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261B1 - 폴리머 결합층을 지닌 복합 요소 - Google Patents

폴리머 결합층을 지닌 복합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261B1
KR101287261B1 KR1020117003301A KR20117003301A KR101287261B1 KR 101287261 B1 KR101287261 B1 KR 101287261B1 KR 1020117003301 A KR1020117003301 A KR 1020117003301A KR 20117003301 A KR20117003301 A KR 20117003301A KR 101287261 B1 KR101287261 B1 KR 101287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read
base layer
fabric layer
foot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974A (ko
Inventor
제임스 씨 메스처
제프리 엘 존슨
리아 엠 우에사토
티나 엠 카실라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filed Critical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07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9/00Attachments for footwea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gluing or thermo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2Supports for the shank or arch of the uppers
    • A43B23/227Supports for the shank or arch of the uppers fixed on the outside of the sho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00Machines for preliminary treatment or assembling of upper-parts, counters, or insoles on their lasts preparatory to the pulling-over or lasting operations; Applying or 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 A43D11/01Machines for applying reinforcement or ornamental straps to the margins of uppers
    • A43D11/02Machines for applying reinforcement or ornamental straps to the margins of uppers to the margi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1/00Shoe machines with conveyors for jacked shoes or for shoes or sho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46Acrylic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4Cellulosic plastic fibres, e.g. ray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8Animal fibres, e.g. hair, wool, si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4Wear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3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stitching and discrete fastener[s], coating or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복합 요소는 베이스층,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 스레드(thread) 및 커버층을 포함한다. 베이스층은 제1 면과 이 제1 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면을 갖는다.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는 베이스층과는 별개이며, 베이스층 내에 포함되고, 베이스층의 제1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스레드는 베이스층의 제1 면과 이웃하고 적어도 5 센티미터의 거리에 걸쳐 제1 면과 거의 평행하게 놓이는 섹션을 갖고, 스레드는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에 의해 베이스층에 접합된다. 커버층은 제1 면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폴리머 재료에 의해 베이스층에 접합되고, 스레드의 섹션은 커버층과 베이스층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폴리머 결합층을 지닌 복합 요소{COMPOSITE ELEMENT WITH POLYMER CONNECTING LAYER}
본 발명은 폴리머 결합층을 지닌 복합 요소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발류 물품은 2개의 주요 요소, 즉 상부와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부는 밑창 구조체에 고착되어, 신발류의 내부에 발을 편안하고 확실하게 수용하는 보이드(void)를 형성한다. 밑창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발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부의 하면에 고착된다. 운동 선수용의 몇몇 신발류 물품에서, 예컨대 밑창 구조체는 중간창(midsole) 및 바깥창(outsole)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창은, 걷기, 달리기 및 다른 보행 활동 중에 발과 다리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지면 반력을 줄이는 폴리머 발포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깥창은 중간창의 하면에 고착되고, 내구성 및 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되는 밑창 구조체의 지면 맞물림부를 형성한다. 밑창 구조체는 또한, 신발류의 편안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이드 내에서 발바닥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안창(sockliner)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는 일반적으로 발의 중앙부와 측방부를 따라 발등과 발가락 영역 위에서, 그리고 발뒤꿈치 둘레에서 연장된다. 농구화와 부츠와 같은 몇몇 신발류 물품에서, 상부는 발목을 지지하도록 발목 위로 그리고 발목 둘레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부의 내부의 보이드에 대한 접근은 일반적으로 신발류의 발뒤꿈치 영역에 있는 발목 개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부의 핏(fit)을 조절하도록 상부에 신발끈 시스템이 종종 포함되며, 이에 따라 상부 내의 공간에 발을 집어넣거나 이 공간에서 발을 뺄 수 있다. 신발끈 시스템으로 인해, 착화자는 다양한 치수의 발을 수용하도록 상부의 소정 치수, 구체적으로는 둘레 치수(girth)를 변경할 수도 있다. 추가로, 상부는 신발류의 조절성을 증가시키도록 신발끈 시스템 아래에서 연장되는 설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는 발뒤꿈치의 이동을 제안하는 힐 카운터(heel coun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를 제조하는 데에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재료가 활용된다. 운동화의 상부는 예컨대, 외부층, 중간층 및 내부층을 포함하는 다수의 재료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의 외부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예컨대 내연신성, 내마모성, 가요성 및 통기성의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외부층에 관하여, 발가락 영역과 발뒤꿈치 영역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내마모성을 제공하도록 피혁, 합성 피혁 또는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피혁, 합성 피혁 및 고무 재료는 상부의 외부층의 다양한 다른 영역에 대해 요망되는 수준의 가요성 및 통기성을 나타낼 수 없다. 따라서, 외부층의 다른 영역은 예컨대 합성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의 외부층은, 각기 상부에 다른 특성을 제공하는 다수의 재료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의 중간층은 통상적으로, 완충 작용을 제공하고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경량 폴리머 발포체 재료로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부의 내부층은 발을 바로 에워싸는 영역으로부터 땀을 제거하는 쾌적한 수분 흡수성(moisture-wicking)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운동화 물품에서, 다양한 층들은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단일층 내에서 요소들을 결합하기 위해 또는 상부의 특정 영역을 보강하기 위해 스티칭(stitching)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부는 층상 구조를 갖고, 개별 층들은 각각 신발류의 다양한 영역에 상이한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류의 상부의 다양한 다른 영역에 요망되는 수준의 내구성, 내마모성, 수분 흡수성, 가요성 및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는 복합 요소로 이루어진 신발류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베이스층,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 스레드(thread) 및 커버층을 포함하는 복합 요소가 설명된다. 베이스층은 제1 면과, 이 제1 면의 반대측의 제2 면을 갖고, 베이스층은 연신율이 30 % 이상이다. 폴리머 재료는 베이스층과는 별개이며, 베이스층 내로 퍼지고, 폴리머 재료는 베이스층의 제1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스레드는, 베이스층의 제1 면에 이웃하고 적어도 5 센티미터의 거리에 걸쳐 베이스층의 제1 면과 거의 평행하게 놓이는 섹션을 가지며, 스레드는 폴리머 재료에 의해 베이스층에 접합된다. 커버층은 베이스층의 제1 면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폴리머 재료에 의해 베이스층에 접합되고, 스레드의 섹션은 커버층과 베이스층 사이에 배치된다.
아래에서는,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도 또한 설명된다. 상기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은, 폴리머 재료가 직물층의 제1 면과 이 제1 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면에 배치되도록 직물층에 폴리머 재료를 함침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직물층은, 스레드의 섹션이 직물층에 이웃하고 적어도 5 센티미터의 거리에 걸쳐 직물층과 거의 평행하게 놓이도록 스레드로 수놓아진다. 커버층은, 스레드의 섹션이 직물층과 커버층 사이에 배치되도록 직물층의 제1 면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폴리머 재료는 직물층에 스레드의 섹션 및 커버층을 접합하도록 가열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은 첨부된 청구 범위의 상세에 의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장점과 특징의 관한 이해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양태와 개념을 설명하고 예시하는 아래의 설명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레드의 방위, 위치 및 양에 따라, 상부에 상이한 구조 요소를 형성함으로써, 특정 영역에 내연신성을 부여하거나, 영역을 보강하거나, 내마모성을 증대시키거나, 가요성을 조절하거나 또는 통기성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레드의 방위, 위치 및 양을 제어함으로써, 상부와 신발류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의 개요와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어봄으로써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상부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측부 입면도이다.
도 2는 신발류 물품의 내측부 입면도이다.
도 3은 신발류 물품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신발류 물품의 후측부 입면도이다.
도 6은 상부의 측방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자수형 요소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상부의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2 자수형 요소의 상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o는 제1 자수형 요소와 제2 자수형 요소를 형성하는 절차를 예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신발류를 조립하는 절차에 관한 입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베이스부에 스레드를 고착하는 제1 절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베이스부에 스레드를 고착하는 제2 절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베이스부에 스레드를 고착하는 제3 절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3 자수형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4은 제3 자수형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15은 제3 자수형 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g는 제3 자수형 요소를 제조하는 절차를 묘사한 사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g는 제3 자수형 요소를 제조하는 절차를 묘사한 단면도이다.
서론
아래의 설명과 첨부 도면은 자수형 구성을 지닌 상부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개시한다. 추가로, 다양한 상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상부와 상부의 제조 방법은 달리기, 구체적으로는 전력 질주에 적절한 구성을 지닌 신발류를 참고로 하여 개시된다. 상부에 관련된 개념은 단지 달리기를 위해 구성된 신발류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야구화, 농구화, 크로스 트레이닝화(cross training shoes), 싸이클용 신발, 풋볼용 신발, 테니스화, 축구화, 워킹화, 하이킹용 부츠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운동화 스타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념은 또한, 드레스 슈즈, 로퍼, 샌달, 및 작업용 부츠를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비운동용으로 간주되는 신발류 스타일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개념은 매우 다양한 신발류 스타일에 적용된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개념은, 예컨대 의류, 가방 및 다른 용기와 운동용품을 포함하는, 신발류 이외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신발류의 구조
도 1 내지 도 5에는, 신발류 물품(10)이 러닝화의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신발류 물품(10)은 밑창 구조체(20)와 상부(30)를 포함한다. 참고를 위해, 신발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일반적인 영역, 즉 앞발 영역(11), 중간발 영역(12), 발뒤꿈치 영역(13)으로 분할될 수 있다. 신발류(10)는 또한 측방부(14)와 내측부(15)를 포함한다. 앞발 영역(11)은 일반적으로 중족골(metatarsal)과 지골(phalange)을 연결하는 관절과 발가락에 대응하는 신발류(10)의 부분을 포함한다. 중간발 영역(12)은 일반적으로 발의 장심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발뒤꿈치 영역(13)은 발꿈치뼈를 포함하는 발의 후방부에 대응한다. 측방부(14)와 내측부(15)는 각각의 영역(11, 12, 13) 전반에 결쳐 연장되며, 신발류(10)의 양측부에 상응한다. 영역(11, 12, 13)들과 측부(14, 15)들은 신발류(10)의 정확한 영역을 구별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오히려, 영역(11, 12, 13)들과 측부(14, 15)들은 아래의 설명에서 참고 기준을 제공하는 신발류(10)의 일반적인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영역(11, 12, 13)들과 측부(14, 15)들은 신발류(10)뿐만 아니라 밑창 구조체(20), 상부(30) 및 이들의 개별 요소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20)는 상부(30)에 고착되고, 신발류(10)를 착화했을 때 발과 지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밑창 구조체(20)는 정지 마찰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되었을 때 지면 반력을 줄일 수 있다. 밑창 구조체(20)의 형태는, 다양한 통상의 구조 또는 파격적인 구조를 포함하도록 현저히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일례로서 도 1 및 도 2에는 밑창 구조체(20)의 적절한 형태가 제1 밑창 요소(21)와 제2 밑창 요소(2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밑창 요소(21)는 신발류(10)의 길이 방향 길이에 걸쳐[즉, 각각의 영역(11, 12, 13)에 걸쳐] 연장되고,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폴리머 발포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30)의 부분은 제1 밑창 요소(21)의 측부 둘레를 감싸고, 제1 밑창 요소(21)의 하부 영역에 고착된다. 각각의 영역(11, 12, 13)에서, 제1 밑창 요소(21)의 하부 영역은 신발류(10)의 지면 접촉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노출된다. 제1 밑창 요소(21)의 하부 영역에 고착되는 상부(30)의 부분은 또한 영역(12, 13)에서 노출되고, 사용 중에 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밑창 요소(21)의 상부 영역은 발의 바닥면(즉, 발바닥)과 접촉하도록 위치되며, 이에 따라 상부(30) 내에 발 지지면을 형성한다. 그러나 몇몇 구성에서는, 신발류(10)의 발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해 안창이 상부(30) 내에서 제1 밑창 요소(21)의 상부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밑창 요소(22)는 각각의 영역(11, 12)에 배치되며, 제1 밑창 요소(21)와 상부(30) 중 어느 한쪽 또는 이들 양자에 고착된다. 제1 밑창 요소(21)의 부분은 상부(30) 내로 연장되는 반면, 제2 밑창 요소(22)는 영역(11, 12)에 지면 접촉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신발류(10)의 외측부 상에 위치 설정된다. 정지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2 밑창 요소(22)는 분리 가능한 스파이크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23)를 포함한다. 제2 밑창 요소(22)에 적절한 재료로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인 다양한 고무 또는 다른 폴리머 재료가 있다.
