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234B1 -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 Google Patents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234B1
KR102008234B1 KR1020170183546A KR20170183546A KR102008234B1 KR 102008234 B1 KR102008234 B1 KR 102008234B1 KR 1020170183546 A KR1020170183546 A KR 1020170183546A KR 20170183546 A KR20170183546 A KR 20170183546A KR 102008234 B1 KR102008234 B1 KR 102008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revention layer
cutting line
plastic bag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189A (ko
Inventor
조원길
조주안
Original Assignee
조원길
조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길, 조주안 filed Critical 조원길
Priority to KR102017018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중첩된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몸체융착부와; 상기 몸체융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밀폐 비닐봉지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되고 병목형상의 유출부와; 상기 몸체와 유출부의 일부에 구성되고 유출부의 꺽임을 방지하고, 유출부와 몸체의 일부에 판형의 합성수지로 보강한 꺽임방지층과 가장자리가 몸체와 열융착된 꺽임방지융착부와 유출부 부근의 전후몸체를 점선으로 열융착되는 꺽임방지연결부로 구성된 꺽임방지수단과; 몸체 및 몸체융착부에 구성되는 절취라인1과 꺽임방지층의 일부에 구성되고 꺽임방지층 두께의 1/3∼2/3의 깊이로 전후 간격이 0.3~0.5mm, 좌우 간격이 0.3~0.5mm의 작은 점선으로 된 절취라인2에 의하여 절취되어 유출부가 몸체 내외와 연통되게 하는 절취부로 구성되어;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몸체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의 음용 시에 몸체에 압력을 가하여도 유출부가 꺽이지 아니하고, 몸체부를 강도가 보강되고, 꺽임방지층과 몸체부가 확실하게 열융착되고, 음용 시에 액체 내용물을 유출부로 유도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The airtight vinyl bag having leakproof outlet and refraction prevention of itself}
본 발명은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취라인1,2에 의해 형성된 절취부를 절취하여 형성되는 유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비닐봉지 내의 액체 내용물을 스스로 누설되지 않게 하고 액체 내용물의 음용 시에 유출부가 꺽이지 아니하도록 절취부 및 몸체의 일부에 꺽임방지층 및 꺽임방지융착부로 구성되는 꺽임방지수단을 구성하여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 비닐봉지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등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를 2장 또는 3장의 가장자리를 열융착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봉지이다.
밀폐 비닐봉지는 그 용도에 따라 파우치, 자립형 비닐봉지 등의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며, 그 내부 공간에 음료, 세제, 섬유유연제 등의 액상형태의 액체 내용물을 포장 및 보관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밀폐 비닐봉지는 휴대가 간편하고 포장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유리병, 캔, 플라스틱 용기 등을 대체하여 리필용 용기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중첩된 필름이 열융착되어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열융착부와; 상기 열융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열융착되지 않는 일측이 밀폐 비닐봉지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되고, 폭이 길이의 1/5~1/3으로 되어 폭보다 길이가 긴 병목형상의 유출부와; 상기 열융착부에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필름이 열융착되어 절취라인에 의하여 절취되는 절취부와; 상기 열융착부와 절취부가 구분되게 하면서 필름의 내부 면에 형성되고 유출부의 끝부분을 횡단하고, 필름 두께의 1/3∼2/3의 깊이로 필름의 내부 면에 형성되는 절취라인;으로 구성되어 절취라인을 따라 절취부를 절취한 후 비닐봉지를 수평으로 안치하여도 비닐봉지 내의 액체 내용물이 절취부에서 외부로 누설이 되지 아니하나 액체 내용물을 음용하기 전에 사용자가 손으로 비닐봉지를 가압하게 되면 유출부가 꺽임현상이 발생하여 유출부를 사용자의 입 내에 위치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비닐봉지 내의 액체 내용물을 음용할 때 유출부가 꺽이지 아니하는 비닐봉지가 요망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6556호(2011년 09월 29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밀폐 비닐봉지의 유출부와 몸체의 일부에 유출부의 꺽임을 방지하는 판형의 합성수지로 보강된 꺽임방지층를 형성하고 꺽임방지층의 가장자리와 몸체를 열융착한 꺽임방지융착부로 구성되는 꺽임방지수단을 구성하여 유출부가 절취라인1,2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밀폐 비닐봉지가 쓰러져도 비닐봉지 내의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면서 음용 또는 사용을 위하여 밀폐 비닐봉지의 몸체에 압력을 가하여도 유출부가 꺽이지 아니하는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중첩된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몸체융착부와; 