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065B1 - 섬유 패턴이 있는 물품 및 자수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 패턴이 있는 물품 및 자수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065B1
KR102635065B1 KR1020227010109A KR20227010109A KR102635065B1 KR 102635065 B1 KR102635065 B1 KR 102635065B1 KR 1020227010109 A KR1020227010109 A KR 1020227010109A KR 20227010109 A KR20227010109 A KR 20227010109A KR 102635065 B1 KR102635065 B1 KR 10263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ile sheet
needle
fibers
textil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633A (ko
Inventor
패니 융 호
길레르모 라파엘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2005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16Ornamentation
    • A43D8/18Ornamentation by punching or perforating
    • A43D8/20Di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1/00Non-woven pile fabrics
    • D04H11/08Non-woven pile fabrics formed by creation of a pile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non-woven fabric without addition of pile-forming material, e.g. by needling, by differential shrink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4Different layers of the sam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Laminated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02Cutting-out
    • A43D8/04Stamping-out
    • A43D8/06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having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e.g. natural fibres, prestretched or fibrillated artificial fibres
    • D04H1/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having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e.g. natural fibres, prestretched or fibrillated artificial fibres and hardened by felting; Felts or felted products
    • D04H1/16Laminated felts in which the separate layers are united by a felting proces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200/00Machines or methods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 A43D2200/10Fully automated machines, i.e. machines working without human inter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200/00Machines or methods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 A43D2200/40Multitool machines, e.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tools or working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200/00Machines or methods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 A43D2200/50Machines using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2 텍스타일 시트에 대해 제1 텍스타일 시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제1 텍스타일 시트 및 제2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게 자수기의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니들은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의 섬유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도록 강제한다. 상기 섬유는 그 섬유가 강제 통과되는 제1 텍스타일 시트의 외부측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말단부를 가질 수 있다. 방법은 섬유를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제2 측으로부터 반대측까지 강제로 통과시켜 그 반대측 상에 상기 섬유의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신발 갑피 등 다양한 물품이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 패턴이 있는 물품 및 자수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본 출원은 2019년 10월 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910545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전체적으로,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섬유를 갖는 텍스타일 시트를 구비한 물품 및 자수기를 이용하여 그러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발 갑피 및 의류와 같은 많은 물품은 동일 또는 상이한 재료의 여러 층을 포함한다. 각 층은 일부 예에서 상이한 기능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조업자는 고품질의 내구성 있는 물품을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려 한다.
본원에 기술된 도면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질적으로 도식적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보다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밑에 있는 제2 텍스타일 시트로부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섬유를 갖는 제1 텍스타일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2 텍스타일 시트-이로부터 섬유가 도 1의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연장함-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물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자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텍스타일 시트로 물품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은 중간 제조 단계에서의 도 1 및 도 2의 텍스타일 시트의 부분 단면도로서, 본원에 개시된 도 4의 방법에 따른 물품 제조를 보여준다.
도 6은 중간 제조 단계에서의 도 1 및 도 2의 텍스타일 시트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4의 방법에 따라, 제2 텍스타일 시트로부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섬유를 밀어내는 자수기의 가시형 니들을 보여준다.
도 7은 중간 제조 단계에서의 도 1 및 도 2의 것과 같은 텍스타일 시트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4의 방법에 따른 물품 제조를 보여준다.
도 8은 중간 제조 단계에서의 도 7의 텍스타일 시트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4의 방법에 따라, 제2 텍스타일 시트로부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섬유를 당기는 자수기의 가시형 니들을 보여준다.
도 9는 물품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중간 제조 단계에서의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9의 방법에 따른 물품 제조를 보여준다.
도 11은 중간 제조 단계에서의 도 10의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9의 방법에 따라,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플리스 측에서 섬유를 밀어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반대측의 외측으로 연장시키는 자수기의 가시형 니들을 보여준다.
도 12는 중간 제조 단계에서의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9의 방법에 따른 물품 제조를 보여준다.
도 13은 중간 제조 단계에서의 도 10의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9의 방법에 따라,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플리스 측에서 섬유를 밀어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반대측의 외측으로 연장시키는 자수기의 가시형 니들을 보여준다.
도 14는 도 1 및 도 2의 텍스타일 시트로 형성된 물품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4의 물품의 외측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물품의 바닥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2 텍스타일 시트-이로부터 섬유가 도 18의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연장함-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밑에 있는 제2 텍스타일 시트로부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격자무늬 패턴(plaid pattern)으로 연장하는 섬유를 갖는 제1 텍스타일 시트의 평면도이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물품은 새로운 방식으로 자수기를 이용하여,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가시형 니들(barbed needle)로 섬유가 텍스타일 시트를 강제 통과되는 텍스타일 시트 상에 섬유 패턴을 생성한다. 상기 방법 및 물품은 섬유로 복잡한 패턴을 만들 수 있도록 해준다.
한 가지 예에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2 텍스타일 시트에 대해 제1 텍스타일 시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 및 제2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게, 자수기의 니들 구동부에 의해 지지되는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니들은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의 섬유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섬유가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도록 강제한다. 상기 섬유는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의 외부측(external side)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말단부(terminal end)를 가질 수 있다.
단일 니들만이 상기 니들 구동부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섬유의 소정 패턴은, 니들 클러스터가 니들 구동부에 의해 함께 지지되고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동시에 구동되는 경우보다 더 정확하고, 더 미세한 디테일을 가질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다수의 니들 구동부가 사용될 수 있고, 각각은 별개의 단일 니들을 구동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중 니들 구동부를 사용하면 하나의 니들 구동부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짧은 시간에 상기 전체의 소정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각 니들 구동부에서, 단일 니들만 구동되어 패턴의 미세한 디테일을 보장한다.
