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964A - 2차 배터리 전극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2차 배터리 전극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964A
KR20220044964A KR1020227005315A KR20227005315A KR20220044964A KR 20220044964 A KR20220044964 A KR 20220044964A KR 1020227005315 A KR1020227005315 A KR 1020227005315A KR 20227005315 A KR20227005315 A KR 20227005315A KR 20220044964 A KR20220044964 A KR 20220044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de
mol
repeating units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 비토리오 오리아니
카브레라 로시타 리세테 페냐
줄리오 에이 아부슬레메
Original Assignee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이태리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이태리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이태리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2004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96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형성 조성물, 전극의 제조 공정에서의 상기 전극-형성 조성물의 용도, 상기 전극, 및 전기화학 디바이스, 예컨대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2차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차 배터리 전극용 조성물
관련 출원과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9년 8월 7에 출원된 유럽 출원 제19190465.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 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극-형성 조성물, 전극의 제조 공정에서의 상기 전극-형성 조성물의 용도, 상기 전극, 및 전기화학 디바이스, 예컨대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2차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화학 디바이스, 예컨대 2차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포함한다.
2차 배터리용 전극은 전극-형성 조성물을 "집전체"로도 알려진 금속 기판(metal substrate) 상에 도포함으로써 통상 생성된다. 전극-형성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바인더를 분말형 전기-활성 화합물 및 선택적으로 기타 다른 성분, 예컨대 용매, 전도성을 향상시키고/향상시키거나 점도를 제어하는 재료와 혼합함으로써 형성된다. 바인더는 집전체 및 전기-활성 화합물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보장함으로써 전기-활성 물질이 필요에 따라 전자를 전달할 수 있게 해야 하기 때문에 전극의 핵심 성분이다. 현재의 시판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음극에서는 전기-활성 화합물로서 흑연을, 그리고 양극에서는 전기-활성 화합물로서 니켈 및 리튬을 함유하는 혼합 산화물을 사용한다. 전극-형성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집전체 상에 도포되고, 건조된다. 생성되는 시트는 통상 캘린더링되거나 다르게는 기계적으로 처리되고 롤링된다. 이어서, 개별 전극을 이 시트로부터 절취한다.
플루오로중합체는 전기화학 디바이스, 예컨대 2차 배터리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의 제조를 위한 바인더로서 적합한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관련 기술에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PVDF)가 비수성 전해질 2차 배터리의 전극 바인더로서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PVDF 단일중합체는 금속에 대해 불량한 접착력을 갖는다. 이 문제에 직면하기 위하여, 몇몇 해결책이 제안되어 있다. 한 예로서, WO 2008/129041에서는, (메트)아크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특정 반복 단위를 포함함으로써 PVDF 중합체의 금속에 대한 접착력을 개선하는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훨씬 더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전극 바인더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PVDF 분자량의 증가는, 구체적으로는 금속에 대한 접착력의 관점에서,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성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VDF 수지의 분자량은 가교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가교 접근법은 가교 촉진제를 플루오로중합체와 블렌딩한 후, 열처리하거나 이온화 방사선으로 처리하여 가교를 제공하는 것을 통상 수반한다.
한 예로서, EP0969023(DUPONT THE NEMOURS AND COMPANY)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가교 촉진제의 존재 하에서 열적으로 가교될 수 있는 작용화된 플루오로중합체를 개시하는데, 여기서 상기 플루오로중합체의 작용기는 에스테르, 알코올 및 산을 포함한다.
상이한 접근법에서, US 2018/0248193(KUREHA CORPORATION)은 리튬 코발트산염 및 리튬 철 인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활물질 및 하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전극-형성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전극을 열 처리함으로써, 전극 내의 활물질(active material)에 대한 그리고 금속에 대한 플루오린계 중합체의 접착력을 개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 화학식 -X-COOH(여기서, X는 1개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주쇄를 갖는 원자단임)의 카르복실 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쇄를 포함하는 제1 플루오린계 중합체, 및
- 하이드록실 기를 포함하는 측쇄를 갖는 제2 플루오린계 중합체.
유리하게는 뛰어난 용량값 및 금속 기판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전기화학 디바이스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양극 및 음극 둘 모두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하이드록실 기를 포함하는 특정 측쇄를 포함하는 제1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 및 아크릴산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제2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양극 및 음극 둘 모두에 사용될 때 놀라운 접착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전극-형성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필요성에 대처한다.
본 발명은 전극-형성 조성물(C)에 관한 것으로, 이는
(a)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루오로중합체[중합체(FA)]로서,
- (ai)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 (aii)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함유 비닐 단량체(H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FA) 내의 단량체(H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의 총량은 중합체(FA)의 반복 단위들의 총 몰수에 대해 최대 10.0 몰%,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몰%,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몰%이고;
상기 중합체(FA)는 랜덤하게 분포된 단량체(HA)의 분율이 적어도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FA); 및
(b) 중합체(FA)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루오로중합체[중합체(FB)]로서,
- (bi)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 (bii) 화학식 II의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 기-함유 아크릴 단량체(C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를 포함하며:
[화학식 I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3 탄화수소 기로부터 선택되고, RH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 기를 포함하는 C1-C10 탄화수소 사슬 모이어티(moiety)임),
상기 중합체(FB) 내의 단량체(C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의 총량은 중합체(FB)의 반복 단위들의 총 몰수에 대해 최대 10.0 몰%,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몰%,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몰%이고;
상기 중합체(FB)는 랜덤하게 분포된 단량체(CA)의 분율이 적어도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FB);
(c)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물질(AM);
(d) 적어도 하나의 용매(S)
를 포함한다.
하이드록실 기를 갖는 특정 단량체를 백본 내에 포함하는 제1 플루오로중합체를 아크릴산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백본 내에 포함하는 제2 플루오로중합체와 블렌딩함으로써, 전극-형성 조성물 내의 바인더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플루오로중합체들의 가교성 블렌드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상기 플루오로중합체들의 가교성 블렌드는, 일단 전극-형성 조성물이 전극의 제조 공정에서 집전체 상에 캐스팅되면, 열적으로 가교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플루오로중합체 내에 함유된 하이드록실 기와 제2 플루오로중합체 내에 함유된 아크릴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카르복실 기 사이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구체적으로는 금속에 대한 접착력의 관점에서, 개선된 성능을 갖는 전극을 가져온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바와 같은 전극-형성 조성물(C)을 사용하여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정은
(i) 적어도 한쪽 표면을 갖는 금속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전극-형성 조성물(C)을 제공하는 단계;
(iii) 단계 (ii)에서 제공된 조성물(C)을 단계 (i)에서 제공된 금속 기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 상에 도포하여, 상기 조성물(C)이 적어도 한쪽 표면 상에 코팅된 금속 기판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iv) 단계 (iii)에서 제공된 조립체를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그러한 공정으로부터 수득 가능한 전극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C)은 전기화학 디바이스용 양극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용어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일반적으로 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1,1-디플루오로에틸렌, VDF로도 나타냄)는 화학식 CF2=CH2의 반복 단위를 나타내고자 한다.
