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425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425A
KR20190006425A KR1020180015500A KR20180015500A KR20190006425A KR 20190006425 A KR20190006425 A KR 20190006425A KR 1020180015500 A KR1020180015500 A KR 1020180015500A KR 20180015500 A KR20180015500 A KR 20180015500A KR 20190006425 A KR20190006425 A KR 20190006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ing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member
tank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703B1 (ko
Inventor
류스케 다카다
야스미츠 구마
히로아키 시키네
도시유키 구보
쇼우고 사키무라
노부히로 요시하라
신고 우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63B2701/0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상갑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의 상승부 (31) 와, 외주단 (34s) 이 상승부 (31) 의 상단 (31t) 보다 카고 탱크의 중앙측에 배치된 상부 커버부 (34) 와, 상승부 (31) 의 상단 (31t) 과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사이에 배치되고,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에 용접된 제 1 접속부 (41A), 및 제 1 접속부 (41A) 보다 상방 그리고 카고 탱크의 중앙측에 위치하여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에 용접된 제 2 접속부 (42A) 를 갖는 접속 부재 (40A) 를 갖는 탱크 커버 (30A)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7월 1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13490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LNG (Liquefied Natural Gas) 등의 액화 가스를 운반하는 선박은,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카고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카고 탱크는, 일반적으로, 상부 구조보다 선수측의 화물 탑재 구획 (카고 홀드) 에 배치되어 있다. 카고 탱크는, 그 상부를, 화물 탑재 구획에 형성된 상갑판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박은, 카고 탱크를 보호하기 위해서, 카고 탱크 중 상갑판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덮는 탱크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탱크 커버는, 상갑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상승부와, 상승부 상에 형성되어, 탱크의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반구상의 상부 커버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탱크 커버는, 상갑판에 접합되는 상승부의 하단부의 피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승부의 하단부의 두께를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증대시키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96551호
그런데, 탱크 커버는, 상승부의 상단부와, 상부 커버부의 하단부를, 용접하여 제작한다. 상부 커버부는, 상방을 향하여 그 직경 치수가 점차 축소하는 반구상을 이루고 있다. 그 때문에,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용접 접합부에는, 상부 커버부의 하중 등에 의한 굽힘 방향의 응력 등이 작용한다. 이 응력에 대한 피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용접 접합부는, 상승부나 상부 커버부보다 두께를 증대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용접 접합부의 두께를 증대시키면, 탱크 커버의 중량 증가나, 용접의 수고의 증대로 연결되게 된다.
이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탱크 커버의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접합부의 두께를 억제하고, 탱크 커버의 중량 증가 및 용접의 수고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이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의 상갑판으로부터 상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카고 탱크와,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상부를 덮는 탱크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탱크 커버는, 상기 카고 탱크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상기 상갑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의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의 상방에 형성되어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외주단이 상기 상승부의 상단보다 상기 카고 탱크의 중앙측에 배치된 상부 커버부와, 상기 상승부의 상단과 상기 상부 커버부의 외주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승부의 상기 상단에 용접된 제 1 접속부, 및, 상기 제 1 접속부보다 상방 그리고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중앙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커버부의 상기 외주단에 용접된 제 2 접속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탱크 커버의 상부 커버부의 외주단을, 상승부의 상단보다 카고 탱크의 중앙측에 배치하고, 탱크 커버의 상승부의 상단과 상부 커버부의 외주단 사이에, 접속 부재를 개재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가 굴곡 또는 만곡하여 접합되는 접합부에 작용하는, 상부 커버부의 하중 등에 의한 응력은,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 접속 부재에 작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를 직접 용접하여 용접 부분에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속 부재에서 응력을 부담함으로써,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접합부에 있어서 피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의 제 1 접속부와 상승부의 상단의 용접부, 및, 접속 부재의 제 2 접속부와 상부 커버의 외주단의 용접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를 직접 용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접합부에 배치되는 접속 부재의 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접속 부재는, 미리 소정 형상으로 제작해 두면, 시공 현장에 있어서는, 접속 부재의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상승부의 상단 및 상부 커버부의 외주단에 용접하면 되어, 시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 사이에, 상기 탱크 커버의 외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만곡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승부와, 외주단측으로부터 카고 탱크의 중앙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 커버부를, 만곡부를 개재하여 접속할 수 있다. 상부 커버부의 하중 등에 의한 응력은, 접속 부재의 만곡부에 작용하기 때문에, 용접 부분에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접합부에 있어서 피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제 2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연직 상방의 상기 만곡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하부 연직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상기 카고 탱크의 중앙측의 상기 제 2 접속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내방 연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속 부재의 제 1 접속부와 상승부의 상단의 용접부, 및, 접속 부재의 제 2 접속부와 상부 커버부의 외주단의 용접부를, 응력이 작용하는 만곡부로부터 떨어트려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접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2 접속부를 향하여,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중앙측에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 사이에 만곡부를 형성하지 않고, 접속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제 4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 사이에, 상기 상승부 및 상기 상부 커버부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진 두께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접속 부재에 두께부를 형성함으로써,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접합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6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접속부의 두께가, 상기 상부 커버부의 외주단의 두께보다 작아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2 접속부의 두께가, 상부 커버부의 외주단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접속 부재의 제 2 접속부와 상부 커버부의 외주단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의 제 2 접속부와 상부 커버의 외주단의 용접 부분에, 개선 (開先) 을 형성하는 수고를 억제할 수도 있다.
