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806Y1 -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806Y1
KR200259806Y1 KR2020010030731U KR20010030731U KR200259806Y1 KR 200259806 Y1 KR200259806 Y1 KR 200259806Y1 KR 2020010030731 U KR2020010030731 U KR 2020010030731U KR 20010030731 U KR20010030731 U KR 20010030731U KR 200259806 Y1 KR200259806 Y1 KR 200259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bracket
emergency escape
platfor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송학
Original Assignee
나노지오닷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지오닷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노지오닷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0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806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시 안전하게 탈출하기 위한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비상탈출장치는, 하부에 탈출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안착판(41)이 구비되고, 이 안착판(41)상에는 수직한 수직봉(43)과, 이에 수평한 수평봉(44)(44b)이 구비되며, 수직봉(43)의 일측에는 고정수단(40a)이 구비되어 있는 승강대(40)와; 상기 승강대(40)의 고정수단(40a)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서 구비되는 원형의 로프(60)와; 상기 로프(60)의 일측이 그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체(33)상에 이송가능하도록 감김되어서 구비되고, 그 상부는 절곡되어 형성된 걸이대(30)와; 상기 걸이대(30)의 상부와, 승강대(40)의 하부 수평봉(44)이 그 일측에 각각 걸림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창문이 설치되는 벽체(100)상에 이 벽체(100)의 두께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하여서 벽체(100)상에 끼워 구비하도록 된 지지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탈출자를 보다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건물로부터 탈출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힘이 없는 노약자나 어린이 및 여성들을 보다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비상탈출장치{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본 고안은 비상시 안전하게 탈출하기 위한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의 건물에 입주한 입주들이 화재시와 같은 비상사태의 경우 건물의 창문을 통해서 건물밖으로 안전하게 탈출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화재시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될 경우에는 흔히 소방장비의 일부인 고가사다리를 이용하여 대피하게 되거나, 또는 공기매트를 설치하여서 이 공기매트 위로 뛰어내리게 하는 등의 비상탈출이 이루어지곤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상탈출방법 즉, 고가사다리는 이 고가사다리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적 제한이 크고, 고가사다리가 미치지 못하는 고층인 경우에는 무용지물(無用之物)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공기매트는 이의 설치시에 많은 설치인원과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제한이 따르고, 고층인 경우에는 탈출자의 불안한 심리로 인하여 탈출시간이 지연됨과 아울러 바람 등에 의해서 공기매트로의 정확한 착지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물의 창문을 통해 건물 외벽을 타고 탈출하도록 구성하여, 고층의 건물에도 적용가능함과 아울러 이의 설치가 간단하여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건물밖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일부 절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걸고리를 도시한 도면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안전벨트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승강대와 안전벨트가 같이 사용된 사용상태도로서, 도 8은 일반적인 탈출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후탈출자가 승강대 및 안전벨트를 로프에 고정할 때의 선탈출자의 탈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탈출장치 10 : 지지대
11 : 지지부재 12 : 수직프레임
13 : 발판프레임 14 : 수평프레임
15 : 결합공 16 : 이동부재
17 : 수직프레임 18 : 발판프레임
19 : 수평프레임 20 : 결합공
21 : 볼트 22 : 나비너트
30 : 걸이대 31 : 측방프레임
32 : 연결프레임 33 : 회전체
34 : 방지판 40 : 승강대
40a : 고정수단 41 : 안착판
42 : 요홈 43 : 수직봉
44,44b : 수평봉 44a : 장공
45 : 브라켓 45a : 구멍
46 : 요홈 47 : 제 1 볼트
48 : 나비너트 49 : 웰드너트
50 : 압착돌부 51 : 요철부
52 : 고정볼트 53 : 노브
54 : 압착판 55 : 연결끈
56 : 제 2 볼트 57 : 나비너트
58 : 슬라이드바 59 : 파지봉
60 : 로프 61 : 표식부
70 : 안전벨트 72 : 벨트고리
73 : 보조로프 74 : 걸고리
