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661A - 일체형 루프가 있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루프가 있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661A
KR20220053661A KR1020227010859A KR20227010859A KR20220053661A KR 20220053661 A KR20220053661 A KR 20220053661A KR 1020227010859 A KR1020227010859 A KR 1020227010859A KR 20227010859 A KR20227010859 A KR 20227010859A KR 20220053661 A KR20220053661 A KR 20220053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heet
loops
thread
needle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064B1 (ko
Inventor
패니 융 호
길레르모 라파엘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2005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2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 A43B5/025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characterised by an element which improves the contact between the ball and the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93Strap fastenings having hook and loop-type fasten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11Female or loop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23Woven or knitted fasteners
    • A44B18/0034Female or loop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3/00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 D05C3/02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22Physico-chemical treatments
    • D05D2305/30Physico-chemical treatments using adhes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4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solu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3Fasteners
    • D10B2501/0632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57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of pile
    • Y10T428/23964U-, V-, or W-shaped or continuous strand, filamentary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Abstract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가용성 보빈 스레드를 자수기에 장입한 다음, 자수기의 바늘로 베이스 시트를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되,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늘 스레드의 일련의 루프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에 따라 구동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보빈 측과 반대되는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층이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 시트에 바늘 스레드가 접합된 후 제거될 수 있다. 루프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다양한 물품의 후크-루프 패스너 또는 볼 제어 특징부의 루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루프가 있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0월 2일자 출원되고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 미국 가출원 제62/909,451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 내용은 개괄적으로 베이스 시트 - 루프가 베이스 시트로부터 연장됨 - 를 갖는 물품 및 자수기를 사용하여 이러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 갑피 및 의류와 같은 많은 물품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의 다중 층을 포함한다. 각 층은 일부 예에서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조업체는 고품질의 내구성 있는 물품을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도면은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 본질적으로 개략적이며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보다는 예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베이스 시트 및 일련의 루프로서 베이스 시트를 통해 연장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a는 도 1의 베이스 시트 및 일련의 루프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물품의 반대측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물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자수 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물품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베이스 시트 및 스페이서 층을 통해 바늘 스레드(needle thread)를 구동 유도하고 보빈 스레드(bobbin thread)를 결합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른 물품의 제조를 예시하는 제조의 중간 단계에서의 도 1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베이스 시트에 대해 바늘 스레드를 녹이는 것을 보여주는 제조의 중간 단계에서의 도 1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바늘 스레드를 베이스 시트에 부착하는 것을 보여주는 제조의 중간 단계에서의 도 1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베이스 시트에 대해 배치되는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추가하는 것을 보여주는 제조의 중간 단계에서의 도 1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베이스 시트에 바늘 스레드를 고정하기 위해 베이스 시트에 용융된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보여주는 제조의 중간 단계에서의 도 1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보빈 스레드를 용해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제조의 중간 단계에서의 도 1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스페이서 층을 제거하는 것을 보여주는 제조의 중간 단계에서의 도 1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후의 도 1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볼 제어 특징부로서 구성되고 여기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일련의 루프를 갖는 갑피를 구비한 신발류 물품의 내측 측면도이다.
도 14는 후크-루프 패스너(hook-and-loop fastener)의 루프 부분으로서 구성되고 여기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일련의 루프를 갖는 갑피를 구비한 신발류 물품의 내측 측면도이다.
도 15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분으로서 구성되고 여기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일련의 루프를 갖는 포켓을 구비한 셔츠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분으로서 구성되고 여기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일련의 루프를 갖는 캐리 백(carry bag)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베이스 시트 및 적층된 다중 스페이서 층을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고 보빈 스레드를 결합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른 물품의 제조를 예시하는 제조의 중간 단계에서의 도 1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적층된 다중 층을 사용하여 여기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후의 도 1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된 물품 및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새로운 방식으로 자수기를 사용하여 루프를 위한 별도의 베이스 층(예를 들어, 별도의 지지체) 없이 베이스 시트로부터 연장되는 일련의 루프를 형성한다. 달리 말하면, 신발류 갑피의 측면 패널 또는 스트랩, 의류 물품의 패널 또는 포켓, 또는 캐리 백의 패널과 같은 물품의 기능부인 베이스 시트도 루프를 위한 베이스 또는 지지체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착용 가능한 물품은 후크-루프 패스너용 또는 마찰 증가(예를 들어, 신발류 갑피에 대한 볼 제어용)와 같이 기능적인 루프를 가질 수 있다. 방법 및 물품은 루프를 베이스 시트와 통합하여,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바와 같이 별도의 베이스가 베이스 시트 상에 적층되는 루프를 위한 별도의 베이스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물품의 전체 부피와 두께는 별도의 베이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작다.
물품의 제조 방법은 가용성 보빈 스레드를 자수기에 장입한 후,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늘 스레드의 일련의 루프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에 따라 자수기의 바늘로 베이스 시트를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용성 보빈 스레드는 베이스 시트의 보빈측 외측의 일련의 루프와 결합된다. 방법은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과 반대되는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바늘 스레드를 접합한 후 가용성 보빈 스레드에 용매를 도포하여 가용성 보빈 스레드를 용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성 보빈 스레드는 수용성일 수 있고, 용매는 방법의 일부 적응예에서 물일 수 있다. 일련의 루프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 구성될 수 있지만, 추가의 패스너 베이스 시트는 물품 자체의 베이스 시트(예를 들어, 신발류 갑피의 측면 패널 또는 신발류 갑피의 스트랩)가 루프가 관통 연장되는 베이스와 통합되어 베이스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련의 루프는 신발류 갑피인 베이스 시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루프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신발류 물품에 대한 볼 제어 요소로서 구성된다. 임의의 구현예에서, 루프의 기능은 루프를 위한 별도의 베이스 층에 대한 추가 용적 및 비용 없이 허용된다.
일 구현예에서, 방법은 베이스 시트를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내부 측면이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있도록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내부 측면을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일련의 루프가 초기에 베이스 시트를 통해 베이스 시트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베이스 시트의 외부 측면으로 그리고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 내부로 연장되고 가용성 보빈 스레드가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외부 측면의 외측에 있도록 바늘 스레드가 베이스 시트 및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 모두를 통해 구동 유도될 수 있다. 가용성 보빈 스레드에 용매를 도포한 후, 스페이서 층은 베이스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일련의 루프로부터 벗어나게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은 루프의 일정한 원하는 높이를 보장하고 가용성 보빈 스레드에 도포된 용매로부터 베이스 시트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수 또는 총 높이는 루프의 최종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루프의 높이는 루프가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일 때 후크-루프 패스너의 체결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인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긴 루프는 짧은 루프보다 큰 체결 강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모든 인자(예를 들어, 루프의 밀도)는 동일하다. 따라서, 단순히 전체 높이가 다른 스페이서 층을 서로 다른 수만큼 적층하거나 상이한 높이를 갖는 상이한 단일 스페이서 층을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루프 높이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시트 및 제1 개수의 스페이서 층이면서 제1 총 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스페이서 층을 사용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시트로부터 연장되는 제1의 일련의 루프를 갖는 제1 물품을 제조한 후, 방법은 제2 개수의 스페이서 층이면서 제2 총 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을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배치하되,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의 내부 측면이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측에 있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제2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수의 스페이서 층은 제1 개수의 스페이서 층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거나, 제2 총 높이는 제1 총 높이와 상이할 수 있거나, 또는 양자 모두일 수 있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을 통해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의 외부 측면에 배치된 보빈 스레드와 결합되는 바늘 스레드의 제2의 일련의 루프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 또는 상이한 프로그래밍된 패턴에 따라 자수기의 바늘로 제2 베이스 시트 및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 모두를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과 대향하는 제2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고, 보빈 스레드를 제거하고 및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을 베이스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제2의 일련의 루프로부터 벗어나게 슬라이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의 일련의 루프는 제2 물품에 필요한 체결 강도에 적절할 수 있는, 제1의 일련의 루프와 다른 높이를 가진다.
