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457A -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 Google Patents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457A
KR20220069457A KR1020200156590A KR20200156590A KR20220069457A KR 20220069457 A KR20220069457 A KR 20220069457A KR 1020200156590 A KR1020200156590 A KR 1020200156590A KR 20200156590 A KR20200156590 A KR 20200156590A KR 20220069457 A KR20220069457 A KR 20220069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bottle
pot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589B1 (ko
Inventor
김권수
Original Assignee
에스피에프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피에프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피에프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5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70Harves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8Cultivation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80Accessories for use after harvesting, e.g. scrapers

Abstract

본 발명은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버섯의 투입, 탈병, 커팅, 배출 작업이 턴테이블 방식으로 연속 공정에 의해 자동으로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어 필요 인력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하고, 특히, 파트별 작동타임을 평준화함에 따라 전체 사이클 타임 단축으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포트병의 탈병 작업과 버섯의 뿌리 부분의 절단 작업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상품가치와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등각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어 성장한 버섯이 담긴 포트병을 등각 회전 이동시키는 버섯홀더부가 구비된 턴테이블 어셈블리와; 상기 버섯홀더부가 회전 정지되는 일 지점의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이 배지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탈병유닛과; 상기 버섯홀더부가 회전 정지되는 다른 일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탈병유닛에 의해 탈병 처리된 상기 버섯의 뿌리 부분을 커팅 처리하는 커팅유닛과; 상기 포트병을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에 순차적으로 개별 공급하기 위한 투입컨베이어와,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에서 버섯이 탈병 처리된 상태의 빈 포트병을 회수하기 위한 반출컨베이어가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Automatic devices for harvesting mushroom in a bottle}
본 발명은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버섯의 투입, 탈병, 커팅, 배출 작업이 턴테이블 방식으로 연속 공정에 의해 자동으로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어 필요 인력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하고, 특히, 파트별 작동타임을 평준화함에 따라 전체 사이클 타임 단축으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포트병의 탈병 작업과 버섯의 뿌리 부분의 절단 작업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상품가치와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섯은 항암, 고혈압완화, 간염 및 동맥경화 예방 등의 효과가 입증된 인기 있는 건강식으로서, 버섯소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버섯산업은 이에 맞춰 성장하고 있으며 버섯재배 방법은 점점 현대화·자동화되는 추세에 있다.
버섯재배 방법에는 원목재배, 균상재배, 상자재배, 봉지재배, 병재배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병재배라 함은 플라스틱으로 만든 850 ~ 1100cc의 병모양 용기에 톱밥을 주재료로 하여 영양원인 면실박, 비트펄프, 쌀겨, 밀기울 등을 배합하여 입병, 살균, 접종, 배양, 생육 등 여러 단계를 자동화 기계작업으로 수행하고 공조시설이 구비된 실내에서 인위적으로 환경을 조절하여 고품질의 버섯을 양산하는 집약적인 재배방법으로서 버섯 재배농가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현재 병재배에서 수확작업을 제외한 전 과정이 자동화되어 있고, 수확작업만이 작업자가 직접 한손으로 버섯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병을 잡아 돌려 빼면서 이루어진다. 순수하게 인력으로만 이루어지는 버섯 수확작업은 작업 효율이 극히 낮을 뿐만 아니라 반복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손목, 어깨 등에 피로가 쌓여 작업시간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병버섯을 탈병 처리하거나, 버섯의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는 버섯 가공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특허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9781호(2011.06.01. 등록) “버섯 배지 탈병장치”와 같은 기술에서는 포트병이 수납된 바스켓의 상하면을 반전시키면서 연속적으로 탈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7881호(2010.07.08. 공개)호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와 같은 기술에서는 재배용 상자에 담긴 포트병에서 버섯을 배지로부터 절단하고, 절단된 버섯을 뽑아올린 후 수확상자에 담아 이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탈병 작업과 커팅 작업이 파트별로 이루어지면서 바스켓에 다수의 포트병이 수납된 상태로 다수의 포트병이 동시에 커팅 처리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바스켓 단위로 작업을 하기 위한 이송이 불편하고, 각 포트병에서의 버섯 커팅 상태가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버섯의 탈병 작업과 커팅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9781호 : 버섯 배지 탈병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7881호 :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턴테이블 어셈블리 장치에 의해 포트병을 회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버섯의 탈병, 커팅, 배출 작업이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져 컨베이어 이송에 따른 반복적인 버섯 가공 및 생산 사이클의 타임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필요 인력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병 및 커팅 작업을 위해 다수의 버섯 포트병이 배열되어 수납된 트레이가 컨베이어를 통해 일정 대기위치로 자동 이송되도록 한 후, 대기중인 트레이에서 다수의 포트병을 일괄적으로 공중 이송되게 함으로써 트레이에 담겨 이송되는 다수의 포트병의 이송 작업까지 자동화 공정으로 처리되어 생산능률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트레이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하여 작업 공간의 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트병의 탈병 작업과 버섯의 뿌리 부분의 절단 작업이 개별적으로 연속 공정에 의해 이루어져 정확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상품가치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등각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어 성장한 버섯이 담긴 포트병을 등각 회전 이동시키는 버섯홀더부가 구비된 턴테이블 어셈블리와; 상기 버섯홀더부가 회전 정지되는 일 지점의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이 배지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탈병유닛과; 상기 버섯홀더부가 회전 정지되는 다른 일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탈병유닛에 의해 탈병 처리된 상기 버섯의 뿌리 부분을 커팅 처리하는 커팅유닛과; 상기 포트병을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에 순차적으로 개별 공급하기 위한 투입컨베이어와,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에서 버섯이 탈병 처리된 상태의 빈 포트병을 회수하기 위한 반출컨베이어가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는, 상기 버섯홀더부는, 상기 회전판에 등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신축 작동에 따라 상호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작동되어 상기 버섯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고 정해진 위치에 버섯을 놓아 떨어트리는 한 쌍의 핑거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는, 상기 탈병유닛을 통해 탈병 처리되기 직전 상태에서 상기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사이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는, 상기 이송부는, 상기 포트병 다수개가 행과 열을 이루게 담긴 트레이가 정해진 투입대기위치 및 회수대기위치에서 일정 시간 대기하며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버섯이 탈병 처리된 상태의 빈 포트병이 채워진 경우 상기 트레이를 이송 배출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투입컨베이어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트병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에 순차적으로 개별 공급되게 상기 투입컨베이어로 상기 포트병을 일렬로 배치하는 투입대기유닛과, 상기 반출컨베이어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로부터 배출되는 빈 포트병을 행과 열을 이루게 수집하는 회수대기유닛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는,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입대기위치에서 상기 트레이에 담긴 상기 다수의 포트병을 일괄적으로 공중 이송하여 상기 투입대기유닛에 공급하고, 상기 회수대기유닛에 수집된 다수의 빈 포트병을 공중 이송하여 상기 회수대기위치에서 대기중인 상기 트레이에 일괄적으로 적재하는 공중이송 어셈블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는,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버섯홀더부가 회전 정지되는 일 지점의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승하강이동판과, 상기 승하강이동판에 결합되어 상기 버섯홀더부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버섯을 파지하는 한 쌍의 제3 핑거와, 선단부에 전후진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에 의해 파지된 상태의 상기 버섯의 뿌리 부분을 커팅하는 커터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는 버섯의 탈병, 커팅, 배출 작업이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져 버섯의 수확 작업까지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컨베이어 