75 : 요철부 100 : 벽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에 탈출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안착판이 구비되고, 이 안착판상에는 수직한 수직봉과, 이에 수평한 수평봉이 구비되며, 수직봉의 일측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고정수단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서 구비되는 원형의 로프와; 상기 로프의 일측이 그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체상에 이송가능하도록 감김되어서 구비되고, 그 상부는 절곡되어 형성된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상부와, 승강대의 하부 수평봉이 그 일측에 각각 걸림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창문이 설치되는 벽체상에 이 벽체의 두께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하여서 벽체상에 끼워 구비하도록 된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탈출자를 보다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비상탈출장치(2)는 크게 지지대(10), 걸이대(30), 로프(60), 승강대(4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지대(10)는 대략 'ㄱ'자 형상의 지지부재(11)와 이동부재(16)가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어 사다리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창문이 설치되는 벽체(100)상에 이 벽체(100)의 두께에 따라 이동부재(16)를 지지부재(11)상에서 이동시켜 지지부재(11)와의 사이폭을 조절하여 벽체(100)상에 끼워 설치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벽(100)에 설치되는 지지대(10)는 이동부재(16)가 건물밖으로 위치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지지부재(11)와 이동부재(16)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서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되, 이 지지부재(11)와 이동부재(16)는 각각 그 양편에 수직프레임(12)(17)이 구비되고, 이 양 수직프레임(12)(17) 사이에는 다수의 발판프레임(13)(18)이 각각 구비되며, 수직프레임(12)(17)의 상부에는 수직프레임(12)(17)에 직교하도록 수직하게 구비된 각각의 수평프레임(14)(19)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이동부재(16)상의 발판프레임(18)은 적어도 세개이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지지대(10)는 이동부재(16)가 벽(100)의 두께에 따라 지지부재(11)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바, 이동부재(16)의 수평프레임(19)은 지지부재(11)의 수평프레임(14)상에 끼워져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각 수평프레임(14)(19)상에는 상호 일치되도록 된 다수의결합공(15)(20)이 각각 형성되며, 이 결합공(15)(20)에는 볼트(21)가 관통.삽입되어서 나비너트(22)로서 체결되어 이동부재(16)를 지지부재(11)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걸이대(30)는 그 양편에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측방프레임(31)이 구비되고, 이 측방프레임(31)의 하부에는 양편의 측방프레임(31)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2)이 형성되며, 이 연결프레임(32)상에는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회전체(33)가 구비된다.
상기한 측방프레임(31)의 상단부는 이동부재(16)에 구비된 발판프레임(18)의 두께에 대응한 폭으로 절곡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회전체(33)에는 로프(60)가 이송가능하도록 감김되어 구비되는 바, 이 로프(60)에는 로프(60)의 이동방향에 따른 화살표로 이루어진 표식부(61)가 형성되고, 회전체(33)의 양단부에는 회전체(33)와 걸이대(30) 사이에 로프(60)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된 방지판(3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승강대(40)는 탈출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안착판(41)이 구비되고, 이 안착판(41)의 상부에는 수직한 수직봉(43)이 구비되며, 이 수직봉(43)의 일측과, 상단부에는 수평봉(44)(44b)이 각각 설치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수직봉(43)의 일측에는 로프(60)에 고정되는 고정수단(40a)이 구비되는 바, 이 고정수단(40a)은 수직봉(43)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그 내부로 로프(60)가삽입되도록 전면 및 상,하면이 개구된 형태의 브라켓(45)이 형성되고, 이 브라켓(45)의 일면에는 웰드너트(49)가 용접되어 구비되며, 이 웰드너트(49)에는 그 일단에 노브(53)를 갖는 고정볼트(52)가 체결되어서 타단부가 브라켓(45)내의 로프(60)를 압압하여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고정볼트(52)의 타단부 즉, 브라켓(45)내의 로프(60)를 압압하는 측에는 로프(60)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로프(60)를 견고하게 압압하도록 된 압착판(5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고정볼트(52)에 대향되는 브라켓(45)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고정볼트(52)에 의해서 압압된 로프(60)의 일측이 꺽이도록 하여 로프(60)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도록 된 압착돌부(5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브라켓(45)의 상부에는 로프(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요홈(46)이 형성되고, 이 요홈(46)상에는 제 1 볼트(47)와 나비너트(48)가 브라켓(45)을 가로질러 체결되어서 브라켓(45)으로부터 로프(60)의 이탈을 차단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요홈(46)과 이격된 브라켓(45)의 일측에는 이 브라켓(45)을 관통하는 구멍(45a)이 형성되고, 이 구멍(45a)에는 전술한 제 1 볼트(47)와 같이 로프(6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제 2 볼트(56)가 브라켓(45)을 가로지르며 삽입되어서 나비너트(57)로서 체결.