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271B1 -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271B1
KR102011271B1 KR1020170173394A KR20170173394A KR102011271B1 KR 102011271 B1 KR102011271 B1 KR 102011271B1 KR 1020170173394 A KR1020170173394 A KR 1020170173394A KR 20170173394 A KR20170173394 A KR 20170173394A KR 102011271 B1 KR102011271 B1 KR 102011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t
standard
time
rate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216A (ko
Inventor
황재승
Original Assignee
황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승 filed Critical 황재승
Priority to KR102017017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2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lgebra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a)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에 따라 구매 재료의 원가를 산출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원가를 재료비로 입력하고, 생산종합효율을 산출하여 상기 재료비와 생산종합효율을 고려하여 표준원가를 산출하는 단계와, c) 상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를 비교하여, 표준원가를 조정하거나 확정된 표준원가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Total cost management method using standard cost management system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otal cost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현장의 자원(Activity) 활용수준을 파악하여 표준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원가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회계 중심의 원가관리체계에서의 가장 큰 문제이자 고민은 간접비의 배부방식에 있었고, 현재는 현장의 자원(Activity, 작업자, 기계, 시간 등)에 의한 직접적인 원가계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자원에 의한 배부기준을 만들어 내어 적용하는 데에 이르고 있는 수준이다.
제품의 원가라는 것은 투입된 자원의 규모에 비례하여야 한다는 것은 기초적인 내용인데 배부기준의 적용 등의 오류 등에 의하여 제품의 원가 산출이 어려운 경우가 상당하다.
기업의 생산 제품의 원가 및 판매가격의 책정은 크게 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 등의 제조원가와 일반관리비, 운반비 등을 포함한 총원가, 그리고 총원가에 기업이윤을 포함한 판매가 등으로 구분하여 진행하게 된다.
일반적인 조립산업의 경우 전체 판매가의 70~80%가 재료비로 구성되어 있고, 기업은 적정 재료비의 산출과 공급사와의 합리적인 협상 진행 및 단가결정을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의 작성 및 활용이 합리적인 수준의 구매가를 결정하기 위한 중요 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매우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구매자의 경우는 공급받는 제품의 생산활동에서 공급사의 자원이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 및 예측 없이 구매 확정가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불합리하며, 결국 공급사의 제품 제조를 위한 자원의 투입 정도를 표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합리적이고 적정한 수준의 구매 제품별 단가를 확정하였다 하더라도 최종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의 원가산출 및 관리 방식에 문제가 있다면 원가적으로는 더 큰 이슈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기업이 제품별 원가산출 및 관리에 활용하고 있는 회계 데이터 기반 시스템적 접근(ERP 시스템 활용)에 매우 큰 오류의 요인이 있다.
제품의 원가는 투입된 자원(Activity)의 수준에 비례하여 직접적인 계산이 이루어지는 것이 타당하며, 제품 생산에 직접으로 추적할 수 있는 원가항목인 직접비와 추적할 수 없는 원가항목인 간접비의 구분에 의한 원가계산 표준화된 체계를 작성하여 운영하는 방법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종래의 원가계산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사항들이 반영되지 않아 정확한 원가의 계산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019231 B1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확한 현장의 자원 수준을 측정하고 제품의 원가계산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가 표준을 설정하고, 현장의 관리 수준을 원가 표준의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정확한 원가의 산출과 나아가 표준 수준의 강화를 통한 원가 개선의 영역으로 확장 가능한 정확한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합리적이고 적정 구매단가 결정을 위한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의 작성에 있어서, 중점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에 대하여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은, a)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에 따라 구매 재료의 원가를 산출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원가를 재료비로 입력하고, 생산종합효율을 산출하여 상기 재료비와 생산종합효율을 고려하여 표준원가를 산출하는 단계와, c) 상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를 비교하여, 표준원가를 조정하거나 확정된 표준원가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재료비를 산출하는 재료비 산출단계와, 가공비 산출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공비 산출단계는 기계에 의한 가공비와 사람에 의한 가공비를 나누어 산출하며, 기계의 의한 가공비의 산출은 아래의 수학식 2를 따르고, 사람에 의한 가공비는 아래의 수학식 3을 이용할 수 있다.