이송에 따른 반복적인 버섯 가공 및 생산 사이클의 타임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필요 인력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는 트레이에 수납된 상태의 포트병들의 이송 작업이 자동화 공정으로 처리되어 생산능률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트레이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하여 작업 공간의 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는 포트병의 탈병 작업과 버섯의 뿌리 부분의 절단 작업이 개별적으로 연속 공정에 의해 이루어져 정확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상품가치가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주요 구성을 보이기 위한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버섯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버섯홀더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탈병유닛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저면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탈병유닛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커팅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이송부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공중이송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예를 보이기 위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주요 구성을 보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버섯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버섯홀더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탈병유닛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저면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탈병유닛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커팅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이송부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의 공중이송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예를 보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1)는, 베이스프레임(10), 턴테이블 어셈블리(20), 탈병유닛(30), 에어분사유닛(40), 커팅유닛(50), 이송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은(10) 수직베이스프레임과 수평베이스프레임 다수개가 결합되어 일정 크기의 틀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후술되는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 상기 탈병유닛(30), 상기 에어분사유닛(40), 상기 커팅유닛(50) 및 상기 이송부(60)가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는 하부베이스프레임(11)과, 상기 공중이송 어셈블리(70)가 설치될 수 있는 상부베이스프레임(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는 본 발명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1)를 통해 성장한 버섯이 담긴 다수의 포트병(B)에서 상기 버섯을 배지로부터 분리하는 탈병 작업과 버섯의 뿌리 부분을 커팅 처리하는 커팅 작업 및 커팅 처리된 버섯을 배출하는 배출 작업이 연속 공정으로 처리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상기 하부베이스프레임(11) 상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는 구동모터(21)와, 회전판(22)과, 버섯홀더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모터(21)는 상기 회전판(22)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판(22)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회전판(22)은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축(21a)에 직결 또는 구동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 작동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판(22)이 정해진 등간격만큼 일방향으로 등각 회전된다.
상기 버섯홀더부(23)는 상기 회전판(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22)과 함께 등각 회전되며 일측으로 투입된 상기 포트병(B)의 버섯을 홀딩하여 등각 회전 이동시키면서 버섯의 탈병, 커팅 및 배출 작업에 필요한 구성이다.
이에, 상기 버섯홀더부(23)는 제1 작동실린더(231)와, 제1 작동판(232)과, 제1 좌우이동판(233)과, LM가이드(234)와, 한 쌍의 제1 핑거(235) 및 보조홀더(2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는 상기 회전판(22)의 상방에서 방사상 방향을 향하도록 복수개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가 상기 회전판(22)의 상방에 등각 배치된다.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는 상기 회전판(22)의 중앙을 기준으로 네 개의 작동실린더(231)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작동실린더(231) 로드가 방사상 방향으로 출몰될 수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는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22)이 회전 정지되는 일 지점에서 항상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작동판(232)은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 각각에 대응하는 개수인 네 개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상기 제1 작동판(232)은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의 로드 말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가 전후진 출몰됨에 따라 함께 전후진 왕복이동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1 작동판(232)은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232a)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232a)는 후술되는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이 상기 제1 작동판(232)의 전후진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은 후술되는 상기 한 쌍의 핑거(234)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와 같은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은 양측에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의 로드가 출몰되는 방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의 가이드홈(233a)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에,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은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에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작동판(232)이 전후진 이동한 경우 상기 가이드홈(233a)이 상기 제1 작동판(232)의 가이드롤러(232a)에 걸려 슬라이딩되면서 한 쌍으로 구성된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의 상호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된다.
즉,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의 작동으로 상기 제1 작동판(232)이 전진 이동한 경우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의 간격이 상호 벌어지고, 상기 제1 작동판(232)이 후진 이동한 경우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의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섯홀더부(23)는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의 전후진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좌우이동판(233)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동 작동된다.
상기 LM가이드(234는)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의 이동이 좌우 방향으로 제한되게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LM가이드(234)는 상기 제1 작동판(232)이 좌우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상기 LM가이드(234)와 연결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LM가이드(234)는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에 대응하는 위치 하부측에 각각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이 일정 길이만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즉, 상기 LM가이드(234)은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의 로드가 전후진 출몰되는 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의 전후진 운동에 따라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이 좌우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는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 즉, 상기 버섯홀더부(23)로 투입되는 상기 포트병(B)의 버섯을 홀딩하여 회전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가 상기 포트병(B)을 파지하지 않고, 상기 포트병(B)의 상단부로 돌출된 버섯의 둘레를 감싸도록 파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는 상호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호 간격이 좁혀지며 서로 맞닿은 경우 상기 포트병(B)에 자란 버섯의 둘레가 감싸질 수 있는 원형이나 타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는 상기 한 쌍의 제1 좌우이동판(233)의 선단부에 각각 연결되거나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 각각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는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상기 제1 좌우이동판(233)과 함께 좌우로 상호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면서 상기 포트병(P)을 홀딩 또는 홀딩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제1 핑거(235)는 상기 회전판(22)이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호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제1 작동판(232)이 후퇴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22)이 회전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버섯홀더부(23)가 총 네 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판(22)의 등각 회전으로 일주하는 동안 네 개의 지점 즉, 투입 지점(P1), 탈병 지점(P2), 커팅 지점(P3) 및 배출 지점(P4)을 연속하여 순환하게 된다.
