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236A - 카고 탱크 유닛 및 선박 - Google Patents

카고 탱크 유닛 및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236A
KR20220098236A KR1020227020183A KR20227020183A KR20220098236A KR 20220098236 A KR20220098236 A KR 20220098236A KR 1020227020183 A KR1020227020183 A KR 1020227020183A KR 20227020183 A KR20227020183 A KR 20227020183A KR 20220098236 A KR20220098236 A KR 20220098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ank
skirt
tank
cargo
lower ha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스케 다카다
신 데라다
미치히사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9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2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large sea-borne storag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025/087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omprising self-contained tanks installed in the ship structure as separat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28Shape spherical or ellip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1Reinforcing or suspension means
    • F17C2203/011Reinforcing means
    • F17C2203/012Reinforcing means on or in the wall, e.g. ri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46Alumi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Supporting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92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with external bear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카고 탱크 유닛은, 카고 탱크와, 스커트와, 용접부를 구비한다. 상기 카고 탱크는, IGC 코드에 있어서의 IMO 탱크·타입 C이다. 스커트는, 상단이 카고 탱크의 하반부에 둘레 방향에 걸쳐 접속되어 있다. 스커트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카고 탱크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뻗어 선체에 고정되어 있다. 용접부는, 스커트의 상단을 카고 탱크에 둘레 방향에 걸쳐 고정한다.

Description

카고 탱크 유닛 및 선박
본 개시는, 카고 탱크 유닛 및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9년 12월 27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9-238408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천연 가스 등의 액화 가스를 운반하는 선박은,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카고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카고 탱크가, 원통형의 스커트를 개재하여 선체에 지지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커트의 상단부(上端部)는, 카고 탱크의 적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커트의 상단부는, 카고 탱크의 적도 부분에 대하여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카고 탱크는, 국제 해사 기관(IMO)이 정한 액화 가스선의 안전 규칙인 IGC(International Gas Carrier) 코드에 규정되는, IMO 탱크·타입 B의 요건에 따라 설계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6342358호
그러나, IMO 탱크·타입 B방식의 카고 탱크는, 모델 테스트나 상세 해석 수법 등을 이용하여 구조 각부(各部)의 응력을 정밀하게 파악하여, 피로 해석이나 파괴 기구 해석을 정확하게 실시한 형식이다. 따라서, 카고 탱크와 스커트의 용접부도, 탱크와 동일한 피로 강도의 요건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카고 탱크의 적도 부분과 스커트의 용접부에는, 절삭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링상 부재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링상 부재는, 카고 탱크의 상반부와 하반부의 사이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링상 부재의 하단부에는, 카고 탱크의 하반부의 상단과, 카고 탱크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스커트의 상단부가, 각각 용접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링상 부재의 하단부는, 카고 탱크의 하반부의 두께와, 스커트의 상단부의 두께를 합친 두께를 갖고 있다.
IMO 탱크·타입 B방식의 카고 탱크에서는, 재료가 알루미늄 합금인 경우를 제외하고, 링상 부재를 포함하여, 각부의 두께의 상한이 40mm로 되어 있다. 카고 탱크의 하반부의 두께는, 용접되는 링상 부재의 두께(최대 40mm)에서 스커트의 상단부의 두께를 뺀 것이 된다. 즉, 카고 탱크의 적어도 하반부에 있어서는, 두께를 일정 이상 크게 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내압성이 요구되는 카고 탱크의 대형화의 방해가 되고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카고 탱크의 두께를 증대시키고, 나아가서는 카고 탱크의 대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카고 탱크 유닛 및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에 관한 카고 탱크 유닛은, 카고 탱크와, 스커트와, 용접부를 구비한다. 상기 카고 탱크는, IGC 코드에 있어서의 IMO 탱크·타입 C이다. 상기 스커트는, 상단이 상기 카고 탱크의 하반부에 둘레 방향에 걸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는, 하방을 향하여 뻗어 선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용접부는, 상기 스커트의 상단을 상기 카고 탱크에 상기 둘레 방향에 걸쳐 고정한다.