한 가지 구현예에서, 단일 니들은 니들의 선단을 향해 연장하는 가시(barbs)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notched shaft)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구현예에서,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면,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의 섬유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밀어내어진다. 대조적으로,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단일 니들은 니들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시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면,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의 섬유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당겨진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 상에 상기 소정 패턴의 아우트라인을 스티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는 것은 상기 아우트라인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리 스티칭된 아우트라인은 예컨대 기계 작업자가 니들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그리고 니들이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완전히 자동으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 소정 패턴을 달성하기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니들은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섬유를 밀거나 당기는 가시에 대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니들은, 스티칭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면서 단일 니들이 왕복하게 되도록 언스레드(unthread)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텍스타일 시트일 수 있는 2개의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는 편물 층(knit layer)일 수 있고,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는 펠트(felt)일 수 있거나, 텍스타일 시트 둘 모두 펠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시트는 가죽이고, 제2 시트는 펠트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일 텍스타일 시트만이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측 및 이 제1 측과는 반대쪽인 제2 측을 갖는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자수기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은 예컨대 플리스 측(fleece side)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자수기의 니들 구동에 의해 지지된 단일 니들을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왕복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니들은 상기 제2측의 섬유가 상기 제1 측에서 소정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제2 측의 섬유를 상기 제1 측으로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게 강제한다. 상기 섬유는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제1 측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말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일 니들은, 스티칭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면서 상기 단일 니들이 왕복하게 되도록 언스레드될 수 있다.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사용하든, 2개의 텍스타일 시트를 사용하든, 또는 그렇지 않든, 상기 측-이로부터 섬유가 강제로 반대쪽 시트 또는 측으로 통과하여 연장함-에는 상기 섬유가 강제로 통과되는 디보싱 처리된 영역(debossed area)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디보싱 처리된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은 비교하여 엠보싱 처리된(embossed)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단일 텍스타일 시트 실시예에서, 상기 단일 니들은 그 니들의 선단을 향해 연장하는 가시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면, 상기 제2 측의 섬유가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제1 측으로 밀어내어진다. 별법으로서, 상기 단일 니들은 상기 니들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시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면 상기 제2 측의 섬유가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측으로 당겨진다. 상기 가시가 상기 단일 니들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기 전에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상기 제1 측에 소정 패턴의 아우트라인을 스티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는 것은, 상기 제2 측의 섬유가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당겨지고 상기 제1 측 상의 아웃라인 내에 상기 소정 패턴을 표시하도록 상기 아웃라인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물품은 텍스타일 시트의 내부측으로부터 그 내부측과는 반대쪽인 텍스타일 시트의 외부측의 외측으로 배치된 말단부까지 텍스타일 시트를 통해 연장하는 섬유를 갖는 텍스타일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소정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클러스터의 니들이 아니라) 단일 니들이 니들 구동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상기 패턴은 매우 미세한 디테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텍스타일 시트는 부직 텍스타일일 수 있고, 상기 패턴은 하나 이상의 부분을 가질 수 있는데, 이 부분의 폭은 상기 패턴이 그 부분에서 니들의 단일 구동부만을 갖는다면 단일 니들의 직경과 동일(예컨대, 약 0.5 밀리미터)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텍스타일 시트의 내부측은 플리스 측이고, 상기 섬유는 상기 플리스 측으로부터 상기 텍스타일 시트의 플리스된 섬유이다. 따라서, 일측 상의 패턴과 반대측 상의 플리스에는 단일 텍스타일 시트가 제공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외부측에서 연장하는 섬유를 갖는 상기 텍스타일 시트는 외부 텍스타일 시트이고, 상기 물품은 상기 외부 텍스타일 시트의 내부측에 대해 배치된 내부 텍스타일 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상기 내부 텍스타일 시트로부터 상기 외부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섬유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 텍스타일 시트 및 내부 텍스타일 시트는 펠트 시트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외부 텍스타일 시트는 편물 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시트는 격자 무늬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외부 시트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상기 내부 시트의 섬유는 상기 외부 시트의 외부측에 상기 격자 무늬 패턴을 표시한다.
한 가지 양태에서, 상기 물품은 유아용 부티(infant bootie)와 같은 신발류 갑피일 수 있다. 신발류 갑피 및 기타 착용가능한 물품은, 오로지 섬유를 제공하는 추가 층을 제공-이는 비용, 강성 및 부피를 증가시킴-하는 일이 없이, 물품의 구조적 기능(예컨대, 신발류 갑피의 외부 층 및 내부 층)을 제공하는 텍스타일 시트(들)를 이용하여 다양한 패턴의 미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따른 제조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이점 및 기타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질 때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바로 알 수 있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요소를 유사한 참조부호로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도 4에 나타낸 제조 방법(100)에 따른 중간 제조 단계의 물품(10)의 평면도이다. 완성된 상태의 물품(10)은 도 14 내지 도 16에서 유아용 부티인 것으로 구성된 신발류 물품으로서의 물품(10A)으로서 나타내었다. 다른 예에서, 블랭킷과 같은 물품은 완제품으로서 물품(10)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기타 신발류 물품, 의류 물품, 및 백팩, 지갑 등과 같은 캐리 백을 포함하는 많은 상이한 물품이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물품(10)은 도 1에 도시된 제1 텍스타일 시트(12)와, 도 2에 도시된 제2 텍스타일 시트(14)를 포함한다. 텍스타일 시트(12, 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텍스타일 시트(12)의 내측(16)이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내측(18)에 대해 위치되도록 적층된다. 제1 텍스타일 시트(12)는 또한 외부 시트 또는 외부 텍스타일 시트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텍스타일 시트는 내부 시트 또는 내부 텍스타일 시트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서, 밑에 있는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섬유(20)는 섬유(20)의 말단부(24)(도 5 및 도 6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가 제1 텍스타일 시트(12)의 외부측(22)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그 외부측에서 노출되도록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통과하여 연장하여, 도 1에 도시한 소정 패턴을 구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텍스타일 시트(14)는 제1 텍스타일 시트(12)보다 더 어두운 색상이어서,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통과하여 연장하고 제1 텍스타일 시트(12)의 외부측(22)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섬유(20)는 제1 텍스타일 시트(12)는 도 1에 도시된 더 어두운 텍스처 영역(textured area)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텍스타일 시트(14)는 제1 텍스타일 시트(12)보다 더 밝을 수 있다. 추가로, 텍스타일 시트(12 및 1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 초기에 무지색(solid color)이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텍스타일 시트(12, 14)는 이미 직조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이한 색상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어,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섬유는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복수의 색상일 수 있다.
