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834Y1 - 완강기 - Google Patents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834Y1
KR200437834Y1 KR2020070000873U KR20070000873U KR200437834Y1 KR 200437834 Y1 KR200437834 Y1 KR 200437834Y1 KR 2020070000873 U KR2020070000873 U KR 2020070000873U KR 20070000873 U KR20070000873 U KR 20070000873U KR 200437834 Y1 KR200437834 Y1 KR 200437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hole
rotating body
receiv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철
Original Assignee
이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철 filed Critical 이민철
Priority to KR2020070000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8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벨트에 달려 있는 물건이나 조난자의 무게에 따라 마찰부를 가압하여 로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완강기 자체가 이동하게 하므로써 조난자들이 각각의 완강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고정몸체와 회전몸체의 상측이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 하측의 고정몸체와 회전몸체 내측으로는 로프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 하측으로는 삽입대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몸체의 수용홈 하측으로는 가압공을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회전몸체에 형성된 수용홈 내측에 판스프링을 형성한 마찰부와, 상기 마찰부의 판스프링을 가압할 수 있게 몸체부의 가압공에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가압대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가압대의 중앙으로는 수용공을 형성하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대에는 띠홀을 형성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수용공에 삽입된 몸체부의 삽입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몸체의 삽입대 단부에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몸체의 삽입대 단부에는 걸림핀을 형성한 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강기{Lif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강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강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완강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강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완강기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11 : 고정몸체
12 : 회전몸체 13 : 힌지
14 : 수용홈 15 : 삽입대
16 : 로프 17 : 가압공
20 : 마찰부 21 : 판스프링
22 : 만곡편 30 : 가압부
31 : 가압대 32 : 수용공
33 : 연결대 34 : 띠홀
40 : 걸림부 41 : 고정핀
42 : 고정공 43 : 걸림핀
44 : 가이드홈 45 : 스프링
46 : 걸림돌기 47 : 경사면
본 고안은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벨트에 달려 있는 물건이나 조난자의 무게에 따라 마찰부를 가압하여 로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완강기 자체가 이동하게 하므로써 조난자들이 각각의 완강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강기는 고층건물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조난자가 대피할 수 있는 장치로서 조난자가 급강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로프를 이용하는 완강기는 첫째로 완강기를 건물에 고정하고 로프를 이용하여 탈출하는 방법과 둘째로는 로프를 건물에 고정하고 조난자가 각각의 완강기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방법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첫째 방법의 완강기는 먼저 로프의 일단을 지상에 내린 상태에서 타단의 로프에 몸을 의지하고 내려오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은 한 사람이 지상에 완전히 착지한 후 다음 사람이 내려오는 방식으로 조난자의 대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기어를 이용한 감속구조로 사용시 소음시 많이 발생하고 부품수가 증가되어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공정 및 공수가 증가하여 제조원 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두번째 방법의 완강기는 여러개의 완강기를 건물 내부에 미리 구비하거나 각각 조난자들이 지참하여 건물에 고정된 로프에 직접 완강기를 작용한 다음 고정된 로프를 타고 내려오는 방법으로서 이는 완강기 자체가 이동하므로서 조난자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완강기는 실용신안등록 제360258호의 완강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로프부재가 관통하고, 가압부재의 나사봉이 관통되는 중공의 육면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 상측 내부에 지지되고, 로프풀리가 구비된 로프풀리케이스와, 상기 로프부재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수직설치되는 압축부재와, 상기 케이스에서 별도 인출된 와이어가 지그재그로 통과되고, 그 일측면으로 나사봉이 돌출된 가압부재와, 상기 압착부재와 가압부재사이에 위치되어 가압부재의 가압/해제에 따라 압착부재를 가압/해제시키는 지지대 및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 연결되는 안전벨트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압축부재에 힘을 가하는 가압부재의 일측에 나사봉을 두어 나사 작동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조작 가능하게 함으로써, 악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도 쉽게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조난자가 직접 작동을 하여 조작함으로서 긴급한 사항의 비상사태 시 