일 양태에서, 일련의 루프와 대향하는 베이스 시트의 측면에 바늘 스레드를 고정하기 위해, 가용성 스레드가 바늘 스레드에 사용될 수 있다. 방법은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있는 가용성 바늘 스레드에 열을 가하여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련의 루프와 대향하는 베이스 시트의 측면에 바늘 스레드를 고정하는 다른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방법은 베이스 시트를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기 전에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대해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용융 가능한 접합층이 사용되는 경우, 베이스 시트를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는 그에 따라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는 용융 가능한 접합층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예에서, 용융 가능한 접합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일련의 루프를 고정하도록 접착제 층이 사용될 수 있고, 방법은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물품 자체의 베이스 시트가 루프를 지지한다. 바늘 스레드가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루프는 베이스 시트를 통해 바늘 측으로 뒤로 밀려나거나 사용 응력하에서 베이스 시트를 통해 보빈 측을 향해 당겨지지도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련의 루프를 제공하기 위해 자수기를 사용하면 예컨대, 다중-바늘 자수기의 속도에 의해 다양한 패턴, 루프 높이 및/또는 밀도, 스레드 색상 조합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그룹의 루프가 제1 밀도를 가지고, 제2 그룹의 루프가 제1 밀도와 상이한 제2 밀도를 가진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실시예에서, 제1 세트의 루프가 제1 색상을 가지고, 제2 세트의 루프가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제3 세트의 루프가 제1 세트와 제2 세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색상으로부터 제2 색상으로 변하는 색상 구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자수기를 사용하면 다른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바늘을 구동 유도하도록 자수기를 단순히 제어함으로써 루프 패턴, 높이, 밀도, 스레드 색상 또는 색상 패턴 등이 신속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일련의 루프를 갖는 물품은 제1 물품일 수 있고, 베이스 시트는 제1 베이스 시트일 수 있고, 바늘 스레드는 제1 바늘 스레드일 수 있다. 방법은 자수기의 바늘로 색상, 루프의 밀도 또는 루프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패턴과 상이한 제2 패턴으로 제2 베이스 시트를 통해 제2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내부 측면이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있도록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배치하는 단계와, 그런 다음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통해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늘 스레드의 일련의 루프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에 따라 자수기의 바늘로 베이스 시트 및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 모두를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여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외부 측면에 배치된 보빈 스레드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과 대향하는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고, 보빈 스레드를 제거하고,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베이스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일련의 루프로부터 벗어나게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 스레드는 가용성 보빈 스레드일 수 있고, 보빈 스레드를 제거하는 것은 가용성 보빈 스레드에 용매를 도포하여 가용성 보빈 스레드를 용해하는 단계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신발류 갑피, 의류 물품, 또는 캐리 백과 같은 물품은 베이스 시트 및 일련의 루프로서 구성된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련의 루프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련의 루프는 제1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고 베이스 시트를 통해 베이스 시트의 제1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레드는 베이스 시트의 제1 측면과 대향하는 베이스 시트의 제2 측면에 접합될 수 있다. 스레드는 가용성 스레드일 수 있으며, 베이스 시트의 제2 측면에 직접 융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용융 가능한 접합층이 베이스 시트의 제2 측면에 대해 배치될 수 있고, 스레드는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스레드는 용융 가능한 접합층에 의해 베이스 시트의 제2 측면에 접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스레드는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 시트의 제2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일련의 루프는 예를 들어 신발류 갑피, 의류 물품, 또는 캐리 백 상의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물품은 신발류 갑피일 수 있고, 일련의 루프는 신발류 갑피의 외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련의 루프는 볼 제어 특징부 또는 스트랩 패스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상기 특징과 장점 및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질 때 본 개시 내용의 지침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된다.
도 1은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자수기(12)와 같은 자수기를 사용하여 제조된 물품(10)을 예시한다. 물품(10)은 예를 들어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비직물 재료일 수 있는 베이스 시트(14)를 포함한다. 물품(10)은 각각이 일련의 루프(18)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레드(16)를 포함한다. 베이스 시트(14)는 일련의 루프(18)를 지지하고, 일련의 루프(18)는 베이스 시트(14)를 통해 베이스 시트(14)와 일련의 루프(18) 사이에 추가적인 중간층이 없이 연장된다. 일련의 루프(18)는 단지 장식적인 것보다는 기능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련의 루프(18)는 도 14-도 16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시트(14)와 통합된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일련의 루프(18)는 루프(18A, 18B, 18C, 18D, 18E, 18F, 18G, 18H 및 18J)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베이스 시트(14, 114, 314, 414)는 루프(18)를 위한 베이스로서 기능하고, 물품(10, 110, 110A, 310, 또는 410)은 루프(18)가 연장되는 추가의 패스너 베이스 시트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여기에 설명된 방법(200)에 따라 제조된 물품에서, 물품 자체의 베이스 시트는 루프를 지지한다. 물품이 신발류 갑피인 예에서, 베이스 시트는 물품에 추가되어 단지 루프의 베이스로 기능하는 컴포넌트이기보다 갑피의 본체(예를 들어, 발 수용 공동의 일부를 형성하고 발을 둘러싸는 갑피의 측면 패널)일 수 있다. 전통적으로, 후크-루프 패스너는 루프가 연장되고 물품의 베이스 시트에 고정되는 전용 베이스 시트(예를 들어, 전용 베이스 시트는 물품에 부피와 중량을 추가하는 추가적인 층임)를 포함한다. 따라서, 물품(10)은 패스너 베이스 시트가 해당 패스너 베이스 시트로부터 연장되는 루프(18)로 베이스 시트(14)에 고정된 경우보다 더 가볍고 더 유연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일련의 루프는 도 13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신발류 갑피와 통합된 볼 제어 특징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루프(18) 내에 루프의 그룹으로도 지칭되는 다수의 상이한 루프 세트가 존재한다. 루프 세트(18A), 루프 세트(18B), 루프 세트(18C) 및 루프 세트(18D)와 같은 세트 또는 그룹의 일부만이 도 1에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루프 세트(18A, 18B, 18C, 18D)는 상이한 스레드(16A, 16B, 16C, 16D) 또는 동일한 스레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다른 스레드들로 구성된 경우면, 각 스레드(16A, 16B, 16C, 16D)는 다른 색상일 수 있다. 일련의 루프(18)는 도 1에 도시된 제1 패턴으로 배열되고, 베이스 시트(14)를 통해 베이스 시트(14)의 제1 측면(2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측면(20)은 본 명세서에서 보빈 측면으로도 지칭되는데, 이는 제1 측면이 처리 중에 자수기(12)의 바늘 구동부(116)보다는 보빈(26) 측을 향하기 때문이다.