즉, 상기 투입 지점(P1)은 후술되는 상기 이송부(60)의 투입컨베이어(61)를 통해 공급되는 포트병(P)이 상기 버섯홀더부(23)로 투입되는 지점이고, 상기 탈병 지점(P2)은 상기 투입 지점(P1)에서 핸들링되어 이송된 상기 포트병(P)을 버섯과 분리시키는 탈병 처리하는 지점이며, 상기 커팅 지점(P3)은 상기 탈병 지점(P2)에서 탈병 처리된 상태로 핸들링되어 이송된 버섯의 뿌리 부분을 커팅 처리하는 지점이고, 상기 배출 지점(P4)은 커팅 처리된 버섯을 외부로 배출하여 인접한 주변으로 별도 설치될 수 있는 포장가공라인(도면 미도시)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지점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판(22)이 상기 투입 지점(P1), 탈병 지점(P2), 커팅 지점(P3) 및 배출 지점(P4)에서 각각 회전 정지할 수 있도록 회전 감지를 위한 감지센서(S)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감지센서(S)는 상기 버섯홀더부(23)가 상기 투입 지점(P1), 탈병 지점(P2), 커팅 지점(P3) 및 배출 지점(P4)에 각각 도착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60)를 통해 상기 포트병(B)은 상기 투입 지점(P1)을 통해 상기 버섯홀더부(23)로 투입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투입 지점(P1)으로 투입되는 상기 포트병(B)은 상호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의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 하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포트병(B)이 상기 버섯홀더부(23)로 투입된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는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와 연동하여 상호 간격이 좁혀진 경우 상기 포트병(B)을 홀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가 상기 포트병(B)의 상단부로 돌출된 버섯 뭉치의 둘레 부분을 감싸도록 홀딩하게 된다. 즉, 상기 포트병(B)의 배지와 버섯이 일체로 성장한 상태에서 상기 버섯 부분을 감싸도록 파지한 경우 경량의 상기 포트병(B)이 상기 버섯홀더부(23)를 통해 핸들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는 탈병 작업과 커팅 작업을 위한 상기 탈병 지점(P2) 및 상기 커팅 지점(P3)까지는 버섯의 홀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배출 지점(P4)에서 홀딩 해제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1)는 성장한 버섯이 자란 상태로 연속되어 공급되는 상기 포트병(B)의 탈병 작업과 버섯의 커팅 작업이 순차적으로 연속되게 진행됨으로써 생산 사이클의 타임 단축으로 작업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보조홀더(236)는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에 의해 버섯과 함께 핸들링되는 상기 포트병(B)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보조홀더(236)는 상기 포트병(B)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호형의 지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2)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포트병(B)이 측면 방향으로 크게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탈병유닛(30)은 상기 버섯홀더부(23)가 회전 정지되는 일 지점의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이 배지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포트병(B)을 탈병 처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투입 지점(P1)에서 상기 탈병 지점(P2)으로 핸들링되는 상기 포트병(B)을 버섯과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탈병유닛(30)은 지지프레임(31)과, 승하강구동부(32)와, 가이드부(33)와, 슬라이딩이동부(34)와, 제2 작동실린더(35)와, 제2 작동판(36)과, 제2 좌우이동판(37) 및 한 쌍의 제2 핑거(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a 및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프레임(31)은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의 버섯홀더부(23)가 회전 정지되는 지점 즉, 상기 탈병 지점(P2)의 맞은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1)은 소정 높이의 내부공간을 이루도록 다수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최상단부에는 평탄면을 이루는 고정판(31a)이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구동부(32)는 상기 지지프레임(31)의 중앙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상기 가이드부(33) 및 상기 슬라이딩이동부(34)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승하강구동부(32)는 상기 지지프레임(31)의 고정판(31a)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된 승하강실린더(3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승하강실린더(321)는 로드가 하방 즉, 상기 지지프레임(31)의 내부공간을 항햐여 일정 길이만큼 출몰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3)는 후술되는 상기 슬라이딩이동부(34)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승하강구동부(32)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승하강 왕복이동되게 결합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의 상기 가이드부(33)는 상기 승하강실린더(321)의 로드 말단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331)과,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블록(331)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31a)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가이드되는 가이드포스트(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록(331)은 상기 승하강실린더(321)의 로드 말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실린더(321)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 왕복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블록(331)은 후술되는 상기 슬라이딩이동부(34)와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슬릿이 양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슬릿은 상기 가이드블록(331)과 상기 버섯홀더부(23)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블록(331)이 소정 두께를 갖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후술되는 상기 슬라이딩이동부(34)의 무게가 경량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를 지탱할 수 있는 정도의 일정 두께로 얇고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블록(331)은 상기 버섯홀더부(23)를 통해 핸들링되는 상기 포트병(B)의 상단부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포스트(332)는 상기 고정판(31a)에 일정 높이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중공형 가이드홀을 다라 슬라이딩 가이드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고정판(31a)에는 상기 가이드홀이 상기 승하강실린더(321)를 중심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되어 상기 승하강구동부(321)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포스트(332)가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331)은 상기 승하강실린더(321)의 작동으로 상기 지지프레임(31)의 내측공간에서 상하로 안정적으로 승하강 왕복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이동부(34)는 가이드부(33)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맞은 편에 위치하는 상기 버섯홀더부(23)를 향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왕복이동되어 후술되는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가 상기 버섯홀더부(23)를 향하여 전후진 왕복이동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슬라이딩이동부(34)는 전후이동판(341)과, 전후이동작동실린더(342) 및 가이드레일(3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341)은 상기 가이드블록(33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즉, 상기 전후이동판(341)은 상기 가이드블록(331)의 가이드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버섯홀더부(23)와 대향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후이동작동실린더(342)는 상기 전후이동판(341)이 슬라이딩 왕복이동되게 작동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전후이동작동실린더(342)는 상기 전후이동판(341)에 연결되어 상기 전후이동판(341)이 상기 버섯홀더부(23)을 마주보는 방향에서 전후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343)은 