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597A - 휠체어 고정식 카누 - Google Patents

휠체어 고정식 카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597A
KR20220068597A KR1020200155531A KR20200155531A KR20220068597A KR 20220068597 A KR20220068597 A KR 20220068597A KR 1020200155531 A KR1020200155531 A KR 1020200155531A KR 20200155531 A KR20200155531 A KR 20200155531A KR 20220068597 A KR20220068597 A KR 20220068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unit
canoe
rail
trans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847B1 (ko
Inventor
장목순
박보영
현승무
Original Assignee
베어마운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어마운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어마운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8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6Accessories for canoes, kaya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4/23Sectionalised, e.g. modula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또는 이동 약자도 카누를 즐길 수 있도록 내부에 휠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휠체어 고정식 카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로워(floor)와 상기 플로워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체어를 수용하는 카누 본체; 상기 플로워에 형성되며, 한 쌍의 휠체어 바퀴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체어 락킹부; 상기 카누 본체의 후미에 형성되며, 상기 휠체어의 출입에 따라 상기 카누 본체의 후미를 개폐하는 트랜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휠체어 고정식 카누 {Wheelchair stationary canoe}
본 발명은 카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애인 또는 이동 약자도 카누를 즐길 수 있도록 내부에 휠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휠체어 고정식 카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개인 위주의 해양 레저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조용한 환경에서 즐길 수 있는 카누(canoe)나 카약(kayak)과 같은 노(oar)보트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카누는 길고 폭이 좁은 형태의 보트를 말하는 것으로, 대체로 양 끝단 모두 뾰죽하게 선수와 선미가 잡혀 있으며 내부에 앉거나 무릎 꿇고 앉은 자세로 외날 노를 저어 움직이는 수상 이동 수단이다.
그러나, 현재 통용되는 카누는 정상인들을 위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이동 약자를 위한 카누는 시판되지 않고 있다. 특히, 이른바 100세 시대에 접어든 현재, 장애인, 노인 등의 이동 약자의 레저 활동이나 관광의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특수 용도의 카누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695217호
본 발명은 장애인 또는 이동 약자도 카누를 즐길 수 있도록 내부에 휠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휠체어 고정식 카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로워(floor)와 상기 플로워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체어를 수용하는 카누 본체; 상기 플로워에 형성되며, 한 쌍의 휠체어 바퀴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체어 락킹부; 상기 카누 본체의 후미에 형성되며, 상기 휠체어의 출입에 따라 상기 카누 본체의 후미를 개폐하는 트랜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에 있어서, 상기 카누 본체의 선미에는 힌지로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선회 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턴 체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에 있어서, 상기 트랜섬부는 상기 레일부의 레일과 연결되는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가이드는 상기 레일과 연결되는 일단부는 폭이 좁고 타단부는 폭이 넓으며,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일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락킹부가 설치된 위치의 레일을 지나는 휠체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휠체어 락킹부와 상기 트랜섬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휠체어 락킹부 및 트랜섬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칩을 내장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 휠체어 락킹부 및 트랜섬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센서부를 이루는 센서들 각각에서 전송된 센싱 정보의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휠체어 락킹부 각각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락킹부 제어모듈과, 상기 락킹부 제어모듈에서 생성된 마지막 락킹부 제어 명령 이후의 시간 경과를 카운트하여 경과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트랜섬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트랜섬부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 제어모듈은, 상기 카누 본체의 선수(bow)로부터 n번째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n회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n번째 센서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n번째 휠체어 락킹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애인 또는 이동 약자도 카누를 즐길 수 있도록 내부에 휠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휠체어 고정식 카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서 카누 본체의 후미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의 자동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카누 본체의 후미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는, 카누 본체(110), 레일부(120), 휠체어 락킹부(130), 트랜섬부(140)를 포함한다.
카누 본체(110)는 카누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체어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4개의 휠체어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카누 본체(110)는 플로워(111, floor)와 측면(112)을 포함한다.
플로워(111)는 카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카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플로워(111)의 폭은 카누의 선수(bow)에서 선미(stern)로 가면서 점점 커질 수 있다. 또는 플로워(111)의 폭은 카누의 선수(bow)에서 중앙부로 가면서 점점 커지다가 중앙부에서 선미(stern)로 가면서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측면(112)은 플로워(111)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측면(112)의 상부에는 건웰(113a, 113b, gunwale)이 부착되어 선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113a는 내측 건웰이며, 113b는 외측 건웰이다.