이 발명의 제 7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련된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상승부의 상승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면이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승부의 상단과 접속 부재의 제 1 접속부의 용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선박에 의하면, 탱크 커버의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접합부의 두께를 억제하고, 탱크 커버의 중량 증가 및 용접의 수고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선박에 형성된 카고 탱크 및 탱크 커버를 선수미 방향으로부터 본 반단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탱크 커버의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접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 형성된 탱크 커버의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접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선박 (10A) 은, 액화 천연 가스 (LNG) 등의 액화 가스를 적하로서 운반한다. 이 선박 (10A) 은, 선체 (11) 와, 상갑판 (12) 과, 상부 구조 (17) 와, 카고 탱크 (20) 와, 탱크 커버 (30A) 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선체 (11) 는, 1 쌍의 현측 (14) 을 가지고 있다. 선체 (11) 는, 주거구를 갖는 상부 구조 (17) 보다 선수 (11c) 측의 1 쌍의 현측 (14) 사이에 화물 탑재 구획 (홀드) (15) 을 구비하고 있다.
상갑판 (12) 은, 외부에 노출되는 전체 통갑판이고, 화물 탑재 구획 (15) 의 상방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화물 탑재 구획 (15) 보다 선미 (11d) 측의 상갑판 (12) 상에, 상기 서술한 상부 구조 (17) 가 형성되어 있다.
카고 탱크 (20) 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그 내부에, 운반 대상인 액화 가스를 수용한다. 카고 탱크 (20) 는, 화물 탑재 구획 (15) 내에, 선체 (11) 의 선수 (11c) 측과 선미 (11d) 측을 연결하는 선수미 방향 (Da) 으로 나열되어, 복수 배치되어 있다. 각 카고 탱크 (20) 는, 그 상부 (20a) 를, 선체 (11) 의 상갑판 (12) 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형성되어 있다.
도 3 은, 상기 선박에 형성된 카고 탱크 및 탱크 커버를 선수미 방향으로부터 본 반단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카고 탱크 (20) 는, 하부 반구상부 (21) 와, 원통상부 (22) 와,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반구상부 (21) 는, 카고 탱크 (20) 의 하부에 있어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진 진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원통상부 (22) 는, 카고 탱크 (20) 의 상하 방향 (Dv) 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하부 반구상부 (21) 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원통상부 (22) 는, 일정한 내경을 가진 원통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원통상부 (22) 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내경이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하는 원추 사다리꼴로 할 수도 있다.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는, 원통상부 (22) 상, 다시 말하면 카고 탱크 (20) 의 상부 (20a) 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경 치수가 점차 축소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곡률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는, 그 하방에 형성되고, 곡률 반경 (R1) 을 가진 제 1 만곡부 (23a) 와, 제 1 만곡부 (23a) 의 상방에 형성되고, 곡률 반경 (R1) 보다 큰 곡률 반경 (R2) 을 가진 제 2 만곡부 (23b)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카고 탱크 (20) 는, 상기에 나타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고 탱크 (20) 는,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를 진구상으로 해도 되고, 원통상부 (22) 를 갖지 않는 구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부 반구상부 (21) 의 형상으로서, 예를 들어, 비진구를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카고 탱크 (20) 의 외표면에는, 외부로부터의 입열을 억제하는 단열재 (도시하지 않음) 가 형성된다.
또한, 카고 탱크 (20) 의 정상부 (20t) 에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돔 탑 (2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돔 탑 (25) 의 상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되는 차양부 (26)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 (30A) 는, 카고 탱크 (20) 의 상부 (20a) 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선체 (11) 의 상갑판 (12) 상에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 (30A) 는,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와, 접속 부재 (40A) 를 구비하고 있다.
