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038A - 풀리 디커플러 - Google Patents

풀리 디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038A
KR20170116038A KR1020177022453A KR20177022453A KR20170116038A KR 20170116038 A KR20170116038 A KR 20170116038A KR 1020177022453 A KR1020177022453 A KR 1020177022453A KR 20177022453 A KR20177022453 A KR 20177022453A KR 20170116038 A KR20170116038 A KR 20170116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pring
spring plate
hub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햐엘 카스트너
롤란트 아네트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11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2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expandable or contractable clamping ring or band
    • F16D41/2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expandable or contractable clamping ring or band having axially adjacent coils, e.g. helical wrap-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 of energy to absorb shocks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76Friction clutches specially adapted to incorporate with other transmission parts, i.e. at least one of the clutch parts also having another function, e.g. being the disc of a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20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2055/366Pulleys with means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속 기기-벨트 구동부의 벨트로부터 부속 기기의 샤프트에 구동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풀리 디커플러(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커플러는 - 풀리(2), - 샤프트에 고정된 허브(4), 및 - 구동 토크 흐름에서 풀리와 허브 사이에 배치되고 단방향 클러치(10)와 나선형 토션 스프링(11)으로 구성되는 직렬 접속부를 구비하며, 나선형 토션 스프링은 풀리 디커플러의 회전 축(12)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 토크의 전달 하에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며, 나선형 토션 스프링의 단부들은 축 방향으로 램프 형태로 상승하는,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 및 제2 스프링 플레이트(24)의 스프링 지지면(30, 39)과 접촉한다.

Description

풀리 디커플러
본 발명은 부속 기기-벨트 구동부의 벨트로부터 부속 기기의 샤프트에 구동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풀리 디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이 디커플러는
- 풀리,
- 샤프트에 고정된 허브, 및
- 구동 토크 흐름에서 풀리와 허브 사이에 배치되고 단방향 클러치와 나선형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직렬 접속부를 구비하며, 나선형 토션 스프링은 풀리 디커플러의 회전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 토크의 전달 하에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며, 나선형 토션 스프링의 단부들은 축 방향으로 램프 형태로 상승하는, 제1 스프링 플레이트 및 제2 스프링 플레이트의 스프링 지지면과 접촉한다.
공지된 바에 따르면, 연소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로부터 연소 엔진의 부속 기기-벨트 구동부에 도입되는 회전 진동 및 회전 불균일성은, 공지된 바와 같이 풀리 디커플러에 의해 보상될 수 있는데, 이는 통상 영어로 디커플러(Decoupler)로 지칭되고 전형적으로 제너레이터-풀리로서 형성된다. 단방향 클러치는 폐쇄된 상태에서 구동 토크를 풀리로부터 허브에 전달하고, 이때 단방향 클러치와 직렬로 접속된 나선형 토션 스프링의 탄성은 벨트 구동부로부터 유래하는 회전 불균일성을 평활화시킨다. 지연되게 회전하는 풀리의 경우 단방향 클러치는 개방되고, 이때 -그러면 반대로- 허브로부터 풀리에는 언급할 만한 회전 토크가 전혀 전달되지 못하므로, 결과적으로 관성 질량의 제너레이터 샤프트는 풀리를 오버런할 수 있다.