도 3의 다중-바늘 자수기(12)와 같은 자수기를 사용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일련의 루프(18)를 제공하는 것은 다양한 패턴, 루프 밀도 및 스레드 색상 조합 등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1 루프 그룹(18A)은 인치 당 10개의 루프와 같은 제1 밀도를 가질 수 있고, 제2 루프 그룹(18B)은 인치 당 20개의 루프와 같이 제1 밀도와 다른 제2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루프 세트(18A)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스레드(16A)는 적색과 같은 제1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루프 세트(18B)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스레드(16B)는 제1 색상과 다른 청색과 같은 제2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루프 세트(18C)는 제3 루프 세트로 지칭될 수 있고, 제3 세트(18C)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스레드(16C)는 제1 색상 및 제2 색상 모두와 상이한 녹색과 같은 제3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루프 세트(18D)는 제3 루프 세트로도 지칭될 수 있고, 제1 세트(18A)와 제2 세트(18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루프(18D)가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하는 색상 구배를 갖도록 루프 세트(18D)를 구성하기 위해 2개의 상이한 스레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세트(18D)의 좌측 단부에 있고 제1 세트(18A) 근처에 있는 루프(18D1)는 적색 스레드(16A)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세트(18B) 근처에서 루프 세트(18D)의 우측 단부에 있는 루프(18D2)는 청색일 수 있고, 루프(18D1 및 18D2) 사이의 루프(18D3)는 루프(18D1) 근처에 더 많은 적색 루프가 있고 루프(18D2) 근처에 더 많은 청색 루프가 있는 적색 및 청색의 혼합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체 패턴(P1)의 일부 또는 전체 패턴에 걸쳐 상이한 색상 스레드(16)의 사용에 의해 하나 이상의 색상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스레드(16)(예를 들어, 16A, 16B, 16C, 16D)는 베이스 시트(14)의 제1 측면(20)과 반대인 베이스 시트(14)의 제2 측면(22)에 접합된다. 제2 측면(22)은 자수 공정 중에 자수기(12)의 보빈(26)보다 바늘 구동부(116)를 향하거나 적어도 이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으로도 지칭된다. 스레드(16)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수의 상이한 방식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2 측면(22)에 접합된다. 도 1-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레드(16)는 용융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스레드와 같은 가용성 스레드이고, 제2 측면(22)에만 접합되도록 제2 측면(22)에서 용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레드(16)는 나일론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스레드(16)는 약 0.05 ㎜ 내지 약 0.1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레드(16)가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 사용되는 루프(18)를 형성할 때와 같이 약 0.08 ㎜의 두께를 갖는 스레드(16)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각각 바늘(117)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바늘 구동부(11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109)이 저장된 컨트롤러(108)를 갖는 대표적인 자수기(12)를 예시한다. 컨트롤러(108)는 조작자가 하나 이상의 바늘 구동부(116)의 작동을 제어하는 버튼(112)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15)과 같은 입력 장치에 접근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 또는 무선 신호를 통해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다수의 바늘 구동부(116)는 베이스 시트(14)를 통해 연장되는 일련의 루프(18)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련의 루프(18)의 각 루프는 바늘 구동부(116)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자수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후프 또는 후핑(hooping) 시스템이 베이스 시트(14)에 결합되어 자수기(12)의 수평 이동형 프레임(124)에 안착되어 베이스 시트(14)를 구동되어 반복적으로 종방향으로(예컨대, 위 아래로) 요동하는 바늘(117)에 대해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수기(12)는 스풀(123)에 보관되고 각각 바늘(117) 중 다른 하나로 라우팅되는 하나 이상의 스레드(16A, 16B, 16C, 16D) 등을 사용하여 바늘 구동부(116)를 통해 자수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도 4는 도 3의 자수기(12)를 사용하여 물품(10, 10A, 10B, 110, 110A, 310, 410)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방법(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수기(12)의 보빈(26) 상에 제거 가능한 보빈 스레드(24)를 장입하는 단계(2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빈(26) 및 보빈 스레드(24)는 바늘 구동부(116) 아래의 케이싱(29) 내에 수용된다. 보빈 스레드(24)는 자수 공정 중에 주로 베이스 시트(14)의 제1 측면(20) 외측(예를 들어, 제1 측면(20)에 배치된 스페이서 층(들)(28)의 외측 및 내부에)에 배치될 것이고, 루프(18)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스레드(16)와 결합될 것이다. 물품(10)을 자수한 후에, 보빈 스레드(24)는 루프(18)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물품(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보빈 스레드(24)는 가용성 보빈 스레드(24),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성 보빈 스레드이고, 물에 용해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방법(200)은 또한 베이스 시트(14)의 보빈 측(20)(예컨대, 제1 측면(20)))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28)의 내부 측면(27)을 배치하는 단계(2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18)를 갖는 물품(10)을 제조하는 데 단 하나의 스페이서 층(28)이 사용된다. 루프(18)는 높이(H)를 가진다. 스페이서 층(28)은 베이스 시트(14) 및 스페이서 층(28)을 통해 구동되는 바늘(들)(117)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보어(30) 내에 루프(18)를 채널링하는 것에 의해 루프(18)의 원하는 높이(H)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루프(18)의 높이(H)는 베이스 시트(14)의 제1 측면(20)으로부터 각 루프(18)의 상부까지 측정된다. 일례로, 높이(H)는 약 1 ㎜ 내지 약 6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18)가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구성될 때, 높이(H)는 약 2 ㎜ 내지 약 5 ㎜일 수 있다. 루프(18)가 도 13의 루프(18E)와 같이 신발류 갑피 상의 볼 제어 특징부로서 구성될 때, 높이(H)는 약 1.25 ㎜일 수 있다. 자수기(12), 베이스 시트(14) 및/또는 스페이서 층(28)의 치수 공차로 인해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루프(18)는 각각 동일한 높이(H)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자수기(12)는 루프(18)의 원하는 3D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루프(18) 중 다른 것을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보어(30)는 인접한 루프(18)가 자수 공정 중에 얽힐 위험이 없이 루프(18)가 인접한 루프(18) 사이의 간격(S)보다 큰 높이(H)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스페이서 층(28)은 또한 보빈 스레드가 가용성이고 용매로 제거되는 실시예에서 가용성 보빈 스레드(24)에 도포된 용매로부터 베이스 시트(14)를 보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의 스페이서 층(28)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중 스페이서 층이 단계(204)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17-도 18은 높이(H)보다 높은 상이한 높이(H1)의 루프(18J)를 물품(10)에 제공하기 위해 2개의 스페이서 층(28A, 28B)을 사용하는 옵션을 예시한다. 스페이서 층(28A, 28B)은 함께 적층되고, 바늘(117)은 전체 적층된 층(28A, 28B)을 통해 구동된다. 바늘(117)은 각각의 인접한 적층된 스페이서 층(28A, 28B)을 통해 보어(30)를 형성한다. 