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138A -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5138A KR20220075138A KR1020200163284A KR20200163284A KR20220075138A KR 20220075138 A KR20220075138 A KR 20220075138A KR 1020200163284 A KR1020200163284 A KR 1020200163284A KR 20200163284 A KR20200163284 A KR 20200163284A KR 20220075138 A KR20220075138 A KR 202200751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vehicle
- grip
- unit
- light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electric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2 gaso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83—Steering wheels; Gear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8—Means for plugging to the electrical power supply of the vehicle, e.g. by using cigarette lighter sock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3—Handover processes from vehicle to occup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3—Handover processes from vehicle to occupant
- B60W60/0054—Selection of occupant to assume driving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9—Steering assistants using warnings or proposing actions to the driver without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Switching between manual and automatic parameter input, and vice vers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스티어링 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은 상기 차량의 조향을 위해 운전자가 파지하는 림(Rim) 형상의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좌우 영역에 상기 그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되어,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점등하는 조명부 및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른 상기 운전자의 파지를 유도하기 위한 파지 유도 패턴과, 상기 차량 상태를 상기 운전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차량 상태 패턴으로 상기 조명부가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상태 또는 상황에 따른 운전자의 대응을 유도하거나 차량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조명부가 적용된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 제공 수단은 운전석 전방의 클러스터에 집중되어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클러스터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됨에 따라 이전에 제공하지 못했던 다양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크기가 작은 클러스터에 다량의 정보가 제공되면서, 운전자가 상기 정보를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율 주행 자동차가 개발되면서 급박한 상황에서의 운전자의 대응이 필수적이지만, 작은 클러스터로 이를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부를 스티어링 휠에 마련하여 운전자의 행동을 유도하거나, 운전자에게 명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스티어링 휠에 마련된 조명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하여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구매심을 향상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은, 상기 차량의 조향을 위해 운전자가 파지하는 림(Rim) 형상의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좌우 영역에 상기 그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되어,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점등하는 조명부; 및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른 상기 운전자의 파지를 유도하기 위한 파지 유도 패턴과, 상기 차량 상태를 상기 운전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상기 상황별로 할당된 차량 상태 패턴으로 상기 조명부가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파지 유도 패턴을 나타내도록 복수의 발광소자가 스포크와 상기 그립부가 연결되는 부분 근방에 마련되되, 상기 그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좌우측의 영역에 각각 마련되는 제1 조명부; 및 상기 차량 상태 패턴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조명부와 다른 위치와 다른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 유도 패턴은, 상기 그립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조명부를 순차적으로 제1 색상으로 점등 및 소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립부를 파지할 때, 상기 파지 유도 패턴과 다른 파지 알림 패턴으로 상기 조명부를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 알람 패턴은 상기 그립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파지 유도 패턴과 다른 색상으로 상기 조명부를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온 시,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립부를 이미 파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파지 유도 패턴과 다른 색상으로 상기 조명부를 점등 및 소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의 신호에 따른 경고 상황에서, 상기 조명부를 경고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자율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패턴을 달리하되, 상기 차량의 자율주행 중, 상기 운전자의 상기 그립부에 대한 터치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패턴 또는 색상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자율주행 중 상기 운전자가 수동 운전 모드로 변환을 한 경우, 상기 조명부를 승인 패턴을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율주행 모드의 종료가 예상되는 경우, 상기 종료 예상 시점보다 소정의 시간 이전에 상기 조명부를 파지유도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기 그립부 파지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방향 지시등과 연동하여 상기 조명부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사각지대 경고와 연동하여 상기 조명부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조명부의 점등면적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유틸리티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조명부의 발광소자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허브부분에 마련되는 제3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에 따라 상기 제3 조명부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은, 