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838A - 풀리 디커플러 - Google Patents

풀리 디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838A
KR20170131838A KR1020177026754A KR20177026754A KR20170131838A KR 20170131838 A KR20170131838 A KR 20170131838A KR 1020177026754 A KR1020177026754 A KR 1020177026754A KR 20177026754 A KR20177026754 A KR 20177026754A KR 20170131838 A KR20170131838 A KR 20170131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late
hub
spring
pulley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하우크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13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 of energy to absorb shocks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7/00Systems of clutches, or clutches and couplings, comprising devices of types grouped under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uide headings
    • F16D47/02Systems of clutches, or clutches and couplings, comprising devices of types grouped under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uide headings of which at least one is a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55/49Features essential to V-belts 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7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for disconnecting the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2041/0605Sp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부속 유닛 벨트 구동부의 제너레이터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디커플러(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커플러는 - 풀리(2)와, 허브(4)와, 풀리가 허브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2개의 베어링 지점(5, 6)과, - 나선형 토션 스프링(13) 및 풀리에 대해 허브의 오버런을 허용하는 단방향 클러치(12)와, - 풀리 또는 허브에 대해 회전 고정되고 일측 스프링 단부를 위한 스프링 플레이트(19)와, 풀리 및 허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타측 스프링 단부를 위한 스프링 플레이트(18)를 포함한다. 스프링 플레이트의 램프 단차부(20)에 접하는 스프링 단부들은 구동 토크의 전달하에 나선형 토션 스프링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킨다. 허브의 오버런 시에 베어링 지점들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마찰 토크는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를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다른 하나의 베어링 지점은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고정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회전 고정된 부분에는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를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다른 마찰 토크의 생성하에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가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풀리 디커플러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부속 유닛 벨트 구동부의 제너레이터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디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커플러는
- 벨트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풀리와,
- 제너레이터의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허브로서, 풀리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허브와,
- 풀리가 허브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축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베어링 지점과,
- 반경 방향으로 풀리와 허브의 사이에 배치된 직렬 접속부로서, 구동 회전 방향으로 풀리에 대해 허브의 오버런을 허용하는 단방향 클러치와 나선형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된 직렬 접속부와,
- 풀리 또는 허브에 대해 회전 고정되고 일측 스프링 단부를 위한 스프링 플레이트와, 풀리 및 허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타측 스프링 단부를 위한 스프링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스프링 플레이트는 각각 단차부까지 축 방향으로 램프 형태로 상승하고, 램프 단차부에 접하는 스프링 단부들은 구동 토크의 전달하에 나선형 토션 스프링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킨다. 이 경우, 허브의 오버런 시에 베어링 지점들 중 하나의 베어링 지점에서 생성되는 마찰 토크는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를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이러한 유형의 디커플러(영어: Decoupler)는 공지된 바와 같이 부속 유닛 벨트 구동부에 의해 제너레이터에 전달되는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진동 및 회전 불균일성을 보상한다. 단방향 클러치 및 나선형 토션 스프링의 직렬 접속부는 단방향 클러치가 폐쇄된 상태에서 벨트의 구동 토크를 풀리 및 허브를 통해 제너레이터의 샤프트에 전달하고, 이때 나선형 토션 스프링의 탄성은 회전 불균일성을 평활화한다. 풀리가 지연되게 회전하면 단방향 클러치는 개방되고, - 그러면 반대로는 - 이때 허브로부터 풀리에는 언급할 만한 회전 토크가 전혀 전달되지 못하여 비교적 큰 질량 관성을 받는 제너레이터의 샤프트는 풀리를 오버런할 수 있다.
이러한 디커플링 작용의 위치는 공지된 바와 같이 직접 크랭크 샤프트일 수 있고, 그러면 나선형 토션 스프링 및 이 나선형 토션 스프링과 직렬로 연결된 단방향 클러치는 상응하는 크기 설계 및 역전된 구동 토크 흐름에의 적응 시에 소위 크랭크 샤프트 디커플러의 부분으로서, 크랭크 샤프트 상에 위치하여 전체 부속 유닛 벨트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부분이다.
