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543A - 코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 - Google Patents

코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543A
KR20220093543A KR1020200184366A KR20200184366A KR20220093543A KR 20220093543 A KR20220093543 A KR 20220093543A KR 1020200184366 A KR1020200184366 A KR 1020200184366A KR 20200184366 A KR20200184366 A KR 20200184366A KR 20220093543 A KR20220093543 A KR 20220093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gnetic carrier
ferrite
ferrite particles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현
안상헌
이장욱
Original Assignee
토다이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다이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다이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3543A/ko
Publication of KR2022009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0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carrier particles
    • G03G9/107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carrier particles having magnetic components
    • G03G9/108Ferrite carrier, e.g. magneti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0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carrier particles
    • G03G9/113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carrier particles having coatings applied thereto
    • G03G9/1131Coating methods; Structure of coat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0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carrier particles
    • G03G9/113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carrier particles having coatings applied thereto
    • G03G9/1139Inorganic components of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자성 캐리어용 코어의 제조 방법에서, 페라이트 재료를 혼합 및 분쇄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및 분쇄된 페라이트 재료를 미립자화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미립자에 대해 소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성 공정은 섭씨 1210도 내지 섭씨 1230도의 온도에서 5시간 이상 환원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소성 공정 시, 평형식 Log(PO2) = A 14540/T(PO2는 산소 분압, T는 절대온도)에서 A 팩터는 9.0 내지 9.5일 수 있다.

Description

코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CO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AGNETIC CARRI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은 전자 사진용 현상제에 포함된 자성 캐리어, 이에 포함된 코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용 현상제는 토너 및 이를 운반하는 자성 캐리어를 포함한다. 상기 토너와 상기 자성 캐리어는 교반 롤러에 의해 서로 마찰되어 대전되며, 상기 자성 캐리어는 자성 롤러의 자력에 의해 그 표면에 부착되었다가 상기 자성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감광체의 표면으로 상기 토너를 공급한다.
상기 자성 캐리어는 자화 특성을 갖는 코어(core), 및 이를 감싸며 마찰 대전 특성을 갖는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교반에 의해 지속적으로 마모되어 그 수명을 다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 캐리어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구성하는 상기 코어 및/또는 상기 수지층의 마모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KR 10-2018-0078470 (2018년 7월 10일 공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자성 캐리어용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자성 캐리어용 코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자성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 캐리어용 코어의 제조 방법에서, 페라이트 재료를 혼합 및 분쇄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및 분쇄된 페라이트 재료를 미립자화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미립자에 대해 소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성 공정은 섭씨 1210도 내지 섭씨 1230도의 온도에서 5시간 이상 환원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소성 공정 시, 평형식 Log(PO2) = A 14540/T(PO2는 산소 분압, T는 절대온도)에서 A 팩터는 9.0 내지 9.5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재료를 혼합한 후 상기 페라이트 재료를 분쇄하기 이전에, 상기 혼합된 페라이트 재료에 대해 하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소성 공정 이후에, 상기 페라이트 미립자에 대한 분급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및 분쇄된 페라이트 재료를 미립자화하는 것은 원심 분무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재료를 혼합 및 분쇄하는 것은 각각 건식 혼합 공정 및 습식 분쇄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 캐리어용 코어는 페라이트 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마모도가 3.1%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요철도가 6.1 내지 8.2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왜도가 -0.48 내지 -0.30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는 AxB1-x-yFe2+yO4의 화학식(A는 아연(Zn), 칼슘(Ca), 마그네슘(Mg), 니켈(Ni), 티타늄(Ti) 및 구리(Cu) 중에서 적어도 하나, B는 망간(Mn), 니오븀(Nb), 코발트(Co), 주석(Sn) 및 지르코늄(Z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 0.1<x<0.3, 0≤Y<0.2)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 캐리어용 코어는 페라이트 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요철도는 6.1 내지 8.2일 수 있고,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왜도는 -0.48 내지 -0.30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마모도가 