도 2에서, 섬유(20)가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강제 통과하게 되는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외부측(23)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텍스타일 시트(12)의 일부가 구동된 가시형 니들(48)에 의해 생성된 보어를 통해 약간 보인다면, 주변 영역과 약간 다른 밀도를 갖는 것처럼 보일 수 있거나(예컨대, 디보싱 처리된 것처럼 보일 수 있음) 주변 영역과 다른 색상을 갖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가시형(barbed)" 니들은, 외표면에 가시를 생성하는 돌출부를 갖는 니들뿐만 아니라, 가시를 생성하는 돌출부를 갖는 니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시는 니들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거나, 대신 니들의 노치의 단부에 각진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텍스타일 시트(12, 14)는 부직 텍스타일일 수 있다. 텍스타일 시트(12, 1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펠트 재료일 수 있다. 펠트 재료는 반대쪽 시트의 외부측을 통과하여 연장하여 그 외부측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섬유(예컨대, 제1 텍스타일 시트(12)의 외부측(22)에 유지되는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섬유(20))를 제공할 수 있다. 텍스타일 시트(12)의 밀도 및 섬유(20)의 길이는 섬유(20)가 제 위치에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물품(10A)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더라도, 섬유(20)는 제2 텍스타일 시트(14)를 향해 다시 그 시트를 통과하여 또 제1 텍스타일 시트(12)로부터 미끄러져 빠져나가지 않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서로 다른 스티칭(S1, S2, S3, S4) 영역은 섬유(20)에 의해 만들어진 소정 패턴이 배치되는 형상의 아우트라인을 구축한다. 섬유(20)는 스티칭(S1, S2, S3, S4)의 아우트라인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영역 내에서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강제 통과하게 되어 도 1의 어두운 영역으로 나타낸 소정 패턴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패턴은 본원에 기재한 바와 같은 텍스타일 시트(12, 14 또는 312)를 통과하여 가시형 니들(들)(48 또는 48A)을 구동하는 것의 원하는 결과인 의도된 패턴이라는 점에서 “소정 패턴”이고, 컨트롤러(50)가 가시형 니들(들)(48 또는 48A) 및 텍스타일 시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자수기(44)의 저장된 프로그램(52)로부터 얻어지는 결과일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일반적으로 스티칭(S1, S2, S3 및 S4)의 각 아우트라인 내에서 P1, P2, P3 및 P4로서 나타낸다. 스티칭(S1, S2, S3, S4)에 의해 생성된 아우트라인은 텍스타일 시트(12, 14)로부터 형성될 물품(10A)의 상이한 부분이고, 내측 부분(medial side portion)(28), 외측 부분(lateral side portion)(30), 텅 부분(tongue portion)(32) 및 바닥 부분(34)을 포함한다. 이들 부분(28, 30, 32, 34)은 스티칭(S1, S2, S3, S4)의 각 아우트라인의 바로 바깥쪽으로 절단하여, 조립된 텍스타일 시트(12, 14)로부터 절단되고, 서로 봉합되어 도 14 내지 도 16의 신발류 물품을 형성한다(신발류 물품(10A)에 추가된 레이스(36), 시임 스티칭(seam stitching)에 사용되는 스레드(38) 및 뒤꿈치 당김 탭(40)은 제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20)는 각각의 부분(28, 30, 32, 34)에서 상이한 특정 소정 패턴(P1, P2, P3, P4)으로 배열된다. 물품(10A)을 제조하는 방법(100)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자수기(44)와 같은 자수기가 이용된다. 자수기(44)에는 (니들 구동부(46) 상의 클러스터의 다중 니들보다는) 텍스타일 시트(12, 14)를 통과하여 단일 가시형 니들(48)을 지지하고 구동하는 니들 구동부(46)가 장착되어 있다. 자수기(44)는 다수의 니들 구동부(46)를 가질 수 있고(예컨대, 12개의 니들 구동부(46)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각 니들 구동부(46)가 단일의 가시형 니들(48)만을 지지하고 구동한다. 가장 우측에 있는 니들 구동부(46)와 가시형 니들(48)만이 도 3에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니들 구동부(46)마다 단일 가시형 니들(48)이 구비된 자수기(44)를 사용하면, 펠트 기계(felting machine)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이 니들 구동부(46)에서 니들 클러스터가 사용되는 것보다 더 미세한 디테일(예컨대, 정밀하고 치수적으로 작고 또는 얇은 디테일)을 갖는 섬유(20)의 소정 패턴을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텅 부분(32)의 소정 패턴(P3)은 로고의 글자 등의 글자를 미세한 디테일로 나타낸다. 바닥 부분(34)의 소정 패턴(P4)은 밑창 구조의 홈을 나타내는 장식용 곡선을 미세한 디테일로 나타낸다. 한 가지 예에서, 텅 부분(32)의 각각의 문자 및/또는 바닥 부분(34)의 각각의 홈은 가시형 니들(48)의 샤프트(70)의 직경과 같이 작은 폭(W)(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됨)을 가질 수 있다. 텍스타일 시트(12, 14)를 통과하는 단일 가시형 니들(48)의 각각의 왕복에서,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다중 섬유(20)가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강제 통과하게 될 수 있지만, 단일 가시형 니들(48)의 왕복당 강제 통과되는 섬유(20)의 수는 펠트 기계의 여러 가시형 니들에 의해 강제 통과되는 수에 비해 훨씬 적고,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디테일은 더 미세하게 된다.