카누의 선수(bow) 상부에는 데크 플레이트(114, deck plate)를 덮어 선체 안정성과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누의 선수(bow)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바우 체어(115, bow chair)가, 카누의 선미(stern)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스턴 체어(116, stern chair)가 형성될 수 있다. 바우 체어(115)는 고정식으로 형성되고, 스턴 체어(116)는 힌지로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선회 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휠체어가 카누 본체(110) 내부로 진입할 때, 스턴 체어(116)는 상방향으로 선회하여 휠체어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카누 본체(110)의 적어도 일 측에는 스태빌라이저(117, stabilizer)가 커넥터(118)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117)는 카누의 좌우 진동과 균형을 잡아주어 카누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카누 본체(110)는 휠체어 칸막이(11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휠체어 칸막이(119)는 카누 본체(110) 내부로 진입한 후, 휠체어 락킹부(130)에 의해 레일부(120)에 고정된 복수개의 휠체어 간의 안전 거리를 확보해줄 수 있다. 휠체어 칸막이(119)는 측면(112) 상부에 힌지로 설치된 2개의 판재일 수 있다. 휠체어 진입시, 2개의 판재는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선회하여 휠체어 진입 경로를 확보해 주고, 휠체어 락킹부(130)에 의한 휠체어 고정 후에는, 역방향으로 선회하여 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플로워(111)에는 레일부(120)가 형성된다. 레일부(120)는 한 쌍의 휠체어 바퀴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휠체어 바퀴 간격만큼 이격 설치된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진다. 한편, 휠체어는 미는 바퀴, 앞바퀴, 큰 바퀴 등의 여러 용도의 바퀴는 구비하나, 본 명세서에서 휠체어 바퀴는 이동에 쓰이는 큰 바퀴를 의미한다. 레일부(120)는 휠체어 바퀴가 들어갈 수 있는 음각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휠체어 바퀴의 양측을 가이드할 수 있는 양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의 소정 위치에는 휠체어 락킹부(130)가 형성된다. 휠체어 락킹부(130)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4개의 휠체어 락킹부(130)가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휠체어 락킹부(130)는 휠체어 바퀴를 레일부(120)에 고정시켜서 휠체어를 카누 본체(110)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휠체어 락킹부(130)는 휠체어 바퀴를 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수단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휠체어 락킹부(130)는 벨트, 체인, 클램프, 벨크로 등의 체결수단일 수 있다.
트랜섬부(140, transom)는 카누 본체(110)의 후미에 형성되며, 휠체어의 출입에 따라 카누 본체의 후미를 개폐할 수 있다. 트랜섬부(140)는 카누 본체(110)의 후미 하단에 힌지 결합된 판재일 수 있다.
휠체어 진입시에, 트랜섬부(140)는 카누 본체(110) 후미를 개방하도록 선회하며, 휠체어 진입 후에는 카누 본체(110) 후미를 폐쇄하도록 선회한다.
또한, 트랜섬부(140)는 한 쌍의 레일 가이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가이드(141)는 레일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레일 가이드(141)는 일단의 폭은 좁고 타단의 폭은 넓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일단은 레일부(120)의 레일과 연결되는 부분이며, 타단은 그 반대 단부로서, 카누 본체(110) 내부로 휠체어가 진입할 때 처음 접촉되는 부분이다. 레일 가이드(141)는 레일부(120)의 레일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레일 형상이 음각이면 레일 가이드(141)도 음각으로 형성되고, 레일 형상이 하나의 휠체어 바퀴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양각이면 레일 가이드(141)도 양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레일 가이드(141)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또는 이동 약자가 휠체어 바퀴를 레일에 정확히 안착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카누 본체(110) 내부로 휠체어를 진입시킬 때, 장애인(또는 휠체어를 밀어주는 보조인)이 휠체어 바퀴를 레일에 안착시키기 위해 휠체어 바퀴의 위치와 레일의 위치를 정밀하게 맞추어야 하는 데, 이러한 작업은 장애인(또는 휠체어를 밀어주는 보조인)에게 매우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휠체어 진입시, 우선 레일 가이드(141)의 폭이 넓은 부분에 휠체어 바퀴의 위치를 맞춘 후 그대로 진입하면 레일 가이드(141)의 폭이 점점 좁아지면서 자연스럽게 휠체어 바퀴의 위치와 레일의 위치를 맞출 수 있게 되어, 장애인 등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에 의하면, 카누 내부에 휠체어를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고, 카누 내부에서 휠체어가 단단히 고정되므로 장애인 또는 이동 약자도 카누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의 자동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일 실시예의 휠체어 고정식 카누는 휠체어 락킹부(130)의 락킹 동작이나, 트랜섬부(140)의 개폐 동작이 작업자의 수동 조작으로 수행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휠체어 락킹부(130), 트랜섬부(140)의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고정식 카누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휠체어 고정식 카누에서 센서부(210 : 211~214)와 제어부(2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휠체어 락킹부(130 : 131~134) 및 트랜섬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칩을 내장하며,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휠체어 락킹부(130 : 131~134) 및 트랜섬부(140)는 모터와 기어의 조합체를 포함하거나, 기계식/전자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설계될 수 있다.
