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342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342A
KR20220092342A KR1020210084584A KR20210084584A KR20220092342A KR 20220092342 A KR20220092342 A KR 20220092342A KR 1020210084584 A KR1020210084584 A KR 1020210084584A KR 20210084584 A KR20210084584 A KR 20210084584A KR 20220092342 A KR20220092342 A KR 20220092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side
grain stem
guide member
support frame
harvesting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키 야마우치
마사루 이케다
마사루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2009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01D61/04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01D61/008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for longitudinal conveying, especially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지지 프레임에 걸리기 어려운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콤바인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탈곡 장치(6)를 향해 걸림 반송하는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를 구비하고 있다.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는, 무단 회동 체인(36)과, 예취 곡간을 무단 회동 체인(36)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40)를 갖고 있다. 콤바인은, 가이드 부재(4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5)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45)은, 평면에서 볼 때,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의 반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가이드 부재(40)에 대하여 무단 회동 체인(36)과는 반대측으로부터 가이드 부재(40)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콤바인은,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이 지지 프레임(45)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수단 M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 장치〔4〕」)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탈곡 장치를 향해 걸림 반송하는 이삭 끝측 반송 장치(문헌에서는 「이삭 끝측 걸림 반송부〔34〕」)가 구비되어 있다.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는, 무단 회동 체인(문헌에서는 「무단 회동 체인〔34a〕」)과, 무단 회동 체인에 설치되고,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에 걸림 고정되는 복수의 클로(문헌에서는 「걸림 반송 클로〔34b〕」)와, 예취 곡간을 무단 회동 체인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문헌에서는 「이삭 끝측 반송 가이드〔35〕, 걸림 반송 가이드 레일〔41〕」)가 구비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는,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문헌에서는 「선단측 부분〔45e〕」)이 구비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6004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지지 프레임에 걸리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지지 프레임에 걸리면, 곡립이 손실될 것이 염려된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지지 프레임에 걸리기 어려운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상기 탈곡 장치를 향해 걸림 반송하는 이삭 끝측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삭 끝측 반송 장치는, 무단 회동 체인과, 상기 무단 회동 체인에 설치되고,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에 걸림 고정되는 복수의 클로와, 예취 곡간을 상기 무단 회동 체인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갖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이삭 끝측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상기 무단 회동 체인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를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데 있다.
본 특징의 구성에 의하면,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이 지지 프레임에 접촉하려고 해도, 회피 수단에 의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지지 프레임에 걸리기 어렵다. 이에 의해,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지지 프레임에 걸리는 것에 기인하여, 곡립이 손실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피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방으로 우회함으로써 형성된 굽힘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특징의 구성에 의하면, 가령,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무단 회동 체인과 가이드 부재의 사이로부터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도, 당해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굽힘부에 의한 공간을 통과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무단 회동 체인과 가이드 부재의 사이로부터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도, 당해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지지 프레임에 걸리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세로 부분과, 상기 제1 세로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무단 회동 체인과는 반대측인 옆쪽을 향해 연장되는 가로 부분과, 상기 가로 부분 중 상기 제1 세로 부분과는 반대측인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세로 부분을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특징의 구성에 의하면, 굽힘부가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굽힘부를 간단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피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상기 이삭 끝측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세로벽을 구비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특징의 구성에 의하면,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세로벽에 의해 안내되게 된다. 이에 의해,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지지 프레임에 걸리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피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상기 이삭 끝측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세로벽을 구비하고, 상기 굽힘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세로 부분과, 상기 제1 세로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무단 회동 체인과는 반대측인 옆쪽을 향해 연장되는 가로 부분과, 상기 가로 부분 중 상기 제1 세로 부분과는 반대측인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세로 부분을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특징의 구성에 의하면, 굽힘부가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굽힘부를 간단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세로벽에 의해 안내되게 된다. 이에 의해,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지지 프레임에 걸리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에 있어서, 상측의 가로 폭은, 하측의 가로 폭의 절반 이상의 폭을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특징의 구성에 의하면, 굽힘부에 있어서의 상측의 가로 폭이 비교적 광폭으로 구성되어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굽힘부에 의한 공간을 통과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의 양이 많아도, 당해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지지 프레임에 걸리기 어렵다.