도 3은 각각 단일 가시형 니들(48)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니들 구동부(46)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52)이 저장된 컨트롤러(50)가 장착된 대표적인 자수기(44)를 도시한다. 컨트롤러(50)는, 하나 이상의 니들 구동부(46)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버튼(54)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6)과 같은 입력 장치에 액세스하는 작업자에 의해 생성된 전자 또는 무선 신호를 통해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섬유(20)의 소정 패턴(P1, P2, P3, P4)을 보다 신속하게 부여하기 위해 다수의 니들 구동부(46)가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별법으로서, 소정 패턴(P1, P2, P3, P4)은 여러 니들 구동부(46) 중 하나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자수기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프 또는 후프형성(hooping) 시스템이 적층된 텍스타일 시트(12, 14)에 커플링될 수 있고, 구동되어 반복적으로 종방향으로(예컨대, 위아래로) 진동하는 가시형 니들(48)에 대해 횡방향으로 텍스타일 시트(12, 14)를 이동시키는 자수기(44)의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58) 상에 안착할 수 있다. 자수기(44)는 실(62)이 자수기(44)에 의해 니들 구동부(46) 상의 니들에 라우팅될 때 스풀(6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실(62) 등을 이용하여 니들 구동부(46)를 통해 자수하도록 동작 가능하지만, 어떤 실도 방법(100)을 수행할 때 가시형 니들(들)(48)에 라우팅되지 않아, 사용된 가시형 니들(들)(48)은 스레드리스(threadless)라 지칭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자수기(44)를 이용하여 물품(10A)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10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100)은 제2 텍스타일 시트(14)에 대해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위치시키는 단계(102)(예컨대, 텍스타일 시트(12, 14)를 서로 위에 적층함으로써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내측(18)에 대해 제1 텍스타일 시트(12)의 내측(16)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2)에서 텍스타일 시트(12, 14)를 위치시키는 것은,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적층된 텍스타일 시트(12, 14) 주위에 자수 후프 또는 프레임(도시 생략)을 배치하여 이들 시트를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된 텍스타일 시트(12, 14)는 자수기(44)의 프레임(58) 상에 위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100)은 최종 소정 패턴(P1, P2, P3 및 P4)의 윤곽을 그리는 스티치(S1, S2, S3 및 S4)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텍스타일 시트(12) 상에 소정 패턴의 아우트라인을 봉합하는 단계(104)를 포함한다. 스티치(S1, S2, S3, S4)는 적층된 텍스타일 시트(12, 14) 모두를 통과하여 연장하며, 가시형 니들(48)이 아닌 자수기(44)의 나사형 니들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단계 104는 단계(102) 이후에 그리고 시트가 프레임(58) 상에 배치된 후에 행해진다. 별법으로서, 아우트라인의 스티칭은 적층된 텍스타일 시트(12, 14)를 자수기(44)의 프레임(58) 상에 배치하기 전에 별도의 기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방법(100)은 제1 텍스타일 시트(12) 및 제2 텍스타일 시트(14)를 통과하게 자수기(44)의 가시형 니들(48)을 왕복시키는 단계(106)로 이동하는데, 가시형 니들(48)은 내부 텍스타일 시트(예컨대, 제2 텍스타일 시트)의 섬유(20)가 외부 텍스타일 시트(예컨대,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통과하도록 강제한다. 섬유(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텍스타일 시트(12)의 외부측(22)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말단부(24)를 갖는다. 단일 가시형 니들(48)을 왕복시키는 것은 스티치(S1, S2, S3, S4)의 아우트라인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우트라인(S1, S2, S3 및 S4)은,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통과하여 당겨진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섬유(20)가 제1 시트 내의 패턴(P1, P2, P3 및 P4)을 표시하도록 소정 패턴(P1, P2, P3 및 P4) 각각의 외부 경계의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자수기(44)를 동작시키는 작업자를 보조할 수 있다. 별법으로서, 컨트롤러(50)에 저장된 프로그램(52)이, 스티칭된 경계가 이 목적에 유용하지 않지만 장식 목적 및/또는 후속 절단 단계 안내용으로 포함될 수 있는 정도로, 가시형 니들(들)(48)의 이동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물품(10A)에 대한 단계(106)를 도시한다. 적층된 텍스타일 시트(12, 14)는 제2 텍스타일 시트(14)가 구동된 가시형 니들(48)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시형 니들(48)은 가시형 니들(48)의 선단(74)을 향해 연장하는 가시(72)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70)를 갖고 있다. 섬유(20)는 가시(72)에 걸리고, 가시형 니들(48)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시형 니들(48)과 함께 강제 이동된다. 가시형 니들(48)이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면, 섬유(20)는 가시(72)로부터 해제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단계(106)는 가시형 니들(48)을 왕복시켜 화살표 A 방향으로 구동된(예컨대, 텍스타일 시트(12, 14)를 향해 하측으로) 가시형 니들(48)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시트(예컨대,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통과하여 상부 시트(예컨대,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섬유(20)를 밀어내는 하위 단계(108)를 포함한다. 이어서, 가시형 니들(48)은 적층된 텍스타일 시트(12, 14)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어서, 적층된 텍스타일 시트(12, 14)는 왕복하는 가시형 니들(48)의 구동 사이클 사이에서 가시형 니들(48) 및 니들 구동부(46)에 대해 화살표 B 방향으로 병진이동한다. 따라서, 가시형 니들(48)은, 스티칭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면서 가시형 니들(48)이 왕복하게 되도록 언스레드될 수 있다.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외부측(23)에서 스티칭(S1-S4)인 것으로 보이는 소정 패턴(P1-P4)의 미리 스티칭된 아우트라인은, 소정 패턴(P1, P2, P3, P4)을 형성하는 섬유(20)가 자수기(44)에서 니들 구동부(4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아래로 향하고, 도 3의 사시도와 같이, 작업자의 관점에서 쉽게 보이지 않음에 따라, 예컨대 (저장된 프로그램(52)에 따라 완전히 자동으로 이동되지 않는다면) 기계 작업자가 가시형 니들(48)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구현예에서. 물품(10)은 니들 구동부(46)당 단일 가시형 니들(48A)을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여기서 단일 가시형 니들(48A)은 가시형 니들(48A)의 선단(7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시(72A)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70A)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섬유(20)는 니들(48A)이 도 8의 화살표 C 방향으로(예컨대, 텍스타일 시트(12, 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시형 니들(48A)에 걸려 당겨지고, 단일 가시형 니들(48A)을 왕복시키면,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섬유(20)가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통과하여 당겨지게 된다(예컨대, 먼저 가시형 니들(48A)을 화살표 A 방향으로 구동하고, 이어서 화살표 C 방향으로 인출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단계(102)에서 텍스타일 시트(12, 14)를 위치시키는 것은,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반대 배향으로, 가시형 니들(48A) 및 니들 구동부(46)에 인접하게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예컨대, 제1 텍스타일 시트(12)는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상부에 적층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구현예에서, 단계(106)는, 단일 가시형 니들(48A)를 왕복시켜, 니들이 화살표 C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시트(예컨대,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섬유(20)를 상단 시트(예컨대,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통과하여 잡아당기는 하위 단계(110)를 포함한다. 적층된 텍스타일 시트(12, 14)는 왕복하는 가시형 니들(48A)의 왕복(본원에서 구동 사이클이라고도 한다) 사이에서 가시형 니들(48A) 및 니들 구동부(46)에 대해 화살표 B 방향으로 병진이동한다. 가시형 니들(48A)은, 섬유(20)가 제1 텍스타일 시트(12)의 외부측(22)에 패턴(P1, P2, P3, P4)을 표시하도록 도 4의 방법(100)에 따라 섬유(20)를 제2 텍스타일 시트(14)로부터 제1 텍스타일 시트(12)를 통과하여 잡아당긴다.