반경 방향 내부의 단방향 클러치와 반경 방향 외부의 나선형 토션 스프링을 구비한 풀리 디커플러가 DE 10 2009 052 611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에 반해, 단방향 클러치와 나선형 토션 스프링이 반경 방향으로 교체된 배치를 갖는 동일 유형의 풀리 디커플러는, 예컨대 US 8,047,920 B2로부터 제시되어 있다. 나선형 토션 스프링은 각각 레그가 없는 단부를 갖고, 단부의 정면측은 축 방향으로 램프 형태로 상승하는 스프링 지지면의 단차부와 압축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본 발명의 과제는 단순화된 구조 형태로 풀리 디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에 기초한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로부터 제시된다. 이에 따르면, 스프링 플레이트들 중 하나 이상은 스프링 플레이트에 성형된 스프링 지지면을 갖는 시트 성형 부품이어야 한다. 따라서, 나선형 토션 스프링의 하나의 단부 또는 바람직하게는 두 단부 모두는 시트 성형 부품으로서 제조된 스프링 플레이트에 직접 접하고, 결과적으로 램프 형태의 지지면과 관련하여 비용 집약적인 성형 부품으로서 제조된 스프링 플레이트뿐만 아니라 별도의 램프 형태의 추가 부품을 갖는 스프링 플레이트의 지금까지 통상적인 구현예가 비용상 저렴한 단일 부품의 시트 성형 부품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연소 엔진의 부속 기기-벨트 구동부에 배치된 제너레이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풀리 디커플러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도면 및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제시된다.
도 1은 풀리 디커플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풀리 디커플러의 전체 종단면도이며,
도 3은 풀리 디커플러의 분해도이고,
도 4는 풀리 및 슬리브로 구성된 부품 그룹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부품 그룹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슬리브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대안적인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추가의 대안적인 슬리브의 사시도이며,
도 9는 제1 스프링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1 스프링 플레이트의 반대편 시점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종동 디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압축 디스크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허브 및 제2 스프링 플레이트로 구성된 부품 그룹의 분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따른 부품 그룹의 사시 종단면도이며,
도 15는 제2 스프링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2 스프링 플레이트의 반대편 시점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이하에서 짧게 디커플러(1)라 지칭되는 풀리 디커플러(1)가 다양한 시점에서 도시되어 있고, 즉 도 1에서는 전체도로, 도 2에서는 종단면도로, 그리고 도 3에서는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벨트에 의해 둘러싸이고 벨트의 다중-V자 형태에 상응하게 프로파일화되는 외피(3)를 갖는 원통형 풀리(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방향으로 벨트에 의해 구동된다. 풀리(2)는 허브(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허브는 제너레이터 샤프트와 고정적으로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허브(4)는 나사 공구를 위한 맞물림 윤곽으로서 내부 톱니부(6)를 제너레이터에서 먼 전방 단부 섹션에 구비하고 도시되지 않는 암나사를 중간 섹션(5)에 구비한다. 허브(4) 상의 풀리(2)의 베어링은 제너레이터 측의 단부에서 롤러 베어링(7)에 의해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제너레이터에서 먼 단부에서는 플레인 베어링(8)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롤러 베어링(7)은 양 측에서 밀봉된 1열 볼 베어링이고 플레인 베어링(8)은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레이디얼 베어링 링이다. 풀리(2)의 내부 직경은 플레인 베어링(8)과 볼 베어링(7) 사이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므로, 결과적으로 이러한 내부 직경 영역은 특히 간단하고 비용상 저렴한 회전 선반가동에 이용 가능하다. 허브(4)는 단지 제너레이터에서 먼 단부에서만 직경에서 단차식 확장부(9)를 갖고, 제너레이터에 디커플러(1)의 조립 후에 이 확장부 내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보호 캡이 스냅인 고정된다.
디커플러(1)의 기능을 위해 중요한 구성 부품들은 단방향 클러치(10)와, -풀리(2)로부터 허브(4)로의 구동 토크 흐름과 관련하여- 단방향 클러치(10)에 직렬 연결된 디커플러 스프링(11)이다. 단방향 클러치(10)는 랩 밴드이고, 디커플러 스프링(11)은 나선형 토션 스프링이며, 이들 두 부품은 디커플러(1)의 회전축(12) 방향으로 연장된다. 나선형 토션 스프링(11)과 랩 밴드(10)는 회전축(12)에 대해 동축으로 제공되고, 이때 랩 밴드(10)는 반경 방향으로 풀리(2)와 나선형 토션 스프링(11) 사이의 환형 공간 내에 연장된다.