상기 몸체융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밀폐 비닐봉지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되고 병목형상의 유출부와; 상기 몸체와 유출부의 일부에 구성되고 유출부의 꺽임을 방지하는 꺽임방지수단과; 상기 몸체융착부와 몸체 및 꺽임방지수단의 일부가 절취라인1, 2에 의하여 절취되어 유출부가 몸체 내외와 연통되게 하는 절취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꺽임방지수단이 유출부와 몸체의 일부에 판형의 합성수지로 보강한 꺽임방지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꺽임방지수단은 꺽임방지층의 가장자리가 몸체의 가장자리와 열융착된 꺽임방지융착부가 더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취라인2는 꺽임방지층에 구성되고 꺽임방지층 두께의 1/3∼2/3의 깊이의 작은 점선으로 꺽임방지층의 내부 면에 형성되고 절취라인1의 상하부에 일정 간격의 폭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꺽임방지수단은 유출부 부근의 전후몸체를 점선으로 열융착되는 꺽임방지연결부가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꺽임방지수단에 의해 몸체의 내부공간부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의 음용 시에 몸체에 압력을 가하여도 유출부가 꺽이지 아니하고, 꺽임방지층에 의해 몸체부의 강도가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꺽임방지융착부에 의해 유출부의 꺽임 방지가 확실하게 되고 꺽임방지융착부가 몸체융착부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열융착되어 꺽임방지층과 몸체부가 확실하게 열융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꺽임방지층이 절취라인2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즉 사용자의 힘이 주어지는 방향으로 절취되어 절취라인1 및 절취라인2가 동시에 절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취라인1 및 절취라인2의 형상 및 배열이 상이하지만 절취라인1이 절취라인2를 인도하여 절취라인1 및 절취라인2가 동시에 절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꺽임방지연결부에 의해 꺽임방지연결부에 의해 내부공간부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 음용 시에 액체 내용물을 유출부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꺽임방지수단이 구성된 밀폐 비닐봉지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2: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의 꺾임방지층 및 꺽임방지융착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가 쓰러져 있는 상태도.
도 4: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에 장력을 가한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첩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비닐봉지(10)에 있어서서 몸체융착부(16), 유출부(14), 절취부(13), 절취라인1(15), 꺽임방지층(32)과 꺽임방지융착부(34)로 구성된 꺽임방지수단(30), 절취라인2(19), 꺽임연결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밀폐 비닐봉지(10)는 전몸체(11) 및 후몸체(12)로 이루어지고, 전몸체(11) 및 후몸체(12)에 의하여 일정크기의 내부공간부(18)가 형성되는 몸체부(17)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7)는 내부공간부(18)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개방하기 위하여 특정한 위치, 즉 모서리에 절취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몸체(11) 및 후몸체(12)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상호 결합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부(18)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위가 열융착에 의하여 실링(Sealing) 처리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18)는 음료 등과 같은 액체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수용 보관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된다.
상기 밀폐 비닐봉지(1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등의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가 사용되고, 몸체부(17)의 구조 및 형상 등은 밀폐 비닐봉지(10)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며, 몸체부(17)의 몸체융착부(16)는 융착을 비롯하여 내부공간부(18)를 효율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폐 비닐봉지(10)가 쓰러진 상태에서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아니하고 몸체에 장력을 가한 경우에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14)를 관통 유출되고 절취부(13) 및 전후몸체(11, 12)의 일부에 꺽임방지층(32) 및 꺽임방지융착부(34)가 구성되는 꺽임방지수단(30)을 구성하여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14)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몸체융착부(16)는 중첩된 필름이 열융착되어 몸체부(17)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필름 즉 전후몸체(11, 12)를 상호 결합하여 밀폐된 내부공간부(18)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열융착에 의하여 실링(Sealing) 처리된다.
