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246A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246A
KR20220069246A KR1020200156180A KR20200156180A KR20220069246A KR 20220069246 A KR20220069246 A KR 20220069246A KR 1020200156180 A KR1020200156180 A KR 1020200156180A KR 20200156180 A KR20200156180 A KR 20200156180A KR 20220069246 A KR20220069246 A KR 20220069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frame
vehicle
pad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현
이상현
윤성문
나선채
최병용
김상호
김형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9246A/ko
Priority to US17/365,616 priority patent/US11491902B2/en
Priority to DE102021207318.2A priority patent/DE102021207318A1/de
Priority to CN202110789318.2A priority patent/CN114516292A/zh
Publication of KR20220069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4Head-rests with rods solidly attached to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0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with head-rests; with pap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lateral movement parallel to the occupant's shoulde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전면 및 후면을 기능이 다른 지지면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반전 회전시켜 전면 또는 후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 중 승객의 머리부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기능과 휴식 중 승객의 머리부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HEAD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전면 및 후면을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지지면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반전 회전시켜서 전면 또는 후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는 승객의 하체 착석을 위한 시트쿠션과, 승객의 허리 및 등 부분을 기댈 수 있는 시트백과,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레스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레스트에는 높이 조절 및 전후방향의 틸팅각을 조절할 수 있는 메카니즘 구성들이 내설됨으로써, 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이 및 틸팅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은 헤드레스트의 전면으로 한정되어 있고, 후면은 사용하지 않는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특히, 충돌 사고시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헤드레스트와 승객 머리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유리하지만, 휴식을 위하여 승객이 머리를 뒤로 젖히는 경우 헤드레스트가 너무 가까우면 머리를 뒤로 젖히지 못하므로 승객에게 오히려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의 전면 및 후면을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지지면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반전 회전시켜서 전면 또는 후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 중 승객의 머리부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기능 및 휴식 중 승객의 머리부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스테이; 회전 안내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스테이에 장착되어, 메인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 일단부는 상기 스테이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전 안내홀 쪽으로 연장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회전 안내홀에 장착되어, 회전 프레임을 회전 안내홀을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 및 상기 회전 프레임에 조립되는 헤드레스트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스테이의 일표면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는 랙;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모터; 및 상기 제1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상기 랙에 맞물리는 제1피니언;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전 안내홀의 내면에 형성된 섹터기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모터; 및 상기 제2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안내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동시에 섹터기어에 맞물리는 회전 기어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기어체는: 상기 섹터기어에 맞물리는 제2피니언; 상기 제2피니언의 상면에 부착되어 회전 안내홀의 상부쪽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부 스토퍼판; 및 상기 제2피니언의 저면에 부착되어 회전 안내홀의 하부쪽 외주면에 밀착되는 하부 스토퍼판;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스테이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수직바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전 안내홀 쪽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바와, 제1수직바와 제2수직바 간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조립되는 수평바가 역 "U" 자 형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은 상기 수평바가 삽입 체결되는 조립홈이 각각 내면에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상호 조립되는 구조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이의 내부에는 회전 프레임의 제1수직바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 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프레임은 스테이의 내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링이 삽입되어 제2모터로 연장되도록 중공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프레임에는 상기 와이어링이 제1모터로 분기되어 연결되도록 와이어링 분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에는 주행 중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패드와, 휴식 중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제1패드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제2패드가 일체로 된 헤드레스트 패드가 커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주행 중 헤드레스트의 전면부에 형성된 제1패드(승객의 머리와 가깝도록 헤드레스트 패드가 두껍게 형성된 부분)가 정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주행 중 승객의 머리부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둘째, 휴식 중 헤드레스트 를 반전 회전시켜서, 헤드레스트의 후면부에 형성된 제2패드(승객의 머리를 젖힐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 패드가 얇게 형성된 부분)가 정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휴식 중 승객의 머리부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의 구성 중 메인 프레임이 스테이에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의 구성중 회전 프레임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의 구성 중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의 구성 중 헤드레스트 패드가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의 구성 중 스테이가 시트백 프레임이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의 작동 흐름 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의 작동 흐름 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에 의한 헤드레스트 사용 예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메인 프레임이 스테이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 3a 내지 도 3d는 회전 프레임이 스테이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스테이를 지시한다.
