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815B1 -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815B1
KR101989815B1 KR1020170143353A KR20170143353A KR101989815B1 KR 101989815 B1 KR101989815 B1 KR 101989815B1 KR 1020170143353 A KR1020170143353 A KR 1020170143353A KR 20170143353 A KR20170143353 A KR 20170143353A KR 101989815 B1 KR101989815 B1 KR 10198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bush
rotation preventing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417A (ko
Inventor
정해목
박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7014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8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에 샤프트를 회전되게 체결하는 샤프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가이드 부쉬, 및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부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부쉬 댐퍼를 포함하여 조립시에 가이드 부쉬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샤프트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부쉬 댐퍼가 흡수하여 하우징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 {FIXING APPARATUS FOR SHAFT AND GEAR BOX}
본 발명은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기어박스에 사용되는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시트의 전동식 슬라이딩 장치는 공개특허 제10-2009-009295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10)의 하우징(11, 12) 내부에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웜기어(50)가 설치되고, 웜기어(5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웜 휠(30)이 리드 스크류(20)와 치합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웜 휠(30)은 기어박스(10)의 내부에서 양단부가 스토퍼 링(60, 70)에 의해 그 위치를 규제받도록 구성되어 있어 웜기어(50)와의 정상적인 치결합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시(40)들이 하우징(11, 12)에 삽입 안착되어 웜기어(50)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웜기어(50)가 하우징(11, 1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시(40)가 하우징(11, 12)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삽입 안착되고, 압입 과정에서 부시(40)의 내경이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정밀한 홀 사이즈를 유지하기 위하여 후가공(리머가공)을 필요로한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의 부시(40)가 하우징(11, 12)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웜기어(50)의 진동이 하우징(11, 12)을 통하여 시트 전체에 전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과정에서 부시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웜기어의 진동이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부시 구조의 개발이 필요하다.
공개특허 제10-2009-0092951호의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조립 시 부시가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기어의 진동이 하우징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고정장치는 하우징에 샤프트를 회전되게 체결하는 샤프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가이드 부쉬, 및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부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부쉬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쉬는,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부쉬 몸체, 상기 부쉬 몸체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 디스크, 상기 결합 디스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 회전방지 돌기, 및 상기 회전방지 돌기의 반경방향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쉬 댐퍼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부쉬 몸체를 내주면에 수용하여 진동의 전달을 감쇄시키도록 형성된 댐퍼부, 상기 댐퍼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부쉬 몸체 및 상기 결합 돌기 사이에 수용되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회전방지 돌기 사이에 치합되게 형성된 고정부, 및 링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부쉬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2커버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방지 돌기는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어 상기 회전방지 돌기의 고온 팽창 시 작동 성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2커버의 외경이 상기 회전방지 돌기의 외경보다 큰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어박스는 샤프트, 하우징,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및 상기 샤프트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시트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는, 차량에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웜 휠,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어 구동부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웜 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접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웜 기어, 및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고 상기 시트에 결합되는 하우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에 의하면, 완충 효과를 갖는 부쉬 댐퍼를 도입하여 조립시에 가이드 부쉬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샤프트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부쉬 댐퍼가 흡수하여 하우징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에서 가이드 부쉬와 부쉬 댐퍼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에서 가이드 부쉬와 부쉬 댐퍼가 결합된 결합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에서 부쉬 및 부쉬 댐퍼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에서 하우징에 가이드 부쉬 및 부쉬 댐퍼가 결합되는 과정을 그린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에서 하우징에 가이드 부쉬 및 부쉬 댐퍼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의 분해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의 결합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는, 가이드 부쉬(100), 부쉬 댐퍼(200), 샤프트(300), 하우징(400) 및 동력전달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쉬(100)의 외주면을 상기 부쉬 댐퍼(200)가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쉬(100)와 상기 부쉬 댐퍼(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00)에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300)가 상기 가이드 