단계(106)에 이어서, 상기 방법(100)은 적층된 텍스타일 시트(12, 14)를 자수기(44)로부터 제거하는 단계(112)로 진행한다. 블랭킷과 같은 일부 물품의 경우, 상기 방법(100)은 단계(112)에서 종료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의 신발류(10A)와 같은 다른 물품의 경우, 상기 방법(100)은 적층된 텍스타일 시트(12, 14)로부터 부분(28, 30, 32 및 34)을 절취하는 단계(114)로 진행한다. 절취는 각각의 부분(28, 30, 32, 34)에 대한 스티칭(S1, S2, S3, S4)의 바로 외부를 따라 행해질 수 있다. 구멍(59)도 14 및 15 참조) 또한 도 14의 레이스(36)에 대해 절취되거나 펀칭될 수 있다.
일단 절취되면, 상기 방법(100)은 단계(116)로 진행하고, 부분(28, 30, 32, 34)은 신발류 물품(10A)을 형성하도록 함께 스티칭된다. 예컨대, 내측 부분(28)은, 시임(83)를 형성하도록(도 8 참조) 각각의 상측 에지(79, 81)(도 2 참조)를 따라 그리고 후측 시임(85)(그 상부가 도 14에 도시됨)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후측 에지(66, 68)(도 1 참조)를 따라 외측 부분(30)에 스티칭된다. 텅 부분(32)은 그 하측 에지(71)에서, 시임(83) 근처의 부분(28, 30)의 내측에 스티칭된다. 내측 및 외측 부분(28, 30)의 각각의 하측 에지(73, 75)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38)로 바닥 부분(34)에 스티칭된다. 뒤꿈치 당김 탭(40)은 시임(85) 부근의 내측 및 외측 부분(28, 30)에 스티칭될 수 있다. 레이스(36)는 구멍(59)을 통과하여 묶일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텍스타일 시트(14)의 섬유(20)의 소정 패턴(P1-P4)은, 부분(28, 30, 32, 34)이 신발류 물품(10A)의 외부에서, 절취된 제1 텍스타일 시트(12)의 외부측(22)과 배치됨에 따라, 신발류 물품(10A)의 외부에서 볼 수 있다.
도 9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물품(310)을 제조하는 다른 예시적인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물품(310)은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만을 포함한다. 도 10은 중간 제조 단계에서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9의 방법(200)에 따른 물품(310)의 제조를 도시한다.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는 제1 측(322) 및 이 제1 측(322)과는 반대쪽인 제2 측(325)을 갖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측(325)은 플리스 측이고 그렇게 지칭된다. 제1 측(322)은 상기 방법(200) 전에 비교적 매끄럽다. 플리스 측(325)은 복수의 비교적 긴 플리스 섬유(320)를 갖고 있으며, 그 말단부(324)는 모두 초기에 플리스 측(325)에 배치되어 있다. 가시형 니들(48, 48A) 중 하나를 이용하여, 섬유(320)의 일부가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를 통과하여 소정 패턴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그 특정 섬유(20)의 말단부(324)가 제1 측(322)의 외부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한 측(예컨대, 제1 측(322)) 상의 소정 패턴 및 반대쪽 제2 측(예컨대, 플리스 측(325)) 상의 플리스에는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가 제공된다.
가시형 니들(48)이 사용되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200)은 플리스 측(325)이 구동된 가시형 니들(48)에 가장 가깝게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를 위치시키는 단계(202)로 시작한다. 가시형 니들(48A)이 사용되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계(202)는 제1 측(322)이 구동된 가시형 니들(48A)에 가장 가깝게 그리고 플리스 측(325)이 구동된 가시형 니들(48A)로부터 가장 멀리 있게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200)은 도 1에 도시된 소정 패턴(P1, P2, P3 및 P4)과 같은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 상의 소정 패턴의 아우트라인을 스티칭하는 단계(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치는 가시형 니들(48 또는 48A) 이외의 자수기(44)의 나사형 니들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단계(204)는 단계(202) 이후에 그리고 텍스타일 시트(312)가 프레임(58) 상에 배치된 후에 행해진다. 별법으로서, 상기 아우트라인의 스티칭은 자수기(44)의 프레임(58) 상에 텍스타일 시트(312)를 배치하기 전에 별도의 기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가시형 니들(48A)(가시(720는 선단(7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이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204)는 가시형 니들(48A)을 왕복시키기 전에 행해지고, 가시형 니들(48A)을 왕복시키는 것은,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를 통과하여 당겨진 플리스 측(325)의 섬유(320)가 제1 측(322) 상의 소정 패턴을 표시하도록, 아우트라인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니들(48A 또는 48)은 자수기(44)에 저장된 프로그램(52)에 따라 컨트롤러(50)의 제어 하에 이동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방법(200)은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를 통과하게 자수기(44)의 가시형 니들(48)(또는 48A)을 왕복시키는 단계(206)로 이동하고, 니들은 플리스 측(325)의 섬유(320)를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를 통과하여 제1 측(322)으로 강제로 나아가게 한다. 도 11은 제조의 중간 단계에서 도 10의 텍스타일 시트(312)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9의 방법(200)에 따라, 자수기(44)의 가시형 니들(48)이 텍스타일 시트(312)의 상단측(예컨대, 플리스 측(325))의 섬유(320)를 텍스타일 시트(312)를 통과하여 바닥측(예컨대, 제1 측(32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밀어 넣는 것을 도시한다. 섬유(320)는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의 제1 측(322)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말단부(324)를 가질 수 있다. 가시형 니들(48 또는 48A)은, 스티칭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면서 가시형 니들이 왕복하게 되도록 언스레드된다.
가시형 니들(48)이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 단계(206)는 가시형 니들(48)을 왕복시켜 플리스 측(325)의 섬유(320)를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를 통과하여 제1 측(322)으로 밀어내는 하위 단계(208)를 포함한다. 가시형 니들(48)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는 가시(72)에 걸리고, 제1 측(322)으로 밀린다. 가시형 니들(48)이 방향 A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시(72)는 이동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섬유(320)는 일반적으로 가시형 니들(48)에 의해 텍스타일 시트(312)를 통과하여 이동되지 않는다.
가시형 니들(48A)이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 단계(206)는, 가시형 니들(48A)을 왕복시켜,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은 화살표 C의 방향으로 가시형 니들이 이동할 때 섬유(320)가 가시(72A)에 걸림에 따라, 플리스 측(325)의 섬유(320)를 단일 텍스타일 시트(312)를 통과하여 제1 측(322)으로 잡아당기는 하위 단계(208)를 포함한다. 가시형 니들(48A)이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시(72A)는 이동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섬유(320)는 일반적으로 니들(48A)에 의해 텍스타일 시트(312)를 통과하여 이동되지 않는다.