상기 차량의 조향을 위해 운전자가 파지하는 림 형상의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좌우측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되는 조명부;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른 상기 운전자의 파지를 유도하기 위한 파지 유도 패턴과, 상기 차량 상태를 상기 운전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차량 상태 패턴으로 상기 조명부가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지 유도 패턴은, 상기 조명부의 밝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주기 신호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립부를 파지할 때, 상기 조명부가 점멸하는 파지 알림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문이 개방되면 상기 조명부의 밝기가 상기 제1 주기 신호보다 느린 주기를 가지는 제2 주기 신호에 따라 변화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신호에 따른 경고 상황에서, 상기 조명부가 경고 패턴으로 점등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립부를 파지하면 상기 경고 패턴이 종료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자율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패턴을 달리하되, 상기 차량의 자율주행 중, 상기 운전자의 상기 그립부에 대한 터치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패턴 또는 색상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율주행 모드의 종료가 예상되는 경우, 상기 종료 예상 시점보다 소정의 시간 이전에 상기 조명부를 파지 유도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기 그립부 파지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그립부의 수평방향 또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스트라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은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부를 스티어링 휠에 마련하여 운전자의 행동을 유도하거나, 운전자에게 명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에 마련된 조명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하여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구매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조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원 A 영역의 부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파지 유도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원 A 영역의 부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파지 알림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조명부의 점등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기능 해제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원 A 영역의 부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충전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유틸리티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동 과정에서 조명부의 점등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모드인 차량에서 운전자의 그립부 파지에 따른 조명부의 점등 패턴 구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모드인 차량에서 자율 주행 모드 강제 해제에 따른 조명부의 점등 패턴 구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조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원 A 영역의 부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파지 유도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원 A 영역의 부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파지 알림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조명부의 점등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기능 해제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원 A 영역의 부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충전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유틸리티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동 과정에서 조명부의 점등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모드인 차량에서 운전자의 그립부 파지에 따른 조명부의 점등 패턴 구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모드인 차량에서 자율 주행 모드 강제 해제에 따른 조명부의 점등 패턴 구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조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스티어링 휠(10)은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상태 또는 차량의 상황에 따른 운전자의 대응을 유도하거나 차량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그립부(100), 조명부(200), 제어부(300), 스포크(400) 및 허브(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율 주행은 미국도로교통안전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이 정립한 Level 2부터 Level 5 단계로 분류되는 기술이 적용된 차량의 주행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미국도로교통안전국이 분류한 자율 주행 기술 단계는 Level 0부터 Level 5로 분류된다. Level 0은 비자동(No Automation) 단계로서, 운전자가 차량의 모든 운전 행위를 하는 단계이다. Level 0의 차량은 운전자가 항상 브레이크, 속도 조절, 조향 등 안전기능을 제어하고 교통 모니터링 및 안전 조작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Level 1은 운전자 보조(Driver Assistance) 단계로서,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이 운전자의 운전을 보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Level 1의 차량은 차량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 부분적으로 조향 또는 제동/가속을 보조하지만 동시에 모두를 보조하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상황을 파악하고 운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Level 2는 부분 자동화(Partial Automation) 단계로서,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 차량의 제어권을 특정 상황에서 부분적으로 행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Level 2의 차량은 차량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 일부 상황에서 조향 및 제동/가속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지만, 운전자는 교통 상황에 대해 언제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Level 3은 조건부 자동화(Conditional Automation) 단계로서, 특정 상황에 따라 차량이 운전자 대신 모든 제어권을 가지며 주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Level 3의 차량은 운전자의 요청이 있을 때, 자동 운전 시스템(ADS; Automated