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930A -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및 그것을 사용한 복합 용기 - Google Patents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및 그것을 사용한 복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930A
KR20220088930A KR1020227017995A KR20227017995A KR20220088930A KR 20220088930 A KR20220088930 A KR 20220088930A KR 1020227017995 A KR1020227017995 A KR 1020227017995A KR 20227017995 A KR20227017995 A KR 20227017995A KR 20220088930 A KR20220088930 A KR 20220088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ag
cylindrical container
support mechanism
contain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오 코자이
슈 카와카미
Original Assignee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8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08Integral flaps for tying above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충전물이 들어간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1)를 들어올려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1)의 바닥변의 절곡을 해소하고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1)의 바닥변(8)을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 부근에 위치를 맞추는 바와 같은 작업의 필요성이 없고, 용이하게 원통 용기에 수용된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1)를 원통 용기의 용적과 동일한 정도까지 충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1) 및 그것을 사용한 복합 용기로서, 겹쳐진 또는 접어 포개진 필름(2)의 적어도 좌우 단부(3) 및 하부(4)가 닫힌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1)는, 충전물 수납부(5)와 충전물 수납부 아래에 지지 기구부(6)를 갖고, 지지 기구부(6)는 원통 용기 내에 있어서의 내장 봉투의 바닥변(8)의 위치를 규제하는 지지 기구(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1) 및 그것을 사용한 복합 용기.

Description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및 그것을 사용한 복합 용기
본 발명은, 탱크나 드럼통 등의 용량이 비교적 큰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의 원통 용기에 사용되는 내장 봉투 및 그것을 사용한 복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탱크나 드럼통 등의 용량이 비교적 큰 원통 용기에 약품 등의 액체를 충전하는 경우, 원통 용기 내부가 충전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에서, 필름으로 성형된 내장 봉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당해 내장 봉투를 원통 용기 내부에 미리 삽입해 두고, 충전물을 원통 용기에 직접 충전하지 않고 원통 용기 내의 내장 봉투에 충전함으로써, 내용물을 배출한 후에 원통 용기를 세정하지 않아도, 내장 봉투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내장 봉투를 수용한 원통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내장 봉투로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필름(22)의 주연(좌우 단부(23) 및 바닥부(24))이 봉투를 형성하도록 닫힌 편평한 내장 봉투(21)가 사용되고 있다. 이 내장 봉투의 폭은 원통 용기의 내주 길이의 대략 절반으로 되어 있고, 내장 봉투의 용적은 원통 용기의 용적과 거의 동일하다. 필름 두께는, 0.01 ~ 0.5mm 정도이지만, 충전물의 중량에 의해 내장 봉투에 가해지는 힘은 용기가 담당하기 때문에, 통상, 충전물의 중량에 의해 내장 봉투가 파손되는 경우는 없다.
통 용기 내에 수용된 내장 봉투에 충전물을 충전하는 경우, 우선 원통 용기 내에 내장 봉투를 삽입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내장 봉투의 폭이 원통 용기의 내주 길이의 대략 절반으로 되어 있다. 즉, 폭이 원통 용기의 내경(혹은 직경)보다도 긴 편평한 평(平)봉투이기 때문에, 원통 용기의 바닥에서 내장 봉투의 바닥변의 중심이 절곡된 상태에서 수용(평면에서 본 경우 U자 형상 또는 S자 형상)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장 봉투에 충전물을 충전하면, 충전물의 중량에 의해 내장 봉투의 측면(혹은 정면과 배면)이 확장되어 부풀 때에 내장 봉투의 바닥변은 절곡된 상태가 유지되어, 내장 봉투의 하부가 원통 용기 내부에서 충분히 넓어질 수 없고, 내장 봉투가 기울어져 원통 용기 내부에서 쓰러지려고 한 모습이 되어, 내장 봉투 가득 충전물을 충전할 수 없었다. 원통 용기에 수용된 내장 봉투를 원통 용기의 용적과 동일한 정도까지 충전(원통 용기에 있어서의 용적의 90 ~ 100%)시키려고 하면, 충전물이 들어간 내장 봉투를 들어올려 내장 봉투의 바닥변의 중심 부근의 절곡을 해소하고, 내장 봉투의 바닥변을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에 위치 맞춤하는 수고가 필요하지만, 들어올릴 때에 충전물의 중량으로 필름이 늘어나 봉투 찢김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는, 용기용 내체(內體) 봉투로서 내체 봉투 하부가 하방을 향하여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고, 사다리꼴의 단변의 길이가 용기 내경의 0.8 ~ 1.2배이며, 사다리꼴의 높이가 용기 내경의 0.4 ~ 0.6배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내체 봉투를 용기에 삽입할 때에 내체 봉투 하부가 절곡되는 일이 없는 것, 또한 용기 바닥부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실용신안공보 평7-47337호
