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138A - 캐리지 장치 및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지 장치 및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138A
KR20220044138A KR1020210128534A KR20210128534A KR20220044138A KR 20220044138 A KR20220044138 A KR 20220044138A KR 1020210128534 A KR1020210128534 A KR 1020210128534A KR 20210128534 A KR20210128534 A KR 20210128534A KR 20220044138 A KR20220044138 A KR 20220044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motor
disposed
support memb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타로 다카하시
다이고 구로누마
나오아키 와다
도모히토 아베
겐타 이이무라
료헤이 마루야마
마사카즈 나가시마
도시아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41J25/006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for oscillating, e.g. page-width print heads provided with counter-balancing means or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202Drive control means for carriag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005Cable or belt constructions for driving print, type or paper-carriages, e.g. attachment, tens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Abstract

캐리지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캐리지, 캐리지의 이동 범위의 일단부 측에 배치되고 캐리지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모터, 캐리지의 이동 범위의 타단부 측에 배치되고 캐리지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모터, 제1 모터와 제2 모터 사이에 현수되고, 캐리지가 장착되며, 캐리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캐리지 벨트, 및 제2 모터가 제1 모터에 관해서 제1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제2 모터를 탑재하게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리지 장치 및 인쇄 장치{CARRIAGE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캐리지 장치 및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어 잉크젯 인쇄 헤드를 포함하는 캐리지를 왕복 주사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캐리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인쇄 헤드를 포함하는 캐리지를 왕복 주사시키면서 인쇄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하고 인쇄 매체를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함으로써, 인쇄 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인쇄 장치의 생산성과 화질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인쇄 헤드가 더 긴 인쇄 폭 및 더 높은 인쇄 해상도를 가지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인쇄 헤드의 중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쇄 헤드를 포함하는 캐리지는 이러한 중량 증가에 관계없이 고속 및 고정밀도로 구동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캐리지가 큰 중량을 갖는 경우 또는 캐리지의 주사 속도가 증가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캐리지의 구동력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캐리지의 이동 범위의 양 단부 각각에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성(트윈 모터 구성)이 있다(일본 특허 제3604994호).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능한 한 간단하게, 2개의 모터 사이에 현수되는(suspended) 캐리지 벨트에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 강한 구동력에서 캐리지를 주사시키기 위해서 캐리지에 부여되는 장력은 구동력에 의해 장력이 변화되지 않도록 확실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은 2개의 구동 모터 사이의 조정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복잡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캐리지 벨트에 원하는 장력을 부여하고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의 이동 범위의 일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모터; 상기 캐리지의 이동 범위의 타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사이에 현수되고, 상기 캐리지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캐리지 벨트; 및 상기 제2 모터가 상기 제1 모터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상기 제2 모터를 탑재하게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캐리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인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인쇄 장치의 캐리지 주변의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a 내지 도 2에 나타낸 인쇄 장치에서 캐리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장력 부여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a 내지 도 2에 나타낸 인쇄 장치에서 캐리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장력 부여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프링 수용부보다 구동 풀리가 더 높게 설정되는 경우의 장력 부여 유닛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스프링 수용부보다 구동 풀리가 더 높게 설정되는 경우에도 적정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장력 부여 유닛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a 내지 도 2에 나타낸 인쇄 장치에서 캐리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1a 내지 도 2에 나타낸 인쇄 장치에서 캐리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를 따르는 장력 부여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인쇄 장치의 회복 유닛 근방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인쇄 장치에 회복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인쇄 장치의 회복 유닛 근방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인쇄 장치로부터 회복 유닛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형태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에 유의한다. 실시형태에는 다수의 특징이 설명되어 있지만, 이러한 모든 특징을 필요로 하는 발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수의 특징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부여되며, 그에 대한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쇄"("프린트"라고도 지칭함)라는 용어는 문자 및 도형 등 중요한 정보의 형성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중요하거나 중요하지 않은지 여부를 묻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인간이 시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시각화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인쇄 매체 상에 화상, 모양, 패턴 등을 형성하는 것 또는 매체를 가공하는 것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또한, "인쇄 매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인쇄 장치에서 사용되는 종이 시트 뿐만 아니라, 광범위하게는 천, 플라스틱 필름, 금속판, 유리, 세라믹스, 목재, 및 피혁 등의 잉크를 수용할 수 있는 재료도 포함한다.
또한, "잉크"(이하, "액체"라고도 지칭함)라는 용어는 전술한 "인쇄(프린트)"의 정의와 유사하게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즉, "잉크"는, 인쇄 매체 위에 부여될 때, 화상, 모양, 패턴 등을 형성할 수 있거나, 인쇄 매체를 가공할 수 있거나, 또는 잉크를 처리(예를 들어, 인쇄 매체에 부여되는 잉크에 포함되는 색재를 응고 또는 불용화)할 수 있는 액체를 포함한다.