Driving System)을 이용하여, 운전의 모든 부분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운전자는 자동 운전 시스템이 제어권 양도 요청에 따라 언제든지 제어권을 되찾을 수 있도록 교통 상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Level 4는 고도 자동화(High Automation) 단계로서, 차량이 운전자 대신 모든 제어권을 가지며, 모든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단계일 수 있다. Level 4의 차량은 기본적으로 모든 운전과 교통 모니터링을 자동 운전 시스템이 대신 수행하고, 운전자는 교통 상황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Level 5는 완전 자동화(Full Automation) 단계로서, 자동 운전 시스템이 차량의 모든 구성을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Level 5의 차량은 운전자의 조작이 전혀 필요 없으며, 자동 운전 시스템이 모든 운전 행위를 대신한다. Level 5에서는 운전자는 단지 승객일 뿐이므로 교통 상황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전혀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그립부(100)는 차량의 조향을 위해 운전자가 파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림(Rim)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200)는 차량의 상태 또는 차량의 상황을 운전자에 알리기 위해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발광소자(201)가 그립부(100) 또는 스포크(400), 허브(500)에 마련되어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특정 패턴으로 점등할 수 있다. 운전자는 조명부(200)의 점등 패턴을 확인하여 차량의 상태 또는 차량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조명부(200)는 제1 조명부(210), 제2 조명부(220) 및 제3 조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부(210)는 사용자의 그립부(100) 파지에 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립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스포크(400)와 그립부(100)가 연결되는 제1 영역(211) 및 제2 영역(212)부분 근방으로 복수의 발광소자(201)가 서로 거리를 가지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영역(211) 및 제2 영역(212)부분 근방은 스티어링 휠(10)이 중앙 정렬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그립부(100)를 자연스럽게 잡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조명부(210)는 제3 영역(213)에도 더 마련될 수 있다. 제3 영역(213)은 제1 영역(211) 및 제2 영역(212)을 제외한 그립부(100)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영역(213)은 스티어링 휠(10)이 중앙 정렬된 상태에서 그립부(100)의 상측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조명부(210)의 형태는 각각의 발광소자(201)가 하나의 군을 이루며, 하나의 문양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명부(210)의 형태는 운전자에게 단순히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심미적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제2 조명부(220)는 차량의 상태 또는 상황에 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조명부(210)와 다른 위치와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조명부(220)는 운전자가 좌우측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그립부(100)의 좌우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조명부(230)는 차량의 주행모드에 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허브(500)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조명부(230)는 허브(500)에 마련된 조작부(60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차량의 주행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모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색상은 각 색상에 연상되는 이미지에 적합한 색상을 각 주행모드에 할당하여, 해당 주행모드의 주행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스포츠(Sports) 주행 모드’에는 빨간 계열의 색상을 할당하여 ‘스포츠 주행 모드’로 주행할 때는 활동적이며 파워있는 주행 분위기를 연출하고, ‘컴포터블(Comfortable) 주행 모드’에는 푸른 계열을 색상을 할당하여 ‘컴포터블 주행 모드’로 주행할 때는 고요하게 편안한 주행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에코(Eco) 주행 모드’에는 녹색 계열의 색상을 할당하여 자연속에서 주행하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차량의 상태 또는 차량의 상황에 따른 운전자의 대응을 유도하거나 차량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조명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태 또는 상황별로 할당된 패턴으로 조명부(200)가 점등하도록 조명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부(200)를 차량의 상황에 따른 운전자의 파지를 유도하기 위한 파지 유도 패턴과 차량 상태를 운전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차량 상태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차량에 각 지점에 마련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11,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상태 또는 차량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기초하여 조명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보조 시스템(11)은 전방 충돌방지 보조 시스템(FCA, Forward Collision-Avoidance Assist), 차로 유지 보조 시스템(LFA, Lane Following Assist), 차로 이탈방지 보조 시스템(LKA, Lane Keeping Assist),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Smart Cruise Control), 고속도로 주행 보조 시스템(HDA, Highway Driving Assist), 사각지대 충돌 경고 시스템(BCW, Blind-Spot Collision Warning), 후방 모니터 시스템(RVM, Rear View Monitor) 및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 시스템(RCCW, Rear Cross-Traffic Collision-Avoidance Assis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600)는 차량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스포크(400) 또는 허브(500)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600)에는 차량의 다양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버튼 또는 스위치가 포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자율 주행 모드 및 수동 주행 모드를 스위칭할 수 있는 버튼도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0)가 제어하는 조명부(200)의 점등 패턴은 도어-오픈 패턴, 시동-오프 패턴, 자율 주행 패턴, 단순 터치 패턴, 파지 유도 패턴, 파지 알림 패턴, 기능 해제 패턴, 주행 중 운전자 경고 패턴, 사각지대 경고 패턴, 승인 패턴, 방향 지시등 패턴, 충전 패턴 및 유틸리티 패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점등 패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리 설정된 조건에서 점등하도록 미리 할당된 패턴은 모두 가능하다.