우측으로 권취된 랩 밴드(10)뿐만 아니라 좌측으로 권취된 나선형 토션 스프링(11)은 완전히 원통형이고 양 측에서 레그가 없는 단부를 갖고, 이들 단부는 결국 랩 밴드 또는 나선형 토션 스프링을 구동 토크의 전달 시에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킨다. 이 경우, 구동 토크 흐름에서 풀리(2) 측에 연장되는 제1 랩 밴드 단부(13)는 슬리브(15)의 원통형 내피(14)에 대해 압축되고, 이 슬리브는 풀리(2) 내에 회전 고정되어 있다. 구동 토크 흐름에서 나선형 토션 스프링(11) 측에 연장되는 제2 랩 밴드 단부(16)는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의 원통형 내피(17)에 대해 압축되고, 이 슬리브는 풀리(2)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풀리(2)에 의해 도입된 구동 토크는, 한편으로 슬리브(15)와 내피(14)와 제1 랩 밴드 단부(13)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2 랩 밴드 단부(16)와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의 내피(17) 사이에서 오로지 정지 마찰에 의해서만 나선형 토션 스프링(11) 내로 도입되고 여기로부터 허브(4)에 전달된다.
랩 밴드(10)는 회전 토크 반전 시에 풀리(2)에 대한 제너레이터 샤프트 및 이에 고정된 허브(4)의 오버런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랩 밴드(10)는 자신의 (부하되지 않은) 초기 직경으로 수축되고 슬리브(15) 내로 그리고/또는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 내로 밀려 들어가고, 이때 전달될 수 있는 회전 토크는 두 개의 밀려 들어간 접촉 파트너 사이의 미끄럼 마찰 토크로 감소된다.
도 4 및 도 5에는 풀리(2)와, 풀리의 내부 직경에 압입된 슬리브(15)와, 레이디얼 베어링 링(8)으로 형성된 서브 부품 그룹이 분해도로 또는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함께 살펴볼 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15)는, 제1 랩 밴드 단부(13)가 내부에 연장되는 제1 축 방향 섹션(19)과, 레이디얼 베어링 링(8)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제2 축 방향 섹션(20)을 갖는다. 슬리브(15)는 시트 성형 부품이고 슬리브 주연에 반경 방향 안쪽으로 성형된 돌출부를 가지며, 이 돌출부는 축 방향 정지부(21, 22 및 23)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축 섹션(19)이 랩 밴드(10)에 대한 축 방향 정지부(21)를 통해, 그리고 제2 축 방향 섹션(20)이 양 측에서 레이디얼 베어링 링(8)에 대한 축 방향 정지부(22 및 23)를 통해 제한된다. 이는 조립을 위해 주연에서 두 축 방향 정지부(22, 23) 사이에 슬롯으로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에 확대된 세부도로서 도시된 슬리브(15) 중 정지부(21, 22)를 형성하는 돌출부들은 각각 슬리브 주연부의 복수의 국부적 다운 스루부(down through part)를 포함하고 레이디얼 베어링 링(8)을 위한 외측의 축 방향 정지부(23)로서 주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세그먼트를 갖는 림(rim)을 포함한다.
이에 반해, 도 7 또는 도 8에 따른 슬리브(15' 및 15")는 대안적 형태를 갖는다. 슬리브(15')의 경우, 랩 밴드(10)를 위한 축 방향 정지부(21')가 슬리브 주연을 순환하는 드럼 단차부에 의해 대체되고, 슬리브(15")의 경우, 추가로 레이디얼 베어링 링(8)을 위한 축 방향 정지부(22")도 이와 같은 드럼 단차부에 의해 대체된다. 또한 이 경우, 레이디얼 베어링 링(8)을 위한 외측 축 방향 정지부(23")는 주연 방향의 연속 림이다.