또한, "노즐"은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구멍 또는 이것과 연통하는 액체 채널, 및 잉크를 토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소자를 총괄해서 의미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인쇄 헤드용 기판(헤드 기판)은, 단순히 실리콘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소자, 배선 등이 배치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또한, "기판 상"은 단순히 "소자 기판 상"을 의미할뿐만 아니라 "소자 기판의 표면" 및 "표면 근방의 소자 기판의 내부"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내장"은 단순히 별개의 부재로서의 각각의 소자를 기재 표면 상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소자를 반도체 회로 제조 공정 등에 의해 소자 기판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제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쇄 장치의 개요(도 1a 내지 도 2)>
도 1a 및 도 1b 각각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인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a는 잉크젯 인쇄 장치(이하, 인쇄 장치라 지칭함)(1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b는 그 상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인쇄 장치의 캐리지 주변의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a 내지 도 2에서, 화살표 X, Y, 및 Z는, 각각, 전후 방향(깊이 방향), 좌우 방향(장치의 길이 방향인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연직 방향 또는 중력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F", "B", "L", 및 "R"은 각각 전방측, 후방측, 좌측, 및 우측을 나타낸다.
인쇄 장치(100)는 인쇄 헤드(2) 및 캐리지(3)를 포함하는 인쇄 유닛을 포함한다. 인쇄 헤드(2)에는 복수의 토출구(노즐)가 형성되고, 각각의 토출구와 연통하도록 인쇄 헤드(2)에 복수의 채널이 형성된다. 복수의 채널 각각에는 히터, 압전 소자 등과 같은 잉크젯 방식 에너지 발생 소자가 배치되며, 잉크젯 방식에 의해 대응하는 토출구로부터 잉크 액적이 토출된다. 인쇄 유닛과 별개의 위치에는, 인쇄 헤드(2)에 공급되는 잉크를 저류하는 잉크 탱크(5)가 배치된다. 인쇄 방식은 잉크젯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인쇄 방식의 인쇄 헤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캐리지(3)의 이동 범위의 양 단부에는, 구동 풀리(19)에 각각 연결되는 캐리지 모터(104) 및 캐리지 모터(107)가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 모터(104)의 회전 샤프트와 캐리지 모터(107)의 회전 샤프트 양자 모두는 Z 방향, 즉 중력 방향으로 배향된다.
양 단부에 배치되는 캐리지 모터(104)와 캐리지 모터(107)는 구동 풀리(19)를 포함해서 유사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2개의 캐리지 모터 사이에는 캐리지 벨트(7)가 현수되도록 배치되며, 캐리지 벨트(7)의 일부에 캐리지(3)가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지 벨트(7)는 2개의 캐리지 모터에 걸쳐 루프를 형성한다. 캐리지(3)는 이들 구성요소에 의해 주사를 행하게 될 수 있다. 이렇게 2개의 캐리지 모터를 사용하여 캐리지(3)를 구동함으로써, 캐리지가 1개의 캐리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보다 출력을 더 증가시킬 수 있으며, 큰 중량의 캐리지도 고속으로 주사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100)는 캐리지(3)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 검출 기구는, 캐리지 주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스케일(13), 및 캐리지(3)에 탑재되고 리니어 스케일(13)에 제공된 슬릿을 판독하는 인코더 센서(14)를 포함한다. 캐리지(3)의 위치 제어/속도 제어는 이 위치 검출 기구에 의해 검출된 인코더 신호를 피드백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인쇄 헤드(2)가 탑재되는 캐리지(3)는, 가이드 레일(11)과 가이드 레일(12)에 의해 안내되며, 인쇄 장치(100)의 본체에 의해 지지된다. 가이드 레일(11)과 가이드 레일(12)은 본체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된다. 캐리지(3)는, 가이드 레일(11)과 가이드 레일(12)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한다. 이 후, 도 1a 내지 도 2에서 L측을 향해서 캐리지(3)가 주사하는 방향 및 R측을 향해서 캐리지(3)가 주사하는 방향을 각각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순방향 및 역방향에 관계없이, 캐리지(3)가 이동하는 방향을 주 주사 방향이라 지칭한다.