스페이서 층(28B)은 스페이서 층(28A)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중 적층 스페이서 층을 사용하는 방법(200)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페이서 층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3개 이상의 스페이서 층이 적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층(들)(28, 28A, 28B 등)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물품 중 임의의 것의 제조 중에 압축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28)은 약 1 ㎜ 내지 약 12 ㎜의 총 결합 높이를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예컨대, 단일 스페이서 층(28) 또는 스페이서 층(28A, 28B)과 같은 적층된 스페이서 층)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루프(18 또는 18A, 18B, 18C, 18D, 18E, 18F, 18G, 18F 또는 18J 중 임의의 것)는 상기 범위 내의 임의의 높이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융 가능한 바늘 스레드(16)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사용될 때, 방법(200)은 단계(204)에서 단계(208)로 진행하여,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14)의 보빈 측(2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늘 스레드(16)의 일련의 루프(18)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P1)에 따라 자수기(12)의 바늘(117)로 베이스 시트(14)를 통해 바늘 스레드(16)를 구동 유도한다. 도 5에서, 바늘(117)은 왕복하는 바늘(117)의 구동 사이클 사이에서 바늘(117)에 대해 화살표(A1)의 방향으로 수평으로 물품(10)을 이동시키는 자수기(12)와 함께 도시된 베이스 시트(14)의 섹션에 일련의 루프(18)를 제공하는 것을 완료하고 있다. 가상선의 바늘(117)의 묘사는 다음 루프(18)를 제공하도록 베이스 시트(14) 및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들)(28)을 통해 구동되는 방식을 보여준다. 보빈(26)은 일련의 루프(18)가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22)(예를 들어, 내부 측면)으로부터 베이스 시트(14)를 통해 베이스 시트(14)의 보빈 측(20)(예를 들어, 외부 측면)으로 그리고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들)(28) 내로 연장되도록 베이스 시트(14)의 보빈 측(20)의 외측의(예를 들어, 스페이서 층(28) 내의 보빈 측(20)의 외측의) 각각의 루프(18)에서 가용성 보빈 스레드(24)가 바늘 스레드(16)와 결합하도록 회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융 가능한 바늘 스레드(16) 대신에, 용융 가능한 접착제 접합층과 같은 접합층(32)이 도 8의 물품(10B)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22)에 배치되어 바늘 스레드(16)가 바늘 측(22)에 결합되도록 후속으로 용융된다. 그렇지 않으면, 물품(10B)은 물품(10)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방법(200)은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22)에 접합층(32)을 배치하는 단계(206)(단계(208) 이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8) 다음에, 방법(200)의 나머지는 물품(10) 또는 물품(10A, 10B, 110, 110A, 310 또는 410)이 자수기(12)로부터 제거된 후에 발생할 수 있다. 방법(200)은 단계(210)로 진행하여, 바늘 스레드(16)를 베이스 시트(14)의 보빈 측(20)과 반대인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22)에 접합한다. 도 6에서, 바늘 스레드(16)를 일련의 루프(18)와 반대되는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22)에 고정하기 위해, 가용성 스레드가 바늘 스레드(16)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210)에서 바늘 스레드(16)를 접합하는 것은 도 4에서 210A로 표시되며,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22)에서 가용성 바늘 스레드(16)에 열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가열은 바늘 측(22)에서 열 에너지(40)를 인가하는 복사 가열 요소(38) 또는 대류 가열 노즐(미도시)에 의해 수행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도 7의 물품(10A)과 관련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스레드(16)에 대해 가용성 스레드를 사용하고 접합층(32)을 사용하는 대신에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22)에 일련의 루프(18)를 고정하는 데 접착제 층(44)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210)에서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22)에 바늘 스레드(16)를 접합하는 것은 도 4에서 210B으로 표시되며,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22)에 접착제(44)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접착제(44)는 바늘 측(22)에서 바늘 스레드(16)를 코팅하고, 접착제(44)가 경화될 때 바늘 스레드를 바늘 측(22)에서 적소에 유지한다.
단계(206)와 관련하여 논의된 도 8의 실시예에서, 단계(210)에서 바늘 스레드(16)를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22)에 접합하는 것은 도 4에서 210C으로 표시되며, 용융 가능한 접합층(32)이 용융되도록 용융 가능한 접합층에 열을 가하는 단계, 바늘 측(22)에서 바늘 스레드(16)를 코팅하고, 용융된 접합층(32)이 경화될 때 바늘 스레드를 바늘 측(22)에서 적소에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용융 가능한 접합층(32)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10)에 이어, 방법(200)은 보빈 스레드(24)를 제거하는 단계(212)로 진행한다. 예시된 물품(10, 10A, 10B)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보빈 스레드(24)는 수용성 스레드이고, 용매는 물이다. 도 10은 보빈 스레드(24)의 용해를 나타내기 위해 보빈 스레드(24)를 물(52)의 용기(50)에 넣어 물품(10)과 관련하여 도 10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보빈 스레드(24)를 용해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단계(212)에서 보빈 스레드(24)를 제거한 후, 방법(200)은 일련의 루프(18)로부터 벗어나게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들)(28)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해 도 11의 화살표(A2)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들)(28)을 보빈 측(20)으로부터 멀어지게 잡아당김으로써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들)(28)을 베이스 시트(14)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단계(214)로 진행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물품(10)은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들)(28)을 베이스 시트(14)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전에 도 11에 도시된 위치에 대해 반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들)(28)은 가용성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들)에 용매를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들)(28)을 용해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단계(214)에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들)(28)이 이동되면, 일련의 루프(18)는 확실하게 베이스 시트(14)의 보빈 측(2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단계(210)에서 바늘 스레드(16)가 바늘 측(22)에 접합된 상태이므로, 일련의 루프(18)는 베이스 시트(14)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된다.
도 17 및 도 18에 대해 논의된 바와 같이, 방법(200)은 베이스 시트(14)의 보빈 측에 상이한 개수의 총 높이의 스페이서 층을 적층함으로써 상이한 높이의 루프의 제조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베이스 시트(14)는 제1 베이스 시트로 지칭될 수 있고, 도 11의 스페이서 층(28)은 제1 스페이서 층으로 지칭될 수 있고, 도 12의 일련의 루프(18)는 제1의 일련의 루프(18)로 지칭될 수 있다. 방법(200)은 제2 개수의 스페이서 층(예를 들어, 2개의 스페이서 층)이면서 제2 베이스 시트(도 17의 베이스 시트(14)는 도 12의 베이스 시트(14)와 동일할 수 있는 제2 베이스 시트임)의 보빈 측에 제2 총 높이(TH2)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예를 들어, 28A, 28B)을 배치하되,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의 내부 측면(예를 들어, 스페이서 층(28A)의 내부 측면)이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있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수의 스페이서 층(28A, 28B)은 제1 개수의 스페이서 층(단일 스페이서 층(28))과 상이하고, 제2 총 높이(TH2)는 제1 총 높이(TH1)와 상이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층의 제2 개수는 제1 개수(예를 들어, 단일 스페이서 층)와 동일할 수 있지만, 높이는 상이할 수 있다. 바늘 스레드(16)는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에 따라 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28A, 28B)을 통해 제2 베이스 시트(14)의 보빈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28A, 28B)의 외부 측면에 배치된 보빈 스레드(24)와 결합하는 바늘 스레드(16)의 제2의 일련의 루프(18J)를 제공하는 상이한 프로그래밍된 패턴에 따라 자수기의 바늘(117)로 제2 베이스 시트(14) 및 제2 스페이서 층(28A, 28B) 모두를 통해 구동된다. 이후, 바늘 스레드(16)가 제2 베이스 시트(14)의 바늘 측(22)에 접합되고, 보빈 스레드(24)가 제거되고, 제2 스페이서 층(28A, 28B)이 베이스 시트(14)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28A, 28B)이 제2의 일련의 루프(18J)에서 벗어나게 슬라이드된다. 제2의 일련의 루프(18J)는 도 12의 제1의 일련의 루프(18)의 높이(H)와 다른 높이(H1)를 가진다. 적층된 스페이서 층(28A, 28B)의 총 높이(TH2)가 더 높으면, 제2의 일련의 루프(18J)가 더 높아질 수 있다.
