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349B1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349B1
KR101957349B1 KR1020160183068A KR20160183068A KR101957349B1 KR 101957349 B1 KR101957349 B1 KR 101957349B1 KR 1020160183068 A KR1020160183068 A KR 1020160183068A KR 20160183068 A KR20160183068 A KR 20160183068A KR 101957349 B1 KR101957349 B1 KR 101957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g
bearing
worm shaft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070A (ko
Inventor
박세정
손중락
이청신
Original Assignee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349B1/ko
Priority to PCT/KR2017/011648 priority patent/WO2018124441A1/ko
Priority to EP17888628.9A priority patent/EP3549844B1/en
Priority to CN201780081554.0A priority patent/CN110121457A/zh
Priority to US16/474,309 priority patent/US20190337554A1/en
Publication of KR2018007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4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16H55/24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2057/0213Support of worm gear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F16H2057/0222Later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웜휠과 치합되는 웜샤프트,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웜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웜샤프트를 지지하는 틸트 플러그,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틸트 플러그를 상기 웜휠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트 플러그에는 상기 틸트 플러그의 단부로부터 상기 틸트 플러그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틸트 플러그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웜샤프트의 단부에 베어링을 압입시킨 후, 베어링을 하우징 내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베어링의 둘레에 복수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하우징의 내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용공간에 배치된 후,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웜샤프트에 결합되어 웜샤프트의 중심축을 수용공간의 중심축과 일치시키는 틸트 플러그를 구비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공정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웜샤프트를 지지하는 틸트구조물의 구조가 개선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차량의 조향장치에 적용되는 조향 보조 시스템으로서, 차속센서 및 조향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함에 따라, 저속 및 운행 시에 안정적인 조향감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모터(미도시),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웜샤프트(1), 그리고 스티어링 컬럼(9)에 구비되어 웜샤프트(1)에 맞물려 회전되는 웜휠(4)을 포함하고,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의한 웜샤프트(1)의 회전력이 웜휠(4)을 통해 스티어링 컬럼(9)에 부가되어 안정적인 조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는 웜샤프트(1)의 단부에 베어링(2)을 압입하고, 베어링(2)이 배치된 위치에 베어링(2)을 웜휠(4)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조절부(5)를 설치하여, 웜(1a)과 웜휠(4) 사이에 유격 발생 시 조절부(5)에 의해 웜(1a)과 웜휠(4) 사이의 유격을 보상할 수 있는 틸트구조가 적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조립이 난해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샤프트(1)의 단부에 베어링(2)을 압입 시킨 후, 웜샤프트(1)를 하우징(3)으로 삽입하여 웜샤프트(1)에 구비된 웜(1a)과 스티어링 컬럼(9)에 구비된 웜휠(4)을 서로 치합시킨다. 그리고, 웜(1a)과 웜휠(4)이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하우징(3)의 일 측에 형성된 개구(3a)를 통하여 탄성링(6)을 베어링(2)의 외주면에 설치하고, 베어링(2)을 감싸는 탄성링(6)의 외주면에 완충링(7)을 추가 설치한다. 그리고, 탄성링(6)의 외주면에 완충링(7)이 설치되면, 완충링(7)이 배치된 부분과 수직으로 연통된 부위에 완충링(7)을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조절부(5)를 설치한 후, 최종적으로 하우징(3)의 개구(3a)에 더스트 커버(8)를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즉, 상기한 종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웜샤프트(1)의 단부에 베어링(2)을 압입시키고, 웜샤프트(1)를 하우징(3)의 내측에 배치시킨 후에도 베어링(2)의 외측으로 탄성링(6) 및 완충링(7)을 추가 설치해야 함은 물론, 탄성링(6), 완충링(7) 및 조절부(5)의 설치 후에도 추가적으로 하우징(3)의 개구(3a)에 더스트 커버(8)를 결합시켜야 하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제작 및 조립공정이 복잡해져 생산성이 저하되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우징(3) 내부에 베어링(2)이 배치될 경우, 베어링(2)을 임의로 수용공간과 평행하게 배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베어링(2)의 외면에 탄성링(6) 및 완충링(7)을 설치해야 하므로, 정확한 조립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웜샤프트(1)의 중심이 틀어지거나, 웜(1a)과 웜휠(4)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 이를 재조정해야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아울러, 하우징(3)에 외력이 가해져 웜샤프트(1)의 축방향으로 하중이 전달될 경우, 하우징(3)에 결합되어 있는 더스트 커버(8)가 하우징(3)의 개구(3a)를 통하여 하우징(3)의 외부로 으로부터 이탈되고, 이에 따라 베어링(2)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던 탄성링(6) 및 완충링(7)이 더스트 커버(8)에 지지되지 못하여 