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056B1 - 수륙 양용차 - Google Patents

수륙 양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056B1
KR101911056B1 KR1020170053870A KR20170053870A KR101911056B1 KR 101911056 B1 KR101911056 B1 KR 101911056B1 KR 1020170053870 A KR1020170053870 A KR 1020170053870A KR 20170053870 A KR20170053870 A KR 20170053870A KR 101911056 B1 KR101911056 B1 KR 101911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wheel
amphibious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완
황정용
Original Assignee
신영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3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60F3/0015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comprising trac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69Recreational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65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hydraulic fluid motor, i.e. wherein a liquid under pressure is utilised to rotate the prope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63B2025/245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of wheeled cargo, e.g. vehicle re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륙 양용차에 승선한 승용차의 동력을 이용하여 육상과 수상에서 운행할 수 있는 수륙 양용차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는, 육상과 해상에서 사용 가능한 수륙 양용 선체, 구름 접촉유닛, 발전유닛, 축전유닛, 그리고 추진유닛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종의 무동력 바지선(barge)과 자동차가 결합한 형태로 자동차의 동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축전하여 육상이나 해상에서 수륙 양용차의 추진이나 실린더 등의 유압구동의 동력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자동차와 무동력 배를 합체 후, 그 자동차를 운전만으로 배를 운항ㅇ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자가용으로 운행 가능하며, 연근해 교통수단으로 활용 가능하고, 레저용 관광 상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수륙 양용차 {Amphibious vehicle}
본 발명은 수륙 양용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종의 무동력 바지선에 승선한 승용차의 동력을 이용하여 육상과 수상에서 운행할 수 있는 수륙 양용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륙 양용차는 수상, 육상 모두 주행이 가능한 자동차로서 지금까지는 전투시 보병이나 군수물자들을 보급 이송하기 위한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수륙 양용차는 육상에서는 바퀴나 무한궤도에 의해 운행할 수 있으며, 수상으로 진입하여 수상 구동으로 전환하거나 프로펠러나 워터제트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1285호에서는 자동차를 이용한 수상이동 및 물놀이용 보트장치와 레저용으로 물놀이를 위한 보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자동차가 차보트에 육상에서 탑재되어 자동차 전륜의 구동력이 동력전달기어를 통하여 차보트의 전륜에 전달되어 수면상에서는 물론 지상에서도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출원발명과 같이 승선된 승용차의 동력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승용차의 동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이를 수륙양용차에 사용될 유압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고, 또한 수륙 양용차 위에 승선하는 승용차의 전후 차륜 거리가 다를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항상 동일한 차종의 승용차만 승선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271285 Y1 (2002.3.27.)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자가용으로 운행 가능하며, 연근해 교통수단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승선된 승용차의 바퀴 회전력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축전하며, 축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륙 양용선을 추진하기 위한 구동원으로 활용하거나 기타 유압장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 수륙 양용차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바퀴지지판을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양측으로 완충 유닛을 형성하여 전후륜 사이의 거리가 다양한 종류의 승용차들도 승선가능하고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수륙 양용차를 제공함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륙양용차를 구성하되, 수상에 부유되도록 부력공간이 갑판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갑판 상에 차량 탑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력 공간에 대해 평형수의 조절이 가능한 수륙 양용 선체; 상기 수륙 양용 선체의 갑판에 위치하며, 차량의 구동 바퀴에 접촉되어 회전 구동되거나 비구동 바퀴에 접촉되어 비구동 바퀴를 위치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구름 접촉유닛; 상기 복수의 구름 접촉유닛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유닛; 상기 발전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축전하는 축전유닛; 및 상기 발전유닛과 상기 축전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전원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추진유닛은 상기 수륙 양용 