3.1%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는 AxB1-x-yFe2+yO4의 화학식(A는 아연(Zn), 칼슘(Ca), 마그네슘(Mg), 니켈(Ni), 티타늄(Ti) 및 구리(Cu) 중에서 적어도 하나, B는 망간(Mn), 니오븀(Nb), 코발트(Co), 주석(Sn) 및 지르코늄(Z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 0.1<x<0.3, 0≤Y<0.2)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 캐리어는 페라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마모도가 3.1%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요철도가 6.1 내지 8.2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왜도가 -0.48 내지 -0.30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는 AxB1-x-yFe2+yO4의 화학식(A는 아연(Zn), 칼슘(Ca), 마그네슘(Mg), 니켈(Ni), 티타늄(Ti) 및 구리(Cu) 중에서 적어도 하나, B는 망간(Mn), 니오븀(Nb), 코발트(Co), 주석(Sn) 및 지르코늄(Z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 0.1<x<0.3, 0≤Y<0.2)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 캐리어는 페라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요철도가 6.1 내지 8.2일 수 있고,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왜도가 -0.48 내지 -0.30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마모도가 3.1%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는 AxB1-x-yFe2+yO4의 화학식(A는 아연(Zn), 칼슘(Ca), 마그네슘(Mg), 니켈(Ni), 티타늄(Ti) 및 구리(Cu) 중에서 적어도 하나, B는 망간(Mn), 니오븀(Nb), 코발트(Co), 주석(Sn) 및 지르코늄(Z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 0.1<x<0.3, 0≤Y<0.2)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 캐리어용 코어는 우수한 내마모도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코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캐리어용 코어는 적절한 면 요철도 및 면 왜도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코어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지층이 적절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지속적인 마모에도 불구하고 상기 코어의 표면에 잔류하는 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 및 상기 수지층을 포함하는 상기 자성 캐리어는 개선된 대전 특성 및 자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 캐리어용 코어(core)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 캐리어용 코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 캐리어용 코어(core)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단계(S110)에서, 코어의 재료에 대해 혼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어의 재료는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재료는 AxB1-x-yFe2+yO4의 화학식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는 예를 들어, 아연(Zn), 칼슘(Ca), 마그네슘(Mg), 니켈(Ni), 티타늄(Ti) 및 구리(Cu)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B는 망간(Mn), 니오븀(Nb), 코발트(Co), 주석(Sn) 및 지르코늄(Z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x 및 y는 각각 0.1<x<0.3 및 0≤Y<0.2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A와 B는 각각 아연(Zn) 및 망간(M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코어의 재료는 망간-아연계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A와 B는 각각 마그네슘(Mg) 및 망간(M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코어의 재료는 망간-마그네슘계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혼합 공정은 건식 혼합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코어의 재료 즉,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 공정은 예를 들어, 볼 밀, 진동 밀 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2 단계(S120)에서, 상기 혼합물에 대해 하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소 공정은 대기 분위기하에서, 예를 들어, 대략 섭씨 900도 내지 섭씨 1000도의 온도에서 대략 50분 내지 1시간 동안, 예를 들어, 로터리 킬른(rotary kiln)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들이 제거될 수 있다.
제3 단계(S130)에서, 상기 휘발성 물질들이 제거된 혼합물에 대해 분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은 물을 포함하는 습식 분쇄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혼합물을 포함하는 슬러리(slurry)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쇄 공정은 예를 들어, 마멸 분쇄기(attrition mill), 볼 밀, 진동 밀 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습식 분쇄 공정에 의해 형성된 상기 슬러리에 예를 들어, 에스터(ester) 계의 소포제, 및 예를 들어, 폴리 비닐 알콜(PVA)과 같은 바인더를 첨가할 수 있다.
제4 단계(S140)에서, 상기 슬러리에 대해 구형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형화 공정은 예를 들어, 분무 건조기(atomizer, spray dryer)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형화 공정은 회전 디스크를 사용하는 원심 분무법에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디스크의 중앙부에 상기 슬러리를 공급하면, 상기 회전 디스크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슬러리가 구 형상의 작은 크기의 입자들, 즉 구형의 미립자들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형화 공정은 미립자화 공정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5 단계(S150)에서, 상기 구형의 미립자들에 대해 소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소성 공정은 예를 들어, 대략 섭씨 1210도 내지 섭씨 1230도의 온도에서 대략 5시간 동안, 예를 들어, 로터리 킬른(rotary kiln)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형의 미립자들을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소성 공정은 환원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소성 공정 수행 시, 하기 평형식에서 A 팩터(A factor)는 대략 9.0 내지 9.5를 유지할 수 있다.
Log(PO2) = A 14540/T
이때, PO2는 산소 분압(Torr)이고, T는 절대온도(K)이며, A는 A 팩터이고, 14540은 실험을 통해 얻어진 상수이다.