상기 전후이동판(341)이 상기 가이드블록(33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가이드레일(343)은 상기 가이드블록(331) 저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동판(341)이 상기 버섯홀더부(23)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레일(343)은 LM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탈병유닛(30)은 상기 제2 작동실린더(35)와, 상기 제2 작동판(36)과, 상기 제2 좌우이동판(37) 및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가 상기 버섯홀더부(23)와 대동소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작동실린더(35)와, 상기 제2 작동판(36)과, 상기 제2 좌우이동판(37) 및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의 구성이 상기 버섯홀더부(23)의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 제1 작동판(232), 제1 좌우이동판(233), 및 한 쌍의 제1 핑거(235)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버섯홀더부(23)와 같은 작동 원리로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7)의 상호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좌우이동판(37)은 상기 전후이동판(341)의 저부에 설치될 수 있는 LM가이드에 연결되어 이동이 좌우 방향으로 제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작동실린더(35)에 의해 상기 제2 작동판(36)이 전후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 좌우이동판(37)은 상호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좌우로만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버섯홀더부(23)가 버섯을 홀딩하여 핸들링하는 기능을 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에 반해 상기 탈병유닛(30)에서의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는 상기 포트병(B)을 하방으로 밀어 낙하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작동실린더(35)는 상기 전후이동판(341)의 저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작동판(36) 및 상기 제2 좌우이동판(37)은 상기 제2 작동실린더(35)에 연동하여 전후진 왕복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작동판(36) 및 상기 제2 좌우이동판(37)은 상기 제2 작동실린더(35)의 전후진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의 상호 간격이 멀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기 제2 작동판(36) 및 상기 제2 좌우이동판(37)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버섯홀더부(23)의 제1 작동판(232) 및 제2 좌우이동판(233)과 동일한 구조 및 원리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는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와 같이 상호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호 간격이 좁혀지며 서로 맞닿거나 모아진 경우 상기 포트병(B)의 둘레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이나 타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가 원형을 이루도록 서로 맞닿은 경우 그 내경의 크기가 상기 포트병(B)의 상단 개구부의 외경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가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모아진 상태에서 상기 포트병(B)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눌러 상기 포트병(B)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가 상기 탈병 지점(P2)에서 상기 버섯홀더부(23)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상기 포트병(B)의 버섯 뭉치의 둘레를 가압하여 버섯의 탈병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가 상기 포트병(B)을 하방으로 직접 눌러 상기 버섯홀더부(23)에 파지된 상태의 버섯 뭉치가 상기 포트병(B)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작동실린더(35)와, 상기 제2 작동판(36) 및 상기 제2 좌우이동판(37)의 연동 작동으로 상호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작동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는 상기 탈병 지점(P2)으로 핸들링되어 멈춘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상기 포트병(B)의 상방으로 전진 이동하는 경우 상호 간격이 벌려진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는 계속하여 상기 포트병(B)의 개구부로 돌출된 버섯 뭉치 방향 외측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 작동실린더(35)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 상호간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가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버섯 뭉치 둘레부를 감싸면서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는 상기 승하강구동부(32)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버섯 뭉치를 가압함과 동시에 일정 높이만큼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한 쌍의 핑거(38)는 상호 간격이 좁혀진 상태에서 하강함에 따라 상기 포트병(P)의 상단부를 누르면서 하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포트병(B)의 상단부 개구부로 돌출된 버섯의 뿌리 부분이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에 의해 압착되고, 이때, 상기 포트병(B)의 내부에 담긴 배지와 서로 붙어있는 버섯의 뿌리 부분 즉, 버섯 뭉치 부분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트병(B)의 배지로부터 분리된 버섯 뭉치 부분은 상기 버섯홀더부(23)에 의해 계속 홀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버섯 뭉치로부터 떨어지며 하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낙하하는 상기 포트병(B)은 후술되는 상기 이송부(60)에 의해 정해진 위치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탈병유닛(30)은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를 통해 상기 탈병 지점(P2)으로 핸들링된 포트병(B)에서 버섯을 배지로부터 분리하는 탈병 작업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실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1)는 상기 탈병유닛(30)을 통해 탈병 처리되기 직전 상태에서 상기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사이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에어분사유닛(40)은 상기 탈병유닛(30)에 의해 버섯의 탈병 처리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사이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가 버섯 뭉치 부분을 가압하는 경우 버섯의 뿌리와 배지 부분이 서로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에어분사유닛(40)은 상기 탈병유닛(30)을 통한 탈병 처리 과정에서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의 촘촘한 이음 부분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버섯의 뿌리 부분의 이격이 발생되거나 배지 부분이 버섯의 뿌리 부분으로부터 일부분 우선적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분사유닛(40)이 제3 작동실린더(41) 및 에어노즐(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작동실린더(41)는 상기 탈병유닛(30)과 같이 상기 버섯홀더부(23)가 회전 정지되는 일 지점 즉, 상기 탈병 지점(P2)의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제3 작동실린더(41)는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연결브라켓 등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제3 작동실린더(41)는 상기 버섯홀더부(23)에 홀딩된 상태로 상기 탈병 지점(P2)에 대기하고 있는 상기 포트병(B) 방향으로 로드가 전후진 출몰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에어노즐(42)은 상기 제3 작동실린더(41)의 로드 말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작동실린더(41)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 왕복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노즐(42)은 별도의 에어공급라인에 연결되어 고압의 에어가 선단부의 에어배출구를 통해 분사되는데, 이때 상기 에어노즐(42)은 전진 이동한 상태에서 선단부가 상기 포트병(B) 내부의 배지와 버섯뭉치 사이의 위치까지 삽입되어 에어가 분사되고, 에어 분사후 대기 상태가 되도록 곧바로 후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에어분사유닛(40)은 하방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에어노즐(42)의 