선체의 하부에 마련된 육상 이동을 위한 육상 구동부와 수상 이동을 위한 수상 추진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구름 접촉유닛은, 차량 바퀴의 하부 곡면부에 접촉 가능한 복수의 구름롤러; 및 상기 복수의 구름롤러에 대한 상기 바퀴의 정위치 접촉을 감지하는 바퀴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구름롤러는 차량의 바퀴들에 대응하여 복수 영역에 위치하며, 차량의 조향유닛에 의해 이동 방향이 조정되도록 상기 추진유닛이 조향유닛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갑판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구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바퀴 지지판; 상기 갑판 상에서 상기 바퀴 지지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퀴 지지판의 이동을 허용하되 그 이동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볼 캐스터; 및 상기 바퀴 지지판의 전후부와 전후부에 교차하는 측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정렬 실린더를 더 구성하여 크기가 다른 승용차들도 승선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 범용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체의 갑판에는 차량의 움직임을 저지하며, 상기 선체와 상기 차량의 직접 충돌을 차단하면서 차량의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 유닛은 완충을 위한 완충부와, 차량에 대해 상기 완충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완충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일종의 무동력 바지선(barge)과 자동차가 결합한 형태로 자동차의 주요기능(동력, 조향장치 등)을 해상운항, 육상운행시 직결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자동차와 무동력 배를 합체 후, 그 자동차를 운전만으로 배를 운항ㅇ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자가용으로 운행 가능하며, 연근해 교통수단으로 활용 가능하고, 레저용 관광 상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바퀴지지판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므로 전후륜 사이가 간격이 다른 승용차가 본 발명에 승선하더라도 구동이 가능한 범용성이 있으며, 완충 유닛에 의해 승용차를 안전하게 지지하므로 해상운행시 파도의 출렁거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의 측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바퀴지지판과 실린더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는 크게 육상과 해상에서 사용 가능한 수륙 양용 선체(100), 구름 접촉유닛(130), 발전유닛(140), 축전유닛(150), 그리고 추진유닛(160)으로 대분된다.
수륙 양용 선체(100)는 수상과 육상에서 가용 가능하도록 마련된 선체로 갑판(110) 상으로 승용차와 같은 차량(10)이 탑재되고, 수상에 부유되도록 부력공간(111)이 갑판(110) 하부에 마련된다.
수륙 양용 선체(100)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력 공간(111)으로 평형수를 유입 유출시키기 위해서는 본선 내부에 설치된 평형수 펌프를 설치하며, 선적 중량에 맞게 안정적인 운행을 가능하도록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수륙 양용 선체(100)의 상부 갑판에는 차량(10) 탑재 시에 차량(10)의 바퀴에 접촉되는 구름 접촉유닛(130)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름 접촉유닛(130)은 수륙 양용 선체(100)의 갑판(110)에 복수로 위치하며, 차량(10)의 구동 바퀴에 접촉되어 회전 구동되거나 비구동 바퀴에 접촉되어 비구동 바퀴를 위치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구름 접촉유닛(130)은 후술되는 발전유닛(14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발전유닛(140)은 자세하게 도시되진 않았으나 복수의 구름 접촉유닛(130)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발전유닛(140)은 회전축에 회전자가 있고 주위에 고정자가 있는 자기 유도 발전방식으로 구성된 것이다. 발전유닛(140)은 각각의 구름 접촉유닛(130)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10)은 구동 방식에 따라 전륜(15)과 후륜(16) 또는 사륜 구동 방식이 있다. 차량(10)의 구동 방식에 대응하여 구름 접촉유닛(130)과 발전유닛(140)이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전륜(15) 구동 방식의 차량(10)이 갑판(110)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갑판(110)의 선수 측에 인접한 구름 접촉유닛(130)이 바퀴에 접촉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연결된 발전유닛(140)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어 축전유닛(ESS, 전기에너지저장장치)(150)에 저장될 수 있다.
축전유닛(150)은 발전유닛(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축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갑판(110)과 부력공간(111)을 구성하기 위한 데크 사이에 배치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축전유닛(150)은 병렬 혹은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일 수 있다. 이러한 축전유닛(150)은 이차전지에 해당되는 납축전지, 리튬폴리머 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추진유닛(160)은 수륙 양용 선체(10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추진유닛(160)은 발전유닛(140)과 축전유닛(150) 중 어느 하나의 전원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추진유닛(160)은 수륙 양용 선체(100)의 하부에 마련된 육상 이동을 위한 육상 구동부(161)와 수상 이동을 위한 수상 추진부(16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는, 차량(10)이 갑판(110)에 탑재된 후, 차량(10)의 바퀴가 구름 접촉유닛(130)에 접촉되어 구름 접촉유닛(130)이 구동된다. 구름 접촉유닛(130)의 구동에 따라 발전유닛(140)이 발전되면서 축전유닛(150)에 축전된다. 축전유닛(150)에는 기 충전된 전기가 있으므로, 추진유닛(160)이 가동될 수 있다. 유상에서는 육상 구동부(161)가 사용되며, 수상에서는 추진유닛(160) 중 수상 추진부(165)가 사용된다.