적합한 하이드록실 기-함유 비닐 단량체(HA)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및 C1-C3 탄화수소 기로부터 선택되고, ROH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를 포함하고 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산소 원자, 카르보닐 기 또는 카르복시 기를 사슬 내에 함유하는 C2-C10 탄화수소 사슬 모이어티(moiety)임).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량체(HA)는 화학식 Ia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a]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3 탄화수소 기로부터 선택되고, R’OH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를 포함하는 C1-C5 탄화수소 모이어티임).
화학식 Ia의 단량체(HA)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특히 하기가 포함된다:
-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HEA),
-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PA),
- 하이드록시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HA)는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HEA)이다.
화학식 II의 단량체(CA)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특히 하기가 포함된다:
- 아크릴산(AA) 및
- (메트)아크릴산,
및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CA)는 아크릴산(AA)이다.
조성물(C) 내의 중합체(FA)와 중합체(FB) 사이의 중량비는 5:95 내지 95:5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80:20에 포함될 수 있다.
조성물(C) 내의 중합체(FA)와 중합체(FB) 사이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C) 내의 반복 단위 (aii)와 반복 단위 (bii) 사이의 몰비가 20:1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10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획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중합체(FA)에서, 랜덤하게 분포된 단위(HA)의 분율은 적어도 40%이고, 중합체(FB)에서, 랜덤하게 분포된 단위(CA)의 분율은 적어도 40%인 것이 필수적이다.
"랜덤하게 분포된 단위(HA)의 분율"이라는 표현은 중합체(FA) 내의 VDF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2개의 반복 단위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HA) 단량체 배열(sequence)의 평균 개수(%)와 (MA) 단량체 반복 단위의 총 평균 개수(%) 사이의 % 비를 나타내고자 하며, 이는 하기 식에 따른다:
Figure pct00004
(HA) 반복 단위 각각이 격리되어 있는 경우, 즉 VDF 단량체의 2개의 반복 단위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HA) 배열의 평균 개수는 (HA) 반복 단위의 평균 총 개수와 동일하며, 이에 따라 중합체(FA) 내의 랜덤하게 분포된 단위(HA)의 분율은 100%이며: 이 값은 중합체(FA) 내의 (HA) 반복 단위의 완벽히 랜덤한 분포에 상응한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HA) 단위의 총 개수에 대해 격리된 (HA) 단위의 개수가 클수록, 랜덤하게 분포된 단위(HA)의 분율의 백분율 값이 더 높을 것이다.
"랜덤하게 분포된 단위(CA)의 분율"이라는 표현은 중합체(FB) 내의 VDF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2개의 반복 단위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CA) 단량체 배열의 평균 개수(%)와 (CA) 단량체 반복 단위의 총 평균 개수(%) 사이의 % 비를 나타내고자 하며, 이는 하기 식에 따른다:
Figure pct00005
(CA) 반복 단위 각각이 격리되어 있는 경우, 즉 VDF 단량체의 2개의 반복 단위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CA) 배열의 평균 개수는 (CA) 반복 단위의 평균 총 개수와 동일하며, 이에 따라 중합체(FB) 내의 랜덤하게 분포된 단위(CA)의 분율은 100%이며: 이 값은 중합체(FB) 내의 (CA) 반복 단위의 완벽히 랜덤한 분포에 상응한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CA) 단위의 총 개수에 대해 격리된 (CA) 단위의 개수가 클수록, 랜덤하게 분포된 단위(CA)의 분율의 백분율 값이 더 높을 것이다.
중합체(FA) 내의 (HA) 단량체 반복 단위 및 중합체(FB) 내의 (CA) 단량체 반복 단위의 총 평균 개수의 결정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NMR이 바람직하다.
중합체(FA) 및 중합체(FB) 내에 각각 랜덤하게 분포된 단위(HA) 및 랜덤하게 분포된 단위(CA)의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이다.
중합체(FA)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5 몰%,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2 몰%의, 상기 단량체(H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FA)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몰%,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몰%의, 단량체(H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FB)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5 몰%,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2 몰%의, 상기 단량체(C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FB)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7.0%,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몰%,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몰%의, 단량체(C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각각 적어도 70 몰%의 VDF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FA) 및 중합체(FB)를 갖는 조성물(C)에서 탁월한 결과가 달성되었다.
중합체(FA) 및 중합체(FB) 둘 모두는 독립적으로 탄성중합체 또는 반결정질 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FA) 및 중합체(FB) 둘 모두는 반결정질 중합체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반결정질"은 DSC 분석 시에 유리 전이 온도 Tg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결정질 융점을 갖는 플루오로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본 명세서에서 반결정질 플루오로중합체는 ASTM D 3418에 따라 결정된 융해열이 유리하게는 적어도 0.4 J/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 J/g,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J/g인 플루오로중합체를 나타내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탄성중합체"는 진정한 탄성중합체(true elastomer) 또는 진정한 탄성중합체를 수득하기 위한 베이스 성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중합체 수지를 나타내고자 한다.
진정한 탄성중합체는 ASTM, Special Technical Bulletin, No. 184 표준에 의하면, 실온에서 고유 길이의 2배까지 연신될 수 있고, 일단 5분 동안 장력 하에서 유지한 후에 해제되면, 동시에 초기 길이의 10% 이내로 되돌아오는 재료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측정된 중합체(FA) 및 중합체(FB) 둘 모두의 고유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FA)의 경우 0.05 l/g 내지 0.50 l/g, 더 바람직하게는 0.10 l/g 내지 0.40 l/g, 그리고 중합체(FB)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0.15 l/g 내지 0.55 l/g,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20 l/g 내지 0.50 l/g의 고유 점도를 갖는다.