본 개시의 선박에 의하면, 카고 탱크의 두께를 증대시키고, 나아가서는 카고 탱크의 대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에 마련된 카고 탱크를 선수미(船首尾) 방향에서 본 반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고 탱크와 스커트의 접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선박에 마련된 카고 탱크를 선수미 방향에서 본 반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선박(1)은, 액화 천연 가스 등의 액화 가스를 저장·운반 등을 한다. 이 선박(1)은, 선체(2)와, 카고 탱크(20)와, 스커트(30)와, 용접부(40)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편의상, 카고 탱크(20)와 스커트(30)와 용접부(40)를 합하여, 카고 탱크 유닛이라고 호칭한다.
선체(2)는, 그 외각(外殼)을 이루는, 한 쌍의 현측(舷側)(3A, 3B)과, 선저(船底)(4)와, 상갑판(5)을 갖고 있다. 현측(3A, 3B)은, 좌우 현측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현측 외판을 구비한다. 선저(4)는, 이들 현측(3A, 3B)을 접속하는 선저 외판을 구비한다. 이들 한 쌍의 현측(3A, 3B) 및 선저(4)에 의하여, 선체(2)의 외각은, 선수미 방향(D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U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상갑판(5)은, 외부에 노출되는 전통(全通) 갑판이다. 선체(2)에는, 선미(2b) 측의 상갑판(5) 상에, 주거구(住居區)를 갖는 상부 구조(7)가 형성되어 있다.
선체(2)에는, 상부 구조(7)보다 선수(2a) 측에, 화물 탑재 구획(홀드)(8)이 형성되어 있다. 화물 탑재 구획(8)은, 상갑판(5)에 대하여 하방의 선저(4)를 향하여 파이고,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카고 탱크(20)는, 화물 탑재 구획(8) 내에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카고 탱크(20)는, 선수미 방향(Da)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카고 탱크(20)의 상부(20a)는, 선체(2)의 상갑판(5)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카고 탱크(20)의 상부(20a)는, 상갑판(5) 상에 마련된 탱크 커버(25)에 의하여 덮여 있다. 이들 복수의 카고 탱크(20)의 외표면에는, 각각 외부로부터의 입열을 억제하는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카고 탱크(20)는, 구형을 이루고 있다. 카고 탱크(20)는, 그 내부에, 운반 대상인 액화 가스를 수용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고 탱크(20)에 수용되는 액화 가스는, 예를 들면 9~20(BarG) 정도의 고압 저온 가스이다. 카고 탱크(20)는, IMO가 정한 IGC 코드에 정해진, IMO 탱크·타입 C방식의 탱크이다.
각 카고 탱크(20)는, 하반부(21)와, 상반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하반부(21)는, 카고 탱크(20)의 하부에 있어서, 반구상으로 되어 있다. 하반부(21)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경 치수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반부(21)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진 반진구상이어도 되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곡률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반부(22)는, 하반부(21)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반부(22)는, 카고 탱크(20)의 상부에 있어서, 반구상으로 되어 있다. 상반부(22)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경 치수가 점차 축소되고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반부(22)는,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진 반진구상이어도 되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곡률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카고 탱크(20)는, 상기에 나타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고 탱크(20)는, 상반부(22)와 하반부(21)의 사이에, 원통형상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각 카고 탱크(20)는, 스커트(30)에 의하여 선체(2)에 지지되고 있다. 각 카고 탱크(20)는, 선체(2)와는 독립된 탱크 구조이다. 카고 탱크(20)는, 액밀 구조로, 그 내부에 수용된 액화 가스의 하중을 자기 지지한다.
도 3은, 상기 카고 탱크와 스커트의 접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스커트(30)는, 카고 탱크(20)를 지지한다. 스커트(30)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Dv)으로 뻗는 원통형상이다. 스커트(30)의 하단부는, 화물 탑재 구획(8)의 저부(低部)에 마련된 파운데이션 데크부(9) 상에 고정된다. 스커트(30)의 상단(30t)은,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의 외주면(21f)에 접속되어 있다.