상부(30)는 신발류(10) 내에 밑창 구조체(20)에 대해 발을 수용하고 고착하는 보이드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이드는 발을 수용하도록 하는 형상을 갖고, 발의 측방부를 따라, 발의 내측부를 따라, 발 위에서, 그리고 발 아래에서 연장된다. 보이드에 대한 접근은 적어도 발뒤꿈치 영역(13)에 배치되는 발목 개구(31)에 의해 이루어진다. 신발끈(32)이 상부(30)에 있는 다양한 신발끈 구멍(33)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가지각색의 크기의 발을 수용하도록 하기 위해 착화자가 상부(30)의 치수를 조절하도록 해준다. 신발끈(32)은 또한 착화자가 상부(30)를 느슨하게 하여 보이드로부터 발을 빼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30)는 신발류(10)의 편안함 또는 조절성을 증가시키도록 신발끈(32) 아래에서 연장되는 설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끈(32) 이외에도, 상부(30)의 주요 요소는 제1 자수형 요소(40)와 제2 자수형 요소(50)이다. 제1 자수형 요소(40)는 측방부(14)에 대응하는 상부(30)의 부분을 형성하고, 제2 자수형 요소(50)는 내측부(15)에 대응하는 상부(30)의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각각의 자수형 요소(40, 50)는 각각의 영역(11, 12, 13) 전반에 걸쳐 연장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부(30)는 일반적인 형상의 보이드를 제공하도록 앞발 영역(11)과 발뒤꿈치 영역(13)에서 자수형 요소(40, 50)들의 엣지를 결합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조립된다. 추가로, 상부(30)를 조립하는 것은, 신발끈(32)을 합체하고, 제1 밑창 영역(21) 둘레를 자수형 요소(40, 50)들의 부분으로 감싸며, 제1 밑창 요소(21)의 하부 영역에 상기 자수형 요소들의 부분을 고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자수형 요소
제1 자수형 요소(40)는 도 6에서 베이스층(41)과 복수 개의 스레드(42)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자수 공정은 베이스층(41)에 대해 스레드를 고정하거나 배치하는 데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베이스층(41)은, 자수 공정 중에 스레드(42)가 고착되는 기판이며, 스레드(42)는 상부(30)에 구조 요소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구조 요소로서, 스레드(42)는 특정 방향으로의 상부(30)의 연신을 제한할 수도 있고, 스레드(42)는 예컨대 상부(30)의 영역을 보강할 수도 있다.
베이스층(41)이 단일 재료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베이스층(41)은 복수 개의 결합 요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베이스층(41)은 단일 재료층일 수도 있고, 베이스층은 같은 공간을 차지하는 다수의 층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베이스층(41)은, 베이스층(41)에 스레드 부분을 접합, 고착 또는 결합하는 결합층이나 다른 고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41)은 후속하는 재료에 있어서 기준으로 활용되는 다양한 에지(43a 내지 43d)를 형성한다. 에지(43a)는 각각의 영역(11, 12, 13)에 걸쳐 연장되며, 발목 개구(31)의 일부를 형성한다. 에지(43b)는 주로 앞발 영역(11)에 배치되고, 다양한 스레드(42)들에 대한 종료점을 형성한다. 에지(43b)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에지(43c)는 주로 발뒤꿈치 영역(13)에 배치되며, 다양한 스레드(42)들에 대한 반대측의 종료점을 형성한다. 에지(43a, 43c) 각각은 신발류(10)의 제조 중에 앞발 영역(11)과 발뒤꿈치 영역(13)에서 제2 자수형 요소(50)와 결합된다. 에지(43a)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에지(43d)는 영역(11, 12, 13) 각각에 걸쳐 연장되며, 제1 밑창 요소(21) 둘레를 감싸고, 제1 밑창 요소(21)의 하부 영역에 고착된다. 베이스층(41)의 특정 구성과, 대응하는 에지(43a 내지 43b)의 위치 및 형상은 신발류(10)의 구성에 따라 현저히 변할 수 있다.
베이스층(41)은 거의 2차원인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하여 사용되는, "2차원 재료"라는 용어 또는 이 용어의 변형은 소정 길이와, 실질적으로 두께보다 큰 폭을 나타내는 거의 평평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베이스층(41)에 적절한 재료로는 예컨대 다양한 직물, 폴리머 시트 또는 직물과 폴리머 시트의 조합이 있다. 직물은 일반적으로, 예컨대 (a) 부직포 및 펠트를 구성하기 위해 접합, 융해 또는 인터로킹(interlocking)에 의해 섬유 웹으로부터 직접 제작되거나 (b) 직물을 제작하기 위해 얀(yarn)의 기계적 조작을 통해 형성되는 섬유, 필라멘트 또는 얀으로부터 제조된다. 직물은 일방향 연신 또는 복수 방향 연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직물은 예컨대 통기성 및 방수성 배리어를 형성하는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시트는, 거의 평평한 외관을 나타내도록 폴리머 재료로부터 압출, 압연 또는 성형될 수 있다. 2차원 재료는 또한, 직물, 폴리머 시트 또는 직물과 폴리머 시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적층 재료 또는 층상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물과 폴리머 시트뿐만 아니라, 다른 2차원 재료도 베이스층(41)에 활용될 수 있다. 2차원 재료는 매끄럽거나 거의 텍스처(texture)가 없는 표면을 가질 수 있지만, 몇몇 3차원 재료는 예컨대 딤플링(dimpling), 융기부, 리브 또는 다른 다양한 패턴과 같은 텍스처 또는 다른 표면 특성을 나타낸다. 표면 특성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2차원 재료는 거의 평평하게 유지되며, 소정 길이와, 두께보다 훨씬 큰 폭을 나타낸다.
스레드(42) 부분은 베이스층(41)을 관통하여 연장되거나 베이스층(41)에 이웃하게 놓인다. 베이스층(41)을 관통하여 스레드(42)가 연장되는 영역에서, 스레드(42)는 베이스층(41)에 직접 결합되거나 고착된다. 스레드(42)가 베이스층(41)에 이웃하게 놓이는 영역에서, 스레드(42)는 베이스층(41)에 비고착될 수도 있고, 스레드(42)의 부분을 베이스층(41)에 접합, 고착 또는 결합시키는 결합층 또는 다른 고착 요소와 결합될 수도 있다. 상부(30)에 구조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스레드(42) 또는 개별 스레드(42)로 이루어진 섹션이 다양한 스레드 그룹(44a 내지 44e)들 중 하나의 그룹으로 수집될 수 있다. 스레드 그룹(44a)은 에지(43b)와 에지(43c)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레드(42)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신발류(10)의 각각의 영역(11, 12, 13)에 걸쳐 연장된다. 스레드 그룹(44b)은, 신발끈 구멍(33)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되고 신발끈 구멍(33)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레드(42)를 포함한다. 스레드 그룹(44c)은 스레드 그룹(44b)에서부터 에지(43d)에 인접한 영역으로 연장되는 스레드(42)를 포함한다. 스레드 그룹(44d)은, 에지(43c)에서부터 에지(43d)로 연장되고 주로 발뒤꿈치 영역(13)에 배치되는 스레드(42)를 포함한다.
신발류(10) 물품은 일반적인 러닝화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신발류(10)에서 유발되는 힘은 상부(30)를 다양한 방향으로 연신시키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힘은 다양한 부위에 집중될 수 있다. 각각의 스레드(42)는 상부(30)에 구조 요소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스레드 그룹(44a 내지 44d)은 힘이 집중되는 부위를 보강하거나 다양한 방향으로의 연신에 저항하는 구조 요소를 형성하는 개별 스레드(42)의 섹션 또는 다수의 스레드(42)의 집합이다. 스레드 그룹(44a)은 길이 방향[각각의 영역(11, 12, 13)에 걸쳐 에지(43b)와 에지(43c)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연신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해 영역(11, 12, 13)에 상응하는 제1 자수형 요소(40)의 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스레드 그룹(44b)은 신발끈(32)에서의 인장력으로 인한 힘의 집중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해 신발끈 구멍(33)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된다. 스레드 그룹(44c)은 내측 측방향[즉, 상부(30) 둘레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연신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해 스레드 그룹(44a)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추가로, 스레드 그룹(44d)은 발뒤꿈치의 이동을 제한하는 힐 카운터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발뒤꿈치 영역(13)에 배치된다. 스레드 그룹(44e)은 베이스층(41)의 둘레 주변에서 연장되고, 에지(43a 내지 43d)를 지닌 영역에 대응한다. 따라서, 스레드(42)는 상부(30)에 구조 요소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스레드(42)는 거의 1차원인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하여 사용되는 "1차원 재료"라는 용어와 이 용어의 변형은 폭과, 두께보다 훨씬 큰 소정 길이를 나타내는, 일반적으로 가늘고 긴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스레드(42)에 적절한 재료로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실크, 면, 탄소, 유리 아라미드(예컨대, 파라-아라미드 섬유 및 메타-아라미드 섬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액정 폴리머로 형성된 다양한 필라멘트, 섬유 및 얀이 있다. 얀은 적어도 하나의 필라멘트 또는 복수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필라멘트는 무한 길이를 갖는 반면, 섬유는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고, 일반적으로 적절한 길이의 얀을 제조하기 위해 방적(spinning) 또는 연사(twisting) 공정 처리된다. 필라멘트와 섬유는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예컨대 "필라멘트"와 "섬유"라는 용어는 상호 호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필라멘트로 형성된 얀에 관하여, 이러한 얀은 단일 필라멘트 또는 함께 그룹핑된 다수의 개별 필라멘트로 형성될 수 있다. 얀은 또한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별도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얀은 각기 2개 이상의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섬유로 형성되는 얀에도 또한 유사한 개념이 적용된다. 따라서, 필라멘트와 얀은 폭과, 두께보다 훨씬 큰 소정 길이를 나타내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필라멘트와 얀뿐만 아니라, 다른 1차원 재료도 스레드(42)에 활용될 수 있다. 1차원 재료는 종종 폭과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예컨대, 원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지만, 몇몇 1차원 재료는 두께보다 큰 폭(예컨대,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가늘고 긴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폭이 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재료의 길이가 재료의 폭과 두께보다 훨씬 크면 이러한 재료는 1차원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제2 자수형 요소
제2 자수형 요소(50)는 도 7에서 베이스층(51)과 복수 개의 스레드(52)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자수형 요소(40)를 형성하는 데 활용되는 자수 공정과 유사한 자수 공정이 베이스층(51)에 대해 스레드(52)를 고착하거나 배치시키는 데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베이스층(51)은, 자수 공정 중에 스레드(52)가 고착되는 기판이며, 스레드(52)는 상부(30)에 구조 요소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구조 요소로서, 스레드(52)는 특정 방향으로의 상부(30)의 연신을 제한할 수도 있고, 스레드(52)는 예컨대 상부(30)의 영역을 보강할 수도 있다.
베이스층(51)은 베이스층(41)에 대해 전술한 2차원 재료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거의 2차원인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51)이 단일 재료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베이스층(51)은 복수 개의 결합 요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베이스층(51)은 단일 재료층일 수도 있고, 베이스층은 같은 공간을 차지하는 다수의 층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베이스층(51)은, 베이스층(51)에 스레드(52)의 부분을 접합, 고착 또는 결합하는 결합층이나 다른 고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레드(52)는 스레드(42)에 대해 전술한 1차원 재료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거의 1차원인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51)은 후속하는 재료에 있어서 기준으로 활용되는 다양한 에지(53a 내지 53d)를 형성한다. 에지(53a)는 각각의 영역(11, 12, 13)에 걸쳐 연장되며, 발목 개구(31)의 일부를 형성한다. 에지(53b)는 주로 앞발 영역(11)에 배치되고, 다양한 스레드(52)들에 대한 종료점을 형성한다. 에지(53b)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에지(53c)는 주로 발뒤꿈치 영역(13)에 배치되며, 다양한 스레드(52)들에 대한 반대측의 종료점을 형성한다. 에지(53a, 53c) 각각은 신발류(10)의 제조 중에 앞발 영역(11)과 발뒤꿈치 영역(13)에서 제2 자수형 요소(40)와 결합된다. 에지(53a)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에지(53d)는 영역(11, 12, 13) 각각에 걸쳐 연장되며, 제1 밑창 요소(21) 둘레를 감싸고, 제1 밑창 요소(21)의 하부 영역에 고착된다. 베이스층(51)의 특정 구성과, 대응하는 에지(53a 내지 53d)의 위치 및 형상은 신발류(10)의 구성에 따라 현저히 변할 수 있다.
스레드(52)의 부분은 베이스층(51)을 관통하여 연장되거나 베이스층(51)에 이웃하게 놓인다. 베이스층(51)을 관통하여 스레드(52)가 연장되는 영역에서, 스레드(52)는 베이스층(51)에 직접 결합되거나 고착된다. 스레드(52)가 베이스층(51)에 이웃하게 놓이는 영역에서, 스레드(52)는 베이스층(51)에 비고착될 수도 있고, 스레드(52)의 부분을 베이스층(51)에 접합, 고착 또는 결합시키는 결합층 또는 다른 고착 요소와 결합될 수도 있다. 상부(30)에 구조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스레드(52) 또는 개별 스레드(52)의 섹션은 다양한 스레드 그룹(54a 내지 54e)들 중 하나에 수집될 수 있다. 스레드 그룹(54a)은 앞발 영역(11)과 중간발 영역(12)의 전방부에 배치된 스레드(52)를 포함하며, 스레드 그룹(54a)의 다양한 스레드(52)는 에지(53b)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으로 연장된다. 스레드 그룹(54b)은, 신발끈 구멍(33)에 바로 이웃하게 위치되고 신발끈 구멍(33)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레드(52)를 포함한다. 스레드 그룹(54c)은 스레드 그룹(54b)[즉, 신발끈 구멍(33)에 이웃한 영역]에서부터 에지(53d)에 이웃한 영역으로 연장되는 스레드(52)를 포함한다. 스레드 그룹(54d)은, 에지(53c)에서부터 에지(53d)로 연장되고 주로 발뒤꿈치 영역(13)에 배치되는 스레드(52)를 포함한다. 스레드 그룹(54e)은 발뒤꿈치 영역(13)과 중간발 영역(12)의 후방부에 배치된 스레드(52)를 포함하며, 스레드 그룹(54e)의 다양한 스레드(52)는 에지(53c)로부터 길이 방향 전방으로 연장된다. 스레드 그룹(54f)은 베이스층(51)의 둘레 주변에서 연장되고, 에지(53a 내지 53d)를 지닌 영역에 대응한다.