추진유닛(160)은 추진 방식에 따라 전기를 직접 사용하는 것과, 전기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원을 공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전기에 의해 가동되는 유압 공급 유닛(190)의 유압을 구동원으로 사용한다. 전기가 직접 소모되는 추진방식은 구동축과 감속기로 연결된 전기모터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과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의 주요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름 접촉유닛(130)은, 차량(10) 바퀴의 하부 곡면부에 접촉 가능한 복수의 구름롤러(131)와, 복수의 구름롤러(131)에 대한 바퀴의 정위치 접촉을 감지하는 바퀴 감지센서(132)를 포함한다.
복수의 구름롤러(131)는 바퀴의 곡면부가 접촉되어 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마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것이다. 이 구름롤러(131) 중 일부는 발전유닛(140)에 연결되어 승선된 승용차의 바퀴가 구동하여 구름롤러가 회전하면 이에 연결된 발전유닛(140)에서 전기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바퀴 감지센서(132)는 전후 한 쌍의 구름롤러(131) 사이에 위치하여 승선된 승용차의 바퀴가 구름롤러(131) 중심에 정확하게 안치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바퀴 감지센서(132)는 각각의 구름 접촉유닛(130)에 해당되는 복수의 구름롤러(131) 사이에 모두 배치되어 4개의 승용차 바퀴의 접촉상태를 감지한다.
이처럼 차량(10)의 바퀴가 모든 구름 접촉유닛(130)에 접촉된 상태는 차량(10)이 갑판(110) 상에 온전하게 탑재되어 선체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추진유닛(160)의 가동되도록 전기적인 제어가 이루어지고, 후술되는 수륙 양용 선체(100)의 갑판 상으로 차량(10) 탑재를 안내하기 위한 펼쳐져 있던 접안 램프 유닛(180)은 선체 측으로 접어지도록 제어된다.
상기의 복수의 구름롤러(131)는 차량(10)의 바퀴들에 대응하여 네 지점에 위치하며, 차량(10)의 조향유닛(11)에 의해 이동 방향이 조정되도록 추진유닛(160)이 조향유닛(11)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10)의 운전자는 차량(10)의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별도로 마련되는 조향제어용 조이스틱 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수륙 양용 선체(100)의 이동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처럼 조향제어용 컨트롤러과 추진유닛(160)의 연동은 유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전자 신호에 의해 구현되며 이는 상용화 된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이스틱 컨트롤러는 러더(168)나 무한궤도(162)의 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추진유닛(160)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프로펠러(167)가 사용되는 경우, 프로펠러 후방에 위치하는 조향을 위한 러더(168)가 조향제어용 컨트롤러의 작동에 대응하여 좌우 회전된다. 더불어 육상 이동을 위한 육상 구동부(161)로 무한궤도(162)가 사용되는 경우, 컨트롤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무한궤도(162)의 어느 한쪽에 대한 동력이 단속되어 한쪽 무한궤도(162)가 정지됨으로써 수륙 양용 선체(100)의 이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륙 양용차는, 구름 접촉유닛(130)이 정렬 실린더(122)(123)에 의해 하측에서 볼 캐스터(121)에 지지된 체로 전후좌우 이동가능도록 구성된 바퀴 지지판(120)에 설치될 수 있다.