중합체(FA) 및 중합체(FB) 둘 모두는 VDF와 상이한 하나 이상의 플루오린화 공단량체(CF)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플루오린화 공단량체(CF)”는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린 원자를 포함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공단량체를 나타내고자 한다.
적합한 플루오린화 공단량체(CF)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특히 하기가 포함된다:
(a) C2-C8 플루오로- 및/또는 퍼플루오로올레핀, 예컨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 및 헥사플루오로이소부틸렌;
(b) C2-C8 수소화 모노플루오로올레핀, 예컨대 비닐 플루오라이드, 1,2-디플루오로에틸렌 및 트리플루오로에틸렌;
(c) 화학식 CH2=CH-Rf0(여기서, Rf0은 C1-C6 퍼플루오로알킬 기임)의 퍼플루오로알킬에틸렌;
(d) 클로로- 및/또는 브로모- 및/또는 요오도-C2-C6 플루오로올레핀, 예컨대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중합체(FA) 및 중합체(FB) 내의 플루오린화 공단량체(CF)는 바람직하게는 HFP이다.
일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중합체(FA) 및 중합체(FB)는 반결정질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에서, 중합체(FA) 또는 중합체(FB) 중 적어도 하나는 0.1 몰% 내지 10.0 몰%, 바람직하게는 0.3 몰% 내지 5.0 몰%, 더 바람직하게는 0.5 몰% 내지 3.0 몰%의, 상기 플루오린화 공단량체(CF)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슬 말단, 결함 또는 기타 다른 불순물-유형 모이어티가 중합체(FA) 내에 또는 중합체(FB) 내에, 그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중합체(FA)는 더 바람직하게는
- 적어도 70 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몰%,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몰%의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 0.05 몰% 내지 3.0 몰%, 바람직하게는 0.05 몰% 내지 1.5 몰%, 더 바람직하게는 0.15 몰% 내지 1.0 몰%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함유 비닐 단량체(HA);
- 선택적으로, 0.5 몰% 내지 3.0 몰%의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린화 공단량체(CF)
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FB)는 더 바람직하게는
- 적어도 70 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몰%,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몰%의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 0.05 몰% 내지 3.0 몰%, 바람직하게는 0.05 몰% 내지 1.5 몰%, 더 바람직하게는 0.15 몰% 내지 1.0 몰%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함유 비닐 단량체(CA);
- 선택적으로, 0.5 몰% 내지 3.0 몰%의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린화 공단량체(CF)
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FA)를 제조하기 위한 절차는 반응 베셀(reaction vessel) 내에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단량체, 단량체(HA), 및 선택적으로 공단량체(CF)를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수성 매질 중에서 중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공정은
- 단량체(HA)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 상기 반응기 베셀 내의 압력을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임계 압력보다 높게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중합체(FB)를 제조하기 위한 절차는 반응 베셀 내에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단량체, 단량체(CA), 및 선택적으로 공단량체(CF)를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수성 매질 중에서 중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공정은
- 단량체(CA)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 상기 반응기 베셀 내의 압력을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임계 압력보다 높게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전체 중합 실시 동안, 압력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임계 압력보다 높게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압력은 50 bar 초과, 바람직하게는 75 bar 초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00 bar 초과의 값으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중합은 5℃ 내지 130℃ 범위 내에 포함된 온도에서 수행된다.
중합체(FA) 및 중합체(FB)는 VDF 단량체,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단량체(CF), 및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HA) 및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CA)의 중합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중합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WO 200812904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유기 매질 중에서 현탁 상태로 수행되거나, 또는, 통상적으로 당업계(예를 들어, US 4,016,345, US 4,725,644 및 US 6,479,591 참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성 에멀젼 상태로 수행된다.
단량체(HA) 또는 단량체(CA)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연속 공급이 각각 중합체(FA) 또는 중합체(FB)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 실시 동안 계속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합체의 VDF 단량체 중합체 백본 내에서의, 중합체(FA) 내의 단량체(HA) 및 중합체(FB) 내의 단량체(CA)의 거의 통계학적인 분포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속 공급" 또는 "연속적으로 공급하는"이라는 표현은 단량체(HA)의 수용액 또는 단량체(CA)의 수용액을 저속으로 소량 증분적으로 첨가하는 것이, 적어도 VDF 단량체의 70 몰%의 전환율이 달성될 때까지, 중합 지속기간의 대부분 동안 일어남을 의미한다.
중합 동안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단량체(HA) 또는 단량체(CA)의 수용액의 양은 각각 중합체(FA) 또는 중합체(FB)의 제조를 위하여 반응 동안 공급되는 상기 단량체들의 총량(즉, 초기 장입량 + 연속 공급량)의 적어도 50 중량%가 된다. 단량체(HA) 또는 단량체(CA) 중 어느 하나의 총량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중량%가 중합 동안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VDF 단량체의 증분적 첨가는 이러한 요건이 필수적이지 않더라도 중합 동안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중합체(FA) 및 중합체(FB)의 제조 공정은 적어도 3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중합체(FA) 또는 중합체(FB) 중 어느 하나를 수득하기 위한 중합이 현탁액 중에서 수행되는 경우, 중합체(FA) 및 중합체(FB)는 통상적으로 분말 형태로 제공된다.
중합체(FA) 또는 중합체(FB) 중 어느 하나를 수득하기 위한 중합이 에멀젼 중에서 수행되는 경우, 중합체(FA) 및 중합체(FB)는 통상적으로 각각 수성 분산물(DA) 및 수성 분산물(DB)의 수성 분산물 형태로 제공되는데, 이는 유화 중합에 의해 직접 수득된 그대로 또는 농축 단계 후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산물(DA) 및 분산물(DB) 내의 중합체(FA) 및 중합체(FB)의 고형물 함량은 각각 20 중량% 내지 50 중량%에 포함되는 범위이다.
유화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중합체(FA) 및 중합체(FB)는 분산물의 농축 및/또는 응고에 의해 각각 수성 분산물(DA) 및 분산물(DB)로부터 단리되고, 후속으로 건조시킴으로써 분말 형태로 수득될 수 있다.
중합체(FA) 및 중합체(FB)는 선택적으로 추가로 압출되어 펠릿 형태의 중합체(FA) 및 중합체(FB)를 제공할 수 있다.
