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623A -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 Google Patents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623A
KR20170069623A KR1020150177070A KR20150177070A KR20170069623A KR 20170069623 A KR20170069623 A KR 20170069623A KR 1020150177070 A KR1020150177070 A KR 1020150177070A KR 20150177070 A KR20150177070 A KR 20150177070A KR 20170069623 A KR20170069623 A KR 20170069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fabric
yarn
wat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소재
Priority to KR102015017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9623A/ko
Publication of KR20170069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06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베이스에 LM사와 고강력사를 이용하여 자수를 놓고 이를 열처리한 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미온수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열처리 시, 상기 밑실로 사용되는 LM사가 용융되어 주변 고강력사를 고착 및 고정시킴에 따라, 원하는 자수문양이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자수로 이루어진 원단자체를 가방, 지갑, 신발 갑피 등의 각 제품에 맞는 형태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가방, 지갑, 신발 갑피 등에 별도의 장식물이나 보강을 별도로 부착할 필요가 없어 각 제품의 생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품의 두께 및 무게를 감소시키면서도 해당 제품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음에 따라 외관상 미려함을 더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MANUFACTURING METHOD OF EMBROIDERY TEXTILE HAVING HIGH SHAPE STABILITY AND EMBROIDERY TEXTI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베이스에 LM(low melting yarn)사와 고강력사를 이용하여 자수를 놓고 이를 열처리한 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미온수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열처리 시, 상기 밑실로 사용되는 LM사가 용융되어 주변 고강력사를 고착 및 고정시킴에 따라, 원하는 자수문양이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자수로 이루어진 원단자체를 가방, 지갑, 신발 갑피 등의 각 제품에 맞는 형태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가방, 지갑 또는 각종 파우치와 같은 제품들은 시대적 유행에 따르는 패션 감각을 갖는 제품들로써, 직물 또는 합성수지 원단의 본체에 각종 부품 또는 장식물을 봉제 및 접착에 의해 부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품들 중 신발의 제조과정을 예로 들면 신발 갑피 원단의 외부에 각종 보강(back stay, fore stay, toe cap)을 덧대어 봉제한 다음, 다양한 형상의 장식물(문양이나 로고 등)을 접착시키는 과정을 거쳐 신발을 제조하게 되며, 가방이나 지갑과 같은 제품들의 경우에도 상기 신발의 제조과정과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발은 갑피 원단과 각종 보강 및 장식물 등의 부분품들이 각각 다른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공정이 복잡해지고 생산원가가 증가하게 되는 등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신발의 무게가 무거워짐에 따라 최근 신발제품이 경량화되고 있는 추세에 적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잡한 단계의 봉제 공정을 거쳐 신발의 갑피 부분에 복잡한 형태의 봉제선들이 형성됨으로써, 장기간 신발을 신을 경우에는 봉제선이나 또는 봉제선의 틈 사이에 흙, 먼지 등이 끼여 검게 변색되어 고가의 신발이 훼손되어 패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특히 제조과정에서도 다수의 봉제단계를 거침에 따라 봉제선에 의한 불량률이 매우 높아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핫멜트가 코팅된 원사와 섬유원사의 혼방(混紡)을 통해 원단을 직조(특허문헌 1)하거나 또는 핫멜트가 코팅된 원사만으로 원단을 직조(특허문헌 2)한 후 이를 신발 갑피 등의 베이스 원단에 무재봉으로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성 원단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1 및 2는 상기 핫멜트가 코팅된 원사에 의해 원단 자체에 접착성이 부여됨에 따라 고주파 또는 프레싱에 의해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베이스 원단에 무재봉으로 접착 및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 및 2의 경우, 베이스 원단에 의해서만 그 형태가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베이스 원단이 없을 경우 신발 갑피 등과 같은 제품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함에 따라 필수적으로 베이스 원단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특허문헌 1 및 2의 경우, 필수적으로 베이스 원단을 사용함에 따라 그 생산공정 및 생산비용 등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무게가 무거워지며 통기성 등이 미비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특허문헌 3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수용성 웨브에 자수를 놓고, 자수 작업 후에 상기 