이하, 상기 점등 패턴의 점등 색상은 일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하기에 기술된 것과 같은 색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도어-오픈 패턴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문을 열 때, 조명부(200)가 점등하는 패턴이고, 상기 시동-오프 패턴은 차량의 시동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을 끌 때, 조명부(200)가 점등하는 패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오픈 패턴과 상기 시동-오프 패턴은 서로 역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율 주행 패턴은 차량이 자율 주행 모드일 경우, 운전자에게 자율 주행 모드임을 알려 운전자의 조작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턴으로서, 제1 조명부(210)가 일정 주기를 가지며 서서히 점등하고 서서히 소등하는 것을 반복하는 패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율 주행 패턴은 푸른 색상 계열로 제1 조명부(210)가 총 6초의 주기를 가지되, 전반기 3초에 걸쳐 점등하고, 후반기 3초에 걸쳐 소등하는 패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자율 주행 패턴은 사람의 수면 호흡 주기를 차용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의 대기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단순 터치 패턴은 차량이 자율 주행 모드일 때, 운전자가 조향을 위해 그립부(100)를 파지하는 것이 아닌 그립부(100)를 단순히 터치하는 경우 제공하는 패턴으로서, 제1 조명부(210)가 상기 자율 주행 패턴의 점등 패턴과 색상을 달리하는 패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순 터치 패턴은 흰 색상으로 상기 자율 주행 패턴보다 빠른 주기를 가지며 제1 조명부(210)가 점등 및 소등하거나, 제1 영역(211)과 제2 영역(212)의 제1 조명부(210)가 동시에 점멸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원 A 영역의 부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파지 유도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의 상기 파지 유도 패턴은 운전자가 그립부(100)를 파지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점등 패턴으로서, 그립부(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조명부(200)를 순차적으로 제1 색상으로 점등 및 소등하는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상기 파지 유도 패턴은 먼저, 제1 영역(211)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1 조명부(210)의 발광소자(201) 일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발광소자(201)가 점등할 수 있다. 이후, 제1 영역(211) 양끝에 위치한 점등된 발광소자(201)부터 상기 중심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소등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명부(210)는 상기 제1 색상으로 점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영역(212)의 제1 조명부(210)도 제1 영역(211)의 제1 조명부(210)가 점등 및 소등할 때 동시에 점등 및 소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원 A 영역의 부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파지 알림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의 상기 파지 알림 패턴은 운전자가 그립부(100)를 파지하면, 차량이 운전자의 파지를 인식했다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패턴으로서, 상기 파지 유도 패턴과 다른 패턴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상기 파지 알림 패턴은 먼저, 제1 영역(211)의 양끝에 위치한 제1 조명부(210)의 발광소자(201) 일부가 주황색상으로 점등할 수 있다. 이후, 점등된 영역이 제1 영역(211)의 중심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파지 알림 패턴도 상기 파지 유도 패턴과 같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영역(212)의 제1 조명부(210)도 제1 영역(211)의 제1 조명부(210)가 점등 및 소등할 때 동시에 점등 및 소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조명부의 점등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의 상기 승인 패턴, 상기 경고 패턴 및 상기 방향 지시등 패턴은 제2 조명부(22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승인 패턴은 차량이 자율 주행 모드에서 운전자가 수동 운전 모드로 변환한 경우, 모드 변환이 승인된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패턴으로서, 제2 조명부(220)가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점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승인 패턴은 그립부(100)의 좌상측 제2 조명부(221) 및 우상측 제2 조명부(222)가 동시에 푸른 색상으로 2회 점멸하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주행 중 운전자 경고 패턴은 차량의 자율 주행 모드에서 제어부(300)가 운전자 보조 시스템(11)에 의해 긴급제동 및 충돌 상황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패턴으로서, 제2 조명부(220)가 상기 승인 패턴과 다른 색상으로 점멸할 수 있다. 예컨대, 주행 중 경고 패턴은 그립부(100)의 좌상측 제2 조명부(221) 및 우상측 제2 조명부(222)가 동시에 붉은 색상으로 2회 점멸하는 패턴일 수 있다. 제2 조명부(220)에 의한 주행 중 경고는 충돌 및 충격 상황을 미리 운전자가 인지하기 쉽도록 알려줌으로써 그립부 파지 또는 회피 등과 같은 운전자의 후속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사각지대 경고 패턴은 제어부(300)가 운전자 보조 시스템(11)에 의해 차량 외부의 사각지대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패턴으로서, 해당 사각지대 방향의 제2 조명부(220)가 상기 승인 패턴과 다른 색상으로 점멸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우측 사각지대에 대한 경고가 발생되면, 그립부(100)의 우상측 제2 조명부(222)가 붉은 색상으로 점멸할 수 있다. 제2 조명부(220)에 의한 사각지대 경고는 실내에서 외부의 사각지대에 대한 상황을 운전자에게 직관적인 경고를 제공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방향 지시등 패턴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에게 명확히 알리기 위한 패턴으로서, 그립부(100)상에서 진행할 방향으로 위치한 제2 조명부(220)가 상기 승인 패턴 및 상기 경고 패턴과 다른 색상으로 점멸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 주행 모드인 차량이 우회전을 하거나 우측 차로로 차선 변경을 할 예정이면, 그립부(100)의 우상측 제2 조명부(222)가 주황색상으로 점멸할 수 있다. 