스커트(30)는, 통형상부(31)와, 탱크 지지부(32)를 구비하고 있다.
통형상부(31)는, 상하 방향(Dv)으로 뻗는 원통형상으로, 상하 방향(Dv)에 걸쳐 일정한 직경 치수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형상부(31)는, 카고 탱크(20)의 선폭 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 a를 중심으로 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탱크 지지부(32)는, 스커트(3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탱크 지지부(32)는, 통형상부(31)의 상부에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다. 탱크 지지부(32)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Dr) 내측을 향하여 뻗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탱크 지지부(32)는, 선단(先端)(32t)으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Dr) 외측을 향하여 뻗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탱크 지지부(32)는, 상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Dr) 내측으로 만곡하는 만곡부(32w)를 구비하고 있다. 만곡부(32w)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통형상부(31)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만곡부(32w)의 직경 방향(Dr) 내측의 선단(32t)은, 스커트(30)의 상단(30t)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만곡부(32w)의 선단(32t)은,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의 외주면(21f)에 맞닿아져 있다. 여기에서, 직경 방향(Dr)이란, 상술한 축선 a를 중심으로 하는 직경 방향을 의미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둘레 방향이란, 축선 a를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을 의미한다.
카고 탱크(20)의 외주면에 대한 만곡부(32w)의 선단(32t)의 교차 각도(θ)는, 예를 들면, 30°~90° 정도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교차 각도(θ)란, 축선 a를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도 3 참조), 상단(30t)의 내면(30f) 중 가장 직경 방향(Dr) 내측의 부분(바꾸어 말하면, 선단(32t))과, 상기 내면(30f)과 교차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카고 탱크(20)의 외주면(21f)(도 3에 있어서 원호상)의 접선 ta1이 이루는 각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만곡부(32w)를 가지며 내면(30f)의 선단(32t)도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교차 각도(θ)는, 축선 a를 포함하는 단면시에서, 내면(30f)(도 3에 있어서 곡선상)의 선단(32t)에 있어서의 접선 ta2와 외주면(21f)의 접선 ta1이 이루는 각도가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커트(30)의 상단(30t)(만곡부(32w)의 선단(32t))의 내경(D1)은, 카고 탱크(20)의 적도 부분에 있어서의 외경(D2)보다 작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내경(D1) 및 외경(D2)은, 편의상, 반경분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카고 탱크(20)는, 스커트(30)의 상단(30t)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 지지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고 탱크(20)와 스커트(30)는,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카고 탱크(20)와 스커트(30)의 접합부에는, 용접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카고 탱크(20)와 스커트(30)를 용접할 때에 이용하는 용접재로서는, 예를 들면 9% Ni강 등의 고강도 용접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강도 용접재를 이용함으로써, 용접부(40)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용접부(4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용접부(40)는, 스커트(30)의 상단(30t)을 카고 탱크(20)에 고정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용접부(40)는, 스커트(30)의 상단(30t)을 카고 탱크(20)의 외주면(21f)에 대하여, 둘레 방향 전체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또한, 용접부(40)가 둘레 방향 전체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용접부(40)가 둘레 방향의 일부에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커트(30)의 상단(30t)이 카고 탱크(20)에 대하여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고정된다. 이 경우, 용접부(40)는, 카고 탱크(20)의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 즉 복수 개소에 마련해도 된다.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의 외주면(21f)과, 스커트(30)에 있어서 직경 방향(Dr) 내측을 향하는 내면(30f)의 사이에는, 접합 부재(50)가 마련되어 있다. 접합 부재(50)는,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접합 부재(50)는,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연직면(바꾸어 말하면, 축선 a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을 따르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합 부재(50)는, 직경 방향(Dr) 내측에서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의 외주면(21f)을 따라 용접된 내측 가장자리부(50a)와, 직경 방향(Dr) 외측에서 스커트(30)의 내면(30f)을 따라 용접된 외측 가장자리부(50b)를 갖고 있다. 