압출은 적합하게는 압출기 내에서 수행된다. 압출의 지속시간은 적합하게는 수 초 내지 3분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C)의 제조에서, 중합체(FA) 및 중합체(FB)는 임의의 적합한 유기 용매 중 용액 형태로 성분 (b) 및 성분 (c)에 첨가된다.
따라서, 중합체(FA) 및 중합체(FB)는 임의의 적합한 유기 용매 중에 용해되어 각각 상응하는 용액(SA) 및 용액(SB)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액(SA) 내의 중합체(FA)의 고형물 함량 및 용액(SB) 내의 중합체(FB)의 고형물 함량은 2 중량% 내지 30 중량%에 포함되는 범위이다.
중합체(FA) 및 중합체(FB)를 용해시키기에 적합한 유기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는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헥사메틸포스파미드,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메틸우레아,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및 트리메틸 포스페이트, 지방족 케톤, 지환족 케톤, 지환족 에스테르이다. 이들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의 화학종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C)은 하나 이상의 전기-활성 물질(A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전기-활성 물질"은 전기화학 디바이스의 구조 내로 도입 또는 삽입하고, 전기화학 디바이스의 충전 단계 및 방전 단계 동안 그로부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실질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화합물을 나타내고자 한다. 전기-활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도입 또는 삽입되어 리튬 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 내의 전기-활성 물질의 성질은 상기 조성물이 양극 또는 음극 어느 것의 제조에 사용되는지에 좌우된다.
리튬-이온 2차 배터리용 양극을 형성하는 경우에, 전기-활성 화합물은 일반 화학식 III의 리튬-함유 복합 금속 산화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II]
LiNixM1yM2zY2
(상기 식에서, M1과 M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o, Fe, Mn, Cr 및 V로부터 선택되는 전이 금속이고, 0.5 ≤ x ≤ 1(여기서, y + z = 1 - x임)이고, Y는 칼코겐을 나타내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O 및 S로부터 선택됨).
이 구현예에서의 전기-활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Y가 O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M1은 Mn이고 M2는 Co이거나, M1은 Co이고 M2는 Al이다.
그러한 활성 물질의 예에는 LiNixMnyCozO2(이하, NMC로 지칭됨), 및 LiNixCoyAlzO2(이하, NCA로 지칭됨)가 포함된다.
LiNixMnyCozO2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하면, 망간, 니켈, 및 코발트의 함량비를 변동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전력 및 에너지 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화합물 AM은 0.5 ≤ x ≤ 1, 0.1 ≤ y ≤ 0.5, 및 0 ≤ z ≤ 0.5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II의 양극용으로 적합한 전기-활성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특히 하기가 포함된다:
LiNi0.5Mn0.3Co0.2O2,
LiNi0.6Mn0.2Co0.2O2,
LiNi0.8Mn0.1Co0.1O2,
LiNi0.8Co0.15Al0.05O2,
LiNi0.8Co0.2O2,
LiNi0.8Co0.15Al0.05O2,
LiNi0.6Mn0.2Co0.2O2,
LiNi0.8Mn0.1Co0.1O2,
LiNi0.9Mn0.05Co0.05O2.
화합물은
LiNi0.8Co0.15Al0.05O2,
LiNi0.6Mn0.2Co0.2O2,
LiNi0.8Mn0.1Co0.1O2,
LiNi0.9Mn0.05Co0.05O2.
가 특히 바람직하다.
리튬-이온 2차 배터리용 음극을 형성하는 경우에, 전기-활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탄소계 물질 및/또는 하나 이상의 규소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탄소계 물질은 흑연, 예컨대 천연 또는 인공 흑연, 그래핀, 또는 카본 블랙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탄소계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흑연이다.
규소계 화합물은 클로로실란, 알콕시실란, 아미노실란, 플루오로알킬실란, 규소, 염화규소, 탄화규소 및 산화규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규소계 화합물은 산화규소 또는 탄화규소일 수 있다.
전기-활성 화합물 내에 존재할 때, 규소계 화합물은 전기-활성 화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용매(S)를 포함한다.
음극-형성 조성물용 용매는 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이는 유기 용매의 전체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며, 결과적으로 비용의 감소, 가연성 재료의 감소 및 감소된 환경 영향을 가능하게 한다.
양극-형성 조성물 내의 용매는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를 포함하며, 이의 예에는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헥사메틸포스파미드,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메틸우레아,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및 트리메틸 포스페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의 화학종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0.5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7 중량% 내지 5 중량%의 중합체(FA)와 중합체(FB)의 합계를 포함한다. 본 조성물은 또한 80 중량% 내지 99 중량%의 전기-활성 물질(들)을 포함하며, 모든 백분율은 조성물(C)의 총 고형물 함량에 대한 중량 백분율이다.
용어 "총 고형물 함량"이란, "용매를 제외한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의 모든 성분"을 의도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에서, 용매는 조성물의 총량의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구체적으로는, 음극-형성 조성물의 경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C)의 총량의 25 중량% 내지 7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양극-형성 조성물의 경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C)의 총량의 5 중량% 내지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4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되어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전극의 전도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선택적인 전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용 전도제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이의 예에는 탄소질 물질, 예컨대 카본 블랙, 흑연 미세 분말, 탄소 나노튜브, 그래핀, 또는 섬유, 또는 니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의 미세 분말 또는 섬유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인 전도제는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이다. 카본 블랙은, 예를 들어 브랜드명 Super P® 또는 Ketjenblack®으로 입수 가능하다.
존재하는 경우, 전도제는 상기에 기재된 탄소계 물질과 상이하다.
선택적인 전도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전극-형성 조성물(C) 내의 총 고형물에 대해 0 중량% 내지 30 중량%이다. 구체적으로는, 양극-형성 조성물의 경우, 선택적인 전도제는 통상적으로 조성물(C) 내의 고형물의 총량에 대해 0 중량%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 중량% 내지 5 중량%이다.