직접조작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부상자나 유아의 경우에는 상기 가압부재를 직접 조작하지 못하여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어 조난자를 구출자가 같이 구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안전벨트에 달려 있는 물건이나 조난자의 무게에 대응하여 마찰부를 가압하여 로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조난자 각각 별도의 완강기를 사용하여 완강기 자체가 이동하게 하므로써 조난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완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몸체와 회전몸체의 상측이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 하측의 고정몸체와 회전몸체 내측으로는 로프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 하측으로는 삽입대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몸체의 수용홈 하측으로는 가압공을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회전몸체에 형성된 수용홈 내측에 판스프링을 형성한 마찰부와, 상기 마찰부의 판스프링을 가압할 수 있게 몸체부의 가압공에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가압대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가압대의 중앙으로는 수용공을 형성하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대에는 띠홀을 형성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수용공에 삽입된 몸체부의 삽입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몸체의 삽입대 단부에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몸체의 삽입대 단부에는 걸림핀을 형성한 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찰부의 판스프링은 상기 회전몸체의 힌지에 연결되며 외측으로 만곡되게 만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의 걸림핀은 회전몸체의 삽입대 단부에 형성된 덮개 내측의 가이드홈에 내설하되 상기 걸림핀의 내측은 가이드홈에서 이탈되 지 않도록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하고 외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을 삽입대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강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강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완강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강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완강기는 집게의 형상으로 로프(16)를 내설하여 압력에 의해 로프(16)를 잡을 수 있는 몸체부(1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0)에 내설 된 로프(16)에 가압하여 마찰력을 발생기키기 위한 마찰부(20)와 상기 마찰부(20)를 가압하기 위하여 무게에 따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30)와 상기 가압부(30)를 몸체부(10)에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한 걸림부(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완강기의 몸체부(10)는 고정몸체(11)와 회전몸체(12)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11)와 회전몸체(12) 상측이 회전가능하게 힌지(13)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힌지(13) 하측의 고정몸체(11)와 회전몸체(12) 내측으로는 로프(16)가 수용되는 수용홈(14)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14)의 하측으로는 삽입대(15)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대(15)와 연결되는 회전몸체(12)의 수용홈(14) 하측으로는 삽입대(15) 양측으로 한쌍의 가압공(17)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10)의 회전몸체(12)에 형성된 수용홈(14) 내측에는 마찰부(2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마찰부(20)는 판스프링(21)을 형성하되 판스프링(21)은 상기 회전몸체(12)의 힌지(13)에 연결되며 외측으로 만곡되게 만곡면(22)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마찰부(20)의 판스프링(21)을 가압할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가압공(17)에 삽입되는 가압부(30)를 형성한다.
상기 가압부(30)는 상측으로 가압대(31)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가압대(31)의 중앙으로는 수용공(32)을 형성하며 하측으로는 연장 형성된 연결대(33)에는 띠홀(3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30)의 수용공(32)에 삽입된 몸체부(10)의 삽입대(15)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몸체(11)와 회전몸체(12) 단부에는 걸림부(40)를 형성한다.
상기의 걸림부(40)는 상기 고정몸체(11) 삽입대(15) 단부에는 고정핀(41)이 삽입되는 고정공(42)을 형성하고 회전몸체(12)의 삽입대(15) 단부에는 걸림핀(43)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40)의 걸림핀(43)은 회전몸체(12)의 삽입대(15) 단부에 형성된 덮개(48) 내측의 가이드홈(44)에 내설하되 상기 걸림핀(43)의 내측은 가이드홈(4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46)를 형성하여 스프링(45)에 의해 탄력 설치하고 외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47)을 삽입대(15)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부(10)의 회전몸체(12)를 회전시켜 개방한 후 고정몸체(11)와 회전몸체(12)의 수용홈(14)에 로프(16)를 수용한 상태에서 회전몸체(12)를 원위치 시켜 몸체부(10)를 폐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부(30)의 수용공(32)에 가압대(31)가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삽입대(15)를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압부(30)가 몸체부(10)의 삽입대(15)를 삽입할 때 결합 되는 가압부(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40)의 고정핀(41)을 고정공(42)에 삽입시킨다.