제1 자수형 요소(40)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신발류(10)에서 유발되는 힘은 상부(30)를 다양한 방향으로 연신시키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힘은 다양한 부위에 집중될 수 있다. 각각의 스레드(52)는 상부(30)에 구조 요소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레드 그룹(54a 내지 54e)은 힘이 집중되는 부위를 보강하거나 다양한 방향으로의 연신에 저항하는 구조 요소를 형성하는 개별 스레드(52)의 섹션 또는 다수의 스레드(52)의 집합이다. 스레드 그룹(54a)은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앞발 영역(11)에 상응하는 제2 자수형 요소(50)의 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스레드 그룹(54b)은 신발끈(32)에서의 인장력으로 인한 힘의 집중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해 신발끈 구멍(33)에 이웃하게 위치된다. 스레드 그룹(54c)은 내측 측방부 방향[상부(30) 둘레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연신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해 스레드 그룹(54a, 54e)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레드 그룹(54d)은 발뒤꿈치의 이동을 제한하는 힐 카운터의 반대측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발뒤꿈치 영역(13)에 배치된다. 추가로, 스레드 그룹(54e)은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발뒤꿈치 영역(13)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레드(52)는 상부(30)에 구조 요소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구조 요소
상기 배경 기술 부문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상부는 각기 상부의 다양한 영역에 상이한 특성을 부여하는 다수의 재료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 중에, 상부는 상당한 인장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재료층이 상부의 영역에 위치된다. 즉, 신발류의 사용 중에 발생하는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층은 상부의 특정 부분에 합체될 수 있다. 일례로서, 길이 방향으로의 내연신성을 부여하기 위해 직물이 상부에 합체될 수 있다. 직물은 서로 직각으로 짜여진 얀으로 형성된다. 길이 방향으로의 내연신성을 위해 직물이 상부에 합체되면, 단지 길이 방향으로만 배향된 얀만이 길이 방향 내연신성에 기여하며,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향된 얀은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 내연신성에 기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대략적으로 직물에 있는 얀의 1/2은 길이 방향 내연신성에 대해 불필요하다. 다른 예로서, 상부의 상이한 영역에서 요구되는 내연신성의 수준은 다를 수 있다. 상부의 일부 영역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내연신성을 요구할 수 있는 반면, 상부의 다른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내연신성을 요구할 수 있다. 직물은 높은 수준의 내연신성과 낮은 수준의 내연신성 모두를 요구하는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물에 있는 얀의 일부는 낮은 수준의 내연신성을 요구하는 영역에서는 불필요하다. 이들 예 각각에서, 불필요한 얀은 신발류에 유익한 특성을 추가하지 않으면서 신발류의 총 질량에 추가된다. 예컨대 내마모성, 가요성, 통기성, 완충 작용, 투습성 중 하나 이상을 위해 활용되는 피혁 및 폴리머 시트와 같은 다른 재료에도 유사한 개념이 적용된다.
전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다수의 재료층으로 형성된 종래의 상부에서 활용되는 재료는 상부의 소망하는 특성에 현저히 기여하지 않는 불필요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내연신성에 관하여, 예컨대 층은 (a) 많은 수의 내연신성 방향 또는 (b) 필요하거나 소망하는 것보다 높은 수준의 내연신성을 부여하는 재료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료의 불필요한 부분이 유익한 특성에 기여하는 일 없이 신발류의 총 질량에 추가된다.
종래의 층상 구조와는 대조적으로, 상부(30)는 불필요한 재료의 존재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층(41, 51)은 발을 위한 커버를 제공하지만, 비교적 작은 질량을 나타낸다. 스레드(42, 52)의 일부[즉, 스레드 그룹(44a, 54a, 44c, 54c, 44d, 54d, 54e)]는 특히 소망하는 방향으로의 내연신성을 부여하도록 배치되고, 스레드(42, 52)의 개수는 단지 소망하는 수준의 내연신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된다. 다른 스레드(42, 52)[즉, 스레드 그룹(44b, 44e, 54b, 54f)]는 상부(30)의 특정 영역을 보강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스레드(42, 52)의 방위, 위치 및 양은 특정 목적에 적합한 구조 요소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각각의 스레드 그룹(44a 내지 44d 및 54a 내지 54e)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 요소를 제공하는 스레드(42, 52)의 그룹이다. 그러나 보다 구체적으로, 스레드 그룹(44a)은 측방부(14)에 길이 방향 내연신성을 부여하도록 배치되고, 스레드 그룹(44a)에 있는 스레드(42)의 개수는 특정 수준의 내연신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된다. 이와 유사하게, 스레드 그룹(54a, 54e)은 내측부(15)의 영역(11, 13)에 길이 방향 내연신성을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스레드 그룹(54a, 54e)에 있는 스레드(52)의 개수는 영역(11, 13)에 특정 수준의 내연신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된다. 각각의 스레드 그룹(44b, 54b)은 신발끈 구멍(33)을 보강하며, 각각의 신발끈 구멍(33) 둘레의 스레드의 개수는 특정 수준의 보강을 부여하도록 선택된다. 각각의 스레드 그룹(44c, 54c)은 신발끈 구멍(33)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부(30) 둘레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특정 수준의 내연신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되며, 스레드 그룹(44c, 54c)에 있는 스레드(42)의 개수는 특정 수준의 내연신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스레드 그룹(44d, 54d)은 힐 카운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스레드 그룹(44d, 54d)에 있는 스레드의 개수는 힐 카운터에 특정 수준의 안정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된다. 스레드 그룹(44e, 54f)은 발목 개구(31)를 형성하는 자수형 요소(40, 50)의 부분과 서로 결합되거나 신발류(10)의 다른 부분에 결합되는 자수형 요소(40, 50)의 부분을 포함하는 자수형 요소(40, 50)의 에지를 보강한다. 따라서, 스레드(42, 52)에 의해 부여되는 특성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레드(42, 52)의 방위, 위치 및 양에 좌우된다.
신발류(10)의 특정 구성과 신발류(10)의 의도되는 용도에 따라, 베이스층(41, 51)은 예컨대 비연신성 재료, 일방향 연신성 재료 또는 이방향 연신성 재료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방향 연신성 재료는 발의 외형을 따르는 보다 큰 능력을 상부(30)에 제공하고, 이에 따라 신발류(10)의 편안함을 증가시킨다. 베이스층(41, 51)이 이방향 연신성을 갖는 구성에서, 베이스층(41, 51)과 스레드(42, 52)의 조합은 특정 위치에서의 상부(30)의 연신 특성을 효과적으로 변경한다. 제1 자수형 요소(40)에 관하여, 이방향 연신성 베이스층(41)와 스레드(42)의 조합은 상부(30)에 상이한 연신 특성을 갖는 구역을 형성하며, 상기 구역은 (a) 스레드(42)가 존재하지 않고 상부(30)가 이방향 연신성을 나타내는 제1 구역과, (b) 스레드(42)가 존재하고 스레드가 서로 교차하지 않는 제2 구역, 그리고 (c) 스레드(42)가 존재하고 스레드가 서로 교차하며 상부(30)가 실질적으로 연신성을 나타내지 않는 제3 구역을 포함한다. 제2 자수형 요소(50)에도 유사한 개념이 적용된다.
제1 구역은 스레드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구역의 예는 도면 부호 45a로 식별되고, 스레드(42)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이다. 제1 구역에는 스레드(42)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베이스층(41)은 스레드(42)에 의해 구속되지 않고, 상부(30)는 2개 방향으로 자유롭게 연신된다. 제2 구역은 스레드(42)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스레드가 서로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지는 않는 영역을 포함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제2 구역의 예는 도면 부호 45b로 식별된다. 스레드(42)는 제2 구역에서 실질적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스레드(42)는 스레드(42)와 정렬되는 방향으로의 연신에 저항한다. 그러나, 스레드(42)는 스레드(4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연신에는 저항하지 않는다. 따라서, 베이스층(41)은 스레드(4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연신되며, 이에 따라 일방향 연신성 상부(30)가 제공된다. 일부 구성에서, 베이스층(41)은 스레드(4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10 %만큼 연신될 수 있는 반면, 베이스층(41)은 스레드(42)와 정렬된 방향으로는 실질적으로 비연신성이다. 제3 구역은 스레드(42)가 존재하고 거의 직각(즉, 60도보다 큰 각도)으로 교차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도 6을 참고하며, 제3 구역의 예는 도면 부호 45c로 식별된다. 스레드(42)는 거의 직각으로 서로 교차하기 때문에, 스레드(42)는 실질적으로 거의 모든 방향으로의 연신에 저항한다. 따라서, 베이스층(41)은 어떠한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연신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제3 구역에서는 상부(30)에 비교적 비연신성의 구성이 제공된다. 제2 자수형 요소(50)에도 유사한 개념이 적용되며, 도 7에서 제1 구역에 상응하는 영역의 예는 도면 부호 55a로 식별되고, 제2 구역에 상응하는 영역의 예는 도면 부호 55b로 식별되며, 제3 구역에 상응하는 영역의 예는 도면 부호 55c로 식별된다.
구역들 간의 이행은 스레드(42, 52)의 상대적인 개수 및 방위가 변하는 영역들 간의 경계에서 이루어진다. 구역들 간의 경계에서, 상부(30)는 이방향 연신성에서 일방향 연신성으로, 또는 이방향 연신성에서 비연신성으로, 또는 일방향 연신성에서 비연신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역들 간의 차이가 스레드(42, 52)의 상대적인 개수와 방위인 것을 고려하면, 구역들 간의 이행은 갑자기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스레드(42, 52)의 두께의 공간에서 상부(30)가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이행될 수 있다. 구역들 간의 급격한 이행을 완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구역 이행부에 이웃한 스레드(42, 52)는 연신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 이행될 때, 예컨대 경계에서의 스레드(42, 52)의 연신 특성은 급격한 이행을 완화시킨다. 구조적으로, 이행부에 이웃한(즉, 스레드 그룹의 경계에 근접한) 스레드(42, 52)는 이행부로부터 더 떨어져 있는(즉, 스레드 그룹의 중심에 근접한) 스레드(42, 52)보다 큰 연신성을 가질 수 있다. 연신성뿐만 아니라, 비연신성 재료로 형성된 스레드(42, 52)는 이행부에서의 소정의 수준의 연신성을 혀용하도록 크림핑(crimping)(즉,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레드(42, 52)는 내연신성 이외의 신발류(10)의 특성을 변경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스레드(42, 52)는 상부(30)의 특정 영역에 추가의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스레드(42, 52)는 앞발 영역(11) 및 밑창 구조체(20)에 이웃한 영역과 같은, 마모가 일어나는 상부(30)의 영역에 집중될 수 있다. 스레드(42, 52)가 내마모성을 위해 활용되면, 스레드(42, 52)는 비교적 높은 내마모성 특성도 또한 나타내는 재료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스레드(42, 52)는 또한 상부(30)의 굴곡 특성을 변경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즉, 스레드(42, 52)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은 스레드(42, 52)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비해 적은 수준으로 굴곡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스레드(42, 52)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은 스레드(42, 52)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비해 통기성이 적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서의 스레드(42, 52)의 방위, 위치 및 양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내에서 신발류(10)에 적절한 구성의 예를 제공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신발류(10)에 대한 다른 구성에서, 다양한 스레드 그룹(44a 내지 44d 및 54a 내지 54e)은 부재할 수도 있고, 신발류(10)에 추가의 구조 요소를 제공하도록 추가의 스레드 그룹이 존재할 수도 있다. 길이 방향 내연신성이 요망되면, 스레드 그룹(44a)과 유사한 스레드 그룹이 측방부(14)에 포함될 수도 있고, 스레드 그룹(54a, 54e)이 중간발 영역(12)에 걸쳐 연장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상부(30) 둘레에서 추가의 내연신성이 요망되면, 스레드 그룹(44c, 55c)에 추가의 스레드(42, 52)가 추가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부(30) 둘레의 추가의 내연신성은 앞발 영역(11) 둘레에서 연장되는 스레드 그룹 또는 발뒤꿈치 영역(13) 둘레에서 연장되는 스레드 그룹을 추가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개인의 달리기 스타일 또는 선호도도 또한 스레드(42, 52)의 방위, 위치 및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개인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회내 작용(pronation)(즉, 발의 내측 방향 롤링)을 가질 수 있으며, 스레드 그룹(44c)에 있는 스레드(42)의 개수가 많으면 회내 작용의 수준을 줄일 수 있다. 몇몇 개인은 또한 보다 큰 길이 방향 내연신성을 선호할 수 있으며, 신발류(10)는 스레드 그룹(44a)에 추가의 스레드(42)를 포함시키도록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개인은 또한 상부가 더욱 편안하게 착용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는데, 이는 스레드 그룹(44b, 44c, 54b, 54c)에 더 많은 스레드(42, 52)를 추가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류(10)는 스레드(42, 52)의 방위, 위치 및 양에 있어서의 변경을 통해 개인의 달리기 스타일 또는 선호도에 대해 맞춤 제작될 수 있다.