웨브를 물에 용해시켜 상기 자수 부분을 각종 직물자체로 사용(예를 들면 신발갑피 등)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3의 경우, 웨브의 용해과정에서 자수된 부분의 원사가 상호 고착 및 고정되지 못하여 흩트러지거나 그 배치위치가 틀어짐에 따라 원하는 자수문양을 형성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0490호 "접착성을 가지는 원단"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409호 "접착성을 가지는 장식용 원단"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68030호 "자수품의 제조 방법 및 추후에 자수를 놓기 위한 지지 웨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베이스에 LM사와 고강력사를 이용하여 자수를 놓고 이를 열처리한 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미온수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열처리 시, 상기 밑실로 사용되는 LM사가 용융되어 주변 고강력사를 고착 및 고정시킴에 따라, 원하는 자수문양이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자수로 이루어진 원단자체를 가방, 지갑, 신발 갑피 등의 각 제품에 맞는 형태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아울러, 가방, 지갑, 신발 갑피 등에 별도의 장식물이나 보강을 별도로 부착할 필요가 없어 각 제품의 생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품의 두께 및 무게를 감소시키면서도 해당 제품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음에 따라 외관상 미려함을 더할 수 있도록 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용성 베이스에 밑실로 사용되는 LM사와 윗실로 사용되는 고강력사를 이용하여 자수를 놓는 단계(S100); 상기 자수가 놓여진 수용성 베이스를 열처리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수용성 베이스를 미온수로 용해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성 베이스는,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LM사는 폴리에스터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 코팅사 또는 폴리우레탄 핫멜트 코팅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강력사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비스코스레이온, 아라미드 또는 탄소섬유사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S200 단계는, 자수가 놓여진 수용성 베이스를 90 ~ 180℃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베이스에 LM사와 고강력사를 이용하여 자수를 놓고 이를 열처리한 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미온수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열처리 시, 상기 밑실로 사용되는 LM사가 용융되어 주변 고강력사를 고착 및 고정시킴에 따라, 원하는 자수문양이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자수로 이루어진 원단자체를 가방, 지갑, 신발 갑피 등의 각 제품에 맞는 형태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가방, 지갑, 신발 갑피 등에 별도의 장식물이나 보강을 별도로 부착할 필요가 없어 각 제품의 생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품의 두께 및 무게를 감소시키면서도 해당 제품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음에 따라 외관상 미려함을 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의 공정별 실물사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성 베이스(10)에 밑실로 사용되는 LM사와 윗실로 사용되는 고강력사를 이용하여 자수(20)를 놓는 단계(S100)와, 상기 자수(20)가 놓여진 수용성 베이스(10)를 열처리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수용성 베이스(10)를 미온수로 용해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100 단계는 수용성 베이스(10)에 밑실로 사용되는 LM사와 윗실로 사용되는 고강력사를 이용하여 자수(20)를 놓는 단계로써, 상기 '밑실'이란, 자수(20)가 놓이는 공정에서 표면으로 노출되지는 않고, 윗실로 사용되는 고강력사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실을 의미하고, '윗실'이란 표면에 노출되어 실제로 문양을 표출하는 실을 의미하며, 상기 밑실과 윗실은 통상 공지된 자수 장치(예를들면 다두식 자수기)에 있어서 작업자의 설정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성 베이스(10)는, 대표적인 수용성 물질인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며, 상기 LM사는 폴리에스터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 코팅사 또는 폴리우레탄 핫멜트 코팅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강력사는 5 ~ 7 cN/dtex(강력 단위) 이상의 강도를 갖는다는 전제하에서,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비스코스레이온, 아라미드 또는 탄소섬유사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각 재료는 이미 공지된 원사 또는 수지의 종류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S200 단계는, 상기 자수(20)가 놓여진 수용성 베이스(10)를 열처리하는 단계로써, 상기 열처리를 통해 LM사가 용융되어 주변 고강력사를 고착 및 고정시킴에 따라, 원하는 자수문양이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열처리는 LM사가 통상 90 ~ 180℃의 융점을 가지는 것을 고려하여 90 ~ 180℃에서 열처리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고착 및 고정력이 미비해지거나 또는 