도 1은 콤바인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예취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반송부 및 탈곡 장치의 전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반송부 및 탈곡 장치의 전방부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 및 탈곡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반송부 및 탈곡 장치의 전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Ⅶ-Ⅶ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의 Ⅷ-Ⅷ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살표 F의 방향을 「기체 전방측」, 화살표 B의 방향을 「기체 후방측」, 화살표 L의 방향을 「기체 좌측」, 화살표 R의 방향을 「기체 우측」이라고 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에는, 자탈형 콤바인(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상당)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콤바인에는, 주행 기체(1)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에는, 크롤러 주행 장치(2)와, 크롤러 주행 장치(2)에 지지되는 기체 프레임(3)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전방에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4)가 마련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 부분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 캐빈(5)이 마련되어 있다.
예취부(4)의 후방에는, 예취부(4)로부터의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6)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우측 옆에는, 탈곡 처리 후의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7)가 마련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에는, 곡립 저류 탱크(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8)가 접속되어 있다.
탈곡 장치(6)에는,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축심 Y1 둘레로 회전 가능한 급동(10)이 구비되어 있다. 급동(10)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동체부(10A)와, 동체부(10A)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급치(10B)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전방면부에는, 예취부(4)로부터의 예취 곡간이 도입되는 곡간 입구(6A)가 형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옆쪽(왼쪽)에는, 피드 체인(9)이 마련되어 있다. 피드 체인(9)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탈곡 장치(6)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태에서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을 끼움 지지하여 예취 곡간을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드 체인(9)에 의해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탈곡 장치(6)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태에서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이 끼움 지지되어 예취 곡간이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됨으로써, 탈곡 장치(6)의 내부에 있어서,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급동(10)에 의해 훑기 처리되게 된다.
〔예취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4)는, 복수 예취 사양(본 실시 형태에서는, 7조 예취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4)에는, 식립 곡간을 분초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분초구(12)와, 식립 곡간을 일으켜 세우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7개)의 일으킴 장치(13)와, 식립 곡간의 밑동을 긁어넣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7개)의 긁어넣기 벨트(14)와, 식립 곡간을 절단하는 예취날 장치(15)와, 예취 곡간의 밑동을 긁어넣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7개)의 긁어넣기 패커(16)와, 예취 곡간을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반송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포장의 식립 곡간이 분초구(12)에 의해 분초되고, 분초구(12)에 의해 분초된 식립 곡간이 일으킴 장치(13)에 의해 일으켜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일으킴 장치(13)에 의해 일으켜 세워진 식립 곡간이 긁어넣기 벨트(14)에 의해 긁어 넣어지고, 긁어넣기 벨트(14)에 의해 긁어 넣어진 식립 곡간이 예취날 장치(15)에 의해 절단되게 된다. 그리고, 예취날 장치(15)에 의해 절단된 예취 곡간이 긁어넣기 패커(16)에 의해 긁어 넣어지고, 긁어넣기 패커(16)에 의해 긁어 넣어진 예취 곡간이 반송부(17)에 의해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되게 된다.
〔반송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부(17)에는, 좌측 반송 장치(18)와, 중간 반송 장치(19)와, 우측 반송 장치(20)와, 훑기 깊이 반송 장치(21)와, 공급 반송 장치(22)와, 보조 반송 장치(23)가 구비되어 있다.
좌측 반송 장치(18)는, 7조 중 좌측 2조의 예취 곡간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 반송 장치(18)에는,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좌측 밑동 반송 장치(24)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걸림 반송하는 좌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25)가 구비되어 있다.
중간 반송 장치(19)는, 7조 중 중앙측 3조의 예취 곡간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 반송 장치(19)에는, 중간 좌측 반송 장치(26)와, 중간 우측 반송 장치(27)가 구비되어 있다.
중간 좌측 반송 장치(26)는, 중앙측 3조 중 좌측 1조의 예취 곡간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 좌측 반송 장치(26)에는,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중간 좌측 밑동 반송 장치(28)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걸림 반송하는 중간 좌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29)가 구비되어 있다.
중간 우측 반송 장치(27)는, 중앙측 3조 중 우측 2조의 예취 곡간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 우측 반송 장치(27)에는,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중간 우측 밑동 반송 장치(30)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걸림 반송하는 중간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1)가 구비되어 있다.
