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739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739A
KR20220080739A KR1020227018830A KR20227018830A KR20220080739A KR 20220080739 A KR20220080739 A KR 20220080739A KR 1020227018830 A KR1020227018830 A KR 1020227018830A KR 20227018830 A KR20227018830 A KR 20227018830A KR 20220080739 A KR20220080739 A KR 20220080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resource
information
production pla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미 사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8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는,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복수의 자원을 특정하고,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필요한 각 자원의 양을 필요 자원량으로서 계산한다. 비용 계산부(415)는,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에 의해 특정된 자원마다, 필요 자원량을 얻기 위한 비용을 계산한다.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에 의해 특정된 각 자원의 용도에 따라, 각 자원을, 각각이 용도의 카테고리인 복수의 용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하여, 용도 카테고리마다, 각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된 자원의 비용을 집계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본 발명은, 생산 계획의 평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조업에서는, 소품종 대량 생산이 주류이며, 최종 사용자로부터의 수요가 공급을 상회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종래는, 제조업에서는, 생산 효율이 중시되고 있고, 에너지 효율, 환경 부하량 등의 다른 지표는 생산성과는 별개로 생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근래 자원의 고갈, 환경 오염 등이 큰 문제가 되고 있고, 제조업에 있어서도, 생산성뿐만이 아니라, 재료의 사용량의 저감, 에너지 자원의 이용량의 저감 및 환경 부하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생산성에 부가하여, 생산에 관련하는 다른 지표도 포함하여 생산을 평가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는, 생산 공정에 의해 발생한 환경 부하와 함께 생산 공정에 있어서의 생산 효율 등의 부가 가치를 산출 및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06-221573호 공보
경영 시점에서 생산 계획을 입안하기 위해서는, 생산 공정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 부하, 생산 효율 등에 부가하여, 비용의 면도 무시할 수 없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생산 계획을 변경한 것에 의한 환경 부하, 생산 효율 등으로의 영향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생산 계획의 변경이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생산 계획의 실현에 필요한 비용을 용도마다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복수의 자원을 특정하고,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필요한 각 자원의 양을 필요 자원량으로서 계산하는 필요 자원량 계산부와,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에 의해 특정된 자원마다, 상기 필요 자원량을 얻기 위한 비용을 계산하는 비용 계산부와,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에 의해 특정된 각 자원의 용도에 따라, 각 자원을, 각각이 용도의 카테고리인 복수의 용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하여, 용도 카테고리마다, 각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된 자원의 비용을 집계하는 카테고리 집계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 계획의 실현에 필요한 비용을 용도마다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정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성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정 동작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설비 동작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계획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계산 시간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계산 단위 시간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자원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자원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자원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환경 부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환경 부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환경 부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재고 관리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급 자원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필요 자원량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비목(費目)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비용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8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변경 후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변경 후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5는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규제값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CO2 배출량 및 전기 소비량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0은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3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변경 후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변경 후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소수 첫째자리의 값을 반올림한 수치를 나타낸다.
(실시의 형태 1)
***구성의 설명***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시스템(100)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생산 계획 최적화 시스템(100)은, 5개의 생산 설비(1), 생산 제어 장치(2), 공급 설비(3),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 표시 장치(5) 및 네트워크(6)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생산 계획 최적화 시스템(100)이 5개의 생산 설비(1)를 구비하고 있는 예를 설명하지만, 생산 설비(1)의 수는 몇개라도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생산 계획 최적화 시스템(100)이 공급 설비(3)를 1개 구비하고 있는 예를 설명하지만, 공급 설비(3)의 수는 몇개라도 좋다.
생산 설비(1)는, 제품의 생산을 위해 이용되는 설비이다.
생산 설비(1)는, 예를 들면, 제품의 원재료를 가공하는, 사출 성형기, 압출 성형기를 구비한다. 또, 생산 설비(1)는, 선반 및 연삭반 등의 가공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생산 설비(1)는, 제품에 나사, 너트 등의 부품을 조이는 등 하여, 제품을 조립하는 조립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생산 설비(1)는, 자분 탐상 검사 장치, 방사선 검사 장치 및 침투 탐상 검사 장치 등의 검사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생산 제어 장치(2)는, 제품의 생산 계획에 관한 정보인 생산 계획 정보에 따라 생산 설비(1)를 제어하고, 제품의 생산을 관리한다.
생산 제어 장치(2)는,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 등이다. 또, 생산 제어 장치(2)는,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로부터 생산 계획 정보를 취득한다. 생산 계획 정보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공급 설비(3)는, 생산 설비(1)에 자원을 공급하는 설비이다.
공급 설비(3)가 생산 설비(1)에 공급하는 자원은, 예를 들면, 냉수, 온수, 압축 공기, 또는 전력 등이다.
공급 설비(3)는, 공급 설비(3)에 관한 공급 설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공급 설비 정보를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에 출력한다. 또, 공급 설비 정보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생산 설비(1)와 공급 설비(3)는, 급수관, 공기관, 또는 전선로 등의 자원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공급 설비(3)는, 생산 제어 장치(2)에 의해 제어를 할 수 없는 설비이다. 또, 생산 설비(1)와 공급 설비(3)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차이가 있는 일도 있다. 또, 공급 설비(3)는, 생산 제어 장치(2)가 제어하는 생산 설비(1)에만 자원을 공급하는 설비이다. 공급 설비(3)는, 생산 제어 장치(2)가 제어하지 않는 생산 설비(1)에는 자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는, 생산 계획에 관련하는 각종 정보를 가지고 있다.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는, 공급 설비(3)로부터 공급 설비 정보를 취득한다.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는, 취득한 공급 설비 정보 및 생산 설비(1)에 관련하는 생산 설비 정보에 근거하여 제품의 생산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또,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는, 생성한 생산 계획 정보를 생산 제어 장치(2) 및 표시 장치(5)에 출력한다. 또,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에 있어서의 생산 계획의 생성 방법 및 생산 계획 정보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는, 정보 처리 장치에 상당한다. 또,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의 동작 순서는, 정보 처리 방법에 상당한다. 또,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의 동작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상당한다.
표시 장치(5)는,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로부터 취득한 생산 계획 정보에 근거하여 표시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한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5)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모니터를 구비한다. 표시 장치(5)는, 생성한 표시 화면을 모니터에 표시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5)와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가 분리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지만, 표시 장치(5)가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와 일체로 되어 있어도 좋다. 즉,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가 표시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네트워크(6)는, 생산 설비(1)와 생산 제어 장치(2), 생산 제어 장치(2)와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 공급 설비(3)와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 및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와 표시 장치(5)를 접속하는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6)는, 예를 들면 CC-Link(Control & Communication Link, 등록상표) 등의 필드 네트워크이다. 또, 네트워크(6)는, Ethernet(등록상표) 등의 일반적인 네트워크, 또는 전용의 입출력선이라도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생산 설비(1)와 생산 제어 장치(2), 생산 제어 장치(2)와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 공급 설비(3)와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 및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와 표시 장치(5)가 모두 동일한 네트워크(6)에서 접속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이 다른 네트워크에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는, 제어부(41), 스토리지(42), 메모리(43), 통신부(44) 및 입력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는, 동력원이 되는 도시하지 않는 전원도 구비한다.
제어부(41)는,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를 제어한다.
제어부(4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여도 좋다. 또, 제어부(41)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LSI(Large Scale Integration),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집적 회로여도 좋다. 또, 제어부(41)는, 프로세서와 집적 회로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와 집적 회로의 상위 개념인 제어부(41)를 「프로세싱 회로」라고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어부(41)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인 예를 설명한다. 즉, 제어부(41)는, 스토리지(42)에서 기억되어 있는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을 실행한다.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제어부(41)는, 스토리지(42), 메모리(43), 통신부(44) 및 입력부(45)를 제어하고,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을 실행하여, 공급 설비(3)로부터 취득한 공급 설비 정보 및 생산 설비(1)의 생산 설비 정보에 근거하여, 생산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또, 제어부(41)는,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을 실행하여, 후술하는, 필요 자원량 정보, 비용 정보 등을 생성한다.
스토리지(42)는, 제어부(41)가 실행하는 각종 프로그램, 제어부(41)가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참조하는 데이터, 및 제어부(41)가 각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결과로서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스토리지(42)는, 예를 들면,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을 기억하고 있다.
스토리지(42)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하드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또는 메모리 카드 리더 라이터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메모리(43)는, 제어부(41)가 프로그램의 처리를 실행할 때에 직접 액세스하는 기억 장치이다. 스토리지(42)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메모리(43)에 복사되고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메모리(43)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이다.
또, 제어부(41)는, 통상 스토리지(4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메모리(43)에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프로그램을 메모리(43)로부터 읽어들이는 것에 의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통신부(44)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한다.
통신부(44)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이용하여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제어부(41)는, 통신부(44)를 거쳐 공급 설비(3)로부터 공급 설비 정보를 취득한다. 또, 제어부(41)는, 통신부(44)를 거쳐 생산 제어 장치(2) 및 표시 장치(5)에 제품의 생산 계획 정보를 출력한다.
입력부(45)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이다. 입력부(45)는,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또는 표시 기능을 가지고 있는 터치 패널이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의 기능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제어부(41)가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에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통신 제어부(412),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 자원 소비 계산부(414), 비용 계산부(415) 및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의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화를 위해, 제어부(41)가,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통신 제어부(412),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 자원 소비 계산부(414), 비용 계산부(415) 및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의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통신 제어부(412),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 자원 소비 계산부(414), 비용 계산부(415) 및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의 동작으로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제어부(41)가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생산 설비 운전 상태를 계산하는 것을,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가 생산 설비 운전 상태를 계산한다고 설명한다.
또, 도 3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메모리(43), 입력부(45), 생산 제어 장치(2), 공급 설비(3) 및 표시 장치(5)도 도시하고 있다.
메모리(43)에서는,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 비목 데이터베이스(433) 및 생산 지표 데이터베이스(434)가 기억된다.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는, 스토리지(42)에 기억된 데이터베이스를 일시적으로 복사하여 얻어지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는, 제어부(41)가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비목 데이터베이스(433)는, 후술하는 비용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생산 지표 데이터베이스(434)는, 후술하는 생산 평가 지표 정보 및 평가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3에 있어서, 각 기능 블록의 처리의 흐름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난다. 또, 기능 블록간의 데이터의 흐름이 파선 화살표로 나타나고 있다.