선단부가 상기 포트병(B)에서 자란 버섯의 상방으로 삽입되지 않고 버섯뭉치의 상부측 측면에서 하방을 향하여 대각선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분사유닛(40)은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의 버섯홀더부(23)를 통해 상기 탈병 지점(P2)으로 핸들링된 버섯이 상기 탈병유닛(30)에 의해 탈병 처리되는 과정에서 서로 달라붙어 있는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부분이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1)는 상기 탈병유닛(30) 및 상기 에어분사유닛(40)의 상호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상기 포트병(P)으로부터의 버섯의 탈병 처리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커팅유닛(50)은 상기 버섯홀더부가 회전 정지되는 다른 일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탈병유닛에 의해 탈병 처리된 상기 버섯의 뿌리 부분을 커팅 처리하는 구성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커팅유닛(50)은 승강구동실린더(51)와, 승하강이동판(52)과, 제3 작동실린더(53)와, 제3 작동판(54)과, 제3 좌우이동판(55)과, 한 쌍의 제3 핑거(56)와, 전후진구동실린더(57) 및 커터날(5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유닛(50)은 상기 탈병유닛(30)과 같이 상기 제3 작동실린더(53)와, 상기 제3 작동판(54)과, 상기 제3 좌우이동판(55) 및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가 상기 버섯홀더부(23)와 대동소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3 작동실린더(53)와, 상기 제3 작동판(54)과, 상기 제3 좌우이동판(55) 및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의 구성이 상기 버섯홀더부(23)의 상기 제1 작동실린더(231), 제1 작동판(232), 제1 좌우이동판(233) 및 한 쌍의 제1 핑거(235)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버섯홀더부(23)와 같은 작동 원리로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7)의 상호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커팅유닛(50)은 상기 제3 작동실린더(53)와, 상기 제3 작동판(54)과, 상기 제3 좌우이동판(55) 및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버섯홀더부(23)의 제1 작동실린더(231), 제1 작동판(232), 제1 좌우이동판(233) 및 한 쌍의 제1 핑거(235)의 연동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팅유닛(50)은 상기 탈병유닛(30)과 같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상기 커팅유닛(50)은 하방에 상기 승강구동실린더(51)가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방에는 상기 승강구동실린더(51)에 의해 승강되는 상기 승하강이동판(52)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이동판(52)은 다수의 지지포스트(521)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실린더(51)의 작동에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작동실린더(53)와, 상기 제3 작동판(54)과, 상기 제3 좌우이동판(55) 및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는 상기 승하강이동판(52)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되는데, 이때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는 하강한 상태에서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며 대기모드이고, 상기 승하강이동판(52)과 함께 일정 높이로 상승한 경우 상기 제3 작동실린더(53)의 작동에 따라 상호 간격이 좁혀지며 상기 버섯홀더부(23)에 의해 홀딩된 상태의 버섯뭉치 부분을 이중으로 홀딩하여 보다 안정적인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후진구동실린더(57)는 상기 커터날(58)을 전후진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커터날(58)은 선단부가 예리하게 형성되고 후단부가 상기 전후진구동실린더(57)에 결합되게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전후진구동실린더(57)는 상기 승하강이동판(52)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터날(58)이 상기 버섯홀더부(23)와 마주하는 방향에서 출몰될 수 있게 작동되고, 상기 승하강이동판(52)의 승강 이동에 따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터날(58)은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가 상기 버섯뭉치를 홀딩한 상태에서 전진하여 버섯의 뿌리부분을 커팅하게 된다. 즉,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에서 상기 버섯홀더부(23)가 상기 커팅 지점(P3)에 도착한 경우 상기 승하강이동판(52)이 일정 높이로 상승하고, 이어서 상기 커터날(58)이 상기 전후진구동실린더(57)의 작동에 의해 전진하며 버섯의 뿌리 부분을 일정 길이만큼 커팅 처리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버섯뭉치를 홀딩하기 위한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가 상기 버섯홀더부(23)의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의 하부로 소정 높이만큼 낮게 위치되어 상기 버섯뭉치를 홀딩하고, 상기 커터날(58)은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 하부에 거의 맞닿거나 가깝게 전후진 출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 및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에 의해 상기 버섯뭉치의 움직임을 최소화한 상태로 버섯의 뿌리 부분 중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와 가장 가까운 부분을 커팅하여 본 발명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1)를 이용한 커팅 처리 작업이 매우 정확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팅유닛(50)은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에 의해 상기 버섯뭉치가 안정적으로 홀딩된 상태에서 선단부가 예리하게 다듬어진 상기 커터날(58)이 상기 버섯홀더부(23)와 마주하는 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출몰되며 버섯의 뿌리 부분을 커팅 처리하는 작업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 공정으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팅유닛(50)의 상기 제3 작동판(54)은 상기 탈병유닛(30)의 상기 제2 좌우이동판(37)과 같이 저부에 설치될 수 있는 LM가이드에 연결되어 이동이 좌우 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작동실린더(53)에 의해 상기 제3 작동판(54)이 전후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3 좌우이동판(55)이 좌우로만 이동가능하게 작동되며 상호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좌우이동판(55)에 연동하는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56)는 상기 커팅 지점(P3)에 도착한 상기 버섯홀더부(23)와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버섯뭉치를 정확하게 홀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부(60)는 다수의 포트병(P)이 행과 열을 이루게 담긴 트레이(T)가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로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베이스프레임(11)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는 투입컨베이어(61)와, 반출컨베이어(62)와, 이송컨베이어(63)와, 배출컨베이어(64)와, 투입대기유닛(65) 및 회수대기유닛(6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컨베이어(61)는 상기 포트병(P)을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에 순차적으로 개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투입컨베이어(61)는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의 상기 투입 지점(P1)으로 버섯이 담긴 상기 포트병(P)이 상기 버섯홀더부(23)로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투입 지점(P1)으로 이어지게 일정 길이만큼 길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투입컨베이어(61)는 상기 포트병(P)이 상기 한 쌍의 제1 핑거(235)를 향하여 마주하는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게 상기 투입 지점(P1)에서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의 중심 부분을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출컨베이어(62)는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에서 버섯이 탈병 처리된 상태의 빈 포트병을 회수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반출컨베이어(62)는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에서 탈병 및 커팅 처리된 상기 포트병(P)이 상기 배출 지점(P4)을 통해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 