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119Y1 -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119Y1
KR200285119Y1 KR2020010035548U KR20010035548U KR200285119Y1 KR 200285119 Y1 KR200285119 Y1 KR 200285119Y1 KR 2020010035548 U KR2020010035548 U KR 2020010035548U KR 20010035548 U KR20010035548 U KR 20010035548U KR 200285119 Y1 KR200285119 Y1 KR 200285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rod
bar
ro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송학
Original Assignee
나노지오닷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지오닷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노지오닷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5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119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시 안전하게 탈출하기 위한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비상탈출장치는, 로프(60)상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후크(57)가 그 상단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탈출자가 밟고 설 수 있도록 수직하게 구비된 발판봉(52)을 갖는 수직봉(51)과; 상기 수직봉(51)의 최상단부에 탈출자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상부 수평봉(54)과; 상기 수직봉(51)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서 그 외주면 상부에 장공(53a)과, 이에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53b)을 갖는 중공의 하부 수평봉(53)과; 상기 하부 수평봉(53)내에 출입가능하게 내장되어서 지지대(10)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걸림되도록 그 선단부에 수직하게 절곡된 걸림바(55a)를 갖는 슬라이드바(55)와; 상기 슬라이드바(55)의 외주면 상부에 하부 수평봉(53)의 장공(53a)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서 장공(53a)에 의해 안내되며, 걸림공(53b)에 걸림되어서 걸림바(55a)를 지지대(10)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된 파지봉(56);으로 구성된 탈출봉(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은, 탈출자가 승강대(40) 없이 안전벨트(70)만을 이용해서 탈출할 시에 보다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탈출장치{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본 고안은 비상시 안전하게 탈출하기 위한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의 건물에 입주한 입주자들이 화재시와 같은 비상사태의 경우건물의 창문을 통해서 건물밖으로 안전하게 탈출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화재시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될 경우에는 흔히 소방장비의 일부인 고가사다리를 이용하여 대피하게 되거나, 또는 공기매트를 설치하여서 이 공기매트 위로 뛰어내리게 하는 등의 비상탈출이 이루어지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탈출방법 즉, 고가사다리를 이용한 탈출은 고가사다리를 설치하기 위해서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장소적 제한이 있고, 고가사다리가 미치지 못하는 고층인 경우에는 무용지물(無用之物)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공기매트는 이의 설치시에 많은 설치인원과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제한이 따르고, 고층인 경우에는 탈출자의 불안한 심리로 인하여 탈출시간이 지연됨과 아울러 바람 등에 의해서 공기매트로의 정확한 착지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서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20-2001-30731호(2001.10.9)에 개시된 비상탈출장치를 고안하여 출원하였는 바, 본 건에서는 이를 개량하고자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출원번호 20-2001-30731호에 개시된 비상탈출장치는 탈출자가 승강대와 안전벨트를 이용해서 탈출하게 되고, 또한 승강대가 없을 때에는 안전벨트만을 이용해서 탈출하게 되는 바, 이때 탈출자가 노약자이거나 여성의 경우에는 레펠의 경험이 없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서 신속한 탈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비상탈출장치는 건물의 벽면에 지지대를 걸어 고정시키게 되는 바, 이 건물의 벽면이 각 건물마다 각기 다르게 설계되어 있어 전술한 지지대로서는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건물의 벽면에 대응한 각각의 지지대를 별도로 설계하여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지지대의 보관시에도 지지대의 수직프레임상에 수평프레임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써 보관시에 많은 공간의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비상탈출장치에서는 안전벨트만을 이용하여 탈출할 시에 보다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탈출봉을 포함한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비상탈출장치에서는 각기 다르게 설계된 건물의 벽면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지지대를 구성하고, 이의 보관시에는 협소한 