일반적인 유형의 제너레이터-디커플러가, 예컨대 문헌 EP 2 258 968 A1에 제시되어 있다. 단방향 클러치는, 풀리로부터 허브로의 구동 토크 흐름과 관련하여 하류에, 즉 나선형 토션 스프링 후방에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허브에 직접 배치되어 있는 클램핑 롤러 프리휠이다. 풀리의 회전 가능한 베어링은 제너레이터 측에서 볼 베어링에 의해 이루어지고, 반대편에서는 한편으로 내부에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가 지지되어 있는 평베어링 링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를 허브에 지지시키는 다른 볼 베어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허브의 오버런 시에 단방향 클러치가 개방되더라도, 클러치의 불가피한 나머지 마찰 토크는 두 스프링 플레이트의 상대 회전을 야기할 수 있고, 이때 나선형 토션 스프링의 일측 단부 또는 두 단부 모두는 스프링 플레이트의 주연 방향 램프 단차부로부터 멀어져서 스프링 플레이트의 램프에서 상승 진행한다. 이 경우, 램프 기하 구조로 인해 유효하게 줄어드는 나선형 토션 스프링을 위한 축 방향 조립 공간은, 나선형 토션 스프링이 두 스프링 플레이트를 축 방향으로 벌어지게 가압하여 디커플러를 마치 축 방향으로 돌진하게 한다. 일측 또는 두 스프링 단부가 반복적으로 램프에서 상승하고 각각의 회전에 따라 램프 단차부에 복귀 스냅핑되면, 마찬가지로 원치 않는 결과로서 디커플러의 주목을 끄는 음향이 발생한다.
이러한 램프 상승 진행의 문제는, 문헌 US 8,047,920 B2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디커플러의 경우에 허브의 오버런 시에 두 스프링 플레이트의 상대 회전을 서로 상대적인 스토퍼에 의해 방지시키는 메커니즘을 통해 제거된다. 그러면, 이러한 메커니즘은, -본 문헌에서와 같이- 단방향 클러치가 루프 밴드이고, 이의 나머지 마찰이 개방된 상태에서 램프 상승을 진행시킬 정도로 자연적으로 큰 경우에 특히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프링 플레이트의 램프에서 스프링 단부의 원치 않는 상승 진행이 방지되도록,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디커플러를 개선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제시된다. 이에 따르면, 다른 하나의 베어링 지점이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고정된 부분을 가지며, 이 회전 고정된 부분에는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를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추가의 마찰 토크의 생성하에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가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는 적어도 2개의 베어링 지점으로부터 마찰 토크에 의해 작동되며, 이 마찰 토크는 디커플러의 오버런 작동 중에 공동으로 그리고 결과적으로 강화되어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는 본 발명에 따라,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 회전 없이 단지 충분히 높은 마찰 토크에 의해서만 회전하도록 야기된다. 이는, 허브의 오버런 시에 스프링 단부들이 스프링 플레이트의 램프에서 상대 회전으로 인해 상승 진행하는, 서두에 설명된 위험을 상당한 정도로 감소시킨다. 이 위험은, 단방향 클러치가 개방된 상태에서 루프 밴드보다 훨씬 더 작은 나머지 마찰 토크를 가지면서 예컨대 클램핑 롤러 프리휠인 경우에, 특히 작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방향 클러치는 클램핑 롤러 프리휠이어야 한다.
나선형 토션 스프링과 단방향 클러치의 직렬 접속부 내에서 이들의 순서에 따라, 디커플러의 오버런 작동 시에 다음과 같은 상태가 발생한다:
- (서두에 인용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단방향 클러치가 나선형 토션 스프링의 후방에 위치하면,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는 두 베어링 지점에 의해,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고정된, 오버런되는 풀리와 이중 마찰 접촉 상태에 위치한다.