인쇄 매체로서의 롤형 시트(1)가 급지 유닛에 설치된다. 인쇄 장치(100)는, 회전 구동되는 반송 롤러(4) 및 반송 롤러(4)에 의해 종동해서 회전되는 핀치 롤러(9)를 포함한다. 플래튼(6)은 인쇄 유닛에 대면하는 위치에서 시트(1)를 지지한다. 시트(1)는, 반송 롤러(4)와 핀치 롤러(9) 사이에 시트(1)가 끼워진 상태에서 반송된다. 인쇄 헤드(2)가 탑재되는 캐리지(3)를 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플래튼(6) 상의 시트(1)를 향해서 잉크를 토출시키는 인쇄 동작과, 시트(1)를 시트 반송 방향(부 주사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반송하는 반송 동작을 행한다. 인쇄 동작과 반송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시리얼 인쇄 방식에 따라 시트에는 화상이 인쇄된다.
캐리지(3) 및 시트(1)의 기준은 잉크 탱크(5)가 존재하는 측이라는 것에 유의한다. 즉, 시트의 폭이 변화해도 기준 측의 시트의 단부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인쇄 장치(100)의 캐리지(3)의 이동 범위의 일단부(도 1에서는 R 방향의 단부)에는 인쇄 헤드(2)의 회복 처리를 행하는 회복 유닛(120)이 제공된다.
인쇄 장치(100)의 본체에 고정된 잉크 공급 유닛(130)에는, 블랙(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등의 잉크를 위한 잉크 탱크(5)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공급 튜브(잉크 공급 채널)(131)가 잉크 공급 유닛(130)에 연결되어 있고, 튜브(73R)와 튜브(73L)에 연결되어 인쇄 헤드(2)에 잉크를 공급한다.
튜브(73R)와 튜브(73L) 각각은, 인쇄 장치(100)의 본체 측에 고정된 잉크 탱크(5)로부터 캐리지(3) 상의 인쇄 헤드(2)에 복수의 색의 잉크를 공급하는 복수의 가요성 잉크 튜브에 의해 형성되는 튜브이다. 튜브(73R)는 그 일단부를 캐리지(3)에 그리고 그 타단부를 인쇄 장치(100)의 본체 측에 고정된 연결 부재(70)에 고정함으로써 그 R측이 Y 방향에서 U 형상이 되도록 제공된다. 유사하게, 튜브(73L) 또한 그 L측이 Y 방향에서 U 형상이 되도록 제공된다. 이 예에서는, 튜브(73R)와 튜브(73L)는, 서로 동일한 수의 다발화된 튜브, 동일한 길이, 동일한 재료 등을 가지며, 서로 만곡 방향만 상이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캐리지(3)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는 튜브(73R)와 튜브(73L)의 변형을 안내하기 위해서, 인쇄 장치(100)는 튜브 보유지지 부재(78R 및 78L)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각각의 튜브 보유지지 부재는 복수의 링크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체인 링크(케이블 캐리어)이다. 각각의 링크 부재는 튜브가 삽입될 수 있는 링 형상 부재이며, 인접하는 링크 부재는 X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 피벗가능하게 연결된다. 튜브 보유지지 부재(78R 및 78L) 각각은 Y 방향에서 U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캐리지(3)의 왕복 이동을 추종하도록 만곡부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형된다. 이 예에서는, 튜브 보유지지 부재(78R 및 78L)는 동일한 수의 연결된 링크 부재를 갖는다. 튜브(73R)는 튜브 보유지지 부재(78R)에 삽입되며, 튜브(73L)는 튜브 보유지지 부재(78L)에 삽입된다.
이어서, 전술한 구성을 갖는 인쇄 장치(100)에서 캐리지 벨트(7)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의 몇몇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도 3 내지 도 4)>
도 3은 도 1a 내지 도 2에 나타낸 인쇄 장치에서 캐리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며, 도 4는 장력 부여 유닛(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이미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캐리지 모터(104)는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되며,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른 캐리지 모터(107)는 모터 지지 부재(201)에 고정된다. 모터 지지 부재(201)에는, 캐리지 모터(107)를 고정하는 면에 대략 직교하는 평면(X축과 Y축에 대략 직교하는 축을 포함하는 평면)인 스프링 수용부(201a)가 배치된다. 또한, 모터 지지 부재(201)는, 본체 프레임(10)에 대하여, 캐리지 모터(107)가 대략 Y 방향으로, 즉 캐리지 벨트(7)에 장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변위되게 할 수 있으며, 캐리지 벨트(7)에 장력을 부여하는 상태에서 본체 프레임(10)에 나사(20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0)에는, 모터 지지 부재(201)의 스프링 수용부(201a)에 대면하는 스프링 수용부(10a)가 배치된다. 스프링(203)은 스프링 수용부(201a)와 스프링 수용부(10a) 사이에 배치되며, 모터 지지 부재(201)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변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프링(203)의 탄성을 사용해서 캐리지 벨트(7)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캐리지 모터(107)는 모터 지지 부재(201)의 하방에(구동 풀리(20)의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배치한다. 그 결과, 캐리지 모터(107)는 무게 중심이 낮아질 것이고, 캐리지 모터(107)의 중량은 모터 지지 부재(201)의 자세를 안정시킬 것이며, 스프링의 복원력이 효율적으로 장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201a)와 스프링 수용부(10a)는 캐리지 벨트(7)의 바로 아래에 배치될 것이다.