상기 밀폐 비닐봉지(10)는 4면 가장자리가 열융착에 의한 몸체융착부(16)가 형성되고, 몸체융착부(16)의 일측에 형성되고 열융착되지 않는 일측이 밀폐 비닐봉지(10)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되면서 폭보다 길이가 긴 병목형상으로 된 유출부(14)가 구성된다.
상기 유출부(14)는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기 용이하게 밀폐 비닐봉지(10)의 모서리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하고, 유출부(14)를 밀폐 비닐봉지(10)의 모서리에 구성하는 다른 이유는 절취부(13)의 절취가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출부(14)는 내부공간부(18)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내부공간부(18)와 연통되어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내부공간부(18)와 같이 전후몸체(11,12)가 열융착되지 아니하여 전몸체(11)와 후몸체(12)가 이격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출부(14)는 폭(a)이 길이(b)의 1/5~1/3로 구성되며, 유출부(14)가 개방된 상태에서 밀폐 비닐봉지(10)가 쓰러진 상태에서 밀폐 비닐봉지(10)의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아니하나 몸체부(17)에 장력을 가하면 액체 내용물이 유출된다.
상기 유출부(14)의 폭(a)이 길이(b)의 1/5보다 작을 경우에는 밀폐 비닐봉지(10)가 쓰러져 있는 상태에서도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지만, 밀폐 비닐봉지(10)의 몸체부(17)에 장력을 가하여도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의 유출이 곤란하고, 유출부(14)의 폭(a)이 길이(b)의 1/3보다 클 경우에는 밀폐 비닐봉지(10)의 몸체부(17)에 장력을 가하면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쉽게 유출이 되나 밀폐 비닐봉지(10)가 쓰러진 상태가 되면 액체 내용물이 유출된다.
상기 밀폐 비닐봉지(10)가 쓰러진 상태에서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자연적으로 유출되지 않는 이유는 밀폐 비닐봉지(10)의 유출부(14)와 액체 내용물의 분자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인 부착력이 밀폐 비닐봉지(10)에 잔존하는 액체 내용물의 중량이 유출부(14)에 미치는 힘 보다 크기 때문이다.
상기 밀폐 비닐봉지(10)에 장력을 가하면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는 이유는 밀폐 내부공간부(18)에 잔존하는 액체 내용물의 중량이 유출부(14)에 미치는 힘과 장력을 합한 힘이 밀폐 비닐봉지(10)의 유출부(14)와 액체 내용물의 분자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인 부착력보다 크기 때문이다.
상기 절취부(13)는 몸체융착부(16)와 몸체부(17) 및 꺽임방지수층(32)의 일부가 절취라인1, 2(15, 36)에 의하여 절취되어 유출부(14)가 몸체부(17) 내외와 연통되게 한다. 상기 절취부(13)는 몸체융착부(16)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고 필름 즉 전후몸체(11,12)가 열융착되어 절취라인1(15)에 의하여 절취되고, 유출부(14)와 절취부(13)는 전후몸체(11,12)로 구성되는 동일한 필름에 의하여 열융착되어 형성되나 절취라인1(15)에 의하여 구분되며 절취부(13)만 절취된다. 따라서, 상기 절취부(13)는 유출부(14)의 연장 형성되는 것이므로 유출부(14)와 동일하게 밀폐 비닐봉지(10)의 모서리에 구성된다.