- (이와는 반대로) 단방향 클러치가 나선형 토션 스프링의 전방에 위치하면,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는 두 베어링 지점에 의해,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고정된, 오버런하는 허브와 이중 마찰 접촉 상태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내연 기관의 부속 유닛 벨트 구동부의 제너레이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러가 도시되어 있는 도면 및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제시된다.
도 1은 디커플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디커플러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디커플러의 사시 분해도이고;
도 4는 디커플러의 허브를 단독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디커플러의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를 단독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디커플러(1)는 내연 기관의 부속 유닛 벨트 구동부의 제너레이터에 배치되어 있다. 디커플러(1)는 회전 구동되는 풀리(2)를 포함하며, 이 풀리에는 도 2에 도시된 축 방향 영역(w)에서 구동하는 폴리-V-벨트를 위해 프로파일화된 벨트 트랙(3)이 제공된다. 풀리(2)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허브(4)는 공지된 방식으로 제너레이터의 샤프트와 고정적으로 나사 결합된다. 풀리(2)가 허브(4) 상에 회전 지지되는 것은 디커플러(1)의 축 방향 단부들에서 2개의 베어링 지점(5 및 6)에서 이루어진다. 도 2에서 우측의 하나의 베어링 지점(5)은 제너레이터에서 먼 디커플러(1)의 나사 결합측에 위치하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평베어링 링(7)에 의해 형성되며, 이 평베어링 링은 허브(4)의 평베어링 섹션(8)을 둘러싼다. 도 2에서 좌측의 다른 하나의 베어링 지점(6)은 제너레이터 측에 위치하여 볼베어링(9)에 의해 형성되며, 이 볼베어링의 내측 링(10)은 허브(4)에 고정되고 외측 링(11)은 풀리(2) 내에 고정된다.
풀리(2)로부터 허브(4)로 구동 토크의 탄성 전달은 풀리(2)와 허브(4)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방향 클러치(12) 및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으로 이루어진 직렬 접속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직렬 접속부는 구동 토크 흐름과 관련하여 단방향 클러치(12)의 하류에 배치된다. 단방향 클러치(12)는 클램핑 롤러 열(14), 이에 축방향으로 인접한 지지 베어링 열(15), 클램핑 롤러 열(14)의 영역에 클램핑 램프가 제공된 내측 링(16) 및 외측 링(17)과 함께 구조 유닛을 형성하는 클램핑 롤러 프리휠이다. 단방향 클러치는 벨트의 가급적 작은 벨트 구동 직경 덕분에 반경 방향으로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의 외부에서 그리고 축 방향으로 벨트 트랙(3)의 영역(w)의 완전히 외부에서 연장되고, 이때 프리 휠 외측 링(17)은 벨트 트랙(3)에 인접한 풀리(2)의 직경 확대부에서 압축되고 프리 휠 내측 링(16)은 평베어링 링(7)을 둘러싼다.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은, 풀리(2) 및 허브(4)에 대해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와, 허브(4)에 대해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19) 사이에서 레그 없는 스프링 단부들에 의해 클램핑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분명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스프링 플레이트(18, 19)는 축 방향으로 램프 형태로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램프 단차부(20)에 전면측이 접하는 스프링 단부는,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이 구동 토크를 풀리(2)로부터 허브(4)에 전달하는 경우, 나선형 토션 스프링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킨다.