하우징(3)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471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하우징의 외측으로 부품이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웜휠과 치합되는 웜샤프트,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웜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웜샤프트를 지지하는 틸트 플러그,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틸트 플러그를 상기 웜휠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트 플러그에는 상기 틸트 플러그의 단부로부터 상기 틸트 플러그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틸트 플러그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웜샤프트가 수용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틸트 플러그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틸트 플러그가 수용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 수용공간, 상기 웜휠이 배치되는 제2 수용공간,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가 배치되는 제3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일 측은 폐쇄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틸트 플러그에 상기 웜샤프트가 결합될 경우, 상기 웜샤프트에 가압되는 상기 틸트 플러그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웜샤프트에는 상기 웜샤프트와 상기 틸트 플러그의 결합 시, 상기 웜샤프트의 외면과 상기 틸트 플러그의 내면 사이의 공간으로 압입되어 상기 웜샤프트를 상기 틸트 플러그에 고정시키는 압입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틸트 플러그는 상기 웜샤프트에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틸트 플러그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고, 일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 그리고 상기 베어링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을 고정시키는 탄성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링에는 단부로부터 중심축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외면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링의 일 측은 개구되어, 상기 베어링의 일부를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시키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틸트 플러그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경우, 상기 탄성링의 개구된 일 측이 상기 탄성지지부가 설치되는 수용공간을 향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틸트 플러그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경우, 상기 탄성지지부의 단부가 상기 베어링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웜샤프트의 단부에 베어링을 압입시킨 후, 베어링을 하우징 내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베어링의 둘레에 복수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하우징의 내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용공간에 배치된 후,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웜샤프트에 결합되어 웜샤프트의 중심축을 수용공간의 중심축과 일치시키는 틸트 플러그를 구비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공정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틸트 플러그는 웜샤프트에 결합되기 이전에 하우징의 내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웜샤프트와 정확한 조립이 가능하여 웜샤프트의 비틀림으로 인한 재조립과정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틸트 플러그가 배치되는 하우징의 일 측은 폐쇄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하우징 내부의 부품이 하우징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플러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플러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이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이라 함)은 웜샤프트(20)를 지지하는 틸트구조물의 구조가 개선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으로서, 하우징(10) 및 웜샤프트(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후술할 웜샤프트(20), 틸트 플러그(30) 및 탄성지지부(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개의 수용공간(11, 13, 15)이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웜샤프트(20)가 수용되는 제1 수용부(11a) 및 틸트 플러그(3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틸트 플러그(30)가 수용되는 제2 수용부(11b)를 포함하는 제1 수용공간(11), 웜휠(미도시)이 배치되는 제2 수용공간(13), 그리고 탄성지지부(40)가 배치되는 제3 수용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용공간(11), 제2 수용공간(13) 및 제3 수용공간(15)은 서로 다른 중심축(X, Y, Z)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수용공간(11)은 웜샤프트(20)가 삽입되는 X축 방향으로 중심축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수용공간(13)은 X축에 교차하는 Y축 방향으로 중심축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수용공간(15)은 X축 및 Y축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Z축 방향으로 중심축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공간(11)의 일 측은 폐쇄된 구조로 형성되고, 제1 수용공간(11)의 타 측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틸트 플러그(30)가 배치되는 제2 수용부(11b)의 일 측은 폐쇄된 구조로 형성되어, 틸트 플러그(30)에 웜샤프트(20)가 결합될 경우, 웜샤프트(20)에 가압되는 틸트 플러그(30)가 지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웜샤프트(20)는 제1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에 결합된 웜휠(미도시)과 치합된다.