상기 절취부(13)는 몸체부(17)의 테두리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절취홈을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절취라인1(15)의 선상 끝에 배치되고 그 형상은 삼각홈을 비롯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절취라인1(15)은 몸체융착부(16)와 절취부(13)가 구분되게 하면서 필름 즉 몸체부(17)의 내부 면에 형성되고 유출부(14)의 끝부분을 횡단하게 구성되어 유출부(14)와 절취부(13)를 구분하는 역할을 하면서 절취부(13)가 절취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절취라인1(15)에 의하여 절취부(13)가 절취되면 유출부(14)는 일측 끝단의 일부가 절취되며, 절취되지 아니한 유출부(14)는 밀폐 비닐봉지(0)의 내부공간부(18)와 연통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상기 절취라인1(15)은 필름에 일정 깊이로 형성하되 필름 두께의 1/3∼2/3의 깊이로 필름의 내부 면에 형성되고 반 커팅에 의해 필름 즉 전후몸체(11,12) 내면에 형성하되 전몸체(11) 또는 후몸체(12)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몸체에만 형성할 수 있으며 전몸체(11) 및 후몸체(12)에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절취라인1(15)의 깊이는 전후몸체(11,12) 두께의 1/3∼2/3 정도일 때 절취작업이 가장 용이할 뿐 아니라 일정 외력에 의한 절취라인1(15)의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절취라인1(15)은 일정간격의 점선으로 구성되는데, 그 이유는 절취라인1(15)이 실선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절취작업이 용이하나 필름에 절취라인1(15)의 형성시 불량률이 높기 때문이다.
상기 절취라인1(15)의 깊이가 전후몸체(11,12) 두께의 1/3 미만일 경우에는 절취작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절취라인1(15)의 깊이가 몸체부(17) 두께의 2/3를 초과할 경우에는 절취라인1(15)의 깊이가 깊어 절취라인1(15)의 형성시 불량률이 높아질 뿐 아니라 절취라인1(15)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상기 유출부(14)의 폭이 길이의 1/5~1/3으로 되어 폭보다 길이가 긴 병목형상으로 구성되어 밀폐 비닐봉지(10)의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하여 압력을 가한 경우에만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14)를 통하여 유출되나 이때 사용자가 몸체부(17)에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유출부(14)가 몸체부(17)에 대해 꺽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밀폐 비닐봉지(10)를 손에 잡고 먼저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아니하는 정도의 압력을 가하면서 밀폐 비닐봉지(10)를 입으로 갖고 가면 유출부(14)가 꺽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는 유출부(14)를 입에 넣을 때 약간의 망설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꺽임방지수단(30)은 유출부(14)와 몸체부(17), 즉 전후몸체(11, 12)의 일부에 판형의 합성수지로 보강한 꺽임방지층(32)과 꺽임방지층(32)의 가장자리가 몸체부(17)의 가장자리와 열융착된 꺽임방지융착부(34)로 구성되고, 꺽임방지층(32)이 몸체부(17) 상부의 강도를 보강한다.
상기 꺽임방지수단(30)은 몸체부(17), 즉 전몸체(11), 후몸체(12)와 유출부(14)의 일부에 구성되어 몸체부(17)의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의 음용 시에 사용자가 전몸체(11), 후몸체(12)에 압력을 가하여도 유출부(14)가 꺽이지 아니하는 것, 즉 꺽임방지수단(30)에 의해 유출부(14)의 꺽임이 방지된다.
상기 꺽임방지수단(30)에 의하여 사용자가 밀폐 비닐봉지(10)의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하여 전몸체(11), 후몸체(12)에 압력을 가하여도 유출부(14)에 꺽임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는 유출부(14)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와 그 위치를 인지하고 있으므로 인지 상태에 의하여 유출부(14)를 입에 접근하거나 입에 넣어도 유출부(14)와 입에 일치하게 되어 유출부(14)를 쉽게 입에 넣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꺽임방지수단(30)이 구성되지 아니한 밀폐 비닐봉지(10)는 유출부(14)가 개방된 상태에서 몸체부(17)를 가압하면 가압력에 의하여 유출부(14)에 인접한 몸체부(17)에서 꺽임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유출부(14)의 꺽임 현상은 몸체부(17)의 내부공간부(18)에 액체 내용물이 충만되어 있을수록 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액체 내용물이 소진될 수로 그 현상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유출부(14)의 꺽임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가압 지점에서 상하로 분리되면서 가압 지점의 상부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14)로 이동하게 되면서 일부는 유출부(14)로 유출되나 나머지의 대부분은 유출부(14)에 인접한 몸체부(17)에서 정체가 발생하면서 유출부(14)와 유출부(14)에 인접한 몸체부(17)의 내부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게 된다.
