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035A - 이동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035A
KR20220058035A KR1020200143297A KR20200143297A KR20220058035A KR 20220058035 A KR20220058035 A KR 20220058035A KR 1020200143297 A KR1020200143297 A KR 1020200143297A KR 20200143297 A KR20200143297 A KR 20200143297A KR 20220058035 A KR20220058035 A KR 20220058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support
ra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정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8035A/ko
Publication of KR20220058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2Rai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61G7/1048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having auxiliary dr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수단에 신체를 의지하기 편하게 하여, 거동불편자가 혼자 이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의지를 반영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용 리프트 장치{LIFT DEVICE FOR MOVING}
본 발명은 이동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수단에 신체를 의지하기 편하게 하여, 거동불편자가 혼자 이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의지를 반영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자 또는 환자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해 이동 보조 수단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보조 수단은 일반적으로 바퀴가 구비되고, 바퀴 위에 프레임 또는 의자가 결합되어 거동불편자가 프레임을 지지체로 이용하거나,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형태와 달리 천장과 같은 곳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수단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레일을 이용하는 방식은 프레임 또는 의자 형태의 자주형 보조 수단에 비해 안정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레일 설치가 곤란하고, 보조수단에 사용자가 신체를 의지하기 다소 불편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레일을 이용하는 경우 거동불편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져, 보호자가 반드시 동행해야 하는 불편함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62068호(등록일 2020.09.25)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을 이용하는 이동 보소 수단에 있어서, 지지수단에 신체를 의지하기 편하게 하여, 거동불편자가 혼자 이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의지를 반영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리프트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탈부착되는 지지부; 레일과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가 지지프레임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상기 지지부에 결합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사용자가 파지 또는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상기 프레임의 접촉부위에 마련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에 마련되는 바퀴에 회전력 또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구비되거나, 상기 바퀴의 회전력을 제한하는 마찰수단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리프트 장치는 레일을 이용하는 이동 보조 수단에 있어서, 지지수단에 신체를 의지하기 편하게 하여, 거동불편자가 혼자 이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의지를 반영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리프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구동부에 마련되는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지지부에 마련되는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리프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리프트 장치(10)는 구동부(30)와 지지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30)는 지지부(50)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레일(20)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50)는 레일(20), 구동장치(31 내지 33) 및 지지프레임(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일(20)은 천장(1)에 설치되어 지지부(50)의 이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 레일(20)에는 구동장치(31 내지 33)가 결합되어,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레일(20)은 금속 또는 경질 합성수지 또는 목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I 빔 형태의 레일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레일(20)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혹은 적합도에 따라 다른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동장치(31 내지 33)는 레일(20)과 지지부(50)에 연결되어 지지부(50)를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구동장치(31 내지 33)는 레일(20)에서 이동 가능하게 레일(2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장치(31 내지 33)는 바퀴(32), 구동프레임(31) 및 구동박스(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프레임(33)은 바퀴(32)가 레일(20)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지지부(50)의 하중이 바퀴(32)에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구동프레임(33)에 지지프레임(34)이 결합된다.
구동박스(33)는 내부에 바퀴(32)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수단은 감속기어 또는 모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박스는 바퀴(32)에 고의적인 마찰력을 야기하도록 복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감속기어일수 있다. 이를 위해 바퀴 축에 연결되는 기어와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어를 연결하여 감속기어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바퀴(32)의 회전축을 연장하고, 연장된 부분을 마찰부재와 접촉하게 하며, 마찰부재와의 접촉력은 지지부(50)의 하중에 따라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감속기어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거동불편자가 지지부(50)에 많이 의지하는 경우 구동부(30)의 이동속도를 저하시키고, 의지하는 정도가 적어질수록 원래의 속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거동불편자의 이동속도에 구동부(30)의 이동 속도가 동조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구동박스 내부에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모터와 바퀴를 연결하여 모터의 동력이 바퀴에 전달되도록 하는 기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50)에 무선으로 모터의 제어를 위한 제어기가 마련되며, 제어기의 제어를 통해 구동부(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터와 기어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 모터가 바퀴(32)에 대해 일정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이동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프레임(34)은 구동부(30)와 지지부(5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34)은 일단이 구동부(30)의 구동프레임(31)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부(50)와 결합된다. 특히, 지지프레임(34)은 지지부(50)의 용이한 분리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부(40)에 의해 지지부(50)와 결합된다.