부쉬(100)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400)에 상기 샤프트(300)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300)는 상기 하우징(400)의 내부에서 상기 동력전달부(500)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400)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도면 미기재)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500)는 상기 샤프트(300) 및 차량의 시트(도면 미기재)와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300)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차량의 시트(도면 미기재)를 이동시킨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 부쉬(100)는 상기 샤프트(300)가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되, 부쉬 몸체(110), 결합 디스크(120), 회전방지 돌기(130), 결합 돌기(140) 및 지지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부쉬 몸체(110)는 상기 샤프트(300)가 삽입되도록 중공형의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 디스크(120)는 상기 부쉬 몸체(110)와 연결되고, 상기 부쉬 몸체(1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 디스크(120)의 내경은 상기 부쉬 몸체(110)의 내경과 동일하나, 상기 결합 디스크(120)의 외경(R2)은 상기 부쉬 몸체(110)의 외경(R1)보다 크게(R2>R1)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는 상기 결합 디스크(120)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의 외경(R3)은 상기 결합디스크(120)의 외경(R2)보다 크게(R3>R2)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의 사이에는 회전방지 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 홈(131)은 상기 결합디스크(120)의 외경(R2)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상기 결합 돌기(140)는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의 반경방향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 돌기(140)는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40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50)는 상기 결합 디스크(120)와 연결되게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150)의 외경(R4)은 상기 결합디스크(120)의 외경(R2)보다 작게(R4<R2)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쉬(100)는 내경의 크기는 동일한 중공형의 형태를 가지되, 상기 부쉬 몸체(110), 상기 결합 디스크(120),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 및 상기 지지부(150)의 외경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R3>R2>R4>R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쉬 댐퍼(200)는 상기 가이드 부쉬(100)의 형태에 대응하여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되되, 댐퍼부(210), 제1커버(220), 고정부(230) 및 제2커버(24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부쉬 댐퍼(200)는 다양한 소재로 제조할 수 있으나,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부(210)는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부쉬 몸체(110)를 내주면에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댐퍼부(210)의 내경은 상기 부쉬 몸체(110)의 외경과 같도록(R1) 형성되되, 상기 댐퍼부(210)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400)에 형성된 부쉬 결합홀(411)(도 4 참조)보다 같거나 작도록 형성되어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부쉬 결합홀(411)에 삽입 리브(412)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더욱 강한 고정 결합력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댐퍼부(210)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400)에 삽입되는 방향 측 단부가 비스듬하게 깎여 삽입가이드(21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커버(220)는 상기 댐퍼부(210)와 연결되며, 상기 댐퍼부(2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커버(220)는 상기 가이드 부쉬(100)의 상기 부쉬 몸체(110) 및 상기 결합 돌기(14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 수용된다. 즉, 상기 결합 돌기(140)의 두께를 d라고 하면(도 3 참조), 상기 제1커버(220)의 내경은 상기 부쉬 몸체(110)의 외경(R1)과 같고, 상기 제1커버(220)의 외경은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의 외경(R3)에서 상기 결합 돌기(140)의 두께(d)를 뺀 값(R3-d)이 된다.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제1커버(220)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 사이에 치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230)는 회전방지 홈(131)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30)의 내경은 상기 결합 디스크(120)의 외경(R2)의 크기와 같고, 상기 고정부(230)의 외경은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의 외경(R3)과 크기가 같으며, 상기 결합 돌기(140)의 원주방향 단부의 면과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부(230) 사이에는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홀(2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240)는 상기 고정부(230)와 연결되되, 링 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2커버(240)의 내경은 상기 지지부(150)의 외경(R4)와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240)의 외경(R5)은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의 외경(R3)보다 크게(R5>R3) 형성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동력전달부(500)는 리드 스크류(510), 웜 휠(520), 웜 기어(530) 및 하우징 브라켓(5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웜 기어(530)는 상기 샤프트(300)와 결합하고, 상기 웜 기어(530)와 상기 웜 휠(520)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접하며, 상기 웜 휠(520)은 상기 리드 스크류(5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브라켓(540)은 상기 하우징(400) 및 차량의 시트(도면 미기재)와 결합하고, 상기 리드 스크류(510)는 차량에 설치된다.
상기 리드 스크류(510)는 차량(도면 미기재)에 고정 설치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 형태를 갖는다.
상기 웜 휠(520)은 상기 리드 스크류(510)의 나사산(수나사)을 따라 차량의 전 후 방향(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웜 휠(520)은 상기 리드 스크류(510)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나사산을 따라 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암나사)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웜 휠(520)은 상기 웜 기어(5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외주면에 웜 기어 형태의 기어 이(toot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웜 기어(530)는 상기 샤프트(300)와 고정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축과 비스듬하게 기어 이(toot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웜 기어(530)는 상기 웜 휠(5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접하고, 상기 웜 기어(530)와 상기 웜 휠(520)은 서로 치합된다.