상기 꺽임방지층(32)은 전후몸체(11, 12)를 형성하는 필름 외에 별도로 구비된 필름이고 전후몸체(11, 12)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로서 유출부(14)가 형성된 전몸체(11) 및 후몸체(12)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몸체에 덧붙임, 즉 추가로 구성되거나 두개의 몸체 모두에 덧붙임으로 구성되어 꺽임방지층(32)이 몸체부(17) 상부의 강도를 보강하여 꺽임방지층(32)에 의하여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충만되고 유출부(14)가 개방된 상태에서 몸체부(17)가 외력을 받더라도 유출부(14)와 직선 현상을 유지하게 한다.
상기 꺽임방지층(32)은 판형으로 유출부(14)가 형성된 몸체부(17)의 상부 일부의 두께를 더 형성하는 것으로서 전몸체(11) 또는 후몸체(12)에 구성될 수도 있고 전몸체(11) 및 후몸체(12) 모두에 구성될 수 있으며, 꺽임방지층(32)이 전후몸체(11, 12)에 구성되면 판형의 합성수지가 전몸체(11) 및 후몸체(12)에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몸체(11) 또는 후몸체(12)에 구성되는 것보다 강도가 그 만큼 상승하고 유출부(14)의 꺽임 더욱 확실하게 되나 사용자가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상승한 것 만큼 몸체부(17)에 힘을 더 가하여야 하는 부담이 발생한다.
상기 꺽임방지층(32)은 유출부(14)에 인접한 몸체부(17), 즉 꺽임이 발생하는 부분의 상하부를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구성하여 이러한 꺽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평면이 방형의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부채꼴의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꺽임방지층(32)이 방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방형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면에 절취라인2(19)를 구성하여 절취라인2(19)가 구성된 모서리 부분을 유출부(14)에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꺽임방지층(32)이 부채꼴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는 직각으로 구성되는 모서리 면에 절취라인2(19)를 구성하여 절취라인2(19)가 구성된 모서리 부분을 유출부(14)에 마주보도록 구성한다.
상기 절취라인2(19)는 꺽임방지층(32)에 구성되고 꺽임방지층(32) 두께의 1/3∼2/3의 깊이로 전후 간격이 0.3~0.5mm, 좌우 간격이 0.3~0.5mm의 작은 점선으로 구성되어 꺽임방지층(32)이 절취라인2(19)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즉 사용자의 힘이 주어지는 방향으로 절취되어 절취라인1(15) 및 절취라인2(19)가 동시에 절취된다.
상기 절취라인2(19)는 꺽임방지층(32)의 내부 면에 형성되며 절취라인1(15)이 형성된 상하부에 일정 간격의 폭으로 구성되어 절취라인1(15)이 절취라인2(19)에 포용되게 구성되며 꺽임방지층(32)에 전체에 구성되거나 일부에 구성될 수 도 있으며 일부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절취라인1(15)을 포용할 수 있는 면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절취라인2(19)의 깊이는 꺽임방지층(32) 두께의 1/3∼2/3 정도일 때 절취작업이 가장 용이할 뿐 아니라 일정 외력에 의한 절취라인2(19)의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절취라인2(19)는 일정간격의 점선으로 구성되는데, 그 이유는 절취라인2(19)가 실선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절취작업이 용이하나 꺽임방지층(32)에 절취라인2(19)의 형성시 불량률이 높기 때문이다.