상기 스테이(10)는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모노포스트 구조로서, 그 하단부는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10)에 메인 프레임(20)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은 반원형의 판체 구조물로서, 한쪽 부분에 스테이(10)가 삽입되는 관통홀(22)이 형성되고, 원호형의 다른 한쪽 부분에는 곡선형의 회전 안내홀(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20)과 스테이(10)에는 메인 프레임(2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승강 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10)의 일표면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는 랙(31)과,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면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제1모터(32)와, 상기 제1모터(32)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상기 랙(31)에 맞물리는 제1피니언(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모터(32)의 구동시 상기 제1피니언(33)이 랙(31)을 따라 승강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20)이 스테이(10)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10)와 메인 프레임(20) 간에는 회전 프레임(40)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회전 프레임(40)은 역 "U" 자 형상으로 절곡된 파이프 형태로서, 그 일단부는 상기 스테이(10)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회전 안내홀(24) 쪽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 프레임(40)은, 상기 스테이(10)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수직바(41)와,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회전 안내홀(24) 쪽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바(42)와, 제1수직바(41)와 제2수직바(42) 간에 연결되어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조립되는 수평바(43)가 역 "U" 자 형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프레임(40)의 회전 중심점이 되는 제1수직바(4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테이(10)의 내부에는 회전 프레임(40)의 제1수직바(41)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 안내홀(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프레임(40)과 메인 프레임(20)의 회전 안내홀(24)에는 회전 프레임(40)을 회전 안내홀(24)을 따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가 조립된다.
상기 회전 장치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회전 안내홀(24)의 내면에 형성된 섹터기어(26)와, 상기 회전 프레임(40)의 타단부인 제2수직바(42)에 장착되는 제2모터(54)와, 상기 제2모터(53)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회전 안내홀(2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동시에 섹터기어(26)에 맞물리는 회전 기어체(50)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기어체(50)는 도 3d 및 도 3e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섹터기어(26)에 맞물리는 제2피니언(51)과, 상기 제2피니언(51)의 상면에 부착되어 회전 안내홀(24)의 상부쪽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부 스토퍼판(52)과, 상기 제2피니언(51)의 저면에 부착되어 회전 안내홀(24)의 하부쪽 외주면에 밀착되는 하부 스토퍼판(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피니언(51)이 메인 프레임(20)의 섹터기어(26)에 맞물림과 함께 상기 상부 스토퍼판(52) 및 하부 스토퍼판(53)이 회전 안내홀(24)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20)의 상하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20)과 회전 프레임(40)이 상호 조립되는 상태가 되고, 메인 프레임(20)의 승강시 회전 프레임(40)도 함께 승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1모터(32)와 제2모터(5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링을 배설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프레임(40)은 스테이(10)의 내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링(60)이 삽입되어 통과되도록 중공 파이프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 프레임(40)에는 상기 와이어링(60)이 제1모터(32)로 분기되어 연결되도록 와이어링 분기홀(44)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도 3a에서 보듯이 전원과 연결된 와이어링(60)이 스테이(10)의 내부를 지나서 회전 프레임(40)의 내부를 통과한 후 제2모터(54)에 연결되고, 도 3b 및 도 3c에서 보듯이 와이어링(60)이 와이어링 분기홀(44)을 통하여 외부로 분기되며 연장된 후 제1모터(32)에 연결됨으로써, 제1모터(32)와 제2모터(54)에 대한 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40)에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이 조립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은 상호 체결되는 프론트 프레임(71)과 리어 프레임(72)으로 구성되고, 프론트 프레임(71)과 리어 프레임(72)의 내면에는 각각 상기 회전 프레임(40)의 수평바(43)가 삽입 체결되는 조립홈(73)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회전 프레임(40)의 수평바(43)를 조립홈(73) 내에 삽입 위치시킨 다음, 상기 프론트 프레임(71)과 리어 프레임(72)을 스크류 등을 매개로 상호 조립시킴으로써,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이 회전 프레임(40)에 고정 장착되는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 프레임(40)이 회전 또는 승강할 때 헤드레스트 프레임(70)도 함께 회전 또는 승강 작동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70)에 실질적인 지지 스킨면을 제공하는 헤드레스트 패드(80)가 장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레스트 패드(80)는 주행 중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패드(81)와, 휴식 중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제1패드(81)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제2패드(82)가 일체로 된 구조로 구비된다.
