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646B1 - 자수 작업 장치 - Google Patents

자수 작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646B1
KR100786646B1 KR1020060130608A KR20060130608A KR100786646B1 KR 100786646 B1 KR100786646 B1 KR 100786646B1 KR 1020060130608 A KR1020060130608 A KR 1020060130608A KR 20060130608 A KR20060130608 A KR 20060130608A KR 100786646 B1 KR100786646 B1 KR 100786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ink
embroidery
r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진구
김현복
Original Assignee
백진구
김현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진구, 김현복 filed Critical 백진구
Priority to KR102006013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5/00Making 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by inserting loops into a base material
    • D05C15/04Tufting
    • D05C15/08Tuf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수 작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모터(1)와, 모터의 동력을 전달 받는 축(3)과, 축(3)과 연결되는 링크(5)와, 링크(5)와 하단에 연결되는 작동간(6)과, 작동간(6)과 연결되어 선회 작동하는 훅(8)과, 훅(8)을 장홈(10) 내에서 움직이게 제어하는 지지대(11)와, 상기한 훅(8)의 몸체와 연결되는 승강링크(15)와, 상기한 승강링크(15)를 작동시키는 승강모터(18)와, 상기한 훅(8)의 선회 작동을 제어하는 판스프링(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승강링크(15)에는 돌기(12)를 형성하여 혹(8)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링크(5) 몸체에는 스프링(102)을 설치하고, 상기한 작동간(6)에도 스프링(109)를 설치하여, 링크(5) 및 작동간(6)이 탄성적으로 작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링크(5)와 승강링크(15)를 가로 잘러 제어간(200)을 설치하되, 제어간(200)의 한 단부는 승강 가능하게 구성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한 판스프링(13)을 걸어 올릴 수 있게 걸이(20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편리한 및 다양한 자수 효과를 발휘한다.
잔디자수, 가는 코드사 작업, 장치

Description

자수 작업 장치{embroidery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 은 주요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자수기에 장착하여 작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은 잔디 자수 작업한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
도 7 은 잔디 자수 결과를 보여 주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 9 는 도 8 의 "e" 방향에서 본 요부 도면
도 10 은 훅(8)에 설치하는 링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은 링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는 링의 작동을 위한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기계에 의해 다양한 자수 효과를 나타내는 잔디 자수 및 가는 코드사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잔디 자수 및가는 코드사 효과를 나타 내기 위한 종래의 잔디 자수 및 가는 코드사 작업 장치를 사용할 경우, 자수 가공물 위에 천과 고무를 깔고 본드 칠하여 자수 작업 한 후 이를 커터 칼날을 이용하여 그 자수한 해당 부위 일정 높이를 절단하여 내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하여 왔다. 코드사 역시 종래에는 굵은 코드사 작업만 하여 왔으며 가는 코드사 작업은 불가능했다
이러한 종래 경우 그 작업 공수가 많이 들고 준비를 위한 절차와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매우 편리하게 잔디 자수 및 가는 코드사 작업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모터(1)와, 모터의 동력을 전달 받는 축(3)과, 축(3)과 연결되는 링크(5)와, 링크(5)와 하단에 연결되는 작동간(6)과, 작동간(6)과 연결되어 선회 작동하는 훅(8)과, 훅(8)을 장홈(10) 내에서 움직이게 제어하는 지지대(11)와, 상기한 훅(8)의 몸체와 연결되는 승강링크(15)와, 상기한 승강링크(15)를 작동시키는 승강모터(18)와, 상기한 훅(8)의 선회 작동을 제어하는 판스프링(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승강링크(15)에는 돌기(12)를 형성하여 혹(8)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링크(5) 몸체에는 스프링(102)을 설치하고, 상기한 작동간(6)에도 스프링(109)를 설치하여, 링크(5) 및 작동간(6)이 탄성적으로 작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링크(5)와 승강링크(15)를 가로 잘러 제어간(200)을 설치하되, 제어간(200)의 한 단부는 승강 가능하게 구성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한 판스프링(13)을 걸어 올릴 수 있게 걸이(20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훅(8)의 하단부에는 코드사공(208)이 형성된 돌출팁(207)을 갖춘 링(221)을 설치하고, 링(221)에는 벨트(225)를 설치하고, 이 