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958B1 -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958B1
KR102632958B1 KR1020210139895A KR20210139895A KR102632958B1 KR 102632958 B1 KR102632958 B1 KR 102632958B1 KR 1020210139895 A KR1020210139895 A KR 1020210139895A KR 20210139895 A KR20210139895 A KR 20210139895A KR 102632958 B1 KR102632958 B1 KR 10263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pair
patient
driving
guard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6173A (ko
Inventor
한성구
Original Assignee
(주)엠아이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아이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엠아이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39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958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2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rotating the whole seat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는: 전후 하부에 이동바퀴가 각각 구비되고,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 고정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각각의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 구비된 한 쌍의 승강 구동부; 상기 한 쌍의 승강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승강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 되게 구비된 한 쌍의 승강 축; 및, 상기 한 쌍의 승강 축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축의 승강과 함께 승강 되도록 구비되며, 후방이 회동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환자의 착석이 이뤄지도록 하는 리프팅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거동이 불편한 돌봄이 필요한 환자가 소변 배설 또는 배변활동의 필요를 느끼거나 침대에서 이동할 필요를 느낄 때에 간호사나 간병인 또는 환자 보호자가 적은 힘으로도 손쉽고 편리하게 승강 리프팅 기능과 시트의 후방 회동개폐 기능으로 환자가 침대에서 용이하게 옮겨 착석하도록 할 수 있고, 재활 복지 의료기기로서 다양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 {moving apparatus for nursing patient}
본 발명은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돌봄이 필요한 환자가 소변 배설 또는 배변활동의 필요를 느끼거나 침대에서 이동할 필요를 느낄 때에 간호사나 간병인 또는 환자 보호자가 적은 힘으로도 손쉽고 편리하게 승강 리프팅 기능으로 환자가 침대에서 옮겨 착석하도록 할 수 있고, 재활 복지 의료기기로서 다양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새로운 기록을 매번 경신하며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추세 중이다. 더욱이 2025년에는 고령인구가 약 1,05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0%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인층 진입이 예정되어 있어 앞으로 노인층의 의료비 증가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고, 사회적 비용 증가와 세대 갈등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문제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노인 인구 및 치매 환자의 증가 등 돌봄 서비스의 수요는 최근 급증하고 있지만, 간병의 75% 정도는 사적 간병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환자의 보호자나 환자와의 개인적 계약 또는 용역에 의해 일시 고용된 간병인들이 환자의 곁에서 입원 생활에 필요한 수발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한다.
반면에, 최근에는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 사회적 변화로 인하여 가족이 입원하게 될 경우 환자는 가족의 간병 수발보다는 유료 간병인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등 사회적 환경은 점점 가족 간병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 되어가고 있고, 질병 구조의 변화나 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입원 환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간병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노인이나 환자 돌봄에 있어서 노인이나 환자 스스로 소변 배설 또는 배변활동을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게 될 때에는 환자 본인은 수치심과 불안감, 절망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이나 환자들이 소변 배설이나 배변활동, 또는 식당 출입이나 치료 활동 등 침대에서 이동할 필요를 느낄 때에는 간호사나 간병인 또는 환자 보호자가 환자의 허리나 엉덩이를 잡아당기거나 들어서 휠체어와 같은 이동장치에 옮겨 앉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환자용 휠체어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59702호(2012년06월19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환자용 휠체어는 침대에서 환자를 옮겨 앉히려 하면 간호사나 간병인 또는 환자 보호자가 환자의 체중을 그대로 