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720A - 휴대용 인명 구조낭 - Google Patents

휴대용 인명 구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720A
KR20220097720A KR1020200188656A KR20200188656A KR20220097720A KR 20220097720 A KR20220097720 A KR 20220097720A KR 1020200188656 A KR1020200188656 A KR 1020200188656A KR 20200188656 A KR20200188656 A KR 20200188656A KR 20220097720 A KR20220097720 A KR 20220097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tunnel
evacuation tunnel
support 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378B1 (ko
Inventor
강명원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20018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3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7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휴대용 인명 구조낭은 구조물의 상부에 하방걸림되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걸림부를 고정 지지하며 탈출구를 형성하는 지지링부와, 지지링부의 대향한 한 쌍의 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지지링부에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를 갖고, 대피자의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천재질의 대피터널, 복수의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링부에 걸림결합되어 대피터널이 걸림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의 신축 가능한 한 쌍의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인명 구조낭{Portable Lifesaving Tunnel}
본 발명은 휴대용 인명 구조낭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구조물에 걸리도록 설치 가능한 휴대용 인명 구조낭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 영역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실내에 있는 인원들은 대피경로를 확보하지 못하므로 창문을 통하여 대피하여야 한다. 화재가 번져 급하게 대피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넓은 침대형 튜브를 설치한 후 창문에서 뛰어내리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대피자가 매우 무서워하여 창문에서 뛰어내리는 경우에도 안전이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튜브형 대피터널과 같은 대피장치를 현장에 설치하여 인원을 대피시키면 좋지만 이러한 대피장치를 휴대하기 어려우며 현자마다 설치조건이 다르므로 신속하게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할 수 있으며 설치하기 쉬운 휴대용 인명 구조낭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인명 구조낭에 있어서, 구조물의 상부에 하방걸림 되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를 고정 지지하며 탈출구를 형성하는 지지링부와, 상기 지지링부의 대향한 한 쌍의 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링부에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를 갖고, 대피자의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천재질의 대피터널; 상기 복수의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링부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대피터널이 걸림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의 신축 가능한 한 쌍의 지지봉을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터널은,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대피터널; 상기 외측대피터널의 내측에 배치되며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신축 가능한 내향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내측대피터널을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터널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을 갖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터널의 외측에 지지 배치되어 상기 대피터널의 축심을 향해 내향탄성을 가하여 상기 대피터널을 통해 대피하는 대피자의 탈출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걸림부의 대향한 영역의 상기 지지링부로부터 상방 연장되어 대피자의 탈출구로의 진입을 위한 안전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링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피터널에 배치되는 탈출보조를 위한 안전로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로프에 연결되며 대피자에 착용되어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로프를 둘러싸면서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압박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안전로프를 압박하여 상기 안전로프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감속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프레임, 대피터널, 결합부재 및 지지봉을 분리하여 쉽게 휴대할 수 있으며, 화재 현장에서 지지프레임에 대피터널을 결합부재로 결합시키고 지지봉을 연결한 후 구조물로 올려 걸리도록 하여 신속하게 설치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명 구조낭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대피터널을 이용한 간략 대피 동작도이다.
도 3은 감속 탄성부재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4는 감속 탄성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안전로프와 추락방지부를 이용한 대피 동작도이다.
도 6은 감속 클램프의 동작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을 이용한 대피 동작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 '고정',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 고정,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측, 타 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명 구조낭(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대피터널(20)을 이용한 간략 대피 동작도며, 도 3은 감속 탄성부재(40)의 설치 예시도이고, 도 4는 감속 탄성부재(40)의 상세도이며, 도 5는 안전로프(60)와 추락방지부(70)를 이용한 대피 동작도고, 도 6은 감속 클램프(80)의 동작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1)을 이용한 전체 대피 동작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인명 구조낭(1)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용 인명 구조낭(1)은 지지프레임(10), 대피터널(20), 결합부재(30), 감속 탄성부재(40), 지지봉(50), 안전로프(60), 추락방지부(70) 및 감속 클램프(8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0)은 구조물(2) 즉, 아파트 난간에 걸리어 지지할 수 있는 링 형상의 지지대이다. 지지프레임(10)은 지지링부(11), 걸림부(12), 연결부(13) 및 안전가이드(14)를 포함한다.
지지링부(11)는 대피자들이 타출할 수 있는 탈출구를 형성한다. 지지링부(11)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며 금속재질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부(12)는 지지링부(11)에 지지되며 구조물(2)의 상부에 하방걸림 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12)는 지지링부(11)의 적어도 2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지지링부(11)의 범위에 대한 외향 만곡진 형상으로 휘어져 아파트 난간에 걸릴 수 있는 형상을 이룬다.