상기 하우징 브라켓(540)은 상기 하우징(400)의 외측 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510)가 관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브라켓(540)은 차량의 시트(도면 미기재)와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웜 휠(520) 및 상기 웜 기어(430)을 내장하도록 형성되되, 제1 샤프트하우징(410), 제2 샤프트하우징(420), 제1 스크류하우징(430), 제 2 스크류하우징(440) 및 저면 하우징(450)을 포함한다.(도 4 및 도 6 참조)
이때, 상기 샤프트(300)는 상기 제1 샤프트하우징(410) 및 상기 제2 샤프트하우징(420)을 관통하여 구동부(도면 미기재)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샤프트하우징(410) 및 상기 제2 샤프트하우징(42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웜 기어(530)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리드 스크류(510)는 상기 제1 스크류하우징(430) 및 상기 제2 스크류하우징(440)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스크류하우징(430) 및 상기 제2 스크류하우징(440) 사이의 상기 웜 휠(520)과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 브라켓(540)은 상기 제1 스크류하우징(430)과 상기 제2 스크류하우징(440) 및 상기 저면 하우징(450)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어박스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동식 시트 슬라이드 장치에서는 구동부(도면 미기재)가 작동되면, 상기 샤프트(300)에 동력(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샤프트(300)와 고정 결합된 상기 웜 기어(530)가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웜 기어(530)와 치합되어 있는 상기 웜 휠(520)도 상기 웜 기어(5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기 웜 휠(520)이 회전하면, 상기 웜 휠(5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암나사)이 상기 리드 스크류(510)에 형성된 나사산(수나사)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웜 휠(520)과 상기 웜 기어(530)를 내장하고, 구동부(도면 미기재)가 외부에 결합된 상기 하우징(400) 전체가 상기 리드 스크류(51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하우징(400)과 고정 결합된 상기 하우징 브라켓(540)이 상기 하우징(400)과 같이 이동하면서, 차량의 시트(도면 미기재)를 상기 리드 스크류(51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조립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부쉬(100)의 외주면을 감싼 상기 부쉬 댐퍼(200)가 상기 하우징(400)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부쉬 댐퍼(200)에 변형이 발생하면서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 결합된다.
종래의 샤프트 고정장치의 경우에는 하우징에 부쉬가 직접 끼워지면서 부쉬 자체에 변형이 발생하였다.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부쉬 댐퍼(200)에 변형이 발생할 뿐 상기 가이드 부쉬(100)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가이드 부쉬(100)의 파손을 방지하고, 후가공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쉬(100)의 외주면을 상기 부쉬 댐퍼(200)가 감싸도록 형성된 결과, 상기 샤프트(300)의 진동이 상기 하우징(40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구동부(도면 미기재)에서 인가된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300)가 회전하고, 상기 웜 기어(530)과 상기 웜 휠(520)이 서로 치합되어 회전하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쉬 댐퍼(200)가 상기 가이드 부쉬(100)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하우징(400) 및 상기 하우징(400)과 결합된 상기 하우징 브라켓(540)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종래의 샤프트 고정장치의 경우, 샤프트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부쉬가 직접 하우징에 전달하여, 시트까지 진동이 전달되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진동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므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와 함께, 종래의 부쉬보다 고정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 부쉬(100)가 제조된 상태에서, 몰드에 상기 가이드 부쉬(100)를 배치하고 인서트 사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부쉬 댐퍼(200)를 형성시키는 경우 상기 가이드 부쉬(100)와 상기 부쉬 댐퍼(200)는 결합력이 강력해진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회전방지 홈(131)에 상기 고정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와 상기 고정부(230)가 서로 맞닿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3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부쉬(100)에 회전력이 가해진다고 하더라도, 상기 고정부(230)가 일종의 걸림턱 역할을 하여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가 상기 고정부(230)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부쉬 댐퍼(200)의 상기 제1커버(220) 및 상기 제2커버(240) 사이에 상기 결합 디스크(120)와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가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쉬(100)가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결합 디스크(120)의 외경(R2) 및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의 외경(R3)이 상기 제2커버(240)의 내경(R4)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디스크(120) 및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가 상기 제2커버(240)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쉬 댐퍼(200)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240)의 외경(R5)이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의 외경(R3)보다 크게(R5<R3) 형성되어, 주변의 온도 변화에도 상기 하우징(400)과의 결합력을 유지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쉬 댐퍼(200)가 상기 가이드 부쉬(100)와 함께 상기 하우징(400)의 상기 부쉬 결합홀(411)에 끼워져 결합되면, 상기 제2커버(240)는 상기 하우징(400)과 접촉되는 반면,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는 상기 하우징(400)과 접촉되지 않고(이격되고)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와 상기 하우징(40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팽창부(413)가 형성된다.