상기 절취라인2(19)의 깊이가 꺽임방지층(32) 두께의 1/3 미만일 경우에는 절취작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절취라인2(19)의 깊이가 꺽임방지층(32) 두께의 2/3를 초과할 경우에는 절취라인2(19)의 깊이가 깊어 절취라인2(19)의 형성시 불량률이 높아질 뿐 아니라 절취라인2(19)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상기 절취라인2(19)는 전후 간격이 0.3mm 이하인 경우에는 밀폐 비닐봉지(10)가 생산된 후 절취라인2(19)의 전후 간격이 작아 사용자가 밀폐 비닐봉지(10)를 곡선 방향으로 절취하기는 용이하나 직선 방향으로 절취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고 전후 간격이 0.5mm 이상인 경우에는 밀폐 비닐봉지(10)를 직선 방향으로 절취하는 것이 용이하나 곡선 방향으로 절취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고, 절취라인2(19)의 좌우 간격이 0.3mm 이하인 경우에는 밀폐 비닐봉지(10)가 생산된 후 절취라인2(19)의 좌우 간격이 작아 사용자가 밀폐 비닐봉지(10)가 직선 방향으로 쉽게 절취되는 경향이 있고 좌우 간격이 0.5mm 이상인 경우에는 밀폐 비닐봉지(10)를 직선으로 절취할 때 유출부(14) 부분의 꺽임방지층(32)에서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꺽임방지층(32)은 절취라인2(19)의 전후 간격 및 좌우 간격이 미세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밀폐 비닐봉지(10)를 한 손을 잡고 다른 손으로 절취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힘을 일직선으로 작용시키면 밀폐 비닐봉지(10)는 직선으로 절취되고, 사용자가 힘을 사선으로 방향으로 작용시키면 밀폐 비닐봉지(10)는 사선으로 절취)되고, 사용자가 힘을 곡선 방향으로 작용시키면 밀폐 비닐봉지(10)는 곡선으로 절취되고, 사용자가 힘을 일직선으로 작용시켜 밀폐 비닐봉지(10)를 직선으로 절취하다가 어느 지점부터 곡선 방향을 작용시키면 그때부터 밀폐 비닐봉지(10)는 직선과 곡선으로 절취된다.
상기 몸체융착부(16) 및 유출부(14)에 절취라인1(15)이 구성되어 있고 꺽임방지층(32)에 절취라인2(19)이 구성되어 절취부(13)를 절취하기 위해서는 절취라인1(15)과 절취라인2(19)가 동시에 절취되어야 절취부(13)가 절취되게 되며 절취부(13)의 절취로 인하여 유출부(14)가 개방되게 된다.
상기 꺽임방지층(32)이 많은 행과 많은 열의 작은 점선으로 된 절취라인2(19)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즉 사용자의 힘이 주어지는 방향으로 절취되고자 하나 절취라인2(19)이 몸체부(17)에 구성되고 절취라인1(15)과 중첩되어 있으면서 몸체융착부(16)의 일부와 꺽임방지융착부(34)가 동시에 열융착된 상태이므로 절취라인2(19)가 절취라인1(15)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되어 꺽임방지층(32)은 절취라인1(15)에 의하여 절취된다.
상기 절취라인1(15) 및 절취라인2(19)의 형상 및 배열이 상이하지만 절취라인1(15)이 절취라인2(19)를 인도하여 절취라인1(15) 및 절취라인2(19)가 동시에 절취된다.
상기 밀폐 비닐봉지(10)는 필름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전몸체(11) 및 후몸체(12)가 되는 전후몸체(11, 12) 필름를 형성하고 전후몸체(11, 12) 필름의 내면에 절취라인1(15)을 형성한 후 절취라인1(15)인 형성된 절단 필름의 가장자리를 몸체윷착부(16)로 융착한 후 별도의 필름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꺽임방지층(32)이 되는 꺽임방지층(32) 필름을 형성하고 꺽임방지층(32) 필름의 내면에 절취라인2(19)를 형성한 후 이를 몸체부(17)의 어느 한 면에 구성하는 것이므로 절취라인2(19)를 절취라인1(15)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밀폐 비닐봉지(10)의 생산 시에 절취라인1(15)과 절취라인2(19)를 정확하게 일치하기가 곤란하게 되므로 절취라인2(19)를 많은 행과 많은 열의 작은 점선으로 구성함으로써 절취부(13)는 절취라인2(19)에 의하여 항상 절취라인1(15)과 같이 절취되게 된다.
