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688A -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688A
KR20220030688A KR1020200112319A KR20200112319A KR20220030688A KR 20220030688 A KR20220030688 A KR 20220030688A KR 1020200112319 A KR1020200112319 A KR 1020200112319A KR 20200112319 A KR20200112319 A KR 20200112319A KR 20220030688 A KR20220030688 A KR 20220030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sensor
gear housing
guide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20011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688A/ko
Publication of KR20220030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4Worm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웜감속기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조립 시 센서의 파손이 방지되고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됨으로써 노이즈 발생 및 품질저하가 예방되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REDUCER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실시예들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웜감속기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조립 시 센서의 파손이 방지되고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됨으로써 노이즈 발생 및 품질저하가 예방되고 신뢰성이 향상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을 보조하기 위해 조향축에 보조토크를 발생시키거나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에 대응되게 바퀴를 조타하기 위해 모터를 사용하는데, 모터의 토크를 감속시키기 위해 웜감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웜감속기는 조향축에 결합되는 웜휠, 웜휠과 맞물리는 웜축 및 웜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웜휠과 웜축 간의 기어비에 의해 모터의 토크가 감속되어 조향축에 전달되게 된다.
차량에 구비되는 전자제어장치는 운전자의 조향토크, 조타각 등 조향정보를 토대로 모터를 제어하며, 운전자의 조향정보를 센싱하기 위해 조향축에는 토크센서 등이 구비되게 된다.
조향장치의 소형화 및 컴팩트화를 도모하기 위해 토크센서는 웜감속기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즉 일측이 개구되어 웜휠 및 웜축을 수용하는 기어하우징 및 기어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의 내측에 토크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커버하우징이 토크센서를 지지하며 기어하우징에 결합되게 되는데, 커버하우징이 결합되기 전에는 조향축에 구비되는 토크센서가 원주방향으로 고정되지 않으므로 커버하우징 결합 시 걸림이 발생하여 조립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토크센서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토크센서의 파손 또는 외부유입에 의한 이물질 등이 기어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을 통해 웜휠 및 웜축에 유입되어 노이즈의 원인이 되고 웜감속기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웜감속기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조립 시 센서의 파손이 방지되고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됨으로써 노이즈 발생 및 품질저하가 예방되고 신뢰성이 향상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일측면이 개구되고 조향축에 결합된 웜휠이 수용되는 기어하우징, 조향축에 구비되는 토크센서, 토크센서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토크센서와 경방향으로 대향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중앙부 및 기어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에 지지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센서가이드, 토크센서를 수용하며 기어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웜감속기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조립 시 센서의 파손이 방지되고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됨으로써 노이즈 발생 및 품질저하가 예방되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7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도 1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의 분해사시도, 도 8 내지 도 9는 도 7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100)는, 일측면이 개구되고 조향축(101)에 결합된 웜휠(103)이 수용되는 기어하우징(110), 조향축(101)에 구비되는 토크센서(102), 토크센서(102)가 삽입되는 삽입홀(123)과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토크센서(102)와 경방향으로 대향되는 돌출부(124)가 구비되는 중앙부(121) 및 기어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면에 지지되는 테두리부(122)를 포함하는 센서가이드(120), 토크센서(102)를 수용하며 기어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130)을 포함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조향축(101)은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에 따라 회전되며, 모터(104)의 토크는 웜휠(103) 및 웜축(401)의 기어비에 의해 감속되어 조향축(101)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을 보조하거나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에 대응되게 조향축을 회전시킨다.
기어하우징(110)은 웜휠(103) 및 웜축(401)을 수용하고 모터(104)와 결합되며, 일측면이 개구되어 개구된 일측면을 통해 조향축(101) 및 웜휠(103) 등이 기어하우징(110)에 수용되게 된다.
토크센서(102)는 조향축(101)에 구비되어 입력축과 출력축의 위상차이로부터 조향축(101)에 가해지는 토크를 센싱한다.