규소계 전기-활성 화합물이 없는 음극-형성 조성물의 경우, 선택적인 전도제는 통상적으로 조성물 내의 고형물의 총량에 대해 0 중량% 내지 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 중량% 내지 2 중량%인 반면, 규소계 전기-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음극-형성 조성물의 경우, 통상적으로 조성물(C) 내의 고형물의 총량의 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더 큰 양의 선택적인 전도제를 도입하는 것이 유익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은, 일단 전극-형성 조성물이 전극의 제조 공정에서 집전체 상에 도포되면, 가교성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의 열적 가교에서 산성 가교 촉매로서 적합하게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산 공여체(acid dono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산 공여체는, 예를 들어 루이스 산, 강한 광산(mineral acid), 예를 들어 황산, 인산, 폴리인산, 과염소산 등;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설폰산 및 방향족 탄화수소 설폰산, 예를 들어 에탄설폰산, 프로판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저급 알킬 치환된 벤젠설폰산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적합한 루이스 산은 양이온이 바람직하게는 붕소, 알루미늄, 주석, 안티몬 및 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 또는 유기 금속 화합물이다.
언급된 루이스 산 중에서, 구체적으로는, 금속 할로겐화물 루이스 산, 예를 들어 삼플루오린화붕소, 염화알루미늄, 염화아연, 염화제1주석, 삼염화안티몬, 염화제2철, 삼플루오린화붕소-디메틸 에테르 착물, 삼플루오린화붕소-디에틸 에테르 착물, 삼플루오린화붕소-디프로필 에테르 착물 등이 특히 선호되며, 염화제1주석이 특히 바람직하다.
루이스 산은 루이스 산 그 자체뿐만 아니라 루이스 산의 기능을 부여하는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 예를 들어 산화물 및 황화물도 포함하며, 삼산화안티몬(Sb2O3), 산화아연(ZnO), 및 황화아연(ZnS)이 바람직하다.
조성물(C)에서, 산 공여체는 조성물(C)의 총 고형물 함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2.0 중량%에 포함되는, 더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0.5 중량%에 포함되는 양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C)은
(a)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FA)로서,
- 적어도 70 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몰%,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몰%의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 0.05 몰% 내지 3.0 몰%, 바람직하게는 0.15 몰% 내지 1.5 몰%, 더 바람직하게는 0.2 몰% 내지 1.0 몰%의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함유 비닐 단량체(HA);
- 선택적으로, 0.5 몰% 내지 3.0 몰%의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린화 공단량체(CF)
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FA)는 랜덤하게 분포된 단량체(HA)의 분율이 적어도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FA); 및
(b)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FB)로서,
- 적어도 70 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몰%,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몰%의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 0.05 몰% 내지 3.0 몰%, 바람직하게는 0.15 몰% 내지 1.5 몰%, 더 바람직하게는 0.2 몰% 내지 1.0 몰%의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 기-함유 비닐 단량체(CA);
- 선택적으로, 0.5 몰% 내지 3.0 몰%의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린화 공단량체(CF)
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FB)는 랜덤하게 분포된 단량체(CA)의 분율이 적어도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FB);
(c)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물질(AM);
(d) 적어도 하나의 용매(S);
(e) 조성물(C)의 총 고형물 함량에 대해 0.001 중량% 내지 2.0 중량%에 포함되는, 더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0.5 중량%에 포함되는 양으로 존재하는 산 공여체
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물 포착제(water scaveng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이론에 의해서도 구애되고자 함이 없이,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하나의 물 포착제의 존재가, 가교 동안 생성되는 물을 포획하고 축합 반응을 촉진시킴으로써, 하이드록실 기를 포함하는 중합체(A)의 측쇄와 카르복실 기를 포함하는 중합체(A)의 측쇄 사이의 가교 반응을 도울 수 있는 것으로 여긴다.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 포착제는 무수 알루미노규산염, 구체적으로는 제올라이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제올라이트는 공통 산소 원자에 의해 연결된 SiO4 및 AlO4 사면체의 3차원 네트워크를 갖는 매우 질서 있는 구조를 갖는 모든 천연 또는 합성, 바람직하게는 합성 결정질 무기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제올라이트는 하기 일반 화학식에 상응하는 무수 상태의 화학적 조성을 갖는 것들이다: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M 및 D는 H+ 또는 NH4 이온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교환 가능한 금속, 통상적으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1가 및 2가 이온이다. 상기 화학식에서, m은 n보다 작은 임의의 값으로 가정할 수 있다. n을 1이라 하면, m은 1 내지 0.0001로 변동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하기가 적합하다: 천연 산물과 비슷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갖는 합성 알루미노규산염 재료; 단지 합성물로만 알려져 있고 제올라이트 구조를 갖는 알루미노규산염 재료; 실리카, SiO2를 기반으로 한 합성 재료(여기서는, Si/AI 몰비가 높거나, AI이 소량으로 함유되거나, 산화물이 양쪽성 특성을 갖는 원소, 예컨대 Be, B, Ti, Cr, Mn, Zr, V, Sb 또는 Fe에 의해 알루미늄이 대체되며, 이러한 재료는 제올라이트 유형의 고다공성 결정질 구조를 가짐). 제올라이트의 구조 및 특성 및 체계적 분류에 관한 설명은 D. W. Breck의 문헌["Zeolite Molecular Sieves" published by J. Wiley & Sons, N.Y., 1973]에 제공되어 있다.
제올라이트는 일반적으로 산성 형태로 또는 중성 알칼리 형태로 사용된다.
제올라이트에서, 기타 다른 원소, 예컨대 B, Ga, Fe, Cr, V, As, Sb, Bi 또는 B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알루미늄 대신에 프레임워크 내에 도입될 수 있거나, 규소가 또 다른 4가 원소, 예컨대 Ge, Ti, Zr, 또는 Hf로 대체될 수 있다.
물 포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C)의 총 고형물 함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 중량%에 포함되는 양으로 조성물(C)에 포함된다.
상기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C)은 임의의 통상적인 혼합 기법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FA)를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FB)와 혼합하는 제1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조성물(C)은 먼저, 적합한 혼합기 내에서 둘 모두 고체 형태인 중합체(FA)와 중합체(FB)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C)은 먼저, 용액(SA) 및 용액(SB)에 상응하는, 둘 모두 유기 용매 중 용액의 형태인 중합체(FA)와 중합체(FB)를 적합한 혼합기 내에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C)은 먼저, 둘 모두 각각 수성 분산물(DA) 및 수성 분산물(DB)의 형태인 중합체(FA)와 중합체(FB)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FA)를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FB)와 혼합한 후에, 조성물(C)의 제조 공정은
-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물질(AM)을 첨가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도제를 첨가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산 공여체를 첨가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물 포착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 적어도 하나의 용매(S)를 첨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C)은 전극 제조 공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은
(i) 적어도 한쪽 표면을 갖는 금속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전극-형성 조성물(C)을 제공하는 단계;
(iii) 단계 (ii)에서 제공된 조성물(C)을 단계 (i)에서 제공된 금속 기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 상에 도포하여, 상기 조성물(C)이 적어도 한쪽 표면 상에 코팅된 금속 기판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iv) 단계 (iii)에서 제공된 조립체를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금속 기판은 일반적으로 구리,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강, 니켈, 티타늄 또는 은과 같은 금속으로부터 제조된 포일, 메시 또는 네트이다.