바퀴 지지판(120)은 갑판(110) 상에서 전 후측에 각각 하나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바퀴 지지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볼 캐스터(121)는 갑판(110) 하측의 선체의 프레임 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바퀴 지지판(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바퀴 지지판(120)은 볼 캐스터(121)에 의해 이동이 평면상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며, 그 이동은 사이드 측에 형성된 횡축 정렬실린더(123)에 의해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고, 전 후방 단부측에 형성된 바퀴 정렬실린더(122)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승선되는 차량의 전륜과 후륜의 간격에 대응하여 정렬실린더가 작동하여 구름롤러(131)위로 바퀴의 안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횡축 정렬실린더(123)는 본선에 차량이 진입시 정 가운데로 진입되지 못하더라도 양용선의 중심으로 실린더(123)에 의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횡축 무게중심을 센터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바퀴 지지판(12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볼 캐스터(1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프레임 구조물 위에 설치됨으로써 상부의 차량 무게에도 처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지지판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바퀴 지지판(120)의 하부에는 바퀴 감지센서(132)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하 실린더(125)가 마련될 수 있다. 상하 실린더(125)는 각각의 바퀴 감지센서(132)의 하부에서 바퀴 감지센서(132)를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승선되는 차량의 바퀴의 직경이 작으면 낮게, 직경이 큰 경우에는 다소 높여서 정확한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륙양용차의 갑판 양측으로는 차량(10)의 움직임을 저지하며, 선체와 차량(10)의 직접 충돌을 차단하면서 차량(10)의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 유닛(170)이 마련된다. 완충 유닛(170)은 완충을 위한 완충부(171)와, 차량(10)에 대해 완충부(17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완충 실린더(17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이 갑판에 탑재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차량(10)은 수륙 양용 선체(100)의 경사도나 파도의 출렁임에 의해 의도치 않게 차량이 유동할 수 있다. 이때는 차량(10)의 바퀴가 구름롤러(131) 상에서 슬립되는 경우, 차량(10)의 차체가 선체에 부딪히면서 훼손될 수 있지만, 완충부(171)에 차체가 접촉된 상태이므로 챠량의 유동을 방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171)는 폼재, 공기주머니, 고무와 같이 차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에어를 주입하여 부풀어 오르게하는 에어펜더를 설치하여 차량의 크기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완충부(171)는 차량(10)이 갑판(110)에 탑재된 상태에서 완충 실린더(172)에 의해 차체에 접촉되도록 위치가 조절된다.
수륙 양용 선체(100)는 차량(10)을 싣기 위해 육지의 부두나 지면에 접안되며, 이 때 수륙 양용 선체(100)의 전후부에는 차량(10)이 수륙양용차의 갑판(110)에 대한 탑재를 허용하도록 지면에 대해 접안 가능한 접안 램프 유닛(180)이 설치된다. 접안 램프 유닛(180)은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갑판 상으로 차량(10)의 이동을 허용하는 접안 도어부(181)와, 접안 도어부(181)에 연결되며 접안 도어부(181)를 회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접안 도어부(181)의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램프 실린더(182)를 포함한다.
차량(10)은 갑판과의 높이 차이가 있으므로, 접안 도어부(181)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지면에 안착되어 갑판 상으로 차량(10)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접안 도어부(181)의 양 측에는 램프 실린더(182)를 설치하며, 차량(10)의 갑판 탑재 후에 접안 도어부(181)는 닫힘상태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륙 양용차는 추진유닛(160), 정렬실린더(122)(123), 완충 실린더(172), 및 접안 램프유닛(180) 등 많은 종류의 유압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서 수륙 양용 선체(100)는 유압 공급 유닛(190)이 배치된다.
유압 공급 유닛(190)은 축전유닛(150)에 의해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전원으로 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유압 공급 유닛(190)은 상기 언급한 다양한 유압작동부들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해 각각의 실린더나 유압모터로 연결되는 유압라인이 구성된다.
