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510A - 전동형 기립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형 기립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510A
KR20220064510A KR1020200150631A KR20200150631A KR20220064510A KR 20220064510 A KR20220064510 A KR 20220064510A KR 1020200150631 A KR1020200150631 A KR 1020200150631A KR 20200150631 A KR20200150631 A KR 20200150631A KR 20220064510 A KR20220064510 A KR 20220064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cushion
panel
standing
se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황용
이규창
Original Assignee
조황용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황용,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황용
Priority to KR102020015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4510A/ko
Publication of KR20220064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9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8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Lower body, e.g. pelvis,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모터를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힘으로 기구를 조작하거나, 관절을 포함한 사용자의 신체에 힘을 가할 필요없이 바닥에 밀착된 좌식 상태에서 의자에 앉은 자세로 용이하게 전환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기립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형 기립 보조 장치{Electromotive Apparatus for Assisting Standing-up}
본 발명은 전동 모터를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해지는 증상을 수반하는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고령으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령 인구 등의 경우, 보조자가 도움 없이는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기립을 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거동 불편 환자나 노령 인구는 바닥에 앉은 좌식 상태에서 기립 상태로 전환하는 도중에 몸의 균형을 잡지 못하고 쓰러져 부상을 당하거나, 굽은 상태의 관절을 펴는 동작을 하는 도중에 관절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부상을 입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심각한 중상을 입는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거동 불편 환자 또는 노령 인구의 기립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들이 다수 개발되어져 왔다. 국내 출원 제10-2016-0042710호는 가스실린더와 탄성체를 이용한 기립보조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레버를 조작하여 의자를 앞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의자에 앉아있던 사용자의 몸을 앞으로 기울어지게 만들고, 이를 통해 기립을 돕는 의자에 관해 공지하고 있다. 국내 출원 제10-2016-0106369호는 사용자의 팔 힘에 의해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가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안전하고 쉽게 일어서도록 보조하는 의자형 기립 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상의 공지 문헌들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좌판이 바닥에 완전히 밀착된 좌식 상태에서 의자에 앉은 자세로 사용자의 자세를 전환시켜주고, 더 나아가 사용자를 기립시켜주는 장치에 관한 내용은 공지된 바 없다.
국내 출원 제10-2016-0042710호 국내 출원 제10-2016-01063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판이 바닥에 완전히 밀착된 좌식 상태에서 의자에 앉은 자세로 사용자의 자세를 전환시켜주고, 더 나아가 사용자를 기립시켜주는 전동식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립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 패널과; 상기 좌판 패널이 상하 이동 가능하고, 바닥면에 밀착될때까지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좌판 패널의 일측면이 연결된 제1 가이드 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좌판 패널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부를 구비한다.
상기 기립 보조 장치는 상기 좌판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고, 회전 브라켓을 통해 상기 좌판 패널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좌방석 회전 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립 보조 장치는 상기 좌방석 회전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좌방석부와; 좌방석부의 일단을 리프팅시킬 수 있도록 좌방석부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좌방석 회전 부재와 추가적으로 고정 결합된 제2 가이드 부와; 상기 좌방석부의 일단을 제2 가이드 부의 축 방향을 따라 리프팅시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부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립 보조 장치는 상기 좌판 패널, 좌방석 회전 부재, 또는 좌방석부의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힘으로 기구를 조작하거나, 관절을 포함한 사용자의 신체에 힘을 가할 필요없이 바닥에 밀착된 좌식 상태에서 의자에 앉은 자세로 용이하게 전환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기립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좌판 패널을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좌판 패널을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좌판 패널 및 등받이를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판 패널 및 좌방석부를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특히 도 4의 우측 도는 좌판 패널 및 좌방석부의 동반 상승 후 좌판 패널의 높이는 고정된 상태에서 좌방석부 만의 추가적인 리프팅에 의해 