고정되어서 로프(60)의 이탈을 완전히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한 제 1 및 제 2 볼트(47)(56)와 이에 해당하는 각 나비너트(48)(57)는체결된 상태로 보관되며, 이 볼트(47)(56)는 수직봉(43)상에 구비된 연결끈(55)에 각각 연결되어 있어, 이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특히 화재시에 볼트(47)(56)와 나비너트(48)(57)를 찾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신속한 설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안착판(41)의 일측 즉, 건물에 대향되는 일측에는 탈출자의 다리가 삽입되어서 건물 외벽과의 접촉에 의한 부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요홈(4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승강대(40)의 수직봉(43)상에는 복수개의 수평봉(44b)(44)이 상,하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바, 상기한 하부 수평봉(44)내에는 슬라이드바(58)가 출입가능하게 내장되어서 지지대(10)의 이동부재(16) 일측의 발판프레임(18)상에 걸림되도록 구비되고, 이 슬라이드바(58)의 외주면 상부에는 하부 수평봉(44)을 관통하도록 된 파지봉(59)이 수직하게 돌출되어서 구비되며, 이 파지봉(59)에 대응한 하부 수평봉(44)의 외주면 상부에는 이동되는 파지봉(59)을 안내 및 이의 이동량을 제한하도록 된 장공(44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바(58)에 의해서 탈출자가 지지대(10)로부터 승강대(40)의 분리를 용이케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상부 수평봉(44b)은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탈출자가 하나의 탈출장치(2)를 통해서 탈출을 행할 시에, 먼저 탈출하여 하강하고 있는 선탈출자가 그 위에서 하강하는 후탈출자의 승강대(40)로 인해 머리 등의 신체상에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설치된 것으로서, 이 상부 수평봉(44b)의 길이는 탈출자의 앉은 키보다 높도록 설치되되, 적어도 2m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부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탈출장치(2)는 크게 지지대(10), 걸이대(30), 로프(60) 및 안전벨트(70)로 대별되어 이루어지되, 상기한 지지대(10)와 걸이대(30) 및 로프(60)는 전술한 실시예의 탈출장치(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이의 설명은 생략하고, 안전벨트(7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한 안전벨트(70)는 전술한 실시예의 승강대(40)를 대신하는 것으로서, 탈출자의 허리에 착용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안전벨트(70)는 안전벨트(70)상에 구비된 버클(미도시)을 이용해서 탈출자의 허리에 착용된다.
또한, 상기한 안전벨트(70)상에는 벨트고리(72)가 구비되는 바, 이 벨트고리(72)에는 보조로프(73)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화살표의 표식부(61)가 아랫방향을 향한 로프(60)의 일측에 걸어 고정시키도록 된 걸고리(74)가 구비된다.
상기한 걸고리(74)의 내주면 일측에는 걸고리(74)와 로프(60)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완만하게 만곡된 요철부(7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2)는 건물의 화재 등과같은 비상시에 사용하게 되는 바, 이의 사용시는 먼저 창문이 설치된 벽체(100)상에 지지대(10)를 끼워서 구비시킨다.
이때, 상기한 지지대(10)의 이동부재(16)가 건물 외측으로 구비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설치후에는 벽(100)의 두께에 따라 이동부재(16)를 지지부재(11)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이의 수평프레임(19)(14)상에 형성된 결합공(20)(15)을 서로 일치시킨 후, 이 결합공(20)(15)에 볼트(21)를 관통.삽입하여 나비너트(22)로서 체결하면, 지지대(10)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지지대(10)는 지지부재(11)와 이동부재(16)의 수직프레임(12)(17)이 각각 건물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된 상태로서, 이 지지대(10)의 유동은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대(10)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걸이대(30)의 회전체(33)상에 로프(60)를 감아 구비하되, 화살표의 표식부(61)가 아랫방향으로 향한 로프(60)의 일측을 잡고서 반대편의 로프(60)를 회전체(33)상에 적어도 2회이상 감아 구비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로프(60)가 감김된 걸이대(30)의 상부를 이동부재(16)상에 구비된 최상단부의 발판프레임(18)상에 걸어 구비하면서 모든 로프(60)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켜 떨어뜨린다.