베이스층(41, 51)은 실질적으로 발의 내측부와 측방부 전부를 공동으로 커버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41, 51)은 자수 공정 중에 스레드(42, 52)가 고착되는 기판이다. 그러나 몇몇 구성에서, 베이스층(41, 51)의 일부는, 스레드(42, 52)가 발 또는 발에 신겨진 양말에 바로 이웃하게 위치되도록 부재할 수 있다. 즉, 베이스층(41, 51)에는 발을 노출시키는 구멍 또는 절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베이스층(41, 51) 또는 베이스층의 부분은 자수 공정에 후속하여 제거되는 수용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30)는 베이스층(41, 51)에 스레드(42, 52)를 고착한 다음에 용해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층(41, 51)은 몇몇 신발류(10)의 구성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부재할 수 있다.
스레드(42, 52)의 전체 길이 대부분은 베이스층(41, 51)에 이웃하게 놓이지만, 베이스층(41, 51)에 직접 고착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스레드가 적절히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일례로서,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의 부분을 접합, 고착 또는 결합하는 결합층이나 다른 고착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연결 요소 또는 다른 고착 요소는 예컨대 스레드(42)와 베이스층(41) 사이에 배치되고 스레드(42)와 베이스층(41)을 함께 접합하도록 가열되는 열가소성 폴리머 시트일 수 있다. 연결 요소 또는 다른 고착 요소는 또한, 예컨대 스레드(42)와 베이스층(41)을 함께 접합하도록 스레드(42)와 베이스층(41) 위에서 연장되는 열가소성 폴리머 시트 또는 직물일 수 있다. 추가로, 연결 요소 또는 다른 고착 요소는 스레드(42)와 베이스층(41)을 함께 접합하는 접착제일 수 있다. 몇몇 구성에서,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를 고착시키도록 추가의 스레드가 스레드(42)에 대해 스티칭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를 고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조 또는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베이스층(51)과 스레드(52)를 결합시키는 데에도 유사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스레드 그룹(44a, 44c, 44d) 내의 스레드(42)의 부분은 서로 거의 평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스레드(42)의 부분들 사이의 거리는 실제적으로 변한다. 즉, 스레드(42)는 외측 방향으로 퍼진다. 스레드 그룹(44a)에 관하여, 다양한 스레드(42)는 중간발 영역(12)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접한다. 그러나 스레드(42)가 앞발 영역(11)과 발뒤꿈치 영역(13)을 향해 연장될 때, 각각의 스레드(42)들 사이의 거리는 증가한다. 따라서, 스레드(42)는 앞발 영역(11)과 발뒤꿈치 영역(13)에서 외측 방향으로 퍼진다. 이와 유사하게, 스레드 그룹(44c)에 있는 다양한 스레드(42)도 또한 신발끈 구멍(3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측 방향으로 퍼진다. 신발끈 구멍(33)에 근접한 상부(30)의 부분에서, 스레드(42)는 상대적으로 서로 근접하지만, 신발끈 구멍(33)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부(30)의 부분에서는 외측 방향으로 분리되거나 퍼지는 경향이 있다. 전술한 퍼짐 특성은 예컨대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예컨대, 각각의 신발끈 구멍(33)]에서부터 큰 영역으로 힘이 분배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즉, 퍼짐 특성은 상부(30)의 영역에 대해 힘을 분배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상부(30)는 스레드(42, 52)로부터 구조 요소를 형성하는 자수 공정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스레드(42, 52)의 방위, 위치 및 양에 따라, 상부(30)에 상이한 구조 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구조 요소는 특정 영역에 내연신성을 부여하거나, 영역을 보강하거나, 내마모성을 증대시키거나, 가요성을 조절하거나 또는 통기성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레드(42, 52)의 방위, 위치 및 양을 제어함으로써, 상부(30)와 신발류(10)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자수 공정
각각의 자수형 요소(40, 50)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일례가 도 8a 내지 도 8o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자수형 요소(40)를 형성하는 데 활용되는 다양한 단계들은 제2 자수형 요소(50)를 형성하는 데 활용되는 단계들과 유사하다. 따라서, 아래의 설명은 제1 자수형 요소(40)에 대한 제조 방법에 초점을 맞추며, 제2 자수형 요소(50)도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제1 자수형 요소(40)는 가공 장치 또는 수공으로 실시될 수 있는 자수 공정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기계 자수에 관하여, 제1 자수형 요소(40)를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종래의 자수기(embroidery machine)를 활용할 수 있으며, 자수기는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스레드로 특정 패턴 또는 디자인으로 수를 놓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수기는 스레드의 부분이 다양한 위치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상기 다양한 위치에 스레드를 반복하여 고착시킴으로써 패턴 또는 디자인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자수기는 (a) 스레드(42)의 제1 루프가 베이스층(41)을 통과하도록 바늘로 베이스층(41)의 제1 위치를 천공하고, (b) 제1 루프를 통과하는 다른 스레드로 스레드(42)의 제1 루프를 고착시키며, (c) 바늘을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스레드(42)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연장되고 베이스층(41)의 표면에서 육안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며, (d) 스레드(42)의 제2 루프가 베이스층(41)을 통과하도록 바늘로 베이스층(41)의 제2 위치를 천공하고, (e) 제2 루프를 통과하는 다른 스레드로 스레드(42)의 제2 루프를 고착시킴으로써 일련의 박음질을 이룬다. 따라서, 자수기는 스레드(42)를 2개의 정해진 위치에 고착시키고 또한 스레드(42)가 이들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게 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단계들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베이스층(41) 상에 스레드(42)에 의한 자수가 형성된다.
종래의 자수기는, 각기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를 고정하기 위해 박음질을 활용할 수 있는 새틴 스티치(satin-stitch), 러닝 스티치(running-stitch) 또는 필 스티치(fill-stitch)를 형성함으로써 베이스층(41) 상에 패턴 또는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새틴 스티치는 함께 근접하게 형성된 일련의 지그재그 형상의 스티치이다. 러닝 스티치는 2개의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종종 정교한 디테일, 윤곽 및 밑깔개(underlay)를 위해 사용된다. 필 스티치는 상이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근접하게 함께 형성되는 일련의 러닝 스티치이며, 필 스티치는 종종 상대적으로 큰 영역을 커버하는 데 활용된다. 새틴 스티치에 관하여, 종래의 자수기는 일반적으로 새틴 스티치를 12 밀리미터로 제한한다. 즉, 자수기가 새틴 스티치를 형성할 때, 스레드가 베이스층에 고착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는 통상적으로 12 밀리미터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통상의 새틴 스티치 자수는 12 밀리미터 이하만큼 분리된 위치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레드를 포함한다. 그러나, 자수형 요소(40)를 형성하는 것은, 12 mm 넘게 이격된 위치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새틴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자수기를 변경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양태에서, 스치티는 예컨대 5 센티미터 넘게 이격될 수 있다. 즉, 스레드는 예컨대 12 밀리미터 넘게 또는 5 센티미터 넘게 베이스층(41)의 표면 상에서 연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a에 관하여, 베이스층(41)은 자수 작업에서 활용되는 종래의 직사각형 후프의 구성을 갖는 후프(60)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후프(60)의 주요 요소는 외측 링(61), 내측 링(62) 및 인장기(63)이다.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시피, 외측 링(61)은 내측 링(62) 둘레에서 연장되고, 베이스층(41)의 둘레부는 외측 링(61)과 내측 링(62) 사이에서 연장된다. 인장기(63)는 내측 링(62)이 외측 링(61) 내에 위치되고 베이스층(41)이 제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외측 링(61)의 장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베이스층(41)의 중앙 영역은 단일 평면 상에 위치 설정되고, 베이스층(41)이 제조 과정의 추가의 단계 중에 견고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약간 인장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후프(60)는 제1 자수형 요소(40)를 형성하는 자수 작업 중에 베이스층(41)을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프레임으로서 활용된다.
베이스층(41)이 후프(60) 내에 고정되고 나면, 자수기는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를 배치하고 고착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초기에, 자수기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수형 요소(40)의 아웃라인을 형성한다. 아웃라인은, 제1 자수형 요소(40)의 둘레 주변에서 연장되고 에지(43a 내지 43d)에 상응하는 스레드 그룹(44e)를 포함한다. 발목 개구(31)를 형성하는 에지(43a)의 부분은 스레드 그룹(44e)의 다른 영역보다 두꺼운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발목 개구(31)를 보강한다. 제1 자수형 요소(40)의 다른 구성에서, 스레드 그룹(44e) 모두는 보다 두꺼운 구성을 나타낼 수도 있고, 발목 개구(31)를 형성하는 에지(43a)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얇은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스레드 그룹(44e)은 제1 자수형 요소(40)의 몇몇 구성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부재할 수도 있다. 스레드 그룹(44e)을 형성하기 위해, 새틴 스티치, 러닝 스티치, 필 스티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스티치를 활용할 수 있다.
스레드 그룹(44e)의 형성에 이어서, 스레드 그룹(44a)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c를 참고하면, 스레드(42)의 부분(42a)은 제1 자수형 요소(40)의 외측에 배치되는 2개의 지점 사이에서 연장된다. 부분(42a)의 종료점은 박음질로 고착되며, 부분(42a)의 중앙 영역[즉, 종료점 이외의 부분(42a)의 영역]은 베이스층(41)에 이웃하게 놓이며 베이스층(41)에 고착되지 않는다. 즉, 부분(42a)의 중앙 영역은 베이스층(41)의 표면 상에서 연속적으로 노출된다. 그 후, 자수기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레드(42)의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42b)을 형성하고, 부분(42a)과 교차하는 다른 부분(42c)도 또한 형성한다. 이때, 이러한 일반적인 절차는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레드 그룹(44a)이 완성될 때까지 반복된다.
스레드 그룹(44c)은 스레드 그룹(44a)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8f를 참고하면, 스레드(42)의 부분(42d)은 스레드 그룹(44e)에 의해 형성된 아웃라인 내에 배치되는 2개의 지점 사이에서 연장된다. 부분(42d)의 종료점은 박음질로 고착되며, 부분(42d)의 중앙 영역[즉, 종료점 이외의 부분(42d)의 영역]은 베이스층(41)에 이웃하게 놓이며 베이스층(41)에 고착되지 않는다. 추가로, 상기 중심 영역은 스레드 그룹(44a)과 교차한다. 그 후, 자수기는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레드(42)의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42e)을 형성하고, 스레드 그룹(44a)과도 교차하는 다른 부분(42f)도 또한 형성한다. 이때, 이러한 일반적인 절차는 도 8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레드 그룹(44c)이 완성될 때까지 반복된다. 다음에, 자수기는 예컨대 도 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새틴 스티치를 이용하여 스레드 그룹(44b)의 다양한 부분들 중 하나의 부분을 형성한다. 스레드 그룹(44c)의 다양한 부분들 중 하나의 부분과 스레드 그룹(44b)의 다양한 부분들 중 하나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전술한 절차는 도 8j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각의 스레드 그룹(44c, 44b)를 형성하기 위해 추가로 4회 반복된다.
몇몇 구성에서, 스레드 그룹(44c)의 단부는 스레드 그룹(44b)에 접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레드 그룹(44c)은 스레드 그룹(44b)의 둘레를 지나 연장된다. 즉, 스레드 그룹(44c)은 스레드 그룹(44b)을 형성하는 스레드(42) 위에서 연장될 수도 있고, 스레드 그룹(44b)은 스레드 그룹(44c)을 형성하는 스레드(42) 위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각각의 스레드 그룹(44b, 44c)으로부터 나온 스레드(42)가 엮일 수 있다. 신발끈(32)이 신발끈 구멍(33)을 통과해 연장되고 인장될 때, 스레드 그룹(44b)은 신발끈 구멍(33)을 보강하고, 스레드 그룹(44c)은 인장력을 상부(30)의 측부를 따라 분배한다. 스레드 그룹(44b, 44c)들을 엮는 것에 의해, 신발끈 구멍(33)에 대한 힘이 보다 효과적으로 스레드 그룹(44c)으로 전달된다.
스레드 그룹(44d)은 스레드 그룹(44a, 44c)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8k를 참고하면, 스레드(42)의 부분(42g)은 발뒤꿈치 영역(13)에 있는 스레드 그룹(44e)에 의해 형성된 아웃라인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2개의 지점 사이에서 연장된다. 부분(42g)의 종료점은 박음질로 고착되며, 부분(42g)의 중앙 영역[즉, 종료점 이외의 부분(42g)의 영역]은 베이스층(41)에 이웃하게 놓이며 베이스층(41)에 고착되지 않는다. 즉, 부분(42g)은 베이스층(41)의 표면 상에서 연속적으로 노출된다. 추가로, 상기 중심 영역은 스레드 그룹(44a)과 교차한다. 이때, 이러한 일반적인 절차는 도 8l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레드 그룹(44d)이 완성될 때까지 반복된다.