좌방석부가 틸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방석 회전 부재를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에 대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고, 바닥면에 인접한 하강 상태, 리프팅 상태, 회전 부재의 90도 회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 부 및 제2 모터부에 의해 일단이 리프팅되어 전체적으로 틸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좌방석부를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방석부를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의 측면도에 관한 것이고, 좌방석부의 일단이 제2 가이드 부를 따라 리프팅되어, 틸팅된 상태를 형성하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방석부를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의 측면도로서, 좌방석 회전 부재가 90도 회전되고, 좌방석부가 틸팅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좌판 패널을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기립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 패널(101)과, 상기 좌판 패널(101)이 상하 이동 가능하고, 바닥면에 밀착될때까지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좌판 패널(101)의 일측면이 연결된 제1 가이드 부(202)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201) 및 상기 좌판 패널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부(30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 부(202)는 예를 들어, 제1 모터부(301)의 구동력을 좌판 패널이 제1 가이드 부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전환시키는 전동식 선형 구동기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선형 구동기는 구동원인 제1 모터부에 연결되는 피니언(미도시)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하 이동하는 랙(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 부를 형성하는 가동로드가 상하 운동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동식 모터에 의해 좌판 패널을 상하 이동 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식이라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등받이 부(401)를 추가적으로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를 나타낸다. 등받이 부(401)는 좌판 패널(101)과 제1 가이드 부(202)가 연결되는 제1 체결부(105)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제1 체결부(105)는 전동식 모터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부(202)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부(401)는 좌판 패널(101)이 상하 이동할 때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등받이부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판 패널(101) 및 좌방석부(103)를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좌방석부(103)는, 제1 체결부(105)와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하여 제1 체결부(105)와 이격될 수 있는 제2 체결부(106)를 통해 제1 가이드 부(20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우측 도는 좌판 패널(101) 및 좌방석부(103)가 동반 상승한 후 좌판 패널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좌방석부가 추가적으로 더 제1 가이드 부(202)를 따라 리프팅되어 틸팅된 상태가 됨으로써, 사용자의 기립에 더욱 유리한 자세를 만들어 준다. 상기 좌방석부(103)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 부(202)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일단의 상승에 의해 좌방석부(103)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힌지 결합은 좌방석부(103)와 제2 체결부(106) 사이에 형성된 관절 구조, 즉 링크절을 형성하는 결합을 의미한다. 좌판 패널(101) 및 좌방석부(103)를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의 경우에도 등받이부(40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등받이부(401)는 제2 체결부에 고정 부착될 수 있고, 좌방석부(103)가 틸팅되더라도 등받이부도 알맞은 높이로 동반 상승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등받이부(401)는 좌방석부의 후단에 고정 부착될 수 있고, 좌방석부(103)가 틸팅됨과 동시에 등받이부도 전방으로 기울기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좌방석부(103)의 하단부에는 좌방석부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추가적인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좌판 패널(101)은 상기 레일에 결착되어 부드럽게 레일 내에서 이동 가능한 돌기(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좌방석부(103)의 틸팅시, 좌방석부(103)와 상기 좌판 패널(101)이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좌판 패널(101)의 상부에 접하여 구비되고, 회전 브라켓(104)을 통해 상기 좌판 패널(101)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좌방석 회전 부재(102)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기립 보조 장치를 나타낸다. 좌측 도부터 순서대로, 좌판 패널(101)이 바닥면에 인접한 상태, 좌판 패널(101) 및 좌방석 회전 부재(102)가 제1 모터부(301)의 구동에 의해 제1 가이드 부(202)를 따라 상단으로 리프팅된 상태, 좌방석 회전 부재가 9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좌방석 회전 부재(102)는 회전 브라켓(104)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가능하며,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브라켓(104) 및 좌방석 회전 부재(102)를 구비하는 기립 보조 장치의 경우에도, 등받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등받이부(40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위(105)에 고정 부착될 수 있고, 이 때에는 좌방석 회전 부재(102)가 회전 하더라도, 등받이(401)가 함께 회전하지는 않는다. 또한, 등받이(401)는 좌방석 회전 부재(102)에 고정 부착될 수 있고, 이 때에는 좌방석 회전 부재(102)가 회전하면, 등받이(40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 부(203) 및 제2 모터부(302)에 의해 일단이 리프팅되어 전체적으로 틸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좌방석부(103)를 구비한 기립 보조 장치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기립 보조 장치의 경우에도 좌방석 회전 부재(102)가 회전될 수 있고, 이 때 제2 가이드 부(203)도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한 상태에서도 좌방석부(103)의 후면이 리프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좌판 패널