[수학식 1]
주재료비 = 투입재료비 - 잔재활용액 + 폐기물 처리비-부산물 처리비
[수학식 2]
가공비(기계작업) = 가공시간(표준작업시간) x 가공비율 ÷작업(목표, 종합)효율
[수학식 3]
가공비(수작업) = 가공시간(표준작업시간) + 여유시간] x 가공비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무비와 제조경비의 합에 일반관리비율을 곱하여 일반관리비를 산출하는 일반관리비 산출단계와, 노무비, 제조경비, 일반관리비 합에 이윤율을 곱하여 이윤을 산정하는 이윤 산정단계와, 운반비 산출단계와, 연구개발비 산출단계와, 불량비 산출단계와, 프로모션비 산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조업시간, 부하시간, 가동시간, 표준시간(정미시간), 가치가동시간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조업시간에 대한 부하시간의 비인 조업률, 부하시간에 대한 가동시간의 비인 시간가동률, 가동시간에 대한 표준시간의 비인 성능가동률, 표준시간에 대한 가치가동시간의 비인 양품률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조업률, 상기 시간가동률, 상기 성능가동률 및 양품률을 이용하여 생산종합효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산종합효율은, 상기 조업률, 상기 시간가동률, 상기 성능가동률 및 양품률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b)단계의 표준원가를 입력받는 단계와, c-2) 실제 지출된 비용인 실제원가를 입력받는 단계와, c-3) 상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단계와, c-4) 상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가 상기 표준원가에 대하여 설정비율 이내인 경우 확정된 표준원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c-3) 단계는, 표준원가와 실제원가 각각의 원가요소들 전부를 각각 비교하여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4) 단계는, 상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가 상기 표준원가에 대하여 설정비율을 초과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 표준원가를 수정하고 상기 c-3)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준원가의 수정은, 상기 c-3) 단계의 비교결과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가 가장 많이 발생한 원가요소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a) 단계, b) 단계 및 c) 단계를 포함하는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제품의 원가를 현장의 자원 활용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여 표준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원가관리의 방법에 대하여 정의하고 체계화하여 기업의 수익성 향상에 매우 적극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는 표준작업시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부분별 임률 산출을 위한 조사 양식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산효율의 관리형태의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서 S300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은,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에 따른 원가를 산출하는 단계(S100)와, 상기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에서 산출한 원가를 재료비로 하여, 사내표준원가 관리체계에 따른 표준원가를 산출하는 단계(S200)와, 산출된 사내표준원가 관리체계에 따른 표준원가와 실제 지출비용을 비교하여 종합표준원가를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된 종합표준원가를 확정하는 검증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를 산출하는 단계(S100)는, 재료비 산출단계(S110), 가공비 산출단계(S120), 일반관리비 산출단계(S130), 이윤 산정단계(S140), 재료관리비 산출단계(S150), 운반비 산출단계(S160), 연구개발비 산출단계(S170), 불량비 산출단계(S180) 및 프로모션비 산출단계(S19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내표준원가 관리체계에 따른 표준원가를 산출하는 단계(S200)는 조업시간 설정단계(S210), 부하시간 산출단계(S220), 가동시간 산출단계(S230), 정미시간 산출단계(S240), 가치가동시간 산출단계(S250), 시간가동률 산출단계(S260), 성능가동률 산출단계(S270), 양품률 산출단계(S280) 및 설비종합효율을 산출하는 단계(S29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프로그램된 연산장치, 연산 과정을 저장하는 메모리, 연산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외부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에서 처리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장치는 PC, 서버, 노트북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각 단계의 처리는 PC, 서버, 노트북 등의 중앙처리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저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처리되는 것이며, 이하에서 각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에 관해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를 이유로 본 발명의 기재가 불비한 것은 아니다.