벨트(225)는 모터의 의한 회전으로 작동되어, 링(221)이 시계방향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판스프링(13)은 훅(8)과 접촉하는 그 하단에 절곡된 형상의 절곡부(14)를 형성하여, 훅(8)의 선회 작동을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승강모터(18)에는 축(303)이 설치되고, 축(303)에는 아암(318)이 연결되며, 아암(318)은 레버(319)와 연결되며, 레버(319)는 결함홈(323)이 형성된 승강링크(15)와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구성하며, 레버(319)의 양단에는 벨트(225)가 연결되고, 벨트(225)는 링(221)과 연결되게 구성하여, 승강모터(18)의 작동으로 링(221)이 시계방향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360 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에는 축(3)이 연결되고, 이 축(3)에는 스프링(2)이 감겨 설치되어 있다. 축(3)에는 또한 아암(4)이 설치되고 이 아암(4)과 링크(5)가 연결되어 있고, 링크(5)에는 작동간(6)이 연결되어 있다. 작동간(6)은 고정축(7)에 고정되어 이 고정축(7)을 줌심으로 선회 작동가능하다
작동간(6)의 하단부에는 훅(8)이 설치된다. 훅(8)과 고정축(7) 사이에는 스 프링(9)이 연결된다. 훅(8)은 장홈(10)이 형성된 지지대(11)에서 장홈(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즉, 훅(8)은 돌기(12)를 갖춘 승강링크(15)와 연결되어 승강링크(15)가 승강 작동하면 장홈(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이 돌기(12)가 장홈(10)에서 벗어 나지 않고 장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훅(8)의 측부엔 절곡부(14)가 형성된 판스프링(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도 2를 참고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1)의 작동으로 축(3)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 아암(4)이 회전한다. 그러면 연결된 링크(5)가 당겨지고 그에 따라 고정축(7)을 중심으로 작동간(6)의 하단부가 도 2 에서 앞으로 밀어 준다. 그러면 훅(8)의 선단쪽 부위를 당겨주므로 축(8)은 돌기(12)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돌기(12)는 도 1 에 도시한 승강링크(15)에 형성된 것으로, 훅(8)의 몸체에 통공을 뚫어 연결한 것이다
도 2 의 작동된 상태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훅(8)이 지지대(11)에서 제껴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 및 2 에 도시한 축(3)에 설치된 스프링(2)과 고정축(7)에 설치한 스프링(9)의 탄성으로, 당겨진 링크(5)가 원위치로 내려가면 훅(8)이 돌기(12)를 축으로 삼아 도 3 에서 보듯이, "a" 방향으로 후퇴한다
다시말해 훅(8)의 걸림턱(17) 부위가 후퇴하여 판스프링(13)의 "b" 부위에 접촉하여 걸린다. 도 3에서 걸림턱(17)이 "b"에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링크(15)가 도 1 에 도시한 승강모터(18)의 작동으로 승강링크(15)가 하강하면 도 4 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승강링크(15)가 하강하면 승강링크(15)의 돌기(12)와 결합하고 있는 훅(8)이 함께 하강한다
하강할때, 걸림턱(17)이 판스프링(13)의 절곡부(19) 위치 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면, 판스링(13)에 걸린 상태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9)이 당기는 힘에 의해, 훅(8)의 하단부가 도 3 에서 "C" 방향으로 들어간다. 그렇게 들어 간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4 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지면 훅(8)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20)가 지지대(11)에서 도 4 와 같이 출현하였다고 도 1 과 같이 사라지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런 동작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지지대(11) 하단 즉 "d" 위치에서 재봉 바늘과 함께 나타나는 실을 낚아채어 안으로 가져가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상기한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을 이하,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종래의 자수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한 도면으로, 단지 설명을 위한 도면으로 정식으로 제 위치에 장착된 것이 아니다. 그 장착은 종래 자수기에 구조적인 병형을 주어서 적절히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 에서 보듯이, 도 4 의 장치를 뒤집으면, 지지대(11)와 고리(20)가 도 4 도면에서 반대 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자수 작동이 이루어진다
통상의 재봉 동작과 같이, 노루발(21)의 저면에는 자수 가공 대상물이 놓이 게 되고, 그 가공 대상물을 바로 위에 노루발(21)이 위치한다. 자수 작동이 이루어지면, 가공 대상물이 좌우, 전후 등과 같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자수실이 장착된 바늘(22)이 상하 승강 동작하면서 재봉과 같은 작동을 한다.
이때 바늘(22)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자수실에 대하여, 고리(20)가 지지대(11)에서 앞서 상술한 작동에 의거 들락거리면서, 자수실을 고리(20)로 걸어(감아) 지지대(11) 안쪽으로 가져갔다가 다시 놓아 주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하게 된다.