결합부(40)는 지지프레임(34)의 종단에 마련되어 지지부(50)의 프레임(51)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결합부(40)는 후크 형상의 구조와 같이 지지프레임(34)을 걸거나 꼽는 방식과 같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다. 또는 결합부(40)는 전자석 또는 솔레이노이드를 이용한 록킹 부재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전자제어에 의해 기계적이 결합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장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부(40)는 사용자에 따라 각각의 지지부(5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동불편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적절한 지지부(50)의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지지부(50)는 바퀴의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레일 미설치 구간에서 지지부(50)를 이송 수단(10)으로 부터 분리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이동의 자유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부(5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구동부(3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5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착용하고 신체를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 지지부(50)의 프레임(51)은 손잡이, 벨트와 같은 구성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결합부(40)에 결합 가능한 형태의 결합수단(미도시). 이 결합수단은 결합부(40)의 형태와 작동방식에 종속되는 것으로 일례로, 결합부(40)가 후크로 구성되면 이에 대응되는 고리 또는 후크 형태의 결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50)의 일면에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53), 벨트(54) 및 완충부재(55)가 마련된다. 손잡이(53)는 프레임(51)의 양측면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며, 도 1에는 어깨 걸이 형태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손잡이(53)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기대서 지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허리라인 즉, 벨트(54)와 나란한 형태의 받침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손잡이(53)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파지부(60)는 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손바닥 모양으로 함몰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30)가 모터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파지부에는 제어수단(60)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50)의 프레임(51)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프레임(51)에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벨트(54)와 같은 고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벨트(54)가 허리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고 양측 어깨 또는 가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위치 변경 및 수량 변경이 가능하다.
완충수단(55)는 사용자의 등 또는 허리와 프레임(51)이 접촉하는 부분에 마련된다. 이러한 완충수단은 솜과 같은 천연 섬유 또는 펄프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 완충수단(55)을 통해 이동중에 발생하는 충격이 사용자의 신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 신체에서 발생되는 땀과 같은 분비물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50)는 도시되지 않은 보조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은 지지부(50)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바퀴가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들 수 있을 정도로 가벼운 재질로 제조되어 이동시 걸음을 보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프레임은 사용자가 레일(20)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을 이동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레일(20) 미설치 지역으로 이동시에 결합되고, 레일(20)이 설치된 지역에서만 이동하는 경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구동박스(33)의 내부에 모터가 마련되는 경우 구동박스(33)에는 모터의 제어를 위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3은 구동수단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들로써, 도 2는 구동부에 마련되는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지지부에 마련되는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박스(33)에는 모터(37)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35) 및 모터 통신부(36)가 구성될 수 있다.
모터 통신부(36)는 제어수단(60)의 유닛 통신부(63)를 통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5)에 전달한다. 제어부(35)는 제어신호에 적합한 모터의 회전수, 속도, 방향을 확인하여 모터(37)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모터(37)의 구동을 위한 전원은 레일(20)을 따라 설치되는 전원라인에 의해 공급되거나, 배터리 헝태로 구동박스(33)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수단(60)은 유닛제어부(61), 유닛통신부(63), 입력부(65), 유닛감지부(67) 및 저장부(6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닛제어부(61)는 입력부(65)의 입력에 응답하여 모터(37)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유닛통신부(63)를 통해 구동박스(33)에 전달한다. 특히, 유닛제어부(61)는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따라 저장되는 기본정보를 토대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기본정보는 나이, 신체 가동정도, 걸음 속도와 같은 사항으로 모터의 속도와 방향, 모터의 토크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가 불편한 정도에 따라 모터(37)의 속도를 결정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유닛제어부(61)는 유닛감지부(67)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이동속도 등을 통해 기본정보를 가공하고, 가공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변경하게 된다. 즉, 기본정보에 설정된 속도보다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보행하는 경우 이후에 발생되는 제어신호는 이에 맞추어진 속도로 모터(37)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정보와 가공정보에 따라 유닛제어부(61)는 사용자에 적합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가공정보는 유닛감지부(67)에 포함되는 센서 장치에 따라 가공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보행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계만 존재하는 경우 보행속도에만 의지하여 가공정보를 생산하지만, 사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 심박수에 따른 속도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가공정보의 정도와 정밀도를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닛통신부(63)는 유닛제어부(61)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모터 통신부(36)에 전달한다.