최종제품에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이는 상기 LM사를 이루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수용성 베이스(10)를 미온수로 용해시키는 단계로써, 상기와 같이 자수(20) 및 열처리된 수용성 베이스(10)를 미온수(약 10 ~ 40℃)를 이용해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자수(20)부분만이 원단으로 남게 되고, 상기 원단자체가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가방, 지갑, 신발 갑피 등의 각 제품에 맞는 형태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원단에는 자수문양이 형성됨에 따라 가방, 지갑, 신발 갑피 등에 별도의 장식물이나 보강을 별도로 부착할 필요가 없어 각 제품의 생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품의 두께 및 무게를 감소시키면서도 해당 제품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외관상 미려함을 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수용성 베이스
20 : 자수

Claims (6)

  1.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용성 베이스(10)에 밑실로 사용되는 LM사와 윗실로 사용되는 고강력사를 이용하여 자수(20)를 놓는 단계(S100);
    상기 자수(20)가 놓여진 수용성 베이스(10)를 열처리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수용성 베이스(10)를 미온수로 용해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베이스(10)는,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M사는,
    폴리에스터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 코팅사 또는 폴리우레탄 핫멜트 코팅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력사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비스코스레이온, 아라미드 또는 탄소섬유사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는,
    자수(20)가 놓여진 수용성 베이스(10)를 90 ~ 180℃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KR1020150177070A 2015-12-11 2015-12-11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KR20170069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070A KR20170069623A (ko) 2015-12-11 2015-12-11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070A KR20170069623A (ko) 2015-12-11 2015-12-11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623A true KR20170069623A (ko) 2017-06-21

Family

ID=5928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070A KR20170069623A (ko) 2015-12-11 2015-12-11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96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4105A (zh) * 2019-03-06 2019-04-26 刘双武 一种有布立体无缝儿绣衣及其制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4105A (zh) * 2019-03-06 2019-04-26 刘双武 一种有布立体无缝儿绣衣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6934B1 (en) Fiber-bound engineered materials formed utilizing carrier screens
TWI623279B (zh) 具有含耐久的撥水性之編織紡織品或不織紡織品的鞋類物件及其製作方法
CN110958846B (zh) 具有刺绣带段的物品
US7191720B2 (en) Method of manufacture for stitchless garment
CN106174880B (zh) 用鞋领衬里制造鞋类
CN106174840B (zh) 用平坦样式鞋面制造鞋类
CN110431000A (zh) 使用区域性垫料形成的纤维结合工程化材料
KR101634333B1 (ko) 횡편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표면 몰딩 방법
CN106174879B (zh) 用原点制造鞋类
CN112512367B (zh) 具有热结合的带结构的物品及其制造方法
US20200008512A1 (en) Fiber-Bound Engineered Materials Formed Using Element Scrims
CN106174841B (zh) 利用预切割制造鞋类
KR20150117241A (ko) 바느질 구멍을 메우는 바느질용 실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CN101433376A (zh) 防寒服的制作方法
KR20170069623A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KR101651196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갑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갑피
KR200479123Y1 (ko)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KR100351508B1 (ko) 불규칙한 모양의 주름이 형성된 원단 및 의류의 제조방법
US20070113767A1 (en) Method of producing functional embellished stitching and the product thereof
KR102635064B1 (ko) 일체형 루프가 있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ES2745978T3 (es) Método para fabricar productos textiles ensamblados
CN106757886A (zh) 一种以绒毛面料作为底料的刺绣方法
Yick et al. Sew-free technologies for intimate apparel
KR101891691B1 (ko) 자수가 형성된 원단
KR101848372B1 (ko) 횡편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몰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