일측 스프링 단부가 접하는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19)는 허브(4)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스프링 플레이트의 외부 케이스는 평베어링 섹션(8)을 형성한다. 다른 타측 스프링 단부가 접하는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는 2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원통형 판금 성형부(21)와 그 내부에 회전 방지식으로 수용된 스프링 접촉부(22)를 포함하며, 이 스프링 접촉부에는 램프 단차부(20)가 맞춤 성형되어 있다. 판금 성형부(21)의 일측 단부는 프리 휠 내측 링(16) 내에 클랭핑되고 판금 성형부의 타측 단부는 스프링 접촉부(22)의 회전 방지식 지지를 위해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칼라(23)를 갖는다. 이러한 회전 방지는 스프링 접촉부(22)에 복수의,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축 방향 돌출부(24)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들 돌출부는 칼라(23)에서 이에 상응하는 개구들(25) 내로 맞물린다. 대안으로서, 프리 휠 내측 링(16) 및 판금 성형부(21)뿐만 아니라 스프링 접촉부(22)도 하나의 단일 부품으로 그리고, 예컨대 소결된 부품으로 통합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는 한편으로 프리 휠 내측 링(16)에 의해 베어링 지점(5)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스프링 접촉부(22)에 의해 베어링 지점(26)에서 반경 방향으로 허브(4)에 대해 지지되고 또한 축 방향으로 볼 베어링(9)에 대해 지지된다. 축 방향 지지는 금속 스러스트 디스크(27) 및 이에 인접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평베어링 디스크(28)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들은 베어링 내측 링(10)과 칼라(23) 사이에서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의 축 방향 예비 인장력에 의해 클램핑된다. 따라서, 베어링 내측 링(10)은,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19)에 대해 추가로 회전 고정되고,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가 지지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벨트는 도 3에 표시된 회전 방향으로 디커플러(1)의 풀리(2)를 구동시킨다. 제너레이터 샤프트가 허브(4)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상태에서, 클램핑 롤러 프리휠(12)은 폐쇄되어 프리 휠 내측 링(16),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 및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을 통해 구동 토크를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19)에 전달한다. 이 경우,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은 2개의 스프링 플레이트(18, 19)를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너레이터 샤프트에 대해 풀리(2)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비교적 느리게 회전하는) 풀리(2)와 (비교적 빠르게 회전하는) 제너레이터 샤프트 사이의 음의 회전 속도 편차를 갖는 또 다른 작동 상태에서는, 개방된 클램핑 롤러 프리휠(12)에 의해 허브(4)가 풀리(2)를 오버런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두 스프링 플레이트(18, 19)의 서로에 대한 상대 회전 및 이와 연관된 스프링 단부들의 램프 상승 진행은, 두 스프링 플레이트(18, 19)가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이러한 회전수 동기화는 오로지 동일하게 정렬된 마찰 토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가 이 마찰 토크를 3개의 베어링 지점(5, 6 및 26)에서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19)와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된) 허브(4)로부터 인출한다. 총합으로,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는 반경 방향 평베어링 링(7)의 마찰 토크, 축 방향 평베어링 디스크(28)의 마찰 토크 및 베어링 지점(26)의 마찰 토크에 의해 작동되고, 이때 이러한 전체 토크는, 프리 휠 내측 링(16)에 의해 마찬가지로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에 작용하지만 반대 방향의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개방된 클램핑 롤러 프리휠(12)의 나머지 마찰 토크보다 훨씬 더 크다.
1 디커플러
2 풀리
3 벨트 트랙
4 허브
5 베어링 지점
6 베어링 지점
7 평베어링 링
8 평베어링 섹션
9 볼베어링
10 베어링 내측 링
11 베어링 외측 링
12 단방향 클러치/클램핑 롤러 프리휠
13 나선형 토션 스프링
14 클램핑 롤러 열
15 지지 베어링 열
16 프리휠 내측 링
17 프리휠 외측 링
18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
19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
20 램프 단차부
21 판금 성형부
22 스프링 접촉부
23 칼라
24 돌출부
25 개구
26 베어링 지점
27 스러스트 디스크
28 평베어링 디스크

Claims (8)

  1. 내연 기관의 부속 유닛 벨트 구동부의 제너레이터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디커플러(1)로서, 상기 디커플러는
    - 벨트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풀리(2)와,
    - 제너레이터의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허브로서, 풀리(2)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허브(4)와,
    - 풀리(2)가 허브(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축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베어링 지점(5, 6)과,
    - 반경 방향으로 풀리(2)와 허브(4)의 사이에 배치된 직렬 접속부로서, 구동 회전 방향으로 풀리(2)에 대해 허브(4)의 오버런을 허용하는 단방향 클러치(12)와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으로 구성된 직렬 접속부와,
    - 풀리(2) 또는 허브(4)에 대해 회전 고정되고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의 일측 스프링 단부를 위한 스프링 플레이트(19)와, 풀리(2) 및 허브(4)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의 타측 스프링 단부를 위한 스프링 플레이트(18)를 구비하며,
    스프링 플레이트(18, 19)는 각각 단차부(20)까지 축 방향으로 램프 형태로 상승하고, 램프 단차부(20)에 접하는 스프링 단부들은 구동 토크의 전달하에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키며, 허브(4)의 오버런 시에 베어링 지점들(5, 6) 중 하나의 베어링 지점에서 생성되는 마찰 토크는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를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19)의 회전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디커플러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베어링 지점(5, 6)은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19)에 대해 회전 고정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회전 고정된 부분에는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를 회전 고정된 스프링 플레이트(19)의 회전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추가의 마찰 토크의 생성하에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가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러(1).