또한, 용접은 내측 가장자리부(50a)와 외측 가장자리부(50b) 중 어느 일방만이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접합 부재(50)의 하측 가장자리부(50c)는, 그 직경 방향(Dr) 중앙부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여 파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가장자리부(50c)의 형상은, 직경 방향(Dr) 중앙부가 상방을 향하여 파이는 원호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의 선박은,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에 마련되고,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와 스커트(30)의 내면을 접합하는 접합 부재(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둘레 방향으로 복수 마련된 접합 부재(50)에 의하여, 구형의 하반부(21)와 스커트(30)의 내면(30f)을, 보다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스커트(30)에 의한 카고 탱크(20)의 지지 강도를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의 선박에서는, 스커트(30)의 상단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카고 탱크(20)의 직경 방향(Dr) 외측을 향하여 뻗어 있다. 그리고, 카고 탱크(20)를 지지하는 스커트(30)의 상단(30t)은,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스커트(30)의 상단(30t)은,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의 외주면(21f)에 대하여, 직경 방향(Dr) 외측으로부터 맞닿도록 하여 용접부(40)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스커트(30)의 상단(30t)과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의 외주면(21f)이 확실하게 용접되어, 용접부(40)의 접합 강도를 유효하게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선박에서는, 스커트(30)의 상단부는, 상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Dr) 내측으로 만곡하는 만곡부(32w)를 갖고, 만곡부(32w)의 선단(32t)이 카고 탱크(20)의 외주면(21f)에 용접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커트(30)의 상단부에 만곡부(32w)가 형성됨으로써, 만곡부(32w)의 하단과 통형상부(31)의 상단을 원활하게 연속시켜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카고 탱크(20)의 외주면(21f)에 만곡부(32w)의 선단(32t)이 용접된 스커트(30)에 있어서, 카고 탱크(20)의 하중에 의한 응력이 국소적으로 집중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커트(30)의 상단부에 만곡부(32w)를 마련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스커트(30)의 상단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카고 탱크(20)의 직경 방향(Dr) 외측을 향하여 뻗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원뿔 통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스커트(30)의 상단부에 있어서 원뿔 통형상의 부분의 하단과, 통형상부(31)의 상단의 접합 부분에 모서리부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카고 탱크(20)의 하중에 의한 응력이, 원뿔 통형상의 부분의 하단과 통형상부(31)의 모서리부에 국소적으로 집중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부에 보강 등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커트(30)의 상단부를, 하방을 향함에 따라 카고 탱크(20)의 직경 방향(Dr) 외측을 향하여 뻗도록 마련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커트(30)의 상단부는, 상하 방향(Dv)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합 부재(50)를 구비하도록 했지만, 접합 부재(50)의 형상에 대해서는 결코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접합 부재(50)는,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와 스커트(30)의 내면(30f)을 접합하는 것이라면, 적절히 다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접합 부재(5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간격, 설치수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접합 부재(50)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고 탱크(20) 및 스커트(30)는, 선체(2) 내에 형성된 화물 탑재 구획(8) 내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카고 탱크(20) 및 스커트(30)는, 예를 들면, 상갑판(5) 상에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선체(2)에 설치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부유체 상에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부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선박(1)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제1 양태에 관한 카고 탱크 유닛은, IGC 코드에 있어서의 IMO 탱크·타입 C의 카고 탱크(20)와, 상단(30t)이 상기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에 둘레 방향에 걸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하방을 향하여 뻗어 선체(2)에 고정된 스커트(30)와, 상기 스커트(30)의 상단(30t)을 상기 카고 탱크(20)에 상기 둘레 방향에 걸쳐 고정하는 용접부(40)를 구비한다.
IMO 탱크·타입 C가 적용되는 카고 탱크(20)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액화 가스의 온도·압력에 견딜 수 있는 압력 용기 규격에 근거하여 설계된다. IGC 코드에 있어서의 IMO 탱크·타입 C에서는, IMO 탱크·타입 B와 같이 스커트(30)와의 접합부에까지 피로 강도 요건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카고 탱크(20)는, 구형이기 때문에 우수한 강도 특성을 가지는 데 더하여, 그 두께를 증대시킨 설계가 가능해져, 강도를 확보하면서 대직경화, 대용량화가 가능해진다.