제6 단계(S160)에서, 상기 소성 공정을 통해 경화된 구형의 미립자들에 대해 분급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급 공정은 예를 들어, 시브 머신(sieve machine)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원하는 크기를 갖는 미립자들을 수집함으로써 자성 캐리어에 사용되는 코어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 1 및 2를 참조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 캐리어에 포함된 코어들의 특성을 비교예들에 따른 코어들의 특성과의 비교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표 1은 각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코어들에 있어서, 상기 코어들을 제조하기 위한 소성 공정의 공정 조건들, 즉 소성 온도, 소성 분위기, 및 소성 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각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상기 코어들의 면 요철도, 면 왜도, 및 마모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이때,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코어들과 비교예들에 따른 코어들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되었다. 먼저, 철(Fe) 70wt%, 망간(Mn) 22wt%, 및 아연(Zn) 8wt%을 진동 밀을 통해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에 대해 대기 분위기 하에서 섭씨 990도의 온도에서 54분 동안 하소 공정을 수행한 후, 진동 밀 및 마멸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여 페라이트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페라이트 슬러리에 PVA 계열의 바인더 및 에스터 계열의 소포제를 첨가한 후, 분무 건조기를 통해 입자 크기가 45um가 되는 구형의 미립자를 생성하였다. 이후, 상기 미립자에 대해 표 1에 도시된 각 공정 조건들 하에서 소성 공정을 수행한 후, 이를 해쇄 및 분급하여 페라이트 코어를 생성하였다.
표 2에 도시된 면 요철도(Sz)는 각 코어들의 표면에서 기준 높이보다 높은 지점들의 높이와 상기 기준 높이보다 낮은 지점들의 깊이의 합을 의미하며, 그 수치가 높을수록 표면에 형성된 요철의 정도가 큼을 나타낸다.
또한, 면 왜도(Ssk)는 각 코어들의 표면에서 기준 높이보다 높은 지점들과 상기 기준 높이보다 낮은 지점들의 분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면 왜도(Ssk)가 음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기준 높이보다 낮은 지점들의 분포가 상기 기준 높이보다 높은 지점들의 분포보다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각 코어들의 면 요철도(Sz) 및 면 왜도(Ssk)는 모두 VK-260K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모도(Attrition Index: AI)는 일정한 시간 동안 입자를 마모시키는 경우, 마모에 의해 상기 입자로부터 분리되어 포집되는 미세 분말의 비율을 의미하며, 그 수치가 낮을수록 마모의 정도가 작아서 우수한 내마모도 특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마모도(AI)는 ASTM D 5757-95 규격에 맞도록 제작된 장비에 의해 측정되었다.
표 1 및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각 코어들은 섭씨 1210도 내지 1230도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9.0 내지 9.5의 A 팩터를 갖는 환원 분위기에서 수행된 소성 공정을 통해 제조되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코어들을 제조하기 위한 소성 공정은 섭씨 1210도보다 낮은 섭씨 1190도의 온도에서 수행되거나, 5시간보다 짧은 3시간 동안 수행되거나, 혹은 9.0보다 작은 8.0의 A 팩터를 갖는 환원 분위기에서 수행되었다.
소성 온도가 섭씨 1190도인 비교예 3 내지 5에 따른 코어들은 소성 시간이나 소성 분위기와 관계없이 마모도가 각각 6.3%, 6.3% 및 7.4%로서 크게 나타난 반면, 소성 온도가 섭씨 1210도 내지 1230도인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코어들은 마모도가 각각 3.1%, 3.1% 및 2.0%로서 작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소성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코어의 마모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소성 온도가 섭씨 1230도로서 각각 3.0% 및 4.1%의 작은 마모도를 갖는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코어들의 경우, 소성 시간이 3시간으로 짧은 비교예 2에 따른 코어는 면 요철도가 5.86으로 작았고 또한 면 왜도가 -0.74로서 그 절대값이 너무 높았으며, A 팩터가 8.0로서 9.0보다 작은 비교예 1에 따른 코어는 면 요철도가 4.17로서 너무 작았고, 면 왜도가 -0.14로서 그 절대값이 너무 작았다.