그러나, 내장 봉투 하부가 하방을 향하여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내장 봉투로서도, 내장 봉투의 상부로부터 중부는 절곡된 상태에서 수용되게 되기 때문에, 단순히 삽입한 것만으로는 내장 봉투의 상부로부터 중부에 걸쳐서의 절곡에 추종하여 내장 봉투의 바닥변도 절곡되어, 내장 봉투의 하부가 원통 용기 내부에서 충분히 넓어질 수 없었다. 또한, 내장 봉투의 바닥변이 절곡되어 있는 점에서, 내장 봉투의 바닥변은 원통형 용기 바닥부의 중심 위로부터 조금 어긋난 개소에 위치하기 때문에, 충전물을 충전하면 내장 봉투는 기울어져 원통 용기 내부에서 쓰러지려고 한 모습이 되어, 원통 용기에 수용된 내장 봉투를 원통 용기의 용적과 동일한 정도까지 충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충전물이 들어간 내장 봉투를 들어올려 내장 봉투의 바닥변의 절곡을 해소하고, 내장 봉투의 바닥변을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 부근에 위치를 맞추는 바와 같은 작업의 필요성이 없고, 용이하게 원통 용기에 수용된 내장 봉투를 원통 용기의 용적과 동일한 정도까지 충전할 수 있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및 그것을 사용한 복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 겹쳐진 또는 접어 포개진 필름의 적어도 좌우 단부 및 하부가 닫힌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로서,
상기 내장 봉투는 충전물 수납부와 상기 충전물 수납부 아래에 지지 기구부를 갖고,
상기 지지 기구부는 원통 용기 내에 있어서의 상기 내장 봉투의 바닥변의 위치를 규제하는 지지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가 제공되고,
(2) 상기 지지 기구부는 수납 공간에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가 제공되고,
(3) 상기 지지 기구부는 밀폐 공간이 내압에 의해 팽창한 막대 형상의 지지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가 제공되고,
(4) 상기 지지 기구부는 봉투의 바닥변 부근의 외측 또는 내측에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가 제공되고,
*(5) 상기 지지 기구는 길이가 상기 내장 봉투의 내주 길이로 이루어지는 원의 직경과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가 제공되고,
(6)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내장 봉투의 바닥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가 제공되고,
(7)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내장 봉투의 폭방향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가 제공되고,
(8) 상기 내장 봉투는 상부에 주입출용 포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가 제공되고,
(9) 원통 용기와,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를 구비하는 복합 용기로서, 상기 내장 봉투의 폭은 상기 원통 용기의 내주 길이의 대략 절반이며, 상기 지지 기구가 원통 용기 내에 있어서의 상기 내장 봉투의 바닥변의 위치를 규제하여, 상기 내장 봉투의 바닥변을 상기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 부근에 위치시키는 것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는, 충전물 수납부 밑에 원통 용기 내에 있어서의 상기 내장 봉투의 바닥변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 지지 기구부를 갖기 때문에, 원통 용기 내부에 내장 봉투를 수용했을 때에 내장 봉투의 바닥변이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 부근에 위치되고, 충전물을 충전했을 때에 내장 봉투가 원통 용기 내부에서 절곡되지 않아, 용이하게 원통 용기에 수용된 내장 봉투를 원통 용기의 용적과 동일한 정도까지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충전물이 들어간 내장 봉투를 들어올리는 바와 같은 작업의 필요성이 없는 점에서, 들어올릴 때에 충전물의 중량으로 필름이 늘어나 봉투 찢김과 같은 우려도 없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6]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7]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따른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8]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를 사용한 복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9] 종래의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형태로 할 수 있다.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1)는, 겹쳐진 또는 접어 포개진 필름(2)의 적어도 좌우 단부(3) 및 하부(4)가 봉투를 형성하도록 닫혀 있고, 충전물 수납부(5)와 그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 기구부(6)를 갖는 구성이다.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는, 겹쳐진 또는 접어 포개진 필름의 좌우 단부 및 하부가 봉투를 형성하도록 닫혀 있는 편평한 평봉투이다. 좌우 단부 및 하부가 봉투를 형성하도록 닫히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열융착에 의해 시일(seal)하는 방법, 접착제를 사용하여 시일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 압출 성형법 등을 사용하여 통 형상으로 압출 성형된 필름을 소정의 길이로 자르고, 하부를 시일하는 방법, 겹친 2매의 필름의 좌우 단부 및 하부를 시일하는 방법, 반절한 1매의 필름의 한쪽의 좌우 단부와 하부를 시일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평봉투란 충전물을 충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평평하게 보이는 것이며, 거싯이나 절입과 같은 가공이 있어도 좋지만, 거싯이나 절입과 같은 가공은 없는 편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수지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직쇄 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계 수지 등, 종래 드럼통 등의 용량이 비교적 큰 원통 용기의 내장 봉투로서 이용되고 있었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0.01 ~ 0.5mm 정도이다.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는, 충전물을 내부에 수납하는 충전물 수납부(5)와 그 하방에 원통 용기 내에 있어서의 내장 봉투(1)의 바닥변(8)의 위치를 규제하는 지지 기구부(6)를 갖고, 충전물 수납부(5)와 지지 기구부(6)는 내장 봉투의 하부(4)의 시일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충전물 수납부는 잉크, 의약품, 백신 등의 액체나 분체 등의 충전물을 수납하는 공간이며, 원통 용기의 용적과 동일한 정도가 되도록 설계하면 좋다.
