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474A - 치아 수복물을 제조하기 위한 치아 블록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수복물을 제조하기 위한 치아 블록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474A
KR20220076474A KR1020227012134A KR20227012134A KR20220076474A KR 20220076474 A KR20220076474 A KR 20220076474A KR 1020227012134 A KR1020227012134 A KR 1020227012134A KR 20227012134 A KR20227012134 A KR 20227012134A KR 20220076474 A KR20220076474 A KR 20220076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tool
computer
machin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츠 바즐러
올리퍼 노바라
다니엘 바이쓰
Original Assignee
덴츠플라이 시로나 인코포레이티드
시로나 덴탈 시스템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츠플라이 시로나 인코포레이티드, 시로나 덴탈 시스템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덴츠플라이 시로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7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22Blanks or green, unfinished dental restora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6Working surfaces curved in two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007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while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67Dentist, dental manufa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유 스터브(5b)를 갖거나 갖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완전히 균분원(5a)을 따라 치아 수복물(5)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치과 도구(4)를 사용함으로써 치아 블록(2)을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진폭(A)을 갖는 오버레이드 횡운동(overlaid lateral motion)으로 경로(6)를 따라 그리고 미가공된 피스(2')를 치아 블록(2)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치과 도구(4a)의 축(4a)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경로(6)는 적어도 치과 도구(4)의 직경의 절반과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진폭(A)의 절반을 합한 양만큼 균분원(5a)로부터 떨어져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아 수복물을 제조하기 위한 치아 블록 가공 방법
본 발명은 치아 수복물을 제조하기 위한 치아 블록을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치아 블록을 가공하기 위한 치아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치아 가공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세라믹으로 제조되는 치아 블록을 가공하기 위한 치과 도구 기계를 갖는다. 치과 도구 기계는 대체로, 치아 블록의 대응하는 면을 가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치과 도구를 이동 가능하게 각각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캐리지 유닛; 치과 도구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치아 블록을 보유하기 위한 보유 유닛; 및 유닛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대체로, CAD/CAM 소프트웨어는 치아 수복물을 디지털 방식으로 구성하고 치과 도구 기계에 대응하는 가공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CAD/CAM 소프트웨어는 보통 치아 가공 시스템의 PC와 같은 처리 유닛에서 실행된다. 치아 수복물의 제조 동안, 치아 블록은 대체로 보유 스터브(holding stub)를 갖는 균분원(equator)을 완전히 따라가며 치아 수복물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치과 도구를 사용하여 가공된다. 그 후 치아 수복물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이 마무리되거나 예비마무리된다.
도 3은 치아 블록(2)으로부터 치아 수복물(5)의 균분원(5a)를 가공하기 위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공 경로(즉, 구불구불한 선)를 도시한다. 치아 블록(2) 내측의 파선은 치아 수복물(5)을 예시한다. 치아 수복물(5)은 보유 스터브(5b)를 통해 치아 블록(2)의 나머지에 연결된다. 도 3에 예시된 종래 기술의 가공 방법에 따르면, 재료는 치아 블록(2)의 외측에서부터 시작하여 낮은 측방향 인피드(infeed)(전형적으로 0.05 mm)로 최대 치아 수복물(5)까지 가공된다. 대체로, 가공 시간은 치아 블록 크기 및 치아 수복물 크기에 의존한다. C14 치아 블록으로부터 어금니 크라운의 가공 시간은 대략 10분이다.
도 4는 치아 블록(2)으로부터 치아 수복물(5)의 균분원(5a)를 가공하기 위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또 다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공 경로(즉, 굵은 선)를 도시한다. 도 4에 예시된 종래 기술의 가공 방법에 따르면, 치아 수복물(5)로부터 치아 블록(2)의 나머지 부분을 절삭하기 위해 치아 수복물(5)의 균분원(5a) 주위로 채널(2b)이 가공된다. 치아 블록(2)의 미가공된 피스(piece)(2')가 떨어진다. 이러한 대안적인 종래 기술의 가공 방법을 통해, 가공 시간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미가공된 피스(2')는 가공 동안에 치아 수복물(5)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이러한 가공 방법은 EP3199124B1에 개시된다.