즉, 상대적으로 높은 소성 온도와 함께, 5시간 이상의 상대적으로 긴 소성 시간, 및 9.0 이상의 상대적으로 큰 A 팩터를 갖는 경우에는, 각 코어들이 작은 마모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면 요철도 및 면 왜도의 절대값이 너무 작거나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코어의 면 요철도나 면 왜도의 절대값이 너무 작으면, 상기 코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수지층이 교반에 의해 지속적으로 마모될 때, 상기 코어의 표면에 잔류하는 수지층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빨리 감소하게 되므로, 이들을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의 대전 특성이 빨리 열화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코어의 면 요철도나 면 왜도의 절대값이 너무 크면, 엔티디(Non-Tapped Density: NTD)의 감소로 인해 유동성이 낮아져, 이후 토너와의 혼합성 및 이동성이 열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어의 면 왜도의 절대값이 너무 큰 경우,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코팅되는 수지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져 상기 코어의 자성 특성이 열화될 수 있으며, 코팅되는 수지층의 양이 많아져 경제성이 낮아질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코어들은 적절한 범위 내의 면 요철도 및 면 왜도를 가지므로, 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의 대전 특성이 열화되는 속도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를 감싸는 수지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짐에 따라 발생하는 자성 특성 및 경제성의 열화가 방지될 수 있고, 이후 토너와의 혼합성 및 이동성도 우수할 수 있다.
결국,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각 코어들은 예를 들어, 3.1% 이하의 낮은 마모도를 가질 수 있으며, 너무 작거나 너무 크지 않은 적절한 범위, 예를 들어 6.1 내지 8.2의 면 요철도, 및 예를 들어 -0.48 내지 -0.30의 면 왜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는 그 자체의 마모도가 작아서 우수한 내마모도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 코어가 적절한 범위의 면 요철도 및 면 왜도를 가짐에 따라서,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지층이 적절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이후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마모되더라도 상기 코어의 표면에 잔류하는 양이 많을 수 있다. 결국, 상기 코어 및 상기 수지층을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는 전체적으로 긴 수명, 우수한 대전 특성 및 우수한 자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변성 실리콘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어를 제조한 후, 그 표면에 예를 들어, 스프레이 드라이법, 유동상법, 침지법 등의 방법을 통해 코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 및 이를 감싸는 상기 수지층을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가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에서, 상기 토너는 상기 자성 캐리어에 의해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의 표면으로 공급되며, 이후 종이로 전사되어 소모되므로, 상기 토너는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반면, 상기 자성 캐리어는 자성 롤러의 표면에 부착되어 계속 사용되되, 그 마모에 따라 수명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현상제는 상기 자성 캐리어의 수명에 따라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으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긴 수명을 갖는 상기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상기 현상제 역시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페라이트 재료를 혼합 및 분쇄하고;
    상기 혼합 및 분쇄된 페라이트 재료를 미립자화하고; 그리고
    상기 페라이트 미립자에 대해 소성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소성 공정은 섭씨 1210도 내지 섭씨 1230도의 온도에서 5시간 이상 환원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며,
    상기 소성 공정 시, 평형식 Log(PO2) = A 14540/T(PO2는 산소 분압, T는 절대온도)에서 A 팩터는 9.0 내지 9.5인 자성 캐리어용 코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재료를 혼합한 후 상기 페라이트 재료를 분쇄하기 이전에,
    상기 혼합된 페라이트 재료에 대해 하소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용 코어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공정 이후에,
    상기 페라이트 미립자에 대한 분급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용 코어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및 분쇄된 페라이트 재료를 미립자화하는 것은 원심 분무법에 의해 수행되는 자성 캐리어용 코어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재료를 혼합 및 분쇄하는 것은 각각 건식 혼합 공정 및 습식 분쇄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자성 캐리어용 코어의 제조 방법.
  6. 페라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용 코어로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마모도가 3.1% 이하인 자성 캐리어용 코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요철도가 6.1 내지 8.2인 자성 캐리어용 코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왜도가 -0.48 내지 -0.30인 자성 캐리어용 코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는 AxB1-x-yFe2+yO4의 화학식(A는 아연(Zn), 칼슘(Ca), 마그네슘(Mg), 니켈(Ni), 티타늄(Ti) 및 구리(Cu) 중에서 적어도 하나, B는 망간(Mn), 니오븀(Nb), 코발트(Co), 주석(Sn) 및 지르코늄(Z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 0.1<x<0.3, 0≤Y<0.2)을 갖는 자성 캐리어용 코어.