다른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상응하게 짧아진 슬리브(15)의 제2 축 방향 섹션(20)도 생략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레이디얼 베어링 링(8)은 풀리(2)의 내부 직경에 직접 수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선형 토션 스프링(11)은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와 제2 스프링 플레이트(24)(도 13 참조) 사이에 약간의 축 방향 예압에 의해 클램핑된다. 스프링 플레이트(18, 24)는 마찬가지로 시트 성형 부품이고 각각 림(25 또는 26)을 구비하며, 이들 림은 도 3에 따라 레그 없는 나선형 토션 스프링(11)의 해당 단부와 접촉한다. 도 9 및 도 10에 확대된 세부도에 도시된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는 외측 링(27)을 포함하고, 이 외측 링의 내피(17)에 제2 랩 밴드 단부(16)가 삽입 랩핑되며, 이의 외피(28)에서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는 풀리(2)의 내부 직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림(25)은 그곳에 형성된 3개의 다운 스루부(29)를 구비하고, 이들은 축 방향으로 램프 형태의 상승하는 스프링 지지면(30)을 형성한다. 이로서, 이 지지면에 직접 접하는 나선형 토션 스프링 단부에 회전 토크 도입이 가능하게 된다.
주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운 스루부(29)는 원호형이고, 이때 이의 아크 길이는 축 방향 상승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구동 토크의 전달은 다운 스루부(29)에서 가장 짧은 아크 길이로 떨어지는 단차부(31)로부터, 이에 이어지면서 나선형 토션 스프링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나선형 토션 스프링 단부의 정면측으로 이루어진다. 이 정면측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다른 나선형 토션 스프링 단부의 정면측(32)과 똑같이 형성된다. (측면에서 개방된) 다운 스루부(29)에 대한 대안으로, 스프링 지지면(30)이 하나 또는 복수의 (측면에서 폐쇄된) 비드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의 림(25)에서 나선형 토션 스프링(11)의 반대 쪽 정면측은 성형된 돌출부(33)를 포함하고, 이 돌출부는 허브(4) 상에 회전 고정식으로 안착되는 도 11에 따른 종동 디스크(35)의 원호형의 절결부(34) 내에 맞물리고 절결부(34)의 주연 방향 단부들(36 및 37)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커플러(1)의 회전 방향으로 더 지연되는 주연 단부(36)는, 이 단부가 제너레이터의 오버런 작동에서 그리고 밀려 들어가는 랩 밴드(10)의 마찰 토크에 대항하여 제2 스프링 플레이트(18)를 돌출부(33)에 의해 종동 구동시키도록 위치 설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 및 허브(4)는 이에 회전 고정된 제2 스프링 플레이트(24)와 함께 공통의 부동 유닛으로서 회전하며, 이때 나선형 토션 스프링 단부의 소위 "램프-업(ramp-up)"이 방지된다. 이러한 결과는,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 및 제2 스프링 플레이트(24)가 나선형 토션 스프링(11)의 주연 방향 이완 하에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발생할 위험이 있고, 결과적으로 나선형 토션 스프링 단부의 하나 또는 두 정면측(32)은 스프링 지지면(30 또는 39)의(도 13 참조) 단차부(31 및 38)로부터 멀어져서 스프링 지지면(30, 39) 상으로 이동한다. 이때, 나선형 토션 스프링(11)의 축 방향으로 축소된 구조 공간은, 나선형 토션 스프링이 두 스프링 플레이트(18 및 24)를 허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서로 떨어지게 가압하여 디커플러(1)를 일정 정도 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분명해 지는 바와 같이,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의 축 방향 지지는 볼 베어링(7)에서 이루어지고 종동 디스크(35)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데, 종동 디스크는 각각 한편으로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에 대한 축 방향 공극과 다른 한편으로 도 12에 도시된 압축 디스크(40)에 대한 축 방향 공극으로 허브(4) 상에 위치 설정되고 그 결과 축 방향 부하로부터 자유롭다. 이 축 방향 부하는 오히려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로부터, 플레인 베어링으로 지지되고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액시얼 베어링 링(41)에 전달되고 계속해서 반경 방향 내측의 볼 베어링(7) 쪽으로 꺽인 압축 디스크(40)를 통해 볼 베어링(7)의 내측 링에 전달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는 허브(4)에 결합되거나 개별 부품으로서 제2 스프링 플레이트(24)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스프링 플레이트(24)는 림(26)으로부터 꺽인 내측 링(42)에 의해 허브(4) 상에 끼워지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림(26)으로부터 꺽인 외측 링(43)을 가지며, 외측 링에는 레이디얼 베어링 링(8)이 수용된다(마찬가지로 도 2 참조). 축 방향으로 램프 형태로 상승하는 스프링 지지면(39)은 마찬가지로 림(26)에 성형된 3개의 다운 스루부(44)에 의해 형성되어, 이곳에 연장되는 나선형 토션 스프링 단부에 마찬가지로 직접 접하며, 이때, 단차부(38)는 나선형 토션 스프링 단부의 정면측(32)과 오로지 압축 접촉한다.