단계(206)에 이어서, 상기 방법(200)은 자수기(44)로부터 텍스타일 시트(312)를 제거하는 단계(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214)에서, 도 1의 2개-시트 실시예의 부분(28, 30, 32, 34)의 형상을 갖는 부분과 같은 부분이 텍스타일 시트(312)로부터 절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분은 단계(216)에서 함께 스티칭되어 물품(10A)과 유사하지만 단일 텍스타일 시트로만 되어 있는 물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플리스 측(325)은 내측이고 제1 측(322)은 그 물품의 외부에서 섬유(320)로 형성된 소정 패턴을 갖는다.
도 17 및 도 18은 상기 방법(100)에 따라 제조된 물품(410)의 2개 시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원에서 제2 텍스타일 시트로 지칭되는 텍스타일 시트(414)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고, 격자 무늬 패턴으로 배열된 여러 색상의 섬유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1 텍스타일 시트로 지칭되는 텍스타일 시트(412)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고, 제2 시트(414)와 백-투-백(back-to-back)으로 배치된다(예컨대, 텍스타일 시트(412, 414)의 내측이 서로 대치하여 배치된다). 제1 텍스타일 시트(412)는 초기에 무지색일 수 있지만, 제2 텍스타일 시트(414)로부터의 섬유(420)는 (도 5 및 도 6 또는 도 7 및 도 8에서 텍스타일 시트(12 및 14)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자수기(44)에 의해 구동된 가시형 니들(48 또는 48A)에 의해 강제 통과하게 되어 도 18의 제1 텍스타일 시트(412)의 외부측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제1 텍스타일 시트(412) 상에 도시한 섬유(420)의 격자무늬 패턴을 생성한다.
따라서, 원하는 소정 패턴으로 텍스타일 시트(들)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섬유의 소정 패턴을 부여하는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가시형 니들을 이용하여, 신발류 갑피, 의류, 캐리 백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을 하나 이상의 텍스타일 시트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다음 항목(clause)은 본원에 개시된 물품 및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항목 1.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2 텍스타일 시트에 대해 제1 텍스타일 시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 및 제2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게, 자수기의 니들 구동부에 의해 지지되는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니들은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의 섬유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섬유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게 강제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은 그 단일 니들의 선단을 향해 연장하는 가시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면,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의 섬유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밀어내어지는, 제조 방법.
항목 3.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은 그 단일 니들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시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면,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의 섬유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잡아당겨지는, 제조 방법.
항목 4. 항목 3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기 전에,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 상에 상기 소정 패턴의 아우트라인을 스티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는 것은 상기 아우트라인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은, 스티칭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면서 상기 단일 니들이 왕복하게 되도록 언스레드되는, 제조 방법.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그 섬유가 강제 통과하게 되는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의 외부측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말단부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7.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측 및 이 제1 측과는 반대쪽인 제2 측을 갖는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자수기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자수기의 니들 구동부에 의해 지지된 단일 니들을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게 왕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니들은 상기 제2 측의 섬유가 상기 제1 측에서 소정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섬유가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해 상기 제1 측까지 통과하게 강제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8. 항목 7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은 그 단일 니들의 선단을 향해 연장하는 가시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면, 상기 제2 측의 섬유가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제1 측으로 밀어내어지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9. 항목 7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은 그 단일 니들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시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면, 상기 제2 측의 섬유가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측으로 잡아당겨지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0. 항목 9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기 전에,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제1 측 상에 패턴의 아우트라인을 스티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는 것은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당겨진 상기 플리스 측의 섬유가 상기 제1 측 상에 소정 패턴을 표시하도록 상기 아우트라인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1. 항목 7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은, 스티칭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면서 상기 단일 니들이 왕복하게 되도록 언스레드되는, 제조 방법.
항목 12. 항목 7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제1 측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말단부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13. 항목 7 내지 항목 1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은 플리스인, 제조 방법.
항목 14. 물품으로서, 섬유를 갖는 텍스타일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는 상기 텍스타일 시트의 내부측으로부터, 이 내부측과는 반대쪽인 상기 텍스타일 시트의 외부측의 외측으로 배치된 말단부까지 상기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연장하고, 상기 섬유는 적어도 일부가 약 0.5 밀리미터의 폭을 갖는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인, 물품.
항목 15.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시트의 상기 내부측이 플리스 측이고, 상기 섬유는 상기 플리스 측으로부터의 상기 텍스타일 시트의 플리스된 섬유인, 물품.
항목 16.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시트는 외부 텍스타일 시트이고, 상기 물품은 상기 외부 텍스타일 시트의 내부측에 대해 배치된 내부 텍스타일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섬유는 상기 내부 텍스타일 시트로부터 상기 외부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섬유인, 물품.
항목 17. 항목 16에 있어서, 상기 외부 텍스타일 시트 및 내부 텍스타일 시트는 펠트 시트인, 물품.
항목 18. 항목 16 또는 항목 17에 있어서, 상기 내부 텍스타일 시트는 격자 무늬 패턴을 갖고, 상기 섬유는 상기 외부 텍스타일 시트의 외부측에 상기 격자 무늬 패턴을 표시하는, 물품.
항목 19. 항목 14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신발류 갑피인, 물품.
항목 20. 항목 19에 있어서, 상기 신발류 갑피는 유아용 부티인, 물품.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을 지원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가 본원에서 정의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다음의 정의는 본 명세서(청구범위 포함) 전체에 적용된다. 또한,언급된 모든 참고 문헌은 그 전체가 본원에 합체된다.
"신발류 물품", "신발류 제조 물품" 및 "신발류"는 기계와 제조 모두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조립되어 바로 착용할 수 있는 신발류 물품(예컨대, 신발, 샌들, 부츠 등)과 착용 준비된 신발류 물품으로서의 최종 조립 이전의 신발류 물품의 개별 구성요소(예컨대, 중창, 밑창, 갑피 구성요소 등)는 본원에서 "신발류 물품(들)"과 같이 단수 또는 복수로 고려되고 별법으로서 언급된다.