  2. 제1항에 있어서, 단방향 클러치는, 나선형 토션 스프링(13)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클램핑 롤러 프리휠(12)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러(1).
  3. 제2항에 있어서, 클램핑 롤러 프리휠(12)은 풀리(2) 내에서 축 방향으로 벨트 트랙(3)의 완전히 외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러(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베어링 지점(5)은, 허브(4)를 둘러싸고 클램핑 롤러 프리휠(12)의 내측 링(16)에 의해 둘러싸이는 평베어링 링(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러(1).
  5. 제4항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는, 클램핑 롤러 프리휠(12)의 내측 링(16) 내에 고정된 원통형 판금 성형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러(1).
  6. 제5항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는 판금 성형부(21) 내에 수용된 스프링 접촉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접촉부에는 램프 단차부(20)가 맞춤 성형되어 스프링 접촉부는 판금 성형부(21)의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칼라(23)에 회전 방지식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러(1).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베어링 지점(6)은 볼베어링(9)이며, 상기 볼베어링의 내측 링(10)은 허브(4)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한스프링 플레이트(18)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러(1).
  8. 제7항에 있어서, 볼베어링(9)의 내측 링(10)은 금속 지지 디스크(27)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평베어링 디스크(28)에 의해 회전 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18)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러(1).
KR1020177026754A 2015-03-27 2016-03-16 풀리 디커플러 KR201701318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05612.0 2015-03-27
DE102015205612.0A DE102015205612B3 (de) 2015-03-27 2015-03-27 Riemenscheibenentkoppler
PCT/DE2016/200143 WO2016155725A1 (de) 2015-03-27 2016-03-16 Riemenscheibenentkopp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838A true KR20170131838A (ko) 2017-11-30

Family

ID=5470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754A KR20170131838A (ko) 2015-03-27 2016-03-16 풀리 디커플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59084B2 (ko)
EP (1) EP3274603B1 (ko)
KR (1) KR20170131838A (ko)
CN (1) CN107429751B (ko)
DE (1) DE102015205612B3 (ko)
WO (1) WO2016155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6274B4 (de) 2016-08-30 2018-08-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mit Doppelnabe
FR3058768B1 (fr) 2016-11-15 2020-02-21 Hutchinson Poulie de decouplage
WO2018198546A1 (ja) * 2017-04-27 2018-11-01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プーリ用ワンウェイクラッチ、それを備えたプーリ、及びそれを備えた平ベルト伝動システム
KR101943919B1 (ko) * 2017-08-08 2019-01-30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CN111065844B (zh) * 2017-09-07 2023-06-16 利滕斯汽车合伙公司 单个弹簧式的扭转顺应的超越分离器
WO2019113658A1 (en) * 2017-12-15 2019-06-20 Zen S/A Indústria Metalúrgica Decoupler with one way clutch and fail-safe system
CN108087450A (zh) * 2017-12-25 2018-05-29 台州振鹏单向器有限公司 一种滚柱式单向耦合的减震皮带轮
CN109838473A (zh) * 2019-03-25 2019-06-04 常州博立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超越解耦器
CN115325099A (zh) * 2021-05-10 2022-11-11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离合器系统和车辆
CN116164088A (zh) * 2022-12-30 2023-05-26 江苏南方精工股份有限公司 减振耐磨单向皮带轮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82615A2 (fr) * 1977-03-04 1978-09-29 Verdol Sa Dispositif d'embrayage, notamment pour la commande de l'entrainement des bobines envideuses sur machines textiles