상술한 작동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자수실을 장착한 바늘(22)이 하강하여 가공 대상물을 뚫고 들어간 후, 다시 올라오면 고리(20)가 자수실(23)을 걸아 당겨 안으로 가져 간다. 이때 바늘(22)은 지지대(11) 위쪽에 위치하므로, 바늘(22)의 간섭을 받음 없이 자수실(23)을 걸어서 당길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바늘이 내려온다.
이와 같은 동작을 연속으로 행하면, 도 6 에서 보듯이, 고리(20)의 선단에 걸려 당져긴 상태로 재봉이 되어 버린 자수실(23)이 느슨하게 남은 상태로 고정되어, 자수실(23)이 자수가공물(24)의 표면 위로 돌출된 상태로 고리 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재봉하듯 자수실 재봉이 소정의 형상을 따라 이루어진 후, "a-a" 라인을 따라 일정 높이에서 잔디 깎듯이 자르면, 절단된 그 절단사(25)들에 의해, 도 7 과 같이, 돌출된 형태를 나타낸다. 즉, 마치 수작업으로 자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대한 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5)의 승강에 필요한 탄성을 링 크(5)의 몸체에 스프링(102)을 걸어 만든 구조이다
도 2 실시예에서는 축(3)에 설치한 스프링(2)과 훅(8)에 설치한 스프링(9)의 힘으로 링크(5)가 승하강 하게 만들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5) 하단이 작동간(6)을 밀도록 구성된다. 작동간(6)에는 연결구(106)가 돌출 형성되어, 이 연결구(106)에 대하여 고리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 링크(5)의 하단이 그 연결구(106)를 민다. 즉, 모터(1)의 작동으로 링크(5)를 밀면 링크(5)이 하단이 작동간(6)을 민다. 작동간(6)은 고정축(7)에 고정되어 그 고정축(7)을 중심으로 선회하다. 그러면 그와 연결된 훅(8)이 밀리고 훅(8)의 반대쪽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러한 동작은 앞선 예와 동일하다.
작동간(6)의 연결구(106)에는 스프링(109)이 연결되어 있어 작동간(6)이 밀린 후 탄성적으로 제 위치로 돌아올 수 있게 만들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스프링(13)의 후단에 인장스프링(113)을 설치하여 판스프링(13)의 후단이 항상 아래로 당겨지게 만들었다. 이와 같이 만든 이유는 훅(8)이 판스프링(13)에 대하여 걸리거나 해제되는 작동이 더욱 정확히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선, 제어간(200)을 추가로 설치한다
제어간(200)의 일단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만들고, 타단은 브라켓(201)에 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어간(200)의 몸체에는 통공(미도시)을 형성시켜 이 통공을 관통하여 링크(5)가 설치되고 승강링크(15)가 설치되는 위치에서는 그 위를 지나가게 설치된다.
도 8 의 "e" 방향에서 보면, 도 9 와 같은데, 제어간(200)에는 걸이(204)가 설치되어 있어서 제어간(200)을 들어올리면 걸이(204)가 판스프링(13)을 걸어서 들어 올리게 되어 있다. 판스프링(13)을 들어 올리면, 도 8 에서 판스프링(13)의 앞쪽이 앞으로 숙여진 상태 즉, 내려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훅(8)이 이 판스프링(13)에 걸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링크(5)를 작동시키면, 훅(8)의 선단부가 좌우로 흔들어 주는 것과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하면 굵은 라인을 자수한 것과 같은 등의 여러 효과를 나타 낼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훅(8)이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훅(8)을 "f" 방향에서 보면 통공(223)의 내경 아래로 톨기(222)가 형성되고 이 돌기(222) 외주에 링(221)을 끼워 넣는다. 링(221)에는 코드사공(208)이 형성된 돌출팁(207)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 링(221)의 외주에는 벨트(225)가 감겨 소형모터(226)이 의해 약 360도 각도 정도 좌우로 회전되게 만든다. 다시말해 소형 모터(226)가 원주상으로 약 360도 정도 우회전과 좌회전을 반복하면 그에 따라 링(221)이 좌,우로 흔들어 주듯이, 회전한다. 그러면 코드사공(208)도 그에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 진다
코드사공(208)에는 코드사가 공급되어 나온다.