우측 반송 장치(20)는, 7조 중 우측 2조의 예취 곡간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측 반송 장치(20)에는,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우측 밑동 반송 장치(32)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걸림 반송하는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본 발명에 따른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훑기 깊이 반송 장치(21)는, 좌측 밑동 반송 장치(24), 중간 좌측 밑동 반송 장치(28), 중간 우측 밑동 반송 장치(30) 및 우측 밑동 반송 장치(32)로부터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을 이어 받아 끼움 지지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훑기 깊이 반송 장치(21)는, 이전 지지점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훑기 깊이 반송 장치(21)를 상하 요동시킴으로써, 훑기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급 반송 장치(22)는, 훑기 깊이 반송 장치(21)로부터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을 이어 받아 끼움 지지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급 반송 장치(22)에는, 공급 체인(34)과, 공급 체인(34)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마련되고, 예취 곡간을 공급 체인(34)측으로 안내하는 공급 가이드(35)가 구비되어 있다. 공급 가이드(35) 등을 지지하는 공급 프레임(43)이 마련되어 있다. 보조 반송 장치(23)는, 공급 반송 장치(22)로부터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을 이어 받아 끼움 지지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좌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25)에 의해 걸림 반송된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 중간 좌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29)에 의해 걸림 반송된 1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 중간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1)에 의해 걸림 반송된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 및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에 의해 걸림 반송된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합류하고, 당해 합류된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7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에 의해 걸림 반송되어 탈곡 장치(6)의 곡간 입구(6A)에 도입되게 된다.
또한, 좌측 밑동 반송 장치(24)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된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 중간 좌측 밑동 반송 장치(28)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된 1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 중간 우측 밑동 반송 장치(30)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된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 및 우측 밑동 반송 장치(32)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된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이 합류하고, 당해 합류된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7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이 훑기 깊이 반송 장치(21) 및 공급 반송 장치(22)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게 된다. 그리고, 공급 반송 장치(22)로부터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 부분이 보조 반송 장치(23)에 의해 피드 체인(9)에 수수되게 된다.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에는, 우측 이삭 끝측 체인(36)(본 발명에 따른 「무단 회동 체인」에 상당)과, 우측 이삭 끝측 체인(36)에 설치되고,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에 걸림 고정되는 복수의 클로(37)와, 예취 곡간을 우측 이삭 끝측 체인(36)측으로 안내하는 우측 이삭 끝측 가이드(38)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통과하는 통과 경로 Pr을 구성하는 가이드 부재(39)가 구비되어 있다. 우측 이삭 끝측 가이드(38)에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의 상부를 안내하는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재」에 상당)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의 하부를 안내하는 하측 이삭 끝측 가이드(41)가 구비되어 있다.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 및 하측 이삭 끝측 가이드(41)는, 모두 막대 형상(둥근 막대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의 전단부 및 하측 이삭 끝측 가이드(41)의 전단부는, 각각, 좌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25)측에 지지되어 있다.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의 전단부에는, 좌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25)측에 지지되는 지지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이삭 끝측 가이드(41)의 전단부에는, 좌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25)측에 지지되는 지지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이삭 끝측 가이드(41)는, 하측 스테이(42)를 통해 스테이(44)에 지지되어 있다. 하측 스테이(42)는, 스테이(44)를 통해 공급 프레임(43)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5)이 마련되어 있다.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는, 지지 프레임(45)을 통해 스테이(44)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5)은, 스테이(44)를 통해 공급 프레임(43)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5)은, 하측 스테이(42)와 함께 스테이(44)에 볼트 고정(공동 체결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5)은, 평면에서 볼 때,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의 반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에 대하여 우측 이삭 끝측 체인(36)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5)에는, 우측 세로부(46)(본 발명에 따른 「제1 세로 부분」에 상당)와, 상측 가로부(47)(본 발명에 따른 「가로 부분」에 상당)와, 좌측 세로부(48)(본 발명에 따른 「제2 세로 부분」에 상당)와, 하측 가로부(49)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5)에 있어서, 우측 세로부(46)와 상측 가로부(47)와 좌측 세로부(48)에 의해 굽힘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이 지지 프레임(45)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수단 M으로서, 굽힘부(50)가 구비되어 있다. 굽힘부(50)는, 지지 프레임(45)이 상방으로 우회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굽힘부(50)는,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세로부(46)는,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측 가로부(47)는, 우측 세로부(46)의 상단부로부터 우측 이삭 끝측 체인(36)과는 반대측인 옆쪽(왼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좌측 세로부(48)는, 상측 가로부(47) 중 우측 세로부(46)와는 반대측인 단부(좌측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좌측 세로부(48)는, 그 중간부에서 구부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세로부(48)는, 우측 세로부(46)보다도 하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좌측 세로부(48)에는, 상측부터 순서대로 경사부(48a)와, 평행부(48b)가 구비되어 있다. 경사부(48a)는, 하측일수록 우측 세로부(46)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행부(48b)는, 우측 세로부(46)에 대하여 평행(또는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측 가로부(49)는, 좌측 세로부(48)의 하단부로부터 우측 이삭 끝측 체인(36)과는 반대측인 옆쪽(왼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하측 가로부(49)는, 하측 스테이(42)와 함께 스테이(44)에 볼트 고정(공동 체결 고정)되어 있다.