더 자세하게는, 웜샤프트(20)는 하우징(10)의 제1 수용공간(11)에 배치되고, 외면에 형성된 웜(21)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제2 수용공간(13)에 배치된 웜휠과 치합되어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스티어링 컬럼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웜샤프트(20)에는 틸트 플러그(30)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부(23) 및 웜휠에 치합되는 웜(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웜샤프트(20)에는 모터에 연결되는 커플러(60)와 결합 가능한 세레이션(25)이 형성되고, 세레이션(25)이 형성된 부위에는 웜샤프트(20)의 회전 시 웜샤프트(20)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주베어링(70) 및 주베어링(70)을 웜샤프트(20)의 중심축 방향으로 지지하여 주베어링(7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재(8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틸트 플러그(30)의 내면에 결합되는 웜샤프트(20)의 일 측에는 압입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압입부재(50)는 웜샤프트(20)와 틸트 플러그(30)의 결합 시, 웜샤프트(20)의 외면과 틸트 플러그(30)의 내면 사이의 공간으로 압입되어 웜샤프트(20)를 틸트 플러그(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압입부재(50)는 러버(rubber) 등과 같은 탄성체 소재로 형성되어 웜샤프트(20)의 일 측에 결합되고, 웜샤프트(20)와 틸트 플러그(30)의 결합 시 틸트 플러그(30)의 내측으로 압입되어, 틸트 플러그(30)와 웜샤프트(20) 사이에 마찰력을 생성함으로써, 틸트 플러그(30)에 웜샤프트(20)를 완전히 고정시키고, 틸트 플러그(30)와 웜샤프트(20) 사이의 간극을 메워 웜샤프트(20)와 틸트 플러그(3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틸트 플러그(3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틸트 플러그(30)는 하우징(10)의 내면에 결합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고, 제1 수용공간(11)으로 삽입되는 웜샤프트(20)와 결합되어 웜샤프트(20)를 지지한다.
더 자세하게는, 틸트 플러그(30)는 제1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폐쇄된 하우징(10)의 일 측 내면에 지지되고, 제1 수용공간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용공간(11)으로 삽입되는 웜샤프트(20)와 결합될 경우, 중심축 방향으로 웜샤프트(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웜샤프트(20)의 중심축을 제1 수용공간(11)의 중심축과 일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폐쇄된 하우징(10)의 일 측 내면과 마주하는 틸트 플러그(30)의 일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플러그(30)의 단부로부터 틸트 플러그(30)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우징(10)의 내면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결합돌기(331)가 형성된다. 아울러, 결합돌기(331)가 형성된 틸트 플러그(30)의 일면과 마주하는 하우징(10)의 내면에는 결합돌기(331)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결합홈(10a)이 형성되어, 틸트 플러그(30)가 중심축(도 6의 X축)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즉, 틸트 플러그(30)는 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331)를 통하여, 하우징(10)에 형성된 결합홈(10a)에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원주방향(도 6의 X축을 중심으로 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음은 물론, 웜휠과 웜샤프트 간의 치형 마모시, 후술할 탄성지지부(40)로부터 가압되어 제3 수용공간(15)의 축방향(도 6의 Z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10a)은 결합돌기(331)의 회전을 제한함과 동시에, 결합돌기(331)가 Z축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홈(10a)과 결합돌기(331)의 폭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결함홈(10a)의 높이는 결합돌기(331)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틸트 플러그(30)는 베어링(31), 슬라이딩 결합부(33), 그리고 탄성링(35)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틸트 플러그(30)는 틸트 플러그(30)는 웜샤프트(20)에 결합되는 베어링(31), 틸트 플러그(30)의 중심축 방향으로 베어링(31)을 지지하고, 하우징(10)의 내면과 마주하는 일면에 결합돌기(331)가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33), 그리고 베어링(31)의 외면을 감싸고, 슬라이딩 결합부(33)에 결합되어 베어링(31)을 고정시키는 탄성링(3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결합부(33)는 베어링(31)의 일면에 밀착되어 베어링(31)과 직경이 동일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웜샤프트(20)에 결합 시 베어링(31)에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결합부(33)의 일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331)가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 결합부(33)의 둘레에는 후술할 탄성링(35)의 걸림부(351)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걸림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링(35)은 베어링(31)의 외면을 감싸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링(35)의 일 측에는 단부로부터 중심축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슬라이딩 결합부(33)의 일면에 형성된 걸림홈(33)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35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결합부(33)에 형성된 걸림홈(33) 및 탄성링(35)에 형성된 걸림부(351)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어 보다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틸트 플러그(30)는 후술할 탄성지지부(40)에 베어링(31)이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탄성링(35)의 일 측은 개구되어, 베어링(31)의 일부를 하우징의 제1 수용공간(11)에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면에 형성된 결합홈(10a)은 틸트 플러그(30)가 하우징(10)에 설치될 경우, 탄성링(35)의 개구된 일 측이 탄성지지부(40)가 설치되는 제3 수용공간(15)을 향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지지부(40)가 하우징(10)에 설치될 경우, 탄성지지부(40)는 탄성링(35)의 개구된 일 측을 통하여 탄성링(35)에 간섭되지 않고, 베어링(3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베어링(31)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지지부(40)의 지지력이 웜샤프트(20)에 정확히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탄성지지부(4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탄성지지부(40)는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틸트 