스레드 그룹(44d)이 완성되고 나면, 스레드 그룹(44b)의 중앙에 상응하는 영역에서 베이스층(41)을 관통하여 신발끈 구멍(33)이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자수형 요소(40)는 스레드 그룹(44e)의 외측부에 있는 베이스층(41)의 부분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도 8m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지(43a 내지 43d)가 형성된다. 베이스층(41)의 관련이 없는 부분으로부터 제1 자수형 요소(40)를 절단할 시에, 스레드 그룹(44a)을 형성하는 스레드(42)의 부분이 절단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41)은,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의 부분을 접합, 고착 또는 결합하는 결합층이나 다른 고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41)의 관련이 없는 부분으로부터 제1 자수형 요소(40)를 절단하기 전에,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결합층 또는 다른 고착 요소가 추가되거나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하고 도 8a 내지 도 8m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자수형 요소(40)를 형성하는 일반적인 절차는 각각의 스레드 그룹(44a 내지 44e)을 형성하기 위한 특정 순서를 설명하였다. 설명된 순서에서, 스레드 그룹(44c, 44d)은 스레드 그룹(44a)을 가로지르고, 이로 인해 베이스층(41)과 스레드 그룹(44c, 44d) 사이에 스레드 그룹(44a)이 배치된다. 설명된 순서는 또한 거의 동시 발생 방식으로 스레드 그룹(44b, 44c)을 형성한다. 즉, 스레드 그룹(44c)이 형성된 다음에, 스레드 그룹(44b)의 일부가 형성되었고, 이러한 절차는 각각의 스레드 그룹(44b, 44c)이 완성될 때까지 반복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순서는 제1 자수형 요소(40)를 형성하는 데 사용 가능한 다양한 순서들의 일례이며, 각각의 스레드 그룹(44a 내지 44e)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다른 순서들도 또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하고 도 8a 내지 도 8m에 도시되어 있는 일반적인 절차는 제1 자수형 요소(40)를 형성할 수 있는 방식의 일례를 제공하며, 대안으로서 다양한 다른 절차들도 활용될 수 있다.
제2 자수형 요소(50)는 제1 자수형 요소(40)를 형성하는 자수 공정과 유사할 수 있는 자수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도 8n을 참고하면, 스레드 그룹(54a 내지 54f)을 형성하는 자수 공정에 따른 제2 자수형 요소(50)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스레드 그룹(54b)의 중앙에 상응하는 영역에 베이스층(51)을 관통하여 신발끈 구멍(33)이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제2 자수형 요소(50)는 스레드 그룹(54f)의 외측부에 있는 베이스층(51)의 부분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도 8o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지(53a 내지 53d)가 형성된다. 베이스층(51)의 관련이 없는 부분으로부터 제2 자수형 요소(50)를 절단하기 이전에,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베이스층(51)에 스레드(52)의 부분을 접합, 고착 또는 결합시키는 결합층 또는 다른 고착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제1 자수형 요소(40)와 같이, 각각의 스레드 그룹(54a 내지 54f)을 형성하는 다양한 순서들이 활용될 수 있다.
신발류의 조립
자수형 요소(40, 50)를 전술한 방식으로 형성하고 나면 신발류(10)를 조립한다. 신발류(10)를 조립할 수 있는 한가지 방식의 일례가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되어 있다. 초기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발 영역(11)과 발뒤꿈치 영역(13)에서 자수형 요소(40, 50)들을 함께 고착시킴으로써 상부(30)의 제작이 실질적으로 완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에지(43a, 53a)의 전방부가 결합되고 각각의 에지(43c, 53c)도 또한 결합된다. 자수형 요소(40, 50)를 결합시키기 위해, 예컨대 다양한 유형의 스티칭 또는 접착제를 활용할 수 있다.
상부(30)의 완성에 이어서, 밑창 요소(21, 22)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이때, 제1 밑창 요소(21)는, 자수형 요소(40, 50)들의 하부가 제1 밑창 요소(21)의 측부 둘레를 감싸도록 자수형 요소(40, 50)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수형 요소(40, 50)들의 하부를 제1 밑창 요소(21)의 하부 영역에 고착하기 위해, 예컨대 접착제가 활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될 때, 제1 밑창 요소(21)의 상부 영역은 또한 상부(30) 내에 발 지지면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몇몇 구성에서는, 신발류(10)의 발 지지면을 형성하기 위해 안창이 상부(30) 내에서 제1 밑창 요소(21)의 상부 영역에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음에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밑창 요소(1)와 자수형 요소(40, 50)들에 제2 밑창 요소(22)가 고착된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자수형 요소(40, 50), 제1 밑창 요소(21) 및 제2 밑창 요소(22)는 신발류(10)의 지면 접촉면의 부분을 형성한다. 추가의 정지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해, 분리 가능한 스파이크 형태를 갖는 돌출부(23)가 제1 밑창 요소(22)에 통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발류(10)의 조립을 실질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종래의 방식으로 신발끈(32)을 신발끈 구멍(33)에 끼운다.
고착 요소
스레드(42)의 각각의 세그먼트(예컨대, 부분 42a 내지 42g)는 2개의 종료점과, 2개의 종료점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앙부를 구비한다. 상기 종료점은 박음질로 고착되며, 중앙부[즉, 종료점 이외의 세그먼트의 영역]은 베이스층(41)에 이웃하게 놓이며 베이스층(41)에 고착되지 않는다. 베이스층(41)에 중앙 영역을 고착시키기 위해,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의 부분을 접합, 고착 또는 결합하는 결합층이나 다른 고착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은, 제1 자수형 요소(40)에 결합층 또는 다른 고착제를 추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 제2 자수형 요소(50)에도 유사한 개념이 적용된다.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의 부분을 고착하는 한가지 절차가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a를 참고하면, 제1 자수형 요소(40)는 자수 공정을 통해 형성되지만 베이스층(41)의 불필요한 부분으로부터 절단되지 않은 것으로 (즉, 도 8l에서와 같이) 도시되어 있다. 추가로, 결합층(70)이 스레드(42)를 포함하는 제1 자수형 요소(40)의 표면 위에 중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결합층(70)은, 두께가 예컨대 1/1000 밀리미터 내지 3 밀리미터인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진 시트이다. 결합층(70)에 적절한 폴리머 재료로는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에틸비닐아세테이트가 있다. 결합층(70)을 가열하여 제1 자수형 요소(40)에 결합층(70)을 접합하기 위해, 결합층(70)과 제1 자수형 요소(4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프레스의 한 쌍의 플래튼(platen)(71, 72) 사이에 배치된다. 결합층(70)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결합층(70)을 형성하는 폴리머 재료는, 폴리머 재료가 베이스층(41)과 스레드(42)의 구조에 스며들도록 온도가 상승한다. 결합층(70)은 가열된 프레스로부터 분리할 시에 냉각되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를 효과적으로 접합시킨다. 그 후, 1 자수형 요소(40)는 베이스층(41)의 불필요한 부분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결합층(70)은, 베이스층(41)의 불필요한 부분으로부터의 제1 자수형 요소(40)의 분리에 후속하여 스레드 그룹(44a)이 전혀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추가로, 결합층(70)은, 예컨대 스레드 그룹(44c, 44d)의 부분이 베이스층(41)에 대해 적절히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스레드 그룹(44c, 44d)을 형성하는 스레드(42)의 다양한 세그먼트의 단부는 박음질을 이용하여 베이스층에 고착되지만, 중앙 부분은 결합층(7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베이스층(41)에 고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결합층(70)은 베이스층(41)에 각각의 스레드(42)를 효과적으로 접합시킨다.
베이스층(41)은 땀과 고온 공기가 상부(30)를 빠져나가도록 하는 통기성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결합층(70)의 추가는 상부(30)의 통기성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a에는 결합층(70)이 연속적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결합층(70)은 결합층(70)이 요망되지 않는 제1 자수형 요소(40)의 영역에 상응하는 다양한 구멍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층(70)의 구멍은 상부(30)의 통기성 특성을 증대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추가로, 결합층(70)을 위해 활용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은 신발류(10)의 질량을 최소화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의 부분을 고착시키는 다른 절차가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a를 참고하면, 베이스층(41)은 스레드(42)를 추가하기 이전에 결합층(7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후,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41)과 스레드(42) 사이에 결합층이 배치되도록, 자수형 공정을 활용하여 스레드 그룹(44a 내지 44e)을 형성한다. 결합층(70)을 가열하여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를 접합하기 위해, 결합층(70)과 제1 자수형 요소(40)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프레스의 한 쌍의 플래튼(platen)(71, 72) 사이에 배치된다. 결합층(70)은 가열된 프레스로부터 분리될 시에 냉각되고,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를 효과적으로 접합시킨다. 그 후, 제1 자수형 요소(40)는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41)의 불필요한 부분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자수 공정 동안에, 스레드는 인장된 상태로 배치되며, 이는 베이스층(41)을 내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경향이 있다. 자수 공정 이전에 베이스층(41)에 결합층(70)을 도포하는 것의 장점은 결합층(70)이 스레드(42)의 내측 방향 인장에 저항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의 부분을 고착하는 또 다른 절차가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제1 자수형 요소(40)는 자수 공정을 통해 형성되지만 베이스층(41)의 불필요한 부분으로부터 절단되지 않은 것으로 (즉, 도 8l에서와 같이) 도시되어 있다. 그 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고착 요소가 제1 자수형 요소(40)에 분사되거나 도포되고, 이에 의해 베이스층(41)에 스레드(42)를 고착시킨다. 그 후, 제1 자수형 요소(40)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14)의 불필요한 부분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층상 구조
제1 자수형 요소(40)의 주요 요소는 베이스층(41), 스레드(42) 및 결합층(70)이다. 그러나, 신발류(10)의 몇몇 구성에서는, 추가의 요소 또는 추가의 층을 활용하여 신발류(10)의 내구성, 편안함 또는 미적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층상 구조를 갖는 복합 요소의 구성을 갖는 자수형 요소(80)가 베이스층(81), 복수 개의 스레드 섹션(82), 결합층(83), 커버층(84) 및 백킹층(85)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은 자수형 요소(80)의 중앙 부분을 형성한다. 스레드 섹션(82)은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의 조합과 커버층(84) 사이에 배치된다. 커버층(84)과 백킹층(85)은 자수형 요소(80)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자수형 요소(80)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층(81), 스레드 섹션(82) 및 결합층(83)은 커버층(84)과 백킹층(85)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층(81)은 베이스층(41)에 대해 전술한 거의 2차원인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일례로서, 베이스층(81)은 연신율이 30 % 이상인 직물일 수 있으며, 연신성을 부여하도록 비교적 높은 스판덱스(엘라스테인이라고도 함)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스레드 섹션(82)은 일반적인 스레드(42) 구성으로 배치되며, 스레드(42)에 대해 전술한 거의 1차원인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결합층(83)은, 베이스층(81)에 접합되거나, 결합되거나, 스며들거나 또는 통합되는 가소성 폴리머 재료이다. 결합층(83)에 적절한 재료의 예로는 열가소성 폴리머 시트, 핫멜트 재료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층이 있다. 커버층(84)과 백킹층(85)은 또한 베이스층(41)에 대해 전술한, 직물과 폴리머 시트를 포함하는 거의 2차원인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예컨대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은 자수형 요소(80) 내의 단일층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은 단일층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후속하여 결합되는 별도의 재료이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결합층(83)의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는 베이스층(81)에 스며들거나 또는 베이스층(81) 내에 퍼질 수 있다. 베이스층(81)이 직물 재료로 형성될 때, 예컨대 결합층(83)의 폴리머 재료는 베이스층(81)을 형성하는 다양한 얀, 섬유 또는 필라멘트 둘레와 이들 사이에 퍼질 수 있다. 즉, 결합층(83)의 폴리머 재료는 자수형 요소(80) 내에 효과적으로 단일층을 형성하도록 베이스층(81)의 구조 내에 퍼질 수 있다.
자수 공정은 종종, 자수 공정으로 인해 재료가 휘거나, 굴곡되거나, 주름지거나 또는 변형되는 정도를 제한하도록 비교적 강성이거나 비연신성인 재료에 대해 수행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81)은 연신율이 30 % 이상인 직물일 수 있다. 그 결과, 베이스층(81)에 직접 스레드 섹션(82)을 수놓음으로써 베이스층(81)이 휘거나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안정성을 부여하거나 또는 베이스층(81)이 변형되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베이스층(81)에 결합층(83)을 결합, 접합 또는 고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수 공정 동안에 베이스층(81)을 효과적으로 안정화하는 데 결합층(83)을 활용할 수 있다.
결합층(83)은 자수 공정 동안에 베이스층(81)을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스레드 섹션(82)의 위치를 고정하고, 베이스층(81)에 커버층(84)과 백킹층(85) 양자를 결합시킨다. 즉, 결합층(83)은 자수형 요소(80)의 다양한 요소들을 함께 접합시킨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합층(83)은 베이스층(81)의 구조에 스며들거나 퍼지는 열가소성 폴리머 시트 또는 다른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이다. 결합층(83)은 가열될 때 베이스층(81)에 접합되거나, 결합되거나, 스며들거나 또는 함침된다. 결합층(83)은 가열될 때 또한 스레드 섹션(82), 커버층(84) 및 백킹층(85) 각각에 접합되거나, 결합되거나, 스며들거나 또는 함침되며, 이에 의해 베이스층(81)에 스레드 섹션(82), 커버층(84) 및 백킹층(85)을 고착시킨다. 따라서, 결합층(83)은 자수 공정 동안에 (a) 베이스층(81)을 안정화시키고, (b) 스레드 섹션(82)의 위치를 고정하며, 베이스층(81)에 커버층(83)과 백킹층(85) 양자를 결합시킨다는 장점을 갖는다.
자수형 요소(80)를 제작하거나 형성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스는 결합층(83)과 베이스층(81)을 결합하거나 조합하는 것,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의 조합시에 스레드 섹션(82)을 수놓거나 배치하는 것, 결합층(83)을 이용하여 베이스층(81)에 스레드 섹션(82)을 결합시키는 것, 및 결합층(83)을 이용하여 베이스층(81)에 커버층(84)과 백킹층(85)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양자를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자수형 요소(80)를 제작하거나 형성하는 데 다양한 일반적인 방법을 활용할 수 있지만, 예시적인 프로세스가 도 16a 내지 도 16g 및 도 17a 내지 도 17g에 제시되어 있다.