상기 구성에 의한 실시예를 도 11 을 참고로 이하, 설명한다
바늘(도면의 간략화 및 설명을 위해 도 11의 도시에서 생략함)에서의 자수실(23)이 통상의 자수 작업이 행해진다
이때 훅(8)에의 돌출팁(207) 구멍에서는 코드사(206)가 공급되어 나온다. 코드사(206)의 공급은 바늘에 의해 재봉되는 자수부(210) 부위를 360도 회전하면서 가는 코드사를 가이드 한다
예를 들어, 도 11 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같이, 작업 대상물이 상부로 즉,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바느질이 이루어진다
삭제
그와 동시에 바늘 앞쪽에서 코드사(206)가 코드사공을 통하여 연속 공급된다. 이 공급되는 코드사는 바느질 하는 그 위치를 경유하게 만든다. 그리하여 훅(8)에 결합되어 있는 링(221) 좌우로 360도 회전하면서 가는 코드사가 바늘의 바느질하는 그 위치를 반드시 지나게 되므로 두꺼운 코드사(206)는 지그재그식으로 바늘과 자수실(23)에 의해 바느질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마치 두꺼운 자수실로 자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두껍지 않은 코드사(206) 일 경우엔 훅(8)에 결합되어 있는 링(221)의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코드사(206)가 바늘에 의해 재봉되지 않고 자수실(23)에 대하여 지그재그식으로 엮이는 식으로 고정될 것이다
즉, 자수실(23)이 바늘과 함께 내려와 재봉 될 때. 훅(8)에 결합되어 있는 원형링을 시계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360도 돌려주면 코드사(206)가 한번은 바늘의 우측으로 가고 한번은 바늘의 좌측으로 가는 식으로 코드사(206)가 공급되므로, 재봉되는 자수실(23)의 재봉 라인의 좌우로 코드사(206)가 마치 꼬아주는 형태가 이루어 진다. 그러므로 마치 긁은 자수실(23)로 자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도 11 에서 작업 대상물이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 진행하든지 가는코드사 자수작업이 가능하다. 즉, 도 11 에서 코드사(206)의 공급 위치는 훅(8)에 겹합되어 있는 링(221)이 360도 이상 회전하므로 가는 코드사가 어느 위치에 있든지 작업이 가능하다
이 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는, 도 10 에서 도시한 소형모터(226)를 작동시켜 링(221)을 약 360도 각도 정도로 회전시켜 위치 변경하면 앞선 작업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삭제
도 12 는 도 10 에 도시한 소형모터(226)를 없애고 도 1 에 도시된 승강모터(18)를 이용한 링(221)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모터(18)에는 모터와 연결된 축(303)이 있고 이 축(303)에는 아암(318)이 연결되는바, 이 아암(318)에는 레버(319)가 연결된다
레버(319)의 양단에는 벨트(225)가 여러 지지구(321)의 보조로 링(221)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모터(18)의 작동으로 아암(318)이 일정 각도 선화하면 레버(319)가 좌 또는 우로 요동 움직임이 발생한다. 그 좌,우 움직임은 벨트(225)를 당기고 미는 작동이 되므로 결국 링(221)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돌출팁(207)의 위치 변환을 시킬 수 있다
아암(318)은 승강링크(15)의 결합홈(323)에 결합되거나 해제가능하다. 결합되면 승강모터(18)에 의한 동력이 전달되어 승강링크(15)가 작동하여 자수 작동하지만, 도 12와 같이 링(221)의 선회가 필요할 경우엔, 그 승강링크(15)의 자수 작동을 멈추게 하고 이렇게 방향 전환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편리하게 잔디 자수 효과를 나타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코드사를 이용하여 매우 두꺼운 라인 형상의 자수한 효과를 나타 낼 수 도 있다.