토크센서(10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휠(103)과 대향되게 조향축(101)에 구비되어 있으며, 커버하우징(130)이 토크센서(102)를 수용하며 기어하우징(110)에 결합되게 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100)는, 커버하우징(130)이 기어하우징(110)에 결합되기 전에 센서가이드(120)가 기어하우징(110)에 지지되며 토크센서(102)의 조립위치를 확보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웜휠(103) 및 웜축(401)으로 이물질이 유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노이즈 발생 및 품질저하가 예방되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조향장치에서는 커버하우징이 기어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에 결합되기 전에 토크센서의 조립위치를 정확하게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해, 조향축이 웜휠과 함께 기어하우징에 결합되었더라도 회전가능하므로 토크센서도 조향축과 함께 회전가능하여, 조립 시 조립을 위한 정위치가 확보되지 않은 토크센서에 커버하우징이 충돌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충돌에 의해 토크센서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커버하우징이 결합되기 전에는 기어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을 통해 웜휠 및 웜축 등이 노출되므로, 파손된 토크센서의 파편뿐만 아니라 외부 이물질 등이 웜휠 및 웜축 등으로 유입되어 구동 시 노이즈의 원인이 되거나 감속기의 품질을 저하시켜 높은 신뢰성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100)에서는 센서가이드(120)가 구비되어 커버하우징(130)이 기어하우징(110)에 결합되기 전에 토크센서(102)의 조립위치를 확보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기어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면을 폐쇄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노이즈 발생 및 품질저하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가이드(120)는 중앙부(121) 및 테두리부(122)를 포함하며, 중앙부(121)에는 토크센서(102)가 삽입되는 삽입홀(123)과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토크센서(102)와 경방향으로 대향되는 돌출부(124)가 구비되고, 테두리부(122)는 기어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면에 지지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가이드(120)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조향축(101)은 웜휠(103) 및 토크센서(102)와 결합된 상태에서 기어하우징(110)에 결합되게 되므로 센서가이드(120)가 기어하우징(1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중앙부(121)에는 삽입홀(123)이 형성되게 된다.
즉, 삽입홀(123)로 조향축(101) 및 토크센서(102)가 삽입되며 테두리부(122)가 기어하우징(110)에 지지되게 된다.
도면에는 삽입홀(123)은 토크센서(102)와 대응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토크센서(102) 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만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삽입홀(123)이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24)는 중앙부(121)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121)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테두리부(122)가 기어하우징(110)에 지지된 상태에서, 돌출부(124)는 토크센서(102)와 경방향으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토크센서(102)의 조립위치를 확보한다.
즉, 돌출부(1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센서(102) 회전 시 토크센서(102)에 원주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커버하우징(130)이 결합되기 전까지 토크센서(102)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버하우징(130)이 결합되기 전까지 센서가이드(120)는 예를 들어 기어하우징(110)에 클램핑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토크센서(102)가 돌출부(124)에 지지되며 토크센서(102)의 조립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124)는 토크센서(102)의 외측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토크센서(102)가 조립위치 확보가 가능한 범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센서가이드(120)가 기어하우징(110)에 고정됨에 따라 토크센서(102)도 고정되도록 돌출부(124)가 토크센서(102)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지지되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도 6 참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돌출부(124)는 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토크센서(102)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돌출부(124)가 축방향과 나란한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크센서(102)와 경방향으로 대향되어 회전 시 토크센서(102)에 원주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이어서, 커버하우징(130)은 테두리부(122)를 사이에 두고 기어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어하우징(110)에 커버하우징(130)이 결합됨에 따라 센서가이드(120)가 기어하우징(110)과 커버하우징(130)의 사이에서 고정되게 된다.
즉, 기어하우징(110)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커버하우징(130)의 타측면이 각각 테두리부(122)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기어하우징(110)과 커버하우징(130)은 나사결합될 수 있는데, 기어하우징(110)의 외측면에는 제 1 결합부(111)가 돌출형성되고 커버하우징(130)의 외측면에는 제 2 결합부(131)가 돌출형성되어 제 1 결합부(111)와 제 2 결합부(131)를 관통하는 나사(140)에 의해 기어하우징(110)과 커버하우징(13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122)는 제 1 결합부(111)와 제 2 결합부(131) 사이에 삽입되어 나사(140)에 의해 관통되는 제 3 결합부(125)를 포함하여, 나사(140)에 의해 센서가이드(120)가 기어하우징(110) 및 커버하우징(130)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커버하우징(130)이 기어하우징(110)에 결합됨에 따라 토크센서(102)가 커버하우징(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토크센서(102)는 외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부(105)를 포함하고, 커버하우징(130)은 내측면에서 축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가이드부(105)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즉, 커버하우징(130)이 기어하우징(110)에 조립될 때 가이드홈(132)에 가이드부(105)가 축방향으로 삽입되게 되고, 가이드홈(132)로 삽입된 가이드부(105)가 커버하우징(130)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지지됨에 따라 토크센서(102)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부(105)는 가이드부(105)의 폭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탄성편(201) 및 탄성편(201)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편(201) 및 탄성부재(202)가 가압되며 가이드부(105)가 가이드홈(13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센서가이드(120)의 중앙부(121) 내주면에는 가이드부(105)와 축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가이드부(105)의 폭방향으로 마주보게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부(60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돌기부(601)의 사이로 가이드부(105)가 통과되도록 센서가이드(120)가 조립되게 되며, 돌기부(601)는 센서가이드(120)의 조립방향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601)의 단부는 가이드부(105)의 폭 보다 좁은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이드부(105)가 돌기부(601)의 사이로 통과될 때 돌기부(601)에 의해 탄성편 및 탄성부재(202)가 가압되며 센서가이드(120)의 축방향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센서가이드(120)는 중앙부(121)와 테두리부(122) 사이에 축방향의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부(701)를 포함하여, 단차부(701)는 기어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테두리부(122)와 중앙부(121)가 동일평면상에 구비되었는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단차부(701)에 의해 테두리부(122)와 중앙부(121) 사이에 축방향의 단차가 구비될 수 있다.