도 16a 및 도 17a를 참고하면, 결합층(83)은 베이스층(81)에 이웃하고 프레스(90)의 플래튼들 사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을 결합시키기 위해,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은 도 16b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90)의 플래튼들 사이에서 압축되고 가열될 수 있다.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은 초기에는 2개의 별개의 재료이지만, 베이스층(810)과 결합층(83)을 압축하고 가열함으로써,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을 형성하는 재료들의 조합인 단일층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층(81)이 직물 재료로 형성될 때, 결합층(83)의 폴리머 재료는 베이스층(81)을 형성하는 다양한 얀, 섬유 또는 필라멘트 둘레에 그리고 이들 사이에 퍼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단일층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이 가열되고 압축되고 나면, 도 16c 및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의 조합이 제거될 수 있도록 프레스(90)가 분리될 수 있다.
프레스(90)를 활용하는 것은, 재료들을 단일층으로 조합하기 위해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이 가열되도록 하는 방법의 일례를 제공한다. 다양한 다른 방법도 또한 활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양자는 프레스(90)에 의해 압축되기 이전에 오븐 또는 다른 가열 디바이스 내에서 가열될 수 있다. 몇몇 구성에서, 결합층(83)의 폴리머 재료는 베이스층(81) 상에 분무되거나 침적될 수도 있고, 베이스층(81)은 결합층(83)을 형성하는 폴리머 재료의 용융 또는 비경화 배스(bath) 내로 침지될 수도 있다. 다른 구성에서, 결합층(83)은, 베이스층(81)의 양면에 이웃하게 배치된 다음, 프레스(90)의 플래튼들 사이에서 압축되는 2개의 폴리머 재료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을 조합하는 데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이 효과적으로 조합되고 나면, 도 16d 및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81)에 스레드 섹션(82)이 수놓아지거나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a 내지 도 8l에 대해 설명한 프로세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프로세스가 스레드 섹션(82)에 대해 활용될 수 있다. 스레드 섹션(82)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도 유사한 프로세스가 활용될 수 있다. 즉, 스레드 섹션(82)의 섹션은 다른 패턴 또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수형 요소(80)의 몇몇 구성에서, 자수 이외의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의 조합에 스레드 섹션(82)을 배치할 수 있다. 자수형 요소(40)와 같이, 스레드 섹션(82) 또는 스레드 섹션(82)의 섹션은 베이스층(81)의 표면에 이웃하고 적어도 12 밀리미터의 거리에 걸쳐 베이스층(81)의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층(81)의 표면에 이웃하고 적어도 5 센티미터의 거리에 걸쳐 베이스층(81)의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놓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를 놓기 이전에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을 결합시키는 것의 장점은 수를 놓는 동안 결합층(83)이 안정성을 부여하거나, 베이스층(81)이 변형하는 정도를 제한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자수형 요소(80)를 제작하거나 형성하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스레드 섹션(82)은 베이스층(81)과 결합층(83)의 조합에 고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스레드 섹션(82)의 종료점은 스레드 섹션(82)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합층(83)과 베이스층(81)의 조합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종료점들 사이의 스레드 섹션(82)의 영역은 베이스층(81)의 표면에 이웃하게 그리고 베이스층(81)의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놓인다. 스레드 섹션(82)의 위치를 더욱 고정하기 위해, 결합층(83)을 이용하여 베이스층(81)에 스레드 섹션을 접합시키거나 결합시키도록 베이스층(81), 스레드 섹션(82) 및 결합층(83)은 가열되고 압축될 수 있다. 즉, 베이스층(81)에 스레드 섹션(82)을 고착시키기 위해, 결합층(83)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재료는 연화되거나 용융될 수 있다. 몇몇 구성에서, 종료점들 사이의 스레드 섹션(82)의 영역은 고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베이스층(81)에 스레드 섹션(82)을 수놓거나 배치하고 나면, 도 16e 및 도 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81)의 양면에 커버층(84)과 백킹층(85)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층(84)은 베이스층(81)의 제1 면에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고, 백킹층(85)은 베이스층(81)의 제1 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면에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레드 섹션(82)은 커버층(84)과 베이스층(81) 사이에서는 연장되지만, 백킹층(85)과 베이스층(81) 사이의 영역에서는 실질적으로 부재할 수 있다.
커버층(84)과 백킹층(85)을 결합시키기 위해, 도 16f 및 도 1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요소들을 가열하고 압축하는 데 역시 프레스(90) 또는 다른 프레스가 활용된다. 베이스층(81)의 양면 상에 결합층(83)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결합층(83)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는 커버층(84) 및 백킹층(85)과 접합된다. 추가로, 이전 과정에서 수행되지 않았다면 결합층(83)은 또한 베이스층(81)에 스레드 섹션(82)을 접합시킬 수 있다. 자수형 요소(80)의 구성 요소들은 프레스(90)로부터 제거될 시에 서로 결합되며, 자수형 요소(90)를 제작하거나 형성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스를 실질적으로 완료하도록 도 16g 및 도 1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재료가 절단되거나 재단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합층(83)은 베이스층(81)의 양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7a를 참고하면, 결합층은 베이스층(81)의 하나의 면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가열 및 압축의 적용을 통해 도 16b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층(83)의 폴리머 재료는 베이스층(81)에 스며들 수 있고, 폴리머 재료의 일부는 베이스층의 양면에 존재하도록 베이스층(81)을 통과할 수 있다. 몇몇 프로세스에서, 베이스층(81)의 양면에 동일한 양의 폴리머 재료가 존재하도록 2개의 결합층(83) 시트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81)에 결합층(83)의 폴리머 재료를 분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세스는 베이스층의 양면에 분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결합층(83)을 형성하는 폴리머 재료의 용융 또는 비경화 배스 내에 베이스층을 침지하는 프로세스도 또한 베이스층의 양면에 폴리머 재료를 도포한다. 따라서, (a) 베이스층(81)의 제1 면에 스레드(82)와 커버층(84)을 고착시키고, (b) 베이스층(81)의 제2 면에 백킹층(85)을 고착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베이스층(81)의 양면에 결합층(83)의 폴리머 재료가 마련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수를 놓기 이전에 베이스층(81)에 결합층(83)의 폴리머 재료를 함침시킴으로써, 자수 공정으로 인해 베이스층(81)이 휘거나, 굴곡되거나, 주름지거나, 또는 변형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데 폴리머 재료가 활용된다. 베이스층(81)에 결합층(83)의 폴리머 재료를 함침시키는 것은 또한, 스레드 섹션(82), 커버층(84) 및 백킹층(85) 각각에 접합되거나, 결합되거나, 스며들거나 또는 함침되며, 이에 의해 베이스층(81)에 스레드 섹션(82), 커버층(84) 및 백킹층(85)을 고착시키는 재료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일반적인 프로세스는 (a) 자수 공정 동안에 베이스층(81)을 안정화시키고, (b) 스레드 섹션(82)의 위치를 고정하며 베이스층(81)에 커버층(84)과 백킹층(85) 모두를 결합시키는 데 결합층(83)을 활용한다.
전술한 제조 프로세스에 이어서, 신발류(10)와 같은 신발류 물품에 자수형 요소(80) 및 유사한 자수형 요소가 통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수형 요소(80)는 예컨대 자수형 요소(40)를 대체할 수 있으며, 유사한 프로세스를 통해 형성된 자수형 요소는 자수형 요소(50)를 대체할 수 있다. 몇몇 구성에서, 커버층(84)은 신발류(10)의 상부(30)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는 반면, 백킹층(85)은 신발류(10)를 착화했을 때 발과 접촉하는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커버층(84)은 상부(30)의 내면을 형성할 수 있는 반면, 백킹층(85)은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결론
전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상부(30)는 스레드(42, 52)로부터 구조 요소를 형성하는 자수 공정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스레드(42, 52)의 방위, 위치 및 양에 따라, 상부(30)에 상이한 구조 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구조 요소는 특정 영역에 내연신성을 부여하거나, 영역을 보강하거나, 내마모성을 증대시키거나, 가요성을 조절하거나 또는 통기성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레드(42, 52)의 방위, 위치 및 양을 제어함으로써, 상부(30)와 신발류(10)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는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개시물에 의해 제공되는 목적은 본 발명의 양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양태에 관련된 다양한 특징과 개념의 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전술한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10 : 신발류
11 : 앞발 영역
12 : 중간발 영역
13 : 발뒤꿈치 영역
14 : 신발류의 측방부
15 : 신발류의 내측부
20 : 밑창 구조체
21, 22 : 밑창 요소
30 : 상부
40, 50, 80 : 자수형 요소

Claims (26)

  1. 복합 요소로서,
    제1 면과 이 제1 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면을 갖고, 연신율이 30 % 이상인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과는 별개이며, 베이스층 내로 퍼지고, 베이스층의 제1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와,
    상기 베이스층의 제1 면에 이웃하며 적어도 5 센티미터의 거리에 걸쳐 베이스층의 제1 면과 거의 평행하게 놓이는 섹션을 갖고,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에 의해 베이스층에 접합되는 스레드(thread), 그리고
    상기 베이스층의 제1 면에 이웃하고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에 의해 베이스층에 접합되는 커버층
    을 포함하며, 상기 스레드의 섹션은 커버층과 베이스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복합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의 섹션은 베이스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스레드의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복합 요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의 섹션의 단부는 베이스층의 에지에 배치되는 것인 복합 요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는, 베이스층의 제1 면에 이웃하게 놓이고 적어도 5 센티미터의 거리에 걸쳐 베이스층의 제1 면과 거의 평행한 복수 개의 추가의 섹션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요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섹션은 서로 거의 평행하도록 배향되는 것인 복합 요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섹션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향되는 것인 복합 요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는 또한 베이스층의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층의 제2 면에 이웃하게 백킹층이 배치되고, 이 백킹층은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에 의해 베이스층에 접합되는 것인 복합 요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직물 재료인 것인 복합 요소.
  9. 상부와, 상부에 고착되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으로서, 상기 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면과 이 제1 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면을 갖고, 연신율이 30 % 이상인 직물층과,
    상기 직물층과는 별개이며, 직물층 내로 퍼지고, 직물층의 제1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와,
    상기 직물층의 제1 면에 이웃하며 적어도 5 센티미터의 거리에 걸쳐 직물층의 제1 면과 거의 평행하게 놓이는 섹션을 갖고,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에 의해 직물층에 접합되는 스레드, 그리고
    상기 상부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직물층의 제1 면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에 의해 직물층에 접합되는 커버층
    을 포함하며, 상기 스레드의 섹션은 커버층과 직물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의 섹션은 직물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스레드의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의 섹션의 단부는 직물층의 에지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는, 직물층의 제1 면에 이웃하게 놓이고 적어도 5 센티미터의 거리에 걸쳐 직물층의 제1 면와 거의 평행한 복수 개의 추가의 섹션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섹션은 서로 거의 평행하도록 배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섹션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는 또한 직물층의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직물층의 제2 면에 이웃하게 백킹층이 배치되고, 이 백킹층은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에 의해 직물층에 접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층은 신발류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7. 복합 요소를 제조하는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으로서,
    직물층의 제1 면과 이 제1 면의 반대측에 있는 직물층의 제2 면에 배치되는 폴리머 재료를 직물층에 함침시키는 단계와,
    스레드의 섹션이 직물층에 이웃하고 적어도 5 센티미터의 거리에 걸쳐 직물층과 거의 평행하게 놓이도록 직물층에 스레드로 수를 놓는 단계와,
    스레드의 섹션이 직물층과 커버층 사이에 배치되도록 직물층의 제1 면에 이웃하게 커버층을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직물층에 스레드의 섹션과 커버층을 접합하기 위해 폴리머 재료를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연신율이 30 % 이상인 직물 재료인 직물층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에 스레드로 수를 놓는 단계는 직물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스레드의 부분들 사이에 스레드의 섹션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에 스레드로 수를 놓는 단계는, 직물층에 이웃하게 그리고 적어도 5 센티미터의 거리에 걸쳐 직물층과 거의 평행하게 스레드의 복수의 추가의 섹션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에 스레드로 수를 놓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추가의 섹션을 서로 거의 평행하도록 배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에 스레드로 수를 놓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추가의 섹션을 서로 교차하도록 배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의 제2 면에 이웃하게 백킹층을 배치하고 이 백킹층을 폴리머 재료에 의해 직물층에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자수형 요소를 신발류 물품에 일체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형 요소를 신발류 물품에 일체화시키는 단계는, 신발류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커버층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의 제2 면에 이웃하게 백킹층을 배치하고, 이 백킹층을 폴리머 재료를 이용하여 직물층에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수형 요소를 신발류 물품에 일체화시키는 단계는, 신발류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백킹층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요소의 제조 방법.