통상 기업들은 구매품의 적정원가 산출에는 표준원가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려고 하는 반면에 사내(In-House)원가는 표준원가 수준의 관리보다는 집계된 전체 원가 및 비용의 배부에 의하여 원가를 산출하려고 하고 있다.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구매부문과 사내부문 등 기업의 전체 원가를 표준화하는 방법과 수식을 정의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구매자측에서 공급자측의 생산 원가를 판단할 때 목표효율의 개념을 도입하여 실제 공급사 생산현장에서 발생되는 효율보다는 현장 개선을 리딩하는 목표적 관점에서 설정되는 개념과 함께 공급사측의 실제 발생되는 효율을 정확하게 측정 및 분석하여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를 산출하는 단계(S100)에서 재료비 산출단계(S110)는 사용되는 원자재의 특성과 생산 공정 및 작업형태, 고객의 요구사항 등에 의하여 공식의 변화할 수 있다. 이때 로스(LOSS)와 불량의 의미가 정확히 구분된다면 어느 정도는 정확한 계산식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의 재료비 계산을 위한 산식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주재료비 = 투입재료비 - 잔재활용액 + 폐기물 처리비-부산물 처리비
여기서 투입재료비는 재료사용량에 불량률(1+불량률)과 로스율(1+로스율)을 곱한 값이되며, 잔재활용액(Scrap회수비)는 재료사용량과 불량인 재료 사용량의 합에 회수율과 잔재(scrap)단가를 곱한 값이되며, 폐기물처리비는 페기중량에 폐기단가를 곱한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동일하게 부산물처리비는 부산물 중량에 매각단가를 곱한 값이 된다.
로스율(LOSS,%)은, 원소재 가공중 증발 혹은 산화 등에 의하여 제품화 되지 못한 부분을 말하며, 정상적인 발생분만을 인정한다. 로스율(%)의 구매 표준원가 계산을 위한 표준 값 설정은, 일정기간의 원자재별 실 사용량에서 불량분 제외 형태로 현장 조사 및 조사 의뢰를 하여 평균 발생량으로 결정한다.
또한, 불량률(%)은 품질표준이나 규격표준에 합치되지 못한 불합격품의 발생비율을 말하며, 정상적인 발생분만을 인정한다. 불량률(%)의 구매 표준원가 계산을 위한 표준 값 설정은, 일정 기간의 발생 불량수량을 전체 생산수량으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으며, 현장 조사 및 조사의뢰를 통하여 조사된 데이터의 산술평균 혹은 사분위법 혹은 다빈수 등의 방법으로 결정한다.
구입부품비 및 외주가공비는 단가에 사용수량을 곱하여 산출한다.
부품이나 서비스를 제조(생산)하여 공급하는 공급사에 사용하는 원자재의 재질, 단가, 단위, 구입처, 최종구입일자 등의 정보를 요청하고 추후 실제 거래명세서의 확인을 통하여 작성된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해당 항목의 조사분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양식을 사용하여 공급사에 작성을 의뢰한다.
그 다음, 가공비 산출단계(S120)는 가공비를 표준원가 관점에서 산출하는 산식은 원자재의 특성이나 작업방법, 고객요구사항에 의해 변화되는 재료비와는 다르게 아래의 수학식 2와 수학식 3으로 정형화할 수 있다.
[수학식 2]
가공비(기계작업) = 가공시간(표준작업시간) x 가공비율 ÷작업(목표, 종합)효율
[수학식 3]
가공비(수작업) = 가공시간(표준작업시간) + 여유시간] x 가공비율
위의 수학식 2에서 기계작업은 생산성 통제 주체가 기계인 경우를 뜻하며, 수학식 3에서 수작업은 생산성 통제 주체가 사람인 경우를 뜻한다. 위의 수학식 3에서 여유시간은 가공시간(표준작업시간)에 여유율(%)을 곱하여 얻어진 시간으로, 수작업 진행의 가공 난이도와 작업물의 중량 등에 의해 추가로 보상해야 하는 시간이다.
여유시간의 의미는 통상 ET(Exception Time)율의 의미와는 차이가 있다. 여유시간은 인적 여유시간의 의미인 반면, ET율은 총 투입시간에서 비가동을 제외한 시간의 비율을 뜻하는 것으로, ET율은 작업(생산)효율의 개념과 유사하다.
또한, 가공비율은 위의 수학식 2와 수학식 3에서 작업 주체의 차이에 의해 기계의 경우는 기계경비율, 사람의 경우는 임률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학식 2에서 작업효율을 반영하였으며, 가공시간 기준으로만 가공비를 산정하면, 발생 정지시간(조업률, 시간가동률, 성능가동률, 양품률 등)이 반영되지 않아 이상적 가공비 형태의 접근이 이루어지며, 실제 가공비 형태의 접근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효율은 달성 가능 수준에 대한 보상이 된다.