공간에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5a는 승강대만을 이용한 탈출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b는 승강대와 안전벨트를 이용한 탈출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c는 안전벨트만을 이용한 탈출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안전벨트의 후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탈출봉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탈출봉이 설치된 비상탈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탈출봉과 안전벨트가 같이 사용된 사용상태도로서, 도 9는 일반적인 탈출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후탈출자가 승강대 및 안전벨트를 로프에 고정할 때의 선탈출자의 탈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탈출장치 10 : 지지대
11 : 지지부재 12 : 수직프레임
12a : 힌지브라켓 12b : 힌지공
12c : 고정공 12d : 볼트
12e : 나비너트 13 : 발판프레임
14 : 수평프레임 14a : 곡면부
15 : 결합공 16 : 이동부재
17 : 수직프레임 17a : 간극조정볼트
17b : 노브 17c : 웰드너트
17d : 걸이돌기 18 : 발판프레임
18a : 돌출핀 19 : 수평프레임
20 : 결합공 21 : 볼트
22 : 나비너트 30 : 걸이대
31 : 측방프레임 31a : 이탈방지볼트
31b : 웰드너트 32 : 연결프레임
33 : 회전체 34 : 방지판
40 : 승강대 40a : 고정수단
41 : 안착판 42 : 요홈
43 : 수직봉 44,45 : 수평봉
44a : 장공 44b : 걸림공
46 : 슬라이드바 46a : 걸림바
47 : 파지봉 50 : 탈출봉
51 : 수직봉 52 : 발판봉
53,54 : 수평봉 53a : 장공
53b : 걸림공 55 : 슬라이드바
55a : 걸림바 56 : 파지봉
57 : 후크 60 : 로프
61 : 표식부 62 : 꼬임방지구
63 : 연결고리 64 : 힌지부재
70 : 안전벨트 72 : 벨트고리
73 : 보조로프 74 : 후크
76 : 파지봉 80 : 후레쉬
100 : 벽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문이 설치되는 벽체상에 이 벽체의 두께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하여서 벽체상에 끼워 구비하도록 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그 상부의 절곡부가 걸림되어 구비되고, 하부에는 회전체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회전체상에 그 일측이 이송가능하도록 감김되어서 구비된 원형의 로프와; 상기 로프의 일측에 걸림되어서 그 하부에는 탈출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안착판이 구비되고, 이 안착판상에는 수직한 수직봉과, 이에 수평한 수평봉이 구비되며, 수직봉의 일측에는 로프가 걸림되도록 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승강대와; 건물로부터 탈출하는 탈출자가 자신의 허리에 착용하며, 그 일측에는 로프에 경사지게 걸림되어 이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된 후크를 갖는 안전벨트;로 이루어진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프상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후크가 그 상단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탈출자가 밟고 설 수 있도록 수직하게 구비된 발판봉을 갖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최상단부에 탈출자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상부 수평봉과; 상기 수직봉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서 그 외주면 상부에 장공과, 이에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을 갖는 중공의 하부 수평봉과; 상기 하부 수평봉내에 출입가능하게 내장되어서 지지대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걸림되도록 그 선단부에 수직하게 절곡된 걸림바를 갖는 슬라이드바와; 상기 슬라이드바의 외주면 상부에 하부 수평봉의 장공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서 장공에 의해 안내되며, 걸림공에 걸림되어서 걸림바를지지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된 파지봉;으로 구성된 탈출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재의 수직프레임 상부에는 힌지공과 고정공을 갖는 힌지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힌지공에는 그 일면에 관통된 다수의 결합공을 갖음과 아울러 양단부가 완만한 원호형상의 곡면부로 형성된 수평프레임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건물의 벽면에 대향하는 지지부재의 수직프레임 또는 이동부재의 수직프레임 중 하나에 웰드너트를 매개로 체결된 간극조정볼트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수직프레임 또는 이동부재의 수직프레임 중 하나에 돌출된 걸이돌기가 형성되고, 이 걸이돌기에는 후레쉬가 걸림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대는 이동부재의 발판프레임상에 걸림되어 구비되되, 이 걸이대의 일단부에는 이에 체결되어서 대향되는 걸이대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된 이탈방지볼트가 웰드너트를 매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프상에는 꼬임방지구가 구비되되, 이 꼬임방지구는 로프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링형상의 연결고리가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고, 이 연결고리는 힌지부재를 매개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대 및 탈출봉의 수직봉상에는 장공을 갖는 하부 수평봉이 각각 구비되고, 이 하부 수평봉내에는 수직한 파지봉을 갖는 슬라이드바가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드바의 