플러그(30)를 웜휠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탄성지지부(40)는 틸트 플러그(30)에 접하고 Z축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부(41), 지지부(41)의 단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0)의 내면에 체결되고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베어링(31)을 지지하는 지지부(41)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43), 그리고 지지부(41)와 조절부(43)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부(41)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웜샤프트의 단부에 베어링을 압입시킨 후, 베어링을 하우징 내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베어링의 둘레에 복수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하우징(10)의 내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용공간에 배치된 후, 하우징(1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웜샤프트(20)에 결합되어 웜샤프트(20)의 중심축을 수용공간의 중심축과 일치시키는 틸트 플러그(30)를 구비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공정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틸트 플러그(30)는 웜샤프트(20)에 결합되기 이전에 하우징(10)의 내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웜샤프트(20)와 정확한 조립이 가능하고, 나아가 웜샤프트(20)의 비틀림으로 인한 재조립과정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틸트 플러그(30)가 배치되는 하우징(10)의 일 측은 폐쇄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하우징(10) 내부의 부품이 하우징(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하우징 10a. 결합홈
11. 제1 수용공간
11a. 제1 수용부 11b. 제2 수용부
13. 제2 수용공간
15. 제3 수용공간
20. 웜샤프트
21. 웜
23. 결합부
25. 세레이션
30. 틸트 플러그
31. 베어링
33. 슬라이딩 결합부
331. 결합돌기
333. 걸림홈
35. 탄성링
351. 걸림부
40. 탄성지지부
41. 지지부
43. 조절부
45. 탄성부재
50. 압입부재
60. 커플러
70. 주베어링
80. 지지부재

Claims (7)

  1.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웜휠과 치합되는 웜샤프트,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웜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웜샤프트를 지지하는 틸트 플러그,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틸트 플러그를 상기 웜휠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틸트 플러그가 수용되며 일 측은 폐쇄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틸트 플러그에 상기 웜샤프트가 결합될 경우 상기 웜샤프트에 가압되는 틸트 플러그를 지지하는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틸트 플러그는
    상기 웜샤프트에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틸트 플러그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고, 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 그리고
    상기 베어링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을 고정시키는 탄성링
    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틸트 플러그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틸트 플러그는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회전이 제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링의 일 측은 개구되어 상기 베어링의 외면 일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틸트 플러그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경우 상기 탄성링의 개구된 일 측이 상기 탄성지지부가 설치되는 수용공간을 향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의 단부가 상기 베어링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수용공간은 상기 웜샤프트가 수용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틸트 플러그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틸트 플러그가 수용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웜휠이 배치되는 제2 수용공간,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가 배치되는 제3 수용공간이 더 형성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웜샤프트에는
    상기 웜샤프트와 상기 틸트 플러그의 결합 시, 상기 웜샤프트의 외면과 상기 틸트 플러그의 내면 사이의 공간으로 압입되어 상기 웜샤프트를 상기 틸트 플러그에 고정시키는 압입부재가 설치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탄성링에는 단부로부터 중심축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외면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7. 삭제
KR1020160183068A 2016-12-29 2016-12-2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KR101957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68A KR101957349B1 (ko) 2016-12-29 2016-12-2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PCT/KR2017/011648 WO2018124441A1 (ko) 2016-12-29 2017-10-20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EP17888628.9A EP3549844B1 (en) 2016-12-29 2017-10-20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CN201780081554.0A CN110121457A (zh) 2016-12-29 2017-10-20 电动助力转向系统
US16/474,309 US20190337554A1 (en) 2016-12-29 2017-10-20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68A KR101957349B1 (ko) 2016-12-29 2016-12-2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70A KR20180078070A (ko) 2018-07-09
KR101957349B1 true KR101957349B1 (ko) 2019-06-19

Family

ID=6271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068A KR101957349B1 (ko) 2016-12-29 2016-12-2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37554A1 (ko)
EP (1) EP3549844B1 (ko)
KR (1) KR101957349B1 (ko)
CN (1) CN110121457A (ko)
WO (1) WO2018124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5379B2 (ja) * 2017-08-07 2021-12-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ウォーム減速機
DE102018114267A1 (de) * 2018-06-14 2019-12-19 Thyssenkrupp Ag Elektromechanische Servolenkung mit einem Schraubradgetriebe und einem Getriebegehäuse