위에 언급된 모든 종래 기술의 가공 방법은 환자의 존재 동안 치과 전문가의 실습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 수복물을 제조하는 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은 중요한 인자이다. 긴 대기 기간은 환자에게 불편하고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보유 스터브를 갖거나 갖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완전히 균분원을 따라 치아 수복물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치과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치아 블록을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정의된 가공 방법 및 제12항에 정의된 치아 가공 시스템을 통해 달성되었다.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들은 추가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유 스터브를 갖거나 갖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완전히 균분원을 따라 치아 수복물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치과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치아 블록을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진폭을 갖는 오버레이드 횡운동(overlaid lateral motion)으로 경로를 따라 그리고 미가공된 피스를 치아 블록의 나머지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치과 도구의 축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경로는 적어도 치과 도구의 직경의 절반과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진폭의 절반을 합한 양만큼 균분원으로부터 떨어져 놓인다.
본 발명의 주요한 유리한 효과는 가공 시간이 상대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요한 유리한 효과는 치과 도구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고, 따라서 치아 수복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품질로 마무리되거나 예비마무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요한 유리한 효과는 치아 수복물 및/또는 치과 도구를 손상시킬 위험이 가능한 한 크게 회피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블록의 가공은, 보유 스터브를 갖거나 갖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완전히 균분원 주위에서 치아 수복물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기 위해 단일 가공 단계 또는 다중 가공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 도구는 단일 가공 단계 동안 치아 수복물의 균분원 주위에서 최대 1회전으로 이동된다. 회전 동안,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진폭은, 단일 가공 단계에서 치아 수복물의 균분원 주위에서 치아 블록의 나머지 전체를 가공하고, 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보유 스터브를 제외한 치아 블록의 나머지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치아 수복물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경로를 따라 가변된다. 이에 의해, 치아 블록의 나머지에서 임의의 채널의 형성 및 치아 블록의 나머지로부터 미가공된 피스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공 시간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고 치아 수복물을 손상시킬 위험이 가능한 한 크게 회피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 도구는 다중 가공 단계 동안 치아 수복물의 균분원 주위에서 1회전보다 많이 이동된다. 회전 동안,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진폭은, 각각의 이동 단계에서 치아 수복물의 균분원 주위에서 치아 블록의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를 가공하고, 이에 의해 다중 가공 단계들에서 연속적으로 바람직하게 보유 스터브를 제외한 치아 블록의 나머지를 제거하기 위해 치아 수복물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경로를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가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치아 블록의 나머지에서의 채널의 형성 및 치아 블록의 나머지로부터의 미가공된 피스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가공 단계들의 수, 즉 회전의 횟수는 원하는 가공 시간 및 치아 수복물의 기하학적 표적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회전의 횟수는 정수 또는 분수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가공 시간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으며, 치아 수복물을 손상시킬 위험이 가능한 한 많이 회피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 도구 경로의 형상은 치과 도구 축의 중심 위치의 이동 및 치과 도구 축의 오버레이드 운동의 진폭에 의해 결정된다. 치과 도구 축의 중심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치아 수복물의 균분원의 형상 또는 치아 블록의 형상을 따른다. 균분원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치아 블록의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를 가공하는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진폭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경로가 진동 형상, 바람직하게는 트로코이드(trochoid) 형상을 가지도록 가변될 수 있다. 치과 도구 축의 중심 위치의 종방향 속도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거나 경로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일 수 있다. 