KR1020117003301A 2008-07-25 2009-05-28 폴리머 결합층을 지닌 복합 요소 KR101287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80,235 2008-07-25
US12/180,235 US8122616B2 (en) 2008-07-25 2008-07-25 Composite element with a polymer connecting layer
PCT/US2009/045416 WO2010011414A2 (en) 2008-07-25 2009-05-28 Composite element with polymer connecting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974A KR20110070974A (ko) 2011-06-27
KR101287261B1 true KR101287261B1 (ko) 2013-07-17

Family

ID=4156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301A KR101287261B1 (ko) 2008-07-25 2009-05-28 폴리머 결합층을 지닌 복합 요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8122616B2 (ko)
EP (1) EP2307194B1 (ko)
JP (1) JP5589191B2 (ko)
KR (1) KR101287261B1 (ko)
CN (2) CN101632502B (ko)
AU (1) AU2009274492B2 (ko)
BR (1) BRPI0916317A2 (ko)
CA (1) CA2731244C (ko)
WO (1) WO20100114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2775B2 (en) * 2000-03-10 2010-07-13 Lyden Robert M Footwear with removable lasting board and cleats
US7107235B2 (en) 2000-03-10 2006-09-12 Lyden Robert M Method of conducting business including making and selling a custom article of footwear
US8312645B2 (en) 2006-05-25 2012-11-20 Nike, Inc. Material elements incorporating tensile strands
US8312646B2 (en) 2006-05-25 2012-11-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tensile element
US8418380B2 (en) 2006-05-25 2013-04-1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incorporating a tensile strand with a cover layer
US8893405B2 (en) * 2006-05-25 2014-11-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tensile strands with an elongated cross-sectional shape
US8904671B2 (en) * 2006-05-25 2014-12-09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a tensile element with a deposition layer
US8122616B2 (en) * 2008-07-25 2012-02-28 Nike, Inc. Composite element with a polymer connecting layer
US20100199406A1 (en) * 2009-02-06 2010-08-12 Nike, Inc. Thermoplastic Non-Woven Textile Elements
US8132340B2 (en) * 2009-04-07 2012-03-13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crossed tensile strand elements
US8388791B2 (en) * 2009-04-07 2013-03-05 Nike, Inc. Method for molding tensile strand elements
US8266827B2 (en) * 2009-08-24 2012-09-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tensile strands and securing strands
US8453354B2 (en) 2009-10-01 2013-06-04 Nike, Inc. Rigid cantilevered stud
US8572866B2 (en) 2009-10-21 2013-11-05 Nike, Inc. Shoe with composite upper and foam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429835B2 (en) * 2009-10-21 2013-04-30 Nike, Inc. Composite shoe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321984B2 (en) * 2009-10-21 2012-12-04 Nike, Inc. Composite shoe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302329B2 (en) 2009-11-18 2012-11-06 Nike, Inc. Footwear with counter-supplementing strap
US8544197B2 (en) 2010-02-11 2013-10-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illuminable panel
US8453357B2 (en) 2010-02-11 2013-06-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illuminable strands
US8973288B2 (en) * 2010-07-30 2015-03-10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angled tensile strand elements
US8631589B2 (en) 2010-07-30 2014-01-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floating tensile strands
US8555415B2 (en) 2010-08-13 2013-10-15 Nike, Inc. Apparel incorporating tensile strands
US8857077B2 (en) 2010-09-30 2014-10-14 Nike, Inc. Footwear with internal harness
US8839532B2 (en) * 2011-03-15 2014-09-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10398196B2 (en) 2011-03-15 2019-09-03 Nike, Inc. Knitted component with adjustable inlaid strand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060570B2 (en) 2011-03-15 2015-06-23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knitted component
US10172422B2 (en) * 2011-03-15 2019-01-08 Nike, Inc. Knitted footwear component with an inlaid ankle strand
US8522577B2 (en) 2011-03-15 2013-09-03 Nike, Inc. Combination feeder for a knitting machine
US8800172B2 (en) * 2011-04-04 2014-08-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knit upper with a polymer layer
US9150986B2 (en) 2011-05-04 2015-10-06 Nike, Inc. Knit component bonding
US20130007947A1 (en) 2011-07-08 2013-01-10 Hurley International, Llc Water Shorts
US9351532B2 (en) 2011-09-06 2016-05-31 Convers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upper having a mesh material
CN103027440A (zh) * 2011-09-30 2013-04-10 卡骆驰公司 具有编织部的鞋
US9113674B2 (en) 2011-12-15 2015-08-25 Nike, Inc.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forefoot tensile strand elements
CN104185431B (zh) * 2012-01-02 2017-02-22 全星有限合伙公司 包括具有网材料的鞋面的鞋类物品
US8819963B2 (en) 2012-02-24 2014-09-02 Nike, Inc. Articles of footwear with tensile strand elements
DE102012202866A1 (de) 2012-02-24 2013-08-29 Adidas Ag Material für Schuhoberteil
US8925129B2 (en) * 2012-02-24 2015-01-06 Nike,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articles of footwear with tensile strand elements
US8887410B2 (en) 2012-02-24 2014-11-18 Nike, Inc. Articles of footwear with tensile strand elements
WO2013148244A1 (en) * 2012-03-27 2013-10-03 Under Armour, Inc. 3 dimensionally woven footwear
DE102012206062B4 (de) * 2012-04-13 2019-09-12 Adidas Ag Schuhoberteil
US9179739B2 (en) 2012-06-21 2015-11-10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looped tensile strand elements
US20140013625A1 (en) * 2012-07-11 2014-01-16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shoe
KR101347130B1 (ko) * 2012-07-24 2014-01-07 (주) 에코그린피아 초경량 기능성 신발
US9609915B2 (en) 2013-02-04 2017-04-04 Nike, Inc. Outsole of a footwear article, having fin traction elements
WO2014022588A1 (en) * 2012-08-03 2014-02-06 Sockwa Corporation Shoe and sock hybrid
US9320312B2 (en) 2012-08-30 2016-04-26 Nike, Inc. Composite upper for shoe with selectively disposed bonding agent
US20140130374A1 (en) * 2012-11-15 2014-05-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EP3597064B1 (en) 2012-11-27 2021-02-24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861160B2 (en) 2012-11-30 2018-01-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635905B2 (en) * 2012-12-10 2017-05-02 Nike, Inc. Upper having bonded differentially-oriented inner and outer reinforcing strips
US20140173933A1 (en) 2012-12-21 2014-06-26 Nike, Inc. Woven Footwear Upper With A Lockout Assembly
US20140202034A1 (en) * 2013-01-23 2014-07-24 Nike, Inc. Anti-Stretch Treatment Of Leather For Articles Of Footwear
US9788608B2 (en) * 2013-02-13 2017-10-17 Nike, Inc. Shoe upper having multiple weld zones
US9237779B2 (en) 2013-02-13 2016-01-19 Nike, Inc. Shoe upper having multiple unwelded flex zones
US20140237850A1 (en) * 2013-02-22 2014-08-28 Nike, Inc. Footwear With Reactive Layers
US9545128B2 (en) * 2013-03-04 2017-01-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tensile strand
US9603414B2 (en) * 2013-03-15 2017-03-28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a tensile element
US9060567B2 (en) * 2013-03-22 2015-06-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tensile structure
DE102013207163B4 (de) 2013-04-19 2022-09-22 Adidas Ag Schuhoberteil
DE102013207155B4 (de) 2013-04-19 2020-04-23 Adidas Ag Schuhoberteil
US11666113B2 (en) 2013-04-19 2023-06-06 Adidas Ag Shoe with knitted outer sole
DE102013207156A1 (de) 2013-04-19 2014-10-23 Adidas Ag Schuh, insbesondere ein Sportschuh
US20140373389A1 (en) * 2013-06-25 2014-12-25 Nike, Inc. Braided Upper With Overlays For Article Of Footwear
US10863794B2 (en) 2013-06-25 2020-12-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KR101838824B1 (ko) 2013-06-25 2018-03-1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편조형 갑피를 지닌 신발류 물품
EP2839755B1 (en) * 2013-08-23 2020-03-25 Adidas AG Shoe upper and shoe comprising such shoe upper
US9554622B2 (en) 2013-09-18 2017-01-31 Nike, Inc. Multi-component sole structure having an auxetic configuration
US9538811B2 (en) 2013-09-18 2017-01-10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holes arranged in auxetic configuration
US9549590B2 (en) 2013-09-18 2017-01-24 Nike, Inc. Auxetic structures and footwear with soles having auxetic structures
US9402439B2 (en) 2013-09-18 2016-08-02 Nike, Inc. Auxetic structures and footwear with soles having auxetic structures
US9554620B2 (en) 2013-09-18 2017-01-31 Nike, Inc. Auxetic soles with corresponding inner or outer liners
US9456656B2 (en) 2013-09-18 2016-10-04 Nike, Inc. Midsole component and outer sole members with auxetic structure
US9554624B2 (en) 2013-09-18 2017-01-31 Nike, Inc. Footwear soles with auxetic material
DE102014202432B4 (de) 2014-02-11 2017-07-27 Adidas Ag Verbesserter Fußballschuh
WO2015148734A1 (en) 2014-03-25 2015-10-01 Under Armour, Inc. Footwear including textile element
JP6085066B2 (ja) * 2014-03-31 2017-02-22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のアッパー
US9861162B2 (en) 2014-04-08 2018-01-09 Nike, Inc. Compon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lightweight, selectively supported textile components
US9872537B2 (en) * 2014-04-08 2018-01-23 Nike, Inc. Compon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lightweight, selectively supported textile components
US9474326B2 (en) 2014-07-11 2016-10-25 Nike, Inc. Footwear having auxetic structures with controlled properties
US11583034B2 (en) * 2018-04-10 2023-02-21 Nike, Inc. Multi-layer extruded upper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US10064448B2 (en) 2014-08-27 2018-09-04 Nike, Inc. Auxetic sole with upper cabling
US9854869B2 (en) 2014-10-01 2018-01-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one or more auxetic bladders
DE102014220087B4 (de) 2014-10-02 2016-05-12 Adidas Ag Flachgestricktes Schuhoberteil für Sportschuhe
US9901135B2 (en) 2014-12-09 2018-02-27 Nike, Inc. Footwear with flexible auxetic ground engaging members
US9775408B2 (en) 2014-12-09 2017-10-03 Nike, Inc. Footwear with auxetic ground engaging members
US9681703B2 (en) 2014-12-09 2017-06-20 Nike, Inc. Footwear with flexible auxetic sole structure
US9668544B2 (en) 2014-12-10 2017-06-06 Nike, Inc. Last system for articles with braided components
US10674791B2 (en) 2014-12-10 2020-06-09 Nike, Inc. Braided article with internal midsole structure
DE102015205751B4 (de) * 2015-03-31 2018-10-31 Adida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uhoberteils, Schuhoberteil und Sportschuh
EP3545784A1 (en) * 2015-03-31 2019-10-02 adidas AG Shoe upper for sports shoes
DE102016201973B4 (de) * 2016-02-10 2020-06-18 Adidas Ag Schuhoberteil für Sportschuhe
EP3283676B1 (en) * 2015-04-16 2021-12-01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having floated yarn portions and a method of making same
US20160345675A1 (en) 2015-05-26 2016-12-01 Nike, Inc. Hybrid Braided Article
US10555581B2 (en) 2015-05-26 2020-02-11 Nike, Inc. Braided upper with multiple materials
TWI634851B (zh) 2015-05-29 2018-09-1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具有鞋面部與鞋墊部的鞋平面圖案鞋面的物品
US11103028B2 (en) 2015-08-07 2021-08-31 Nike, Inc. Multi-layered braided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US10070688B2 (en) 2015-08-14 2018-09-11 Nike, Inc. Sole structures with regionally applied auxetic openings and siping
US9635903B2 (en) 2015-08-14 2017-05-02 Nike, Inc. Sole structure having auxetic structures and sipes
US9668542B2 (en) 2015-08-14 2017-06-06 Nike, Inc. Sole structure including sipes
DE212017000085U1 (de) 2016-03-15 2018-10-26 Nike Innovate C.V. Fussbekleidungsartikel
US10508373B2 (en) * 2016-05-13 2019-12-17 Nike, Inc. Embroidered article
CN105877002B (zh) * 2016-06-13 2017-09-12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带环圈护眼的鞋面及其制造方法
US11445779B2 (en) * 2016-07-21 2022-09-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layers, retention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1680343B2 (en) 2016-11-09 2023-06-20 Nike, Inc. Textiles and article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US20180158440A1 (en) * 2016-12-02 2018-06-07 Bradley Ronald Kroehling Visual feedback device
US10619296B2 (en) * 2017-01-06 2020-04-14 Under Armour, Inc. Articles with embroidered sequins and methods of making
US10694817B2 (en) * 2017-03-07 2020-06-30 Adidas Ag Article of footwear with upper having stitched polymer thread pattern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194714B2 (en) 2017-03-07 2019-02-05 Adidas Ag Article of footwear with upper having stitched polymer thread pattern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098409B1 (en) * 2017-05-25 2018-10-16 Nike, Inc. Pre-tensioned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US10806210B2 (en) 2017-05-31 2020-10-20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202483B2 (en) 2017-05-31 2021-12-21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051573B2 (en) 2017-05-31 2021-07-06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304473B2 (en) * 2017-06-20 2022-04-19 New Balance Athletics,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embroidered element,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US10711380B2 (en) 2017-07-13 2020-07-14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embroidered tape segments
US10743608B2 (en) 2017-12-28 2020-08-18 Under Armour, Inc. Fiber reinforced plate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methods of making
US10874172B2 (en) 2018-04-04 2020-12-29 Adidas Ag Articles of footwear with uppers comprising a wound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834998B2 (en) * 2018-04-13 2020-11-17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including a holding cage