이렇게 구비된 헤드레스트 패드(80)를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70)의 표면에 커버링되게 부착시킴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정면에 제1패드(81)가 위치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제2패드(82)가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70)에 헤드레스트 패드(80)을 커버링시켜 부착하는 공정 후에 상기 스테이(10)를 시트백 프레임(90)에 고정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10)의 하단부를 시트백 프레임(90)의 중앙부에 삽입 위치시킨 다음, 볼트 등을 매개로 스테이(10)를 시트백 프레임(90)에 장착시킴으로써, 스테이(10)가 수직 기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의 작동 흐름 예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모터(32)가 구동되어 출력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피니언(33)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테이(10)에 장착된 랙(31)을 따라 상승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모터(32)가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된 상태이고, 상기 회전 프레임(40)에 제2모터(54)가 연결된 상태이며, 제2모터(54)의 출력축에 연결된 회전 기어체(50)가 메인 프레임(20)의 회전 안내홀(24)에 삽입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메인 프레임(20)과 회전 프레임(40)이 도 7a에 도시한 최하단 위치에서 도 7b에 도시된 최상단 위치로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 프레임(40)과 조립된 헤드레스트 프레임(70) 및 헤드레스트 패드(80)가 상승하게 되므로, 결국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레스트를 180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모터(54)가 구동되어 출력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모터(54)의 출력축에 연결된 회전 기어체(50)가 메인 프레임(20)의 회전 안내홀(24)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 기어체(50)의 제2피니언(51)이 회전 안내홀(24)에 형성된 섹터기어(26)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도 7c 및 도 7d에서 보듯이 회전 프레임(40)이 회전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 기어체(50)의 제2피니언(51)이 회전 안내홀(24)에 형성된 섹터기어(26)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 프레임(40)의 제1수직바(41)를 중심으로 수평바(43)와 제2수직바(42)가 180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프레임(40)이 180도 회전함에 따라, 회전 프레임(40)과 조립된 헤드레스트 프레임(70) 및 헤드레스트 패드(80)가 180도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헤드레스트의 반전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헤드레스트의 정면에 제1패드(81)가 위치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제2패드(82)가 위치되거나, 헤드레스트의 정면에 제2패드(82)가 위치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제1패드(81)가 위치될 수 있다.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의 작동 흐름 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제어 순서도이다.