또,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 및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는, 정기적으로 스토리지(42)에 복사되고, 스토리지(42)에서 기억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 및 자원 소비 계산부(414)를 통합하여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라고 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 및 자원 소비 계산부(414)의 각각의 상세를 설명하기 전에,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에서,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 및 자원 소비 계산부(414)의 동작의 개요를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의 동작으로서 설명한다. 또,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는, 필요 자원량 계산 처리에 상당한다.
또, 이하에서, 비용 계산부(415) 및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의 동작의 개요도 설명한다.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는,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복수의 자원을 특정한다. 그리고,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는, 생산 계획의 실현에 필요한 각 자원의 양을 필요 자원량으로서 산출한다. 생산 계획에는, 복수의 생산 공정이 포함된다. 이 때문에,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는, 생산 공정마다, 각 생산 공정의 실현에 필요한 자원을 특정하고, 특정한 자원의 필요 자원량을 산출한다.
도 23은, 필요 자원량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3의 필요 자원량 정보에서는,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가 산출한 필요 자원량이 생산 공정마다 나타난다.
도 23의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도 23의 필요 자원량 정보에서는,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자원으로서, 소비 자원, 환경 부하 저감 자원, 재고 관리 자원 및 공급 설비 자원이 기술되고 있다. 소비 자원이란, 생산에서 소비되는 자원이다. 소비 자원에는, 예를 들면, 생산에 이용되는 재료가 포함된다. 환경 부하 저감 자원은, 생산에 의해 생기는 환경 부하를 저감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자원이다. 환경 부하 저감 자원에는, 예를 들면, 생산에 있어서 발생하는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가스(이하, 단지 「VOC」라고도 말한다)를 저감하기 위한 전기가 포함된다. 또, 도 23의 필요 자원량 정보에서는, 환경 부하 저감 자원에 의해 저감되는 환경 부하 물질의 양도 기술되고 있다. 재고 관리 자원은, 제품의 재고 관리에 이용되는 자원이다. 공급 설비 자원은, 소비 자원을 공급하는 공급 설비에서 소비 자원의 공급을 위해 소비되는 자원이다.
도 23에 있어서, 소비 자원의 란에 기재된 「600개」등이 소비 자원의 필요 자원량이다. 또, 환경 부하 저감 자원의 란에 기재된 「517kwh」가 환경 부하 저감 자원의 필요 자원량이다. 또, 재고 관리 자원의 란에 기재된 「3,000 보관 관리 리소스」가 재고 관리 자원의 필요 자원량이다.
비용 계산부(415)는,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에 의해 특정된 자원마다, 필요 자원량을 얻기 위한 비용을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는 생산 공정마다 필요 자원량을 산출하기 때문에, 비용 계산부(415)는, 생산 공정마다, 필요 자원량을 얻기 위한 비용을 산출한다.
도 25는, 비용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비용 정보에서는, 비용 계산부(415)가 산출한 비용이 생산 공정마다 나타난다.
도 25의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비용 정보에서는, 도 23의 필요 자원량 정보와 마찬가지로, 소비 자원, 환경 부하 저감 자원, 재고 관리 자원 및 공급 설비 자원이 기술되고 있다. 도 25에 있어서, 소비 자원의 란에 기재된 「6,000엔」, 환경 부하 저감 자원의 란에 기재된 「420엔」, 재고 관리 자원의 란에 기재된 「7,322엔」등이 비용이다.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생산 평가 지표를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생산 공정마다,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에 의해 특정된 각 자원의 용도에 따라, 각 자원을, 복수의 용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한다. 그리고,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생산 공정 및 용도 카테고리마다, 자원의 비용을 집계한다. 또,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복수의 생산 공정의 복수의 용도 카테고리의 비용의 집계 결과를 지표화한다.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에 의해 지표화된 비용의 집계 결과를 생산 평가 지표라고 한다.
용도 카테고리는, 자원의 용도마다 마련된 카테고리이다.
도 26은,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6의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도 26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에서는, 용도 카테고리로서, 자재 카테고리, 에너지 카테고리, 환경 부하 카테고리 및 재고 관리 카테고리가 있다.
자재 카테고리는, 자원 중 자재로서 이용되는 자원의 카테고리이다. 자재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자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생산에 이용되는 재료 및 인적 자원(예를 들면, 작업자의 노동)이 있다. 자재 카테고리에 나타나는 지표값은 생산성에 관한 지표값으로서 이용된다.
에너지 카테고리는, 자원 중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에너지로서 이용되는 자원의 카테고리이다. 에너지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자원으로서는, 공작 기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가스 등이 있다. 에너지 카테고리에 나타나는 지표값은 에너지 효율에 관한 지표값으로서 이용된다.
환경 부하 카테고리는, 환경 부하를 저감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자원의 카테고리이다. 환경 부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자원으로서는, VOC 가스를 저감하기 위한 전기가 있다.
재고 관리 카테고리는, 제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자원의 카테고리이다.
도 26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에서는, 생산 공정마다 및 용도 카테고리마다, 지표화된 비용의 집계 결과인 지표값이 나타난다. 도 26에 나타내는 「467」, 「414」, 「219」등의 값은, 각각 지표값이다.
또,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지표값과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생산 계획의 평가값을 산출한다.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가중 계수를 입력부(45)를 거쳐 취득한다.
그리고,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산출한 평가값 및 도 26에 나타내는 생산 평가 지표 정보를 통신 제어부(412)를 거쳐 표시 장치(5) 및 생산 제어 장치(2)에 출력한다. 통신 제어부(412)는, 통신을 제어한다.
또,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산출한 평가값 및 도 26에 나타내는 생산 평가 지표 정보를 생산 지표 데이터베이스(434)에 저장한다.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카테고리 집계부에 상당한다. 또,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는 카테고리 집계 처리에 상당한다.
다음에,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 및 자원 소비 계산부(414)를 포함하는,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의 구성 요소의 상세를 설명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를 계산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메모리(43)에 기억된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로부터 생산 설비(1)에 관련하는 생산 설비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취득한 생산 설비 정보에 근거하여, 생산 설비(1)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를 계산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의 계산에 있어서,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복수의 자원을 특정한다. 그리고,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가 나타나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도 19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에는,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자원이 나타난다. 도 19의 예에서는, 소비 자원으로서, 도료, 전기, 공기 및 작업자(노동)가 필요한 일이 나타난다. 또, 도 19의 예에서는, 환경 부하 저감 자원으로서 VOC 가스의 저감을 위해 전기가 필요한 일이 나타난다. 또, 도 19의 예에서는, 재고 관리 자원으로서 보관 관리 리소스가 필요한 일이 나타난다.
또,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로부터 취득되는 생산 설비 정보는, 공정 정보, 생산성 정보, 공정 동작 정보, 설비 동작 정보, 생산 계획 정보, 계산 시간 정보, 계산 단위 시간 정보, 생산 자원 정보, 환경 부하 정보, 재고 관리 정보로 구성된다.
공정 정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 공정을 나타낸다. 도 4는, 공정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4의 공정 정보는 도 5의 생산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생산성 정보는, 각 생산 공정의 제품 1개당 생산 시간을 나타낸다. 도 6은, 생산성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공정 동작 정보는, 각 생산 공정이 갖는 설비 동작을 나타낸다. 도 7은 공정 동작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설비 동작 정보는, 각 생산 공정과 관련되는 생산 설비(1)의 설비 동작에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다. 도 8은 설비 동작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생산 계획 정보는, 제품의 생산을 개시하는 개시 시각 및 생산하는 생산 수량을 나타낸다. 도 9는 생산 계획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9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계산 시간 정보는, 계산에 이용하는 생산 설비(1)의 운전 가능 시간을 나타낸다. 도 10은 계산 시간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계산 단위 시간 정보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를 계산하기 위한 단위 시간을 나타낸다. 도 11은 계산 단위 시간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생산 자원 정보는, 각 생산 공정에서 소비하는 자원(소비 자원)을 나타낸다. 도 12, 도 13 및 도 14는 생산 자원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 도 13 및 도 14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환경 부하 정보는, 각 생산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환경 부하 물질 및 환경 부하 저감을 위해 소비하는 자원(환경 부하 저감 자원)을 나타낸다. 도 15, 도 16 및 도 17은 환경 부하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5, 도 16 및 도 17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재고 관리 정보는, 생산 공정 간에 체류하는 재고의 관리에 이용되는 자원(재고 관리 자원)을 나타낸다. 금리 및 보관 관리 리소스가 재고 관리 자원으로서 이용된다. 도 18은 재고 관리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8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는, 통신 제어부(412)에 의해 공급 설비(3)로부터 취득된 공급 설비 정보를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로부터 취득한다.
공급 설비 정보는,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와 공급 자원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는, 공급 설비(3)의 설비 동작의 계획을 나타낸다. 도 20은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0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공급 자원 정보는, 각 공급 설비(3)에서 소비하는 자원을 나타낸다. 도 21은 공급 자원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1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통신 제어부(412)가 공급 설비(3)로부터 취득하는 공급 설비 정보에 공급 자원 정보가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는, 공급 자원 정보가 메모리(43)의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에 당초부터 기억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는, 취득한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와 공급 자원 정보에 근거하여, 공급 설비(3)의 공급 설비 운전 상태를 계산한다. 그리고,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는, 공급 설비 운전 상태가 나타나는 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생산 설비(1) 및 공급 설비(3)에서 필요한 자원의 양인 필요 자원량을 계산한다.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메모리(43)의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로부터 생산 설비(1)의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또,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로부터 공급 설비(3)의 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취득한 생산 설비 운전 정보와 공급 설비 운전 정보에 근거하여, 생산 설비(1) 및 공급 설비(3)에서 각 생산 공정에서 필요한 자원을 총계하고, 생산 공정마다 및 자원마다 필요 자원량을 산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 자원량 정보는 도 23에 예시하는 정보이다.
비용 계산부(415)는, 생산 설비(1) 및 공급 설비(3)에서 소비하는 자원의 비용을 계산한다.