지지 기구부(6)는, 원통 용기 내에 있어서의 내장 봉투(1)의 바닥변(8)의 위치를 규제하는 지지 기구(7)를 갖는 것이다. 원통 용기 내에 있어서의 내장 봉투(1)의 바닥변(8)의 위치를 규제한다는 것은, 원통 용기에 수용한 내장 봉투(1)의 바닥변(8)을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를 통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며, 예를 들면, 내장 봉투(1)의 내주 길이와 대략 동일한 둘레 길이인 원의 직경(혹은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장축)과 대략 일치하는 길이의 지지 기구(7)를 내장 봉투(1)의 바닥변(8) 부근에 마련함으로써 원통 용기 내에 있어서의 내장 봉투(1)의 바닥변(8)을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 부근으로 규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원통 용기 내에 수용한 내장 봉투에 충전물을 충전할 때에 내장 봉투의 중심 부근의 바닥변이 절곡되지 않기 때문에, 충전물의 중량에 의해 내장 봉투의 측면(혹은 정면과 배면)이 균등하게 확장되어 부풀어, 내장 봉투 가득 충전물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엄밀하게 내장 봉투의 바닥변을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를 통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은 곤란한 점에서, 내장 봉투의 바닥변을 원통 용기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10% 이내의 중심부 위를 통하게 되어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원통 용기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5% 이내의 중심부 위를 통하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통 용기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3% 이내의 중심부 위를 통하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지지 기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 용기 내에 있어서의 내장 봉투의 바닥변의 위치를 규제하는 지지 기구를 갖고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 봉투의 하방에 하부(4)의 시일을 마련하고, 하부(4)와 바닥변(8)(혹은 바닥변 시일)의 사이에 수납 공간을 마련하고, 당해 수납 공간 내에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구(7)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지지 기구는, 내장 봉투의 바닥변이 충전물의 중량 등에 의해 절곡되지 않는 정도의 강성(혹은 강도)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종이, 목재, 합성 수지, 금속,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이란, 가늘고 긴 기둥형을 가리키지만, 원통 용기 내부에 있어서의 내장 봉투의 바닥변의 위치를 규제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형상인 한, 엄밀하게 그 형상은 불문한다. 지지 기구부는, 내장 봉투를 형성한 후에 지지 기구를 배치하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4)와 바닥변(8)의 사이의 수납 공간의 좌우 단부가 개구하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지지 기구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 봉투(1)의 하방에 하부(4)의 시일을 마련하고, 하부(4)와 바닥변(8)(혹은 바닥변 시일)의 사이에, 시일 등에 의해 구획된 밀폐 공간에 기체, 액체, 분체 등을 충전하고 내압을 가하여 팽창시킨 막대 형상의 지지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구(7)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밀폐 공간은, 하부(4) 및 바닥변(8)의 시일과 일체화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지지 기구부는, 내장 봉투의 바닥변 부근의 외측 또는 내측에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구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 봉투(1)의 하방에 하부(4)의 시일(이 경우, 봉투의 바닥변에 상당)을 마련하고, 내장 봉투(1)의 바닥변 부근의 외측 또는 내측에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구(7)(이 경우, 지지 기구부에 상당)를 열융착, 접착제 혹은 클립 등의 지그에 의해 고정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지지 기구는, 원통 용기에 수용한 내장 봉투의 바닥변을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 부근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으면 좋고, 이 경우, 바닥변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지지 기구는 내장 봉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내장 봉투의 하부(4)의 시일의 하방에 있는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막대 형상으로 고정한 것을 지지 기구로 해도 좋다.