또한, 결합되는 가압부(30)의 수용공(32)은 걸림부(40)의 걸림핀(43)의 경사면(47)을 따라 걸림핀(43)을 가이드홈(44) 내측으로 밀어넣으면서 삽입되며 가압부(30)가 삽입되면 상기 걸림핀(43)은 스프링(45)의 복원력으로 다시 원위치로 돌출되어 가압부(30)를 걸림 고정하게 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가압부(30)의 연결대(33) 하단에 형성된 띠홀(34)에 안전띠(50)를 걸어서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대피하기 위하여 가압부(30)에 안전띠(50)를 걸어서 사용하면 상기 안전띠(50)에 걸려있는 무게에 따라 가압부(30)의 연결대(33)는 하측으로 기울어 지면서 가압대(31)가 가압공(17)에 삽입되면서 몸체부(10)의 회전몸체(12) 내측에 수용된 마찰부(20)의 판스프링(21)을 가압하여 로프(16)에 접촉되는 판스프링(21)의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은 마찰력은 가압부(30)에 연결된 안전띠(50)에 달려져 있는 조난 자의 무게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조난자의 몸무게에 의해 하강 속도가 달라지지 않아 일정한 속도로 대피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각자가 지참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전벨트에 달려 있는 물건이나 조난자의 무게에 대응하여 마찰부를 가압하여 로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조난자 각각 별도의 완강기를 사용하여 완강기 자체가 이동하게 하므로써 조난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고정몸체(11)와 회전몸체(12)의 상측이 힌지(13)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13) 하측에는 상기 고정몸체(11)와 회전몸체(12)의 내측으로는 로프(16)가 수용되는 수용홈(14)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14) 하측으로는 삽입대(15)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몸체(12)의 수용홈(14) 하측으로는 가압공(17)을 형성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회전몸체(12)에 형성된 수용홈(14) 내측에 판스프링(21)을 형성한 마찰부(20)와,
    상기 마찰부(20)의 판스프링(21)을 가압할 수 있게 몸체부(10)의 가압공(17)에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가압대(31)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가압대(31)의 중앙으로는 수용공(32)을 형성하며 하측으로는 연장 형성된 연결대(33)에 띠홀(34)을 형성한 가압부(30)와,
    상기 가압부(30)의 수용공(32)에 삽입된 몸체부(10)의 삽입대(15)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몸체(11)의 삽입대(15) 단부에 고정핀(41)과 상기 고정핀(41)이 삽입되는 고정공(42)을 형성하고 회전몸체(12)의 삽입대(15) 단부에는 걸림핀(43)을 형성한 걸림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20)의 판스프링(21)은 상기 회전몸체(12)의 힌지(13)에 연결되며 외측으로 만곡되게 만곡면(2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0)의 걸림핀(43)은 회전몸체(12)의 삽입대(15) 단부에 형성된 덮개(47) 내측의 가이드홈(44)에 내설하되 상기 걸림핀(43)의 내측은 가이드홈(4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46)를 형성하여 스프링(45)에 의해 탄력 설치하고 외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47)을 삽입대(15)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KR2020070000873U 2007-01-17 2007-01-17 완강기 KR200437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873U KR200437834Y1 (ko) 2007-01-17 2007-01-17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873U KR200437834Y1 (ko) 2007-01-17 2007-01-17 완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834Y1 true KR200437834Y1 (ko) 2008-01-02

Family

ID=4134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873U KR200437834Y1 (ko) 2007-01-17 2007-01-17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8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720A (ko) * 2020-12-31 2022-07-08 전라남도 휴대용 인명 구조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720A (ko) * 2020-12-31 2022-07-08 전라남도 휴대용 인명 구조낭
KR102593378B1 (ko) * 2020-12-31 2023-10-25 전라남도 휴대용 인명 구조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89235A1 (en) Rescue system
US20110232997A1 (en) Descending life line for emergency escape
KR101032877B1 (ko) 비상탈출장치
KR200437834Y1 (ko) 완강기
KR102135003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US5127490A (en) Emergency descent device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JP2019042160A (ja) 避難装置
WO2006115468A1 (fr) Dispositif de descente
KR20080024352A (ko) 완강기
CN105477796B (zh) 高层楼房安全逃生装置
KR200441323Y1 (ko) 완강기
CN112007290B (zh) 一种高层消防救援装置
CN111648715B (zh) 一种用于建筑外墙攀爬用的爬梯
KR20080011454A (ko) 리프트형 완강기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102205499B1 (ko)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20100137716A (ko) 비상 탈출용 완강기
KR101197519B1 (ko) 완강기
KR200433119Y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구
CN214879317U (zh) 电梯召唤器的脚踢装置
JP2007014411A (ja) 避難装置
CN111622662B (zh) 一种建筑用的安全爬梯
KR850002860Y1 (ko) 안전 탈출장치
KR200432923Y1 (ko) 걸이식 탈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