허브(4)는 간단한 회전 선반가공에 의해 실질적으로 균일한 외부 직경을 갖고, 단지 제너레이터 측의 허브 단부만 약간 수축되어 그곳에 끼워지는 볼 베어링(7)의 내측 링을 위한 숄더(45)를 형성한다(도 2 참조).
1 풀리 디커플러 / 디커플러
2 풀리
3 풀리의 외피
4 허브
5 허브의 중간 섹션
6 내부 톱니부
7 롤러 베어링 / 볼 베어링
8 플레인 베어링 / 레이디얼 베어링 링
9 확장부
10 단방향 클러치 / 랩 밴드
11 디커플러 스프링 / 나선형 토션 스프링
12 회전축
13 제1 랩 밴드 단부
14 슬리브의 내피
15 슬리브
16 제2 랩 밴드 단부
17 제1 스프링 플레이트의 내피
18 제1 스프링 플레이트
19 제1 축 방향 섹션
20 제2 축 방향 섹션
21 축 방향 정지부
22 (내측) 축 방향 정지부
23 (외측) 축 방향 정지부
24 제2 스프링 플레이트
25 제1 스프링 플레이트의 림
26 제2 스프링 플레이트의 림
27 제1 스프링 플레이트의 외측 링
28 외측 링의 외피
29 다운 스루부
30 스프링 지지면
31 단차부
32 나선형 토션 스프링 단부의 정면측
33 돌출부
34 절결부
35 종동 디스크
36 절결부의 단부
37 절결부의 단부
38 단차부
39 스프링 지지면
40 압축 디스크
41 액시얼 베어링 링
42 제2 스프링 플레이트의 내측 링
43 제2 스프링 플레이트의 외측 링
44 다운 스루부
45 허브의 숄더

Claims (8)

  1. 부속 기기-벨트 구동부의 벨트로부터 부속 기기의 샤프트에 구동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풀리 디커플러로서, 상기 디커플러는
    - 풀리(2),
    - 샤프트에 고정된 허브(4), 및
    - 구동 토크 흐름에서 풀리(2)와 허브(4) 사이에 배치되고 단방향 클러치(10)와 나선형 토션 스프링(11)으로 구성되는 직렬 접속부를 구비하며, 나선형 토션 스프링은 풀리 디커플러(1)의 회전 축(12)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 토크의 전달 하에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며, 나선형 토션 스프링(11)의 단부들은 축 방향으로 램프 형태로 상승하는,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 및 제2 스프링 플레이트(24)의 스프링 지지면(30, 39)과 접촉하는, 풀리 디커플러에 있어서,
    스프링 플레이트들(18, 24) 중 하나 이상은 스프링 플레이트에 성형된 스프링 지지면(30, 39)을 갖는 시트 성형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디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지지면(30, 39)은 원호 형태이고 주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운 스루부(29, 44) 또는 비드에 의해 시트 성형 부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디커플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방향 클러치(10)는 랩 밴드이며, 상기 랩 밴드는 풀리 디커플러(1)의 회전축(12)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으로 풀리(2)와 나선형 토션 스프링(11) 사이에 배치되어 랩 밴드의 단부(13, 16)는 구동 토크의 전달 하에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며, 이때, 구동 토크 흐름에서 풀리(2) 측에 연장되는 제1 랩 밴드 단부(13)는 풀리(2) 내에 회전 고정되어 있는 내피(14)에 대해 압축되고, 구동 토크 흐름에서 나선형 토션 스프링(11) 측에 연장되는 제2 랩 밴드 단부(16)는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의 외측 링(27)의 내피(17)에 대해 압축되고, 상기 제1 스프링 플레이트는 림(25)과 이에 성형된 스프링 지지면(30)을 갖는 시트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외측 링(27)의 외피(28)에서 풀리(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디커플러.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는 림(25)에서 나선형 토션 스프링(11)의 반대 쪽 정면측에 성형된 돌출부(33)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허브(4) 상에 회전 고정된 종동 디스크(35)에서 원호형의 절결부(34)의 주연 방향 단부들(36, 37)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디커플러.