102: 좌방석 회전 부재
103: 좌방석 부
104: 회전 브라켓
105: 제1 체결부
106: 제2 체결부
201: 메인 프레임
202: 제1 가이드 부
203: 제2 가이드 부
301: 제1 모터부
302: 제2 모터부
401: 등받이 부

Claims (5)

  1.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 패널;
    상기 좌판 패널이 상하 이동 가능하고, 바닥면에 밀착될때까지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좌판 패널의 일측면이 연결된 제1 가이드 부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좌판 패널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부를 구비하는, 기립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좌방석부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하고, 상기 좌방석부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 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일단의 상승에 의해 좌방석부가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고, 회전 브라켓을 통해 상기 좌판 패널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좌방석 회전 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기립 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방석 회전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좌방석부;
    상기 좌방석부의 일단을 리프팅시킬 수 있도록 좌방석부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좌방석 회전 부재와 추가적으로 고정 결합된 제2 가이드 부; 및
    상기 좌방석부의 일단을 제2 가이드 부의 축 방향을 따라 리프팅시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부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하는, 기립 보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패널, 좌방석 회전 부재, 또는 좌방석부의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하는, 기립 보조 장치.
KR1020200150631A 2020-11-12 2020-11-12 전동형 기립 보조 장치 KR20220064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631A KR20220064510A (ko) 2020-11-12 2020-11-12 전동형 기립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631A KR20220064510A (ko) 2020-11-12 2020-11-12 전동형 기립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510A true KR20220064510A (ko) 2022-05-19

Family

ID=8180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631A KR20220064510A (ko) 2020-11-12 2020-11-12 전동형 기립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451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710A (ko) 2014-10-10 2016-04-20 임태윤 발수 코팅액, 이를 이용한 발수 코팅층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60106369A (ko) 2015-03-02 2016-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글리세린 탈수 반응용 촉매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글리세린 탈수 반응용 촉매 및 아크롤레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710A (ko) 2014-10-10 2016-04-20 임태윤 발수 코팅액, 이를 이용한 발수 코팅층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60106369A (ko) 2015-03-02 2016-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글리세린 탈수 반응용 촉매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글리세린 탈수 반응용 촉매 및 아크롤레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9583A (en) Powered lift toilet seat
US4231614A (en) Wheelchair
JP3816173B2 (ja) 介助支援トランスファ装置
US20040227331A1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CN109069333B (zh) 介助装置
EP0211843B1 (en) Invalid chair for conveying a person having limited ability to move without heavy lifting from a sitting to a lying position
US20200095757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adjustable seat height
KR20160142766A (ko)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KR20220064510A (ko) 전동형 기립 보조 장치
AU2016336279B2 (en) Assistance device
JP2018051101A (ja) 移動補助装置
CN115256424A (zh) 一种患者护理用的移乘机器人
JP2016144628A (ja) 介護者補助装置
JP6694449B2 (ja) 介助ロボット
JP2020131031A (ja) 自動昇降手摺
JP2005137639A (ja) 起立補助椅子
KR102549833B1 (ko) 2단 승하강 관절식 전동 좌변보조장치
KR102047041B1 (ko)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JP2016036366A (ja) 起立着座支援装置
JP3088406B2 (ja) 椅子等の座部起動装置
JP3602188B2 (ja) 歯科治療用椅子
JP7150287B2 (ja) 多機能介護リフト
KR102640421B1 (ko) 이동 및 높이조절 리프트 의자
KR102632958B1 (ko)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
JP6653937B2 (ja) 起立着座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