스프링(203)은 여기에서는 압축 스프링인 것으로 상정되었지만, 모터 지지 부재(201)와 본체 프레임(10) 내에서 서로 대면하는 한 쌍의 훅 형상부(hook shape)을 배치해서 인장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인장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해서 모터 지지 부재(201)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스프링 수용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모터 지지 부재(2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회복 유닛(120)에는 인쇄 헤드(2)의 잉크 토출면을 덮는 캡(121)이 배치된다. 도 3에는 캡(121)이 점선으로 표시된다.
캐리지 벨트(7)에의 장력의 부여는 다음의 단계에 따라 행해진다.
단계 1
먼저, 각각 캐리지 모터(104 및 107)의 회전 샤프트에 장착되는 구동 풀리(19) 및 구동 풀리(20) 각각에 걸쳐 캐리지 벨트(7)가 현수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터 지지 부재(201)에 대략 순방향(캐리지(3)가 L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한다.
단계 2
이어서, 스프링(203)을 압축하면서 모터 지지 부재(201)를 대략 순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구동 풀리(19 및 20)의 샤프트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키고, 구동 풀리(19 및 20)의 플랜지부에 걸쳐 이동시켜서 캐리지 벨트(7)를 현수한다.
단계 3
그 후, 스프링(203)의 압축력을 해방함으로써 모터 지지 부재(201)를 스프링(203)의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캐리지(3)가 R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이에 의해 캐리지 벨트(7)에 장력을 부여한다.
단계 4
마지막으로, 모터 지지 부재(201)를 나사(204)에 의해 본체 프레임(10)에 고정한다.
스프링 수용부 사이의 간격, 스프링(203)의 복원력 및 작동 길이, 및 나사(204)에 의해 고정하는 위치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적정한 장력을 캐리지 벨트(7)에 부여하고 유지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부품의 공차가 포함될 때, 캐리지 벨트(7)의 카탈로그에 의해 권장되는 장력보다 30% 이상 큰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스프링(203)의 복원력을 설계한다. 이 범위 내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경험칙적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캐리지의 구동력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구동 모터를 배치하여 양 측에서 풀리를 구동시키는 구성에서, 복잡한 조정의 필요 없이 원하는 장력을 부여하고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제2 실시형태(도 5 및 도 6)>
여기에서는, 스프링의 조립성 및 벨트의 장력 제어를 더 개선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a 내지 도 2에 나타낸 인쇄 장치에서 캐리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며, 도 6은 장력 부여 유닛(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이미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지지 부재(201)는 캐리지 모터(107)의 모터 지지부(201e)로부터 캐리지 벨트(7)의 장력 부여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피벗 중심(201b)을 배치하고 본체 프레임(10)에 배치된 돌기 형상(10b)과 결합함으로써 피벗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모터 지지 부재(201)는 캐리지 벨트(7)의 장력 부여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스프링 수용부(201a)를 포함한다. 한편, 본체 프레임(10)에도, 스프링 수용부(201a)와 대향하도록, 스프링 수용부(10a)가 배치된다.