연결부(13)는 후술할 지지봉(50)이 삽입되어 지지프레임(10)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링부(11)의 대향한 한 쌍의 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결부(13)는 후술할 지지봉(5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지지공이 형성된다.
안전가이드(14)는 걸림부(12)의 대향한 지지링부(11)에 지지되어 형성된다. 대피자가 지지링부(11)로 몸을 넣는 경우 뒤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해 준다.
대피터널(20)은 대피자의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큰 튜브, 터널 형상으로 형성된다. 대피터널(20)은 지지링부(11)에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를 갖는다. 대피터널(20)은 외측대피터널(21), 제1내측대피터널(22), 제2내측대피터널(23) 및 탈출지지링(24)을 포함한다. 대피터널(20)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을 갖는다.
외측대피터널(21)은 천재질로 외측에 배치되며 지지링부(11)에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로 걸림지지공(211)이 복수 형성된다. 걸림지지공(211)은 탈출구의 연부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결합부재(30)에 의해 지지링부(11)에 지지될 수 있다.
제1내측대피터널(22)과 제2내측대피터널(23)은 외측대피터널(21)의 내측에 배치되며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신축 가능한 내향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제1내측대피터널(22)과 제2내측대피터널(23)으로 인하여 대피자들은 하방으로 추락하지 않고 천천히 탈출할 수 있다.
탈출지지링(24)은 외측대피터널(21) 탈출구의 연부영역에 지지된다. 탈출지지링(24)에 의해 외측대피터널(21), 제1내측대피터널(22)과 제2내측대피터널(23)이 터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결합부재(30)는 지지링부(11)에 손쉽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캐러비너로 마련될 수 있다.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지지링부(11)에 대피터널(20)이 걸려 있을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재(30)는 복수의 결합부 즉, 걸림지지공(2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링부(11)에 걸림 결합되어 대피터널(20)이 걸림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감속 탄성부재(40)는 대피터널(20)의 외측에 지지 배치되어 대피터널(20)의 축심을 향해 내향탄성을 가하여 대피터널(20)을 통해 대피하는 대피자의 탈출속도를 감소시킨다. 감속 탄성부재(40)로 인하여 대피자, 대피터널과 감속 탄성부재(40)의 마찰이 증가하고 하방으로의 속도가 감속되어 추락하지 않으면서 천천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감속 탄성부재(40)는 2개의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탄성부재(41)과 제2탄성부재(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탄성부재(41)는 링 형상의 제1탄성본체(411)와 결합편(4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탄성부재(42)는 제1탄성부재(41)의 형상과 유사한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탄성본체(421)와 결합편(412)을 수용 지지하며 제2탄성본체(421)의 일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된 결합공(422)를 갖는다.
지지봉(50)은 한 쌍의 연결부(13)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의 신축 가능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봉(50)은 제1지지봉(51), 제2지지봉(52) 및 제3지지봉(53)으로 이중관의 형상으로 소위 낚시대형상으로 그 길이가 신축될 수 있다.
안전로프(60)는 지지링부(11)에 결합되어 대피터널(20)에 배치되는 탈출보조를 위한 구성이다. 대피자들은 안전로프(60)를 붙잡고 대피할 수도 있다.
추락방지부(70)는 안전로프(60)에 연결되며 대피자에 착용되어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대피자가 대피터널(20)을 탈출하는 경우 발로 밟고 안정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감속 클램프(80)는 안전로프(60)를 둘러싸면서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압박하는 정도에 따라 안전로프(60)를 압박하여 안전로프(6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낙하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감속 클램프(80)는 제1클램프(81), 제2클램프(82) 및 힌지부(83)를 갖는다.
제1클램프(81)와 제2클램프(82)는 둥그런 반원 형상을 갖고 힌지부(8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클램프(81)와 제2클램프(82)는 안전로프(60)를 중심에 두고 상호 회전되어 클램핑하는 접근동작 및 해제동작을 할 수 있다. 클램핑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잠금조절 걸림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는 대피터널(20)을 이용한 간략 대피 동작도다.
도 2 (a) 대피터널(20)이 외측대피터널(21)이 외측에 위치에 있고, 그 내측으로 제1내측대피터널(22)과 제2내측대피터널(23)이 배치되어 있다.
도 2 (b) 대피자가 제1내측대피터널(22)과 제2내측대피터널(23)로 들어와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동작이다. 제1내측대피터널(22)과 제2내측대피터널(23)은 내향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어 대피자가 터널 내로 들어오면 하방으로 떨어지려는 힘이 발생하면서 내향 탄성을 가지는 제1내측대피터널(22)과 제2내측대피터널(23)의 내면에 마찰되고 걸리면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대피자의 속도를 크게 감속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대피자는 추락하지 않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도 3은 감속 탄성부재(40)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3 (a) 감속 탄성부재(40)가 좌우에 배치된 지지봉(50)에 지지된 상태에서 대피터널(20)을 탄성적으로 클램핑하며 배치되어 있는 측방의 모습이다.