상기 수학식 2와 수학식 3에서 표준작업시간은 현장의 단위 공정의 작업시간을 통계적 방법(경험에 의한 견적법, 실적에 의한 자료법 등), 시간관측법(직접관측법_Stop Watch법, Work Sampling법, 간접관측법 등), 시간합성법(PTS법_ Predetermined Time Standard method, 표준시간자료법 등)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표준작업시간의 구성은 작업시간과 준비작업시간으로 구분하며, 작업시간은 다시 정미작업시간과 여유시간으로 구분한다. 준비작업시간은 금형이나 공구의 교체, 청소 등과 같이 다음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기계장치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하는 행위를 말한다.
도 2는 표준작업시간의 구성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공비율은 기계의 경우 기계경비율이고, 사람의 경우 임률로 결정된다. 임률의 계산을 위하여 아래의 수학식 3을 사용할 수 있다.
[수학식 4]
노무비(\/ea) = 표준작업시간 x 임률(\/hr) x 투입인원수 ÷ 작업효율(%)
위의 수학식 4는 노무비의 산출식이며, 표준작업시간은 앞에서 측정된 것이며, 투입인원수 작업효율, 임률을 결정하여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의 작성에 활용한다.
투입인원수는 현장실사를 바탕으로 작업 수행에 반드시 필요한 인원수를 결정하여 입력한 입력값이며, 임률은 직접직 임률과 간접직 임률의 합으로 노무비율을 뜻한다.
직접직 임률(\/hr)은 단위시간 직접직 총 근무시간에 대한 단위기간 지급된 직접직 총임금의 비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간접노무비 발생비율은 단위기간 지급된 간접직 총임금을 단위기간 지급된 직접직 총임금으로 나눈 값이다.
간접직 임률은 상기와 같이 간접노무비 발생 비율(%)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간접직 임률(\/hr)은 직접직 임률(\/hr)에 간접노무비 발생 비율(%)을 곱한 값이 된다.
도 3은 부분별 임률 산출을 위한 조사 양식이다.
작업효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사 생산공정의 비가동 시간의 보상 개념으로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목표효율(%)의 개념을 적용한다. 실제 발생 생산효율 보다는 상향시켜 적용하며, 공급사 자체적인 생산효율 증가 노력을 리딩하는 개념으로 목표효율(%)을 결정하여 적용한다.
그리고 기계경비율의 산정과 제조경비의 계산에 대하여 설명하면, 수학식 1에서 기계경비율(\/hr)은 직접경비율과 간접경비율의 합으로 산출할 수 있다.
기계경비율(\/hr)은 직접경비항목(계정과목)과 간접경비항목(계정과목)을 주 생산설비의 시간당 발생비용(\/hr)의 형식으로 정의해 놓은 것이며, 단위시간당 발생하는 주 생산설비의 고정비 형태를 기계경비율(\/hr)이라 한다.
직접경비율은 제품의 제조에 지출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비를 직접화 한 것으로, 주로 제조설비의 감가상각비(기계+건물), 전력비, 수선비 계정과목을 대상으로 한다.
감가상각비의 계산 방법은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의 적용은 무조건 정액법 기준으로만 해야한다.
간접경비율은 직접경비로 직접화 되어 계산된 감가상각비(기계+건물), 전력비, 수선비 외에 감가상각비(기계+건물 제외), 복리후생비, 여비교통비, 통신비, 세금과공과금, 지급임차료, 보험료, 차량유지비, 도서인쇄비, 사무용품비, 소모품비, 지급수수료, 시험비, 운반비 등으로 구성한다.
그 다음, 일반관리비 산출단계(S130)에서 산출하는 일반관리비는, 제품 제조활동 이후 판매 및 관리활동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제품 제조와는 관계없이 기업의 유지를 위하여 발생한 제비용을 말한다.