수륙양용선의 추진을 위해 마련되는 추진유닛(160)은 육상 구동부와 수상 추진부로 대분되며, 육상 구동부(161)는 유압모터(166)와 유압모터(166)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무한궤도(162)를 포함하며, 수상 추진부(165)는 유압모터(166)와 유압모터(166)에 구동되는 프로펠러(16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갑판 상에는 차량(10)에 연결되어 차량(1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길이가 조절 가능한 와이어가 권취된 윈치 유닛(195)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10)의 차체는 윈치유닛에 고정되어야만 완전하게 갑판 상에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윈치 유닛(195)은 차량(10)에 대응하여 갑판의 사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차량(10)의 차체에 와이어가 연결된 후, 일정 텐션으로 와이어가 감기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10)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는, 해상 운항시 자동차 동력, 조향장치로 배의 프로펠러(167), 방향키를 조정하며, 육상 운전시 자동차 동력과 조향장치로 무한궤도(162)와 같은 바퀴를 운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는, 엑셀을 밟아 전륜(15) 또는 후륜(16) 바퀴 구름시키게 되면 드럼 회전차인 구름롤러(131)가 바퀴에 접지되어 고속 회전되고, 구름롤러(131)에 연결된 발전유닛(140)에서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며, 그 전기가 축전유닛(150)에 충전되어 유압 공급 유닛(190)을 가동시키며, 유압 공급 유닛(190)에 의해 수륙 양용차의 추진을 위한 스크류와 무한궤도(162)가 작동되며, 또한 각종 실린더와 윈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는 파도의 출렁임에 의해 차량(10)이 측면으로 쏠리지 않도록 차량(10)의 측면을 고정하는 공기망과 같은 에어펜더가 완충부(171)로 설치되어 파도의 출렁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갑판 상에 설치된 바퀴 지지판(120)은 차량(10)의 전륜(15)에 위치 가능한 전륜(15) 측과 후륜(16)이 위치 가능한 후륜(16) 측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류 및 후륜(16) 측 바퀴 지지판(120)에는 전후 및 측방 이동을 위한 복수의 정렬 실린더(122)가 연결되어, 이에 따라 각각의 바퀴 지지판(120)은 정렬 실린더(122)에 의해 이동되어 차량(10)의 바퀴 간격에 대응하여 위치 정렬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차량도 승선하여 수륙양용선을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는, 대한한국과 같이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국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부산과 같은 해안도시는 배산임해(背山臨海)식 지형을 갖고 넓은 평지가 아닌 산지나 구릉지가 많아서 도심에 더 이상의 도로를 건설하여 보급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나, 본 발명의 수륙 양용차를 이용하면 추가 도로개설 또는 확장 없이 도로율을 줄이고 교통소통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더욱이 조선, 해양관련 투자 활성화 통해 침체된 조선경기 극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차는, 일종의 무동력 바지선(barge)과 자동차가 결합한 형태로 자동차의 주요기능(동력, 조향장치 등)을 해상운항, 육상운행시 직결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자동차와 무동력 배의 선체를 합체한 후, 그 자동차의 운전만으로 선체를 운항ㅇ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자가용으로 운행 가능하며, 연근해 교통수단으로 활용 가능하고, 레저용 관광 상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차량 15: 전륜
16: 후륜 100: 수륙 양용 선체
110: 갑판 111: 부력공간
120: 바퀴 지지판 121: 볼 캐스터
122: 바퀴 정렬실린더 123: 횡축 정렬실린더
125: 상하 실린더
130: 구름 접촉유닛 131: 구름롤러
132: 바퀴 감지센서 140: 발전유닛
150: 축전유닛 160: 추진유닛
161: 육상 구동부 162: 무한궤도
165: 수상 추진부 166: 유압모터
167: 프로펠러 168: 러더
170: 완충 유닛
171: 완충부 172: 완충 실린더
180: 접안 램프 유닛 181: 접안 도어부
182: 램프 실린더 190: 유압 공급 유닛
191: 유압펌프 195: 윈치 유닛

Claims (4)

  1. 수상에 부유되도록 부력공간이 갑판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갑판 상에 차량 탑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력 공간에 대해 평형수의 조절이 가능한 수륙 양용 선체;
    상기 수륙 양용 선체의 갑판에 위치하며, 차량의 구동 바퀴에 접촉되어 회전 구동되거나 비구동 바퀴에 접촉되어 비구동 바퀴를 위치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구름 접촉유닛;
    상기 복수의 구름 접촉유닛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유닛;
    상기 발전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축전하는 축전유닛; 및
    상기 발전유닛과 상기 축전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전원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구름 접촉유닛은,
    차량 바퀴의 하부 곡면부에 접촉 가능한 복수의 구름롤러; 및