선단부에는 지지대상에 걸림된 승강대 및 탈출봉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걸림바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평봉의 장공 일측에는 걸림바를 지지대로부터 이탈시키는 슬라이드바의 파지봉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된 다수의 걸림공이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이동부재 하단의 발판프레임상에는 표식부가 상방향을 향한 로프를 걸어서 지지대로부터 승강대 및 탈출봉의 분리를 용이케 하도록 된 돌출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출원번호 20-2001-30731호에 개재된 비상탈출장치를 개량 고안한 것으로, 이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의 비상탈출장치(2)는 크게 지지대(10), 걸이대(30), 승강대(40), 로프(60), 안전벨트(70), 탈출봉(5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지대(10)는 수직프레임(12)과, 이에 수직한 발판프레임(13)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1)와, 이 지지부재(11)상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수직프레임(17)과, 이에 수직한 수평프레임(19), 발판프레임(18)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16)로 이루어져서, 창문이 설치되는 벽체(100)상에 이 벽체(100)의 두께에 따라 이동부재(16)를 지지부재(11)상에서 이동시켜 지지부재(11)와의 사이폭을 조절하여 벽체(100)상에 끼워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지지부재(11)의 수직프레임(12) 상단부에는 수직프레임(12)에 수직하게 구비된 힌지브라켓(12a)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힌지브라켓(12a)상에는 관통된 각각의 힌지공(12b)과, 고정공(12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지지부재(11)의 힌지브라켓(12a)상에는 그 양단부가 완만한 곡면부(14a)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14)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이 수평프레임(14)상에는 관통된 다수의 결합공(1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11)의 힌지브라켓(12a)상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는 수평프레임(14)은 힌지브라켓(12a)의 힌지공(12b)상에 볼트(12d)와 나비너트(12e)로서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이의 고정은 고정공(12c)상에 별도의 볼트(12d)와 나비너트(12e)로서 결합되어 상기한 수평프레임(14)을 힌지브라켓(12a)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비된 지지부재(11)의 수평프레임(14)상에 지지부재(11)에 대응한 이동부재(16)의 수평프레임(19)을 삽입시켜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하고, 양 수평프레임(14)(19)상의 결합공(15)(20)에 볼트(21)와 나비너트(22)로서 체결하여 지지부재(11)상에 이동부재(16)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한 이동부재(16)는 건물밖으로 위치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대(10)는 탈출하고자 하는 건물의 벽체(100)상에 고정되는 바, 각 건물의 벽(100)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고 각기 다른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부재(11) 또는 이동부재(16)의 수직프레임(12)(17) 중 하나에 웰드너트(17c)를 매개로 노브(17b)를 갖는 간극조정볼트(17a)가 체결되어 구비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간극조정볼트(17a)가 이동부재(16)의 수직프레임(17) 하단부에 웰드너트(17c)를 매개로 체결된 것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한편, 상기한 지지부재(11) 또는 이동부재(16)의 수직프레임(12)(17) 일측면에는 걸이돌기(17d)가 구비되고, 이 걸이돌기(17d)에는 후레쉬(80)가 걸림되어 보관되므로써 화재로 인한 정전시 탈출자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16)의 수직프레임(17)상에 걸이돌기(17d)가 형성되고, 이에 후레쉬(80)가 걸림되어 보관된 것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이동부재(16)의 하단부에 구비된 발판프레임(18)상에는 표식부(61)가 상방향을 향한 로프(60)의 일측을 걸어서 지지대(10)로부터 승강대(40)의 분리를 용이케 하는 돌출핀(18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지지대(10)의 이동부재(16)상에는 즉, 세개의 발판프레임(18) 중 최상단부에 형성된 발판프레임(18)상에는 걸이대(30)가 걸림되어 고정된다.
상기한 걸이대(30)는 절곡형성된 측방프레임(31)과, 연결프레임(32) 및 연결프레임(32)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양단부에 로프(60)의 끼임을 방지하는 방지판(34)이 형성된 회전체(33)로 이루어져서, 절곡된 측방프레임(31)이 최상단의 발판프레임(18)상에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걸이대(30)의 측방프레임(31) 일단부에는 이에 대향되는 걸이대(30)의 측방프레임(31) 일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된 이탈방지볼트(31a)가 웰드너트(31b)를 매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걸이대(30)의 회전체(33)에는 이동방향에 따른 화살표의 표식부(61)가 형성된 링형상의 로프(60)가 이송가능하도록 감김되어 구비되는 바, 이 로프(60)의 일측에는 로프(60)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된 꼬임방지구(62)가 구비된다.