저온의 환경에서는 상기 가이드 부쉬(100)가 수축되더라도 조립과정에서 상기 하우징(400)에 의하여 압축되었던 상기 부쉬 댐퍼(200)가 복원되면서 상기 하우징(400)과의 결합력을 유지시킨다.
반면, 고온의 환경에서는 상기 가이드 부쉬(100)가 팽창하여도 상기 회전방지 돌기(130)가 상기 팽창부(413)에 수용되면서 상기 하우징(400)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저온의 수축환경에서 결합력을 유지시키고, 고온의 팽창환경에서도 상기 가이드 부쉬(100)와 상기 하우징(400) 사이에 진동의 직접전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가이드 부쉬
110 : 부쉬 몸체
120 : 결합 디스크
130 : 회전방지 돌기
140 : 결합 돌기
150 : 지지부
200 : 부쉬 댐퍼
210 : 댐퍼부
220 : 제1커버
230 : 고정부
240 : 제2커버
300 : 샤프트
400 : 하우징
500 : 동력전달부
510 : 리드 스크류
520 : 웜 휠
530 : 웜 기어
540 : 하우징 브라켓

Claims (6)

  1. 하우징에 샤프트를 회전되게 체결하는 샤프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가이드 부쉬; 및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부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부쉬 댐퍼;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쉬는,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부쉬 몸체;
    상기 부쉬 몸체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 디스크;
    상기 결합 디스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 회전방지 돌기; 및
    상기 회전방지 돌기의 반경방향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 댐퍼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부쉬 몸체를 내주면에 수용하여 진동의 전달을 감쇄시키도록 형성된 댐퍼부;
    상기 댐퍼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부쉬 몸체 및 상기 결합 돌기 사이에 수용되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회전방지 돌기 사이에 치합되게 형성된 고정부; 및
    링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부쉬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제2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2커버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방지 돌기는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어, 상기 회전방지 돌기의 고온 팽창 시 작동 성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2커버의 외경이 상기 회전방지 돌기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고정장치.
  5. 샤프트;
    하우징;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샤프트 고정장치; 및
    상기 샤프트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시트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차량에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웜 휠;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어 구동부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웜 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접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웜 기어; 및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고 상기 시트에 결합되는 하우징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KR1020170143353A 2017-10-31 2017-10-31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 KR10198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53A KR101989815B1 (ko) 2017-10-31 2017-10-31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53A KR101989815B1 (ko) 2017-10-31 2017-10-31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417A KR20190048417A (ko) 2019-05-09
KR101989815B1 true KR101989815B1 (ko) 2019-06-18

Family

ID=6654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353A KR101989815B1 (ko) 2017-10-31 2017-10-31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924B1 (ko) * 2019-12-30 2021-08-03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JP2023109382A (ja) * 2022-01-27 2023-08-08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軸受ユニット及び減速機付きモー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63B1 (ko) * 2013-09-03 2014-12-03 계양전기 주식회사 시트 슬라이드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016B1 (ko) 2008-02-28 2015-01-30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KR101257234B1 (ko) * 2011-03-22 2013-04-23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KR102151110B1 (ko) * 2014-06-11 2020-09-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베어링 부시
KR102254485B1 (ko) * 2014-09-25 2021-05-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베어링 부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63B1 (ko) * 2013-09-03 2014-12-03 계양전기 주식회사 시트 슬라이드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417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4615B2 (en) Actuator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door
JP6462523B2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車両ドア開閉用アクチュエータ
JP3971051B2 (ja) モータ
US10920473B2 (en) Vehicle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RU2555289C2 (ru) Ручная машина с приводным двигателем и передаточным механизмом
KR20170116038A (ko) 풀리 디커플러
JP2006097898A (ja) ベルト引張装置
KR101989815B1 (ko)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
KR20170116037A (ko) 풀리 디커플러
JP6579850B2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車両ドア開閉用アクチュエータ
JP2008259407A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11021903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1957349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JP2010503371A (ja) 特にアーマチュア軸受の改良された収容部を備えた、自動車のウインドシールドワイパ駆動装置のための電気モータ
JP2013036530A (ja) 回転変動吸収クランクプーリ
JP4225618B2 (ja) 駆動ユニット
WO2020166261A1 (ja) ウォーム減速機および電動アシスト装置
JP7404688B2 (ja) ウォーム減速機および電動アシスト装置
JP2007333166A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200224072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133917A (ja) アイソレーションプーリ
KR102300787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1542944B1 (ko) 이중 질량체 플라이휠
CN218499596U (zh) 传动箱及配置有传动箱的自推进机器
WO2023145150A1 (ja) 軸受ユニット及び減速機付き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