자수기(12)의 다양성과 컨트롤러(108)에 저장된 프로그램(109)과 다른 바늘 구동부(116)의 이동 패턴을 저장하는 능력으로 인해, 도 1의 물품(10)에 예시된 제1 패턴(P1)에서와 다른 높이, 색상 및/또는 밀도 등의 루프(18) 패턴을 갖는 물품이 방법(200)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200)은 제2 물품(110)을 제공하기 위해 색상, 루프의 밀도 및/또는 루프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패턴(P1)과 상이한 제2 패턴(P2)으로 제2의 일련의 루프(18E)를 제공하도록 자수기(12)의 바늘(들)(117)로 제2 베이스 시트(114)를 통해 제2 바늘 스레드(16)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2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 시트(114)는 신발류 물품(110)의 갑피(114)일 수 있다. 갑피(114)는 밑창 구조체(118)에 고정된다. 단계(216)는 제2 베이스 시트(114)에 대해 단계(202, 204, 206(접합층(32)이 사용되는 경우), 210, 212 및 214)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3에서, 스레드(16E)는 중족부 영역(62) 및 전족부 영역(64)의 내측면(60)에서 신발류 갑피(114)의 외측면(예를 들어, 보빈 측(2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루프(18E)를 형성하고, 루프(18E)는 볼 제어 요소로 구성된다. 루프(18E)의 재료는 외측면에 질감을 추가하여, 공이 루프(18E)에서 신발류(110)와 접촉할 때 공에 대한 더 양호한 그립을 가능하게 한다.
도 14는 제3 패턴(P3)으로 일련의 루프(18F)를 제공하도록 자수기(12)가 스레드(16F)를 구동 유도하도록 제어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신발류(110)의 모든 양태에서와 같이 방법(200)에 따라 제조된 신발류 물품(110A)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스레드(16F) 및 일련의 루프(18F)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패스너 루프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신발류(110A)는 일련의 후크(122)가 연장되는 스트랩(120)을 포함한다. 후크(122)는 루프(18F)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루프(18F) 및 후크(122)는 함께 후크-루프 패스너로서 기능한다. 스트랩(120)은 예시의 목적으로 후크(122)를 보여주기 위해 위쪽으로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화살표(A3)의 방향으로 당겨져서 후크(122)가 루프(18F) 상에 눌려진 상태로 내측면(60)으로 연장되도록 갑피(114)를 가로질러 배치됨으로써 루프(18F)를 결합하여 갑피(114)에 대해 스트랩(120)을 고정하여 신발류(110A)가 감싸는 발(미도시)에 대해 갑피(114)를 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랩(120)은 루프(18F)가 개재되는 베이스 층이 없이 스트랩(12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방법(200)에 따라 베이스 시트(14)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도 15는 의류 물품인 다른 물품(310)을 예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 물품(310)은 셔츠이고, 셔츠(310)로 지칭될 수 있다. 셔츠(310)는 베이스 시트(314)를 가지는 포켓(311)을 포함하며, 베이스 시트로부터는 스레드(16G)가 베이스 시트(314)의 외부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방법(200)에 따라 일련의 루프(18G)로서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포켓(311)의 베이스 시트의 재료는 개재되는 베이스 층이 없는 루프(18G)의 베이스로서 기능한다. 베이스 시트(314)는 방법(200)에 따라 베이스 시트(14)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처리된다. 셔츠(310)는 또한 셔츠(310)의 바디(332)에 고정된 플랩(330)을 포함한다. 플랩(330)은 바디(332)에 대해 이동 가능한 자유 단부(331)를 가진다. 일련의 후크(122)가 플랩(330)으로부터 연장된다. 후크(122)는 플랩(330)이 화살표(A4)의 방향으로 선회되고 후크(122)가 루프(18G)에 대해 눌려질 때 루프(18G)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플랩(330)은, 루프(18G)가 개재되는 베이스 층이 없이 플랩(330)으로부터 연장되고 베이스 시트(314)가 일련의 후크(122)를 포함하도록, 방법(200)에 따라 베이스 시트(14)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도 16은 배낭, 지갑 또는 도시락 가방과 같은 캐리 백인 다른 물품(410)을 예시한다. 캐리 백(410)은 베이스 시트(414)를 포함하며, 베이스 시트로부터는 스레드(16H)가 베이스 시트(414)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방법(200)에 따라 일련의 루프(18H)로서 구성된다. 베이스 시트(41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을 형성하여 물품을 배치하여 캐리 백에 보유될 수 있다. 베이스 시트(414)는 방법(200)에 따라 베이스 시트(14)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처리된다. 플랩(430)은 플랩(430)을 공동(415)을 가로질러 베이스 시트(414)에 고정하기 위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베이스 시트(414)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플랩(430)은 스트랩 부분(433)을 포함한다. 일련의 후크(122)가 스트랩 부분(433)으로부터 연장된다. 후크(122)는 플랩(430)이 화살표(A5)의 방향으로 선회되고 후크(122)가 루프(18H)에 대해 눌려질 때 루프(18H)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랩 부분(433)은, 루프(18H)가 개재되는 베이스 층이 없이 스트랩 부분(433)으로부터 연장되고 베이스 시트(414)가 일련의 후크(122)를 포함하도록 방법(200)에 따라 베이스 시트(14)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물품 및 방법은 자수기를 사용하여 물품 자체의 베이스 시트가 루프를 지지 및 유지할 수 있어서 물품에 여분의 층을 추가하지 않고도 기능적 및/또는 장식적 루프에 효율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색상/패턴/밀도 등을 제공한다.
다음 항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물품 및 물품 제조 방법의 예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항 1.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용성 보빈 스레드를 자수기에 장입하는 단계;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늘 스레드의 일련의 루프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에 따라 상기 자수기의 바늘로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 -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보빈 측의 외측의 상기 일련의 루프와 결함됨 -;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보빈 측과 반대되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상기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를 용해하도록 상기 가용성 보빈 스페드에 용매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 2. 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기 전에,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보빈 측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배치하되, 상기 베이스 시트의 내부 측면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보빈 측에 있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시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 모두를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되, 상기 일련의 루프가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내부 측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시트의 외부 측면으로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내로 연장되고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외부 측면의 외측에 있도록, 구동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에 용매를 도포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상기 일련의 루프로부터 벗어나게 슬라이드시키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상기 베이스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 3. 항 1-2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스레드는 가용성 스레드이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바늘 측에 상기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바늘 측에서 상기 바늘 스레드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 4. 항 1-2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기 전에,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바늘 측에 대해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바늘 측에 상기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 5. 항 4에 있어서,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방법.