비용 계산부(415)는, 자원 소비 계산부(414)로부터 필요 자원량 정보를 취득한다. 또, 비용 계산부(415)는, 메모리(43)의 비목 데이터베이스(433)로부터 비목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비용 계산부(415)는, 취득한 필요 자원량 정보와 비목 정보에 근거하여, 비용 정보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용 정보는 도 25에 예시하는 정보이다.
도 24는 비목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4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비용 계산부(415)로부터 비용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취득한 비용 정보에 근거하여, 생산 평가 지표 정보를 생성한다. 생산 평가 지표 정보에는, 생산 계획의 최적화의 지표로 되는 생산 평가 지표가 나타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산 평가 지표 정보는 도 26에 예시하는 정보이다.
통신 제어부(412)는, 통신부(44)를 거쳐 생산 제어 장치(2), 공급 설비(3) 및 표시 장치(5)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생산 설비 정보인 공정 정보, 생산성 정보, 공정 동작 정보, 설비 동작 정보, 생산 계획 정보, 계산 시간 정보, 계산 단위 시간 정보 및 생산 자원 정보를 설명한다.
또, 이하에 있어서, 공급 설비(3)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 및 물 재이용 설비 자원인 것으로 한다. 압축 공기 공급 설비는, 압축 공기를 생산 설비(1)에 공급하는 설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정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공정 정보에는, 생산 설비(1)에서의 생산 공정이 기술된다.
도 4의 공정 정보는, 제품 A에 관한 생산 공정의 마스터 데이터이다.
도 4에 있어서, 생산 라인의 란에는, 각 생산 공정이 속하는 생산 라인이 나타난다.
공정 번호의 란에는, 공정의 순서가 나타난다. 공정 번호의 값이 작은 생산 공정이 상류의 공정이고, 공정 번호의 값이 큰 공정이 하류의 공정이다.
여기서, 가공은 재료를 가공하여 부품으로 하는 가공 공정을 나타낸다. 조립은 부품을 제품으로서 조립하는 조립 공정을 나타낸다. 검사는 생산된 제품의 품질이 기준을 만족시키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검사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공정의 순서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제품 A의 생산 공정의 마스터 데이터를 플로우로 가리키고 있다.
제품 A의 생산 공정에서는, No.1 라인 및 No.2 라인에 있어서 가공, 조립, 검사의 순서로 실시된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성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생산성 정보는, 생산 공정, 제품, 생산 능력으로 구성된다.
생산 공정의 란에는, 도 4의 생산 공정의 란에 나타내는 각 생산 공정이 나타난다. 제품의 란에는, 생산되는 제품이 나타난다. 생산 능력의 란에는, 각 생산 공정에서의 제품 1개당 필요한 처리 시간이 나타난다. 도 6의 예에서는, 가공 1, 조립 1 및 검사 1에서는, 120초/개의 생산 능력이 있는 것이 나타난다. 또, 가공 2, 조립 2 및 검사 2에서는, 180초/개의 생산 능력이 있는 것이 나타난다.
도 7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정 동작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듯이, 공정 동작 정보는, 생산 공정 및 설비 동작으로 구성된다.
생산 공정의 란에는, 도 4의 생산 공정의 란에 나타내는 각 생산 공정이 나타난다. 설비 동작의 란에는, 각 생산 공정에서 이용되는 생산 설비(1)의 동작이 나타난다.
설비 동작에 있어서, 기동은 생산 공정에서 이용되는 생산 설비(1)를 기동하는 동작이다. 가공 처리는 생산 공정에서 이용되는 생산 설비(1)가 제품을 가공하는 동작이다. 조립 처리는 생산 공정에서 이용되는 생산 설비(1)가 제품을 조립하는 동작이다. 검사 처리는 생산 공정에서 이용되는 생산 설비(1)가 제품을 검사하는 동작이다. 대기는 처리할 제품이 없어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생산 설비(1)를 대기 상태로 하는 동작이다. 종료 처리는 생산 공정에서 이용되는 생산 설비(1)가 생산 공정의 처리를 종료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동작이다. 정지는 생산 공정에서 이용되는 생산 설비(1)를 정지하는 동작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설비 동작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설비 동작 정보는, 생산 공정, 설비 동작 및 동작 시간으로 구성된다.
생산 공정의 란에는, 도 4의 생산 공정의 란에 나타내는 각 생산 공정이 나타난다. 설비 동작의 란에는, 도 7의 설비 동작의 란에 나타나는 설비 동작이 나타난다. 동작 시간의 란에는, 각 설비 동작에 필요한 시간이 나타난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계획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생산 계획 정보는, 대상 제품, 생산 공정, 생산 개시 시각 및 생산 수량으로 구성된다.
대상 제품의 란에는, 생산되는 제품이 나타난다. 생산 공정의 란에는, 도 4의 생산 공정의 란에 나타내는 각 생산 공정이 나타난다. 생산 개시 시각의 란에는, 각 생산 공정이 개시하는 시각이 나타난다. 생산 수량의 란에는, 대상 제품의 생산 수량이 나타난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계산 시간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계산 시간 정보는, 생산 처리와 생산 처리 시각으로 구성된다.
생산 처리의 란에는, 생산 공정의 개시 또는 종료가 나타난다. 생산 처리 시각의 란에는, 생산 공정의 개시 시각 또는 종료 시각이 나타난다.
도 1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계산 단위 시간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계산 단위 시간 정보는, 계산 단위 시간으로 구성된다.
계산 단위 시간의 란에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가 생산 설비(1)에 있어서의 생산 공정의 처리 상태를 계산하기 위한 단위 시간이 나타난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생산 설비(1)에 있어서의 생산 공정의 생산 설비 운전 상태를 3,600초마다 계산한다. 또, 계산 단위 시간은 3,600초 이외의 시간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계산 단위 시간은, 7,200초, 10,800초 등이라도 좋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각 생산 공정의 생산 자원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가공 1 및 가공 2에 있어서의 생산 자원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조립 1 및 조립 2에 있어서의 생산 자원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검사 1 및 검사 2에 있어서의 생산 자원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듯이, 생산 자원 정보는, 생산 공정, 설비 동작, 자원, 소비량, 공급 설비 및 비목으로 구성된다.
생산 공정의 란에는, 도 4의 생산 공정의 란에 나타내는 각 생산 공정이 나타난다. 설비 동작의 란에는, 도 8의 설비 동작의 란에 나타내는 설비 동작이 나타난다. 자원의 란에는, 설비 동작의 란에 나타나는 설비 동작에서 이용되는 자원이 나타난다. 소비량의 란에는, 자원의 소비량이 나타난다. 공급 설비의 란에는, 자원의 공급원의 공급 설비(3)가 나타난다. 비목의 란에는, 자원의 비용 관리상의 명칭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도 12에 있어서, 가공 1의 기동에는, 자원으로서 전기와 작업자가 이용된다. 그리고, 전기의 소비량은 50kWh이다. 또, 작업원의 소비량은 1h이다. 그리고, 전기의 비목은 전기이며, 작업원의 비목은 작업원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각 생산 공정의 환경 부하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가공 1 및 가공 2에 있어서의 환경 부하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조립 1 및 조립 2에 있어서의 환경 부하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검사 1 및 검사 2에 있어서의 환경 부하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내듯이, 환경 부하 정보는, 생산 공정, 설비 동작, 환경 부하 물질, 배출량, 저감 자원, 소비량 및 규제 임계값으로 구성된다.
생산 공정의 란에는, 도 4의 생산 공정의 란에 나타내는 각 생산 공정이 나타난다. 설비 동작의 란에는, 도 8의 설비 동작의 란에 나타내는 설비 동작이 나타난다. 환경 부하 물질의 란에는, 환경 부하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 나타난다. 배출량의 란에는, 환경 부하 물질의 배출량이 나타난다. 저감 자원의 란에는, 환경 부하 물질의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저감 자원이 나타난다. 소비량의 란에는, 저감 자원의 소비량이 나타난다. 규제 임계값의 란에는, 환경 부하 물질의 배출량의 규제 상한치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가공 1의 기동에서는, VOC 가스가 10kg/min의 비율로 배출되고, 가공 1의 기동에서의 VOC 가스의 배출을 1000kg/일 미만으로 하기 위해 전기를 5kwh의 비율로 소비할 필요가 있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재고 관리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재고 관리 정보는, 생산 공정, 보관 관리 리소스 및 재고 금리로 구성된다.
생산 공정의 란에는, 도 4의 생산 공정의 란에 나타내는 각 생산 공정이 나타난다. 보관 관리 리소스의 란에는, 재고 1개 1시간당의 보관 관리 리소스가 나타난다. 보관 관리 리소스는, 사람 또는 기계의 작업량, 광열 사용량이 나타난다. 재고 금리의 란에는, 재고에 부과되는 금리가 나타난다.
도 19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 19를 이용하여,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가 생산 설비(1)의 운전 상태, 즉, 생산 설비(1)가 실시하는 생산 공정의 처리 상태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 이하에 있어서, 생산 공정간의 생산물의 수송에 걸리는 시간은 각 생산 공정의 생산 처리의 시간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생산 공정간의 생산물의 수송은 1시간마다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생산 공정에서 생산된 생산물은 다음의 생산 공정에 수송된다고 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생산 설비 정보에 근거하여, 생산 공정마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를 계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산 설비 정보에는, 도 4, 도 6 내지 도 18에 나타내는 공정 정보, 생산성 정보, 공정 동작 정보, 설비 동작 정보, 생산 계획 정보, 계산 시간 정보, 계산 단위 시간 정보, 생산 자원 정보, 환경 부하 정보, 재고 관리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도 4의 공정 정보에 나타나는 생산 공정마다, 도 8의 설비 동작 정보와 도 6의 생산성 정보와 도 7의 공정 동작 정보와 도 9의 생산 계획 정보에 근거하여, 도 19의 생산 공정의 값, 동작 시각의 값, 제품명의 값, 생산 수량의 값, 설비 동작의 값을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가 도 4의 「가공 1」에 대해 도 19의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도 7의 공정 동작 정보로부터, 「가공 1」의 설비 동작으로서 「기동」, 「제품 A 가공 1 처리」, 「대기」, 「종료 처리」 및 「정지」를 취득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가공 1」에 대해, 도 8의 설비 동작 정보로부터, 기동의 동작 시간으로서 「1시간」을 취득하고, 종료 처리의 동작 시간으로서 「1시간」을 취득하고, 정지의 동작 시간으로서 「0시간」을 취득한다.
