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041B1 -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041B1
KR102047041B1 KR1020170165678A KR20170165678A KR102047041B1 KR 102047041 B1 KR102047041 B1 KR 102047041B1 KR 1020170165678 A KR1020170165678 A KR 1020170165678A KR 20170165678 A KR20170165678 A KR 20170165678A KR 102047041 B1 KR102047041 B1 KR 102047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heelchair
unit
bridge plate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184A (ko
Inventor
박종현
이권민
박동현
김현일
Original Assignee
박종현
이권민
박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현, 이권민, 박동현 filed Critical 박종현
Priority to KR102017016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0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11Picking up from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8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Lower body, e.g. pelvis,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2Rests specially adapted for the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시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시트 유닛의 높이를 휠체어의 시트부 높이에 맞도록 적절히 조절한 상태에서 환자를 수평 이동시켜서 휠체어의 시트부에 착석시키므로 환자 단독으로 휠체어에 앉거나 또는 보조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휠체어에 환자를 착석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혼자의 힘으로 또는 약간의 도움을 받아 침대나 바닥으로부터 휠체어에 용이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돕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가 불편하여 거동이 어려운 환자나 장애인들은 휠체어를 이용하여 이동하게 된다.
한편, 환자나 장애인이 침대나 바닥에 있을 때 혼자 휠체어에 탑승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으므로 대부분 간병인 등 보조자의 도움을 받게 된다.
또한, 보조자의 도움을 받더라도 환자나 장애인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휠체어까지 이동하게 되어 있어, 전문적인 실습교육을 받은 사람이 아니면 단독으로 환자나 장애인을 휠체어에 착석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환자나 장애인을 휠체어까지 옮기는 리프팅 장치가 개발되어 있기는 하나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하기가 불편하여 보조자의 노력이 크게 줄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4171호 (2004.08.2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하기가 편리하여 보조자의 노력을 크게 줄이거나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시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와 상기 시트 유닛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 유닛은 시트와, 상기 시트의 위쪽에 배치되는 팔걸이와, 상기 시트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팔걸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의 후단에는 브릿지 플레이트가 힌지부를 통해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에는 복원용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시트 유닛이 하강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상기 등받이의 상단에 접촉하면서 접혀지고 시트 유닛이 상승하여 상기 등받이의 높이와 같게 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상기 등받이의 상단에 걸쳐지면서 후방쪽으로 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스크류; 각각의 이송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이동 블록; 상기 한 쌍의 이송 스크류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이동 블록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유닛의 팔걸이에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되, 공통 힌지점을 중심으로 교차한 상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기둥 조립체; 및, 상기 이송 스크류에 연결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의 하단에는 휠체어 발판이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팔걸이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온오프하는 스위치 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유닛의 높이를 휠체어의 시트부 높이에 맞도록 적절히 조절한 상태에서 환자를 수평 이동시켜서 휠체어의 시트부에 착석시키므로 환자 단독으로 휠체어에 앉거나 또는 보조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휠체어에 환자를 착석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시트에 걸터앉은 환자가 휠체어에 최대한 가깝게 근접할 수 있기 때문에 휠체어로의 이동이 한층 수월해진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의 후단에는 브릿지 플레이트가 힌지부를 통해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의 시트와 휠체어의 시트 사이에 공간이 없도록 연결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로의 환자 이동이 한층 수월하게 된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팔걸이의 상부에 구동 모터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온오프하는 스위치 레버가 설치되어 있어 환자나 장애인 자신이 승강 구동부를 직접 작동시켜서 휠체어로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의 하단에는 휠체어 발판이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시트 유닛이 휠체어와 최대한 근접될 수 있어 휠체어까지 환자의 이동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에 의해 브릿지 플레이트가 하강 회전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등받이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상승할 경우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등받이의 상단에 항상 걸쳐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나 노력이 필요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로서 시트 유닛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로서 시트 유닛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로서 시트 유닛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로서 시트 유닛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1000)는, 지지 프레임(100),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200),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 설치된 승강 구동부(300) 및, 상기 승강 구동부(300)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시트 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 구동부(300)에 의해 상기 시트 유닛(40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시트 유닛(400) 위에 앉아 있는 환자나 장애인이 휠체어에 이동하여 앉게 된다.