측방향 이동의 횡방향 속도는 또한 실질적으로 일정하거나 경로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 방법은 단일 스핀들 치과 도구 기계 또는 대안적으로 다중 스핀들 치과 도구, 바람직하게는 이중 스핀들 치과 도구 기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치아 블록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편 면에서 동시에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스핀들 치과 도구 기계는 치아 블록을 가공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치과 도구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치과 도구의 축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보유 스터브를 갖거나 갖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완전히 균분원을 따라 치아 수복물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기 위해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블록은 바람직하게 균분원을 따라 치과 도구의 측방향 표면으로 가공된다. 치과 도구의 길이 및 치아 블록의 크기는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치과 도구의 축은 전체 치아 블록을 통해 관통된다. 대안적으로, 치과 도구의 축은 치아 블록의 일부에서만 관통된다. 치아 블록은 2개의 상이한 치과 도구에 의해 2개의 상이한 면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가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치아 블록은 치과 도구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따라서 동일한 치과 도구에 의해 또한 다른 면에서부터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블록을 가공하는 데 적합한 다양한 치과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치과 도구는, 모서리 반경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원통 형상의 도구, 구 형상의 도구, 원환 형상의 도구, 원추 형상의 도구, 한정된 절삭날을 갖는 밀링 도구, 또는 비한정된 절삭날을 갖는 연마 도구 또는 상기 도구들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한 형상을 갖는 도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블록은 하나 이상의 치아 수복물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다양한 재료 및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치아 블록은 세라믹, 예비소결된(pre-sintered) 세라믹, 금속, 예비소결된 금속, 플라스틱, 및/또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기반 치아 가공 시스템이 본 발명의 방법 단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CAD/CAM 소프트웨어와 같은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데이터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데이터 저장장치는 치아 가공 시스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단일 스핀들 치과 도구 기계,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중 스핀들 치과 도구 기계, 더 바람직하게는 이중 스핀들 치과 도구 기계를 갖는 컴퓨터- 기반 치아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중 스핀들 치과 도구 기계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치아 블랭크(dental blank)를 위한 운동 축 커플링(kinematic axis coupling)으로 각각 3개의 자유도 또는 대안적으로 2개의 자유도를 각각 갖는 2개의 도구 스핀들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가공 시스템은 이중 스핀들 치과 도구 기계를 포함하고, 이중 스핀들 치과 도구 기계는, 치아 블록의 대응하는 면을 가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치과 도구를 이동 가능하게 각각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캐리지 유닛; 치과 도구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의 치아 블록을 보유하기 위한 보유 유닛; 및 본 발명의 가공 방법에 따라 캐리지 유닛 및 보유 유닛의 드라이브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각각의 치과 도구의 경로는 본 발명의 가공 방법에 따라 치아 가공 시스템 내의 처리 유닛 또는 PC에서 실행되는 CAD/CAM 소프트웨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된다.
후속 설명에서, 본 발명의 추가 양태 및 유리한 효과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용하고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블록으로서, 여기서 파선은 도 9의 치과 도구 기계로 치아 블록으로부터 가공되는 치아 수복물을 보여 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통해 도 1의 치아 블록으로부터 가공된 치아 수복물이다.
도 3은 치아 블록으로부터 치아 수복물(파선)의 균분원을 가공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가공 경로(즉, 구불구불한 선)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치아 블록으로부터 치아 수복물(파선)의 균분원을 가공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가공 경로(즉, 굵은 선)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단일 가공 단계에서 치아 수복물(파선)의 균분원을 따라 치아 블록을 가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방법의 개략도이며, 여기서 화살표는 치과 도구 축의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다양한 진폭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은 2번의 가공 단계에서 치아 수복물(파선)의 균분원을 따라 치아 블록을 가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가공 방법의 개략도이며, 여기서 화살표는 치과 도구 축의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진폭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1의 치아 블록을 가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가공 시스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가공 시스템의 일부를 예시한다. 