일반관리비의 계산은 부가가치보상법에 의하여 노무비와 제조경비의 합에 일반관리비율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그 다음, 이윤 산정단계(S140)에서 산정하는 이율은 공급사의 기업이윤의 보장 정도는 부가가치보상법 기준으로 노무비, 제조경비, 일반관리비 합에 이윤율을 곱하여 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재료관리비 산출단계(S150)에서 산출하는 재료관리비는, 재료의 관리를 위해서 발생하는 제비용을 보상하기 위하여 관리회계에서만 적용하는 계산 항목이다. 원재료의 관리를 위해서 투입되는 비용은 주로 구입을 위한 사무비용, 원재료 입고 후 보관비용, 원재료 이송과 관련된 비용, 원재료 취급에 따른 손망실 비용, 원재료의 조달 관리비용, 재료비 회수기간에 따른 금리 등의 보상 목적으로 계산한다.
그 다음, 운반비 산출단계(S160)에서 산출하는 운반비는, 1회 운반비를 운반수량으로 나눈 값으로, 공급사로부터 당사 지정장소까지 운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다.
그 다음, 연구개발비 산출단계(S170)에서 산출하는 연구개발비는 총원가에 연구개발비율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그 다음, 불량비 산출단계(S180)는 투입된 가공품의 제조원가 전체를 대상으로 불량비율을 곱하여 불량비를 산출한다.
그 다음, 프로모션비 산출단계(S190)는 제품의 판매를 위하여 시제품을 사용자에게 무상 제공하거나, 본 제품을 판매할 때 서비스 품목의 제공이 일반화 된 경우 등의 요인에 의한 비용이 발생하는 프로모션비용을 구하는 것으로, 총원가에 프로모션 비율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부적인 과정들을 수행하여 구매표준원를 구성하는 원가요소들을 산출하고, 이들의 합을 구하여 관리체계에 따른 구매표준원가를 산출할 수 있다.
그 다음, 사내표준원가 관리체계에 따른 표준원가를 산출하는 단계(200)는 원가요소별 계산식이나 데이터의 표준화 방법 등에 대하여는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의 원가 산출단계(S100)와 차이는 없으나, 원가요소 산출에 적용하는 생산효율의 개념에 차이가 있다.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의 가공비 계산단계(S120)에 적용되는 효율은 목표효율(%)의 개념으로 실제 공급사 생산 현장에서 발생되는 효율이라기 보다는 현장 개선을 리딩하는 목표적 관점에서 설정이 되나, 사내표준원가 관리체계에서는 실제 발생되는 효율을 정확히 측정 및 분석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S210단계 내지 S290단계를 수행하여 생산효율을 구하고, 이 구해진 생산효율을 이용하여 원가요소들을 산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산효율의 관리형태의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일 24시간의 조업시간이 설정된 상태에서, 계획정지 시간을 제외한 부하시간의 개념을 도입하고, 부하시간에서 정지로스 시간을 제외한 가동시간의 개념을 도입한다.
또한 가동중 제조설비의 최대 생산속도와 현재 생산속도의 차를 고려한 속도로스 개념을 도입하여 가동시간에서 표준시간을 구한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불량에 의한 로스를 고려하여 가치가동시간의 개념을 도입한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분석하고 있는 설비종합효율은 시간가동률, 성능가동률 및 양품률의 곱으로 산출하게 되며, 도 4의 생산효율의 관리형태 그래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S200단계에서 설비종합효율(또는 생산효율)을 구하는 과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는 공급자측의 원가계산이고, 구매자는 공급자측의 원가를 산출하고 이를 재료비로 설정한 후, 다시 표준원가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조업시간 설정단계(S210)에서는 조업시간을 설정한다. 조업시간은 일정단위의 작업 단위 근무시간으로, 기계장치의 가동과 관계없이 회사나 공장의 입장에서 가동이 가능한 시간이다. 이 조업시간은 임금이 지불되는 시간과는 차이가 있다. 작업자의 근무 유무와 관계없이 자동화 등에 의해 생산 가능한 공정이나 기계장치가 있기 때문이다.
도 4에서는 1일 24시간의 조업시간이 설정된 예를 나타낸다.