단차부(701)가 기어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삽입되며 단차부(701)의 외주면이 기어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122)가 기어하우징(110)에 지지됨에 따라 단차부(701)가 기어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압입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커버하우징(130)이 결합되기 전에 센서가이드(120)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을 하지 않더라도 센서가이드(120)를 기어하우징(110)에 고정할 수 있으며 나사결합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커버하우징(130)은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단차부(701)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삽입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어하우징(110)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커버하우징(130)의 타측면에 삽입부(702)가 구비되게 된다.
이러한 삽입부(702)는 단차부(701)의 내주면에 압입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커버하우징(130)과 센서가이드(120)가 고정되어 제 1 내지 제 3 결합부(125)의 나사결합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의하면, 웜감속기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조립 시 센서의 파손이 방지되고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됨으로써 노이즈 발생 및 품질저하가 예방되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101: 조향축
102: 토크센서 103: 웜휠
104: 모터 105: 가이드부
110: 기어하우징 111: 제 1 결합부
120: 센서가이드 121: 중앙부
122: 테두리부 123: 삽입홀
124: 돌출부 125: 제 3 결합부
130: 커버하우징 131: 제 2 결합부
132: 가이드홈 140: 나사
201: 탄성편 202: 탄성부재
401: 웜축 601: 돌기부
701: 단차부 702: 삽입부

Claims (15)

  1. 일측면이 개구되고 조향축에 결합된 웜휠이 수용되는 기어하우징;
    상기 조향축에 구비되는 토크센서;
    상기 토크센서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토크센서와 경방향으로 대향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중앙부 및 상기 기어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에 지지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센서가이드;
    상기 토크센서를 수용하며 상기 기어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하우징;
    을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토크센서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토크센서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테두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어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제 1 결합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제 2 결합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를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상기 기어하우징과 커버하우징이 결합되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에 의해 관통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센서는 외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하우징은 내측면에서 축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폭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축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폭방향으로 마주보게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폭 보다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이드는 상기 중앙부와 테두리부 사이에 축방향의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부를 포함하여,
    상기 단차부는 상기 기어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기어하우징의 내측면으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은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차부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단차부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0200112319A 2020-09-03 2020-09-03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220030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319A KR20220030688A (ko) 2020-09-03 2020-09-03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319A KR20220030688A (ko) 2020-09-03 2020-09-03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88A true KR20220030688A (ko) 2022-03-11

Family

ID=8081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319A KR20220030688A (ko) 2020-09-03 2020-09-03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06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638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11552526B2 (en) Electric actuator assembly with a brush card assembly
KR101957349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US20220234649A1 (en) Steer-by-wire type steering apparatus
KR20220030688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
JP2006067694A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06329685A (ja) トルクセンサ
JPH11252870A (ja) 電動モータのハウジング構造
JP4215695B2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
US11702037B2 (en) Motor device
JPH11248564A (ja) トルクセンサ
JP5177007B2 (ja) 電動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9945742B2 (en) Torque sens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08111808A (ja) トルク検知センサ
JP5155550B2 (ja) トルク検知センサにおけるカバー体の固定構造
JP2008111805A (ja) トルク検知センサ
CN220896422U (zh) 一种双输出轴电机
JPH08122175A (ja) トルクセンサ
JP2006014462A (ja) 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820145B2 (ja) トルクセンサ
JP2008111807A (ja) ケース体の固定構造
JP2004132748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トルクセンサ
JP6262291B2 (ja) モータ及び車両用パワーウインド装置
JP2008111804A (ja) トルク検知センサ
JP5969660B2 (ja) モー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