본 발명의 공정의 단계 (iii)에서, 전극-형성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캐스팅, 인쇄 및 롤 코팅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절차에 의해 금속 기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 상에 도포된다.
선택적으로, 단계 (iii)은 단계 (ii)에서 제공된 전극-형성 조성물을 단계 (iv)에서 제공된 조립체 상에 도포함으로써, 통상적으로 1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단계 (iv)는 적합하게는 5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80℃에 포함되는 온도에서, 5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iv)에서는, 중합체(FA)의 단량체(H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의 하이드록실 기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합체(FB) 내의 단량체(C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의 카르복실 기의 적어도 일부분의 반응을 수반하는 열적 가교가 일어난다.
하이드록실 기를 포함하는 중합체(FA)의 측쇄와 카르복실 기를 포함하는 중합체(FB)의 측쇄 사이의 가교 반응으로 인해, 바인더와 집전체 사이의 접착력과 함께, 바인더와 전극 내에 함유된 전극-활성 물질 사이의 접착력이 개선된다.
따라서, 특수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 복잡한 단계를 수반하는 방법 등과 비교하여, 접착력이 더 용이하게 개선될 수 있다.
단계 (iv)에서 수득된 조립체는 전극의 목표 다공도 및 밀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압축 단계, 예컨대 캘린더링 공정을 추가로 거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iv)에서 수득된 조립체는 핫 프레싱되며, 압축 단계 동안의 온도는 25℃ 내지 130℃에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약 90℃이다.
수득된 전극에 대한 바람직한 목표 다공도는 1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에 포함된다. 전극의 다공도는 전극의 측정된 밀도와 이론적 밀도 사이의 비의 1에 대한 보수로서 계산되며, 여기서,
- 측정된 밀도는 24 mm의 직경 및 측정된 두께를 갖는 전극의 원형 부분의 질량을 부피로 나눔으로써 제공되고;
- 전극의 이론적 밀도는 전극의 성분들의 밀도와 전극 제형 내의 그들의 부피비의 곱의 합으로서 계산된다.
추가의 경우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수득 가능한 전극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극에 관한 것으로, 이는
- 금속 기판, 및
- 상기 금속 기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 상에 직접 접착된,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
(a)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루오로중합체[중합체(FA)]로서,
- (ai)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 (aii)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함유 비닐 단량체(H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FA) 내의 단량체(HA)의 총량은 중합체(FA)의 반복 단위들의 총 몰수에 대해 최대 10.0 몰%,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몰%,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몰%이고;
상기 중합체(FA)는 랜덤하게 분포된 단량체(HA)의 분율이 적어도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FA); 및
(b) 중합체(FA)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루오로중합체[중합체(FB)]로서,
- (bi)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 (bii) 화학식 II의 카르복실 기-함유 아크릴 단량체(CA)를 포함하며:
[화학식 II]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3 탄화수소 기로부터 선택되고, RH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 기를 포함하는 C1-C10 탄화수소 사슬 모이어티임),
상기 중합체(FB) 내의 단량체(CA)의 총량은 중합체(FB)의 반복 단위들의 총 몰수에 대해 최대 10.0 몰%,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몰%,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몰%이고;
상기 중합체(FB)는 랜덤하게 분포된 단량체(CA)의 분율이 적어도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FB);
(b)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물질(AM)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극(E)의 층은 통상적으로, 10 μm 내지 500 μm, 바람직하게는 50 μm 내지 250 μm, 더 바람직하게는 70 μm 내지 150 μm에 포함되는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전극-형성 조성물(C)은 전기화학 디바이스용 양극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전극은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디바이스, 구체적으로는 2차 배터리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2차 배터리"는 재충전가능 배터리를 나타내고자 한다. 본 발명의 2차 배터리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 2차 배터리이다. 본 발명의 2차 배터리는 더 바람직하게는 리튬-이온 2차 배터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디바이스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표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임의의 특허, 특허 출원, 및 간행물의 개시 내용이 용어를 불명확하게 할 수 있는 정도로 본 출원의 설명과 상충된다면, 본 설명이 우선시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며, 하기 실시예의 목적은 단지 예시적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지 않는다.
실험 파트
원료
중합체 FA-1: 25℃에서 DMF 중에서의 고유 점도가 0.117 l/g이고, T2f가 154.2℃인 VDF-HFP(2.5 몰%)-HEA (0.4 몰%) 중합체.
중합체 FB-1: WO 2008/12904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득된, 25℃에서 DMF 중에서의 고유 점도가 0.30 l/g이고, T2f가 162℃인 VDF-AA(0.9 몰%) 중합체.
개시제(TAPPI): 이소도데칸 중 t-아밀 퍼피발레이트(이소도데칸 중 t-아밀 퍼피발레이트의 75 중량% 용액), Arkema로부터 구매 가능함.
Alroko로부터 상표명 Alkox® E-45로 구매 가능한, 약 600000 내지 800000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DOW Chemical로부터 구매 가능한, 2 중량% 농도의 수용액 중에서 20℃에서의 역학 점도가 80 내지 120 mPa.s인 Methocell® K100.
활물질 NMC: LiNi0.6Co0.2Mn0.2O2, Umicore SA로부터 구매 가능함.
전기전도성-부여 첨가제: C-NERGY™ SUPER C65(SC-65), Imerys Graphite & Carbon으로부터 구매 가능함.
중합체의 고유 점도의 결정
우벨로데(Ubbelhode) 점도계를 사용하여 중합체(FA) 또는 중합체(FB) 중 어느 하나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 약 0.2 g/dl의 농도로 용해시킴으로써 수득된 용액의, 25℃에서의, 적하 시간에 기초한 하기 방정식을 사용하여 고유 점도(η)[dl/g]를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8
(여기서, c는 중합체 농도[g/dl]이고, ηr은 상대 점도, 즉 샘플 용액의 적하 시간과 용매의 적하 시간 사이의 비이고, ηsp는 비점도, 즉 ηr - 1이고, Γ는 실험적 계수로서, 이는 중합체(FA) 및 중합체(FB)의 경우 3에 상응함).