상기한 꼬임방지구(62)는 로프(60)의 양끝단이 각각 걸림되도록 된 대략 "D"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고리(63)가 대칭되게 구비되고, 이 연결고리(63)는 힌지부재(64)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승강대(40)는 탈출자가 용이하게 앉을 수 있도록 그 선단부에 단차진 요홈(42)을 갖는 안착판(41)이 구비되고, 이 안착판(41)의 상부에는 수직한 수직봉(43)이 구비되며, 이 수직봉(43)의 일측과, 상단부에는 수평봉(44)(45)이 각각 설치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수직봉(43)의 일측에는 로프(60)에 승강대(40)를 고정시키도록 된 고정수단(40a)이 구비되고, 이의 고정수단(40a)에 대한 구성 및 작동설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출원번호 20-2001-30731호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의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하부 수평봉(44)내에는 지지대(10)의 이동부재(16)에 형성된 중앙의 발판프레임(18)상에 걸림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46)가 출입가능하게 내장된다.
상기한 하부 수평봉(44)의 외주면 상부에는 하부 수평봉(44)의 종방향에 대응한 장공(44a)이 형성되고, 이 장공(44a)의 일측에는 이에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44b)이 형성된다.
상기한 하부 수평봉(44)에 내장된 슬라이드바(46)는 그 외주면 상부에 하부 수평봉(44)의 장공(44a)을 관통하여서 돌출된 파지봉(47)이 형성되고, 슬라이드바(46)의 선단부에는 발판프레임(18)에 걸림되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걸림바(46a)가 형성된다.
상기한 상부 수평봉(45)은 후탈출자에 의한 선탈출자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2m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비상탈출장치(2)에는 승강대(40)를 대신하는 탈출봉(50)이 구비된다.
상기한 탈출봉(50)은 크게 수직봉(51)과, 이에 수직한 발판봉(52) 및 수평봉(53)(54)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탈출봉(50)의 수직봉(51) 하단부에는 수직봉(51)에 직교하도록 구비되어서 탈출자가 밟을 수 있도록 된 발판봉(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탈출봉(50)의 수직봉(51) 중앙부와, 상단부에는 수평봉(53)(54)이 각각 구비되는 바, 상부 수평봉(54)은 후탈출자로 인한 선탈출자의 부상을 방지하고자 설치된 것이고, 이의 높이는 탈출자의 키보다 큰 적어도 2m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하부 수평봉(53)은 지지대(10)의 이동부재(16) 중앙의 발판프레임(18)상에 탈출봉(50)을 걸어서 구비하도록 된 슬라이드바(55)가 출입가능하게 내장되어 구비된다.
이에, 상기한 하부 수평봉(53)의 외주면 상부에는 하부 수평봉(53)의 종방향에 대응한 장공(53a)이 형성되고, 이 장공(53a)의 일측에는 이에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53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하부 수평봉(53)에 내장된 슬라이드바(55)는 그 외주면 상부에 하부 수평봉(53)의 장공(53a)을 관통하여서 돌출된 파지봉(56)이 형성되고, 슬라이드바(55)의 선단부에는 발판프레임(18)에 걸림되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걸림바(55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상부 수평봉(54)의 하부에는 표식부(61)가 하방향을 향한 로프(60)의 일측에 걸림되어서 로프(60)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된 후크(57)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안전벨트(70)는 탈출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이 안전벨트(70)상에는 벨트고리(72)가 구비되고, 이 벨트고리(72)에는 보조로프(73)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화살표의 표식부(61)가 하방향을 향한 로프(60)의 일측에 경사지게 걸림되어서 로프(60)상에서 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도록 된 후크(7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후크(74)의 외주면 상부에는 로프(60)상에 경사지게 걸림된 후크(74)를 회동시키도록 된 파지봉(76)이 수직하게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비상탈출장치(2)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출원번호 20-2001-30731호에서 개재한 바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는 바, 본원에서는 탈출봉(50)의 설치 및 사용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면서 선출원한 비상탈출장치(2)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창문이 설치된 벽(100)에 지지부재(11)와 이동부재(16)로 이루어진 지지대(10)를 끼워서 구비하게 되는 바, 지지부재(11)의 힌지브라켓(12a)에 볼트(12d)와 나비너트(12e)로서 회동가능하게 힌지되어 있는 수평프레임(14)을 지지부재(11)의 수직프레임(12)에 수직하게 회동시켜 펼친 후, 힌지브라켓(12a)의 고정공(12c)에 별도의 볼트(12d)와 나비너트(12e)를 체결하여서 수평프레임(14)을 수직프레임(12)상에 수직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화재로 인해 건물에 정전이 발생될 시에는 지지대(10)의 걸이돌기(17d)에 걸림되어 보관된 후레쉬(80)를 사용하면, 비상탈출장치(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고정된 수평프레임(14)에 이동부재(16)의 수평프레임(19)을 삽입시켜 끼운 후, 설치하고자 하는 벽(100)의 두께에 따라서 지지대(10)의 이동부재(16)를 지지부재(11)상에서 이동시켜 각 수평프레임(14)(19)의 결합공(15)(20)상에 볼트(21)와 나비너트(22)를 체결하여 이동부재(16)를 지지부재(11)상에 고정시킨다.