Claims (7)

  1. 모터(1)와,
    모터의 동력을 전달 받는 축(3)과,
    축(3)과 연결되는 링크(5)와,
    링크(5)와 하단에 연결되는 작동간(6)과,
    작동간(6)과 연결되어 선회 작동하는 훅(8)과,
    훅(8)을 장홈(10) 내에서 움직이게 제어하는 지지대(11)와,
    상기한 훅(8)의 몸체와 연결되는 승강링크(15)와,
    상기한 승강링크(15)를 작동시키는 승강모터(18)와,
    상기한 훅(8)의 선회 작동을 제어하는 판스프링(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작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승강링크(15)에는 돌기(12)를 형성하여 혹(8)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작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링크(5) 몸체에는 스프링(102)을 설치하고, 상기한 작동간(6)에도 스프링(109)를 설치하여, 링크(5) 및 작동간(6)이 탄성적으로 작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작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링크(5)와 승강링크(15)를 가로 잘러 제어간(200)을 설치하되, 제어간(200)의 한 단부는 승강 가능하게 구성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한 판스프링(13)을 걸어 올릴 수 있게 걸이(20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작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훅(8)의 하단부에는 코드사공(208)이 형성된 돌출팁(207)을 갖춘 링(221)을 설치하고, 링(221)에는 벨트(225)를 설치하고, 이 벨트(225)는 모터의 의한 회전으로 작동되어, 링(221)이 시계방향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작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판스프링(13)은 훅(8)과 접촉하는 그 하단에 절곡된 형상의 절곡부(14)를 형성하여, 훅(8)의 선회 작동을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작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승강모터(18)에는 축(303)이 설치되고, 축(303)에는 아암(318)이 연결되며, 아암(318)은 레버(319)와 연결되며, 레버(319)는 결함홈(323)이 형성된 승강링크(15)와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구성하며, 레버(319)의 양단에는 벨트(225)가 연결되고, 벨트(225)는 링(221)과 연결되게 구성하여, 승강모터(18)의 작동으로 링(221)이 시계방향 및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작업 장치
KR1020060130608A 2006-12-20 2006-12-20 자수 작업 장치 KR100786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608A KR100786646B1 (ko) 2006-12-20 2006-12-20 자수 작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608A KR100786646B1 (ko) 2006-12-20 2006-12-20 자수 작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646B1 true KR100786646B1 (ko) 2007-12-21

Family

ID=3914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608A KR100786646B1 (ko) 2006-12-20 2006-12-20 자수 작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6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549B1 (ko) 2008-08-26 2009-04-24 김연호 잔디 타입 자수기용 절단장치
US11530502B2 (en) 2019-10-02 2022-12-20 Nike, Inc. Article with integral loop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925240B2 (en) 2019-10-04 2024-03-12 Nike, Inc. Article with fiber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rticle using an embroidery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8479A (en) 1981-06-26 1983-08-16 Fieldcrest Mills, Inc. Tufting machine with shiftable and indexing needle bars and method of tufting
KR200400782Y1 (ko) 2005-08-10 2005-11-09 김충식 자수용 코드사 공급장치
KR20070031256A (ko) * 2005-09-14 2007-03-19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코드 등을 스티치 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스티치 또는 누비질 기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8479A (en) 1981-06-26 1983-08-16 Fieldcrest Mills, Inc. Tufting machine with shiftable and indexing needle bars and method of tufting
KR200400782Y1 (ko) 2005-08-10 2005-11-09 김충식 자수용 코드사 공급장치
KR20070031256A (ko) * 2005-09-14 2007-03-19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코드 등을 스티치 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스티치 또는 누비질 기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549B1 (ko) 2008-08-26 2009-04-24 김연호 잔디 타입 자수기용 절단장치
US11530502B2 (en) 2019-10-02 2022-12-20 Nike, Inc. Article with integral loop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925240B2 (en) 2019-10-04 2024-03-12 Nike, Inc. Article with fiber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rticle using an embroidery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74245B (zh) 缝纫机的夹线装置的作业方法
US8256362B2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217940B1 (ko) 미싱에 있어서의 피봉제 부품의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KR100786646B1 (ko) 자수 작업 장치
JP5766405B2 (ja) ミシン
US4326474A (en) In-place bobbin winding mechanism for a sewing machine
US6973888B2 (en) Sewing machine and a needle threading device thereof
KR101866585B1 (ko) 미싱
JP2005144056A (ja) ミシン
JP2003326059A (ja) 針送りミシン
JPH0213495A (ja) スパンコール縫いミシンのスパンコール供給装置
JPH0327230B2 (ko)
GB2121447A (en) Embroidery stitch formation and device for a sewing machine for forming formation
US4813363A (en) Overlock sewing machine with mechanism for cutting broken threads
JP2002066184A (ja) ミシンの下糸巻取り装置
JP2013212171A (ja) ミシン
JPH05317560A (ja) ミシンのルーパー糸案内装置
JPS6111637B2 (ko)
KR200431368Y1 (ko) 미싱에 있어서의 피봉제 부품의 절단 장치
US4513672A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US20230212801A1 (en) Sewing apparatus
JPH0133009Y2 (ko)
JP2002102575A (ja) 下糸糸巻き装置
JPH0328960B2 (ko)
US8631750B2 (en)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