또,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가공 1」에 대해, 도 6의 생산성 정보로부터, 제품으로서 「제품 A」를 취득하고, 생산 능력으로서 「120초/개」를 취득한다.
또,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가공 1」에 대해, 도 9의 생산 계획 정보로부터, 생산 개시 시각으로서 「2019/09/01 09:00」을 취득하고, 생산 수량으로서 「60개」를 취득한다.
그리고,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가공 1」에 대해, 기동의 동작 시간으로서 「1시간」이 필요하고, 생산 개시 시각이 「2019/09/01 09:00」인 것으로부터, 「가공 1」의 기동은 「2019/09/01 08:00」에 개시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 「제품 A」의 생산 수량이 「60개」이며, 「제품 A」의 생산 능력은 「120초/개」인 것으로부터,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가공 1」의 「제품 A 가공 1 처리」가 2시간 필요하다고 판정한다(60개×120초÷3600초=2시간). 이 때문에,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2019/09/01 09:00」으로부터의 1시간에 30개 분의 가공 처리가 행해지고, 「2019/09/01 10:00」으로부터의 1시간에 30개 분의 가공 처리가 행해진다고 판정한다. 또,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가공 1」의 「종료 처리」가 「2019/09/01 11:00」에 개시한다고 판정한다.
또한,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가공 1」에 대해, 기동의 동작 시간으로서 「1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공 1」의 「정지」는 「2019/09/01 12:00」에 행해진다고 판정한다.
이상의 해석에 의해,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도 19의 생산 공정의 값, 동작 시각의 값, 제품명의 값, 생산 수량의 값, 설비 동작의 값을 생성한다.
또,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도 12 내지 도 14의 생산 자원 정보, 도 15 내지 도 17의 환경 부하 정보에 근거하여, 도 19의 소비 자원의 값, 환경 부하 물질의 값 및 환경 부하 저감 자원의 값을 생성한다.
여기에서도,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가 도 4의 「가공 1」에 대해 도 19의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가공 1」에 대해, 도 12의 생산 자원 정보로부터, 설비 동작마다, 자원의 란에 기재된 값, 소비량의 란에 기재된 값, 비목의 란에 기재된 값을 취득한다.
또,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가공 1」에 대해, 도 15의 환경 부하 정보로부터, 설비 동작마다, 환경 부하 물질의 란의 값, 배출량의 란의 값, 저감 자원의 란의 값, 소비량의 란의 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도 12의 생산 자원 정보로부터 취득한 값을 이용하여, 도 19의 소비 자원의 값을 생성한다.
또,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도 15의 환경 부하 정보로부터 취득한 값을 이용하여, 도 19의 환경 부하 물질의 값 및 환경 부하 저감 자원의 값을 생성한다.
다음에,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생성한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19)를 메모리(43)의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에 기억한다.
다음에, 통신 제어부(412)가, 메모리(43)의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로부터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19)를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412)는, 취득한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로부터, 공급 설비가 대응된 소비 자원의 소비량과 그 소비 자원을 소비하는 설비 동작의 동작 시각을 추출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412)는, 추출한 소비 자원을 공급하는 공급 설비(3)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412)는,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생산 자원 정보를 참조하여, 공급 설비(3)를 특정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412)는, 동작 시각에 소비 수량의 소비 자원을 공급하는 경우의 공급 설비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요구하는 지시를 해당하는 공급 설비(3)에 출력한다.
그 후, 통신 제어부(412)는, 공급 설비(3)로부터 공급 설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공급 설비 정보를 메모리(43)에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로서 기억한다.
여기서, 공급 설비 정보는,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 및 공급 자원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는, 공급 설비(3)의 설비 동작의 계획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공급 자원 정보는, 각 공급 설비(3)에서 소비하는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 공급 자원 정보는, 통신 제어부(412)가 공급 설비(3)로부터 취득하는 공급 설비 정보에 포함되지 않고, 원래 메모리(43)의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에 기억되고 있어도 좋다.
도 20은, 공급 설비(3)의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0은, 공급 설비(3)의 예인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1은,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공급 자원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0의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와 도 21의 공급 자원 정보를 합쳐 공급 설비 정보라고 한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압축 공기 공급 설비에 있어서의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는, 동작 시각, 공급량 및 설비 동작으로 구성된다.
동작 시각의 란에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가 동작하는 동작 시각이 계산 단위 시간마다 나타난다. 공급량의 란에는, 압축 공기의 공급량이 나타난다. 설비 동작의 란에는,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동작이 나타난다. 여기서, 설비 동작의 「압축 처리」는, 공기를 압축하여 생산 설비(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동작이다.
다음에, 도 21에 나타내듯이, 공급 자원 정보는, 공급 설비, 설비 동작, 자원, 소비량 및 비목으로 구성된다.
공급 설비의 란에는, 자원을 공급하는 공급 설비(3)가 나타난다. 설비 동작의 란에는, 공급 설비(3)의 동작이 나타난다. 자원의 란에는, 설비 동작에서 소비되는 자원이 나타난다. 소비량의 란에는, 자원의 소비량이 나타난다. 비목의 란에는, 자원의 비용 관리상의 명칭이 나타난다.
여기서, 압축 공기가 자원으로서 기재되지 않은 것은, 압축 공기는 비용이 들지 않는, 즉 비목이 없는 자원이기 때문에, 소비량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는, 메모리(43)의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로부터 공급 설비 정보(도 20, 도 21)를 취득하고, 취득한 공급 설비 정보에 근거하여 공급 설비(3)의 공급 설비 운전 상태를 계산한다.
이하에 있어서,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가 공급 설비(3)인 압축 공기 공급 설비에 대해 공급 설비 운전 상태를 계산하는 예를 설명한다.
우선,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는, 메모리(43)의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로부터 공급 설비(3)인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공급 설비 정보인,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도 20)와 공급 자원 정보(도 21)를 취득한다.
다음에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는, 취득한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와 공급 자원 정보에 근거하여,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공급 설비 운전 상태를 계산하고, 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도 2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내듯이, 압축 공기 공급 설비의 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는, 공급 설비, 동작 시각, 공급량, 설비 동작, 공급 설비 자원으로 구성된다.
도 22의 공급 설비의 란의 값은, 도 21의 공급 설비의 란의 값으로부터 얻어진다. 도 22의 동작 일시의 란의 값은, 도 20의 동작 일시의 란의 값으로부터 얻어진다. 도 22의 공급량의 란의 값은, 도 20의 공급량의 란의 값으로부터 얻어진다. 도 22의 설비 동작의 란의 값은, 도 20의 설비 동작의 란의 값으로부터 얻어진다. 도 22의 공급 설비 자원의 란의 값은, 도 21의 자원의 란의 값 및 소비량의 란의 값으로부터 얻어진다.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메모리(43)의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로부터 생산 설비(1)의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19)를 취득하고,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로부터 공급 설비(3)의 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22)를 취득한다.
그리고,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취득한 생산 설비 운전 정보와 공급 설비 운전 정보에 근거하여, 생산 설비(1) 및 공급 설비(3)에서 각 생산 공정에서 소비하는 자원의 필요량을 총계한다. 그리고,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총계에 의해 얻어진 자원의 필요량(필요 자원량)이 나타나는, 필요 자원량 정보를 생성한다.
도 23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필요 자원량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3에 나타내듯이, 필요 자원량 정보에서는, 생산 공정마다, 소비 자원의 필요 자원량, 환경 부하 저감 자원의 필요 자원량과, 재고 관리 자원의 필요 자원량, 공급 설비 자원의 필요 자원량이 나타난다.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도 19의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소비 자원의 필요 자원량의 값, 환경 부하 저감 자원의 필요 자원량의 값, 재고 관리 자원의 필요 자원량의 값을 산출한다.
또,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도 22의 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공급 설비 자원의 필요 자원량을 산출한다.
비용 계산부(415)는, 자원 소비 계산부(414)로부터 필요 자원량 정보(도 23)를 취득하고, 메모리(43)의 비목 데이터베이스(433)로부터 비목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비용 계산부(415)는, 취득한 필요 자원량 정보와 비목 정보에 근거하여, 생산 설비(1) 및 공급 설비(3)에서 필요한 자원의 비용을 생산 공정마다 계산하고, 비용 정보를 생성한다.
도 24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비목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4에 나타내듯이, 비목 정보는, 비목, 비용, 및 비목 분류로 구성된다.
비목은, 「재고 관리」를 제외하고,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생산 자원 정보에 포함되는 비목 및 도 21에 나타내는 공급 자원 정보에 포함되는 비목에 대응한다.
비용의 란에는, 비목마다 비용 단가가 나타난다. 비용 분류의 란에는, 용도 카테고리 중의 비용의 분류가 나타난다.
또, 도 24에 나타내는 비고는, 참고를 위해 마련하고 있는 것이며, 비목 정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25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비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5에 나타내듯이, 비용 정보의 구성은, 도 23의 필요 자원량 정보의 구성과 동일하다. 단, 도 23의 필요 자원량 정보에서는, 생산 공정마다 및 자원의 종류마다, 필요 자원량이 기재되어 있지만, 도 25의 비용 정보에서는, 생산 공정마다 및 자원의 종류마다, 비용이 기재되어 있다.
재고 관리 자원 이외의 자원에 대해서는, 비용 계산부(415)는, 도 23의 필요 자원량 정보에 기재된 필요 자원량에 도 24의 비목 정보에 기재된 비용의 값을 곱셈하여, 각 자원의 비용을 산출한다.
재고 관리 자원에 대해서는, 비용 계산부(415)는, 이하의 식 1에 따라 비용을 산출한다.