레일부(120)를 이루는 한 쌍의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레일 하부에 센서부(210 : 211~214)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210 : 211~214)는 휠체어 락킹부(130 : 131~134)가 설치된 위치의 레일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210 : 211~214)는 휠체어 락킹부(130 : 131~134)가 설치된 위치의 레일을 지나는 휠체어의 무게(중량)를 감지한 센싱 정보를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센서부(210 : 211~214)는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충분하며, 특별히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220)는 센서부(210 : 211~214)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휠체어 락킹부(130 : 131~134)에 대한 제어 명령과 트랜섬부(140)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통신모듈(221)과 락킹부 제어모듈(222)과 트랜섬부 제어모듈(22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21)은 센서부(210 : 211~214), 휠체어 락킹부(130 : 131~134) 및 트랜섬부(14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모듈(221)은 센서부(210 : 211~214)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휠체어 락킹부(130 : 131~134) 및 트랜섬부(140)에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락킹부 제어모듈(222)은 수신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휠체어 락킹부(130 : 131~134)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락킹부 제어모듈(222)은 센서부(210)를 이루는 센서들(211~214) 각각에서 전송된 센싱 정보(센싱 이벤트) 횟수를 카운트하여 휠체어 락킹부(131~134) 각각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트랜섬부(140)가 개방되면 휠체어는 레일부(1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센서들(211~2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나게 된다. 이때, 휠체어가 고정될 위치에 따라 센서들(211~214)의 센싱 이벤트 회수는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휠체어 고정식 카누가 최대 4대의 휠체어를 수용할 경우를 가정한다. 첫번째로 진입하는 휠체어는 센서 214, 213, 212를 지나 센서 211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두번째로 진입하는 휠체어는 센서 214, 213를 지나 센서 212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세번째로 진입하는 휠체어는 센서 214를 지나 센서 213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진입하는 휠체어는 센서 214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센서들(211~214)은 휠체어 중량을 감지할 때마다 센싱 정보를 통신모듈(221)로 전송한다.
락킹부 제어모듈(222)에는 각각의 센서로부터의 센싱 이벤트 회수와 매칭하는 휠체어 락킹부(130 : 131~134)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센서 211로부터의 센싱 정보가 1회 수신되면, 락킹부 제어모듈(222)은 센서 211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휠체어 락킹부(131)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제어 명령은 휠체어 락킹 명령이다. 센서 212로부터의 센싱 정보가 2회 수신되면, 락킹부 제어모듈(222)은 센서 212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휠체어 락킹부(132)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락킹부 제어모듈(222)은 선수(bow)로부터 n번째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n회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n번째 센서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n번째 휠체어 락킹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트랜섬부 제어모듈(223)은 락킹부 제어모듈(222)에서 n번째 휠체어 락킹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된 후부터의 시간 경과를 카운트한다. 트랜섬부 제어모듈(223)은 경과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 되면, 트랜섬부(140)가 원위치(폐쇄 위치)가 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4대 수용 정원에서 3대만 탑승할 경우, 락킹부 제어모듈(222)은 최종적으로 3번째 휠체어 락킹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더 이상 락킹부에 대한 제어 명령은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3대 탑승 후, 기준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트랜섬부(140)가 카누 본체(110)의 후미를 닫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기준 시간은 통상 소요되는 휠체어의 탑승 시간으로, 작업자가 설정하거나, 반복 실험에 의한 값이 미리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00)의 제어 명령은 스턴 체어(116), 휠체어 칸막이(119)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스턴 체어(116) 및 휠체어 칸막이(119)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칩을 내장하며,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200)의 제어 과정은 휠체어 탑승시에 유용하며, 휠체어 하선시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트랜섬부(140) 개방, 순차적인 휠체어 락 해제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카누 본체 111 : 플로워
112 : 측면 113 : 건웰
114 : 데크 플레이트 115 : 바우 체어
116 : 스턴 체어 117 : 스태빌라이저
118 : 커넥터 119 : 휠체어 칸막이
120 : 레일부 130 : 휠체어 락킹부
140 : 트랜섬부 210 : 센서부
220 : 제어부 221 : 통신모듈
222 : 락킹부 제어모듈 223 : 트랜섬부 제어모듈

Claims (6)

  1.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로워(floor)와 상기 플로워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체어를 수용하는 카누 본체;