상기 꺽임방지층(32)의 가장자리가 몸체부(17)의 가장자리와 열융착된 꺽임방지융착부(34)로 더 구성되고, 꺽임방지융착부(34)가 꺽임방지층(32)을 몸체부(17)에 고정하여 유출부(14)의 꺽임의 방지를 확실하게 한다.
상기 꺽임방지층(32)은 전후몸체(11, 12)를 형성하는 필름 외의 별도의 필름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7)가 완성된 후에 몸체부(17)의 일측 외면 또는 양측 외면에 추가, 즉 덧붙임되어 유출부(14) 및 유출부(14)가 형성된 몸체부(17)의 상부 일부의 두께를 두껍게 된다. 즉 상기 몸체부(17)에 꺽임방지층(32)이 더 구성됨으로써 몸체융착부(16)의 두께보다 꺽임방지층(32)으로 인하여 꺽임방지융착부(34)의 두께가 더 두껍게 된다.
상기 꺽임방지층(32)이 몸체부(17)에 형성되는 몸체융착부(16)를 형성한 후, 즉 몸체부(17)를 완성한 후 꺽임방지층(32)을 형성하게 되면 두께가 상대적은 얇은 몸체융착부(16)를 먼저 융착한 후 두께가 상대적은 두꺼운 꺽임방지융착부(34)를 융착하게 되므로 꺽임방지융착부(34)의 열융착 온도는 몸체융착부(16)의 열융착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하여 꺽임방지융착부(34)가 열융착되어 꺽임방지융착부(34)에 의하여 꺽임방지층(32)과 몸체부(17)가 확실하게 열융착된다
상기 꺽임방지층(32)과 몸체부(17)를 동시에 열융착, 즉 형성하는 경우에는 몸체융착부(16)와 꺽임방지융착부(34)의 두께가 차이가 있더라도 꺽임방지융착부(34)의 열융착 온도로 모두 열융착하고 몸체융착부(16)의 열융착 온도로 열융착을 하게 되면 몸체융착부(16)는 열융착이 되나 꺽임방지융착부(34)는 열융착의 상태가 양호하지 않게 된다.
상기 꺽임방지수단(30)은 유출부(14) 부근의 전후몸체(11, 12)를 점선으로 열융착되는 꺽임방지연결부(40)가 더 구성되고,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 음용 시, 즉 사용자가 몸체부(17)에 외력을 가할 때 꺽임방지연결부(40)가 액체 내용물을 유출부(14)로 유도하고 몸체부(17) 내에 액체 내용물이 충만되어 있을 경우에는 액체 내용물의 유출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꺽임방지연결부(40)는 전몸체(11)와 후몸체(12)를 가늘게 점선으로 열융착된 것으로서 1열 내지 3열로 형성되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해제되어 전몸체(11)와 후몸체(12)가 분리된다.
상기 유출부(14)의 꺽임 현상은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충만되어 있을수록 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액체 내용물이 소진될 수로 그 현상이 감소하게 되므로 몸체부(17) 내의 액체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첫 음용시에 유출부(14)의 꺽임 현상이 크게 되고 사용자가 유출부(14)의 꺽임 현상에 의하여 유출부(14)를 입으로 접근 시키는데 일시적인 망설임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때 유출부(14)의 꺽임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하여야 하고, 액체 내용물이 소진되어 유출부(14)의 꺽임 현상이 감소되거나 없어지게 되면 이 경우에는 꺽임방지연결부(40)가 해제된다.