한편, 탈출자는 상기와 같이 설치된 지지대(10)를 벽(100)에 끼워 구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벽(100)과 지지대(1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면, 이동부재(16)의 수직프레임(17) 하단부에 구비된 간극조정볼트(17a)를 풀어서 이 간극조정볼트(17a)의 노브(17b)가 벽면(100)에 밀착되도록 하여 지지부재(11)와 이동부재(16)의 수직프레임(12)(17)이 각각 벽면(100)에 밀착되어 지지되므로써 벽(100)에 설치된 지지대(10)의 유동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대(10)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꼬임방지구(62)가 구비된 로프(60)의 일측을 걸이대(30)의 회전체(33)상에 감아 구비하되, 화살표의 표식부(61)가 아랫방향으로 향한 로프(60)의 일측을 잡고서 반대편의 로프(60)를 회전체(33)상에 적어도 2회이상 감아 구비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로프(60)가 감김된 걸이대(30)의 측방프레임(31) 상부를 이동부재(16)의 최상단 발판프레임(18)상에 걸어 구비하면서 로프(60)를 건물 외부로 떨어뜨린다.
그러면, 상기한 로프(60)는 링과 같은 원형으로서 무한궤도를 그리며 이송될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와 같이 걸림된 걸이대(30)의 측방프레임(31)은 그 상부가 최상단 발판프레임(18)의 두께에 대응한 폭으로서 절곡되어 있어 발판프레임(18)상에서의 유동이 방지되며, 걸이대(30)의 측방프레임(31)상에 구비된 이탈방지볼트(31a)를 조여 체결함으로써 걸이대(3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걸이대(30)를 설치한 후에는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승강대(40)를 설치하게 되고, 이의 승강대(40)에 탈출자가 앉은 상태에서 첨부도면 도 5a와 같이 탈출하면 되는 바, 더욱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도 5b에서와 같이 안전벨트(70)를 병용하여서 탈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승강대(40)가 없을 때에는 첨부도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70)만을 이용해서 탈출하여도 되고,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70)와, 탈출봉(50)을 병용하여서 탈출하면 탈출자가 보다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탈출봉(50)은 전술한 승강대(40)와 같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바, 상기한 걸이대(30)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는 탈출봉(50)의 하부 수평봉(53)내에서 파지봉(56)을 잡고, 장공(53a)의 선단부측으로 이동시켜서 슬라이드바(55)를 인출시키며, 인출된 슬라이드바(55)의 걸림바(55a)를 이동부재(16)의 두번째 발판프레임(18)상에 걸어 놓은 후, 탈출봉(50)의 상부에 구비된 후크(57)를 화살표의 표식부(61)가 하방향을 향한 로프(60)에 건다.
이후, 상기한 탈출자는 자신의 허리에 안전벨트(70)를 착용한 후,지지대(10)의 발판프레임(13)(18)을 이용해서 건물밖으로 이동하여 이동부재(16)의 최하단 발판프레임(18)을 밟고 선 상태에서 안전벨트(70)의 후크(74)를 탈출봉(50)의 후크(57) 하단부의 로프(60)상에 걸어 구비한다.