지지 기구부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 봉투의 폭보다도 길이가 짧은 장방형 형상이라도 좋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 봉투의 하방을 향하여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라도 좋다. 이 경우, 장방형의 길이 또는 사다리꼴의 단변의 길이가 내장 봉투의 내주 길이로 이루어지는 원의 직경과 대략 일치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기구는 내장 봉투에 있어서, 내장 봉투의 바닥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장 봉투의 바닥변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충전물을 충전했을 때에 내장 봉투의 바닥변의 중심 부근이 원통 용기 내부에서 절곡되지 않아, 내장 봉투 가득 충전물을 충전할 수 있다.
지지 기구는 내장 봉투에 있어서, 내장 봉투의 폭방향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기구는 내장 봉투의 내주 길이로 이루어지는 원의 직경(혹은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장축)과 대략 일치하는 길이를 갖는 점에서, 내장 봉투의 폭보다 3할 정도 짧기 때문에, 내장 봉투의 좌우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5% 이상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장 봉투의 폭방향에 있어서 지지 기구의 위치를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수납 공간에 있어서의 지지 기구의 양단부 부근을 시일하여 지지 기구의 위치를 고정해도 좋다.
지지 기구의 길이는, 내장 봉투의 내주 길이로 이루어지는 원의 직경의 85% 이상 1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기구의 길이는, 내장 봉투의 내주 길이로 이루어지는 원의 직경의 90% 이상 1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5% 이상 100%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 기구의 길이가 상기 범위이면, 원통 용기 내부에 내장 봉투를 수용했을 때에 내장 봉투의 바닥변을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 부근에 위치시킬 수 있다.
내장 봉투의 상부는, 충전물을 충전하는 경로를 남기고 닫혀 있어도 좋다. 또한 내장 봉투의 상부에 주입출용 포트(9)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주입출용 포트는, 내장 봉투의 상부에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복합 용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를 사용한 복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용기(11)는, 원통 용기(13)와, 전술한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12)를 구비하는 것이며, 내장 봉투의 지지 기구(14)에 의해 내장 봉투의 바닥변이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내장 봉투의 바닥변이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 부근에 위치되기 때문에, 원통 용기 내에 수용한 내장 봉투에 충전물을 충전할 때에 내장 봉투의 중심 부근의 바닥변이 절곡되지 않아, 충전물의 중량에 의해 내장 봉투의 측면이 균등하게 확장되어 부풀어, 용이하게 원통 용기에 수용된 내장 봉투를 원통 용기의 용적과 동일한 정도까지 충전할 수 있다.
원통 용기는, 용량이 10 ~ 5000L 정도의 비교적 큰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의 오픈드럼이다. 상부 개구를 천판(도시하지 않음)으로 덮고, 밀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상부 개구에 천판을 마련하는 경우, 천판에 내장 봉투의 포트를 외부에 취출하기 위한 구멍을 마련해도 좋다.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의 폭은, 원통 용기의 내주 길이의 대략 절반이다.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의 폭은, 원통 용기의 내주 길이의 45%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7.5% 이상 5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7.5% 이상 52.5%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원통 용기 내부에서 내장 봉투를 충전했을 때에 내장 봉투가 원통 용기를 따르기 때문에, 충전물의 중량에 의해 내장 봉투에 가해지는 힘을 용기가 담당하여, 충전물의 중량에 의해 내장 봉투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지지 기구의 길이는,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장축의 85% 이상 1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기구의 길이는,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장축의 90% 이상 1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5% 이상 100%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 기구의 길이가 상기 범위이면, 원통 용기 내부에 내장 봉투를 수용했을 때에 내장 봉투의 바닥변을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 부근에 위치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두께 0.15mm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용량이 200L인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A)를 제작했다. 이 내장 봉투의 폭은 860mm이며, 충전물 수납부의 높이는 1450mm이며, 지지 기구부(수납 공간)의 높이는 50mm이며, 폴리에틸렌제의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φ10mm, 길이 560mm)를 수납 공간의 내장 봉투의 폭방향의 중심에 배치(좌우 단부로부터 150mm씩 내측)했다.