즉, 상기 꺽임방지연결부(40)는 몸체부(17) 내의 액체 내용물의 첫 음용시에 유출부(14)의 꺽임을 완전하게 없애는 작용을 하여 꺽임방지층(32)과 꺽임방지융착부(34)에 의한 유출부(14)의 꺽임 현상의 방지를 더욱 확실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밀폐 비닐봉지(10)는 절취라인1(15) 및 절취라인2(19)에 의하여 절취부(13)가 절취된 상태에서 쓰러진 상태에서도 자연적으로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고, 절취부(13)가 절취된 상태에서 액체 내용물을 음용 등을 하기 위하여 몸체부(17)에 장력을 가하면 내부공간부(18)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되 유출부(14)가 꺽이지 아니하여 유출부(14)와 몸체부(17)가 직선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구성은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고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변형 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고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밀폐 비닐봉지 11: 전몸체
12: 후몸체 13: 절취부
14: 유출부 15: 절취라인1
16: 몸체융착부 17: 몸체부
18: 내부공간부 19: 절취라인2
30: 꺽임방지수단 32: 꺽임방지층
34: 꺽임방지융착부 40: 꺽임방지연결부
a: 유출부 폭 b: 유출부 길이

Claims (5)

  1. 중첩된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몸체융착부와;
    상기 몸체융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밀폐 비닐봉지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되고 병목형상의 유출부와;
    상기 몸체와 유출부의 일부에 구성되고 유출부의 꺽임을 방지하고 판형의 합성수지로 보강된 꺽임방지층과;
    상기 몸체융착부와 몸체 및 꺽임방지층의 일부가 절취된 절취라인1과, 꺽임방지층에 구성되고 꺽임방지층 두께의 1/3∼2/3의 깊이, 전후 간격이 0.3~0.5mm, 좌우 간격이 0.3~0.5mm의 점선으로 꺽임방지층의 내부 면에 형성되고 절취라인1의 상하부에 일정 간격의 폭으로 구성되는 절취라인2로 구성된 절취부로 구성되어;
    상기 절취라인1과 절취라인2가 동시에 절취되어 유출부가 몸체 내외와 연통되고, 유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몸체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의 음용 시에 몸체에 압력을 가하여도 유출부가 꺽이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방지층은 가장자리가 몸체의 가장자리와 열융착된 꺽임방지융착부가 더 구성되어;
    상기 꺽임방지융착부에 의해 유출부의 꺽임의 방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4. 삭제
  5. 삭제
KR1020170183546A 2017-12-29 2017-12-29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KR102008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546A KR102008234B1 (ko) 2017-12-29 2017-12-29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546A KR102008234B1 (ko) 2017-12-29 2017-12-29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189A KR20190081189A (ko) 2019-07-09
KR102008234B1 true KR102008234B1 (ko) 2019-08-07

Family

ID=6726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546A KR102008234B1 (ko) 2017-12-29 2017-12-29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2391B2 (ja) * 2004-10-20 2011-01-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部付き自立袋
JP2017154810A (ja) * 2016-03-04 2017-09-07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50B1 (ko) 2010-03-23 2013-01-16 (주)신우아이엠에스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2391B2 (ja) * 2004-10-20 2011-01-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部付き自立袋
JP2017154810A (ja) * 2016-03-04 2017-09-07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189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6815B2 (ja)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US8734015B2 (en) Flexible package bag provided with one-way functioning nozzle and packaging structure for liquid material
JP5028762B2 (ja) 詰替パウチ
JP5540232B2 (ja) 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TWI601669B (zh) Bags
TW201718356A (zh) 片材容器
JPWO2008001829A1 (ja) パウチ容器
JP2010023914A (ja) 逆止機能ノズル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および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JP5732700B2 (ja) フレキシブル包装袋
WO2010150911A1 (ja) フラットフィルム弁付き自立型液体包装袋
KR102008234B1 (ko)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JP6973418B2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
JP2007326581A (ja) 逆止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7110555B2 (ja) 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
JP5445747B2 (ja) フラットフィルム弁付き自立型液体包装袋
JP2010159087A (ja) 飲料水用ダブルパック包装袋および飲料水・抽出素材共充填型包装構造体
WO2011016573A1 (ja) 液状物注出用フィルム状逆止弁およびフレキシブル包装袋
JP7170465B2 (ja) ガゼット袋およびバッグインボックス
JP5090512B2 (ja)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JP5227450B2 (ja) 逆止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KR101218350B1 (ko)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JP4515866B2 (ja) 流体収納袋体の注ぎ口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5326083B2 (ja) 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JP3204404U (ja) 液状物充填包装体の外容器
JP2016008062A (ja) 液状物充填包装体の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