도 3 (b) 감속 탄성부재(40)의 하방으로 본 평면 상의 모습이다.
도 4는 감속 탄성부재(40)의 상세도이다.
도 4 (a) 제1탄성부재(41)의 결합편(412)이 제2탄성부재(42)의 결합공(422)에 삽입 걸림 결합되어 있는 평면 상의 형태이다.
도 4 (b) 제1탄성부재(41)의 결합편(412)이 제2탄성부재(42)의 결합공(422)에 삽입 걸림 결합되어 있는 측방의 형태이다.
도 5는 안전로프(60)와 추락방지부(70)를 이용한 대피 동작도다.
도 5 (a) 안전로프(60)가 지지프레임(10)에 걸린 상태에서 안전로프(60) 말단에는 판상의 추락방지부(70)가 연결되어 있다. 대피자는 지지프레임(10)의 탈출구를 통하여 추락방지부(70)를 딛으며 위치한다. 이렇게 대피자가 추락방지부(70)를 딛으며 위치하는 경우 소방 구급대원들이 안전로프(60)를 잡고 대피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잡는다. 또는 안전로프(60)가 감겨 있고 천천히 회전구동되면서 안전로프(60)를 풀어주는 턴테이블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 (b) 소방 구급대원들 또는 안전로프(60)를 풀어주는 턴테이블이 안전로프를 잡은 상태에서 천천히 풀어주면서 추락방지부(70)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대피자를 대피시킨다.
도 6은 감속 클램프(80)의 동작도이다.
도 6 (a) 안전로프(60)를 사이에 두고 제1클램프(81)와 제2클램프(82)가 배치되어 있다.
도 6 (b) 대피자가 탈출구에 들어와 감속 클램프(80)를 잡고 클램핑하면서 제1클램프(81)와 제2클램프(82)가 안전로프(60)를 압박하면서 대피자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스스로 조절하면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1)을 이용한 전체 대피 동작도다.
도 7 (a) 지지프레임(10), 대피터널(20), 안전로프(60) 및 추락방지부(70)를 휴대하여 화재 현장으로 이동한 후 설치를 위해 배치한 상태이다.
도 7 (b) 대피터널(20)을 지지프레임(10)에 걸리도록 설치하고, 안전로프(60)에 추락방지부(70)를 설치한 후 지지프레임(10)에 걸리도록 설치한다.
도 8 (a) 한 쌍의 지지봉(50)을 연결부(13)에 연결하고 지지봉(50)을 신축되게 하여 대피현장의 구조물 즉, 아파트 난간으로 들어올린다.
도 8 (b) 들어올려진 지지프레임(10)의 걸림부(12)를 아파트 난간에 걸리게 한다.
도 9 (a) 대피자에게 탈출구로 이동하도록 안내방송을 한다. 이에 대피자가 지지프레임(10)으로 이동한다.
도 9 (b) 대피자가 추락방지부(70)를 밟고 탈출구에 들어오게 한 후 하측으로 이동시켜 대피시킨다.
상기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 걸림부의 걸림말단에도 캐러비너와 같이 탄성을 가지고 걸림방향으로 걸림 잠금되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마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추락방지부(70)를 판상으로 표현하였지만 바구니로 마련되어 대피자가 안심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대피터널(20)은 지지링부(11)에 결합부재(30)에 의해 결합된 후 대피터널(20) 내측에 지지되며 구비된 탈출유도입구를 짧은 터널 또는 큰 튜브 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탈출유도입구는 대피터널(20) 내측에 지지되어 있다가 외부로 꺼내진 후 탈출구로 유도하는 형상의 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 휴대용 구조낭 10 : 지지프레임
11 : 지지링부 12 : 걸림부
13 : 연결부 14 : 안전가이드
20 : 대피터널 21 : 외측대피터널
211 : 걸림 지지공 22 : 제1내측대피터널
23 : 제2내측대피터널 24 : 탈출지지링
30 : 결합부재 40 : 감속 탄성부재
41 : 제1탄성부재 411 : 제1탄성본체
412 : 결합편 42 : 제2탄성부재
421 : 제2탄성본체 422 : 결합공
50 : 지지봉 51 : 제1지지봉
52 : 제2지지봉 53 : 제3지지봉
60 : 안전로프 70 : 추락방지부
80 : 감속 클램프 81 : 제1클ŽL프
82 : 제2클램프 83 : 힌지부

Claims (6)

  1. 휴대용 인명 구조낭에 있어서,
    구조물의 상부에 하방걸림되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를 고정 지지하며 탈출구를 형성하는 지지링부와, 상기 지지링부의 대향한 한 쌍의 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링부에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를 갖고, 대피자의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천재질의 대피터널;
    상기 복수의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링부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대피터널이 걸림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의 신축 가능한 한 쌍의 지지봉을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터널은,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대피터널;
    상기 외측대피터널의 내측에 배치되며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신축 가능한 내향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내측대피터널을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터널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을 갖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터널의 외측에 지지 배치되어 상기 대피터널의 축심을 향해 내향탄성을 가하여 상기 대피터널을 통해 대피하는 대피자의 탈출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걸림부의 대향한 영역의 상기 지지링부로부터 상방 연장되어 대피자의 탈출구로의 진입을 위한 안전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피터널에 배치되는 탈출보조를 위한 안전로프;
    상기 안전로프에 연결되며 대피자에 착용되어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부; 및
    상기 안전로프를 둘러싸면서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압박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안전로프를 압박하여 상기 안전로프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감속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명 구조낭.