단수 표현, "상기",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의 품목이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문맥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이러한 품목이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문맥의 관점에서 표현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첨부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 내의 (예를 들어, 양 또는 조건에 대한) 파라미터의 모든 수치 값들은, 수치 값 앞에 "약"이 실제로 나타나든 그렇지 않든, 용어 "약"에 의해 모든 경우에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약"은, 언급된 수치 값이 (값의 정확성에 대한 어떤 근사치; 값에 대략적으로 또는 합리적으로 가까운; 거의와 더불어) 어떤 약간의 부정확성을 허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약"에 의해 제공되는 부정확성이 이러한 통상적 의미에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경우,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약"은, 그러한 파라미터들을 측정하고 사용하는 통상적 방법으로부터 생길 수 있는 최소한의 변동을 나타낸다 또한, 범위에 대한 개시는, 범위 이내의 모든 값 및 추가로 분할된 범위를 구체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들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은, 포괄적이며 그에 따라 언급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구체화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계, 프로세스, 및 동작의 순서는, 가능한 경우 변경될 수 있으며, 부가적인 또는 별법의 단계가 채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또는"은, 연관되는 열거된 품목의 어느 하나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중의 임의의 것"은, 언급된 품목들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언급된 품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중의 임의의 것"은, 언급된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첨부 청구항 중의 언급된 청구항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관성 및 편의를 위해, 방향성 형용사들이,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위", "아래", "상방", "하방", "상단", "바닥" 등과 같은 용어들이,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관한 제한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도면에 대해 설명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용어 "종방향"은, 구성요소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컨대, 신발의 종방향은, 신발의 전족 구역과 뒤꿈치 구역 사이에서 연장한다. 용어 "전방" 또는 "앞쪽"은,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전족 구역을 향한 대략적인 방향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며, 용어 "후방" 또는 "뒤쪽"은, 반대 방향, 즉 전족 구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을 향한 방향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의 경우에, 구성 요소가, 종방향 축 뿐만 아니라 그러한 축을 따르는 전방 및 후방 종방향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종방향 또는 종방향축은 또한, 전-후 방향 또는 축으로 지칭될 수 있다.
용어 "횡단방향(transverse)"은, 구성요소의 폭을 연장시키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컨대, 신발의 횡단방향은, 신발의 외측과 내측 사이에서 연장한다. 횡단방향 또는 횡단 축은 또한, 횡방향(lateral direction) 또는 축, 또는 내외 방향(mediolateral direction) 또는 축으로 지칭될 수 있다.
용어 "수직"은, 횡방향 및 종방향 양자 모두에 대략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예컨대, 밑창이 지면 상에 평평하게 매립된 경우, 수직 방향은, 지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성 형용사들 각각이 밑창의 개별적인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용어 "상방” 또는 "상향"은, 갑피의, 발등부, 체결 구역, 및/또는 목부(throat)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상단을 향해 지향하는 수직 방향을 지칭한다. 용어 "하방" 또는 "하향"은, 구성요소의 바닥을 향해 지향하는, 상향 방향과는 반대로 지향하는 수직 방향을 지칭하며, 대략적으로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바닥을 향해 지향할 수 있다.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내부"는, 신발이 착용될 때 착용자의 발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에서의 부분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내측"은, 조립된 신발류 물품에서의 구성요소 또는 신발류 물품의 내부를 향해 배향되는(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외측" 또는 "외부"는, 조립된 신발에서의 신발의 내부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되는 (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일부의 경우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구성요소의 내측과 조립된 신발류 물품의 내부 사이에 놓일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구성요소들이, 구성요소의 외측과 조립된 신발류 물품 외부의 공간 사이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용어들, "내측으로" 및 "내향으로"는,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내부를 향한 방향을 지칭하며, 용어들 "외측으로" 및 "외향으로"는,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외부를 향한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용어 "근위(proximal)"는, 신발류 구성요소의 중심에 더 근접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됨에 따라 발이 신발류 물품 내에 삽입될 때, 발을 향해 더 가까운, 방향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용어 "원위(distal)"는, 신발류 구성요소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놓이는, 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됨에 따라 발이 신발류 물품 내에 삽입될 때, 발로부터 더 떨어진, 상대적인 위치를 지칭한다. 따라서, 근위 및 원위라는 용어는, 상대적인 공간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대략 반대의 용어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그 설명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의도되며, 실시예들의 범위 이내에 놓이는 더 많은 실시예 및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이,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어떤 다른 실시예에서, 어떤 다른 특징 또는 요소와 조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어떤 다른 특징 또는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을 고려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이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교시의 많은 양태를 수행하기 위한 여러 모드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교시와 관련되는 분야에 친숙한 자들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이내에 놓이는 본 교시를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적인 양태들을 인식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포함되거나 또는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통상적인 기술을 갖는 숙련자가, 구조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균등한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또는 그렇지 않으면 포함되는 내용에 기초하여 명확하게 표현되는 것으로 인식할, 대안적인 실시예들의 전체 범위의 도시 및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오로지 명시적으로 묘사된 것 및/또는 설명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2 텍스타일 시트에 대해 제1 텍스타일 시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 및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자수기의 니들 구동부에 의해 지지되는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니들은,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의 섬유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에서 사전에 정해진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섬유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게 강제하고,
    상기 단일 니들은, 단일 니들의 선단을 향해 연장하는 가시(barb)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notched shaft)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면,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의 섬유가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밀어내어지며,
    상기 제2 텍스타일 시트의 섬유는, 섬유가 강제 통과되는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의 외부측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말단부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기 전에, 상기 제1 텍스타일 시트 상에 상기 사전에 정해진 패턴의 아우트라인을 스티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는 것은 상기 아우트라인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은, 스티칭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면서 상기 단일 니들이 왕복하게 되도록 언스레드(unthread)되는 것인, 제조 방법.
  6. 삭제
  7.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측 및 이 제1 측과는 반대쪽인 제2 측을 갖는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자수기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자수기의 니들 구동부에 의해 지지된 단일 니들을,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게 왕복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니들은, 상기 제2 측의 섬유가 상기 제1 측에서 사전에 정해진 패턴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섬유가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해 상기 제1 측까지 통과하게 강제하고,
    상기 단일 니들은, 단일 니들의 선단을 향해 연장하는 가시를 형성하는 노치형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면, 상기 제2 측의 섬유가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제1 측으로 밀어내어지며,
    상기 제2 측의 섬유는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제1 측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말단부를 갖는 것인, 제조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기 전에,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의 제1 측 상에 패턴의 아우트라인을 스티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일 니들을 왕복시키는 것은, 상기 단일 텍스타일 시트를 통과하여 잡아당겨진 상기 제2 측의 섬유가 상기 제1 측 상에 사전에 정해진 패턴을 표시하도록 상기 아우트라인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제조 방법.