그 후, 스프링 수용부(201a)와 스프링 수용부(10a) 사이에 스프링(203)을 배치함으로써, 스프링(203)의 탄성력에 의해 모터 지지 부재(201)는 Y 방향에서 R측으로 가압된다. 유사하게, 모터 지지부(201e) 또한 Y 방향에서 R측으로 가압될 것이다. 그 결과 캐리지 모터(107)에 배치된 구동 풀리(20) 또한 R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캐리지 벨트(7)에 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 지지 부재(201)를 피벗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구동 풀리(20)를 가압하고, 이때의 피벗 중심(201b)과 스프링 수용부(201a)를 캐리지 벨트(7)의 장력 부여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쇄 장치의 폭을 증가시키지 않고, 캐리지 벨트(7)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스프링(203)을 구동 풀리(20) 및 캐리지 벨트(7)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어,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링(203)의 장착/장착해제가 용이해진다. 또한, 피벗 중심(201b)으로부터 스프링 수용부(201a)까지의 거리가 피벗 중심(201b)으로부터 구동 풀리(20)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설정되기 때문에, 지렛대의 원리가 작용한다. 이에 의해, 스프링(203)의 하중값을 낮게 설정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된다. 또한, 스프링(203)을 위해 큰 설치 공간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의 코일 수 또는 직경을 증가시켜서 스프링 상수를 낮게 설정하거나 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모터 지지 부재(201)는 각각의 개별 부재에 따라 나사(204)에 의해 요동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구동 풀리(20)와 함께, 캐리지 벨트(7)도 X 방향으로 약간 변위될 것이다. 그러나, 캐리지(3)는 가이드 레일(11)과 가이드 레일(12)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X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예는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낸 예의 역방향 측에 인장 스프링을 배치해서 벨트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모터 지지부(201e)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양 단부에 피벗 중심(201b)과 스프링 수용부(201a)를 배치했지만, 피벗 중심을 사이에 두고 양 단부에 모터 지지부(201e)와 스프링 수용부를 배치해서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도 7 내지 도 9)>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 수용부(10a 및 201a)와 구동 풀리(20)가 도 1에 나타내는 Z 방향에서 유사한 높이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스프링 수용부(10a 및 201a)보다 구동 풀리(20)가 더 높게 배치되는 경우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7은, 스프링 수용부(10a 및 201a)보다 구동 풀리(20)가 높게 배치되는 경우의 장력 부여 유닛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지지 부재(201)는 캐리지 벨트(7)에 의해 당겨져서 본체 프레임(10)으로부터 Z 방향으로 들뜬다. 모터 지지 부재(201)가 본체 프레임(10)으로부터 들뜬 상태에서 고정되는 경우, 캐리지 벨트(7)에 부여되는 장력은 미리결정된 장력값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 수용부(10a 및 201a)보다 Z 방향으로 더 높은 위치에 구동 풀리(20)가 배치되는 경우에도, 캐리지 벨트(7)에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스프링 수용부(10a 및 201a)보다 구동 풀리(20)가 더 높게 배치되는 경우에도, 적정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장력 부여 유닛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인쇄 장치에서 캐리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동일함 참조 번호는 이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지지 부재(201)는 구동 풀리(20)보다 Y 방향의 R측에 더 가까운 측에 훅 형상부(201c)를 가지며, 본체 프레임(10)의 이면측에 걸린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터 지지 부재에 훅 형상부를 배치함으로써, 모터 지지 부재의 훅 형상부가 본체 프레임에 걸리게 된다. 이는 모터 지지 부재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모터 지지 부재가 고정될 때 적정한 벨트 장력을 캐리지 벨트에 부여한다. 그 결과, 모터 지지 부재에 벨트 장력이 부여될 때 모터 지지 부재는 들뜨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적정한 벨트 장력이 캐리지 벨트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모터 지지 부재를 회동가능하게 그리고 캐리지 벨트 및 캐리지 모터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스프링의 조립이 간단해져서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훅 형상부(201c)는 모터 지지 부재(201)에 배치되었지만, 훅 형상부가 본체 프레임(10)에 형성되고 모터 지지 부재(201)의 표면측에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제4 실시형태(도 10 내지 도 11)>