즉, 상기 시트 유닛(400)의 높이를 휠체어(미도시)의 시트부 높이에 맞도록 적절히 조절한 상태에서 환자를 수평 이동시켜서 휠체어의 시트부에 착석시킨다.
구체적으로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을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00)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부(110)와, 상기 하부 지지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는 등받이(12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구동부(300)는 상기 하부 지지부(110)와 시트 유닛(400)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시트 유닛(400)은 사용자가 앉는 시트(410)와, 상기 시트(410)의 위쪽에 배치되는 팔걸이(420)와, 상기 시트(410)와 팔걸이(420)를 연결하는 연결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구동부(300)는 상기 팔걸이(420)에 연결되어 시트 유닛(40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유닛(400)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환자나 장애인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410)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플레이트(415)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430)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415)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4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410)에 걸터앉은 환자를 휠체어에 최대한 가깝게 근접시킬 수 있어 휠체어로의 이동이 한층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410)의 후단에는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힌지부(510)를 통해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릿지 프레이트(500)는 상기 착석 보조장치(1000)의 시트(410)와 휠체어의 시트 사이에 공간이 없도록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환자가 상기 공간에 의해 이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힌지부(510)에는 복원용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시트 유닛(400)이 하강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상기 등받이(120)에 접촉하면서 접혀지고 시트(410)가 상승하여 상기 등받이(120)의 높이와 같게 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상기 등받이(120)의 상단에 걸쳐지면서 하향 경사지게 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하강 회전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상기 등받이(120)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상승할 경우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등받이(120)의 상단에 항상 걸쳐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나 노력이 필요없다.
물론, 상기 시트 유닛(400)이 하강하여 시트(410)의 높이가 상기 등받이(120)의 높이보다 낮아질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상기 등받이(120)의 상단에 접촉하면서 위쪽으로 꺽여서 접혀지기 시작하고, 상기 시트 유닛(400)이 가장 낮은 위치로 하강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도 시트(410)의 후단과 등받이(120) 사이에서 완전히 접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 구동부(300)는, 상기 하부 지지부(110)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스크류(310), 각각의 이송 스크류(31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310)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이동 블록(320), 상기 한 쌍의 이송 스크류(310)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이동 블록(3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유닛(400)의 팔걸이(420)에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되, 공통 힌지점(331)을 중심으로 교차한 상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기둥 조립체(330) 및, 상기 이송 스크류(310)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스크류(310)에서 한 쌍의 지지 기둥 조립체(3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이송 스크류(310)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양쪽에 반대방향의 나선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상기 팔걸이(420)에는 가이드 레일(421)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팔걸이(42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 기둥 조립체(330)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421)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블록(422)를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 구동부(300)로는 유압 실린더 등 공지된 다른 구성요소가 채택될 수도 있다.