그리고, 탈출자는 화살표의 표식부(61)가 상방향을 향한 로프(60)를 잡고 아랫방향으로 당기면서 이 로프(60)를 이동부재(16)의 수직프레임(17)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핀(18a)상에 적어도 2회 이상으로 감아 놓는다.
이때, 상기한 표식부(61)가 상방향을 향한 로프(60)를 잡고 아랫방향으로 당기면, 표식부(61)가 하방향을 향한 로프(60)측이 상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그로 인해 이 로프(60)상에 걸림된 안전벨트(70)의 후크(74)가 로프(60)와 같이 소정량 상방으로 당겨지면서 이 안전벨트(70)의 후크(74)가 탈출봉(50)의 후크(57) 하단부에 접하면서 탈출봉(50)도 로프(60)와 같이 소정량 상방으로 당겨져 올라가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탈출봉(50)의 슬라이드바(55)는 이동부재(16)의 두번째 발판프레임(18)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량 들린 상태가 되지만, 이 슬라이드바(55)는 그 선단부에 수직하게 절곡된 걸림바(55a)에 의해서 발판프레임(18)으로부터의 임의적인 이탈은 방지되게 된다.
이후, 탈출자가 탈출봉(50)의 발판봉(52)을 밟고 선 상태에서 한손으로는 표식부(61)가 상방향을 향한 로프(60)측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슬라이드바(55)의 파지봉(56)을 잡은 상태에서 이 파지봉(56)을 하부 수평봉(53)내로 인입시키면서 장공(53a)의 걸림공(53b)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한 슬라이드바(55)가 회동되면서 걸림바(55a)가 발판프레임(18)으로부터 회동되면서 걸림바(55a)의 걸림이 해제되고, 파지봉(56)을 계속해서 당겨 슬라이드바(55)를 두번째 발판프레임(18)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면 하강 가능한 상태가 되고, 표식부(61)가 상방향을 향한 로프(60)를 이동부재(16)의 돌출핀(18a)으로부터 빼내 분리시키면 하강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탈출자는 한손으로는 표식부(61)가 상방향을 향한 로프(60)측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탈출봉(50)의 수직봉(51)을 잡은 상태에서 잡고 있던 로프(60)를 조금씩 풀어 주면, 탈출봉(50)의 후크(57)가 표식부(61)가 하방향을 향한 로프(60)측에 걸림되어 있는 안전벨트(70)의 후크(74)상에 걸림되어 지지되면서 탈출봉(50) 및 탈출자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강 중에 후탈출자가 탈출을 위하여 로프(60)상에 탈출봉(50) 및 안전벨트(70)의 후크(57)(74)를 설치할 시에는 로프(60)의 이송이 정지된 상태로서, 이때의 선탈출자는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70)의 후크(74)상에 형성된 파지봉(76)을 잡고서 후크(74)를 회전시켜 표식부(61)가 하방향을 향한 로프(60)에 후크(74)가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한 로프(60)상에 경사지게 걸림되어 있던 후크(74)가 로프(60)에 수직하게 구비되면서 로프(60)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이 후크(74)가 로프(60)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이 걸림이 해제된 후크(74)와, 탈출자의 자중에 의해 로프(60)상에서 탈출봉(50)과, 탈출자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선탈출자의 손의 위치는 한손으로는 탈출봉(50)의 수직봉(51)을 파지한 상태가 되고, 다른 손으로는 안전벨트(70) 후크(74)의 파지봉(76)을 잡고 회동시킨 상태가 된다.
또한, 하강 도중에 회동시켜 잡고 있던 후크(74)의 파지봉(76)을 놓으면, 이 후크(74)가 탈출자의 자중에 의해서 역회동되면서 로프(60)상에 재차 경사지게 걸림되어 정지되고, 이 후크(74)상에는 하강하던 탈출봉(50)의 후크(57)가 걸림되어서 탈출봉(50) 및 탈출자의 하강이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후탈출자는 탈출을 위한 비상탈출장치(2)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선탈출자는 후탈출자의 설치작업에 관계없이 계속적인 하강으로 인해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비상탈출장치(2)에서 승강대(40)를 이용하여 탈출하고자 할 시는 탈출자가 지지대(10)의 발판프레임(13)(18)을 이용해서 건물밖으로 이동한 후, 이동부재(16)의 최하단 발판프레임(18)을 밟고 선 상태에서, 승강대(40)의 고정수단(40a)을 표식부(61)가 하방향을 향한 로프(60)상에 고정시킨다.