그 다음, 부하시간 산출단계(S220)에서는 기계장치가 제품을 생산하도록 계획된 시간인 부하시간을 산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하시간은 조업시간에서 계획정지시간의 차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계획정지시간이라 함은, 정기보수에 의한 사전 계획된 정지, 정전, 단수, 화재, 노사분규, 신규증설이나 교체, 수주미달, 사전 인지된 자재부족, 재고과다 등과 관련한 시간일 수 있다.
그 다음, 가동시간 산출단계(S230)에서는 상기 산출된 부하시간을 이용하여 가동시간을 산출한다. 가동시간은 기계장치가 가동되어야 할 부하시간에서 공장내부요인에 의한 사전에 계획되거나 인지되지 않은 정지요인(정지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부하시간에서 정지로스시간의 차로 구할 수 있다.
위에서 정지로스시간은 기계고장, 작업준비, 기종(품종)교체, 기계장치 운전개시 후의 초기수율 저하 등과 관련한 시간이다.
그 다음, 표준시간 산출단계(S240)에서는 기계장치가 실제 생산활동에 기여한 시간, 즉,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제품 생산에 소요된 시간을 뜻한다.
상기 표준시간(정미시간)은 상기 가동시간에서 속도로스시간을 감한 시간이 된다.
속도로스시간은 기계장치의 설계상 최대 제조속도와의 실제 운전속도의 차이로 인한 로스시간을 뜻하며, 기계장치를 잠깐 정지시키거나, 공운전으로 인한 로스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가치가동시간 산출단계(S250)에서는 상기 표준시간을 이용하여 양품만을 생산한 시간을 산출한다. 즉, 가치가동시간은 표준시간에서 불량품을 재가공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감한 시간으로 정의된다.
그 다음, 시간가동률 산출단계(S260)에서는 상기 산출된 부하시간과 가동시간을 이용하여 시간가동률을 산출한다. 시간가동률은 부하시간에 대한 가동시간의 비로 구할 수 있다.
시간가동률의 의미는 정지로스가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생산 기계장치의 계획되지 않은 정지요소의 비를 구하여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그 다음, 성능가동률 산출단계(S270)에서는 상기 가동시간과 표준시간을 이용하여 생산 기계장치가 원래 설계 시 보유한 성능을 얼마만큼 발휘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성능가동률을 산출한다.
성능가동률은 가동시간에 대한 표준시간의 비를 구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가동시간에 대한 이론적인 사이클 타임과 총생산량의 곱의 비를 구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이론적인 사이클 타임은, 기계장치의 설계시방에 의한 정해진 사이클 타임, 현재 상태로 이상적 생산 가능한 사이클 타임 또는 현재까지 생산한 시간 중 최고(또는 최저)의 사이클 타임을 적용할 수 있다.
그 다음, 양품률 산출단계(S280)에서는 총 생산량과 양품 생산수량의 비율인 양품률을 산출한다. 총생산수량에 대한 양품 생산수량의 비로 구할 수 있다.
그 다음, 생산종합효율 산출단계(S290)에서는 앞서 산출한 시간가동률, 성능가동률 및 양품률의 곱을 구하여 먼저 설비종합효율을 산출한다. 결국 설비종합효율(%)은 최초 조업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계획정지로스가 제외된 부하시간을 기준으로 관리하게 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계획정지시간에도 감가상각비 등의 원가는 발생하는 만큼 원가관리 입장에서는 계획정지가 포함된 생산종합효율(%)이 분석이 되어야 이후에 설명될 실제원가와의 신뢰성 비교가 가능해진다.
즉, 조업시간에 대한 부하시간의 비율인 조업률을 구하여 앞서 구한 설비종합효율에 조업률을 더 곱하여, 생산종합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생산종합효율(%)이 제품별, 라인별, 기계별 생산공정의 가공비 계산에 적용되어야 정확한 신뢰성 있는 표준원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후 표준원가의 신뢰성이 확보되면 표준의 수치(작업시간, 생산종합효율 등)를 강화하여 강화된 표준원가를 산출하고, 강화된 표준원가를 만족할 수 있는 개선노력을 통하여 표준원가를 만족시키면 다시 표준의 수준을 강화하고 등의 형식으로 개선의 노력이 진행되어야 타당하다.