그러면, 상기한 로프(60)는 링과 같은 원형으로서 무한궤도를 그리며 이송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의 걸이대(30) 상부는 발판프레임(18)의 두께에 대응한 폭으로서 절곡되어 있어 발판프레임(18)상에서의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걸이대(30)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는 승강대(40)를 설치하게 되는 바, 승강대(40)의 하부 수평봉(44)내에서 파지봉(59)을 장공(44a)의 선단부측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드바(58)를 하부 수평봉(44)으로부터 인출시키고, 이와 같이 인출된 슬라이드바(58)의 하부를 지지대(10)의 이동부재(16)의 두번째 발판프레임(18)상에 걸어 놓은 후, 탈출자가 지지부재(11)와 이동부재(16)의 발판프레임(13)(18)을 밟고서 건물밖으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건물밖으로 빠져 나온 탈출자는 승강대(40)의 안착판(41)상에 형성된 요홈(42)으로 두 다리를 삽입시키면서 안착판(41)상에 앉은 상태로 승강대(40)의 수직봉(43)상에 구비된 고정수단(40a)에 로프(6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고정수단(40a)에 고정되는 로프(60)는 화살표의 표식부(61)가 아랫방향으로 향한 로프(60)의 일측을 고정수단(40a)의 브라켓(45)상에 삽입시킨 후, 고정볼트(52)의 노브(53)를 잡고 고정볼트(52)를 체결시키면, 고정볼트(52) 일단부의 압착판(54)이 이에 대향되는 브라켓(45)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로프(60)를 압압하여 승강대(40)를 로프(60)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된 로프(60)는 고정볼트(52)에 대향되는 브라켓(45)의 내측면 하단부에 구비된 압착돌부(50)와, 이의 전면에 형성된 요철부(51)에 의해서 로프(60)가 꺽이게 되므로써 로프(60)의 슬립현상이 완전히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후, 상기한 수직봉(43)의 상단부에 연결끈(55)으로서 구비된 제 1볼트(47)와 나비너트(48)를 브라켓(45)의 상단부에 형성된 요홈(46)상에 완전히 삽입시켜 끼운 후, 나비너트(48)를 제 1 볼트(47)에 완전히 체결함과 아울러 제 2 볼트(56)를 브라켓(45)의 구멍(45a)에 삽입시켜서 나비너트(57)를 체결.고정시키면, 브라켓(45)내에 삽입된 로프(60)의 이탈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이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대(40)의 설치를 완료하면, 첨부도면 도 2에서와 같이 탈출장치(2)의 모든 설치가 완료되는 바, 이 상태에서 탈출자는 승강대(40)의 안착판(41)상에 앉아 이동부재(16) 최하단의 발판프레임(18)을 밟은 상태에서 하부 수평봉(44)상의 파지봉(59)을 잡고서 장공(44a)의 후단부로 이동시켜 슬라이드바(58)를 수평봉(44)내로 인입시키면서 승강대(40)를 이동부재(16)의 발판프레임(18)으로부터 분리시켜 내면, 승강대(40)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의 탈출자는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손으로 상방향을 향한 표식부(61)가 있는 일측의 로프(60)를 잡은 상태에서 이 로프(60)를 일정간격으로 풀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탈출자가 로프(60)를 잡게 되면, 승강대(40)의 하강이 정지되는 제동기능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탈출장치(2)의 사용시는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전벨트(70)를 병용해서 사용하면 탈출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안전벨트(70)의 사용시는, 탈출자가 자신의 허리에 버클로서안전벨트(70)를 착용하게 된다.
이후, 상기한 안전벨트(70)상의 벨트고리(72)에 보조로프(73)를 매개로 구비된 걸고리(74)를 표식부(61)가 아랫방향을 향한 로프(60)측에 걸면, 걸고리(74)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요철부(75)가 로프(60)에 견고하게 접하여서 슬립현상이 완전히 방지됨과 아울러 탈출자는 보다 안전하게 건물에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승강대(40) 없이 안전벨트(70)만을 사용하여 탈출할 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식부(61)가 아랫방향을 향한 로프(60)에 설치된 걸고리(74)가 안전벨트(70)를 착용한 탈출자의 무게에 의해서 체결된 로프(60)상에 경사지게 구비되면서 이 걸고리(74)의 요철부(75)가 로프(60)의 일측에 견고하게 끼임되어 이의 슬립현상이 완전히 방지되면서 로프(60)와 같이 하강하게 되고, 이때의 탈출자는 양손으로 상방향을 향한 표식부(61)가 있는 일측의 로프(60)를 잡은 상태에서 이 로프(60)를 일정간격으로 풀면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탈출장치(2)를 이용하여 여러명의 탈출자가 탈출할 시는, 상기한 지지대(10), 걸이대(30), 로프(60), 승강대(40) 및 안전벨트(70)를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한 후 탈출하게 되는데, 선탈출자의 탈출중에 후탈출자가 승강대(40)를 로프(60)에 고정할 시에는 로프(60)가 이송되지 않기 때문에 선탈출자가 로프(60)에 매달린 상태가 됨으로써 이의 선탈출자는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70)의 걸고리(74)를 로프(60)로부터 분리시킨 후, 노브(53)를 갖는 고정볼트(52)상에 걸어 놓는다.