상승부 (31) 는, 상갑판 (12) 으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승부 (31) 는, 상하 방향 (Dv) 에 있어서 일정한 내경을 가진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승부 (31)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2 참조), 카고 탱크 (20) 의 직경 방향 외측 (측방) 으로 간격을 두고, 카고 탱크 (20) 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은, 원통상부 (22) 의 상단 (22t) 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커버부 (34) 는, 천장면부 (32) 와, 진구 형상부 (33) 를 구비하고 있다.
천장면부 (32) 는, 카고 탱크 (20) 의 정상부 (20t) 에 대향하도록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천장면부 (32) 는, 수평면 내에 위치하는 평면상을 이루고 있다.
천장면부 (32) 의 중앙부에는 개구부 (32h) 가 형성되어 있다. 카고 탱크 (20) 의 정상부 (20t) 에 형성된 돔 탑 (25) 은, 이 개구부 (32h) 를 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차양부 (26) 는, 천장면부 (32) 에 대하여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차양부 (26) 는, 개구부 (32h) 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있다.
진구 형상부 (33) 는, 상승부 (31) 와 천장면부 (32) 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진구 형상부 (33) 는, 일정한 곡률 반경 (R4) 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진구 형상부 (33) 의 외주단) 은, 상승부 (31) 의 상단 (31t) 보다 카고 탱크 (20) 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탱크 커버 (30A) 의 상승부 (31) 에 있어서 카고 탱크 (20) 에 가까운 측과는 반대측의 외주면 (외면) (31f) 에는, 상하 방향 (Dv) 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보강 부재 (35)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보강 부재 (35) 는, 단면 L 자상이나 단면 T 자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탱크 커버 (30A) 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또한,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에 있어서, 카고 탱크 (20) 측의 내주면 (내면) (31g) 에는, 내측 보강 부재 (36) 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보강 부재 (36) 는, 탱크 커버 (30A) 내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도 4 는, 상기 탱크 커버의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접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 (40A) 는, 상승부 (31) 의 상단 (31t) 과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의 접합부 (J) 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부재 (40A) 는, 제 1 접속부 (41A) 와 제 2 접속부 (42A) 를 가지고 있다.
제 1 접속부 (41A) 는,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 1 접속부 (41A) 는, 상승부 (31) 의 상승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면 (47)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속부 (42A) 는, 제 1 접속부 (41A) 보다 상방 그리고 카고 탱크 (20) 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접속부 (42A) 는,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접속 부재 (40A) 는, 제 1 접속부 (41A) 와 제 2 접속부 (42A) 사이에, 하부 연직부 (43) 와, 만곡부 (44) 와, 내방 연장부 (45) 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연직부 (43) 는, 제 1 접속부 (41A) 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고, 만곡부 (44) 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 (44) 는, 하부 연직부 (43) 상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만곡부 (44) 는, 탱크 커버 (30A) 의 외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하고, 내방 연장부 (45) 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방 연장부 (45) 는, 만곡부 (44) 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만곡부 (44) 로부터 카고 탱크 (20) 의 중앙측의 제 2 접속부 (42A) 를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 부재 (40A) 는, 평면에서 보면, 탱크 커버 (30A) 의 외주 형상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즉, 접속 부재 (40A) 는, 연직 단면에 있어서는 굴곡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만곡한 삼차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접속 부재 (40A) 는, 상승부 (31) 및 상부 커버부 (34) 를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판 두께를 가진 금속판을, 예를 들어 굽힘 가공 등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 (40A) 는, 제 1 접속부 (41A) 와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을 맞댄 상태로 용접되고, 제 2 접속부 (42A) 와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을 맞댄 상태로 용접된다. 이에 의해, 접속 부재 (40A) 의 제 1 접속부 (41A) 와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의 용접부 (W1) 는, 만곡부 (44) 로부터 하부 연직부 (43) 를 사이에 두고 위치한다. 또한, 접속 부재 (40A) 의 제 2 접속부 (42A) 와 상부 커버의 외주단 (34s) 의 용접부 (W2) 는, 만곡부 (44) 로부터 내방 연장부 (45) 를 사이에 두고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용접부 (W1, W2) 는, 만곡부 (44) 로부터 이간하여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 연직부 (43), 내방 연장부 (45) 의 길이 (L1, L2) 는, 예를 들어 100 ∼ 200 ㎜ 정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선박 (10A) 에 의하면, 탱크 커버 (30A) 의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을, 상승부 (31) 의 상단 (31t) 보다 카고 탱크 (20) 의 중앙측에 배치하였다. 또한, 탱크 커버 (30A) 의 상승부 (31) 의 상단 (31t) 과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사이에, 접속 부재 (40A) 를 개재시키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가 만곡하여 접합되는 접합부 (J) 에 작용하는, 상부 커버부 (34) 의 하중 등에 의한 응력은,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사이의 접속 부재 (40A) 에 작용한다.