DSC 분석
ASTM D 3418 표준에 따라 DSC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10℃/분의 가열 속도로 융점(Tf2)을 결정하였다.
중합체 FA-1의 제조: VDF-HFP-HEA
250 rpm의 속도로 가동되는 임펠러가 구비된 80 리터 반응기 내에, 49815 g의 탈염수 및 현탁화제로서의 0.15 g/Mni(설정점 온도 전에 반응기 내에 첨가되는 단량체의 초기량)의 METHOCEL® K100 GR 및 0.6 g/KgMni의 Alkox® E-45를 순차적으로 도입하였다. 반응기를 순차적으로 진공(30 mmHg)으로 퍼지하고 20℃에서 질소로 퍼지하였다. 이어서, 이소도데칸 중 t-아밀 퍼피발레이트 개시제의 75 중량% 용액 5.5 g/Mni를 도입하였다. 교반 속도를 300 rpm으로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16.34 g의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및 2555 g의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단량체를 반응기에 도입한 후, 22786 g의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를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반응기를 55℃의 설정점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가열하였으며, 압력을 120 bar에서 고정시켰다. 중합 동안 187.9 g의 HEA를 함유하는 수용액 17.4 kg을 공급함으로써 압력을 120 bar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러한 공급 후에는, 더 이상 수용액을 도입하지 않았다. 이어서, 4시간 38분 후에, 대기압에 도달할 때까지 반응기를 탈기함으로써 중합을 정지시켰다. 약 81%의 단량체 전환율이 획득되었다. 이어서, 그렇게 수득된 중합체를 회수하고, 탈염수로 세척하고, 65℃에서 오븐-건조시켰다.
전극의 일반적인 제조
중합체 FB-1의 접착 거동을 중합체 FA-1과 중합체 FB-1의 블렌드의 접착 거동과 비교하기 위하여, 115.4 g의 NMC, 2.4 g의 SC-65 및 21.9 g의 NMP의 존재 하에서, NMP 중 80:20 비의 FB-1과 FA-1로 구성되는 중합체 블렌드 또는 중합체 FB-1의 8 중량% 용액 14.9 g을 원심분리 혼합기 내에서 10분 동안 예비혼합함으로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고속 디스크 임펠러를 2000 rpm으로 1시간 동안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그렇게 수득된 조성물을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20 μm 두께의 Al 포일 상에 캐스팅하고, 그렇게 수득된 코팅 층을 진공 오븐 내에서 130℃의 온도에서 약 70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양극을 수득하였다. 건조된 코팅 층의 두께는 약 110 μm였다.
그렇게 수득된 양극은 하기 조성을 가졌다: 97 중량%의 NMC, 1 중량%의 중합체(80:20 비의 FA-1과 FB-1로 구성되는 블렌드 또는 FA-1 중 어느 하나), 2 중량%의 전도성 첨가제.
접착 박리력 방법
표준 ASTM D903에 기재된 설정으로 20℃에서 300 mm/분의 속도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전극들 상에서 박리 시험을 수행하여, Al 포일에 대한 건조된 코팅 층의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결과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중합체 접착력
[N/m]
정규화된
접착력
[%]
FB-1 17.1 100
블렌드 80/20 FB-1/FA-1 29.1 170
상기 내용을 고려해 볼 때, 80:20 비의 FB-1과 FA-1로 구성되는 중합체 블렌드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 전극이 중합체 FB-1을 단독으로 사용함으로써 수득된 것들보다 금속 포일에 대해 훨씬 더 높은 접착력을 갖는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Claims (14)

  1. 전극-형성 조성물(C)로서,
    (a)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루오로중합체[중합체(FA)]로서,
    - (ai)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 (aii)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함유 비닐 단량체(H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FA) 내의 단량체(H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의 총량은 중합체(FA)의 반복 단위들의 총 몰수에 대해 최대 10.0 몰%,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몰%,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몰%이고;
    상기 중합체(FA)는 랜덤하게 분포된 단량체(HA)의 분율이 적어도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FA); 및
    (b) 중합체(FA)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루오로중합체[중합체(FB)]로서,
    - (bi)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 (bii) 화학식 II의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 기-함유 아크릴 단량체(C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를 포함하며:
    [화학식 II]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3 탄화수소 기로부터 선택되고, RH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 기를 포함하는 C1-C10 탄화수소 사슬 모이어티(moiety)임),
    상기 중합체(FB) 내의 단량체(C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의 총량은 중합체(FB)의 반복 단위들의 총 몰수에 대해 최대 10.0 몰%,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몰%,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몰%이고;
    상기 중합체(FB)는 랜덤하게 분포된 단량체(CA)의 분율이 적어도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FB);
    (c)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물질(AM);
    (d) 적어도 하나의 용매(S)
    를 포함하는, 전극-형성 조성물(C).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실 기-함유 비닐 단량체(HA)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인, 전극-형성 조성물(C):
    [화학식 I]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및 C1-C3 탄화수소 기로부터 선택되고, ROH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를 포함하고 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산소 원자, 카르보닐 기 또는 카르복시 기를 사슬 내에 함유하는 C2-C10 탄화수소 사슬 모이어티(moiety)임).
  3. 제2항에 있어서, 단량체(HA)는 화학식 Ia의 화합물인, 전극-형성 조성물(C):
    [화학식 Ia]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3 탄화수소 기로부터 선택되고, R’OH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를 포함하는 C1-C5 탄화수소 모이어티임).
  4. 제3항에 있어서, 화학식 Ia의 단량체(HA)는
    -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HEA),
    -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PA),
    - 하이드록시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극-형성 조성물(C).