이후, 상기한 노브(53)를 잡고서 고정볼트(52)를 소정량 풀어 내면, 승강대(40)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때 고정볼트(52)의 풀림량은 로프(60)가 브라켓(45)과, 압착돌부(50) 및 고정볼트(52)의 압착판(54)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되도록 한 범위이내로서, 하강하는 승강대(40)의 하강속도를 완화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의 고정볼트(52)를 다시 조이면 압착판(54)이 로프(60)에 압착되면서 승강대(40)가 정지되는 제동기능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때 선탈출자는 자신의 앉은 키보다 높게 설치된 승강대(40)의 상부 수평봉(44b)에 의해서 후탈출자의 조작 미숙으로 인해 승강대(40)가 급하강할 시에도 승강대(40)의 안착판(41)이 상부 수평봉(44b)에 걸림되어 정지되므로써 부상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된 탈출장치(2)에 의해서 건물내의 많은 사람들이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건물밖으로 탈출하여 대피할 수 있게 되므로써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탈출장치(2)는 힘 없는 노약자나 어린이 및 여성들과 같은 사람들을 보다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게 된다.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탈출장치(2)의 승강대(40)를 이용하여 탈출하다가 탈출자의 인원이 승강대(40)의 갯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승강대(40)를 대신하여 안전벨트(70)만을 이용해서 탈출을 하게 된다.이때, 상기한 안전벨트(70)를 이용한 탈출은 통상적인 레펠과 같은 탈출방법으로서, 탈출자는 자신의 허리에 안전벨트(70)를 착용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100)상에 설치된 탈출장치(2)의 지지대(10)의 발판프레임(13)(18)을 밟고서 건물 외부로 이동한다.상기와 같이 건물 외부로 이동한 탈출자는 안전벨트(70)의 벨트고리(72)상에 보조로프(73)를 매개로 연결된 걸고리(74)를 표식부(61)가 아랫방향을 향한 로프(60)측에 걸어서 구비한다.한편, 상기와 같이 걸림된 안전벨트(70)의 걸고리(7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벨트(70)를 착용한 탈출자의 무게에 의해서 체결된 로프(60)상에 경사지게 구비되면서 이 걸고리(74)의 요철부(75)가 로프(60)의 일측에 견고하게 끼임되어 이의 슬립현상이 완전히 방지되게 된다.이후, 탈출자는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손으로 상방향을 향한 표식부(61)가 있는 일측의 로프(60)를 잡고, 발은 벽면(100)을 밟아 지지한 상태에서 파지한 로프(60)를 일정간격으로 풀면서 마치 건물의 벽면(100)을 걷듯이 하강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상탈출장치는 탈출자를 보다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탈출시킬 수 있고, 특히 힘이 없는 노약자나 어린이 및 여성들을 보다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2)

  1. 하부에 탈출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안착판(41)이 구비되고, 이 안착판(41)상에는 수직한 수직봉(43)과, 이에 수평한 수평봉(44)(44b)이 구비되며, 수직봉(43)의 일측에는 고정수단(40a)이 구비되어 있는 승강대(40)와;
    상기 승강대(40)의 고정수단(40a)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서 구비되는 원형의 로프(60)와;
    상기 로프(60)의 일측이 그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체(33)상에 이송가능하도록 감김되어서 구비되고, 그 상부는 절곡되어 형성된 걸이대(30)와;
    상기 걸이대(30)의 상부와, 승강대(40)의 하부 수평봉(44)이 그 일측에 각각 걸림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창문이 설치되는 벽체(100)상에 이 벽체(100)의 두께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하여서 벽체(100)상에 끼워 구비하도록 된 지지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40)의 고정수단(40a)은 수직봉(43)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그 내부로 로프(60)가 삽입되도록 개구된 브라켓(45)과;
    상기 브라켓(45)의 일면에 용접되어 구비된 웰드너트(49)와;
    상기 웰드너트(49)에 체결되어서 그 일단은 브라켓(45) 내부의 위치되어 로프(60)를 압압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은 브라켓(45)의 외측에 위치되어 노브(53)가 구비된 고정볼트(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52)의 일단부에는 브라켓(45)내의 로프(60)를 이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압압하도록 된 압착판(5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5)의 내측면에는 고정볼트(52)에 의해서 압압된 로프(60)의 일측이 꺽이도록 하여 로프(60)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된 압착돌부(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5)의 상부에는 요홈(46)이 형성되고, 이 요홈(46)상에는 로프(6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제 1 볼트(47)와 나비너트(48)가 브라켓(45)을 가로지르도록 삽입되어 체결.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46)과 이격된 브라켓(45)의 일측에는 이 브라켓(45)을 관통하는 구멍(45a)이 형성되고, 이 구멍(45a)에는 로프(6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제 2 볼트(56)가 브라켓(45)을 가로지르며 삽입되어 나비너트(57)로서 체결.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건물에 대향되는 승강대(40)의 안착판(41) 일측에는 탈출자의 다리가 삽입되어서 건물 외벽과의 접촉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도록 된 요홈(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40)의 하부 수평봉(44)내에 출입가능하게 내장되어서 지지대(10)의 일측에 걸림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58)와;