US10736381B2 (en) 2018-07-03 2020-08-11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directional tensioning
US10786043B2 (en) 2018-07-03 2020-09-29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thermally bonded ribbo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US10758007B2 (en) 2018-07-03 2020-09-01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thermally bonded ribbo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US10619280B2 (en) 2018-07-03 2020-04-14 Under Armour, Inc. Method of making article with ribbon structure and embroidered edges
US10736380B2 (en) 2018-07-03 2020-08-11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ribbon structure and embroidered edges
US10716362B2 (en) 2018-07-03 2020-07-21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ribbon structure having nodes and links
US10993497B2 (en) 2018-11-15 2021-05-04 Under Armour, Inc. Article with ribbon loops for string lasting
CN109288189A (zh) * 2018-11-26 2019-02-01 安踏(中国)有限公司 一种发光鞋面制品、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3507861B (zh) * 2019-03-15 2023-03-3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支撑构件
US11602196B2 (en) * 2020-07-13 2023-03-14 Adidas Ag Articles of footwear comprising a wound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30002966A1 (en) * 2021-06-30 2023-01-05 CreateMe Technologies LLC Stabilizer coating for machine embroider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0055A2 (en) * 2006-05-25 2007-12-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WO2007139567A1 (en) * 2006-05-25 2007-12-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9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4091A (en) * 1931-12-26 1936-03-17 Cambridge Rubber Co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US2048294A (en) * 1932-12-03 1936-07-21 Us Rubber Co Footwear
US2205356A (en) * 1938-12-12 1940-06-18 Gruensfelder Shoe of elastic material
US2311996A (en) * 1940-11-28 1943-02-23 Thomas Taylor & Sons Inc Footwear
US2622052A (en) * 1948-09-02 1952-12-16 United Shoe Machinery Corp Method of making ornamented articles from sheet material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FR1462349A (fr) 1965-10-18 1966-12-16 Bande textile extensible, recouverte de bandelettes de cuir, ou toute autre matière, utilisée en fabrication de chaussures, maroquinerie, habillement, ameublement et tout article de nouveauté,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US3439434A (en) * 1967-03-22 1969-04-22 Superga Spa Ski shoe
US3823493A (en) * 1969-06-11 1974-07-16 Freudenberg C Foam polyurethane boot with lining
FR2046671A5 (en) 1970-05-22 1971-03-05 Andre Chaussures Sa Elaborate shoe-upper polyurethane mould- - ings
US3672078A (en) * 1970-06-23 1972-06-27 Tatsuo Fukuoka Footwear
JPS5218618B1 (ko) * 1971-06-05 1977-05-23
FR2457651A1 (fr) 1979-05-22 1980-12-26 Frapima Sarl Chaussure pour pieds sensibles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IT8145209A0 (it) 1981-12-21 1981-12-21 Francalanci Natalino Scarpa fisiologica a tomaia elasticizzata per compensazione e protezione delle deformazioni doloranti e non del piede
US4627369A (en) 1983-06-27 1986-12-09 Conrad Industries, Inc. System for improving embroidered articles
US4642819A (en) 1985-01-10 1987-02-17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s with multiple strand elasticized openings
US4634616A (en) * 1986-01-30 1987-01-06 Musante Louis P Stencil art overlays
US4858339A (en) * 1987-01-10 1989-08-22 Nippon Rubber Co., Ltd. Composite rubber sheet material and sports shoe employing the same
US4756098A (en) * 1987-01-21 1988-07-12 Gencorp Inc. Athletic shoe
US4873725A (en) * 1988-04-21 1989-10-17 Mitchell Tonia L Infant care apron
WO1990004514A1 (en) * 1988-10-21 1990-05-03 Ted Stahl Pre-sewn letter and method
US5019197A (en) * 1988-11-07 1991-05-28 Henderson Lionel A Method of making composites having layers of the same or different firmness
WO1992022223A1 (de) * 1991-06-17 1992-12-23 Puma Aktiengesellschaft Rudolf Dassler Spo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uhformteils aus einer gewebebah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s schuhformteil
US5156022A (en) * 1991-06-25 1992-10-20 Bruce Altman Embroidered lace bracelets
US5271130A (en) * 1991-11-18 1993-12-21 K-Swiss Inc. Lacing system for shoes
EP0582158A1 (en) * 1992-07-28 1994-02-09 Urase Corp. Sheet for embroidered picture
US5359790A (en) * 1992-08-27 1994-11-01 Gamer Corporation Shoe having individualized display areas
ATE139421T1 (de) * 1992-08-27 1996-07-15 Gamer Corp Schuh mit anzeigebereichen für persönliche dat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nzeigebereichen für persönliche daten auf dem schuh
US5380480A (en) 1993-08-04 1995-01-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of making a consolidated part
DE4443456A1 (de) 1994-12-07 1996-07-04 Hoechst Trevira Gmbh & Co Kg Zweikomponenten-Schlingengarne aus Aramidfilament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GB9510624D0 (en) * 1995-05-25 1995-07-19 Ellis Dev Ltd Textile surgical implants
DE19601219C1 (de) * 1996-01-15 1997-01-02 Rudolf Hieblinger Sportschuh, insbesondere Fußballschuh
USD405587S (en) * 1996-05-28 1999-02-16 Chicago Protective Apparel, Inc. Eyelet embroidered/mesh protective sleeve
FR2750830B1 (fr) * 1996-07-09 1998-09-18 Ncv Nebon Carle Vassoilles Etoffe composite, notamment pour bagage a main ou vetement
DE19628388A1 (de) 1996-07-13 1998-01-15 Inst Polymerforschung Dresden Kraftflußgerechter, multiaxialer, mehrlagiger Faservorformling mit zumindest bereichsweiser Z-Achsen-Verstärkung und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20050034330A1 (en) * 1996-11-12 2005-02-17 Baychar Running shoes, hiking shoes and boots, snowboard boots, alpine boots, hiking boots, and the like, having waterproof/breathable moisture transfer characteristics
US6048810A (en) * 1996-11-12 2000-04-11 Baychar; Waterproof/breathable moisture transfer liner for snowboard boots, alpine boots, hiking boots and the like
US5832540A (en) * 1997-02-21 1998-11-10 Knight; Joel T. Pocket assembly for use on clothes
WO1998043506A1 (en) 1997-03-28 1998-10-08 Fila U.S.A., Inc. Engineered textile
US6003247A (en) * 1997-05-23 1999-12-21 Steffe; Daniel D. Anti-static boot having a conductive upper
US5930918A (en) * 1997-11-18 1999-08-03 Converse Inc. Shoe with dual cushioning component
US6009637A (en) * 1998-03-02 2000-01-04 Pavone; Luigi Alessio Helium footwear sole
US6038702A (en) * 1998-08-25 2000-03-21 Knerr; Charles R. Decorative patch
US6170175B1 (en) * 1998-12-08 2001-01-09 Douglas Funk Footwear with internal reinforcement structure
US6029376A (en) * 1998-12-23 2000-02-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US6128835A (en) * 1999-01-28 2000-10-10 Mark Thatcher Self adjusting frame for footwear
JP4128312B2 (ja) * 1999-02-24 2008-07-30 株式会社クラレ 表面立毛を有する皮革様シート
US6164228A (en) * 1999-08-24 2000-12-26 Lin; Chien-Lu Process and configuration of protruding embroidery
US6213634B1 (en) * 2000-01-10 2001-04-10 Ronald L. Harrington Combined watch and wristband
JP2001347590A (ja) 2000-06-09 2001-12-18 Nippon Petrochem Co Ltd 積層構造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6378230B1 (en) * 2000-11-06 2002-04-30 Visual3D Ltd. Lace-less shoe
DE10061028A1 (de) * 2000-12-08 2002-06-20 Ead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ehrschichtigen TFP-Preforms mittels schmelzbaren Fixierfäden
ITTV20010107A1 (it) 2001-08-03 2003-02-03 Benetton Spa Struttura di calzatura
US6718895B1 (en) * 2001-08-30 2004-04-13 Terrence M. Fortuna Method for producing a raised applique on a substrat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040005435A1 (en) * 2001-09-08 2004-01-08 Gangarao Hota V.S. 3-Dimensionally (3-d) stitched fabrics
US6665958B2 (en) * 2001-09-17 2003-12-23 Nike, Inc. Protective cage for footwear bladder
DE10210517B3 (de) * 2002-03-09 2004-01-29 Airbu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es in Faserverbundbauweise
DE20215559U1 (de) 2002-04-29 2003-01-02 Raichle Boots Ag Frauenfeld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US6785985B2 (en) * 2002-07-02 2004-09-07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having an inflatable bladder
US6615427B1 (en) * 2002-10-28 2003-09-09 Ellis R. Hailey Vented bed sheet
US6931762B1 (en) * 2002-12-18 2005-08-23 Nike, Inc. Footwear with knit up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otwear
US6910288B2 (en) * 2002-12-18 2005-06-28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a textile with fusible filaments and fibers
US6796876B2 (en) * 2003-01-21 2004-09-28 Regina Miracle International Limited Breast cup for a bra with visual enhancement
US20040181972A1 (en) * 2003-03-19 2004-09-23 Julius Csorba Mechanism of tying of shoes circumferentially embracing the foot within the shoe
AU2003218823A1 (en) 2003-04-08 2004-11-01 Soo-Ho Beak Method of manufacturing uppers of leather and mold for hot press
US7065820B2 (en) * 2003-06-30 2006-06-27 Nike, Inc. Article and method for laser-etching stratified materials
US6931764B2 (en) * 2003-08-04 2005-08-23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cushioning component
US6860214B1 (en) * 2003-09-22 2005-03-01 Tai Kuang Wang Raised embroidery process
US7100310B2 (en) * 2003-12-23 2006-09-0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US7086180B2 (en) * 2003-12-23 2006-08-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US7556846B2 (en) * 2003-12-23 2009-07-07 Nike, Inc.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US7562469B2 (en) * 2003-12-23 2009-07-21 Nike, Inc. Footwear with fluid-filled bladder and a reinforcing structure
US7086179B2 (en) * 2003-12-23 2006-08-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US7155846B2 (en) * 2004-06-03 2007-01-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exterior ribs
JP3902612B2 (ja) * 2004-06-16 2007-04-11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アッパーの締付構造
US7793434B2 (en) * 2004-09-03 2010-09-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a structured intermediate layer
US7293371B2 (en) * 2004-09-22 2007-11-13 Nike, Inc. Woven shoe with integral lace loops
US7540097B2 (en) * 2005-06-20 2009-06-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a matrix layer
US7287342B2 (en) * 2005-07-15 2007-10-30 The Timberland Company Shoe with lacing
US7637032B2 (en) * 2005-07-29 2009-12-29 Nike, Inc. Footwear structure with textile upper member
US7703218B2 (en) * 2005-09-14 2010-04-27 Burgess Richard C Traction device
US20070199210A1 (en) * 2006-02-24 2007-08-30 The Timberland Company Compression molded footwear and methods of manufacture
WO2007100055A1 (ja) 2006-03-02 2007-09-07 Meiji Seika Kaisha, Ltd. 呈味持続性チューインガムとその製造方法
US8312646B2 (en) 2006-05-25 2012-11-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tensile element
US8418380B2 (en) 2006-05-25 2013-04-1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incorporating a tensile strand with a cover layer
US7546698B2 (en) * 2006-05-25 2009-06-1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US8312645B2 (en) 2006-05-25 2012-11-20 Nike, Inc. Material elements incorporating tensile strands
US8225530B2 (en) * 2006-11-10 2012-07-2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at knit upper construction or other upper construction
US8008599B2 (en) * 2007-07-09 2011-08-30 Nike,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elements with incisions
US7849518B2 (en) 2007-08-10 2010-12-14 Hurley International, Llc Water shorts incorporating a stretch textile
US8122616B2 (en) * 2008-07-25 2012-02-28 Nike, Inc. Composite element with a polymer connecting layer
US8490299B2 (en) * 2008-12-18 2013-07-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8388791B2 (en) 2009-04-07 2013-03-05 Nike, Inc. Method for molding tensile strand elements
US8132340B2 (en) 2009-04-07 2012-03-13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crossed tensile strand elements
US8215033B2 (en) * 2009-04-16 2012-07-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 snowboarding
US8266827B2 (en) 2009-08-24 2012-09-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tensile strands and securing strands
US8453357B2 (en) * 2010-02-11 2013-06-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illuminable strands
US8544197B2 (en) * 2010-02-11 2013-10-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illuminable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0055A2 (en) * 2006-05-25 2007-12-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WO2007139567A1 (en) * 2006-05-25 2007-12-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32502A (zh) 2010-01-27
CN101632502B (zh) 2011-10-26
US8464441B2 (en) 2013-06-18
WO2010011414A3 (en) 2010-10-07
BRPI0916317A2 (pt) 2018-05-29
US20150265004A1 (en) 2015-09-24
US8122616B2 (en) 2012-02-28
CN201468180U (zh) 2010-05-19
CA2731244C (en) 2013-12-10
JP2011528935A (ja) 2011-12-01
AU2009274492A1 (en) 2010-01-28
KR20110070974A (ko) 2011-06-27
AU2009274492B2 (en) 2012-11-08
WO2010011414A2 (en) 2010-01-28
CA2731244A1 (en) 2010-01-28
US20130323458A1 (en) 2013-12-05
US20120117823A1 (en) 2012-05-17
EP2307194B1 (en) 2017-07-19
JP5589191B2 (ja) 2014-09-17
EP2307194A2 (en) 2011-04-13
US20100018075A1 (en)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261B1 (ko) 폴리머 결합층을 지닌 복합 요소
EP258097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EP2818070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EP2019602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KR20140034166A (ko) 폴리머층을 지닌 편물 갑피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