상기 내장 봉투(A)를 용량이 200L인 원통 용기(φ567mm)에 수용한 바, 내장 봉투(A)의 바닥변이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에 위치되었다. 이어서, 내장 봉투(A)의 상부 개구로부터 액체로 이루어지는 충전물을 충전한 바, 내장 봉투의 중심 부근의 바닥변이 절곡되지 않아 충전물의 중량에 의해 내장 봉투의 측면이 균등하게 확장되어 부풀어, 용이하게 원통 용기에 수용된 내장 봉투를 원통 용기의 용적과 동일한 정도까지 충전할 수 있었다.
[참고예 1]
지지 기구의 길이를 500mm로 변경한 것 이외는 동일한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B)를 제작하고, 이것을 용량이 200L인 원통 용기에 수용한 바, 내장 봉투(B)의 바닥변이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조금 어긋난 장소에 위치되었다. 이어서, 내장 봉투(B)의 상부 개구로부터 액체로 이루어지는 충전물을 충전한 바, 내장 봉투가 기울어져 원통 용기 내부에서 쓰러지려고 한 모습이 되어, 내장 봉투 가득 충전물을 충전시킬 수 없었다.
1: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2: 필름
3: 좌우 단부
4: 하부
5: 충전물 수납부
6: 지지 기구부
7: 지지 기구
8: 바닥변
9: 주입출용 포트
11: 복합 용기
12: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13: 원통 용기
14: 지지 기구
21: 내장 봉투
22: 필름
23: 좌우 단부
24: 바닥부

Claims (9)

  1. 겹쳐진 또는 접어 포개진 필름의 적어도 좌우 단부 및 하부가 닫힌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로서,
    상기 내장 봉투는 충전물 수납부와 상기 충전물 수납부 아래에 지지 기구부를 갖고,
    상기 지지 기구부는 원통 용기 내에 있어서의 상기 내장 봉투의 바닥변의 위치를 규제하는 지지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부는 수납 공간에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부는 밀폐 공간이 내압에 의해 팽창한 막대 형상의 지지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부는 봉투의 바닥변 부근의 외측 또는 내측에 막대 형상의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길이가 상기 내장 봉투의 내주 길이로 이루어지는 원의 직경과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내장 봉투의 바닥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내장 봉투의 폭방향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봉투는 상부에 주입출용 포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9. 원통 용기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를 구비하는 복합 용기로서, 상기 내장 봉투의 폭은 상기 원통 용기의 내주 길이의 대략 절반이며, 상기 지지 기구가 원통 용기 내에 있어서의 상기 내장 봉투의 바닥변의 위치를 규제하여, 상기 내장 봉투의 바닥변을 상기 원통 용기의 바닥면의 중심 위 부근에 위치시키는 것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기.