재고 관리비=Σ[(재고수량)×(재료비)×(재고 금리)/100+(재고수량)×(체류 시간)×(재고 관리비)×(보관 관리 리소스)]  식 1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비용 계산부(415)로부터 비용 정보(도 25)를 취득하고, 취득한 비용 정보에 근거하여, 생산 계획의 최적화의 지표로 되는 생산 지표를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생산 공정마다, 자원의 용도에 따라, 각 자원을, 어느 하나의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한다. 그리고,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생산 공정 및 용도 카테고리마다, 자원의 비용을 집계한다. 또,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복수의 생산 공정의 복수의 용도 카테고리의 비용의 집계 결과를 지표화한다.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에 의해 지표화된 비용의 집계 결과를 생산 평가 지표라고 한다.
도 26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생산 평가 지표 정보는,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에 의해 산출된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생산 평가 지표를 생산 공정마다 가리킨다.
도 26의 예에서는, 용도 카테고리로서, 자재 카테고리, 에너지 카테고리, 환경 부하 카테고리 및 재고 관리 카테고리가 있다.
자재 카테고리의 생산 평가 지표는, 재료비와 노무비에 부하 시간을 곱하고, 곱셈값을 생산 수량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의 총합이다(식 2). 재료비는, 도 25의 예에서는, 나사 및 도료의 값이다. 노무비는, 도 25의 예에서는 작업원의 값이다. 여기서, 부하 시간은, 식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의 생산 계획에 근거하는 조업 시간으로부터 계획 휴지 시간을 감산한 시간이다.
에너지 카테고리의 생산 평가 지표는, 에너지비에 부하 시간을 곱하고, 곱셈값을 생산 수량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의 총합이다(식 3). 에너지비는, 도 25의 예에서는, 공기 및 전기의 값이다.
환경 부하 카테고리의 생산 평가 지표는, 환경 부하 저감비에 부하 시간을 곱하고, 곱셈값을 생산 수량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의 총합이다(식 4). 환경 부하 저감비는, 도 25의 예에서는, VOC(전기)의 값이다.
재고 관리 카테고리의 생산 평가 지표는, 재고 관리비에 부하 시간을 곱하고, 곱셈값을 생산 수량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의 총합이다(식 5). 재고 관리비는, 도 25의 예에서는, 보관 관리 리소스의 값이다.
  (자재)=Σ{(재료비)+(노무비)}×(부하 시간)/(생산 수량) 식 2
  (에너지)=Σ(에너지비)×(부하 시간)/(생산 수량) 식 3
  (환경 부하)=Σ(환경 부하비)×(부하 시간)/(생산 수량) 식 4
  (재고 관리)=Σ(재고 관리비)×(부하 시간)/(생산 수량) 식 5
  (부하 시간)=(조업 시간)-(계획 휴지 시간) 식 6
이상과 같이 하여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생산 평가 지표를 구하면,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생산 평가 지표와,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생산 계획의 평가값을 계산한다. 당해 평가값은,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생산 평가 지표를 통일한 지표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식 7에 따라, 생산 계획의 평가값을 산출한다.
또, 적정한 생산 계획일수록, 식 7로 얻어지는 평가값은 작아진다.
(평가값)=w1×(자재)+w2×(에너지)+w3×(환경 부하 저감)
+w4×(재고 관리) 식 7
  w1, w2, w3, w4:가중 계수(사용자 설정)
가중 계수인 w1, w2, w3 및 w4는, 생산 현장의 환경, 평가의 우선 순위, 각 항의 자리수 맞춤 등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적당히 설정 가능하다.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생성한 평가값을 표시 장치(5)에 출력한다. 이 결과, 표시 장치(5)에 의해 평가값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평가값에 부가하여, 도 26에 나타내는 생산 평가 지표 정보를 표시 장치(5)에 출력해도 좋다. 이 경우도, 표시 장치(5)에 의해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생산 평가 지표가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또,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생산 평가 지표 정보만을 표시 장치(5)에 출력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평가값 및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생산 평가 지표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생산성, 에너지 효율, 환경 부하 저감 및 재고 관리를 비용면에서 고려하여 적절한 생산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의 설명***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생산 계획 생성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7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생산 계획 생성 처리의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가, 사용자로부터의 생산 계획 생성 처리의 요구를 수신하고, 생산 계획 생성 처리를 개시한다.
또,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자율적으로 생산 계획 생성 처리를 개시해도 좋다.
사용자가 생산 계획 생성 처리의 개시를 요구하는 방법으로서는, 표시 장치(5)에 생산 계획 생성 처리의 개시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당해 개시 버튼을 누르는 것이 생각된다. 사용자는, 다른 방법에 따라, 생산 계획 생성 처리의 개시를 요구해도 좋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가 자율적으로 생산 계획 생성 처리를 개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생산 계획 정보가 스토리지(42)에 기억된 것을 계기로 생산 계획 생성 처리를 개시하는 것이 생각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다른 방법에 따라, 자율적으로 생산 계획 생성 처리를 개시해도 좋다.
스텝 S101에서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가, 생산 설비 정보에 근거하여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19)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를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에 저장한다.
여기서, 생산 설비 정보는, 메모리(43)의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에 기억된 정보이다. 생산 설비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 정보(도 5), 생산성 정보(도 6), 공정 동작 정보(도 7), 설비 동작 정보(도 8), 생산 계획 정보(도 9), 계산 시간 정보(도 10), 계산 단위 시간 정보(도 11), 생산 자원 정보(도 12~도 14), 환경 부하 정보(도 15~도 17) 및 재고 관리 정보(도 18)로 구성된다.
다음에, 스텝 S102에서는, 통신 제어부(412)가, 스텝 S101에서 생성된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공급 설비(3)에 대한 지시를 생성하고, 지시를 공급 설비(3)에 출력한다.
여기서, 통신 제어부(412)가 생성하는 지시는, 공급 설비(3)에, 공급 설비 정보를 출력하도록 요구하는 지시이다.
다음에, 스텝 S103에서는, 통신 제어부(412)가, 통신부(44)를 거쳐 공급 설비(3)로부터 공급 설비 정보를 취득하고, 공급 설비 정보를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에 저장한다.
공급 설비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 설비 동작 계획 정보(도 20) 및 공급 자원 정보(도 21)로 구성된다.
다음에, 스텝 S104에서는,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가, 공급 설비 정보에 근거하여 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22)를 생성하고, 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를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432)에 저장한다.
다음에, 스텝 S105에서는, 자원 소비 계산부(414)가, 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19)와 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22)에 근거하여, 필요 자원량 정보(도 23)를 생성한다.
다음에, 스텝 S106에서는, 비용 계산부(415)가, 필요 자원량 정보(도 23)와 비목 정보(도 24)에 근거하여, 비용 정보(도 25)를 생성한다.
여기서, 비목 정보는 메모리(43)의 비목 데이터베이스(433)에 기억된 정보이다.
다음에, 스텝 S107에서는,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가, 비용 정보(도 25)에 근거하여, 생산 계획의 최적화의 지표로 되는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를 생성한다.
또,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산 평가 지표 정보로부터 평가값을 계산해도 좋다.
또한,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평가값 및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 장치(5)에 출력해도 좋다.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제조 원가 비용에 직결하는 생산성, 에너지 효율, 환경 부하, 재고 관리를 비용으로 환산하는 것에 의해, 생산성, 에너지 효율, 환경 부하, 재고 관리를 동시에 고려한 생산 평가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에 물류 용도의 용도 카테고리로서 물류 카테고리를 마련하고, 물류에 필요한 비용에 대한 생산 평가 지표를 생성하도록 해도 좋다.
상류 공정의 생산 설비(1)에서의 생산물(반완성품)을 거리적으로 떨어진 하류 공정의 생산 설비(1)에 수송하고, 하류 공정의 생산 설비(1)에서 제품을 완성시키는 것 같은 경우는, 물류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물류에 이용되는 자원을 물류 자원으로서 추출한다. 물류 자원에는, 예를 들면, 수송 수단(차량, 선박, 항공기 등), 포장 물자, 포장 및 수송에 종사하는 작업자(노동)가 포함된다. 또, 물류 자원의 비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송 수단의 준비 비용, 포장 물자의 비용, 작업자의 노무비가 발생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물류 자원의 필요 자원량을 산출하고, 필요 자원량 정보(도 23)에 물류 자원의 필요 자원량을 추가한다. 또한,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가,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에서 물류 카테고리를 마련하고, 물류 자원의 필요 자원량에 근거하여, 물류 비용에 대한 생산 평가 지표를 생성한다.
또,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는, 물류 비용 이외의 비용에 대해서도, 생산 평가 지표를 생성해도 좋다.
또,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상기의 식 2~식 5에 대신하여, 이하의 식 2a~식 5a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식 2a~식 5a에서는, (생산 수량) 대신에 (생산 수량)의 제곱값이 포함된다. 즉,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용도 카테고리마다, 비용과 부하 시간의 곱셈값을 생산 수량의 값의 제곱값으로 나누어, 각 용도 카테고리의 생산 평가 지표를 얻는다.
  (자재)=Σ{(재료비)+(노무비)}×(부하 시간)/(생산 수량)2 식 2a
  (에너지)=Σ(에너지비)×(부하 시간)/(생산 수량)2 식 3a
  (환경 부하)=Σ(환경 부하비)×(부하 시간)/(생산 수량)2 식 4a
  (재고 관리)=Σ(재고 관리비)×(부하 시간)/(생산 수량)2 식 5a
생산은, 비용의 저렴함 뿐만이 아니고, 생산의 속도도 요구되는 일이 있다. 식 2~식 5에 있어서는, 생산의 저렴함을 중시하고 있어, 이하의 사례 연구에 나타나듯이 [만드는 방법 1]이[만드는 방법 2]보다 우위인 것이 나타나는 계산 결과가 얻어진다. 한편, 식 2a~식 5a에 있어서는, 식 2~식 5에 비해 생산의 속도를 보다 중시하고 있다. 저렴함의 인자:Σ(각종 비용)/(생산 수량), 속도의 인자:(부하 시간)/(생산 수량)를 고려하여,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만드는 방법 2]가 우위가 되는 계산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상기의 식 2a~식 5a를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는, [만드는 방법 2]가 [만드는 방법 1]보다 우위인 것이 나타나는 계산 결과가 되고, 식 2a~식 5a를 이용하는 것으로, 생산의 저렴함과 속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할 수 있다.