이 때문에,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를 직접 용접하여 용접 부분에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속 부재 (40A) 에서 응력을 부담함으로써, 접합부 (J) 에 있어서의 피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속 부재 (40A) 의 제 1 접속부 (41A) 와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의 용접부 (W1), 및, 접속 부재 (40A) 의 제 2 접속부 (42A) 와 상부 커버의 외주단 (34s) 의 용접부 (W2) 에 작용하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를 용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의 접합부 (J) 에 배치되는 접속 부재 (40A) 의 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탱크 커버 (30A) 의 중량 증가 및 용접의 수고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접속 부재 (40A) 는, 미리 소정 형상으로 제작해 두면, 시공 현장에 있어서는, 접속 부재 (40A) 의 제 1 접속부 (41A) 및 제 2 접속부 (42A) 를, 상승부 (31) 의 상단 (31t) 및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에 용접하면 되어, 시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 (40A) 는, 제 1 접속부 (41A) 와 제 2 접속부 (42A) 사이에, 탱크 커버 (30A) 의 외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만곡부 (44) 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승부 (31) 와, 외주단 (34s) 측으로부터 카고 탱크 (20) 의 중앙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커버부 (34) 를, 만곡시켜 접속할 수 있다.
상부 커버부 (34) 의 하중 등에 의한 응력은, 접속 부재 (40A) 의 만곡부 (44) 에 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를 직접 용접하여 용접 부분에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의 접합부 (J) 에 있어서의 피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 (40A) 는, 하부 연직부 (43) 와, 내방 연장부 (45) 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속 부재 (40A) 의 제 1 접속부 (41A) 와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의 용접부 (W1), 및, 접속 부재 (40A) 의 제 2 접속부 (42A) 와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의 용접부 (W2) 를, 응력이 작용하는 만곡부 (44) 로부터 떨어트려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접부 (W1, W2) 에 작용하는 응력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접속부 (41A) 는, 상승부 (31) 의 상승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면 (47) 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승부 (31) 의 상단 (31t) 과 접속 부재 (40A) 의 제 1 접속부 (41A) 의 용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이 발명에 관련된 선박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접합부 (J) 에 형성한 접속 부재 (40B) 만이 상이하기 때문에, 도 1, 도 2 를 원용하여,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함과 함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 형성된 탱크 커버의 상승부와 상부 커버부의 접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 (10B) 은, 선체 (11) 와, 카고 탱크 (20) 와, 탱크 커버 (30B) 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 커버 (30B) 는,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와, 접속 부재 (40B) 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부재 (40B) 는, 상승부 (31) 의 상단 (31t) 과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의 접합부 (J) 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부재 (40B) 는, 제 1 접속부 (41B) 와 제 2 접속부 (42B) 를 구비한다.
제 1 접속부 (41B) 는,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에 용접되어 있다. 제 1 접속부 (41B) 는, 상승부 (31) 의 상승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면 (48)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속부 (42B) 는, 제 1 접속부 (41B) 보다 상방 그리고 카고 탱크 (20) 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접속부 (42B) 는,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에 용접되어 있다.
접속 부재 (40B) 는, 제 1 접속부 (41B) 로부터 제 2 접속부 (42B) 를 향하여, 카고 탱크 (20) 의 중앙측에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 부재 (40B) 는, 탱크 커버 (30B) 의 시일실 (52B) 의 내측에, 상부 커버부 (34) 의 내면 (34g) 에 연속하는 내주면 (49) 을 가지고 있다.