감당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허리 통증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에 쉽게 걸리게 될 수 있고, 과중한 육체적 부담이 따르게 되어 간병 과정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59702호(2012년06월19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거동이 불편한 돌봄이 필요한 환자가 소변 배설 또는 배변활동의 필요를 느끼거나 침대에서 이동할 필요를 느낄 때에 간호사나 간병인 또는 환자 보호자가 적은 힘으로도 손쉽고 편리하게 승강 리프팅 기능으로 환자가 침대에서 옮겨 착석하도록 할 수 있고, 재활 복지 의료기기로서 다양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는: 전후 하부에 이동바퀴가 각각 구비되고,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 고정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각각의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 구비된 한 쌍의 승강 구동부; 상기 한 쌍의 승강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승강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 되게 구비된 한 쌍의 승강 축; 및, 상기 한 쌍의 승강 축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축의 승강과 함께 승강 되도록 구비되며, 후방이 회동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환자의 착석이 이뤄지도록 하는 리프팅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 시트는 좌우로 상호 분할되어 상기 한 쌍의 승강 축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승강 축 각각의 상부에는 전방을 향해 만곡 연장되어 환자 보호자가 양손으로 파지하도록 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승강 축에 대해 위 아래로 회동 접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돌봄이 필요한 환자가 소변 배설 또는 배변활동의 필요를 느끼거나 침대에서 이동할 필요를 느낄 때에 간호사나 간병인 또는 환자 보호자가 적은 힘으로도 손쉽고 편리하게 승강 리프팅 기능과 시트의 후방 회동개폐 기능으로 환자가 침대에서 용이하게 옮겨 착석하도록 할 수 있고, 재활 복지 의료기기로서 다양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의 리프팅 시트에 환자가 앉아 사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시트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를 뒤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하부에 이동바퀴(110)가 각각 구비되고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0)과,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 고정하는 연결 프레임(200)과,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 각각의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 구비된 한 쌍의 승강 구동부(300)와, 한 쌍의 승강 구동부(300)에 각각 연결되어 승강 구동부(300)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 되게 구비된 한 쌍의 승강 축(400)과, 한 쌍의 승강 축(4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 구동부(300)의 구동에 따라 승강 축(400)의 승강과 함께 승강 되도록 구비되며 후방이 회동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환자의 착석이 이뤄지도록 하는 리프팅 시트(5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동이 스스로는 불편한 돌봄이 필요한 환자가 소변 배설 또는 배변활동의 필요를 느끼거나 침대에서 이동할 필요를 느낄 때에 간호사나 간병인 또는 환자 보호자가 적은 힘으로도 손쉽고 편리하게 승강 리프팅 기능과 시트의 후방 회동개폐 기능으로 환자가 침대에서 용이하게 옮겨 착석하도록 할 수 있고, 재활 복지 의료기기로서 다양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길이가 긴 판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방과 후방의 하부에는 구름동작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조향 동작이 자유롭게 이뤄지도록 하는 이동바퀴(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에 구비된 이동바퀴(110)에는 환자 보호자가 발로 손쉽게 제동 동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200)의 중심부에는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리프팅 시트(500)에 환자의 착석시 환자가 양발을 편안히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발 받침대(210)가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발 받침대(210)의 사이에는 이들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환자가 착석하기 전 또는 착석한 후에 리프팅 시트(500)의 높이가 적절히 맞춰질 수 있도록 환자 보호자가 발로 손쉽게 리프팅 시트(5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승강 구동부(300)의 구동을 조작하는 승강 풋 버튼(22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의 전방에서 환자 보호자가 발로 승강 풋 버튼(220)을 손쉽게 조작하여 리프팅 시트(500)의 승강을 통해 리프팅 시트(500)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과의 사이에 구비된 실린더 브래킷(3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실린더 브래킷(310)에 의해 지지 되며,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서 전동 실린더를 포함한다.