  5. 제1항에 있어서, 카르복실 기-함유 비닐 단량체(CA)는 아크릴산(AA), (메트)아크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전극-형성 조성물(C).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FA)와 중합체(FB) 사이의 몰비는 5:95 내지 95:5에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80:20에 포함되는, 전극-형성 조성물(C).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FA) 및 중합체(FB) 중 적어도 하나는 VDF와 상이한 하나 이상의 플루오린화 공단량체(CF)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극-형성 조성물(C).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0.5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7 중량% 내지 5 중량%의 중합체(FA)와 중합체(FB)의 합계;
    - 80 중량% 내지 99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물질(AM)
    을 포함하며,
    모든 백분율은 조성물(C)의 총 고형물 함량에 대한 중량 백분율인, 전극-형성 조성물(C).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산 공여체(acid donor)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극-형성 조성물(C).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양극-형성 조성물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물질(AM)은 일반 화학식 III의 리튬-함유 복합 금속 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전극-형성 조성물(C):
    [화학식 III]
    LiNixM1yM2zY2
    (상기 식에서, M1과 M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o, Fe, Mn, Cr 및 V로부터 선택되는 전이 금속이고, 0.5 ≤ x ≤ 1(여기서, y + z = 1 - x임)이고, Y는 칼코겐을 나타내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O 및 S로부터 선택됨).
  11. 전극의 제조 공정으로서, 상기 공정은
    (i) 적어도 한쪽 표면을 갖는 금속 기판(metal substrate)을 제공하는 단계;
    (ii)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형성 조성물(C)을 제공하는 단계;
    (iii) 단계 (ii)에서 제공된 조성물(C)을 단계 (i)에서 제공된 금속 기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 상에 도포하여, 상기 조성물(C)이 적어도 한쪽 표면 상에 코팅된 금속 기판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iv) 단계 (iii)에서 제공된 조립체를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
  12. 제11항에 따른 공정에 의해 수득 가능한 전극으로서, 상기 전극은
    - 금속 기판, 및
    - 상기 금속 기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 상에 직접 접착된,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
    (a)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루오로중합체[중합체(FA)]로서,
    - (ai)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 (aii)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 기-함유 비닐 단량체(H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FA) 내의 단량체(H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의 총량은 중합체(FA)의 반복 단위들의 총 몰수에 대해 최대 10.0 몰%,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몰%,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몰%이고;
    상기 중합체(FA)는 랜덤하게 분포된 단량체(HA)의 분율이 적어도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FA); 및
    (b) 중합체(FA)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루오로중합체[중합체(FB)]로서,
    - (bi)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 (bii) 화학식 II의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 기-함유 아크릴 단량체(C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
    를 포함하며:
    [화학식 II]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3 탄화수소 기로부터 선택되고, RH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 기를 포함하는 C1-C10 탄화수소 사슬 모이어티임),
    상기 중합체(FB) 내의 단량체(CA)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의 총량은 중합체(FB)의 반복 단위들의 총 몰수에 대해 최대 10.0 몰%,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몰%,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몰%이고;
    상기 중합체(FB)는 랜덤하게 분포된 단량체(CA)의 분율이 적어도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FB);
    (c)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물질(AM)
    을 포함하는, 전극.
  13. 제12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 디바이스는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2차 배터리이며,
    여기서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하나는 제12항에 따른 전극인, 전기화학 디바이스.
KR1020227005315A 2019-08-07 2020-08-03 2차 배터리 전극용 조성물 KR202200449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0465 2019-08-07
EP19190465.5 2019-08-07
PCT/EP2020/071805 WO2021023709A1 (en) 2019-08-07 2020-08-03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964A true KR20220044964A (ko) 2022-04-12

Family

ID=6755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315A KR20220044964A (ko) 2019-08-07 2020-08-03 2차 배터리 전극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93894A1 (ko)
EP (1) EP4010936A1 (ko)
JP (1) JP2022543030A (ko)
KR (1) KR20220044964A (ko)
CN (1) CN114127997A (ko)
WO (1) WO20210237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345A (en) 1972-12-22 1977-04-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olymerizing tetrafluoroethylene in aqueous dispersion
US4725644A (en) 1986-05-06 1988-02-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etrafluoroethylene fine powder and preparation thereof
US6559238B1 (en) 1998-06-29 2003-05-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ally cross-linked fluoropolymer
IT1318633B1 (it) 2000-07-20 2003-08-27 Ausimont Spa Polveri fini di politetrafluoroetilene.
TWI437009B (zh) 2007-04-24 2014-05-11 Solvay Solexis Spa 1,1-二氟乙烯共聚物類
EP2724393B1 (en) * 2011-06-23 2016-10-12 Solvay Specialty Polymers Italy S.p.A. Process for manufacturing battery components
CA2946479C (en) * 2014-05-07 2023-03-14 Solvay Sa 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composite electrode, the composite electrode so obtained, and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said composite electrode
WO2016167294A1 (ja) 2015-04-16 2016-10-20 株式会社クレハ 電極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60398B1 (ko) * 2015-09-30 2020-09-28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바인더 조성물,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용 전극 및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JP7046013B2 (ja) * 2016-06-14 2022-04-01 ソルヴェイ(ソシエテ アノニム) フレキシブル電池
DE102016216252A1 (de) * 2016-08-30 2018-03-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ode mit verbesserter mechanischer stabilität und galvanisches element enthaltend die elektrode
CN110100337A (zh) * 2016-12-20 2019-08-06 索尔维特殊聚合物意大利有限公司 用于锂离子电池的水性电极粘合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3709A1 (en) 2021-02-11
CN114127997A (zh) 2022-03-01
US20220293894A1 (en) 2022-09-15
EP4010936A1 (en) 2022-06-15
JP2022543030A (ja)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4274A (ko) 2차 배터리 전극용 조성물
US20200407543A1 (en) Fluoropolymer dispersion for separator coating
TWI618722B (zh) 形成電極的組成物
US2023039577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ll solid state battery
KR20220027878A (ko) 2차 배터리 전극용 조성물
EP4005014A1 (en) Secondary batteries
KR20220044964A (ko) 2차 배터리 전극용 조성물
KR20240017837A (ko) 리튬 전지 전극용 고성능 결합제
JP7328219B2 (ja) 黒鉛/ケイ素アノード用pvdfバインダー
KR20230170676A (ko) 부분 플루오르화 중합체의 제조 방법
KR20230171954A (ko) 리튬 전지 전극용 조성물
WO2024083593A1 (e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binders
CN117043992A (zh) 电极用组合物
KR20230174234A (ko) 부분적으로 플루오린화된 중합체의 제조 방법
EP3916842A1 (en) Electrode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electrical storage devices
KR20210130719A (ko) 리튬 배터리 전극용 조성물
JPH1021925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極フィル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