상기 팔걸이(420)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340)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온오프하는 스위치 레버(600)가 설치되어 환자나 장애인 자신이 승강 구동부(30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120)의 하단에는 휠체어 발판이 통과하는 관통홈(125)이 형성되어 시트 유닛(420)이 상기 휠체어와 최대한 근접하여 환자의 이동 거리를 단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1000)가 휠체어(700)에 결합되는 사용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휠체어(700)의 시트부(7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시트 유닛(400)에 앉은 환자나 장애인이 휠체어(700)의 시트부(710)로 미끄러지듯 이동하여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이동 플레이트(415)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한층 원활한 착석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지지 프레임
200... 바퀴
300... 승강 구동부
310... 이송 스크류
320... 제1 이동 블록
330... 지지 기둥 조립체
340... 구동 모터
400... 시트 유닛
410... 시트
415... 이동 플레이트
420... 팔걸이
500... 브릿지 플레이트
600... 스위치 레버
1000...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Claims (8)

  1.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시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 프레임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와 상기 시트 유닛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 유닛은 시트와, 상기 시트의 위쪽에 배치되는 팔걸이와, 상기 시트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팔걸이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후단에는 브릿지 플레이트가 힌지부를 통해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항시 펼쳐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복원용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시트 유닛이 하강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의 하면이 상기 등받이의 상단에 접촉하면서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혀지는 한편, 상기 시트 유닛이 상승하여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상기 등받이의 상단을 넘을 때 상기 복원용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상기 힌지부를 통해 탄성적으로 펼쳐져서 상기 등받이의 상단에 걸쳐지면서 후방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펴지는 것에 의해,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휠체어의 시트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시트 유닛에 앉은 환자나 장애인이 휠체어의 시트부로 미끄러지듯 이동하여 착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스크류;
    각각의 이송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이동 블록;
    상기 한 쌍의 이송 스크류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이동 블록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유닛의 팔걸이에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되, 공통 힌지점을 중심으로 교차한 상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기둥 조립체; 및,
    상기 이송 스크류에 연결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하단에는 휠체어 발판이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온오프하는 스위치 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KR1020170165678A 2017-12-05 2017-12-05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KR102047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678A KR102047041B1 (ko) 2017-12-05 2017-12-05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678A KR102047041B1 (ko) 2017-12-05 2017-12-05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184A KR20190066184A (ko) 2019-06-13
KR102047041B1 true KR102047041B1 (ko) 2019-11-20

Family

ID=6684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678A KR102047041B1 (ko) 2017-12-05 2017-12-05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0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977A (ja) * 1998-12-02 2000-06-20 Masaya Tatsuno 分離合体式移乗機能付き車椅子
JP2002209948A (ja) * 2001-01-17 2002-07-30 Takeo Oda 着座着脱回転移行股間状昇降パンタ車椅子と入浴装置
KR101462378B1 (ko) * 2014-04-10 2014-11-17 임윤택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636B1 (ko) 2003-02-17 2005-04-27 이상주 장애인 리프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977A (ja) * 1998-12-02 2000-06-20 Masaya Tatsuno 分離合体式移乗機能付き車椅子
JP2002209948A (ja) * 2001-01-17 2002-07-30 Takeo Oda 着座着脱回転移行股間状昇降パンタ車椅子と入浴装置
KR101462378B1 (ko) * 2014-04-10 2014-11-17 임윤택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184A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01330B (zh) 一种具有提升装置的坐便辅助器
CN102283750B (zh) 多功能休闲轮椅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CN205569196U (zh) 一种可辅助上下床可如厕的多功能轮椅
JP3032746B2 (ja) 車椅子
EP1286638B1 (en) A chair for handicapped or disabled persons
TWI693933B (zh) 多功能輪椅
CN112603685A (zh) 一种多功能护理床及配套使用床、椅组合装置和使用方法
KR102150594B1 (ko) 휠체어
JP6302769B2 (ja) 離着座補助装置
JP2000300611A (ja) 起立介助椅子
KR102047041B1 (ko)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KR20160129986A (ko) 기립 보조장치
CN210144263U (zh) 一种七段床面升降式电动床
KR101588698B1 (ko) 전동식 샤워 트롤리
KR101046877B1 (ko) 좌립을 조력하는 휠체어용 좌석의 높이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91722Y1 (ko) 욕조용 이동 리프트 체어
CN107811776B (zh) 一种智能轮椅
TW201941755A (zh) 入浴輔助裝置
JP6439000B2 (ja) 車椅子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CN211095494U (zh) 一种医疗床翻身装置
JP5771344B1 (ja) 介護用車椅子
JP2001129033A (ja) 介護補助装置
JP5656703B2 (ja) 歩行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