US7153227B2 (en) * 2002-04-18 2006-12-26 Litens Automotive Isolator for alternator pulley
BRPI0417395B1 (pt) * 2003-12-09 2016-06-07 Litens Automotive Inc conjunto desacoplador para transferir torque entre um eixo motor e um elemento de transmissão sem fim de um motor automotivo
US8006819B2 (en) * 2005-07-05 2011-08-30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Overrunning decoupler with locking mechanism
JP4957264B2 (ja) * 2007-01-24 2012-06-2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プーリユニット
WO2009031569A1 (ja) * 2007-09-05 2009-03-12 Ntn Corporation クラッチ内蔵プーリユニット
CN101981351B (zh) * 2008-03-26 2014-04-23 株式会社捷太格特 皮带轮单元
US9068608B2 (en) * 2009-09-17 2015-06-30 Gates Corporation Isolator decoupler
EP3444492B1 (en) * 2010-11-14 2020-04-22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Decoupler with tuned damping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BRMU9100757Y1 (pt) * 2011-04-11 2018-07-24 Zen S.A. Indústria Metalúrgica Polia de roda-livre com sistema de amortecimento torcional por elemento elastômero
US8888622B2 (en) * 2012-06-04 2014-11-18 The Gates Corporation Isolator decoupler
JP5914416B2 (ja) * 2012-06-20 2016-05-11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プーリ構造体
US20150285312A1 (en) * 2012-10-12 2015-10-08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Isolator for use with mgu that is used to assist or start engine through and endless drive member
JP2015025483A (ja) * 2013-07-25 2015-02-05 日本精工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US9599200B2 (en) * 2014-03-12 2017-03-21 Motocar Parts Of America, Inc. Overrunning alternator decoupling pulley desig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5725A1 (de) 2016-10-06
US10359084B2 (en) 2019-07-23
DE102015205612B3 (de) 2015-12-17
US20180038424A1 (en) 2018-02-08
CN107429751A (zh) 2017-12-01
EP3274603B1 (de) 2019-05-08
EP3274603A1 (de) 2018-01-31
CN107429751B (zh)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1838A (ko) 풀리 디커플러
US7878315B2 (en) Spring clutch
EP3129671B1 (en) Pulley assembly with radially oriented decoupling mechanism
AU2016235881B2 (en) Isolating decoupler
JP5057997B2 (ja) デカップラアセンブリ
JP4664900B2 (ja) クランクシャフトトルクモジュレータ
KR20170116038A (ko) 풀리 디커플러
KR20170110626A (ko) 디커플러
CN109312789B (zh) 皮带轮解耦器
KR20170116037A (ko) 풀리 디커플러
JP2004084940A (ja) 電磁クラッチプーリー
KR20120068869A (ko) 내연기관의 가스 교환 밸브의 제어 시간 가변 조정 장치
JP2016529453A (ja) ばね収容ポケットを画定するタービンシェル
US9611904B2 (en) Centrifugal clutch apparatus
US20160138697A1 (en) Gear assembly
US7980369B2 (en) Lash prevention spring plate
WO2003029695A1 (fr) Dispositif de poulie du type roue libre a rouleaux incorporee et procede d'assemblage de celui-ci
US5355982A (en) Starter dri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19085910A5 (ko)
JP2005172183A (ja) 動力伝達装置
JP6501224B2 (ja) プーリ装置
JP2006242132A (ja) エンジンの始動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一方向クラッチ
JP2007285368A (ja) スプリングクラッチ
JP2006189104A (ja) スプリングクラッチ
JP201916377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