    상기 플로워에 형성되며, 한 쌍의 휠체어 바퀴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휠체어 락킹부;
    상기 카누 본체의 후미에 형성되며, 상기 휠체어의 출입에 따라 상기 카누 본체의 후미를 개폐하는 트랜섬부;
    를 포함하는 휠체어 고정식 카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누 본체의 선미에는 힌지로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선회 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턴 체어가 형성된 휠체어 고정식 카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섬부는 상기 레일부의 레일과 연결되는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가이드는 상기 레일과 연결되는 일단부는 폭이 좁고 타단부는 폭이 넓으며,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일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는 휠체어 고정식 카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락킹부가 설치된 위치의 레일을 지나는 휠체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휠체어 락킹부와 상기 트랜섬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휠체어 락킹부 및 트랜섬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칩을 내장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동작하는 휠체어 고정식 카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 휠체어 락킹부 및 트랜섬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센서부를 이루는 센서들 각각에서 전송된 센싱 정보의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휠체어 락킹부 각각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락킹부 제어모듈과,
    상기 락킹부 제어모듈에서 생성된 마지막 락킹부 제어 명령 이후의 시간 경과를 카운트하여 경과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 되면 상기 트랜섬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트랜섬부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휠체어 고정식 카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 제어모듈은,
    상기 카누 본체의 선수(bow)로부터 n번째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n회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n번째 센서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n번째 휠체어 락킹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휠체어 고정식 카누.
KR1020200155531A 2020-11-19 2020-11-19 휠체어 고정식 카누 KR102452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531A KR102452847B1 (ko) 2020-11-19 2020-11-19 휠체어 고정식 카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531A KR102452847B1 (ko) 2020-11-19 2020-11-19 휠체어 고정식 카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597A true KR20220068597A (ko) 2022-05-26
KR102452847B1 KR102452847B1 (ko) 2022-10-11

Family

ID=8180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531A KR102452847B1 (ko) 2020-11-19 2020-11-19 휠체어 고정식 카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8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4168A (ja) * 2006-10-06 2008-04-24 Mikio Hijikata 小舟
KR20120009197A (ko) * 2010-07-23 2012-02-01 노수테크(주) 자전거의 보관대
KR20140140459A (ko) * 2013-05-29 2014-12-09 주식회사 대불조선 교통약자용 탑승 시설이 구비된 페리 보트
KR101695217B1 (ko) 2015-06-25 2017-01-11 최준영 카누제조방법
KR101911056B1 (ko) * 2017-04-26 2018-10-24 신영엔텍 주식회사 수륙 양용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4168A (ja) * 2006-10-06 2008-04-24 Mikio Hijikata 小舟
KR20120009197A (ko) * 2010-07-23 2012-02-01 노수테크(주) 자전거의 보관대
KR20140140459A (ko) * 2013-05-29 2014-12-09 주식회사 대불조선 교통약자용 탑승 시설이 구비된 페리 보트
KR101695217B1 (ko) 2015-06-25 2017-01-11 최준영 카누제조방법
KR101911056B1 (ko) * 2017-04-26 2018-10-24 신영엔텍 주식회사 수륙 양용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847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0210C (en) Small watercraft boatlift
JPH05178281A (ja) ウォータビークル
US20140349530A1 (en) Marine vessel
US9708038B2 (en) Boat entry assistance system
JPH05178280A (ja) ウォータビークル
JPH08169394A (ja) 水ジェット推進艇
US11091230B2 (en) Aft-facing transom seating for a boat
JPH07267184A (ja) 水ジェット推進艇
US8245657B2 (en) Personal watercraft with pivotable platform
KR102452847B1 (ko) 휠체어 고정식 카누
US5746150A (en) Boat for use with a personal watercraft
JP2008094168A (ja) 小舟
US10351215B2 (en) Vessel with moving stern swim platform supporting steps sliding over fixed stern steps
US20010047744A1 (en) Personal watercraft
US7424860B2 (en) Rollover boat
CN113022794A (zh) 休闲用钓鱼小船
US7152548B2 (en) Boat with dive elevator
JPS61271191A (ja) 小型滑走艇
JPS61282191A (ja) 小型滑走艇のデツキ構造
JP6563753B2 (ja) 船外機艇
JPS6114037B2 (ko)
US5787837A (en) Movable hiking bench
KR102471769B1 (ko) 페달구동식 레저용 보트
JPH0281790A (ja) 小型滑走艇
AU2002301024B2 (en) System And Centre Console For A Motorb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