그립부(100)에 위치한 제2 조명부(220)로 수행되는 상기 방향 지시등 패턴은 클러스터상에 위치한 방향 지시등보다 운전자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차량의 방향성을 알릴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기능 해제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의 상기 기능 해제 패턴은 차량의 자율 주행 모드가 곧 해제되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려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패턴으로서, 제1 조명부(210)의 일부가 점멸할 수 있다. 예컨대, 자율 주행 모드로 주행중인 차량이 운전자 보조 시스템(11)에 의해 자율 주행 모드 강제 해제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제1 영역(211) 및 제2 영역(212)의 양 끝에 위치한 제1 조명부(210)의 발광소자(201)가 일정 주기를 가지며 점멸할 수 있다. 상기 기능 해제 패턴은 이를 인지한 운전자가 차량의 자율 주행 모드 해제에 대응하는 행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원 A 영역의 부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충전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의 상기 충전 패턴은 차량의 연료 충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연료 충전 상태에 따라 제1 조명부(210)의 점등면적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연료는 화석연료, 전기 또는 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가솔린 차량의 연료 탱크의 연료 수위에 따라 제1 조명부(210)의 점등면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전기차의 배터리의 충전전력량에 따라 제1 조명부(210)의 점등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유틸리티 패턴으로 점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의 상기 유틸리티 패턴은 차량이 유틸리티 모드로 진입한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패턴으로서 제1 조명부(210)를 이용하여 심미적인 조명 연출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틸리티 패턴은 제1 조명부(210)의 각 발광소자(201)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틸리티 패턴은 차박과 같이 차량이 장시간 정차하고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 머무를 때, 차량 내부 공간에 감성적인 분위기를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는 스티어링 휠(10)의 조명부(200) 점등이 수행되는 각각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동 과정에서 조명부의 점등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의 조명부(200)는 운전자가 차량의 문을 열면(S101), 상기 도어-오픈 패턴으로 점등(S102)할 수 있다. 차량의 시동이 켜지고(S103) 운전자가 그립부(100)를 파지하고 있지 않으면(S104), 조명부(200)는 상기 그립부 파지 유도 패턴으로 점등(S105)하여 운전자의 그립부(100) 파지를 유도할 수 있다. 운전자가 그립부(100)를 파지하면(S104), 조명부(200)는 상기 그립부 파지 알림 패턴으로 점등(S106)한 후, 상기 승인 패턴으로 점등(S107)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의 조향권이 운전자에게 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모드인 차량에서 운전자의 그립부 파지에 따른 조명부의 점등 패턴 구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의 조명부(200)는 차량이 자율 주행 모드로 진입하면, 자율 주행 패턴으로 점등(S201)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이 자율 주행 모드로 진입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가 그립부(100)를 파지하거나 터치하면(S202),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그립부(100) 접촉이 단순 터치인지 파지인지 판단하고, 파지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조명부(200)는 상기 단순 터치 패턴으로 점등(S203)하여 운전자가 그립부(100)를 건드렸다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조명부(200)는 상기 단순 터치 패턴이 종료되면, 다시 상기 자율 주행 패턴으로 점등(S201)할 수 있다.
제어부(300)가 운전자의 그립부(100) 접촉이 파지라고 판단되면, 조명부(200)는 상기 그립부 파지 알림 패턴으로 점등(S204)하여 운전자에게 그립부(100)를 파지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의 그립부(100) 파지 후, 운전자의 그립부(100) 파지에 따라 차량이 자동으로 조향권을 운전자에게 양도하거나, 운전자가 조작부(600)를 조작하여 조향권을 차량으로부터 양도(S205)받을 수 있다. 운전자에게 조향권이 양도되면, 조명부(200)는 상기 승인 패턴으로 점등(S206)하여 조향권 양도가 승인되었다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모드인 차량에서 자율 주행 모드 강제 해제에 따른 조명부의 점등 패턴 구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의 조명부(200)는 차량이 자율 주행 모드로 진입하면, 자율 주행 패턴으로 점등(S301)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이 자율 주행 모드로 진입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자율 주행 도중 운전자 보조 시스템(11)에 의해 자율 주행 모두 강제 해제 인터럽트가 발생(S302)하면, 상기 기능 해제 패턴으로 점등(S303)하여 운전자에게 곧 자율 주행 모드가 해제된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조명부(200)는 상기 파지 유도 패턴으로 점등(S304)하여 운전자의 그립부(100) 파지를 유도할 수 있다. 운전자가 그립부(100)를 파지하면(S305), 조명부(200)는 상기 그립부 파지 알림 패턴으로 점등(S306)하여 운전자에게 그립부(100)를 파지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의 그립부(100) 파지 후, 운전자의 그립부(100) 파지에 따라 차량이 자동으로 조향권을 운전자에게 양도하거나, 운전자가 조작부(600)를 조작하여 조향권을 차량으로부터 양도(S307)받을 수 있다. 