그 다음, 검증단계(S300)에서는 상기 사내표준원가 관리체계의 신뢰성을 검증한다.
도 5는 상기 검증단계(S3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검증단계(S300)는 앞서 설명한 사내표준원가 관리체계에서의 표준원가 산출단계(S200)에서 산출된 표준원가를 입력받는 단계(S310)와, 회계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실제 사용된 비용인 실제원가를 입력받는 단계(S320)와, 상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이를 분석하는 단계(S330)와, 분석된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이가 표준원가의 1% 이내인지 판단하여, 1%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S330단계를 재수행하여 표준원가를 조정하는 단계(S340)와, 상기 S340단계의 판단결과 1%이내인 경우 표준원가를 확정하는 단계(S350)와, 확정된 표준원가를 강화하고 표준원가 달성에 필요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단계(S3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검증단계(S300)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S310단계에서는 사내표준원가 관리체계에서의 표준원가를 산출하는 단계(S200)에서 산출된 표준원가를 입력받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내표준원가 관리체계에서 표준원가를 산출하는 단계(S200)는 재료의 공급자측의 원가계산 체계인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의 원가를 산출하는 단계(S100)에서 산출된 원가를 재료비로 입력하고, 생산종합효율을 고려하여 표준원가를 산출한 것이다.
이와 함께 S320단계에서는 실제 비용이 지출된 내역인 실제원가를 입력받는다. 이때 실제원가는 회계관리프로그램에서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그 다음, S330단계에서는 상기 S310단계에서 입력된 표준원가와 상기 S320단계에서 입력된 실제원가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한다. 이때 분석은 원가요소마다의 비교일 수 있으며, 원가요소마다 표준원가와 실제원가를 비교분석하여 원가요소들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S340단계에서는 상기 S330단계에서 비교분석된 전체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이가 표준원가의 1% 이내인지 확인한다.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가 표준원가의 1% 이내이면 산출된 표준원가가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차가 표준원가의 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준원가의 신뢰성이 낮으며 이를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S340단계의 판단결과 표준원가의 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S330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표준원가를 조정한다.
이때 표준원가의 조정은 원가요소 중 표준원가의 원가요소와 실제원가의 원가요소의 차가 가장 큰 원가요소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과정은 표준원가가 실제원가와 차이가 설정비율(예를 들어 1%)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경우 표준원가를 기반으로 하는 원가관리가 실제 경영에서는 큰 의미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며, 표준원가를 조정하여 표준원가와 실제원가가 설정비율인 1% 이내가 되도록 한 후, S350단계와 같이 표준원가를 확정한다.
표준원가를 확정한 후에는 S360단계와 같이 표준을 강화하고 표준원가 달성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S360단계는 실질적으로 S340단계에서 조정된 표준원가의 원가요소가 있으면 이를 표시하고, 그 차이를 출력하는 것이며, 전체 원가요소에 대한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이를 표시하여 이후에는 이 차이가 0에 수렴하도록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뜻할 수 있다.
특히 생산종합효율의 관리와 관련하여 계획정지, 정지로스, 성능로스, 불량발생 항목등을 규정하고, 관리할 수 있어 표준원가와 실제원가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요소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표준원가를 강화하고, 표준원가를 기반으로한 원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연산장치, 연산 과정을 저장하는 메모리,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으로서,
    a) 연산장치에서 구매표준원가 관리체계에 따라 구매 재료의 원가를 산출하되,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재료비를 산출하는 재료비 산출과정과, 각각 수학식 2와 수학식 3에 따라 기계에 의한 가공비와 사람에 의한 가공비를 나누어 산출하는 가공비 산출과정을 구비하는 단계;
    b) 연산장치에서 상기 a) 단계의 원가를 재료비로 입력하고, 생산종합효율을 산출하여 상기 재료비와 생산종합효율을 고려하여 표준원가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연산장치에서 상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를 비교하여, 표준원가를 조정하거나 확정된 표준원가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b)단계의 표준원가를 입력받는 단계;
    c-2) 실제 지출된 비용인 실제원가를 입력받는 단계;
    c-3) 상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 각각의 원가요소들 전부를 각각 비교하여 차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c-4) 상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가 상기 표준원가에 대하여 1% 이내인 경우 확정된 표준원가로 결정하고, 상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가 상기 표준원가에 대하여 1%를 초과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가 가장 많이 발생한 원가요소를 수정하여 표준원가를 수정하고 상기 c-3) 단계를 다시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수학식 1]
    주재료비 = 투입재료비 - 잔재활용액 + 폐기물 처리비-부산물 처리비
    [수학식 2]
    가공비(기계작업) = 가공시간(표준작업시간) x 가공비율 ÷작업(목표, 종합)효율
    [수학식 3]
    가공비(수작업) = [가공시간(표준작업시간) + 여유시간] x 가공비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조업시간, 부하시간, 가동시간, 표준시간(정미시간), 가치가동시간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조업시간에 대한 부하시간의 비인 조업률, 부하시간에 대한 가동시간의 비인 시간가동률, 가동시간에 대한 표준시간의 비인 성능가동률, 표준시간에 대한 가치가동시간의 비인 양품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조업률, 상기 시간가동률, 상기 성능가동률 및 양품률을 이용하여 생산종합효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종합효율은,