[만드는 방법 1](간이적인 예를 위해 (자재)의 비용만 산출)
·(재료비+노무비)=200엔
·부하 시간=20시간
·생산 수량=11개
[만드는 방법 2](간이적인 예를 위해 (자재)의 비용만 산출)
·(재료비+노무비)=400엔
·부하 시간=30시간
·생산 수량=20개
식 2를 이용하는 경우(소수 첫째자리를 반올림)
[만드는 방법 1] (자재)=200*20/11=363
[만드는 방법 2] (자재)=400*30/20=600
식 2a를 이용하는 경우
[만드는 방법 1] (자재)=200*20/102=33
[만드는 방법 2] (자재)=400*30/202=30
도 41은, 상기의 식 2a~식 5a에서 정의한 평가 지표 계산식을 이용하여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가 산출한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이다. 생산 평가 지표 정보에서는, 생산 공정마다 및 용도 카테고리마다, 지표화된 비용의 집계 결과인 지표값이 나타난다. 또, 생산 계획은 도 9(초기)를 사용하고 있다.
또, 식 2~식 6에서 정의한 평가 지표 계산식을 이용하여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가 산출한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가 도 26이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생산 계획을 변경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주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는 사항은,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구성의 설명***
도 28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3과 비교하여, 도 28에서는, 판정부(417), 생산 계획 변경부(418), 생산 지표 목표 데이터베이스(435) 및 생산 계획 변경 데이터베이스(436)가 추가되어 있다.
판정부(417), 생산 계획 변경부(418) 및 생산 지표 목표 데이터베이스(435) 이외의 요소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판정부(417) 및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등과 마찬가지로,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에 포함된다.
판정부(417)는,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로부터 생산 계획의 평가값 또는/및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를, 생산 지표 데이터베이스(434)로부터 취득한다. 생산 계획의 평가값은 상술한 식 7에 의해 산출된 값이다.
또, 판정부(417)는, 생산 지표 목표 데이터베이스(435)로부터,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를 취득한다.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에는, 평가값의 목표값 또는/및 생산 평가 지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생산 평가 지표의 목표값이 기술되어 있다. 목표값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값이다. 예를 들면,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에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용도 카테고리의 생산 평가 지표가 사용자의 요구값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정되는 평가값이 목표값으로서 나타난다. 또,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에, 사용자가 지정하는 용도 카테고리의 생산 평가 지표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값이 목표값으로서 나타나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판정부(417)는, 취득한 평가값 또는/및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와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에 근거하여,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판정부(417)는, 평가값 또는/및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가 목표값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한다. 한편, 평가값 또는/및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가 목표값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판정부(417)에 의해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는, 통신 제어부(412)를 거쳐, 생산 계획 정보를 생산 제어 장치(2) 및 표시 장치(5)에 출력한다.
한편,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판정부(417)에 의해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생산 계획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의 평가값이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의 목표값을 만족시키도록, 생산 계획 정보를 변경한다.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변경한 생산 계획 정보를 메모리(43)의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에 저장한다.
변경 후의 생산 계획의 평가값이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의 목표값을 만족시키고, 판정부(417)에 의해 한층 더 생산 계획의 변경은 필요없다고 판정된 경우는,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통신 제어부(412)를 거쳐, 변경 후의 생산 계획이 나타나는 생산 계획 정보를 생산 제어 장치(2) 및 표시 장치(5)에 출력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통신 제어부(412),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 자원 소비 계산부(414), 비용 계산부(415) 및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생산 계획 변경부(418)에 의해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가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에 저장된 경우에,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에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즉,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에 근거하여, 변경 후의 생산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생산 설비(1)에서 필요하게 되는 자원을 특정한다(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19)를 생성한다).
또,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에 근거하여, 변경 후의 생산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공급 설비(3)에서 필요하게 되는 자원을 특정한다(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22)를 생성한다).
또한,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의 실현에 필요한 각 자원의 양을 필요 자원량으로서 계산한다(필요 자원량 정보(도 23)를 생성한다).
또, 비용 계산부(415)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계산된 필요 자원량을 얻기 위한 비용을 계산한다(비용 정보(도 25)를 생성한다).
또,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계산된 비용을 이용하여,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를 생성한다.
도 29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는 생산 지표 목표 데이터베이스(435)에서 기억되고 있다.
도 29에 나타내듯이,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는, 비교 대상과 목표값으로 구성된다.
비교 대상의 란에는, 목표값과 비교되는 값이 나타난다.
목표값은, 비교 대상의 란에 나타난 값의 목표값을 나타낸다.
도 29의 예에서는 평가값의 목표값이 나타나고 있지만,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에,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의 어느 하나의 생산 평가 지표의 목표값이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에, 평가값의 목표값과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의 어느 하나의 생산 평가 지표의 목표값의 양쪽 모두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에,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의 복수의 생산 평가 지표의 목표값이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에, 평가값의 목표값과, 복수의 생산 평가 지표의 목표값이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목표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에 복수의 목표값간의 우선 순위도 설정된다.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우선 순위에 따라, 생산 계획 변경 처리를 실시하고, 변경한 생산 계획을 나타내는 생산 계획 정보를 메모리(43)의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에 저장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식 7에 나타내는 가중 계수 w1, w2, w3, w4를 모두 1로 가정한다(w1=w2=w3=w4=1).
이 경우는, 도 26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생산 계획의 평가값은, 합계치인 「7978」이 된다.
판정부(417)는, 평가값 「7978」과 도 29의 목표값 「5000」을 비교한다. 이 경우는, 평가값 「7978」이 목표값 「5000」을 상회하므로, 판정부(417)는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한다.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의 기초가 된 도 9의 생산 계획 정보를, 예를 들면, 도 30의 생산 계획 정보 또는 도 31의 생산 계획 정보로 변경한다.
도 9의 생산 계획 정보에서는, No.1 라인 및 No.2 라인의 각각에서 60개의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 계획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도 30의 생산 계획 정보에서는, No.2 라인에서만 120개의 제품이 생산되는 생산 계획이 나타난다. 또, 도 31의 생산 계획 정보에서는, No.1 라인에서만 120개의 제품이 생산되는 생산 계획이 나타난다.
도 32는, 도 30에 나타내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에 근거하여 얻어진 생산 평가 지표 정보를 나타낸다. 도 32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는, 도 26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와 구성은 동일하지만, 생산 평가 지표에 차이가 있다.
판정부(417)는, 도 32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로부터 평가값 「6878」을 얻는다. 평가값 「6878」은 목표값 「5000」을 상회하므로, 판정부(417)는 재차,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한다.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판정부(417)에 의해 생산 계획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될 때까지 생산 계획을 변경한다.
도 33은, 도 31에 나타내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에 근거하여 얻어진 생산 평가 지표 정보를 나타낸다. 도 33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는, 도 26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와 구성은 동일하지만, 생산 평가 지표에 차이가 있다.
판정부(417)는, 도 33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로부터 평가값 「4459」를 얻는다. 평가값 「4459」는 목표값 「5000」을 하회하므로, 판정부(417)는 생산 계획의 변경은 불필요한 것으로 판정한다.
***동작의 설명***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생산 계획 생성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4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생산 계획 생성 처리의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101~S107은, 도 27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108에서는, 판정부(417)가,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NO)는, 처리가 스텝 S110로 이행한다. 한편,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YES)는, 처리가 스텝 S109로 이행한다.
스텝 S109에서는, 생산 계획 변경부(418)가 생산 계획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를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431)에 저장한다. 그 후는, 스텝 S101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108에서 판정부(417)가 생산 계획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할 때까지,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브루트포스(brute force) 방식으로 생산 계획 정보의 변경을 행한다.
스텝 S110에서는, 통신 제어부(412)가, 판정부(417)가 변경의 필요가 없다고 판정한 생산 계획 정보를 생산 제어 장치(2) 및 표시 장치(5)에 출력한다.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생산 계획의 변경 여부를 판정하고,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생산 계획이 변경되기 때문에, 최적의 생산 계획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42는,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낸 식 2a~식 5a에서 정의한 평가 지표 계산식을 이용한 경우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는 생산 지표 목표 데이터베이스(435)에서 기억되어 있다. 도 42에 나타내듯이,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는, 비교 대상과 목표값으로 구성된다. 비교 대상의 란에는, 목표값과 비교되는 값이 나타난다. 목표값은, 비교 대상의 란에 나타난 값의 목표값을 나타낸다.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낸 식 2~식 6에서 정의한 평가 지표 계산식을 이용한 경우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의 예가 도 29이다.
도 43은, 도 30에 나타내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에 근거하여 얻어진 생산 평가 지표 정보를 나타낸다. 도 43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는, 도 41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와 구성은 동일하지만, 생산 평가 지표에 차이가 있다.
판정부(417)는, 도 43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로부터 평가값 「64」를 얻는다. 평가값 「64」는 목표값 「50」을 상회하므로, 판정부(417)는 재차,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낸 식 2~식 6에서 정의한 평가 지표 계산식을 이용한 경우의 도 30에 나타내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에 근거하여 얻어진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가 도 32이다.
도 44는, 도 31에 나타내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에 근거하여 얻어진 생산 평가 지표 정보를 나타낸다. 도 44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는, 도 41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와 구성은 동일하지만, 생산 평가 지표에 차이가 있다.
판정부(417)는, 도 44의 생산 평가 지표 정보로부터 평가값 「40」을 얻는다. 평가값 「40」은 목표값 「50」을 하회하므로, 판정부(417)는 생산 계획의 변경은 불필요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낸 식 2~식 6에서 정의한 평가 지표 계산식을 이용한 경우의 도 31에 나타내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에 근거하여 얻어진 생산 평가 지표 정보의 예가 도 33이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2에서는, 판정부(417)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생산 계획 변경부(418)가 브루트포스 방식으로 생산 계획 정보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생산 계획 변경부(418)에 의해 변경된 생산 계획과 판정부(417)에 의한 판정 결과의 관계를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생산 계획의 변경의 지침이 되는 생산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주로 실시의 형태 2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는 사항은,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이다.