지점(P4)에서 포트병을 탈병 처리하는 상기 탈병유닛(30)의 외측으로 이웃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탈병유닛(80)의 상기 한 쌍의 제2 핑거(38)에 의해 버섯과 분리되어 낙하하는 상기 포트병(B)이 안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63)는 다수의 상기 포트병(P)이 행과 열을 이루게 담긴 상기 트레이(T)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63)는 다수의 상기 트레이(T)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는 크기의 바람직한 이동 길이와 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이송컨베이어(63)는 벨트형 컨베이어 또는 롤러형 컨베이어 등 다양한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3)에 의해 상기 트레이(T)가 정해진 투입대기위치(S1) 및 회수대기위치(S2)에서 일정 시간 대기하며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는, 후술되는 공중이송 어셈블리(70)를 통해 상기 트레이(T)에 담긴 다수의 포트병(P)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와 인접한 주변으로 공중이송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이송컨베이어(63)는 상기 다수의 트레이(T)가 순차적으로 연속 공급되는 투입라인(631)과, 상기 투입라인(631)을 통해 공급된 상기 트레이(T)가 정해진 투입대기위치(S1)로 이동되고, 상기 투입대기위치(S1)에서 상기 포트병(P)이 비워진 상태의 상기 트레이(T)가 정해진 회수대기위치(S2)로 이동되는 운반대기라인(632)으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컨베이어(64)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3)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버섯이 탈병 처리된 상태의 빈 포트병이 채워진 경우 상기 트레이(T)를 이송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배출컨베이어(64)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3)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3)의 상기 투입라인(631), 운반대기라인(632), 상기 배출컨베이어(64)의 순서대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이때 상기 배출컨베이어(64)가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와 가장 가깝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투입라인(631), 운반대기라인(632), 상기 배출컨베이어(64) 사이에는 각각 칸막이가 설치되어 상기 투입라인(631), 운반대기라인(632)의 정해진 위치 즉, 상기 투입대기위치(S1) 및 회수대기위치(S2)에서만 다른 칸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60)에서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T)는 상기 투입라인(631)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순차적으로 진입하고, 길이방향의 타측에서 상기 운반대기라인(632)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투입라인(631) 및 상기 운반대기라인(632)에는 순차적으로 연속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T)가 정해진 일정 위치에서 대기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631a,632a) 및 푸쉬바(631b,63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31a,632a) 상기 투입라인(631) 및 상기 운반대기라인(632)을 따라 정해진 위치 곳곳에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T)가 투입라인(631) 및 상기 운반대기라인(632)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트레이가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이송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트레이(T)가 상기 투입라인(631)에서 상기 운반대기라인(632)으로 칸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투입라인(631)의 컨베이어가 작동되는 경우 후방에서 따라오는 다른 트레이가 일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스토퍼(631a,632a)는 상기 투입라인(631) 및 상기 운반대기라인(632)의 하부 즉, 상기 컨베이어 벨트 사이로 출몰되게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설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푸쉬바(631b,632b)는 상기 트레이(T)가 상기 투입라인(631)에서 상기 운반대기라인(632)으로 칸을 이동하거나, 상기 운반대기라인(632)에서 상기 배출컨베이어(64)로 칸을 이동하도록 상기 트레이(T)를 밀어내는 구성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송부(60)를 통해 상기 투입라인(631)을 따라 연속 공급되는 다수의 트레이(T)가 상기 투입대기위치(S1) 및 회수대기위치(S2)에서 일정 시간동안 머물면서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3)를 통과하는 상기 트레이(T)에서 다수의 포트병(P)이 상기 투입대기위치(S1) 및 상기 회수대기위치(S2)에서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를 향하여 공중이송되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상기 이송부(60)는 후술되는 상기 공중이송 어셈블리(70)가 이착륙할 수 있는 상기 투입대기유닛(65) 및 상기 회수대기유닛(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대기유닛(65)은 상기 투입컨베이어(61)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트병(P)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에 순차적으로 개별 공급되게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투입대기유닛(65)은 투입대기판(651) 및 제1 슬라이딩바(652)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대기판(651)은 상기 트레이(T)에 담긴 다수의 포트병(P) 전체가 상기 공중이송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 부근으로 이송 대기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투입대기판(651)은 상기 트레이(T)에 행과 열을 이루게 담긴 다수의 포트병(P)이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투입대기판(651)은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투입컨베이어(61)의 길이방향으로 연접하여 이웃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61)와 높이 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동일 높이로 설치되거나 상기 투입대기판(651)이 좀 더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3)에서 상기 투입대기판(651)으로 이송된 상기 포트병(P)이 상기 투입컨베이어(61)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슬라이딩바(652)는 상기 공중이송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투입대기판(651)에 안착된 다수의 포트병(P)을 상기 투입컨베이어(61)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슬라이딩바(652)는 상기 투입대기판(651)의 일측에서 상기 투입컨베이어(61)의 방향으로 전진되고, 그 반대방향으로 후진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에서의 탈병 처리 및 커팅 처리 작업 속도에 따라 다수의 포트병(P)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투입대기유닛(65)에서 상기 투입컨베이어(61)로 연속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투입대기판(651)에는 상기 다수의 포트병(P)이 행과 열을 이루게 배치된 상태로 대기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바(652)는 대기중인 상기 다수의 포트병(P) 전체를 상기 투입컨베이어(6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밀어내며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포트병(P)은 일렬씩 상기 투입컨베이어(61)로 밀리며 안착된 경우 상기 제1 슬라이딩바(652)의 작동이 일시적으로 멈추게 되고, 이후, 상기 투입컨베이어(61)의 작동에 의해 일렬로 안착된 다수의 포트병(P)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투입컨베이어(61)에서 일렬로 이동중이던 포트병이 모두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로 공급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슬라이딩바(652)가 재차 작동되어 일렬 개수만큼의 포트병이 상기 투입컨베이어(61)에 계속 안착되고, 이후 상기 투입컨베이어(61)가 다시 작동되는 과정이 반복되며 상기 투입대기판(651)에서 대기중인 다수의 포트병들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로 일렬씩 연속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T)에 담긴 포트병(P)의 일렬 개수가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컨베이어(61)에서 4개의 포트병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로 공급이 완료된 경우 상기 투입대기판(651)에서 4개의 포트병이 상기 투입컨베이어(61)로 계속하여 공급되는 작업이 연속 작업으로 진행된다.