치아 가공 시스템은 이중 스핀들 치과 도구 기계(1)를 갖는다. 치과 도구 기계(1)는 치아 블록(2)의 대응하는 면을 가공하기 위한 치과 도구(4)를 각각 이동 가능하게 보유하는 2개의 캐리지 유닛; 치과 도구들(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치아 블록(2)을 보유하기 위한 보유 유닛(도시되지 않음); 및 본 발명의 가공 방법에 따라 캐리지 유닛(3) 및 보유 유닛의 드라이브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 유닛을 갖는다. 가공 방법은 나중에 후속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캐리지 유닛(3)은 각자의 샤프트(3b)에 연결되는 아암(3a)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샤프트(3b)는 캐리지 유닛(3)의 각자의 구동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z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z축을 따라 병진될 수 있다. 2개의 치과 도구(4)의 축들(4a)은 서로 반대 방향(z)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각각의 치과 도구(4)는 각자의 아암(3a)에서 각자의 도구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될 수 있다. 치과 도구(4)는 모서리 반경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원통 형상의 도구(4), 구 형상의 도구(4), 원환 형상의 도구(4), 원추 형상의 도구(4), 한정된 절삭날을 갖는 밀링 도구(4), 또는 비한정된 절삭날을 갖는 연마 도구(4) 또는 상기 도구들(4)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한 형상을 갖는 도구(4) 중 하나일 수 있다. 치아 블록(2)은 보유 유닛을 통해 샤프트(2a)에 연결된다. 치아 블록(2)은 세라믹, 예비소결된 세라믹, 금속, 예비소결된 금속, 플라스틱, 또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치아 블록(2)을 위한 샤프트(2a)는 각자의 구동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y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y축을 따라 병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블록(2)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치아 블록(2)은 직사각형 형상 또는 대안적으로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도 1의 파선은 치아 블록(2)으로부터 도 9의 치과 도구 기계(1)로 가공될 치아 수복물(5)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방법을 통해 도 1 치아 블록(2)으로부터 가공된 치아 수복물(5)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치아 블록(2)을 가공하는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과 도구(4)는 보유 스터브(5b)를 갖거나 갖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완전히 균분원(5a)를 따라 치아 수복물(5)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블록(2)의 가공은, 보유 스터브(5b)를 갖거나 갖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완전히 균분원(5a) 주위에서 치아 수복물(5)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기 위해 단일 가공 단계 또는 다중 가공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단일 가공 단계가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방법을 예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도구(4)의 축(4a)은 진폭(A)을 갖는 오버레이드 횡운동으로 경로(6)를 따라 이동되고, 그리고 치아 블록(2)의 나머지로부터 미가공된 피스(2')를 분리하지 않고 이동된다. 경로(6)는 치과 도구(4)의 직경의 절반과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진폭(A)의 절반을 합한 양만큼 균분원(5a)으로부터 떨어져 놓여있다. 진폭(A)은, 치아 수복물(5)의 균분원(5a) 주위의 치아 블록(2)의 나머지가, 보유 스터브(5b)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제거되도록 경로(6)를 따라 가변된다. 도 2는 단일 가공 단계가 완료된 후 치아 블록(2)을 도시한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다중 단계 가공은 2개의 가공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2개의 가공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방법을 예시한다. 도 6은 제1 가공 단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도구(4)의 축(4a)은 진폭(A)을 갖는 오버레이드 횡운동으로 경로(6)를 따라 이동되며, 그리고 치아 블록(2)의 나머지로부터 미가공된 피스(2')를 분리하지 않고 이동된다. 경로(6)는 적어도 치과 도구(4)의 직경의 절반과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진폭(A)의 절반을 합한 양만큼 균분원(5a)으로부터 떨어져 놓여있다. 진폭(A)은 경로(6)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7은 제1 가공 단계가 완료된 후 치아 블록(2)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수복물(5)의 균분원(5a) 주위의 치아 블록(2)의 나머지는 치아 블록(2)의 3개 섹션에서만 완전히 제거된다. 도 8은 제2 가공 단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도구(4)의 축(4a)은 진폭(A)을 갖는 동일한 오버레이드 횡운동으로 경로(6)를 따라 이동되며, 치아 블록(2)의 나머지로부터 미가공된 피스(2')를 분리하지 않고 이동된다. 경로(6)는 적어도 치과 도구(4)의 직경의 절반과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진폭(A)의 절반을 합한 양만큼 균분원(5a)으로부터 떨어져 놓여있다. 진폭(A)은 경로(6)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2는 제2 가공 단계가 완료된 후 치아 블록(2)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공 단계 후에, 치아 수복물(5)의 균분원(5a) 주위의 치아 블록(2)의 나머지는 보유 스터브(5b)을 제외하고 완전히 제거된다.