    상기 조업률, 상기 시간가동률, 상기 성능가동률 및 양품률의 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컴퓨터에서 제1항의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20170173394A 2017-12-15 2017-12-15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94A KR102011271B1 (ko) 2017-12-15 2017-12-15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94A KR102011271B1 (ko) 2017-12-15 2017-12-15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216A KR20190072216A (ko) 2019-06-25
KR102011271B1 true KR102011271B1 (ko) 2019-08-14

Family

ID=6706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394A KR102011271B1 (ko) 2017-12-15 2017-12-15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1679A (zh) * 2022-03-15 2022-08-09 远光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成本标准测算方法、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5430A (ja) * 2011-08-26 2013-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製造コスト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JP2016033704A (ja) * 2014-07-31 2016-03-10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910B1 (ko) * 2001-07-12 2004-04-03 최영휘 품질 관리 및 생산성 관리를 이용하여 원가 관리를 수행할수 있는 전사적 자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19231B1 (ko) 2010-10-28 2011-03-04 주식회사 아이디어정보기술 중간수식을 활용한 원가계산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5430A (ja) * 2011-08-26 2013-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製造コスト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JP2016033704A (ja) * 2014-07-31 2016-03-10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영환, "표준원가 산정을 위한 자료수집 방안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년 12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216A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lik et al. Disruption management in a constrained multi-product imperfect production system
Riezebos et al. Lean produc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nnection or contradiction?
Safa et al. Supplier selection process in an integrated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model
Kaplan Management accounting for advanced technological environments
CN108108994A (zh) 用于化工企业供应链的计划优化方法
US8315923B2 (en) Method of determining safety stock levels
JP6370757B2 (ja)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Taleizadeh et al. Production models of multiple products using a single machine under quality screening and reworking policies
Van Horenbeek et 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ware maintenance optimization
Trehan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cost of quality
KR102011271B1 (ko) 표준원가관리체계를 활용한 종합원가관리 방법 및 종합원가관리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6033704A (ja)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Zeballos et al. Mixed-integer linear programming approach for product design for life-cycle profit
Biswas et al. A review on production planning and control
JP6242362B2 (ja)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Kammoun et al. Joint production, maintenance and quality control chart optimization for a degrading manufacturing–reworking system with assignable causes
Surange et al. A review research of mathematical models of quality cost for manufacturing industry
Meidyani et al. Time and cost optimization using scheduling job shop and linear goal programming model
Kumaravadivel et al. Performance measurement and determination of optimal base stock level inventory system to improve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Six Sigma environment
JP2006134022A (ja) 製品の販売価格・保守管理費用の設定評価支援装置、及び製品の販売価格・保守管理費用の設定評価支援方法
Lam UPDATING UNIT COSTING METHOD FOR INJECTION MOLDED PRODUCT X
JP6301430B2 (ja)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Xu et al. An Available-to-Promise Allocation Decision Model Based on Assemble-to-Order Supply Chain
Widya et al. Implementation of Application and Product System (SAP) in Metal Coating Process Manufacturing Company
Sitompul Setup Reduction Integration Model and Lot Size Determination in Export Coffee Processing Produc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