  5. 제4항에 있어서, 종동 디스크(35)는 허브(4) 상에 풀리(2)를 지지하는 롤러 베어링(7)과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 사이의 축 방향 부하로부터 자유롭게 배치되며, 제1 스프링 플레이트(18)는 축 방향 베어링 링(41) 및 압축 디스크(40)에 의해 롤러 베어링(7)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디커플러.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랩 밴드 단부(13)는 풀리(2) 내에 회전 고정되어 있는 슬리브(15, 15', 15")의 내피(14)에 대해 압축되고, 상기 슬리브는, 제1 랩 밴드 단부(13)가 내부에 연장되는 제1 축 방향 섹션(19)과, 허브(4) 상에 풀리(2)를 플레인 베어링하는 레이디얼 베어링 링(8)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제2 축 방향 섹션(2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디커플러.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축 방향 섹션(19)은 랩 밴드(10)에 대한 축 방향 정지부(21, 21')를 통해 제한되고, 제2 축 방향 섹션(20)은 양 측에서 레이디얼 베어링 링(8)에 대한 축 방향 정지부(22, 22", 23, 23")를 통해 제한되며, 슬리브(15, 15', 15")는 풀리(2) 내에 압입된 시트 성형 부품이고, 축 방향 정지부(21, 21', 22, 22", 23, 23")는 반경 방향 안쪽으로 슬리브 주연에 성형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디커플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허브(4)에 끼워진 내측 링(42)과, 레이디얼 베어링 링(8)이 수용되어 있는 외측 링(43)을 갖는 제2 스프링 플레이트(24)는, 상기 내측 링(42)을 상기 외측 링(43)과 연결시키는 림(26)과 상기 림 상에 성형된 스프링 지지면(39)을 구비한 시트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디커플러.
KR1020177022453A 2015-02-12 2016-01-28 풀리 디커플러 KR201701160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02527.6 2015-02-12
DE102015202527.6A DE102015202527B3 (de) 2015-02-12 2015-02-12 Riemenscheibenentkoppler
PCT/DE2016/200060 WO2016127991A1 (de) 2015-02-12 2016-01-28 Riemenscheibenentkopp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038A true KR20170116038A (ko) 2017-10-18

Family

ID=5541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453A KR20170116038A (ko) 2015-02-12 2016-01-28 풀리 디커플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80023638A1 (ko)
EP (1) EP3256749B1 (ko)
JP (1) JP2018505363A (ko)
KR (1) KR20170116038A (ko)
CN (1) CN107208702B (ko)
DE (1) DE102015202527B3 (ko)
ES (1) ES2805677T3 (ko)
HU (1) HUE051445T2 (ko)
WO (1) WO2016127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6812B2 (en) * 2012-09-10 2022-02-01 Zen S/A Industria Metalurgica Decoupler with one-way clutch and fail-safe system
DE102016211558B4 (de) * 2016-06-28 2019-01-3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DE102017004974A1 (de) * 2017-05-24 2018-11-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DE102018108464A1 (de) * 2018-04-10 2019-10-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aufweisend ein Gleitlager mit einem integrierten axialen Reibring sowie Nebenaggregateantrieb und Antriebsmotor mit einem entsprechenden Riemenscheibenentkoppler
DE102018108426B4 (de) 2018-04-10 2023-08-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DE102018108425B4 (de) 2018-04-10 2023-10-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DE102018109537B4 (de) 2018-04-20 2023-11-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DE102018115179B4 (de) 2018-06-25 2021-02-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DE102019115747A1 (de) * 2019-06-11 2020-12-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mit einer Rotationsachse