항 6. 항 1-2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바늘 측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 7. 항 1-6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루프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구성되는, 방법.
항 8. 항 1-6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루프는 신발류 갑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루프 중 적어도 일부는 볼 제어 요소로서 구성되는, 방법.
항 9. 항 1-8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는 수용성이고, 상기 용매는 물인, 방법.
항 10. 항 1-9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들의 제1 그룹은 제1 밀도를 가지고, 상기 루프들의 제2 그룹은 상기 제1 밀도와 다른 제2 밀도를 가지는, 방법.
항 11. 항 1-10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들의 제1 세트는 제1 색상을 가지고, 상기 루프들의 제2 세트는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을 가지는, 방법.
항 12. 항 11에 있어서, 상기 루프들의 제3 세트는 상기 제1 세트와 상기 제2 세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화하는 색상 구배를 가지는, 방법.
항 13. 항 1-12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제1 물품이고, 상기 베이스 시트는 제1 베이스 시트이고, 상기 바늘 스레드는 제1 바늘 스레드이며, 상기 방법은: 색상, 루프의 밀도 또는 루프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패턴과 다른 제2 패턴으로 상기 자수기의 바늘로 상기 제2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제2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 14.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베이스 시트의 내부 측면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배치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내부 측면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있도록, 배치하는 단계; 자수기의 바늘로 상기 베이스 시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통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보빈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외부 측면에 배치된 보빈 스레드와 결합되는 상기 바늘 스레드의 일련의 루프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에 따라 구동 유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보빈 측과 반대되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상기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 상기 보빈 스레드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상기 일련의 루프로부터 벗어나게 슬라이드시키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상기 베이스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 15. 항 14에 있어서, 상기 보빈 스레드는 가용성 보빈 스레드이고, 상기 보빈 스레드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를 용해하도록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에 용매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항 16. 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는 수용성이고, 상기 용매는 물인, 방법.
항 17. 항 14에 있어서, 상기 바늘 스레드는 가용성 스레드이고, 상기 바늘 스레드를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바늘 측에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바늘 스레드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 18. 항 1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기 전에,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바늘 측에 대해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바늘 측에 상기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 19. 항 18에 있어서,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방법.
항 20. 항 14-16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바늘 측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 21. 항 14-20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루프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구성되는, 방법.
항 22. 항 21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루프는 신발류 갑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루프의 적어도 일부는 볼 제어 요소로서 구성되는, 방법.
항 23. 항 14-22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들의 제1 그룹은 제1 밀도를 가지고, 상기 루프들의 제2 그룹은 상기 제1 밀도와 다른 제2 밀도를 가지는, 방법.
항 24. 항 14-23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들의 제1 세트는 제1 색상을 가지고, 상기 루프들의 제2 세트는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을 가지는, 방법.
항 25. 항 24에 있어서, 상기 루프들의 제3 세트는 상기 제1 세트와 상기 제2 세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하는 색상 구배를 가지는, 방법.
항 26. 항 14-25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제1 물품이고, 상기 베이스 시트는 제1 베이스 시트이고, 상기 바늘 스레드는 제1 바늘 스레드이며, 상기 방법은: 색상, 루프의 밀도 또는 루프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패턴과 다른 제2 패턴으로 상기 자수기의 바늘로 제2 베이스 시트를 통해 제2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 27. 물품으로서: 베이스 시트; 및 일련의 루프로서 구성되는 스레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련의 루프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구성되고 제1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제1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레드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제1 측면과 반대되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제2 측면에 접합되고, 상기 물품은 신발류 갑피, 의류, 또는 캐리 백인, 물품.
항 28. 항 27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루프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구성되는, 물품.
항 29. 항 27-28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는 가용성 스레드이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제2 측면에 직접 융합되는, 물품.
항 30. 항 27-28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제2 측면에 대해 배치된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레드는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스레드는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에 의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제2 측면에 접합되는, 물품.
항 31. 항 27-30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신발류 갑피이고, 상기 일련의 루프는 상기 신발류 갑피의 외부에서 연장되는, 물품.
항 32. 항 31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루프는 볼 제어 특징부로서 구성되는, 물품.
항 33. 항 27-30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의류이고, 상기 일련의 루프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구성되는, 물품.
항 34. 항 27-30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캐리 백이고, 상기 일련의 루프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구성되는, 물품.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을 보조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가 여기에서 정의된다.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다음 정의는 본 명세서 전체에 적용된다(청구범위 포함). 또한, 언급되는 모든 기준은 온전하게 여기에 포함된다.
"신발류 물품", "제조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는 장치 및 제조 모두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조립되어 착용 준비된 신발류 물품(예, 신발, 샌들, 부츠 등) 및 조립되어 착용 준비되기 전의 신발류 물품의 개별 부품(예, 중창, 밑창, 갑피 부품 등)은 본 명세서에서 "신발류 물품(들)"로 단수 또는 복수로 간주되고 대안적으로 지칭된다.
"단수 표현",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표현은 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해 호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문맥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이러한 항목이 존재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문맥의 관점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또는 명확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예, 양 또는 조건)의 모든 수치는 모든 경우에 수치 앞에 실제로 표현되는 지 여부에 무관하게 "약"이란 용어에 의해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약"은 명시된 수치가 약간의 부정확성을 허용함을 나타낸다(값의 정확성에 대한 접근; 값에 대략 또는 합리적으로 근접함; 거의). "약"에 의해 제공된 부정확성이 이러한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 당업계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경우, 본원에 사용된 "약"은 이러한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범위의 개시는 범위 내의 모든 값 및 추가의 분할된 범위를 구체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하는", "포함하는" 및 "가지는"이란 용어는 포괄적이며 따라서 언급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계, 과정 및 동작의 순서는 가능한 경우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 또는 대체 단계가 채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관련 열거 항목의 임의의 하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임의의 것"이란 용어는 언급된 항목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여 언급된 항목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임의의 것"이란 용어는 언급된 청구항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언급된 청구항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관성 및 편의를 위해, 예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 방향 형용사가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위", "아래", "위쪽", "아래쪽", "상부", "하부" 등과 같은 용어의 경우,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지 않고 도면에 대해 설명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종방향"이란 용어는 구성요소의 길이로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신발의 종방향은 신발의 전족 영역과 힐 영역 사이에서 연장된다. "전방" 또는 "앞쪽"은 힐 영역에서 전족 영역으로 향하는 개괄적인 방향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되며, "후방" 또는 "뒤쪽"이란 용어는 반대 방향, 즉 전족 영역으로부터 힐 영역 측의 개괄적인 방향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경우에, 구성요소는 종축뿐만 아니라 그 축을 따라 전방 및 후방의 종방향으로 식별될 수 있다. 종방향 또는 종축은 또한 전후 방향 또는 축으로 지칭될 수 있다.