(2) 제2 양태에 관한 카고 탱크 유닛은, (1)의 카고 탱크 유닛으로서, 상기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에 마련되고, 상기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와 상기 스커트(30)의 내면(30f)을 접합하는 접합 부재(50)를 더 구비한다.
이로써, 둘레 방향으로 복수 마련된 접합 부재(50)에 의하여, 구형의 하반부(21)와 스커트(30)의 내면(30f)이, 보다 강고하게 접합된다. 따라서, 스커트(30)에 의한 카고 탱크(20)의 지지 강도를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제3 양태에 관한 카고 탱크 유닛은, (1) 또는 (2)의 카고 탱크 유닛으로서, 상기 스커트(30)는, 통형상부(31)와 탱크 지지부(32)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부(31)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탱크 지지부(32)는, 상기 통형상부(31)의 상부에 연속하여 마련됨과 함께, 하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카고 탱크(20)의 직경 방향(Dr) 외측을 향하여 뻗어 있다.
이로써, 탱크 지지부(32)는,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의 외주면(21f)에 대하여, 직경 방향(Dr) 외측으로부터 맞닿도록 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탱크 지지부(32)와 카고 탱크(20)의 하반부(21)의 외주면(21f)이 확실하게 용접되어, 용접부(40)의 접합 강도를 유효하게 높일 수 있다.
(4) 제4 양태에 관한 카고 탱크 유닛은, (3)의 카고 탱크 유닛으로서, 상기 탱크 지지부(32)와 상기 통형상부(31)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탱크 지지부(32)와 통형상부(31)의 접합 부분에 모서리부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카고 탱크(20)의 외주면(21f)에 용접된 스커트(30)에 있어서, 카고 탱크(20)의 하중에 의한 응력이 국소적으로 집중하는 것이 억제된다.
(5) 제5 양태에 관한 선박은,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카고 탱크 유닛을 구비한다.
카고 탱크(20)를 대용량화하면, 선체(2)에 탑재하는 카고 탱크(20)의 개수를 억제하여, 선박(1)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카고 탱크의 두께를 증대시키고, 나아가서는 카고 탱크의 대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선박
2…선체
2a…선수
2b…선미
3A, 3B…현측
4…선저
5…상갑판
7…상부 구조
8…화물 탑재 구획
9…파운데이션 데크부
20…카고 탱크
20a…상부
21…하반부
21f…외주면
22…상반부
25…탱크 커버
30…스커트
30f…내면
30t…상단
31…통형상부
32…탱크 지지부
32t…선단
32w…만곡부
40…용접부
50…접합 부재
50a…내측 가장자리부
50b…외측 가장자리부
50c…하측 가장자리부
D1…내경
D2…외경
Da…선수미 방향
Dr…직경 방향
Dv…상하 방향
θ…교차 각도

Claims (5)

  1. IGC 코드에 있어서의 IMO 탱크·타입 C의 카고 탱크와,
    상단이 상기 카고 탱크의 하반부에 둘레 방향에 걸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하방을 향하여 뻗어 선체에 고정된 스커트와,
    상기 스커트의 상단을 상기 카고 탱크에 상기 둘레 방향에 걸쳐 고정하는 용접부를 구비하는 카고 탱크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고 탱크의 하반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에 마련되고, 상기 카고 탱크의 하반부와 상기 스커트의 내면을 접합하는 접합 부재를 더 구비하는 카고 탱크 유닛.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통형상부와 탱크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부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탱크 지지부는, 상기 통형상부의 상부에 연속하여 마련됨과 함께, 하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카고 탱크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뻗어 있는 카고 탱크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탱크 지지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카고 탱크 유닛.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고 탱크 유닛을 구비하는 선박.
