EP4055290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bearings
CN113906226B (zh) 凸缘轴承、组件及其制作方法
CN114641621B (zh) 剖分轴承、组件及其制作和使用方法
CN109312774B (zh) 滑动轴承组合件
WO2023122570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bearing with rib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240027686A (ko) 전기 전도성 체결구
EP4073397A1 (en) Assembly comprising a tolerance ring between two components with desired slipping torque at the surfaces of contact
US11994163B2 (en) Flanged bearin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6249840A (zh) 用于部分为球形的部件的轴承及其制造和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