승강 축(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구동부(300)와 마찬가지로 하부가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된 실린더 구조로 마련되고 승강 구동부(300)의 피스톤 상부에 구비된 전동 브래킷(405)으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부(300)의 피스톤의 승강시 이에 연동하여 함께 승강 되는 피스톤이 상하 수직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어 승강 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승강 축(400) 각각의 상부에는 전방을 향해 만곡 연장되어 환자 보호자가 양손으로 파지하도록 할 수 있는 손잡이부(410)가 구비되고, 손잡이부(410)는 승강 축(400)에 대해 위 아래로 회동 접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환자 보호자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의 전방에서 손잡이부(410)를 양손으로 잡고 환자의 착석이 이뤄지는 동안 기다리다가 편리하게 이동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손잡이부(410)를 하향 되게 접어 보관이 편리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리프팅 시트(5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상호 분할되어 한 쌍의 승강 축(4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거동이 스스로 불편한 돌봄이 필요한 노인 또는 환자가 소변 배설 또는 배변활동의 필요를 느끼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침대에서 이동할 필요를 느낄 때에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의 손잡이부(410)를 간호사나 간병인 또는 환자 보호자가 양손으로 잡고 침대 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리프팅 시트(500)의 높이가 침대의 높이에 맞춰지도록 승강 풋 버튼(220)을 조작하고나서 리프팅 시트(500)의 후방이 개방되게 리프팅 시트(500)의 후방이 서로 벌어지도록 회동시키면, 노인 또는 환자가 침대에서 리프팅 시트(500) 측으로 편리하게 옮겨지도록 한 다음 리프팅 시트(500)의 후방이 폐쇄되게 서로 다시 가까워지도록 회동시켜 노인 또는 환자의 착석이 적은 수고를 들이고도 손쉽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시트(500)는 측면과 후면 상 대략 방형을 이루는 프레임 부재로 마련되고, 이들 사이를 막아 폐쇄하도록 수지나 천 재질로 된 커버 부재가 구비되며, 각각의 리프팅 시트(500)의 하부에는 후방의 회동 폐쇄시 환자의 착석이 지지 되도록 시트부(510)가 구비되고, 리프팅 시트(500) 후방의 회동 폐쇄시 시트부(510)의 중심부에는 환자의 배변시 분변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배변 통공(511)이 천공 형성되며, 리프팅 시트(500)의 하부로는 배변 통공(511)을 통한 환자의 배변시 분변을 받을 수 있도록 수납식 변기(5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시트(500)의 후방에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잠금이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와 잠금이 풀리는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잠금 레버(53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잠금 레버(530)의 일측은 리프팅 시트(500)의 후방에서 어느 하나에 회동 힌지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 하부에는 리프팅 시트(500)의 다른 하나에 돌출 구비된 걸림 돌기가 맞물리는 물림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리프팅 시트(500)의 후방이 회동 개방되도록 할 때에는 잠금 레버(530)를 들어올려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뒤에 리프팅 시트(500)의 후방이 회동 개방되도록 하여 환자의 착석 또는 이석이 준비되도록 하고, 환자가 침대에서 리프팅 시트(500)로 옮겨진 후에는 리프팅 시트(500)의 후방이 회동 폐쇄되도록 한 뒤에 잠금 레버(530)를 잠가 리프팅 시트(500)의 후방이 회동 폐쇄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리프팅 시트(500)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잠금이 견고하게 고정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200) 또는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환자 보호자의 승강 풋 버튼(220)을 통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 구동부(300)의 구동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600)는 승강 구동부(3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원인 배터리(6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배터리(610)는 충전식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이동바퀴
200 : 연결 프레임 210 : 발 받침대
220 : 승강 풋 버튼 300 : 승강 구동부
400 : 승강 축 410 : 손잡이부
500 : 리프팅 시트 510 : 시트부
511 : 배변 통공 520 : 수납식 변기
530 : 잠금 레버 600 : 제어부
610 : 배터리

Claims (3)

  1. 전후 하부에 이동바퀴(110)가 각각 구비되고,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 고정하는 연결 프레임(200);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 각각의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 구비된 한 쌍의 승강 구동부(300);
    상기 한 쌍의 승강 구동부(30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승강 구동부(300)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 되게 구비된 한 쌍의 승강 축(400); 및
    상기 한 쌍의 승강 축(4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구동부(3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축(400)의 승강과 함께 승강 되도록 구비되며, 후방이 회동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환자의 착석이 이뤄지도록 하는 리프팅 시트(500);