이후, 표식부(61)가 상방향을 향한 로프(60)측을 잡고 아랫방향으로 당기면, 승강대(40)가 로프(60)와 같이 상방향으로 소정량 이동되어 두번째 발판프레임(18)으로부터 소정량 들린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한 승강대(40)의 요홈(42)상에 탈출자의 두 다리를 삽입시키면서안착판(41)상에 앉은 상태에서 승강대(40)의 하부 수평봉(44)상에 구비된 슬라이드바(46)를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시켜 해제시키고, 표식부(61)가 상방향을 향한 로프(60)를 돌출핀(18a)으로부터 빼내 분리시키면 하강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후의 탈출방법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탈출장치와 같은 방법으로 하강하여 탈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비상탈출장치(2)의 보관시는 가장 부피로서 넓은 공간이 요구되던 지지대(10)를 지지부재(11)와 이동부재(16)로 분리시키고, 지지부재(11)에 구비된 수평프레임(14)을 회전시켜 수직프레임(12)과 평행하게 구비하면, 이의 부피가 매우 작아져 협소한 공간상에서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상탈출장치는 탈출자는 보다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탈출시킬 수 있고, 건물의 벽에 비상탈출장치를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창문이 설치되는 벽체(100)상에 이 벽체(100)의 두께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하여서 벽체(100)상에 끼워 구비하도록 된 지지부재(11)와 이동부재(16)로 이루어진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그 상부의 절곡부가 걸림되어 구비되고, 하부에는 회전체(33)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걸이대(30)와; 상기 걸이대(30)의 회전체(33)상에 그 일측이 이송가능하도록 감김되어서 구비된 원형의 로프(60)와; 상기 로프(60)의 일측에 걸림되어서 그 하부에는 탈출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안착판(41)이 구비되고, 이 안착판(41)상에는 수직한 수직봉(43)과, 이에 수평한 수평봉(44)(45)이 구비되며, 수직봉(43)의 일측에는 로프(60)가 걸림되도록 된 고정수단(40a)이 구비되어 있는 승강대(40)와; 건물로부터 탈출하는 탈출자가 자신의 허리에 착용하며, 그 일측에는 로프(60)에 경사지게 걸림되어 이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된 후크(74)를 갖는 안전벨트(70);를 포함한 비상탈출장치(2)에 있어서,
    상기 로프(60)상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후크(57)가 그 상단부에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탈출자가 밟고 설 수 있도록 수직하게 구비된 발판봉(52)을 갖는 수직봉(51)과;
    상기 수직봉(51)의 최상단부에 탈출자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상부 수평봉(54)과;
    상기 수직봉(51)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서 그 외주면 상부에 장공(53a)과, 이에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53b)을 갖는 중공의 하부 수평봉(53)과;
    상기 하부 수평봉(53)내에 출입가능하게 내장되어서 지지대(10)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걸림되도록 그 선단부에 수직하게 절곡된 걸림바(55a)를 갖는 슬라이드바(55)와;
    상기 슬라이드바(55)의 외주면 상부에 하부 수평봉(53)의 장공(53a)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서 장공(53a)에 의해 안내되며, 걸림공(53b)에 걸림되어서 걸림바(55a)를 지지대(10)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된 파지봉(56);으로 구성된 탈출봉(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수직프레임(12)과 수평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1)와,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19)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16)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재(11)의 수직프레임(12) 상부에는 힌지공(12b)과 고정공(12c)을 갖는 힌지브라켓(12a)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2a)의 힌지공(12b)에는 그 일면에 관통된 다수의 결합공(15)을 갖음과 아울러 양단부가 완만한 원호형상의 곡면부(14a)로 형성된 수평프레임(14)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건물의 벽면(100)에 대향하는 지지부재(11)의 수직프레임(12) 또는 이동부재(16)의 수직프레임(17) 중 하나에 웰드너트(17c)를 매개로 체결된 간극조정볼트(17a)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1)의 수직프레임(12) 또는 이동부재(16)의 수직프레임(17) 중 어느 하나에 걸이돌기(17d)가 돌출되어 절곡.