전동식 시트의 경우, 시트백이 모터 구동에 의하여 후방으로 리클라이닝되는 동시에 시트쿠션이 모터 구동에 의하여 틸팅되는 등의 릴렉션 포지션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상기 시트백을 리클라이닝시키거나 시트쿠션을 틸팅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를 통하여 제어기에서 전동식 시트의 자세가 릴렉션 포지션인지 본래의 일반 위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변속레버 위치가 P단 인지 또는 R/N/D단인지를 제어기에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시트의 자세가 일반 위치이고, 변속레버가 R/N/D단이면, 제어기에서 주행 중으로 판단하여, 헤드레스트를 운전모드로 선택 제어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정면에 제1패드(81)가 위치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제2패드(82)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 패드(80) 중 제1패드(81)가 제2패드(82)에 비하여 더 두껍게 적용된 상태이므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드(81)의 스킨 지지면이 승객의 머리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주행 중 승객의 머리와 가깝도록 두껍게 형성된 제1패드(81)가 정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주행 중 승객의 머리부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시트 자세가 릴렉션 포지션 상태이고, 변속레버가 P단이면, 제어기에서 휴식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여, 헤드레스트를 휴식모드로 선택 제어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가 180도 회전하여 헤드레스트의 정면에 제2패드(82)가 위치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제1패드(81)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 패드(80) 중 제2패드(82)가 제1패드(81)에 비하여 더 얇게 적용된 상태이므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머리를 편안하게 뒤로 젖혀서 제2패드(82)의 스킨 지지면에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이 휴식 중 헤드레스트를 반전 회전시켜서, 승객의 머리를 젖힐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 패드가 얇게 형성된 제2패드(82)가 정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휴식 중 승객의 머리부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10 : 스테이 12 : 승강 안내홀
20 : 메인 프레임 22 : 관통홀
24 : 회전 안내홀 26 : 섹터기어
31 : 랙 32 : 제1모터
33 : 제1피니언 40 : 회전 프레임
41 : 제1수직바 42 : 제2수직바
43 : 수평바 44 : 와이어링 분기홀
50 : 회전 기어체 51 : 제2피니언
52 : 상부 스토퍼판 53 : 하부 스토퍼판
54 : 제2모터 60 : 와이어링
70 : 헤드레스트 프레임 71 : 프론트 프레임
72 : 리어 프레임 73 : 조립홈
80 : 헤드레스트 패드 81 : 제1패드
82 : 제2패드 90 : 시트백 프레임

Claims (12)

  1.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테이;
    회전 안내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스테이에 장착되어, 메인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
    일단부는 상기 스테이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전 안내홀 쪽으로 연장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회전 안내홀에 장착되어, 회전 프레임을 회전 안내홀을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
    상기 회전 프레임에 조립되는 헤드레스트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스테이의 일표면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는 랙;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모터; 및
    상기 제1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상기 랙에 맞물리는 제1피니언;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전 안내홀의 내면에 형성된 섹터기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제2모터; 및
    상기 제2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안내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동시에 섹터기어에 맞물리는 회전 기어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어체는:
    상기 섹터기어에 맞물리는 제2피니언;
    상기 제2피니언의 상면에 부착되어 회전 안내홀의 상부쪽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부 스토퍼판; 및
    상기 제2피니언의 저면에 부착되어 회전 안내홀의 하부쪽 외주면에 밀착되는 하부 스토퍼판;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스테이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수직바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전 안내홀 쪽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바와, 제1수직바와 제2수직바 간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조립되는 수평바가 역 "U" 자 형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은 상기 수평바가 삽입 체결되는 조립홈이 각각 내면에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상호 조립되는 구조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의 내부에는 회전 프레임의 제1수직바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 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스테이의 내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링이 삽입되어 제2모터로 연장되도록 중공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에는 상기 와이어링이 제1모터로 분기되어 연결되도록 와이어링 분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에는 주행 중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패드와, 휴식 중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제1패드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제2패드가 일체로 된 헤드레스트 패드가 커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동식 시트의 자세가 일반 위치이고, 변속레버가 R/N/D단이면, 제어기에서 헤드레스트를 운전모드로 선택 제어하여, 헤드레스트의 정면에 제1패드가 위치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제2패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동식 시트의 자세가 릴렉션 포지션 상태이고, 변속레버가 P단이면, 제어기에서 헤드레스트를 휴식모드로 선택 제어하여, 헤드레스트가 180도 회전하여 헤드레스트의 정면에 제2패드가 위치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제1패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KR1020200156180A 2020-11-20 2020-11-2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KR20220069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80A KR20220069246A (ko) 2020-11-20 2020-11-2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US17/365,616 US11491902B2 (en) 2020-11-20 2021-07-01 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headrest for vehicle
DE102021207318.2A DE102021207318A1 (de) 2020-11-20 2021-07-12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Position einer Kopfstütze für ein Fahrzeug
CN202110789318.2A CN114516292A (zh) 2020-11-20 2021-07-13 用于车辆的头枕位置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80A KR20220069246A (ko) 2020-11-20 2020-11-2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246A true KR20220069246A (ko) 2022-05-27

Family

ID=8145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180A KR20220069246A (ko) 2020-11-20 2020-11-20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91902B2 (ko)
KR (1) KR20220069246A (ko)
CN (1) CN114516292A (ko)
DE (1) DE10202120731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299A (en) * 1896-10-02 1901-04-02 Gideon Sibley Head-rest for dental chairs.