접속 부재 (40B) 는, 제 1 접속부 (41B) 와 제 2 접속부 (42B) 사이에, 탱크 커버 (30B) 의 외방을 향하여 상부 커버부 (34) 의 외면 (34f) 보다 팽출하는 만곡면 (46w) 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속 부재 (40B) 는, 제 1 접속부 (41B) 와 제 2 접속부 (42B) 사이에, 상승부 (31) 및 상부 커버부 (34) 의 두께 (t1) 보다 큰 두께 (t2) 를 가진 두께부 (46)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접속 부재 (40B) 는, 제 2 접속부 (42B) 의 두께가,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의 두께보다 작다. 제 2 접속부 (42B) 는,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에 대하여, 외주단 (34s) 의 카고 탱크 (20) 측의 단부 (端部) (34t) 에서 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속 부재 (40B) 는, 예를 들어, 도 5 중에 2 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원형의 봉재 (50) 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봉재 (50) 를 이용하면, 만곡면 (46w) 을 봉재 (50) 의 외주면의 일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 (40B) 는, 제 1 접속부 (41B) 와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을 맞댄 상태로 용접부 (W3) 에 있어서 용접된다. 또한, 접속 부재 (40B) 는, 제 2 접속부 (42B) 와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을 맞댄 상태로 용접부 (W4) 에 있어서 용접된다.
여기서, 용접부 (W3) 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에 개선 (31k) 을 형성함으로써, 제 1 접속부 (41B) 와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을 용접한다.
또한, 용접부 (W3) 에 있어서는,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의 두께보다 작은 제 2 접속부 (42B) 가,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에 대하여, 외주단 (34s) 의 카고 탱크 (20) 측의 단부 (34t) 에서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과, 접속 부재 (40B) 의 만곡면 (46w) 사이에, V 자상의 오목부 (51) 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 (51) 를 개선으로서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제 2 접속부 (42B) 나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에 개선을 형성하는 수고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탱크 커버 (30B) 의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이, 상승부 (31) 의 상단 (31t) 보다 카고 탱크 (20) 의 중앙측에 배치된다. 또한, 탱크 커버 (30B) 의 상승부 (31) 의 상단 (31t) 과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사이에, 접속 부재 (40B) 가 개재된다.
그 때문에,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가 굴곡 또는 만곡하여 접합되는 접합부 (J) 에 작용하는, 상부 커버부 (34) 의 하중 등에 의한 응력은,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사이에 배치된 접속 부재 (40B) 에 작용한다.
또한, 접합부 (J) 에 있어서의 피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속 부재 (40B) 의 제 1 접속부 (41B) 와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의 용접부 (W3), 및, 접속 부재 (40B) 의 제 2 접속부 (42B) 와 상부 커버의 외주단 (34s) 의 용접부 (W4) 에 작용하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를 직접 용접하고 있던 경우와 비교하여,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의 접합부 (J) 에 배치되는 접속 부재 (40B) 의 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탱크 커버 (30B) 의 중량 증가 및 용접의 수고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접속 부재 (40B) 는, 미리 소정 형상으로 제작해 두면, 시공 현장에 있어서는, 접속 부재 (40B) 의 제 1 접속부 (41B) 및 제 2 접속부 (42B) 를, 상승부 (31) 의 상단 (31t) 및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에 용접하면 되어, 시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 (40B) 는, 제 1 접속부 (41B) 로부터 제 2 접속부 (42B) 를 향하여, 카고 탱크 (20) 의 중앙측에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만곡부 (44) 를 형성하지 않고, 접속 부재 (40B)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 (40B) 에 두께부 (46) 를 형성함으로써,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의 접합부 (J) 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접속부 (42B) 의 두께가,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접속 부재 (40B) 의 제 2 접속부 (42B) 와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 (40B) 의 제 2 접속부 (42B) 와 상부 커버부 (34) 의 외주단 (34s) 의 용접부 (W4) 에, 개선을 형성하는 수고를 억제할 수도 있다.
제 1 접속부 (41B) 는, 상승부 (31) 의 상승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면 (48) 이다. 이에 의해, 상승부 (31) 의 상단 (31t) 과 접속 부재 (40B) 의 제 1 접속부 (41B) 의 용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이 발명은,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을 가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 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커버 (30A, 30B) 의 상부 커버부 (34) 가, 천장면부 (32) 와 진구 형상부 (33) 를 구비하도록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 커버부 (34) 는, 상방을 향하여 그 직경 방향이 점차 작아지는 반구상이나 원추상 등,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카고 탱크 (20) 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 이외의 어떠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선박에 적용 가능하다.