상기 회수대기유닛(66)은 상기 반출컨베이어(62)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로부터 탈병 처리되어 배출되는 빈 포트병을 행과 열을 이루게 수집하는 구성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기 회수대기유닛(66)은 회수대기판(661) 및 제2 슬라이딩바(662)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회수대기유닛(66)은 상기 투입대기유닛(65)과 대동소이하게 구성되어 유사한 원리로 작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출컨베이어(62)에서 하나씩 배출되는 포트병이 상기 회수대기판(661)에 일렬씩 다수의 행열을 이루도록 정렬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바(662)는 실린더 작동에 의해 전후진 왕복 이동되며 상기 반출컨베이어(62)에 일렬 즉, 4개의 포트병이 모아진 경우 상기 회수대기판(661)에서 안쪽부터 일렬씩 정렬되도록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대기유닛(66)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를 기준으로 상기 투입대기유닛(65)의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투입컨베이어(61)와 상기 반출컨베이어(62)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이송부(60)는 버섯이 담긴 다수의 포트병(P)이 상기 투입대기유닛(65)으로부터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연속 공급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회수대기유닛(66)을 통해 탈병 처리된 상태의 다수의 포트병(P)이 다수의 행열을 이루도록 정렬되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1)는 상기 트레이(T)에 담긴 다수의 포트병(P)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를 향하여 공중이송되게 하는 상기 공중이송 어셈블리(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공중이송 어셈블리(70)는 상기 투입대기위치(S1)에서 상기 트레이(T)에 담긴 다수의 포트병(P)을 일괄적으로 공중 이송하여 상기 투입대기판(651)에 공급하고, 상기 회수대기판(661)에 수집된 다수의 빈 포트병을 공중 이송하여 상기 회수대기위치(S2)에서 대기중인 상기 트레이(T)에 일괄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중이송 어셈블리(70)가 반입셔틀유닛(71) 및 반출셔틀유닛(72)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반입셔틀유닛(71) 및 상기 반출셔틀유닛(72)은 상기 이송컨베이어(63)의 투입대기위치(S1)에서 대기중인 상기 트레이(T)에서 다수의 포트병을 일괄적으로 공중 이송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이에 상기 반입셔틀유닛(71) 및 상기 반출셔틀유닛(72)은 상기 상부프레임(12)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셔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반입셔틀유닛(71) 및 상기 반출셔틀유닛(72)은 상기 트레이(T)에 다수의 행열을 이루도록 배열된 다수의 포트병(P)을 일괄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대략 “ㅁ”자 형태로 사방에 배치된 각각의 압착판(711,721)이 구비된다.
즉, 상기 압착판(711,721)은 상기 트레이(T) 내부에 사각형태로 다수의 행열을 이루도록 모인 포트병들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압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T)의 테두리부분 내측으로 일정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입셔틀유닛(71) 및 상기 반출셔틀유닛(72)은 각각 사방에 네 개의 압착판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전후진 왕복 이동되게 작동되는 전후진작동실린더(712,722)와, 상기 압착판(711,721)이 일정 높이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하강작동실린더(713,723)가 더 구비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반입셔틀유닛(71)은 상기 투입대기위치(S1)에서 일정 시간동안 대기중인 상기 트레이(T)를 향하여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판(711,721)은 상기 트레이(T)의 테두리 내측과 포트병들의 둘레 사이로 일정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포트병들을 일괄적으로 압착하여 홀딩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상기 반입셔틀유닛(71)은 상기 압착판(711,721)이 상기 트레이(T)의 테두리 부분에 인접하여 삽입되는 경우 수직하게 설치된 상기 압착판(711,721)이 상기 트레이(T)의 테두리 부분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포트병들의 둘레 외측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T)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도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출셔틀유닛(72)은 상기 반입셔틀유닛(71)과 동일한 작동 원리로 대동소이하게 구성된 것으로,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반입셔틀유닛(71) 및 상기 반출셔틀유닛(72)은 각각 상기 이송컨베이어(63)와 상기 투입대기유닛(65) 및 상기 회수대기유닛(66) 사이를 셔틀 이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정해진 위치 즉 상기 투입대기위치(S1) 및 상기 투입대기판(651)와 상기 회수대기위치(S2) 및 상기 회수대기판(661)에서 각각 승하강 이동되며 상기 트레이(T)에 담긴 다수의 포트병(P)울 일괄적으로 이송하게 된다.
즉, 상기 투입대기위치(S1)에서 트레이에 담긴 다수의 포트병들을 일괄적으로 상기 투입대기유닛(65)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회수대기유닛(66)에 다수의 행열로 정렬되어 있는 포트병들을 상기 회수대기위치(S2)에 대기중인 트레이(T)에 일괄적으로 담아 이송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 상기 탈병유닛(30), 상기 에어분사유닛(40), 상기 커팅유닛(50), 상기 이송부(60) 및 상기 공중이송 어셈블리(70)는 별도로 설치된 제어부(도면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T)가 상기 이송부(60)를 통해 이송되는 시간 간격과 상기 포트병(P)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20)에 공급되는 시간 간격, 또한, 상기 공중이송 어셈블리(70)가 상기 이송부(60)와 상기 투입대기유닛(65) 및 회수대기유닛(66) 사이를 이동하는 시간 간격에 따라 상호 연동 작동이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1)는 버섯의 탈병, 커팅, 배출 작업이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져 컨베이어 이송에 따른 반복적인 버섯 가공 및 생산 사이클의 타임 단축과, 다수의 포트병의 이송 작업과 탈병 및 커팅 처리작업이 자동화 공정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되어 필요 인력의 절감과 함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포트병이 담긴 트레이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하여 작업 공간의 효율성 또한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10 베이스프레임
11 하부베이스프레임
12 상부베이스프레임
20 턴테이블 어셈블리
21 구동모터
22 회전판
P1 투입 지점
P2 탈병 지점
P3 커팅 지점
P4 배출 지점
23 버섯홀더부
231 제1 작동실린더
232 제1 작동판
233 제1 좌우이동판
234 LM가이드
235 한 쌍의 핑거
236 보조홀더
30 탈병유닛
31 지지프레임
32 승하강구동부
33 가이드부
34 슬라이딩이동부
35 제2 작동실린더
36 제2 작동판
37 제2 좌우이동판
38 한 쌍의 핑거
40 에어분사유닛
41 제3 작동실린더
42 에어노즐
50 커팅유닛
51 승강구동실린더
52 승하강이동판
53 제3 작동실린더
54 제3 작동판
55 제3 좌우이동판
56 한 쌍의 제3 핑거
57 전후진구동실린더
58 커터날
60 이송부
61 투입컨베이어
62 반출컨베이어
63 이송컨베이어
64 배출컨베이어
65 투입대기유닛
66 회수대기유닛
70 공중이송 어셈블리
71 반입셔틀유닛
72 반출셔틀유닛

Claims (6)

  1.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등각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어 성장한 버섯이 담긴 포트병을 등각 회전 이동시키는 버섯홀더부가 구비된 턴테이블 어셈블리와;