도 35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28과 비교하여, 도 35에서는, 생산 계획 변경 모델 생성부(420), 생산 계획 변경 데이터베이스(436) 및 생산 계획 변경 모델 데이터베이스(437)가 추가되어 있다.
생산 계획 변경 모델 생성부(420), 생산 계획 변경 데이터베이스(436) 및 생산 계획 변경 모델 데이터베이스(437) 이외의 요소는 도 28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생산 계획 변경 모델 생성부(420)는,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등과 마찬가지로,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에 포함된다.
생산 계획 변경 데이터베이스(436)는, 생산 계획 변경부(418)에 의해 변경된 생산 계획 정보와, 당해 생산 계획 정보에 대응하는 판정부(417)의 판정 결과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이하에서는, 관련된 생산 계획 정보와 판정 결과를 아울러 생산 계획 변경 로그 정보라고 한다.
생산 계획 변경 모델 생성부(420)는, 생산 계획 변경 데이터베이스(436)로부터 생산 계획 변경 로그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생산 계획 변경 모델 생성부(420)는, 취득한 생산 계획 변경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강화 학습 등의 기계 학습을 행하여, 생산 계획 변경 모델을 생성한다. 생산 계획 변경 모델은, 생산 계획 변경부(418)에 의한 생산 계획의 변경의 지침이 되는 모델이다. 생산 계획 변경 모델 생성부(420)는, 생성한 생산 계획 변경 모델을 메모리(43)의 생산 계획 변경 모델 데이터베이스(437)에 저장한다.
또, 생산 계획 변경 모델 생성부(420)는, 생산 계획 변경 모델을 정기적으로 갱신해도 좋다. 또, 생산 계획 변경 모델 데이터베이스(437)는, 정기적으로 스토리지(42)에 복사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생산 계획 변경 모델 생성부(420)에 의해 생산 계획 변경 모델이 생성되기 전에는,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로 브루트포스 방식에 의해 생산 계획 정보를 변경한다. 판정부(417)에 의해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에 대한 판정이 행해지면,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와 판정부(417)의 판정 결과를 관련지어 생산 계획 변경 데이터베이스(436)에 저장한다.
또,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생산 계획 변경 모델 생성부(420)에 의해 생산 계획 변경 모델이 생성된 후는, 생산 계획 변경 모델을 이용하여 생산 계획 정보를 변경한다. 판정부(417)에 의해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에 대한 판정이 행해지면,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 정보와 판정부(417)의 판정 결과를 관련지어 생산 계획 변경 데이터베이스(436)에 저장한다.
또, 이상에서는, 생산 계획 변경 모델이 생성되기 전에는,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브루트포스 방식에 의해 생산 계획 정보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했다. 이것을 대신하여, 생산 계획 변경부(418)가, 유전적 알고리즘이나 라그랑쥬 완화법에 의한 모든 해 탐색 수법을 이용하여, 생산 계획 정보를 변경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유한 시간에 생산 평가 지표가 최소가 되는 생산 계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계 학습에 의해 얻어진 생산 계획 변경 모델을 이용하여 생산 계획 정보를 변경하기 때문에, 적은 시간 및 처리량에 의해 적절한 생산 계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가 생성되기 전에, 판정부(417)가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주로 실시의 형태 2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는 사항은,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이다.
***구성의 설명***
도 36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28과 비교하여, 도 36에서는, 규제값 데이터베이스(438)가 추가되어 있다.
규제값 데이터베이스(438) 이외의 요소는 도 28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규제값 데이터베이스(438)는, 규제값 정보를 기억한다. 규제값 정보에는,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자원의 규제값과, 생산 계획에 따른 생산에 의해 생기는 환경 부하 물질의 규제값이 나타난다.
도 37은, 규제값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37에 나타내듯이, 규제값 정보는, 규제 항목, 규제 상한치, 규제 하한치, 단위, 규제 시간, 개시일 및 종료일로 구성된다.
규제 항목의 란에는, 규제값 정보를 이용한 규제의 대상이 되는 자원 또는 환경 부하 물질이 나타난다. 도 37의 예에서는, 규제의 대상이 되는 환경 자원 물질로서 「CO2」가 기술되어 있다. 또, 규제의 대상이 되는 자원으로서 「전기」가 기술되어 있다.
규제 상한치 및 규제 하한치의 란에는, 규제 항목의 란에 나타나는 자원 또는 환경 부하 물질의 규제값이 나타난다.
단위의 란에는, 규제값의 단위가 나타난다.
규제 시간의 란에는, 규제값 정보를 이용한 규제의 대상이 되는 시간대가 나타난다. 즉, 규제 시간의 란에 나타나는 시간대에 실시되는 생산 공정에 있어서의 자원 또는 환경 부하 물질이 규제의 대상이 된다.
개시일의 란에는, 규제값 정보를 이용한 규제가 개시되는 날이 나타난다.
종료일의 란에는, 규제값 정보를 이용한 규제가 종료하는 날이 나타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필요 자원량 정보(도 23)를 생성하면, 생성한 필요 자원량 정보를 판정부(417)에 출력한다.
판정부(417)는, 필요 자원량 정보와 규제값 정보(도 37)를 비교한다.
즉, 판정부(417)는, 필요 자원량 정보에 나타나는 규제 대상의 자원의 필요 자원량 또는 규제 대상의 환경 부하 물질의 값과 규제값을 비교한다.
규제 대상의 자원의 필요 자원량 또는 규제 대상의 환경 부하 물질의 값이 규제값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판정부(417)는,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정한다.
판정부(417)는,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정한 경우는, 생산 계획 변경부(418)에 생산 계획의 변경을 지시한다.
한편, 규제 대상의 자원의 필요 자원량 및 규제 대상의 환경 부하 물질의 값이 규제값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판정부(417)는, 생산 계획의 변경이 불필요하다고 판정한다.
판정부(417)는, 생산 계획의 변경이 불필요하다고 판정한 경우는, 필요 자원량 정보(도 23)를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에 출력한다.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 이후의 처리는,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예를 들면, 판정부(417)가, 도 23의 필요 자원량 정보와 도 37의 규제값 정보를 비교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23의 필요 자원량 정보는, 도 9의 생산 계획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어 있다.
규제값 정보의 개시일 및 종료일로부터, 규제값 정보를 이용한 규제가 행해지는 기간은 「2019/4/1~2019/9/30」이다. 도 9의 생산 계획 정보는 「2019/9/1」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판정부(417)는 규제값 정보를 이용하여 생산 계획의 변경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CO2」에 대한 규제 시간은 「00:00-24:00」이다. 또, 「전기」에 대한 규제 시간은 「13:00-16:00」이다. 도 9의 생산 계획 정보에서 「00:00-24:00」에 실시되는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CO2」의 값과 「13:00-16:00」에 실시되는 생산 공정에서 필요한 「전기」의 값은,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도 38에 나타내듯이, 도 9의 생산 계획 정보에서는, 「전기」에서는 규제 상한치를 하회하고 있지만, 「CO2」에서 규제 상한치를 상회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판정부(417)는, 도 9의 생산 계획 정보에 대해서는,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정한다.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판정부(417)에 의해 생산 계획의 변경이 지시되면,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생산 계획을 변경한다. 생산 계획 변경부(418)는, 판정부(417)에 의해 생산 계획의 변경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정될 때까지, 생산 계획을 변경한다.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생산 계획 변경부(418)에 의해 생산 계획이 변경될 때에,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즉,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변경 후의 생산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생산 설비(1)에서 필요하게 되는 자원을 특정한다(생산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19)를 생성한다).
또,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변경 후의 생산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공급 설비(3)에서 필요하게 되는 자원을 특정한다(공급 설비 운전 상태 정보(도 22)를 생성한다).
또한, 자원 소비 계산부(414)는, 변경 후의 생산 계획의 실현에 필요한 각 자원의 양을 필요 자원량으로서 계산한다(필요 자원량 정보(도 23)를 생성한다).
***동작의 설명***
도 39는,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생산 계획 생성 처리의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101~S105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필요 자원량 정보(도 23)가 생성되면, 스텝 S111에 있어서, 판정부(417)가, 필요 자원량 정보와 규제값 정보를 비교하여,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NO)는, 처리가 스텝 S106로 이행한다. 한편, 생산 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YES)는, 처리가 스텝 S109로 이행한다.
스텝 S106 및 S107은, 도 27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스텝 S109는, 도 34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40에 나타내듯이, 판정부(417)는, 스텝 S111의 후에,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생산 평가 지표 정보(도 26)와 생산 평가 지표 목표 정보(도 29)를 비교하여,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스텝 S108).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자원 또는 환경 부하 물질의 값이 규제값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생산 계획이 변경되기 때문에, 최적의 생산 계획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러한 실시의 형태 중,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실시해도 상관없다.
또는, 이러한 실시의 형태 중, 1개를 부분적으로 실시해도 상관없다.
또는, 이러한 실시의 형태 중, 2개 이상을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실시해도 상관없다.
또,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보충 설명***
마지막으로,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4)의 구성에 대한 보충 설명을 행한다.
제어부(41)가 프로세서인 경우에는, 스토리지(42)에는, OS(Operating System)도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OS의 적어도 일부가 프로세서인 제어부(41)에 의해 실행된다.
제어부(41)는 OS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하면서,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을 실행한다.
제어부(41)가 OS를 실행하는 것으로, 태스크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관리, 통신 제어 등이 행해진다.
또,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은,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블루레이(등록상표) 디스크, DVD 등의 운반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421)이 저장된 운반 가능 기록 매체를 유통시켜도 좋다.
또, 필요 자원량 계산부(410),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1), 통신 제어부(412),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413), 자원 소비 계산부(414), 비용 계산부(415),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416), 판정부(417) 및 생산 계획 변경부(418)의 「부」를, 「회로」 또는 「공정」 또는 「순서」 또는 「처리」로 바꿔읽어도 좋다.