도 7에는, 굽힘부(50)에 있어서, 상측의 가로 폭을 W1, 하측의 가로 폭을 W2로 나타내고 있다. 굽힘부(50)에 있어서, 상측의 가로 폭 W1은, 하측의 가로 폭 W2보다도 좁은 폭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굽힘부(50)에 있어서, 상측의 가로 폭 W1은, 하측의 가로 폭 W2보다도 좁은 폭이며, 하측의 가로 폭 W2의 절반 이상의 폭을 갖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은, 통상, 우측 이삭 끝측 가이드(38)와 우측 이삭 끝측 체인(36)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도 7에 있어서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S1을 참조). 여기서, 가령,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우측 이삭 끝측 체인(36)과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의 사이로부터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도(도 7에 있어서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S2를 참조), 당해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 S2가 굽힘부(50)에 의한 공간을 통과하게 된다. 이에 의해,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이 우측 이삭 끝측 체인(36)과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의 사이로부터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도, 당해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 S2가 지지 프레임(45)에 걸리기 어렵다. 이와 같이, 굽힘부(50)가 회피 수단 M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세로벽〕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45)으로부터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를 따라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세로벽(51)이 마련되어 있다. 즉,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이 지지 프레임(45)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수단 M으로서, 세로벽(51)이 구비되어 있다. 세로벽(51)은,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의 굽힘 형상을 따라서 구부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벽(51)은, 지지 프레임(45)으로부터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40)의 전단부(지지부(40a)) 근방까지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세로벽(51)에는,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의 반송 방향 하류측부터 순서대로 제1 판면부(51a)와, 제2 판면부(51b)와, 제3 판면부(51c)가 구비되어 있다. 제1 판면부(51a)는, 우측 세로부(46)의 전연부로부터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판면부(51b)는, 제1 판면부(51a)의 전연부로부터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3 판면부(51c)는, 제2 판면부(51b)의 전연부로부터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곡간 입구〕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6)의 곡간 입구(6A)에는, 예취 곡간을 안내하는 입구 가이드판(55)이 마련되어 있다. 입구 가이드판(55)은, 탈곡 장치(6)의 곡간 입구(6A)의 하연부를 따르도록,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구 가이드판(55)의 우측 단부에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선단부를 안내하는 세로 가이드판(56)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39)의 후단부에는, 후측 가이드판(57)이 설치되어 있다. 후측 가이드판(57)은, 가요성을 갖는 판형 부재(예를 들어, 고무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측 가이드판(57)은, 가이드 부재(39)의 후단부와 입구 가이드판(55)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전방면에는, 지표 I를 표시하는 표시부 D가 마련되어 있다. 지표 I는, 탈곡 장치(6)의 곡간 입구(6A)에 있어서의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선단부의 적정한 도입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지표 I는, 작업자가 예취 곡간의 손훑기 작업을 행할 때의 지표이다.
도 8에 있어서, 동체부(10A)의 최하단을 10a, 회전 축심 Y1 둘레에 있어서의 급동(10)의 회전 방향을 A로 나타내고 있다. 지표 I는, 동체부(10A)의 최하단(10a)보다도 급동(10)의 회전 방향 A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지표 I는, 동체부(10A)의 최하단(10a)보다도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에 배치되어 있다.
〔훑기 깊이 제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9)의 후방부(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제3 가이드 부재(60))의 상방에는, 통과 경로 Pr을 통과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검출하는 이삭 끝측 센서(52)가 마련되어 있다. 이삭 끝측 센서(52)에는, 밑동측 이삭 끝측 센서(52A)와, 이삭 끝측 이삭 끝측 센서(52B)가 구비되어 있다.