표시된 참조 부호들은 아래에 나열된 요소들을 나타내며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에서 참조된다.
1. 치과 도구 기계
2. 치아 블록
2' 모서리 피스
2a. 샤프트
2b. 채널
3. 캐리지 유닛
3a. 아암
3b. 샤프트
4. 치과 도구
4a. 축
5. 치아 수복물
5a. 균분원
5b. 스터브
6. 경로
A: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진폭

Claims (12)

  1. 보유 스터브(holding stub)(5b)를 갖거나 갖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완전히 균분원(equator)(5a)을 따라 치아 수복물(5)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치과 도구(4)를 사용함으로써 치아 블록(2)을 가공하는 컴퓨터-실행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실행 방법은,
    진폭(A)을 갖는 오버레이드 횡운동(overlaid lateral motion)으로 경로(6)를 따라 그리고 미가공된 피스(piece)(2')를 상기 치아 블록(2)의 나머지로부터 분리하지 않으면서, 치과 도구(4a)의 축(4a)을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6)는, 적어도 상기 치과 도구(4)의 직경의 절반과 상기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진폭(A)의 절반을 합한 양만큼 상기 균분원(5a)으로부터 떨어져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실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보유 스터브(5b)를 갖거나 갖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완전히 상기 균분원(5a)을 따라 상기 치아 수복물(5)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기 위해 상기 균분원(5a) 주위에서 상기 치과 도구(4)를 최대 1회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실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보유 스터브(5b)를 갖거나 갖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완전히 상기 균분원(5a)을 따라 상기 치아 수복물(5)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기 위해 상기 균분원(5a) 주위에서 상기 치과 도구(4)를 1회전보다 많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실행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드 횡운동의 진폭(A)은 상기 경로(6)를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실행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6)는 트로코이드(trochoid)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실행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블록(2)을 가공하기 위해 2개의 치과 도구(4)가 사용되고,
    상기 2개의 치과 도구(4)의 축들(4a)은 서로 반대 방향(z)으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보유 스터브(5b)를 갖거나 갖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완전히 상기 균분원(5a)을 따라 상기 치아 수복물(5)을 마무리하거나 예비마무리하기 위해 대응하는 경로들(6)을 따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실행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블록(2)을 가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치과 도구(4)의 측방향 표면이 사용되고, 상기 치과 도구(4)의 축(4a)은 전체 치아 블록(2) 또는 상기 치아 블록(2)의 단지 일부만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실행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치과 도구(4)는, 모서리 반경(corner radius)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원통 형상의 도구, 구 형상의 도구, 원환 형상의 도구, 원추 형상의 도구, 한정된 절삭날을 갖는 밀링 도구, 또는 비한정된 절삭날을 갖는 연마 도구 또는 이들 도구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한 형상을 갖는 도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실행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블록(2)은 세라믹, 예비소결된(pre-sintered) 세라믹, 금속, 예비소결된 금속, 플라스틱, 및/또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실행 방법.
  10. 컴퓨터-기반 치아 가공 시스템(1)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단계를 실행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11. 제10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장치.
  12. 치아 가공 시스템으로서,
    치과 도구 기계(1)
    를 포함하고, 상기 치과 도구 기계(1)는,
    치아 블록(2)의 대응하는 면을 가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치과 도구(4)를 이동 가능하게 각각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캐리지 유닛(3);
    상기 치과 도구(4)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의 치아 블록(2)을 보유하기 위한 보유 유닛
    을 포함하고,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상기 캐리지 유닛(3) 및 상기 보유 유닛의 드라이브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제어 유닛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가공 시스템.