1 : 생산 설비 2 : 생산 제어 장치
3 : 공급 설비 4 : 생산 계획 최적화 장치
5 : 표시 장치 6 : 네트워크
41 : 제어부 42 : 스토리지
43 : 메모리 44 : 통신부
45 : 입력부 100 : 생산 계획 최적화 시스템
410 : 필요 자원량 계산부 411 : 생산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
412 : 통신 제어부 413 : 공급 설비 운전 상태 계산부
414 : 자원 소비 계산부 415 : 비용 계산부
416 : 생산 평가 지표 계산부 417 : 판정부
418 : 생산 계획 변경부 420 : 생산 계획 변경 모델 생성부
421 : 생산 계획 생성 프로그램 431 : 생산 계산 데이터베이스
432 : 공급 계산 데이터베이스 433 : 비목 데이터베이스
434 : 생산 지표 데이터베이스 435 : 생산 지표 목표 데이터베이스
436 : 생산 계획 변경 데이터베이스
437 : 생산 계획 변경 모델 데이터베이스
438 : 규제값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복수의 자원을 특정하고,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필요한 각 자원의 양을 필요 자원량으로서 계산하는 필요 자원량 계산부와,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에 의해 특정된 자원마다, 상기 필요 자원량을 얻기 위한 비용을 계산하는 비용 계산부와,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에 의해 특정된 각 자원의 용도에 따라, 각 자원을, 각각이 용도의 카테고리인 복수의 용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하여, 용도 카테고리마다, 각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된 자원의 비용을 집계하는 카테고리 집계부를 갖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계획은, 복수의 생산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는,
    생산 공정마다, 각 생산 공정의 실현에 필요한 자원을 특정하고, 특정한 자원의 상기 필요 자원량을 계산하고,
    상기 비용 계산부는,
    생산 공정마다,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에 의해 특정된 자원에 대해 상기 필요 자원량을 얻기 위한 비용을 계산하고,
    상기 카테고리 집계부는,
    생산 공정마다,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에 의해 특정된 자원을 어느 하나의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하여, 생산 공정 및 용도 카테고리마다, 자원의 비용을 집계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집계부는,
    상기 복수의 용도 카테고리의 비용의 집계 결과를 지표화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집계부는,
    상기 복수의 생산 공정의 상기 복수의 용도 카테고리의 비용의 집계 결과를 지표화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집계부는,
    지표화에 의해 얻어진,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비용의 집계 결과의 지표값과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생산 계획의 평가값을 계산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생산 계획을 변경하는 생산 계획 변경부를 더 갖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는,
    상기 생산 계획 변경부에 의한 변경 후의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 후의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복수의 자원을 특정하고, 상기 변경 후의 생산 계획의 실현에 필요한 각 자원의 양을 필요 자원량으로서 계산하고,
    상기 비용 계산부는,
    상기 변경 후의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에 의해 특정된 자원마다, 상기 필요 자원량을 얻기 위한 비용을 계산하고,
    상기 카테고리 집계부는,
    상기 변경 후의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에 의해 특정된 각 자원의 용도에 따라, 각 자원을, 어느 하나의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하여, 용도 카테고리마다, 각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된 자원의 비용을 집계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집계부는,
    지표화에 의해 얻어진,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비용의 집계 결과의 지표값과 용도 카테고리마다의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생산 계획의 평가값을 계산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평가값과 상기 평가값의 목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복수의 자원 중 어느 하나의 자원의 필요 자원량과, 당해 자원의 규제값을 비교하여, 상기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생산 계획에 따른 생산에 의해 생기는 환경 부하의 값과, 당해 환경 부하의 규제값을 비교하여, 상기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생산 계획의 변경의 지침이 되는 생산 계획 변경 모델을 생성하는 생산 계획 변경 모델 생성부를 더 갖고,
    상기 생산 계획 변경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생산 계획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생산 계획 변경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생산 계획을 변경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는,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복수의 자원으로서, 생산에서 소비되는 자원인 소비 자원과, 생산에 의해 생기는 환경 부하를 저감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자원인 환경 부하 저감 자원과, 재고 관리에 이용되는 자원인 재고 관리 자원을 특정하고,
    상기 소비 자원의 상기 필요 자원량과, 상기 환경 부하 저감 자원의 상기 필요 자원량과, 상기 재고 관리 자원의 상기 필요 자원량을 계산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부는,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복수의 자원 중 하나로서, 상기 소비 자원을 공급하는 공급 설비에서 상기 소비 자원의 공급을 위해 소비되는 자원인 공급 설비 자원을 특정하고,
    상기 공급 설비 자원의 상기 필요 자원량을 계산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컴퓨터가,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복수의 자원을 특정하고,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필요한 각 자원의 양을 필요 자원량으로서 계산하고,
    상기 컴퓨터가, 특정된 자원마다, 상기 필요 자원량을 얻기 위한 비용을 계산하고,
    상기 컴퓨터가, 특정된 각 자원의 용도에 따라, 각 자원을, 각각이 용도의 카테고리인 복수의 용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하여, 용도 카테고리마다, 각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된 자원의 비용을 집계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생산 계획에 근거하여,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이용되는 복수의 자원을 특정하고, 상기 생산 계획의 실현에 필요한 각 자원의 양을 필요 자원량으로서 계산하는 필요 자원량 계산 처리와,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 처리에 의해 특정된 자원마다, 상기 필요 자원량을 얻기 위한 비용을 계산하는 비용 계산 처리와,
    상기 필요 자원량 계산 처리에 의해 특정된 각 자원의 용도에 따라, 각 자원을, 각각이 용도의 카테고리인 복수의 용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하여, 용도 카테고리마다, 각 용도 카테고리에 할당된 자원의 비용을 집계하는 카테고리 집계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집계부는,
    용도 카테고리마다, 비용과 부하 시간의 곱셈값의 생산 수량의 값에 의한 나눗셈 및 비용과 부하 시간의 곱셈값의 생산 수량의 값의 제곱값에 의한 나눗셈 중 어느 하나를 행하여, 상기 복수의 용도 카테고리의 비용의 집계 결과를 지표화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227018830A 2019-12-18 2020-07-3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2200807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9/049593 2019-12-18
PCT/JP2019/049593 WO2021124478A1 (ja) 2019-12-18 2019-12-18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CT/JP2020/029273 WO2021124608A1 (ja) 2019-12-18 2020-07-30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739A true KR20220080739A (ko) 2022-06-14

Family

ID=7647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830A KR20220080739A (ko) 2019-12-18 2020-07-3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45735A1 (ko)
JP (1) JP7026867B2 (ko)
KR (1) KR20220080739A (ko)
CN (1) CN114830154A (ko)
DE (1) DE112020005307T5 (ko)
TW (1) TWI813923B (ko)
WO (2) WO202112447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1573A (ja) 2005-02-14 2006-08-24 Hideo Fujimoto 環境効率算出システム及び環境効率算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2076A (ja) * 1999-03-24 2001-02-23 Seizo Kato 環境負荷評価方法、その装置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157746A (ja) * 2002-11-06 2004-06-03 Fuji Xerox Co Ltd 過去または将来の、複数の対象物総量の、環境効率または環境負荷の、評価・予測・計画・管理システム、評価・予測・計画・管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084884A (ja) * 2003-09-08 2005-03-31 Fujitsu Ltd 環境負荷評価プログラム
JP4110080B2 (ja) * 2003-11-28 2008-07-02 株式会社東芝 評価装置及び評価方法
JP4374386B2 (ja) * 2007-07-30 2009-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環境負荷改善意思決定支援装置
JP5309882B2 (ja) * 2008-10-17 2013-10-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ル作成システム、スケジュール作成方法およびスケジュール作成プログラム
JP6096648B2 (ja) * 2013-12-06 2017-03-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生産計画作成方法及び生産計画作成プログラム、並びに生産計画作成装置
JP6983106B2 (ja) * 2018-05-08 2021-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製品設計パラメータ決定支援装置、及び決定支援方法
TWI668643B (zh) * 2018-05-31 2019-08-11 國立政治大學 Job value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1573A (ja) 2005-02-14 2006-08-24 Hideo Fujimoto 環境効率算出システム及び環境効率算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30154A (zh) 2022-07-29
WO2021124478A1 (ja) 2021-06-24
TWI813923B (zh) 2023-09-01
TW202147199A (zh) 2021-12-16
WO2021124608A1 (ja) 2021-06-24
US20220245735A1 (en) 2022-08-04
JP7026867B2 (ja) 2022-02-28
DE112020005307T5 (de) 2022-08-18
JPWO2021124608A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nod et al. Simulation modeling and analysis of due-date assignment methods and scheduling decision rules in a dynamic job shop production system
Shi et al. Optimal production planning for a multi-product closed loop system with uncertain demand and return
Calado et al. Integrating life cycle assessment (LCA) and life cycle costing (LCC) in the early phases of aircraft structural design: an elevator case study
Mateus et al. Capacitated lot sizing and sequence dependent setup scheduling: an iterative approach for integration
Abedini et al. A metric-based framework for sustainable production scheduling
CN104102212A (zh) 一种钢铁企业中煤气和蒸汽系统的调度方法、设备和系统
CN101099120A (zh) 定购和预测生产混合时的生产计划方法和生产计划系统
KR20090046738A (ko) 제조 예측 서버
Larreina et al. Smart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SMES): The possibilities of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a production process
Cao et al. A mixed integer programming model for a two line CONWIP-based production and assembly system
Amelian et al.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stochastic failure-prone manufacturing system with consideration of energy consumption and job sequences
Xu et al. Energy-efficient scheduling for flexible flow shops by using MIP
KR20220080739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JP6903239B2 (ja) 生産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および生産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Gurel et al. Scheduling parallel CNC machines with time/cost trade-off considerations
JP7063781B2 (ja) 並列分散処理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並列分散処理制御方法
Meidyani et al. Time and cost optimization using scheduling job shop and linear goal programming model
Shang et al. Integrated optimization model of prod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 for batch production
Temel et al. Digital transformation for improved energy and product efficiency in tire production: a case study
Lalmazloumian et al. A Simulation Model of Economic Production and Remanufacturing System Under Uncertainty
KR102011271B1 (ko)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irmansyah et al. Identifying and Formulating Information System of Ship Production Process for an Indonesian Small Shipyard
WO2023198269A1 (en) Method of producing a paper product and system for producing a paper product
Ebrahimi et al. Minimizing total tardiness and energy cost by considering layout and scheduling in a flexible job shop
Gan et al. Improving throughput and completion date estimation in high precision component manufacturer using simulation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