모터 지지 부재(201)는, 캐리지 벨트(7)의 벨트 장력을 적정하게 설정한 후에, 나사(204)에 의해 본체 프레임(10)에 체결된다. 이때, 작업자가 부주의하게 모터 지지 부재(201)를 건드리면, 모터 지지 부재는 스프링(203)에 의해 미리결정된 벨트 장력이 발생되고 있는 위치로부터 약간 이동될 수 있으며, 부적정한 벨트 장력을 갖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모터 지지 부재(201)가 나사(204)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본체 프레임(10)에 체결되는 경우, 모터 지지 부재(201)에는 체결 방향으로부터 볼 때 나사 회전 방향과 유사한 CW(시계 방향)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한다. 그 결과,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모터 지지 부재(201)는 약간 이동하게 되고, 모터 지지 부재(201)는 부적정한 벨트 장력을 갖는 위치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더 바람직한 장력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 1a 내지 도 2에 나타낸 인쇄 장치에서 캐리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며, 도 11은 장력 부여 유닛(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이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지지부(201e) 등과 같은 일부를 제외하고, 커버 부재(205)가 피벗 중심(201b), 스프링 수용부(201a), 스프링(203), 및 스프링 수용부(202a)를 덮는다. 즉, 각 나사(204)의 접촉면은 커버 부재(205)이고, 커버 부재(205) 및 모터 지지 부재(201)는 하방의 본체 프레임(10)에 함께 체결된다. 도 10에서는 커버 부재(205)는 점이 찍힌 영역으로서 도시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커버 부재(205)는, 본체 프레임(10)에 형성되는 돌기 형상(10d) 및 커버 부재(205)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구멍 형상(205d)에 의해 회전 방향에서 규제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모터 지지 부재(201)를 건드리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작업자가 커버 부재(205)를 건드려도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모터 지지 부재(201)는 영향을 받지 않고, 캐리지 벨트(7)의 벨트 장력은 적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나사(204)의 체결에 의해 CW(시계 방향)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해도 접촉면인 커버 부재(205)의 회전은 규제되기 때문에, 모터 지지 부재(201)는 영향을 받지 않고, 캐리지 벨트(7)의 벨트 장력은 정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터 지지 부재를 덮도록 커버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나사 체결 동안 모터 지지 부재가 의도하지 않게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캐리지 벨트에 적정한 벨트 장력을 설정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도 12 내지 도 13)>
서비스 맨이 회복 유닛(120) 또는 잉크 공급 유닛(130)에 대해 수리 또는 유지보수를 행할 때 행해지는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복 유닛의 수리 및 유지보수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나타낸 인쇄 장치(100)의 회복 유닛(120) 근방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인쇄 장치(100)에 회복 유닛(120)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3은 인쇄 장치(100)로부터 회복 유닛(120)이 장착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회복 유닛(12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 헤드(2)에 형성된 토출구의 표면을 밀봉하기 위한 캡(121)이 제공된다. 캡(121)에는 캡내 흡수 부재가 제공되어, 인쇄 헤드(2)의 토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행해지는 예비적인 잉크 토출 동작(예비 토출) 동안 토출되는 잉크를 받아서 흡수한다.
캡(121)은, 튜브를 통해 흡인 펌프에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인쇄 헤드(2)의 토출구의 표면으로부터 잉크 또는 공기를 흡인하여, 토출구를 클리닝하며 인쇄 헤드 내부에 축적된 공기를 제어한다. 또한 와이퍼 부재가 제공되어, 인쇄 헤드(2)의 토출구의 표면에 부착된 잉크 또는 티끌을 제거한다. 또한, 회복 유닛(120) 옆에는 토출 불량 검출 유닛이 배치되며, 토출 불량 검출 유닛은 인쇄 헤드(2)의 각 토출구로부터 잉크가 정확하게 토출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회복 유닛(120)은 캐리지(3)에 탑재되는 인쇄 헤드(2)의 회복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회복 유닛(120)은 시트(1)의 폭의 외측에 배치되지만 또한 캐리지(3)의 주사 범위 내측에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풀리(20)를 포함하는 캐리지 모터(107), 스프링(203), 및 모터 지지 부재(201)는, 모터 장착판(202)에 장착되고, 장력 부여 유닛(200)으로서 일체적으로 장착/장착해제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장력 부여 유닛(200)은 나사(206)에 의해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지지 부재(201)는 나사에 의해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지지 부재(201)는 나사에 의해 모터 장착판(202)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모터 장착판(202) 및 본체 프레임(10)은 엠보싱(embossing)에 의해 정밀하게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그 장착 변동은 수 10 μ(미크론)로 충분히 작으며, 스프링(203)에 의해 캐리지 벨트(7)에 부여되는 장력의 영향도 경미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및 제4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 수용부(10a), 돌기 형상(10b), 및 돌기 형상(10d)은 본체 프레임(10)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구성요소는 모터 장착판(202)에 제공된다. 또한, 장력 부여 유닛(200)은 캐리지 모터(107)를 포함하며 캐리지(3)의 주사 범위의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력 부여 유닛(200)은, 캐리지(3)의 주사 범위의 내측에 배치된 회복 유닛(120)의 외측에 배치되며, 나사(206)에 의해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유지보수 또는 교환 시에, 회복 유닛(120)은 장력 부여 유닛(200)이 제거된 후에 제거된다.
서비스 맨은, 회복 유닛(120)이 의도하지 않는 조작에 의해 손상되었거나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수리를 행하거나 교환 작업을 행한다.