    상기 슬라이드바(58)의 일측에 하부 수평봉(44)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구비된 파지봉(59)과;
    상기 파지봉(59)에 대응한 하부 수평봉(44)의 외주면에는 이동되는파지봉(59)을 안내 및 이의 이동량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장공(44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9. 창문이 설치되는 벽체(100)상에 이 벽체(100)의 두께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하여서 벽체(100)상에 끼워 구비하도록 된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그 상부의 절곡부가 걸림되어 구비되고, 하부에는 회전체(33)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걸이대(30)와;
    상기 걸이대(30)의 회전체(33)상에 그 일측이 이송가능하도록 감김되어서 구비된 원형의 로프(60)와;
    건물로부터 탈출하는 탈출자가 자신의 허리에 착용하도록 된 안전벨트(70)는 그 일측에 로프(60)에 걸림되어서 고정되는 걸고리(74)를 갖되, 이 걸고리(74)의 내주면에는 로프(60)상에서 걸고리(74)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완만하게 만곡되어서 형성된 요철부(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다수의 발판프레임(13)(18)이 수직하게 구비되어서 형성된 수직프레임(12)(17)과, 이 수직프레임(12)(17)의 상부에 직교하도록 구비된 수평프레임(14)(19)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1)와 이동부재(16)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이동부재(16)는 지지부재(11)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그 상부의 수평프레임(19)이 지지부재(11) 상부의 수평프레임(14)상에 끼워져 구비되고, 각 수평프레임(19)(14)상에는 상호 일치되도록 된 다수의 결합공(20)(15)이 형성되며, 이 결합공(20)(15)에는 이동부재(16)를 지지부재(11)상에 고정시키도록 된 볼트(21)와 나비너트(22)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30)의 회전체(33) 양단부에는 회전체(33)상에 감김된 로프(60)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된 방지판(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60)에는 이의 이동방향에 따른 표식부(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KR2020010030731U 2001-10-09 2001-10-09 비상탈출장치 KR200259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731U KR200259806Y1 (ko) 2001-10-09 2001-10-09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731U KR200259806Y1 (ko) 2001-10-09 2001-10-09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806Y1 true KR200259806Y1 (ko) 2002-01-05

Family

ID=7311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731U KR200259806Y1 (ko) 2001-10-09 2001-10-09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8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476B1 (ko)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US4703831A (en) Fire escape apparatus for use in multi-story buildings and method of escape
KR20090089943A (ko)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KR102075935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US3403750A (en) Rescue device
KR200259806Y1 (ko) 비상탈출장치
KR101281182B1 (ko) 비상탈출장치
KR101043604B1 (ko)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US3834489A (en) Fire escape device with belt tightening slide
US5871066A (en) Rescue device
US4056166A (en) Detachable fire escape device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KR200285119Y1 (ko) 비상탈출장치
CN214550686U (zh) 一种高层建筑安全防护逃生装置
CN210728453U (zh) 一种索道逃生器及其滑轨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CN2772544Y (zh) 高层建筑逃生救助装置
KR20100137716A (ko) 비상 탈출용 완강기
JP4338098B2 (ja) 脱出用避難器具
JP2002070017A (ja) 法面作業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法面作業安全帯
KR200340975Y1 (ko) 로프에 설치하는 비상탈출용 완강장치
KR850002861Y1 (ko) 비상로우프용 구명기구
KR850002860Y1 (ko) 안전 탈출장치
JP3650080B2 (ja) 高層ビル用避難設備
KR102529694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