입력부(65)는 사용자에 의한 모터(37)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된다. 일례로 입력부(65)를 통해 전진, 후진, 정지와 같은 명령, 속도 제어를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며, 제어수단(60)에는 이를 위한 키, 버트, 레버와 같은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유닛감지부(67)는 사용자 신체 상태 또는 속도와 같은 보행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유닛제어부(61)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유닛감지부(67)에 포함되는 센서를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69)는 기본정보와 가공정보가 저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이동 보조 수단(10)은 사용자의 신체를 적절하게 지지하여 이동을 보조함과 아울러, 기계적 또는 전자적 수단에 의해 신체 상태에 맞는 이동속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레일을 벗어나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모터 제어수단에 피드백 제어를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보조 수단 사용시간이 늘어날수록 사용자에게 적합한 이동 보조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천장 10: 이동용 리프트
20: 레일 30: 구동부
31: 구동프레임 32: 바퀴
33: 구동박스 34: 지지프레임
40: 결합부 50: 지지부
51: 프레임 52: 손잡이
60: 제어수단 54: 벨트
55: 완충부재

Claims (3)

  1. 사용자의 신체에 탈부착되는 지지부;
    레일과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가 지지프레임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상기 지지부에 결합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사용자가 파지 또는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상기 프레임의 접촉부위에 마련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에 마련되는 바퀴에 회전력 또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구비되거나,
    상기 바퀴의 회전력을 제한하는 마찰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리프트 장치.
KR1020200143297A 2020-10-30 2020-10-30 이동용 리프트 장치 KR20220058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97A KR20220058035A (ko) 2020-10-30 2020-10-30 이동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97A KR20220058035A (ko) 2020-10-30 2020-10-30 이동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35A true KR20220058035A (ko) 2022-05-09

Family

ID=8158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297A KR20220058035A (ko) 2020-10-30 2020-10-30 이동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80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068B1 (ko) 2019-05-09 2020-10-06 김세곤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068B1 (ko) 2019-05-09 2020-10-06 김세곤 이송 방향전환이 가능한 보행 보조용 레일 이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3718B2 (ja) 立ち上がり動作アシストロボット
JP5773696B2 (ja) 立ち上がり動作アシストロボット
JP6544691B2 (ja) 起立動作支援システム、起立動作支援システムの制御部の制御方法、起立動作支援システムの制御部用プログラム、介護ベルト、ロボット
CN108778633B (zh) 起立步行辅助机器人
KR101148503B1 (ko) 보행 의지력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 보행 보조기
JPH1099390A (ja) 歩行訓練装置並びに歩行訓練システム
KR20220058035A (ko) 이동용 리프트 장치
KR101424109B1 (ko) 보행 보조장치
JPH114858A (ja) ベルト式巻上機
JP2000070312A (ja) 介護用補助装置
KR101450590B1 (ko) 보행기 및 이를 이용한 보행 훈련 장치
JP2011130936A (ja) 移乗支援装置及び駆動制御方法
KR20180044342A (ko) 작동 손잡이
JP6342797B2 (ja) 多目的介護リフト装置
JP6233057B2 (ja) 介護支援装置
JP2015154922A5 (ko)
KR101734517B1 (ko) 관절형 다리를 갖는 보행보조장치
JPH11290398A (ja) 移送介助装置
JP6469921B1 (ja) 階段昇降運搬装置及び自走キャリーバッグ
JP2005000501A (ja) 視覚障害者用誘導装置
JP2003126179A (ja) 筋力補助装置
KR20210060950A (ko) 수동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2507726B1 (ko) 추락방지, 전동주행 및 중력보상 기능을 포함한 통합제어 및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이승 로봇 시스템
WO2023145098A1 (ja) 搬送アシスト装置
JP2001000487A (ja) 介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