  11.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니들은, 스티칭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면서 상기 단일 니들이 왕복하게 되도록 언스레드되는 것인, 제조 방법.
  12. 삭제
  13.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은 플리스(fleece)인 것인, 제조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27010109A 2019-10-04 2020-08-12 섬유 패턴이 있는 물품 및 자수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635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10545P 2019-10-04 2019-10-04
US62/910,545 2019-10-04
PCT/US2020/045934 WO2021066942A1 (en) 2019-10-04 2020-08-12 Article with fiber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rticle using an embroidery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633A KR20220053633A (ko) 2022-04-29
KR102635065B1 true KR102635065B1 (ko) 2024-02-08

Family

ID=7229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109A KR102635065B1 (ko) 2019-10-04 2020-08-12 섬유 패턴이 있는 물품 및 자수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25240B2 (ko)
EP (1) EP4038228B1 (ko)
KR (1) KR102635065B1 (ko)
CN (1) CN114502788A (ko)
WO (1) WO2021066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4298S1 (en) * 2019-09-17 2022-02-22 Zhejiang Hehe Electric Machinery Co., Ltd Embroidery machine
USD953383S1 (en) * 2020-11-20 2022-05-31 Zhejiang Hehe Electric Machinery Co., Ltd. Embroidery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086A (ja) 2002-07-26 2004-02-26 Barudan Co Ltd ミシン及び刺繍方法
KR101696636B1 (ko) 2016-06-22 2017-01-16 호승문 실 없이 바느질이 가능한 재봉 장치
WO2017127441A1 (en) 2016-01-19 2017-07-27 Lyke Christopher J Footwear with embroidery transition between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0701A (en) 1949-03-03 1954-03-02 United Shoe Machinery Corp Shoe sewing machine
US4211593A (en) * 1977-04-18 1980-07-08 Cikalon Vliesstoffwerk Gmbh Method of making a needled and ornamentally patterned fleece material
US4207824A (en) 1978-04-10 1980-06-17 Lambert Howarth & Sons Limited Machines for the manufacture of footwear
US6781895B1 (en) * 1991-12-19 2004-08-24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using the same
JPH11172566A (ja) 1997-12-08 1999-06-29 Koshin:Kk 多頭式電子刺繍機
IT1298629B1 (it) * 1998-03-16 2000-01-12 Federico Aspesi S R L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il trattamento di materiali tessili finiti
US6718895B1 (en) * 2001-08-30 2004-04-13 Terrence M. Fortuna Method for producing a raised applique on a substrat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FR2830542A1 (fr) 2001-10-10 2003-04-11 Cer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moquette aiguilletee
US6774063B2 (en) 2002-02-19 2004-08-10 Appleton Papers Inc. Slip resistant nonwoven
ITFI20020054A1 (it) 2002-03-29 2003-09-29 T N T Tessuti Non Tessuti S R Metodo e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un manufatto tessile decorato con un effetto a ricamo e manufatto cosi' ottenuto
KR100786646B1 (ko) 2006-12-20 2007-12-21 백진구 자수 작업 장치
CN101058929A (zh) 2007-05-18 2007-10-24 黄良能 新型绣花工艺
CN201108086Y (zh) 2007-11-20 2008-09-03 耐克国际有限公司 鞋面具有线结构部件的鞋产品
CN101469491B (zh) 2007-12-26 2013-06-26 谢树轩 一种缝纫机旋梭及钩针套件
KR100894549B1 (ko) 2008-08-26 2009-04-24 김연호 잔디 타입 자수기용 절단장치
WO2010037039A1 (en) 2008-09-26 2010-04-01 Nike International Ltd. Unitary multi-use alignment fixture for shoe production
US9185947B2 (en) 2011-03-18 2015-11-17 Nike, Inc. Forming portion of an article from fabrication scrap, and products thereof
US8851000B2 (en) 2012-04-09 2014-10-07 Nike, Inc. Custom embroidery frame
US20140048003A1 (en) 2012-08-17 2014-02-20 Nike, Inc. Stitching Machine
CN204474943U (zh) 2015-02-11 2015-07-15 宁波新腾针业有限公司 一种刺绣针
US11377766B2 (en) 2016-07-15 2022-07-05 Engineered Floors LLC Delamination-resistant bulky needle-punched structures
US10448706B2 (en) 2016-10-18 2019-10-22 Nik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footwear with felting
CN115413861A (zh) 2016-11-09 2022-12-02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针织纺织品和鞋面及其制作方法
CN114698897A (zh) 2017-10-27 2022-07-05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包括包覆的纤维的物品以及制造包覆的纤维和物品的方法
CN114635224A (zh) 2018-01-19 2022-06-1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针织抗拉结构
US10731279B2 (en) 2018-01-20 2020-08-04 Nike, Inc. Knitted components reinforced with high tenacity yarn
US10791791B2 (en) 2018-01-20 2020-10-06 Nike, Inc. Articles of footwear reinforced with high tenacity yar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086A (ja) 2002-07-26 2004-02-26 Barudan Co Ltd ミシン及び刺繍方法
WO2017127441A1 (en) 2016-01-19 2017-07-27 Lyke Christopher J Footwear with embroidery transition between materials
KR101696636B1 (ko) 2016-06-22 2017-01-16 호승문 실 없이 바느질이 가능한 재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633A (ko) 2022-04-29
EP4038228A1 (en) 2022-08-10
US20210100321A1 (en) 2021-04-08
WO2021066942A1 (en) 2021-04-08
US11925240B2 (en) 2024-03-12
CN114502788A (zh) 2022-05-13
EP4038228B1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261B1 (ko) 폴리머 결합층을 지닌 복합 요소
EP2023762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EP2019602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US7546698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KR102635065B1 (ko) 섬유 패턴이 있는 물품 및 자수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CN110088374B (zh) 用于制造鞋类毡制部的系统和方法
US11957214B2 (en) Shoe, method for producing shoe, and method for producing shoe upper
US20210219657A1 (en) Embroidered Foaming Cords For Midsoles
US20230070422A1 (en) Article with integral loop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201108086Y (zh) 鞋面具有线结构部件的鞋产品
CN201108069Y (zh) 具有线结构部件的鞋面的鞋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