유지보수 또는 교환을 위한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장이 제거되고, 장력 부여 유닛(200)의 나사(204)를 풀고, 캐리지 벨트(7)에 부여된 장력을 해제하며, 캐리지 벨트(7)를 캐리지 모터(107)의 구동 풀리(20)로부터 제거한다. 그 후,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206)를 제거하여 장력 부여 유닛(200)을 장착해제하며, 회복 유닛(120)을 본체로부터 장착해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력 부여 유닛(200)과 회복 유닛(120)은 인쇄 장치(100)의 Y 방향의 동일측(R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서비스 맨은 R측의 외장만을 제거해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장력 부여 유닛(200)에는 캐리지 모터(107), 스프링(203), 및 모터 지지 부재(20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구성요소는 본체 프레임(10)에 체결되어 있는 나사(206)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본체로부터 모두 함께 장착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장력 부여 유닛(200)은 일체적인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한다. 구성요소를 복수의 서브 유닛으로서 형성하고 복수의 서브 유닛에 따라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장착해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수리나 유지보수의 완료 후 재조립 시에는, 전술한 순서를 역으로 행해서 회복 유닛(120)을 나사로 본체에 장착한 후에 장력 부여 유닛(200)을 본체 프레임(10)에 장착하고 나사(206)로 고정할 수 있다. 그 후, 구동 풀리(20)에 캐리지 벨트(7)를 현수시키고 스프링(203)에 의해 장력을 부여한 후에, 나사(204)로 모터 지지 부재(201)를 고정하며, 마지막으로 외장을 장착해서 작업을 종료한다.
잉크 공급 유닛(130)의 수리 및 유지보수
서비스 맨은, 잉크 공급 유닛(130)이 의도하지 않는 조작에 의해 손상되었거나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수리나 교환 작업을 행한다. 유지보수 또는 교환을 위한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장을 제거하여 잉크 공급 유닛(130)의 유지보수 또는 교환을 위한 작업을 행한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 방향의 R측에 잉크 공급 유닛(130)을 배치하고, 장력 부여 유닛(200)과 회복 유닛(120)을 Y 방향의 동일 측에 배치한다. 그 결과, 서비스 맨은 인쇄 장치(100)의 R측의 외장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잉크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의 종류나 인쇄 품질에 대응하는 인쇄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인쇄 헤드(2)와 시트(1)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한 캐리지 승강 부재(140)를 Y 방향의 R측에 배치한다. 따라서, 캐리지 승강 부재(140)가 손상되거나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서비스 맨은 인쇄 장치(100)의 Y 방향의 R측의 외장을 간단히 제거하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캡(121), 예비 토출을 받기 위한 흡수 부재, 흡인 펌프, 와이퍼 부재, 및 토출 불량 검출 유닛을 회복 유닛(120)으로서 설명했지만, 이들 구성요소 각각을 개별적으로 장착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캐리지 승강 부재(140)를 형성하는 모터, 기어 등도 분할해서 개별적으로 장착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는 인쇄 헤드가 탑재된 캐리지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의 예를 사용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콘택트 이미지 스캐너(CIS)가 탑재되는 스캐너를 왕복 이동시켜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스캐너 장치, 이러한 스캐너 장치와 인쇄 장치의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복합기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 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개별 컴퓨터 또는 개별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캐리지 장치이며,
    제1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의 이동 범위의 일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모터;
    상기 캐리지의 이동 범위의 타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사이에 현수되고, 상기 캐리지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캐리지 벨트; 및
    상기 제2 모터가 상기 제1 모터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상기 제2 모터를 탑재하게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캐리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캐리지 벨트가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사이에 현수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모터가 상기 제1 모터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상기 제2 모터를 탑재하게 구성되는, 캐리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2 모터의 회전 샤프트는 중력 방향으로 배향되는, 캐리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모터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 부재에 장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 벨트가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사이에 현수되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나사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캐리지 벨트에 장력이 부여되는, 캐리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의 회전 샤프트에 장착되는 제1 풀리;
    상기 제2 모터의 회전 샤프트에 장착되는 제2 풀리;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기 일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기 타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 벨트는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에 현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로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모터가 배치되는 위치의 양 측에 2개의 나사가 사용되는, 캐리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지지 부재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연직 방향인 제3 방향에서, 상기 제2 풀리가 배치되는 측과는 반대 측의 하측에 배치되는, 캐리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캐리지 벨트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캐리지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서,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모터로부터는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 부재를 피벗시키도록 구성되는 피벗 중심이 배치되고,
    상기 피벗 중심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돌기가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지지 부재에서,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모터에 관해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피벗 중심의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2 수용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캐리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서의 단부에,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훅 형상부(hook shape)를 갖는, 캐리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훅 형상부는, 상기 제2 방향에 관해서 상기 피벗 중심이 배치되는 측에 배치되는, 캐리지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중심, 상기 제1 수용부, 상기 스프링, 및 상기 제2 수용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캐리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나사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와 함께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캐리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는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제2 돌기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나사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와 함께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때 상기 구멍에 결합되는, 캐리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 상기 스프링,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장력 부여 유닛이 형성되는, 캐리지 장치.