운전자에게 조향권이 양도되면, 조명부(200)는 상기 승인 패턴으로 점등(S308)하여 조향권 양도가 승인되었다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앞에서 기술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10)은 그립부(1100), 조명부(1200) 및 제어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티어링 휠(1010)은 조명부(1200)를 이용하여, 파지 유도 패턴 또는 차량 상태 패턴을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의 상태 또는 차량의 상황을 시각적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부(1200)는 그립부(1100)의 좌우측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좌측 조명부(120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조명부(1200)는 그립부(1100)의 수평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로 스트라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이 서로 1열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우측 조명부(1202)는 좌측 조명부(1201)과 동일하되, 서로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조명부(120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200)는 수평 방향이 아닌 소정의 각도로 사선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300)가 제어하는 조명부(1200)의 패턴은 앞에서 기술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어-오픈 패턴, 시동-오프 패턴, 자율 주행 패턴, 단순 터치 패턴, 파지 유도 패턴, 파지 알림 패턴, 기능 해제 패턴, 주행 중 운전자 경고 패턴, 사각지대 경고 패턴, 승인 패턴, 방향 지시등 패턴, 충전 패턴 및 유틸리티 패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 유도 패턴은 조명부(1200)의 밝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주기 신호에 따라 변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주기 신호는 특정 주기를 가지는 정현파일 수 있다.
상기 도어-오픈 패턴은 조명부(1200)의 밝기가 상기 제1 주기 신호보다 느린 주기를 가지는 제2 주기 신호에 따라 변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주기 신호는 상기 제1 주기 신호보다 긴 주기를 가지는 정현파일 수 있다.
상기 파지 알림 패턴은 조명부(1200)가 점등 후 소등하는 패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파지 알림 패턴은 푸른 계열 색상 또는 흰 색상으로 1회 점멸하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주행 중 운전자 경고 패턴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1011)의 신호에 따라 조명부(1200)가 점멸을 유지하는 패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행 중 운전자 경고 패턴은 붉은 계열 색상으로 상기 운전자가 그립부(1100)을 파지할 때까지 점멸되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운전자가 그립부(1100)을 파지하면, 제어부(1300)는 상기 주행 중 운전자 경고 패턴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주행 패턴은 상기 도어-오픈 패턴과 유사하게 상기 제2 주기 신호에 따라 조명부(1200)의 밝기가 변화되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단순 터치 패턴은 조명부(1200)의 밝기가 제3 주기 신호에 따라 변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주기 신호는 상기 제1 주기 신호보다 짧은 주기를 가지는 정현파일 수 있다.
상기 단순 터치 패턴이 상기 자동 주행 패턴의 상기 제2 주기 신호보다 빠른 주기를 가지는 상기 제3 주기 패턴인 것은 상기 운전자가 그립부(1100)를 터치할 때, 차량이 차분한 호흡에서 급격한 호흡으로 바뀌는 인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차량이 잠에서 깨어나는 듯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승인 패턴은 조명부(1200)가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1회 점멸하는 패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승인 패턴은 특정 주기를 가지는 구형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은 상술된 패턴으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10)은 차량의 상황 또는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운전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차량 구성인 스티어링 휠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제공하는 알림을 운전자가 매우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운전자의 대응을 선제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자율주행이 도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운전자의 운전 부주의 사고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조명부를 이용해 차량 내부를 심미적 효과를 연출함으로써, 차량을 단순히 운송 수단이 아닌 장시간 머물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티어링 휠
11: 운전자 보조 시스템
100: 그립부 200: 조명부
201: 발광소자 210: 제1 조명부
220: 제2 조명부 230: 제3 조명부
300: 제어부 400: 스포크
500: 허브 600: 조작부
100: 그립부 200: 조명부
201: 발광소자 210: 제1 조명부
220: 제2 조명부 230: 제3 조명부
300: 제어부 400: 스포크
500: 허브 600: 조작부
Claims (24)
-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조향을 위해 운전자가 파지하는 림(Rim) 형상의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좌우 영역에 상기 그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되어,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점등하는 조명부; 및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른 상기 운전자의 파지를 유도하기 위한 파지 유도 패턴과, 상기 차량 상태를 상기 운전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차량 상태 패턴으로 상기 조명부가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파지 유도 패턴을 나타내도록 복수의 발광소자가 스포크와 상기 그립부가 연결되는 부분 근방에 마련되되, 상기 그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좌우측의 영역에 각각 마련되는 제1 조명부; 및