"횡방향"이란 용어는 구성요소의 폭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신발의 횡방향은 신발의 외측과 내측 사이에서 연장된다. 횡방향 또는 횡축은 또한 외측 방향 또는 축, 또는 내외측 방향 또는 축으로 지칭될 수 있다.
"수직"이란 용어는 대체로 외측 방향 및 종방향 모두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밑창이 지면에 평평하게 제공된 경우, 수직 방향은 지면에서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형용사 각각은 밑창의 개별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향" 또는 "상향으로"라는 용어는 갑피의 발등, 체결 영역 및/또는 목부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상부를 향하는 수직 방향을 지칭한다. "하향" 또는 "하향으로"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바닥을 향하는, 상기 상향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수직 방향을 지칭하고, 대체로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바닥을 향할 수 있다.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내부"는 신발을 신었을 때 착용자의 발이 차지하는 공간의 부분을 의미한다. 구성요소의 "내부면"은 조립된 신발류 물품에서 구성요소 또는 신발류 물품의 내부 측으로 배향되는(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외부면" 또는 "외부"는 조립된 신발에서 신발의 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향하는(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일부 경우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구성요소의 내부면과 조립된 신발류 물품의 내부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구성요소들이 구성요소의 외부면과 조립된 신발류 물품의 외부 공간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내측" 및 "내측으로"라는 용어는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또는 구성요소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 및 "외측으로"라는 용어는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근접(proximal)"이라는 용어는 신발 부품의 중심에 더 가깝거나 사용자가 착용시 발이 신발류 물품에 삽입될 때 발에 더 가까운 방향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말단(distal)"이라는 용어는 신발 부품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있거나, 사용자가 착용시 발이 신발류 물품에 삽입될 때 발에서 더 멀리 있는 상대적 위치를 지칭한다. 따라서, 근접 및 말단이라는 용어는 상대적인 공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대체로 반대되는 용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해당 설명은 제한하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는 더 많은 실시예 및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임의의 다른 특징 또는 요소와 조합하여 사용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측면을 제외하고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교시 내용의 다양한 양태를 수행하기 위한 여러 모드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교시 내용의 관련 기술의 숙련자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본 교시 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적인 양태를 인식할 것이다. 상기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예시된 모든 사항은 당업자가 포함된 내용에 구조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균등하거나 또는 포함된 내용에 기초하여 자명한 것으로 암시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대체 실시예의 전체 범위를 예시하고 명시적으로 묘사 및/또는 설명된 실시예에만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용성 보빈 스레드를 자수기에 장입하는 단계;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늘 스레드의 일련의 루프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에 따라 상기 자수기의 바늘로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 -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의 외측의 상기 일련의 루프와 결함됨 -;
    상기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의 반대편인 상기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상기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를 용해하도록 상기 가용성 보빈 스페드에 용매를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루프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구성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기 전에,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보빈 측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내부 측면이 있도록, 상기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일련의 루프가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베이스 시트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시트의 외부 측면으로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내로 연장되고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외부 측면의 외측에 있도록, 상기 베이스 시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 양자 모두를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에 용매를 도포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상기 일련의 루프로부터 벗어나게 슬라이드시키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상기 베이스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제1 베이스 시트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은 제1 개수의 스페이서 층이고 제1 총 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스페이서 층이며, 상기 일련의 루프는 제1의 일련의 루프이고, 상기 방법은:
    제2 개수의 스페이서 층이고 제2 총 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을,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의 내부 측면이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있도록,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개수의 스페이서 층은 상기 제1 개수의 스페이서 층과 상이하거나, 상기 제2 총 높이는 상기 제1 총 높이와 상이하거나, 양자 모두인 것인 단계;
    상기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에 따라, 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을 통해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의 외부 측면에 배치된 보빈 스레드와 결합되는 바늘 스레드의 제2의 일련의 루프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상이한 패턴에 따라, 자수기의 바늘로 제2 베이스 시트 및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 양자 모두를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의 반대편인 제2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
    보빈 스레드를 제거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을 베이스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제2의 일련의 루프로부터 벗어나게 슬라이드시키는 단계로서, 제2의 일련의 루프는 제1의 일련의 루프와 다른 높이를 갖는 것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스레드는 가용성 스레드이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상기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것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서 상기 바늘 스레드에 열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기 전에, 상기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대해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배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것은,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통해 상기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상기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것은,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에 열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루프는 신발류 갑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루프 중 적어도 일부는 볼 제어 요소로서 또는 스트랩 패스너로서 구성되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는 수용성이고, 상기 용매는 물인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그룹의 루프가 제1 밀도를 갖고, 제2 그룹의 루프가 제1 밀도와 상이한 제2 밀도를 가지며; 및/또는
    제1 세트의 루프가 제1 색상을 갖고, 제2 세트의 루프가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을 갖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제1 물품이고, 상기 베이스 시트는 제1 베이스 시트이며, 상기 바늘 스레드는 제1 바늘 스레드이고, 상기 방법은:
    색상, 루프의 밀도 또는 루프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패턴과 다른 제2 패턴으로, 제2 바늘 스레드를 자수기의 바늘로 제2 베이스 시트를 통해 구동 유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내부 측면이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있도록, 베이스 시트의 내부 측면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통해 상기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의 외부 측면에 배치된 보빈 스레드와 결합되는 바늘 스레드의 일련의 루프를 제공하는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에 따라, 자수기의 바늘로 상기 베이스 시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 양자 모두를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의 반대편인 상기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상기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
    상기 보빈 스레드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상기 일련의 루프로부터 벗어나게 슬라이드시키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상기 베이스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제1 베이스 시트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은 제1 개수의 스페이서 층이고 제1 총 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스페이서 층이며, 상기 일련의 루프는 제1의 일련의 루프이고, 상기 방법은:
    제2 개수의 스페이서 층이고 제2 총 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을,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의 내부 측면이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있도록,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개수의 스페이서 층은 상기 제1 개수의 스페이서 층과 상이하거나, 상기 제2 총 높이는 상기 제1 총 높이와 상이하거나, 양자 모두인 것인 단계;
    상기 프로그래밍된 제1 패턴에 따라, 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을 통해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의 외부 측면에 배치된 보빈 스레드와 결합되는 바늘 스레드의 제2의 일련의 루프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상이한 패턴에 따라, 자수기의 바늘로 제2 베이스 시트 및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 양자 모두를 통해 바늘 스레드를 구동 유도하는 단계;
    제2 베이스 시트의 보빈 측의 반대편인 제2 베이스 시트의 바늘 측에 바늘 스레드를 접합하는 단계;
    보빈 스레드를 제거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층을 베이스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층을 제2의 일련의 루프로부터 벗어나게 슬라이드시키는 단계로서, 제2의 일련의 루프는 제1의 일련의 루프와 다른 높이를 갖는 것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루프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구성되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루프는 신발류 갑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루프 중 적어도 일부는 볼 제어 요소로서 또는 스트랩 패스너로서 구성되는 것인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스레드는 가용성 보빈 스레드이고, 상기 보빈 스레드를 제거하는 것은,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를 용해하도록 상기 가용성 보빈 스레드에 용매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실시되는 것인 방법.