    상기 버섯홀더부가 회전 정지되는 일 지점의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이 배지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탈병유닛과;
    상기 버섯홀더부가 회전 정지되는 다른 일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탈병유닛에 의해 탈병 처리된 상기 버섯의 뿌리 부분을 커팅 처리하는 커팅유닛과;
    상기 포트병을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에 순차적으로 개별 공급하기 위한 투입컨베이어와,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에서 버섯이 탈병 처리된 상태의 빈 포트병을 회수하기 위한 반출컨베이어가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홀더부는, 상기 회전판에 등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신축 작동에 따라 상호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작동되어 상기 버섯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고 정해진 위치에 버섯을 놓아 떨어트리는 한 쌍의 핑거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병유닛을 통해 탈병 처리되기 직전 상태에서 상기 버섯의 뿌리 부분과 배지 사이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포트병 다수개가 행과 열을 이루게 담긴 트레이가 정해진 투입대기위치 및 회수대기위치에서 일정 시간 대기하며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버섯이 탈병 처리된 상태의 빈 포트병이 채워진 경우 상기 트레이를 이송 배출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투입컨베이어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트병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에 순차적으로 개별 공급되게 상기 투입컨베이어로 상기 포트병을 일렬로 배치하는 투입대기유닛과, 상기 반출컨베이어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 어셈블리로부터 배출되는 빈 포트병을 행과 열을 이루게 수집하는 회수대기유닛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입대기위치에서 상기 트레이에 담긴 상기 다수의 포트병을 일괄적으로 공중 이송하여 상기 투입대기유닛에 공급하고, 상기 회수대기유닛에 수집된 다수의 빈 포트병을 공중 이송하여 상기 회수대기위치에서 대기중인 상기 트레이에 일괄적으로 적재하는 공중이송 어셈블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버섯홀더부가 회전 정지되는 일 지점의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승하강이동판과, 상기 승하강이동판에 결합되어 상기 버섯홀더부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버섯을 파지하는 한 쌍의 제3 핑거와, 선단부에 전후진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3 핑거에 의해 파지된 상태의 상기 버섯의 뿌리 부분을 커팅하는 커터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KR1020200156590A 2020-11-20 2020-11-20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KR102542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590A KR102542589B1 (ko) 2020-11-20 2020-11-20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590A KR102542589B1 (ko) 2020-11-20 2020-11-20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57A true KR20220069457A (ko) 2022-05-27
KR102542589B1 KR102542589B1 (ko) 2023-06-12

Family

ID=8179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590A KR102542589B1 (ko) 2020-11-20 2020-11-20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5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4482A (zh) * 2022-07-21 2022-09-27 大连卓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颗粒菌种接种机
CN115500213A (zh) * 2022-10-29 2022-12-23 黄淮学院 一种用于食用菌的功能培养架及其自身的功能可调结构
CN116326429A (zh) * 2023-01-16 2023-06-27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大球盖菇的智能化采摘机械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548A (ja) * 2002-12-10 2004-07-08 Jfe Engineering Kk 植物収穫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77881A (ko) 2008-12-29 2010-07-08 경기도농업기술원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KR101039781B1 (ko) 2010-09-13 2011-06-09 신근영 버섯 배지 탈병장치
KR20140132964A (ko) * 2013-05-09 2014-11-19 김영애 버섯 재배 포트병용 에어 탈병장치
JP2015216893A (ja) * 2014-05-20 2015-12-07 仁実サポート 株式会社 きのこの収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548A (ja) * 2002-12-10 2004-07-08 Jfe Engineering Kk 植物収穫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77881A (ko) 2008-12-29 2010-07-08 경기도농업기술원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KR101039781B1 (ko) 2010-09-13 2011-06-09 신근영 버섯 배지 탈병장치
KR20140132964A (ko) * 2013-05-09 2014-11-19 김영애 버섯 재배 포트병용 에어 탈병장치
JP2015216893A (ja) * 2014-05-20 2015-12-07 仁実サポート 株式会社 きのこの収穫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4482A (zh) * 2022-07-21 2022-09-27 大连卓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颗粒菌种接种机
CN115500213A (zh) * 2022-10-29 2022-12-23 黄淮学院 一种用于食用菌的功能培养架及其自身的功能可调结构
CN115500213B (zh) * 2022-10-29 2024-02-06 黄淮学院 一种用于食用菌培养的功能可调装置
CN116326429A (zh) * 2023-01-16 2023-06-27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大球盖菇的智能化采摘机械手
CN116326429B (zh) * 2023-01-16 2023-10-10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大球盖菇的智能化采摘机械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589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9457A (ko)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KR101238176B1 (ko)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CN104960822B (zh) 托盘自动上下料机构以及托盘自动上下料方法
KR20140018785A (ko) 버섯 수확장치
CN107206614A (zh) 用于分割板状工件的板材分割设备及其运行方法
CN202935909U (zh) 一种清洗机硅片上料装置
CN105905605B (zh) 一种电子产品物料自动化运输生产线
CN103637544B (zh) 一种牙刷植毛机的送料系统
JP2013516370A (ja) 箱詰めされる製品のグループ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985249B1 (ko)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KR100930868B1 (ko) 배양 트레이에 식재된 배양물을 자동 채취하는 장치
EP1044905A1 (en) Depalletizing machine
CN210677945U (zh) 一种多规格模具坯料切割设备
CN113348976B (zh) 一种丛生食用菌采摘装置及使用方法
CN215345927U (zh) 一种螺旋压杆式苹果批量采收机
CN213323932U (zh) 一种网套理顺机
US20100212264A1 (en) Multi-pack packaging system
CN210735467U (zh) 一种玻璃清洗线下料机
CN112868379A (zh) 一种螺旋压杆式苹果批量采收机
CN113383679A (zh) 菇类自动采收机及其采收方法
CN112620956A (zh) 一种铝底激光打标装置
CN210312456U (zh) 搬运装置
CN210589451U (zh) 蔬菜自动收切机
CN207696991U (zh) 一种弯曲提手的自动生产装置
JP2005022686A (ja) 農産物の箱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