상기 차량 상태 패턴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조명부와 다른 위치와 다른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유도 패턴은, 상기 그립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조명부를 순차적으로 제1 색상으로 점등 및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립부를 파지할 때, 상기 파지 유도 패턴과 다른 파지 알림 패턴으로 상기 조명부를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알람 패턴은 상기 그립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파지 유도 패턴과 다른 색상으로 상기 조명부를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조향권 양도가 완료되면, 상기 조명부를 승인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온 시,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립부를 이미 파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파지 유도 패턴과 다른 색상으로 상기 조명부를 점등 및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의 신호에 따른 경고 상황에서, 상기 조명부를 경고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자율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패턴을 달리하되,
상기 차량의 자율주행 중, 상기 운전자의 상기 그립부에 대한 터치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패턴 또는 색상을 달리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자율주행 중 상기 운전자가 수동 운전 모드로 변환을 한 경우, 상기 조명부를 승인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율주행 모드의 종료가 예상되는 경우, 상기 종료 예상 시점보다 소정의 시간 이전에 상기 조명부를 파지 유도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기 그립부 파지를 유도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방향 지시등과 연동하여 상기 조명부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사각지대 경고와 연동하여 상기 조명부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조명부의 점등면적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유틸리티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조명부의 발광소자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허브부분에 마련되는 제3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에 따라 상기 제3 조명부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조향을 위해 운전자가 파지하는 림 형상의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좌우측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되는 조명부; 및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른 상기 운전자의 파지를 유도하기 위한 파지 유도 패턴과, 상기 차량 상태를 상기 운전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차량 상태 패턴으로 상기 조명부가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유도 패턴은, 상기 조명부의 밝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주기 신호에 따라 변화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립부를 파지할 때, 상기 조명부가 점멸하는 파지 알림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문이 개방되면 상기 조명부의 밝기가 상기 제1 주기 신호보다 느린 주기를 가지는 제2 주기 신호에 따라 변화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신호에 따른 경고 상황에서, 상기 조명부가 경고 패턴으로 점등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그립부를 파지하면 상기 경고 패턴이 종료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자율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패턴을 달리하되,
상기 차량의 자율주행 중, 상기 운전자의 상기 그립부에 대한 터치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패턴 또는 색상을 달리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율주행 모드의 종료가 예상되는 경우, 상기 종료 예상 시점보다 소정의 시간 이전에 상기 조명부를 파지 유도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기 그립부 파지를 유도하는 것인 스티어링 휠.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그립부의 수평방향 또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스트라이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인 스티어링 휠.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3284A KR102495703B1 (ko) | 2020-11-27 | 2020-11-27 | 스티어링 휠 |
US17/527,529 US11772553B2 (en) | 2020-11-27 | 2021-11-16 | Steering wheel |
KR1020230012417A KR102612025B1 (ko) | 2020-11-27 | 2023-01-31 | 스티어링 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3284A KR102495703B1 (ko) | 2020-11-27 | 2020-11-27 | 스티어링 휠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2417A Division KR102612025B1 (ko) | 2020-11-27 | 2023-01-31 | 스티어링 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5138A true KR20220075138A (ko) | 2022-06-07 |
KR102495703B1 KR102495703B1 (ko) | 2023-02-07 |
Family
ID=817522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3284A KR102495703B1 (ko) | 2020-11-27 | 2020-11-27 | 스티어링 휠 |
KR1020230012417A KR102612025B1 (ko) | 2020-11-27 | 2023-01-31 | 스티어링 휠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2417A KR102612025B1 (ko) | 2020-11-27 | 2023-01-31 | 스티어링 휠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772553B2 (ko) |
KR (2) | KR10249570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54825B1 (en) * | 2022-11-02 | 2023-05-23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Externally illuminated steering wheel for vehicle mode indication |