KR1020227017995A 2019-11-26 2020-11-25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및 그것을 사용한 복합 용기 KR202200889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12828 2019-11-26
JPJP-P-2019-212828 2019-11-26
PCT/JP2020/043801 WO2021106927A1 (ja) 2019-11-26 2020-11-25 円筒容器用内装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複合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930A true KR20220088930A (ko) 2022-06-28

Family

ID=7612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995A KR20220088930A (ko) 2019-11-26 2020-11-25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및 그것을 사용한 복합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2453B2 (ko)
EP (1) EP4067256A4 (ko)
JP (1) JPWO2021106927A1 (ko)
KR (1) KR20220088930A (ko)
CN (1) CN114728729B (ko)
WO (1) WO202110692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337A (ja) 1993-08-03 1995-02-21 Japan Field Kk 蒸気洗浄槽に於ける凝縮液の散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04204A (en) * 1966-02-11 1968-02-21 Bowater Packaging Ltd Liquid containers
US3756494A (en) * 1971-12-20 1973-09-04 Greif Bros Corp Drum with plastic liner
US3800994A (en) * 1972-08-21 1974-04-02 Continental Can Co Horizontal heat-seal liner for fibre drums
JPH0349945A (ja) * 1989-07-19 1991-03-04 Silver Kogyo Kk 凹凸表面を有する被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47337Y2 (ja) * 1989-12-07 1995-11-01 日鐵ドラム株式会社 容器用内体袋
JPH06171601A (ja) * 1992-12-02 1994-06-21 Mitsui Toatsu Chem Inc 湿気硬化型液状樹脂の包装充填方法
JPH08244845A (ja) * 1995-03-07 1996-09-24 Yokohama Rubber Co Ltd:The ドラム缶用内袋及びその製造方法
US6722106B2 (en) * 2002-03-18 2004-04-20 Recot, Inc. Vertical stand-up pouch
JP2003335366A (ja) * 2002-05-17 2003-11-25 Nisshin Sansho Kk 内装容器
JP4191432B2 (ja) * 2002-06-18 2008-12-03 繁樹 森 廃化学物質類・有害廃棄物質類等の梱包方法
JP3917023B2 (ja) 2002-07-03 2007-05-23 株式会社シナノポリ 菌床用培養袋
JP4313659B2 (ja) 2003-12-01 2009-08-12 藤森工業株式会社 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4670302B2 (ja) * 2004-10-06 2011-04-13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材料圧送装置
JP2006264698A (ja) * 2005-03-22 2006-10-05 Taisei Lamick Co Ltd 包装袋
JP2006341876A (ja) 2005-06-08 2006-12-21 Fujimori Kogyo Co Ltd 取手付き容器
CN101028880B (zh) * 2006-02-27 2010-09-29 长田宏泰 由外箱和内袋构成的可折叠的容器
JP5234989B2 (ja) * 2009-04-28 2013-07-10 トチセン化成工業株式会社 円筒形容器用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17496B (zh) 2011-05-16 2018-03-11 Kao Corp bag
JP5759081B2 (ja) * 2012-02-06 2015-08-05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ーバーパックとの使用のための折り畳まれたライナー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JP6082208B2 (ja) * 2012-08-17 2017-02-15 株式会社ソフトマシーン ドラム缶用内袋、内袋ユニット及び充填方法
JP6547267B2 (ja) * 2014-09-30 2019-07-24 凸版印刷株式会社 口栓
US9856063B1 (en) * 2016-06-30 2018-01-0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container with comfort gri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337A (ja) 1993-08-03 1995-02-21 Japan Field Kk 蒸気洗浄槽に於ける凝縮液の散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32453B2 (en) 2024-03-19
US20220411134A1 (en) 2022-12-29
EP4067256A1 (en) 2022-10-05
WO2021106927A1 (ja) 2021-06-03
CN114728729B (zh) 2024-03-26
EP4067256A4 (en) 2024-01-03
JPWO2021106927A1 (ko) 2021-06-03
CN114728729A (zh)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8027A (en) Container for fluent materials
US8083102B2 (en) Flexible pouch with a tube spout fitment and flexible sleeve
MX2008012293A (es) Empaque resistente a roturas y derrames para el suministro de liquidos en forma controlada.
US8573445B2 (en) Flexible pouch with a tube spout fitment and flexible sleeve
CN102962111B (zh) 用于提供移液器吸头的设备
JP2005059958A (ja)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KR20180123144A (ko) 팰릿 컨테이너
US6874879B2 (en) Ink tank
KR20220088930A (ko) 원통 용기용 내장 봉투 및 그것을 사용한 복합 용기
JP5002908B2 (ja) 包装体
KR20180123143A (ko) 내측 라이닝을 갖는 플라스틱 라이너
WO2012173603A1 (en) Protective packaging
JP6094128B2 (ja) スパウトとこのスパウトを取り付けた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5845680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外装箱の製造方法
US10392154B2 (en) Procedure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package for solid products in powder or grain form, as well as a package obtained by this procedure
JP5175382B2 (ja) 液体注出ノズル
SE507512C2 (sv) Förpackningsbehållare samt sätt och aggregat för fyllning av densamma
JPH08133338A (ja) 複合容器
KR102008234B1 (ko)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JP2016008062A (ja) 液状物充填包装体の外容器
JP6004672B2 (ja) 収容体
JP2024086271A (ja) パウチ
JPH06179459A (ja) 液体容器及び面状通路部材
JP5593929B2 (ja) 逆止機能付き包装袋
JP3290729B2 (ja) 液体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