KR1020200188656A 2020-12-31 2020-12-31 휴대용 인명 구조낭 KR102593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656A KR102593378B1 (ko) 2020-12-31 2020-12-31 휴대용 인명 구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656A KR102593378B1 (ko) 2020-12-31 2020-12-31 휴대용 인명 구조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720A true KR20220097720A (ko) 2022-07-08
KR102593378B1 KR102593378B1 (ko) 2023-10-25

Family

ID=8240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656A KR102593378B1 (ko) 2020-12-31 2020-12-31 휴대용 인명 구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3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0520A (en) * 1979-01-29 1980-12-23 Lagrone Janet L Hi rise escape tunnels and slide
KR200437834Y1 (ko) * 2007-01-17 2008-01-02 이민철 완강기
JP3214144U (ja) * 2017-10-12 2017-12-21 株式会社ダイワホ−サン 鉄道車両用避難滑り台
JP2018126271A (ja) * 2017-02-07 2018-08-16 石川商工株式会社 避難用ハッチの救助袋
WO2019155192A1 (en) * 2018-02-07 2019-08-15 Ghassan Nehaili Chut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4144B2 (ja) * 1993-03-23 2001-10-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加工情報作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0520A (en) * 1979-01-29 1980-12-23 Lagrone Janet L Hi rise escape tunnels and slide
KR200437834Y1 (ko) * 2007-01-17 2008-01-02 이민철 완강기
JP2018126271A (ja) * 2017-02-07 2018-08-16 石川商工株式会社 避難用ハッチの救助袋
JP3214144U (ja) * 2017-10-12 2017-12-21 株式会社ダイワホ−サン 鉄道車両用避難滑り台
WO2019155192A1 (en) * 2018-02-07 2019-08-15 Ghassan Nehaili Chut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378B1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4341A (en) Radiation protection device, particularly for medical X-ray, radiation therapy and diagnostic use
US20150183624A1 (en) Pulley device
ATE304813T1 (de) Okklusionsvorrichtung
KR100607190B1 (ko) 트레이닝 장치
US20170247236A1 (en) Rope guidance for second device used on durahoist arm
US20210101031A1 (en) Securing Device
KR20220097720A (ko) 휴대용 인명 구조낭
US5716306A (en) Free weight self spotting apparatus
US4544121A (en) Support apparatus for medical appliance
JP6518225B2 (ja) ケーブルグリッパ
US9364695B2 (en) Trolley comprising a fall arrest actuator
JP2006510404A (ja) 建築物用避難装置
EP1438105A1 (de) Vorrichtung zur rettung von personen aus bauwerken wie gebäuden, bohrinseln, schiffen oder ähnlichem
KR200259806Y1 (ko) 비상탈출장치
CN219754095U (zh) 一种施工脚架边缘防坠网
KR101480854B1 (ko) 낚싯대 지지장치
US5873432A (en) Abseil rescue system with velocity control system
CN105852900A (zh) 一种x线胸部摄片架的辐射防护装置
JP6675958B2 (ja) ブラインド
US20180147422A1 (en) Escape system using a textile element of variable diameter
JPS5847547B2 (ja) 高層建築物の外装版揚重方法及び装置
JP2000344440A (ja) 2:1ローピング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掛け作業方法およびその主ロープ案内装置
KR20120122682A (ko) 완강기
KR102432389B1 (ko) 천장 하부 구조물의 커버 장치
JPH0885685A (ja) ガイドレールに沿う昇降体の安全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