    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시트(500)는 좌우로 상호 분할되어 상기 한 쌍의 승강 축(4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승강 축(400) 각각의 상부에는 전방을 향해 만곡 연장되어 환자 보호자가 양손으로 파지하도록 할 수 있는 손잡이부(410)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410)는 상기 승강 축(400)에 대해 위 아래로 회동 접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200)의 중심부에는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리프팅 시트(500)에 환자의 착석시 환자가 양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발 받침대(210)가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발 받침대(210)의 사이에는 이들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환자가 착석하기 전 또는 착석한 후에 상기 리프팅 시트(500)의 높이가 맞춰질 수 있도록 환자 보호자가 발로 상기 리프팅 시트(5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상기 승강 구동부(300)의 구동을 조작하는 승강 풋 버튼(220)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200)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환자 보호자의 상기 승강 풋 버튼(220)을 통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 구동부(300)의 구동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139895A 2021-10-20 2021-10-20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 KR10263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895A KR102632958B1 (ko) 2021-10-20 2021-10-20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895A KR102632958B1 (ko) 2021-10-20 2021-10-20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173A KR20230056173A (ko) 2023-04-27
KR102632958B1 true KR102632958B1 (ko) 2024-02-02

Family

ID=8610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895A KR102632958B1 (ko) 2021-10-20 2021-10-20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9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702B1 (ko) 2011-04-07 2012-06-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용 기능성 휠체어
KR101723773B1 (ko) * 2016-06-29 2017-04-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급용 환자 이송장비
JP2018023752A (ja) * 2016-07-29 2018-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介護用椅子
KR102214760B1 (ko) 2020-10-28 2021-02-15 이병제 이동 보행기
KR102269093B1 (ko) * 2021-01-15 2021-06-24 (주)신광메디칼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580A (ko) * 2021-04-14 2021-08-05 주식회사 용롱 환자용 전동식 리프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702B1 (ko) 2011-04-07 2012-06-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용 기능성 휠체어
KR101723773B1 (ko) * 2016-06-29 2017-04-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급용 환자 이송장비
JP2018023752A (ja) * 2016-07-29 2018-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介護用椅子
KR102214760B1 (ko) 2020-10-28 2021-02-15 이병제 이동 보행기
KR102269093B1 (ko) * 2021-01-15 2021-06-24 (주)신광메디칼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173A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1044A (en) Patient transfer walker
US5060960A (en) Combination wheelchair and lifting device
US9101518B2 (en) Impaired person care system and method
US201002196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KR102269093B1 (ko)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US10646396B2 (en) Hybrid mobility and transfer assistance device
JP2009172108A (ja) 排泄支援車椅子
US10098799B2 (en) Electric wheelchair
KR20200068846A (ko) 다중의 자세모드 변경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JP7475247B2 (ja) 多機能車椅子
US7793364B1 (en) Wheelchair with enhanced toilet accessibility
KR102249399B1 (ko) 중환자용 휠체어 겸용 침대
US7661696B1 (en) Wheeled chair
US8151380B2 (en) Wheelchair with enhanced toilet accessibility
KR102632958B1 (ko) 환자 이승용 이동장치
CN210728050U (zh) 一种方便开合的安全坐具
JP4202199B2 (ja) 電動車椅子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JP2001129032A (ja) 介護補助装置
GB2296901A (en) Patient handling hoist and chair comprising a parallelogram linkage on a wheeled frame.
JP2020075084A (ja) 肢体不自由者用の用便介助トイレ
JP3166064U (ja) 介護用ベッド
WO2019081792A1 (es) Sillón para discapacitados
US11633322B1 (en) Convertible wheelchair
CN218685005U (zh) 一种自动调整的清洁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