본 콤바인에는, 훑기 깊이 반송 장치(21)의 훑기 깊이를 조절하는 제어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본 제어 구성에는, 훑기 깊이 반송 장치(21)를 상하 요동 구동하는 훑기 깊이 모터(53)와, 훑기 깊이 모터(53)를 제어하는 훑기 깊이 제어 장치(54)가 구비되어 있다. 훑기 깊이 제어 장치(54)는, 이삭 끝측 센서(5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탈곡 장치(6)의 곡간 입구(6A)에 대한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의 도입 길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훑기 깊이 제어 장치(54)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선단부가 지표 I에 근접하도록, 훑기 깊이 모터(53)를 제어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밑동측 이삭 끝측 센서(52A) 및 이삭 끝측 이삭 끝측 센서(52B)의 양쪽이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검출한 경우, 훑기 깊이 제어 장치(54)는, 훑기 깊이 반송 장치(21)가 얕은 훑기측으로 요동(하방으로 요동)하도록, 훑기 깊이 모터(53)를 구동시킨다. 또한, 밑동측 이삭 끝측 센서(52A) 및 이삭 끝측 이삭 끝측 센서(52B)의 양쪽이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훑기 깊이 제어 장치(54)는, 훑기 깊이 반송 장치(21)가 깊은 훑기측으로 요동(상방으로 요동)하도록, 훑기 깊이 모터(53)를 구동시킨다. 또한, 이삭 끝측 이삭 끝측 센서(52B)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검출하지 않고, 밑동측 이삭 끝측 센서(52A)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검출한 경우, 훑기 깊이 제어 장치(54)는, 훑기 깊이 모터(53)를 구동시키지 않는다(훑기 깊이 반송 장치(21)를 요동시키지 않음).
〔가이드 부재〕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9)에는,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33)의 반송 방향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제1 가이드 부재(58)와, 제2 가이드 부재(59)와, 제3 가이드 부재(60)가 구비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부재(58)의 후단부와 제2 가이드 부재(59)의 전단부는,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2 가이드 부재(59)의 후단부와 제3 가이드 부재(60)의 전단부는,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3 가이드 부재(60)에는, 저면부(61)와, 앞쪽 세로벽(62)과, 안쪽 세로벽 (63)이 구비되어 있다.
저면부(61)의 전방부에는, 굴곡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61)의 후단부에는, 후측 가이드판(57)이 설치되는 설치부(61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이란, 「이삭 끝측」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이며, 예취 곡간의 밑동측이란, 「밑동측」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안쪽 세로벽(63)은, 앞쪽 세로벽(62)보다도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에 위치하고, 저면부(61) 중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의 단부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안쪽 세로벽(63)은, 평면에서 볼 때 일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앞쪽 세로벽(62)은, 안쪽 세로벽(63)보다도 예취 곡간의 밑동측에 위치하고, 저면부(61) 중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의 단부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앞쪽 세로벽(62)은, 안쪽 세로벽(63)보다도 높은(저면부(61)로부터의 높이가 높은) 벽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앞쪽 세로벽(62)은, 저면부(6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앞쪽 세로벽(62)은,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앞쪽 세로벽(62)은, 저면부(61)에 있어서의 하나의 설치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앞쪽 세로벽(62)은, 제1 설치부(64) 및 제2 설치부(65)를 통해 저면부(61)에 설치되고, 또한, 제3 설치부(66)를 통해 안쪽 세로벽(63)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설치부(64)는, 앞쪽 세로벽(62)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설치부(64)는, 굴곡부(61a)를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굴곡부(61a)를 따르는 상태에서 굴곡부(61a)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2 설치부(65)는, 앞쪽 세로벽(62)의 전후 중간부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설치부(65)는, 저면부(61)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3 설치부(66)는, 앞쪽 세로벽(62)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3 설치부(66)는, 안쪽 세로벽(63)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앞쪽 세로벽(62)에는, 후방측일수록 안쪽 세로벽(63)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지는 제1 경사부(62A)와, 제1 경사부(62A)의 후단부에 연속해서 마련되고, 안쪽 세로벽(63)에 대하여 평행(또는 대략 평행)한 평행부(62B)와, 평행부(62B)의 후단부에 연속해서 마련되고, 후방측일수록 안쪽 세로벽(63)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지는 제2 경사부(62C)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평행부(62B)의 연장선을 L1로 나타내고 있다. 연장선 L1과 탈곡 장치(6)의 전방면과의 교점 P1은, 지표 I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평행부(62B)는, 지표 I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경사부(62C)는, 저면부(61)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피 수단 M으로서, 굽힘부(50)와, 세로벽(51)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회피 수단 M으로서, 굽힘부(50) 및 세로벽(51) 중 어느 한쪽만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굽힘부(50)는,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굽힘부(50)는, 회피 수단 M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면, 역 U자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굽힘부(50)에 있어서, 상측의 가로 폭 W1은, 하측의 가로 폭 W2보다도 좁은 폭이며, 하측의 가로 폭 W2의 절반 이상의 폭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굽힘부(50)에 있어서, 상측의 가로 폭 W1은, 하측의 가로 폭 W2의 절반보다도 작은 폭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는, 굽힘부(50)에 있어서, 상측의 가로 폭 W1은, 하측의 가로 폭 W2보다도 넓은 폭을 갖고 있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취부(4)는, 7조 예취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예취부(4)는, 7조 예취 사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예취부(4)는, 6조 예취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에 이용 가능하다.