KR1020227020183A 2019-12-27 2020-12-22 카고 탱크 유닛 및 선박 KR20220098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8408A JP2021107171A (ja) 2019-12-27 2019-12-27 カーゴタンクユニット及び船舶
JPJP-P-2019-238408 2019-12-27
PCT/JP2020/048029 WO2021132277A1 (ja) 2019-12-27 2020-12-22 カーゴタンクユニット及び船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236A true KR20220098236A (ko) 2022-07-11

Family

ID=7657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183A KR20220098236A (ko) 2019-12-27 2020-12-22 카고 탱크 유닛 및 선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056460B1 (ko)
JP (1) JP2021107171A (ko)
KR (1) KR20220098236A (ko)
CN (1) CN114829245B (ko)
AU (1) AU2020413201B2 (ko)
DK (1) DK4056460T3 (ko)
WO (1) WO2021132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37410A (ja) * 2021-09-03 2023-03-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水素タンク及びその設計方法
JP2024021723A (ja) * 2022-08-04 2024-02-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2358B2 (ko) 1984-07-02 1988-08-23 Fujitsu Lt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8609103A1 (es) * 1981-05-26 1986-09-01 Sener Ing & Sist Perfeccionamientos en tanques de revolucion de eje vertical a bordo de buques
JP2003040188A (ja) * 2001-07-27 2003-02-13 Hitachi Zosen Corp タンクの支持装置
WO2007142400A1 (en) * 2006-06-05 2007-12-13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Extended spherical lng storage t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403900B2 (ja) * 2007-11-16 2014-01-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
CN101910649B (zh) * 2007-12-27 2013-02-27 川崎重工业株式会社 相异材料接头结构、具备该相异材料接头结构的容器用的裙边、具备该容器用的裙边的运输船、以及不同种类金属构件的接合方法
JP5153416B2 (ja) * 2008-03-31 2013-02-27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
KR20160096311A (ko) * 2015-02-05 2016-08-1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저압 연료탱크용 엘엔지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JP6358624B2 (ja) * 2015-03-26 2018-07-18 三菱造船株式会社 タンクの支持構造及び船舶
JP6461686B2 (ja) * 2015-04-08 2019-01-3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舶用液化ガスタンク及びそれを備える液化ガス運搬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2358B2 (ko) 1984-07-02 1988-08-23 Fujitsu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6460A1 (en) 2022-09-14
JP2021107171A (ja) 2021-07-29
EP4056460A4 (en) 2023-01-25
CN114829245B (zh) 2024-02-09
EP4056460B1 (en) 2024-02-14
WO2021132277A1 (ja) 2021-07-01
DK4056460T3 (da) 2024-02-26
AU2020413201B2 (en) 2024-05-02
CN114829245A (zh) 2022-07-29
AU2020413201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8236A (ko) 카고 탱크 유닛 및 선박
KR102010422B1 (ko) 선박용 액화가스 탱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JP2009120083A (ja) 液化ガス運搬船
KR20200112971A (ko) 선박
JP6139957B2 (ja) 液化ガス運搬船の球形タンク支持構造
FI64095B (fi) Anordning vid fartyg foer transport av nedkyld gas i flytande form
KR101941999B1 (ko) 선박용 탱크 커버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JP5357466B2 (ja) 液化ガス運搬船
CN101473162B (zh) 扩充的球形液化天然气储存罐及其制造方法
KR101897727B1 (ko) 액화 가스 탱크의 선체 지지 구조 및 액화 가스 운반선
JP2019015377A (ja) 液化ガスタンク構造、船舶、及び、浮体構造物
WO2024029564A1 (ja) 船舶
WO2023234285A1 (ja) 船舶
KR102280713B1 (ko) 선박용 탱크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218400899U (zh) 液氢运输船的水平支撑平台
JP6423970B2 (ja) 舶用液化ガスタンク及びそれを備える液化ガス運搬船
WO2024062625A1 (ja) 多重殻タンク及び船舶
KR20190006425A (ko) 선박
JP2851474B2 (ja) 液化ガス運搬船の液化ガスタンク
CN117916151A (zh) 储罐及船舶
JP2021085423A (ja) 液化ガスタンク、船舶、及び浮体構造物
JPH07196072A (ja) タンカー用船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