10A, 10B ; 선박
11 ; 선체
11c ; 선수
11d ; 선미
12 ; 상갑판
14 ; 현측
15 ; 화물 탑재 구획
17 ; 상부 구조
20 ; 카고 탱크
20a ; 상부
20t ; 정상부
21 ; 하부 반구상부
22 ; 원통상부
22t ; 상단
23 ;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a ; 제 1 만곡부
23b ; 제 2 만곡부
25 ; 돔 탑
26 ; 차양부
30A, 30B ; 탱크 커버
31 ; 상승부
31k ; 개선
31t ; 상단
32 ; 천장면부
32h ; 개구부
33 ; 진구 형상부
34 ; 상부 커버부
34f ; 외면
34g ; 내면
34s ; 외주단
34t ; 단부
35 ; 보강 부재
36 ; 내측 보강 부재
40A, 40B ; 접속 부재
41A, 41B ; 제 1 접속부
42A, 42B ; 제 2 접속부
43 ; 하부 연직부
44 ; 만곡부
45 ; 내방 연장부
46 ; 두께부
46w ; 만곡면
47, 48 ; 직교면
49 ; 내주면
50 ; 봉재
51 ; 오목부
Da ; 선수미 방향
Dv ; 상하 방향
J ; 접합부
W1, W2, W3, W4 ; 용접부

Claims (7)

  1. 선체와,
    상기 선체의 상갑판으로부터 상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카고 탱크와,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상부를 덮는 탱크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 커버는, 상기 카고 탱크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상기 상갑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의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의 상방에 형성되어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외주단이 상기 상승부의 상단보다 상기 카고 탱크의 중앙측에 배치된 상부 커버부와,
    상기 상승부의 상단과 상기 상부 커버부의 외주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승부의 상기 상단에 용접된 제 1 접속부, 및, 상기 제 1 접속부보다 상방 그리고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중앙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커버부의 상기 외주단에 용접된 제 2 접속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 사이에, 상기 탱크 커버의 외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만곡부를 가지고 있는 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연직 상방의 상기 만곡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하부 연직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상기 카고 탱크의 중앙측의 상기 제 2 접속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내방 연장부를 구비하는 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2 접속부를 향하여,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중앙측에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선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 사이에, 상기 상승부 및 상기 상부 커버부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진 두께부를 가지고 있는 선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2 접속부의 두께가, 상기 상부 커버부의 외주단의 두께보다 작은 선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상승부의 상승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면인 선박.
KR1020180015500A 2017-07-10 2018-02-08 선박 KR102046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34901A JP6654605B2 (ja) 2017-07-10 2017-07-10 船舶
JPJP-P-2017-134901 2017-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425A true KR20190006425A (ko) 2019-01-18
KR102046703B1 KR102046703B1 (ko) 2019-11-19

Family

ID=6532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500A KR102046703B1 (ko) 2017-07-10 2018-02-08 선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54605B2 (ko)
KR (1) KR1020467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551A (ja) 2003-09-24 2005-04-14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ンクカバー及び船舶
WO2016162908A1 (ja) * 2015-04-08 2016-10-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舶用液化ガスタンク及びそれを備える液化ガス運搬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551A (ja) 2003-09-24 2005-04-14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ンクカバー及び船舶
WO2016162908A1 (ja) * 2015-04-08 2016-10-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舶用液化ガスタンク及びそれを備える液化ガス運搬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54605B2 (ja) 2020-02-26
KR102046703B1 (ko) 2019-11-19
JP2019014441A (ja)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3900B2 (ja) 液化ガス運搬船
KR101465714B1 (ko) 해양구조물의 탑사이드 모듈 지지장치
WO2021132277A1 (ja) カーゴタンクユニット及び船舶
KR20200112971A (ko) 선박
JP6609828B2 (ja) デッキ置きタンク構造、船舶、タンクの据え付け方法及び点検方法
JP6139957B2 (ja) 液化ガス運搬船の球形タンク支持構造
CN101473162B (zh) 扩充的球形液化天然气储存罐及其制造方法
KR20190006425A (ko) 선박
EP3144212A1 (en) Hull support structure for liquefied gas tank, and liquefied gas carrier vessel
KR20120119333A (ko) 박스형 거더를 구비한 선박
CN100577510C (zh) 罐盖及船舶
US10450039B2 (en) Non-spherical tank and liquefied gas carrier ship equipped with the non-spherical tanks
JPH01164696A (ja) 上甲板上にドームを有する船舶
JP6751692B2 (ja) 船舶
WO2024029564A1 (ja) 船舶
KR102017220B1 (ko) 선박용 액화가스 탱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WO2023234285A1 (ja) 船舶
JP6721545B2 (ja) 船舶
JP6710183B2 (ja) 船舶
JP5139902B2 (ja) 荷液運搬船
KR102280713B1 (ko) 선박용 탱크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6650781B2 (ja) 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