  17. 물품으로서:
    베이스 시트; 및
    일련의 루프로서 구성되는 스레드로서, 상기 일련의 루프는 후크-루프 패스너의 루프부로서 구성되고, 제1 패턴으로 배열되며, 상기 베이스 시트를 통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제1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스레드
    를 포함하고;
    상기 스레드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제1 측면의 반대편인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제2 측면에 접합되며;
    상기 물품은 신발류 갑피, 의류 또는 캐리 백인 것인 물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는 가용성 스레드이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제2 측면에 직접 융합되는 것인 물품.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제2 측면에 대해 배치된 용융 가능한 접합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레드는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스레드는 상기 용융 가능한 접합층에 의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제2 측면에 접합되는 것인 물품.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신발류 갑피이고, 상기 일련의 루프는 상기 신발류 갑피의 외부에서 연장되며, 볼 제어 요소로서 또는 스트랩 패스너로서 구성되는 것인 물품.
KR1020227010859A 2019-10-02 2020-08-12 일체형 루프가 있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635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09451P 2019-10-02 2019-10-02
US62/909,451 2019-10-02
PCT/US2020/045929 WO2021066941A1 (en) 2019-10-02 2020-08-12 Article with integral loop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661A true KR20220053661A (ko) 2022-04-29
KR102635064B1 KR102635064B1 (ko) 2024-02-08

Family

ID=7247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859A KR102635064B1 (ko) 2019-10-02 2020-08-12 일체형 루프가 있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530502B2 (ko)
EP (1) EP4038231A1 (ko)
KR (1) KR102635064B1 (ko)
CN (1) CN114502029A (ko)
TW (1) TW202117120A (ko)
WO (1) WO2021066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86746A1 (en) * 2021-06-04 2022-12-08 Yi-Wen Tang Fastening stra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411A (ja) * 1991-09-25 1993-08-03 Gooda Enbu Kk 刺繍製品の製造方法及び刺繍製品
JP3055526U (ja) * 1998-03-07 1999-01-22 泰造 向井 ループ状布帛
JP2003328262A (ja) * 2002-04-30 2003-11-19 Goorudouin:Kk 刺繍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12251281A (ja) * 2011-06-03 2012-12-20 Akihiro Sugie 下糸のない刺繍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47977A (en) 1933-10-30 1936-05-27 United Shoe Machinery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shoes
US3550223A (en) 1967-12-22 1970-12-29 American Velcro Inc Separable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859441A (en) 1970-11-27 1975-01-07 Upjohn Co Anti-arthropodal cyclic dithioketals of glyoxyloyl halide 1-phenylhydrazones
US3859941A (en) * 1972-05-11 1975-01-14 David Krieger Textured embroidered fabric
WO1998059101A1 (fr) * 1997-06-23 1998-12-30 Tokai Kogyo Mishin Kabushiki Kaisha Element auxiliaire de broderie, procede de broderie et produit de broderie mettant en application cet element
JPH1121758A (ja) 1997-07-03 1999-01-26 Nichibi:Kk 中空立体模様を有する刺しゅうの製造方法
JP3055526B2 (ja) 1998-05-22 2000-06-26 日本電気株式会社 レーザー誘導による合成開口海底監視ソーナーシステム
JP3505089B2 (ja) 1998-08-31 2004-03-08 Ykk株式会社 繊維製面ファスナー
EP1238134A2 (en) * 1999-12-02 2002-09-1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 tufted pile structure having binder concentrated beneath the backstitches
JP3692021B2 (ja) * 2000-08-11 2005-09-07 照明 小松 房毛模様の形成方法
CN100462494C (zh) * 2003-10-24 2009-02-18 合田刺绣株式会社 立体刺绣品的制作方法
DE102004054121A1 (de) 2004-11-08 2006-05-11 Sekip Surget Träger für Stickereifolie
US20060231196A1 (en) 2005-04-19 2006-10-19 Emporiotessile Di Zorzi Enrico & C.S.A.S. Perimetrical termination and/or integration strip for textile products, textile products obtained therewi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20070204783A1 (en) * 2006-03-01 2007-09-06 Creative Foam Design, Inc. Method of making raised, embroidered design and article made therefrom
WO2008039497A2 (en) * 2006-09-25 2008-04-03 Nuvasive, Inc Embroidery using soluble thread
CN101168926A (zh) 2006-10-27 2008-04-30 韩楠林 一种纤维制品及其制造和应用方法
KR100786646B1 (ko) 2006-12-20 2007-12-21 백진구 자수 작업 장치
US8056173B2 (en) 2008-07-28 2011-11-15 Nike, Inc. Soluble thread in the manufacture of footwear
KR100894549B1 (ko) 2008-08-26 2009-04-24 김연호 잔디 타입 자수기용 절단장치
EP2337471B1 (en) 2008-09-26 2016-09-28 NIKE Innovate C.V. Unitary multi-use alignment fixture for shoe production
JP2012223277A (ja) * 2011-04-18 2012-11-15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装飾柄作製方法及び装飾柄作製装置
US8851000B2 (en) 2012-04-09 2014-10-07 Nike, Inc. Custom embroidery frame
US8702427B1 (en) 2012-04-30 2014-04-22 Nellie Prestwood Method of teaching using clothing
US20140048003A1 (en) 2012-08-17 2014-02-20 Nike, Inc. Stitching Machine
US10391683B2 (en) * 2015-05-31 2019-08-27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hod to genberate an ultra-stretchable electrical and heat conductive arrangement
CN204738125U (zh) 2015-06-30 2015-11-04 刘咏波 一种用于装裱的绣片、绣片组件及刺绣品
CN105877002B (zh) 2016-06-13 2017-09-12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带环圈护眼的鞋面及其制造方法
DE112017005047T5 (de) 2016-11-09 2019-06-27 Nike Innovate C.V. Stricktextilien und Obermateriali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20190079582A1 (en) * 2017-09-08 2019-03-14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a wearable user interfac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411A (ja) * 1991-09-25 1993-08-03 Gooda Enbu Kk 刺繍製品の製造方法及び刺繍製品
JP3055526U (ja) * 1998-03-07 1999-01-22 泰造 向井 ループ状布帛
JP2003328262A (ja) * 2002-04-30 2003-11-19 Goorudouin:Kk 刺繍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12251281A (ja) * 2011-06-03 2012-12-20 Akihiro Sugie 下糸のない刺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30502B2 (en) 2022-12-20
US20210102323A1 (en) 2021-04-08
EP4038231A1 (en) 2022-08-10
KR102635064B1 (ko) 2024-02-08
US20230070422A1 (en) 2023-03-09
TW202117120A (zh) 2021-05-01
WO2021066941A1 (en) 2021-04-08
CN114502029A (zh)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3154B2 (en) Method of tape embroidery
CN114206152A (zh) 可分离且可回收的鞋类
US11332882B2 (en) Articles with embroidered sequins and methods of making
US10786043B2 (en) Article with thermally bonded ribbo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US20210219657A1 (en) Embroidered Foaming Cords For Midsoles
US20230070422A1 (en) Article with integral loop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2635065B1 (ko) 섬유 패턴이 있는 물품 및 자수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US10758007B2 (en) Article with thermally bonded ribbo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W202409376A (zh) 製造具有環圈之物件的方法
KR101651196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갑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갑피
KR20170069623A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