DE102020105516B3 (de) * 2020-03-02 2021-06-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ntkoppler und Nebenaggregate-Riemen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solchen Entkoppler
DE102020122175B3 (de) 2020-08-25 2021-11-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CN113458468B (zh) * 2021-07-31 2022-08-30 深圳市锐健电子有限公司 一种电机力矩传感器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1880B2 (en) * 2000-05-31 2007-03-20 Ntn Corporation Over-running clutch pulley with increased surface microhardness
US6691846B2 (en) * 2001-11-29 2004-02-17 Ntn Corporation Over-running clutch pulley with shortened depth
US7712592B2 (en) * 2003-12-09 2010-05-11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Spring travel limiter for overrunning alternator decoupler
JP2013503282A (ja) * 2009-08-28 2013-01-31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スタータリングギヤを備えるフライホイール
US8292178B2 (en) * 2009-09-17 2012-10-23 Sap Ag Integrated smart label
US9068608B2 (en) * 2009-09-17 2015-06-30 Gates Corporation Isolator decoupler
DE102009052611B4 (de) * 2009-11-10 2018-06-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anordnung
US8678157B2 (en) * 2011-05-25 2014-03-25 Gates Corporation Isolator decoupler
US9181989B2 (en) * 2011-08-08 2015-11-10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Decoupler assembly
DE102012210889B4 (de) * 2012-06-26 2021-03-18 Seg Automotive Germany Gmbh Andreh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Andrehvorrichtung
US9611928B2 (en) * 2013-06-13 2017-04-04 Zhimin Li Unidirectional coupling damping pull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08702A (zh) 2017-09-26
EP3256749B1 (de) 2020-05-27
WO2016127991A1 (de) 2016-08-18
DE102015202527B3 (de) 2016-04-21
CN107208702B (zh) 2020-03-17
US20180023638A1 (en) 2018-01-25
ES2805677T3 (es) 2021-02-15
JP2018505363A (ja) 2018-02-22
HUE051445T2 (hu) 2021-03-01
EP3256749A1 (de)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6038A (ko) 풀리 디커플러
KR20170116037A (ko) 풀리 디커플러
KR102660226B1 (ko) 벨트 풀리 디커플러
JP6274796B2 (ja) 自動車用のトルク伝達装置
US7878315B2 (en) Spring clutch
CN109312789B (zh) 皮带轮解耦器
US20060079360A1 (en) Belt tensioning device with high damping rate
JP2017503984A (ja) アイソレーティング・デカップラ
WO2013191240A1 (ja) プーリ構造体
KR101743461B1 (ko) 플랫형 파동기어장치
US11815172B2 (en) Filtering pulley
KR20170129890A (ko) 아이솔레이팅 디커플러
KR20170131838A (ko) 풀리 디커플러
JP2008298290A (ja) 巻成された線ばねをドライブプーリ内に備えたねじり振動ダンパ又はデカップラ
EP2663782B1 (en) Clutched device with thrust ring
CN109312786B (zh) 皮带轮解耦器
JP2007333166A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KR101989815B1 (ko) 샤프트 고정장치 및 기어박스
KR20220036979A (ko) 벨트 풀리 디커플러
JP2005133917A (ja) アイソレーションプーリ
JP6839994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6837858B2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JP5871122B2 (ja) プーリユニット
CN116171353A (zh) 皮带轮解耦器
FR3057927A1 (fr) Amortisseur de torsion et vehicule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