KR1020227012134A 2019-10-08 2020-10-08 치아 수복물을 제조하기 위한 치아 블록 가공 방법 KR20220076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2011.3 2019-10-08
EP19202011.3A EP3804654B1 (en) 2019-10-08 2019-10-08 Method of machining a dental block for manufacturing a dental restoration
PCT/EP2020/078288 WO2021069596A1 (en) 2019-10-08 2020-10-08 Method of machining a dental block for manufacturing a dental resto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474A true KR20220076474A (ko) 2022-06-08

Family

ID=6824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134A KR20220076474A (ko) 2019-10-08 2020-10-08 치아 수복물을 제조하기 위한 치아 블록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54624A1 (ko)
EP (1) EP3804654B1 (ko)
JP (1) JP2022551168A (ko)
KR (1) KR20220076474A (ko)
CN (1) CN114449975A (ko)
CA (1) CA3153619A1 (ko)
WO (1) WO2021069596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55276C (en) * 1995-08-03 2005-11-01 Barry D. Dehoff A method of making a tooth mold
DE10120341B4 (de) * 2001-01-30 2005-07-14 Sirona Dental Systems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aktueller Positionsdaten eines Bearbeitungswerkzeugs
JP2009153858A (ja) * 2007-12-27 2009-07-16 Panasonic Corp 歯科用補綴物の製作装置および製作方法
DE102011004551B4 (de) * 2011-02-22 2014-05-22 Bego Medica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nzahl dentaler Restaurationen
TR201807945T4 (tr) 2016-01-29 2018-06-21 Amann Girrbach Ag Dental bir objenin üretimi için yöntem.
ES2932423T3 (es) * 2016-12-12 2023-01-19 Martin Huber Procedimiento para producir una pieza de restauración dental y máquina de mecanizado dental
JP2019076416A (ja) * 2017-10-25 2019-05-23 Dgshape株式会社 歯科用技工物の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04654B1 (en) 2023-07-26
CA3153619A1 (en) 2021-04-15
EP3804654A1 (en) 2021-04-14
WO2021069596A1 (en) 2021-04-15
JP2022551168A (ja) 2022-12-07
CN114449975A (zh) 2022-05-06
US20220354624A1 (en)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48985A1 (en) Method for Machining a Dental Prosthesis
JP6487435B2 (ja) 歯縁部を機械加工する方法、およびこの目的のために設計された機械加工ステーション
JP7224399B2 (ja) ワークの面取り加工装置、それを備えた歯加工センタ、およびワークの面取り加工装置を用いた加工方法
JP5846082B2 (ja) スカイビング加工用カッターの研削方法
US20120177456A1 (en) Method for machining a dental prosthesis
RU2613821C2 (ru) Способ шлифования конических зубчатых колес
JP6509163B2 (ja) 歯先領域における傘歯車の仕上げ加工方法、傘歯車加工用機械、及びそれに応じて設計された研削工具
CN107530802B (zh) 齿轮加工机床和方法
JPH0398715A (ja) 歯車の歯面を精密仕上げ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その方法の実施に適合した工具
JP5181703B2 (ja) 凹型フレネルレンズ形状部材の加工方法及び凹型フレネルレンズ形状部材
JPH01252316A (ja) クラウン歯車の製作及び又は仕上げ方法
JP2018524187A (ja) 加工対象物を機械加工するための研削機械および方法
JP2009184066A5 (ko)
JP2019503234A (ja) 歯科用製品の製造方法
JP7168564B2 (ja) 歯科補綴材の製造方法ならびに歯科用工作機械
KR20220076474A (ko) 치아 수복물을 제조하기 위한 치아 블록 가공 방법
JP7440216B2 (ja) 歯車の仕上げ研削加工の方法
JP2010220714A (ja) 歯科用補綴物の製作装置および製作方法
CN113784685B (zh) 用于制造牙齿替换部件的方法
JP2004209575A (ja) 加工装置
KR20210090652A (ko) 세라믹 치아 보철 부품 제작 방법, cad/cam 기계 가공 스테이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최종 강도의 치아용 세라믹으로 제조된 블랭크
JP2020040208A (ja) 加工対象物を機械加工するための研削機械および方法
KR20220088627A (ko) 세라믹 치아 보철 부품 제작 방법, cad/cam 기계 가공 스테이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최종 강도의 치아용 세라믹으로 제조된 블랭크
US20100143867A1 (en)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restoration
EP1827291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