  15. 인쇄 장치이며,
    캐리지 장치;
    인쇄 헤드; 및
    상기 인쇄 헤드의 회복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회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의 이동 범위의 일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모터;
    상기 캐리지의 이동 범위의 타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사이에 현수되고, 상기 캐리지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캐리지 벨트; 및
    상기 제2 모터가 상기 제1 모터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상기 제2 모터를 탑재하게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잉크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공급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에 관하여 상기 회복 유닛과 동일 측에 배치되는, 인쇄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연결되는 튜브; 및
    상기 인쇄 헤드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튜브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튜브 보유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KR1020210128534A 2020-09-30 2021-09-29 캐리지 장치 및 인쇄 장치 KR202200441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66110A JP7449213B2 (ja) 2020-09-30 2020-09-30 記録装置
JPJP-P-2020-166110 2020-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138A true KR20220044138A (ko) 2022-04-06

Family

ID=7799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534A KR20220044138A (ko) 2020-09-30 2021-09-29 캐리지 장치 및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97429A1 (ko)
EP (1) EP3978258B1 (ko)
JP (1) JP7449213B2 (ko)
KR (1) KR20220044138A (ko)
CN (1) CN1143120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75857A (ja) 2021-05-14 2022-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キャリッ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0681A (ko) * 1961-07-27
US3236351A (en) * 1961-12-05 1966-02-22 Ibm High speed matrix printer
GB1534898A (en) * 1976-09-30 1978-12-06 Trend Communications Ltd Printers
JPS604994B2 (ja) 1977-09-05 1985-02-07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DE2825761C2 (de) * 1978-06-12 1982-05-1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nordnung zum Antrieb eines Druckerwagens in Fern- oder Datenschreibmaschinen
CH664610A5 (de) * 1983-04-29 1988-03-15 Lars Int Sa Linearantriebsvorrichtung.
JP2534670B2 (ja) * 1986-06-17 1996-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3604994B2 (ja) 2000-03-24 2004-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キャリッジ駆動方法およびキャリッジ駆動装置
JP4323756B2 (ja) 2002-05-01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KR100470584B1 (ko) * 2002-11-06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풀리 고정장치
JP2005186591A (ja) 2003-12-26 2005-07-14 Canon Inc 記録装置
JP2011176901A (ja) * 2010-02-23 2011-09-08 Seiko Epson Corp 駆動制御装置、駆動制御方法及び記録装置
JP2014151534A (ja) * 2013-02-07 2014-08-25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
JP2014168885A (ja) 2013-03-04 2014-09-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6386776B2 (ja) * 2014-05-02 2018-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521585B2 (ja) * 2014-07-30 2019-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伝達装置および記録装置
ES2627761B1 (es) * 2017-03-01 2018-05-08 Tecglass Sl Máquina y método de impresión digital multipasada de planchas de vidrio con minimización del recorrido de impresión
EP3774366A4 (en) * 2018-05-17 2021-10-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ELT TENSIONING SYSTEM
JP7131246B2 (ja) * 2018-09-25 2022-09-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モーター
JP2022175452A (ja) * 2021-05-13 2022-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キャリッジ装置、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8258A1 (en) 2022-04-06
US20220097429A1 (en) 2022-03-31
CN114312014B (zh) 2024-03-19
EP3978258B1 (en) 2023-11-08
CN114312014A (zh) 2022-04-12
JP2022057716A (ja) 2022-04-11
JP7449213B2 (ja)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827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riage docking mechanism
US2011013419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307673A (ja) カートリッジ、キャ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ヘッド
JP5100491B2 (ja) プリンタ装置
JP5538859B2 (ja) 記録装置
KR20220044138A (ko) 캐리지 장치 및 인쇄 장치
JP3970097B2 (ja) 記録装置
WO2017204135A1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123041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065068B1 (en) Vibration isolating attachment system for inkjet carriages
JP2015047836A (ja) 画像形成装置
US7188927B2 (en) Printhead wiper cleaning mechanism for an imaging apparatus
JP4560336B2 (ja) 記録装置
US11065895B2 (en) Liquid discharge device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US11059307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oving method for support portion
JP6796098B2 (ja) 印刷装置
JP2007223048A (ja) 液体噴射ヘッドの固定構造及び液体噴射装置と記録装置
JP4566954B2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23049A (ja) キャリッジの支持機構及び液体噴射装置と記録装置
JP7043385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およびクリーニング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168885A (ja) 画像形成装置
JP5835649B2 (ja) 画像形成装置
JP587057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13385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175855A (ja) 記録装置およびキャリッジ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