    상기 복수의 구름롤러에 대한 상기 바퀴의 정위치 접촉을 감지하는 바퀴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구름롤러는 차량의 바퀴들에 대응하여 복수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추진유닛은 상기 수륙 양용 선체의 하부에 마련된 육상 이동을 위한 육상 구동부와 수상 이동을 위한 수상 추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름 접촉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갑판의 전 후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 구성되는 바퀴 지지판;
    선체의 프레임 구조물 위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 지지판 아래에 위치하여 바퀴 지지판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캐스터; 및
    상기 바퀴 지지판의 전후측 양 단부에 형성되는 바퀴 정렬실린더와, 바퀴 지지판의 측부에 형성되는 횡축 정렬실린더;에 의해 바퀴 지지판이 전후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차.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갑판에는 차량의 움직임을 저지하며, 상기 선체와 상기 차량의 직접 충돌을 차단하면서 차량의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 유닛은 완충을 위한 완충부와, 차량에 대해 상기 완충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완충 실린더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차.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과 상기 축전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전원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추진유닛과 유압을 사용하기 위한 배치된 실린더들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유압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육상 구동부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무한궤도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 추진부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에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차.
KR1020170053870A 2017-04-26 2017-04-26 수륙 양용차 KR101911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70A KR101911056B1 (ko) 2017-04-26 2017-04-26 수륙 양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70A KR101911056B1 (ko) 2017-04-26 2017-04-26 수륙 양용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056B1 true KR101911056B1 (ko) 2018-10-24

Family

ID=6413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870A KR101911056B1 (ko) 2017-04-26 2017-04-26 수륙 양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0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597A (ko) * 2020-11-19 2022-05-26 베어마운틴코리아 주식회사 휠체어 고정식 카누
KR102478604B1 (ko) * 2021-08-09 2022-12-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전기추진 차도선의 배터리 트레일러 고박 시스템
WO2023068250A1 (ja) * 2021-10-18 2023-04-27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597A (ko) * 2020-11-19 2022-05-26 베어마운틴코리아 주식회사 휠체어 고정식 카누
KR102452847B1 (ko) * 2020-11-19 2022-10-11 베어마운틴코리아 주식회사 휠체어 고정식 카누
KR102478604B1 (ko) * 2021-08-09 2022-12-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전기추진 차도선의 배터리 트레일러 고박 시스템
WO2023068250A1 (ja) * 2021-10-18 2023-04-27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570B1 (ko) 엔진내장형 수륙양용 에어보트
KR101911056B1 (ko) 수륙 양용차
RU2555051C2 (ru) Амфибия
US8777680B2 (en) Snowmobile conversion kit for amphibious service
US3629884A (en) Camper-boat-trailer
KR101028825B1 (ko) 수륙 양용 캠핑카
KR20130034280A (ko) 다목적 수륙양용 차량
CN204055192U (zh) 水陆两用碰碰车
KR20130091380A (ko) 수륙양용자동차(1)
CN108974245A (zh) 一种不翻倒的船
US3428016A (en) Amphibious commercial-type motor vehicle
KR101681979B1 (ko) 수상운행이 가능한 날개 내장형 타이어 휠
CN203600921U (zh) 一种具有可升降车轮的水陆二栖船舶
KR101650771B1 (ko) 선박의 수륙양용을 위한 선체 부착형 육상구동장치
RU2345916C1 (ru) Самоходная амфибийная платформа на воздушной подушке
CN110091686B (zh) 一种两栖无人船组合式登陆装置
US20070025816A1 (en) Marine pier system
CN209756671U (zh) 一种小型两栖多地形快艇
EP2532538A2 (en) Snowmobile conversion kit for amphibious service
KR200392454Y1 (ko) 육상의 전기로 운행하는 궤도형 선박
CN201665137U (zh) 水陆浮具摩托车艇
CN101898493A (zh) 轮艇
CN102145642A (zh) 水陆浮具摩托车艇
US20100317243A1 (en) Device capable of translational movement over a surface
CA3113512C (en) Amphibious vehicle with retractable floa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