CN109322979B (zh) * 2018-11-05 2021-08-20 兰州万里航空机电有限责任公司 用于消除蜗轮蜗杆传动间隙的装置
KR20220110954A (ko) * 2021-02-01 2022-08-09 주식회사 만도 스토퍼와 이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장치의 구동부
CN113788064B (zh) * 2021-10-11 2023-03-14 枣庄科技职业学院 汽车转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6485B2 (ja) * 2004-03-09 2009-11-0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81060A (ja) * 2006-09-29 2008-04-10 Hitachi Ltd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481777B2 (ja) * 2007-10-23 2014-04-2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滑り軸受を具備した軸受機構
JP5141339B2 (ja) * 2008-03-31 2013-02-13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ブッシュ軸受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のラック−ピニオン式操舵装置
JP5136286B2 (ja) * 2008-08-21 2013-02-06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866931B2 (ja) * 2009-03-24 2012-02-0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315666B1 (ko) * 2009-12-29 2013-10-08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DE102010002285A1 (de) * 2010-02-24 2011-08-25 ZF Lenksysteme GmbH, 73527 Schraubradgetriebe für eine Lenkung eines Kraftfahrzeugs
KR101204306B1 (ko) * 2010-04-12 2012-11-23 남양공업주식회사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JP2012087881A (ja) * 2010-10-20 2012-05-10 Jtekt Corp 動力伝達継手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3071679A (ja) * 2011-09-28 2013-04-22 Showa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999423B2 (ja) * 2011-11-25 2016-09-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30107623A (ko) * 2012-03-22 2013-10-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KR20140014714A (ko) 2012-07-25 2014-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소음저감형 전동식 조향장치
KR101477906B1 (ko) * 2013-05-28 2014-12-30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50002056A (ko) * 2013-06-28 2015-0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491304B1 (ko) * 2013-08-27 2015-02-0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759758B1 (ko) * 2013-10-22 2017-07-19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JP6313969B2 (ja) * 2013-12-25 2018-04-18 Kyb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428782B2 (ja) * 2014-09-26 2018-11-28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100873B2 (en) * 2014-12-09 2018-10-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ially deflectable bushing and steering gear assembly using the same
GB201502825D0 (en) * 2015-02-19 2015-04-08 Trw Ltd Gearbox for electric assisted steering apparatus
US10427707B2 (en) * 2015-07-16 2019-10-01 Honda Motor Co., Ltd. Dual-pinio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6167198B1 (ja) * 2016-03-25 2017-07-19 Kyb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製造方法
US10978931B2 (en) * 2016-06-29 2021-04-13 Mitsuba Corporation Motor with speed reduction mechanism
KR102543624B1 (ko) * 2016-06-30 2023-06-1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자동차의 감속기
DE102017209563A1 (de) * 2017-06-07 2018-12-13 Robert Bosch Gmbh Loslager, Lenkgetriebe und Lenksystem
WO2020166261A1 (ja) * 2019-02-12 2020-08-20 日本精工株式会社 ウォーム減速機および電動アシスト装置
JP7310551B2 (ja) * 2019-11-01 2023-07-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ウォーム減速機、およびウォーム減速機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37554A1 (en) 2019-11-07
CN110121457A (zh) 2019-08-13
EP3549844A1 (en) 2019-10-09
EP3549844B1 (en) 2022-04-06
WO2018124441A1 (ko) 2018-07-05
EP3549844A4 (en) 2020-08-05
KR20180078070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349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US6727613B2 (en) Motor having rotatable shaft coupled with worm shaft
KR20120028814A (ko) 클러치 및 모터
JP2009124785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モータ
US6481550B2 (en) Motor having clutch provided with stopper
US20130051901A1 (en) Shaft coupling structure and steering system
KR101535625B1 (ko) 모터
KR101955350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JP2016056828A (ja) ターボ機械
US20210163059A1 (en) Steering apparatus
JP2002364713A (ja) モータ
JP2007247663A (ja) モータのスラスト軸受構造
KR101989815B1 (ko)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
JP4968531B2 (ja) 電磁クラッチ
US11536348B2 (en) Power steering device
US20180062476A1 (en) Motor and motor assembly device
KR102300787B1 (ko) 전동식 조향장치
US7926346B2 (en) Measuring device for changing an angular position of a transmitter in relation to a basic body
WO2019074003A1 (ja) 長尺部材アッセンブリ
US20220355778A1 (en) Actuator for electronic parking brake
US11192577B2 (en) Power steering device
JP2010025262A (ja) 出力伝達装置及び減速機構付モータ
JP6262291B2 (ja) モータ及び車両用パワーウインド装置
JP5969660B2 (ja) モータ
JP4234568B2 (ja) モータ支持構造及び電動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