CN115709679A (zh) * | 2022-11-18 | 2023-02-24 | 科世达(上海)机电有限公司 | 一种方向盘氛围灯控制方法、相关组件及方向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786Y1 (ko) | 2008-12-29 | 2014-01-08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
JP2017218031A (ja) * | 2016-06-08 | 2017-12-14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モード切替報知装置 |
KR20180042556A (ko) * | 2016-10-18 | 2018-04-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율주행 차량의 모드 전환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90004039A (ko) * | 2017-07-03 | 2019-01-11 |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
KR20200100514A (ko) * | 2019-02-15 | 2020-08-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표시등 시스템을 구비한 조향 제어 장치 및 조향 제어 장치의 표시등을 작동시키는 방법 |
WO2020174614A1 (ja) * | 2019-02-27 | 2020-09-0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操舵操作子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82781A (ja) * | 2002-08-23 | 2004-03-18 | Honda Motor Co Ltd | 電動車両 |
KR100470786B1 (ko) | 2002-10-26 | 2005-03-10 |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엔씨 |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
DE102007052258B4 (de) * | 2006-12-21 | 2020-06-04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Intuitives Querführungs-Assistenzsystem |
DE102011076340A1 (de) * | 2011-05-24 | 2012-11-29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arnen von Verkehrsteilnehmern |
CN106132807A (zh) * | 2014-03-26 | 2016-11-16 | 日产自动车株式会社 | 车辆用信息提示装置 |
JP6319349B2 (ja) * | 2015-04-03 | 2018-05-09 | 株式会社デンソー | 情報提示装置 |
JP2018116516A (ja) * | 2017-01-19 | 2018-07-2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注意喚起装置 |
US20180336329A1 (en) * | 2017-05-19 | 2018-11-22 | Lynn Walford | Vehicle Steering Assembly |
-
2020
- 2020-11-27 KR KR1020200163284A patent/KR1024957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1-16 US US17/527,529 patent/US11772553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1-31 KR KR1020230012417A patent/KR1026120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786Y1 (ko) | 2008-12-29 | 2014-01-08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
JP2017218031A (ja) * | 2016-06-08 | 2017-12-14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モード切替報知装置 |
KR20180042556A (ko) * | 2016-10-18 | 2018-04-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율주행 차량의 모드 전환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90004039A (ko) * | 2017-07-03 | 2019-01-11 |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
KR20200100514A (ko) * | 2019-02-15 | 2020-08-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표시등 시스템을 구비한 조향 제어 장치 및 조향 제어 장치의 표시등을 작동시키는 방법 |
WO2020174614A1 (ja) * | 2019-02-27 | 2020-09-0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操舵操作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169173A1 (en) | 2022-06-02 |
KR102612025B1 (ko) | 2023-12-11 |
US11772553B2 (en) | 2023-10-03 |
KR20230022421A (ko) | 2023-02-15 |
KR102495703B1 (ko) | 2023-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12025B1 (ko) | 스티어링 휠 | |
JP6244460B2 (ja) | 自動車を自律的に運転するための運転者補助装置を操作する方法及び自動車 | |
JP6173746B2 (ja) | 車両用警報装置 | |
US11415983B2 (en) | Driving system for an automated drive with means for marking regions on the steering wheel, and corresponding method | |
US20160214483A1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driving a vehicle | |
CN111556839B (zh) | 跨骑型车辆 | |
CN107000760A (zh) | 车辆控制设备、车辆控制方法和程序 | |
JP2016510286A (ja) | ハンドル搭載型指示システム | |
CN105835760B (zh) | 车辆及其超车提醒方法 | |
WO2019058845A1 (ja) | 操作状況検出装置 | |
US20240067202A1 (en) | Control system and associated motor vehicle | |
CN105023448A (zh) | 一种路口行车提醒方法、装置及车辆 | |
JP6530497B2 (ja) | 自動二輪車および自動二輪車のライト点灯装置 | |
CN206155174U (zh) | 一种驾驶室翻转保护电路以及汽车 | |
AU2020266877B2 (en) | Improved traffic light assembly | |
JP2013060070A (ja) | 非常用制動システム | |
KR20180136851A (ko) | 운전자 졸음상태표시장치 및 그 방법 | |
CN206704066U (zh) | 车辆方向灯及警示灯联控装置 | |
KR101363706B1 (ko) | 주행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레저 장비용 헬멧 장치 | |
CN113246847A (zh) | 一种车灯控制方法及系统 | |
JP2022023621A (ja) | 車両用報知装置 | |
CN109693674A (zh) | 基于驾驶人员状态识别的自动驾驶切换方法 | |
CN207015251U (zh) | 一种汽车紧急制动危险警报系统 | |
EP2813396A2 (en) | Vehicle light system | |
JP3215978U (ja) | 緊急停止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