6: 탈곡 장치
33: 우측 이삭 끝측 반송 장치(이삭 끝측 반송 장치)
36: 우측 이삭 끝측 체인(무단 회동 체인)
37: 클로
40: 상측 이삭 끝측 가이드(가이드 부재)
45: 지지 프레임
46: 우측 세로부(제1 세로 부분)
47: 상측 가로부(가로 부분)
48: 좌측 세로부(제2 세로 부분)
50: 굽힘부
51: 세로벽
M: 회피 수단
W1: 상측의 가로 폭
W2: 하측의 가로 폭

Claims (6)

  1.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을 상기 탈곡 장치를 향해 걸림 반송하는 이삭 끝측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삭 끝측 반송 장치는, 무단 회동 체인과, 상기 무단 회동 체인에 설치되고,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 부분에 걸림 고정되는 복수의 클로와, 예취 곡간을 상기 무단 회동 체인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갖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이삭 끝측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상기 무단 회동 체인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를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삭 끝측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방으로 우회함으로써 형성된 굽힘부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세로 부분과, 상기 제1 세로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무단 회동 체인과는 반대측인 옆쪽을 향해 연장되는 가로 부분과, 상기 가로 부분 중 상기 제1 세로 부분과는 반대측인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세로 부분을 갖고 있는, 기재된 콤바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상기 이삭 끝측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세로벽을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상기 이삭 끝측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세로벽을 구비하고,
    상기 굽힘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세로 부분과, 상기 제1 세로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무단 회동 체인과는 반대측인 옆쪽을 향해 연장되는 가로 부분과, 상기 가로 부분 중 상기 제1 세로 부분과는 반대측인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세로 부분을 갖고 있는, 콤바인.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에 있어서, 상측의 가로 폭은, 하측의 가로 폭의 절반 이상의 폭을 갖고 있는, 콤바인.
KR1020210084584A 2020-12-24 2021-06-29 콤바인 KR202200923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5628A JP7413247B2 (ja) 2020-12-24 2020-12-24 コンバイン
JPJP-P-2020-215628 2020-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342A true KR20220092342A (ko) 2022-07-01

Family

ID=8207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584A KR20220092342A (ko) 2020-12-24 2021-06-29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13247B2 (ko)
KR (1) KR20220092342A (ko)
CN (1) CN1146678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040A (ja) 2001-06-11 2002-12-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6320A (ja) 2004-05-28 2006-01-12 Kubota Corp 自脱型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040A (ja) 2001-06-11 2002-12-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01194A (ja) 2022-07-06
JP7413247B2 (ja) 2024-01-15
CN114667843A (zh)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2342A (ko) 콤바인
WO2010050443A1 (ja) コンバイン
JP6971907B2 (ja) コンバイン
JP7413246B2 (ja) コンバイン
JP6717738B2 (ja) コンバイン
JP2012046152A (ja) コンバイン
JP7110039B2 (ja) コンバイン
KR102159810B1 (ko) 선별 장치 및 이를 갖는 콤바인
JP2016021964A (ja) コンバイン
JP5503135B2 (ja) コンバインの車体構造
CN211090684U (zh) 收割机
JP2019106924A (ja) コンバイン
JP7085981B2 (ja) コンバイン
JP7183122B2 (ja) コンバイン
JP5280147B2 (ja) コンバイン
JP7260498B2 (ja) コンバイン
KR20220091332A (ko) 콤바인
KR20180053390A (ko) 모종 인출 안내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
JP2022002486A (ja) コンバイン
JP2022100103A (ja) コンバイン
JP2020174672A (ja) コンバイン
JP2020103127A (ja) 収穫機
JP2021023119A (ja) 収穫機
JP2020099275A (ja) コンバイン
JP2022092902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