형성되고, 이 걸이돌기(17d)에는 후레쉬(80)가 걸림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6)의 양 수직프레임(17)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발판프레임(18)상에는 걸이대(30)가 걸림되어서 구비되되, 이 걸이대(30)의 일단부에는 이에 체결되어서 대향되는 걸이대(3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된 이탈방지볼트(31a)가 웰드너트(31b)를 매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60)상에는 꼬임방지구(62)가 구비되되, 이 꼬임방지구(62)는 로프(60)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링형상의 연결고리(63)가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고, 이 연결고리(63)는 힌지부재(64)를 매개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40) 및 탈출봉(50)의 수직봉(43)(51)상에는 장공(44a)(53a)을 갖는 하부 수평봉(44)(53)이 각각 구비되고, 이 하부 수평봉(44)(53)내에는 수직한 파지봉(47)(56)을 갖는 슬라이드바(46)(55)가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드바(46)(55)의 선단부에는 지지대(10)상에 걸림된 승강대(40) 및 탈출봉(50)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걸림바(46a)(55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평봉(44)(53)의 장공(44a)(53a) 일측에는 걸림바(46a)(55a)를 지지대(10)로부터 이탈시키는 슬라이드바(46)(55)의 파지봉(47)(56)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된 다수의 걸림공(44b)(53b)이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6)의 발판프레임(18) 중에서 최하단의 발판프레임(18)상에는 표식부(61)가 상방향을 향한 로프(60)를 걸어서 지지대(10)로부터 승강대(40) 및 탈출봉(50)의 분리를 용이케 하도록 된 돌출핀(18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KR2020010035548U 2001-11-19 2001-11-19 비상탈출장치 KR200285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548U KR200285119Y1 (ko) 2001-11-19 2001-11-19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548U KR200285119Y1 (ko) 2001-11-19 2001-11-19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119Y1 true KR200285119Y1 (ko) 2002-08-13

Family

ID=7311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548U KR200285119Y1 (ko) 2001-11-19 2001-11-19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1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678B1 (ko) * 2016-06-15 2017-02-23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소방용 완강기
KR101712994B1 (ko) * 2016-03-08 2017-03-07 어드벤처닷케이알(주) 레저 스포츠용 클라이밍 암벽 로프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994B1 (ko) * 2016-03-08 2017-03-07 어드벤처닷케이알(주) 레저 스포츠용 클라이밍 암벽 로프 거치대
KR101709678B1 (ko) * 2016-06-15 2017-02-23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소방용 완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6892A1 (en) Ladder stand with platform hoist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20150075907A1 (en) Ladders including rope and pulley system and fall protection device
US4205733A (en) Portable elevated station
US4703831A (en) Fire escape apparatus for use in multi-story buildings and method of escape
US7766124B2 (en) High rise evacuation system
CA2539883C (en) Apparatus for escaping area of accident
US20040118635A1 (en) Apparatus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high building in emergency
KR101749054B1 (ko) 추락 방지용 안전사다리
KR20090089943A (ko)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KR200285119Y1 (ko) 비상탈출장치
KR200469371Y1 (ko) 인명구조용 로프 사다리
KR101043604B1 (ko)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CA2431423A1 (en) Tree stand with adjustable leveling mechanisms
KR200259806Y1 (ko) 비상탈출장치
CN2772544Y (zh) 高层建筑逃生救助装置
JP2002070017A (ja) 法面作業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法面作業安全帯
JP3650080B2 (ja) 高層ビル用避難設備
KR102529694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KR200324275Y1 (ko) 로우프를 구비한 근육운동장치
TWI262089B (en) Apparatus for refuge from high building and method for refuge thereof
KR200340975Y1 (ko) 로프에 설치하는 비상탈출용 완강장치
KR100873784B1 (ko) 배낭형 완강기
US20050039982A1 (en) Rescue system
JPH0726863A (ja) 可動式フック付梯子
KR100493142B1 (ko) 로우프를 구비한 근육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