  10. 페라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용 코어로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요철도는 6.1 내지 8.2이고,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왜도는 -0.48 내지 -0.30인 자성 캐리어용 코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마모도가 3.1% 이하인 자성 캐리어용 코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는 AxB1-x-yFe2+yO4의 화학식(A는 아연(Zn), 칼슘(Ca), 마그네슘(Mg), 니켈(Ni), 티타늄(Ti) 및 구리(Cu) 중에서 적어도 하나, B는 망간(Mn), 니오븀(Nb), 코발트(Co), 주석(Sn) 및 지르코늄(Z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 0.1<x<0.3, 0≤Y<0.2)을 갖는 자성 캐리어용 코어.
  13. 페라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마모도가 3.1% 이하인 자성 캐리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요철도가 6.1 내지 8.2인 자성 캐리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왜도가 -0.48 내지 -0.30인 자성 캐리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는 AxB1-x-yFe2+yO4의 화학식(A는 아연(Zn), 칼슘(Ca), 마그네슘(Mg), 니켈(Ni), 티타늄(Ti) 및 구리(Cu) 중에서 적어도 하나, B는 망간(Mn), 니오븀(Nb), 코발트(Co), 주석(Sn) 및 지르코늄(Z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 0.1<x<0.3, 0≤Y<0.2)을 갖는 자성 캐리어.
  17. 페라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요철도가 6.1 내지 8.2이고,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면 왜도가 -0.48 내지 -0.30인 자성 캐리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의 마모도가 3.1% 이하인 자성 캐리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입자는 AxB1-x-yFe2+yO4의 화학식(A는 아연(Zn), 칼슘(Ca), 마그네슘(Mg), 니켈(Ni), 티타늄(Ti) 및 구리(Cu) 중에서 적어도 하나, B는 망간(Mn), 니오븀(Nb), 코발트(Co), 주석(Sn) 및 지르코늄(Z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 0.1<x<0.3, 0≤Y<0.2)을 갖는 자성 캐리어.
KR1020200184366A 2020-12-28 2020-12-28 코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 KR20220093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366A KR20220093543A (ko) 2020-12-28 2020-12-28 코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366A KR20220093543A (ko) 2020-12-28 2020-12-28 코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43A true KR20220093543A (ko) 2022-07-05

Family

ID=8240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366A KR20220093543A (ko) 2020-12-28 2020-12-28 코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35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470A (ko) 2016-12-30 2018-07-10 (주)에스제이켐텍 자성 캐리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성분계 현상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470A (ko) 2016-12-30 2018-07-10 (주)에스제이켐텍 자성 캐리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성분계 현상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1571B2 (ja) キャリア芯材の製造法
JP4779141B2 (ja) 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芯材およびその製造法並びに磁性キャリア
JP2007034249A (ja) 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芯材、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写真現像剤
JP5825670B2 (ja) フェライト粒子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及び電子写真用現像剤
JP2015151287A (ja) フェライト粒子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及び電子写真用現像剤
US9164411B2 (en) Carrier core material for electrophotographic develop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rrier for electrophotographic developer and electrophotographic developer
JP4963618B2 (ja) 電子写真現像剤用キャリア芯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写真現像剤
JP5229856B2 (ja) 電子写真現像剤用キャリアおよび電子写真現像剤
KR20220093543A (ko) 코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캐리어
JP2009237155A (ja) 電子写真現像剤用キャリア芯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写真現像剤用キャリア、並びに電子写真現像剤
JP5040024B2 (ja) 電子写真現像剤用キャリア粉の製造方法
JP5930576B2 (ja) キャリア芯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及び電子写真用現像剤
JP5111062B2 (ja) 電子写真現像剤用キャリア芯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写真現像剤用キャリア、並びに電子写真現像剤
JP5769350B1 (ja) フェライト粒子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及び電子写真用現像剤
JP5499372B2 (ja) 電子写真現像剤用キャリア粉および当該キャリア粉を含む電子写真現像剤
JP6742119B2 (ja) キャリア用芯材、キャリア、現像剤及び電子写真現像システム
JP6061423B2 (ja) キャリア芯材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及び電子写真用現像剤
JP5748258B2 (ja) 電子写真現像剤用キャリア芯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07060B2 (ja) キャリア芯材および電子写真現像剤
JP5892689B2 (ja) フェライト粒子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及び電子写真用現像剤
JP6008427B2 (ja) フェライト粒子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及び電子写真用現像剤
JPH0648393B2 (ja) 静電複写用フェライトキャリア材
JP5943465B2 (ja) フェライト粒子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及び電子写真用現像剤
JPH0449942B2 (ko)
JP2010112997A (ja) 電子写真現像剤用キャリア芯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写真現像剤用キャリア、並びに電子写真現像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