US638534A (en) * 1897-10-26 1899-12-05 Thomas G Welch Head-rest for chairs.
US830826A (en) * 1905-12-30 1906-09-11 Francis De Fontes Head-rest.
US1371201A (en) * 1920-05-15 1921-03-08 Driver William Denton Headrest for barber-chairs
US3035865A (en) * 1958-11-21 1962-05-22 James A Sokaly Head rest for hair dryers
DE1729992B1 (de) * 1968-01-20 1970-08-20 Keiper Fa F Sitz,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US3877751A (en) * 1973-07-30 1975-04-15 Hek Manufacturing Company Inc Split back dental chair apparatus
SE420394B (sv) * 1979-06-08 1981-10-05 Saab Scania Ab Nackskydd for en stol, foretredesvis en fordonsstol
US5213395A (en) * 1989-09-12 1993-05-25 Korteweg Arie J Adjustable seating assembly
US6607242B2 (en) * 2000-12-13 2003-08-19 Lear Corporation Head restraint assembly
WO2013043834A1 (en) * 2011-09-21 2013-03-28 Herman Miller, Inc. Bi-level headrest, body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supporting a user's cranium
EP2698277B1 (en) * 2012-08-13 2016-03-23 Schukra Gerätebau GmbH Headrest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a headrest
US20190160985A1 (en) * 2017-11-29 2019-05-30 Dare Auto, Inc. Linear Actuating Assemblies for Motorized Headrests
US20200062145A1 (en) * 2018-08-23 2020-02-27 Windsor Machine and Stamping (2009) Ltd. Cross-car moveable headrest assembly
TWM575297U (zh) * 2018-11-08 2019-03-11 陳羿儒 組裝於辦公椅之可調式頭枕結構
US10681986B1 (en) * 2019-03-21 2020-06-16 Jeannie Sanders Systems and methods for manicure head rests
US11235691B2 (en) * 2019-11-26 2022-0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uating rear center head restraint
KR20210072925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91902B2 (en) 2022-11-08
DE102021207318A1 (de) 2022-05-25
CN114516292A (zh) 2022-05-20
US20220161701A1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415B1 (en) Head rest for vehicle seat
US20210170918A1 (en) Seat cushion tilting apparatus of fold-and-dive seat
JPH1059037A (ja) 傾動可能な背部を有するチャイルドシート
KR20100013609A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틸팅장치
KR20230076902A (ko) 자동차용 컨트롤 패널을 갖는 암레스트의 포지션 조절 장치
US11440442B2 (en) Vehicle seat console, vehicle seat, and vehicle
US11453314B2 (en) Seat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KR20220069246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JP2003040002A (ja) シートの上下調節機構
JP7111781B2 (ja) 車両用シート
EP2463147B1 (en) Vehicle seat
JP539788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2338310B1 (ko) 차량용 시트
KR102611651B1 (ko) 차량용 컨트롤 암레스트 장치
JP2754318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2751796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102550551B1 (ko) 차량용 풀 플랫 시트
US20230135531A1 (en) Seat adjustment apparatus for mobility
CN114801900B (zh) 一种座椅系统及车辆
KR102309253B1 (ko) 이중 기어를 이용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CN116867673A (zh) 包括搁脚架的运输工具座椅
KR10044467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장치
JP278215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1137067A (ja) 高さ自動調節ヘッドレスト付き座席
KR100589002B1 (ko) 플로워 콘솔의 높이 조절용 암레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