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967A - 커넥터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4967A KR20220024967A KR1020227002598A KR20227002598A KR20220024967A KR 20220024967 A KR20220024967 A KR 20220024967A KR 1020227002598 A KR1020227002598 A KR 1020227002598A KR 20227002598 A KR20227002598 A KR 20227002598A KR 20220024967 A KR20220024967 A KR 202200249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portion
- slit
- connector
- base
- insul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01R13/6476—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by making an aperture, e.g. a ho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8—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vi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고정 인슐레이터는, 복수의 콘택트가 늘어서는 배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고정 홈과, 인접하는 2개의 콘택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구비한다. 가동 인슐레이터는, 배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고정 홈을 구비한다. 콘택트는, 제 1 고정 홈에 지지되는 제 1 기부와, 제 2 고정 홈에 지지되는 제 2 기부와, 제 1 기부와 접속되고 또한 인접하는 2개의 격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아암부와, 제 1 아암부 및 제 2 기부에 접속되는 제 2 아암부를 구비한다. 제 1 아암부의 최대폭은, 제 2 아암부의 최대폭보다도 작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2개의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일방의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는, 타방의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와 감합(嵌合)한다. 그러나, 2개의 커넥터의 상대적인 위치는, 설계시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하여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2개의 커넥터가 적절히 감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하여 2개의 커넥터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도, 다른 커넥터에 대하여 적절하게 감합할 수 있는 플로팅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플로팅 커넥터의 일례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의 콘택트에는, 유연성의 향상 및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을 목적으로 한 슬릿이 마련되어 있다.
하나의 양태의 커넥터는, 고정 인슐레이터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 인슐레이터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 및 상기 가동 인슐레이터에 장착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는, 복수의 상기 콘택트가 늘어서는 배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고정 홈과,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콘택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隔壁)을 구비한다. 상기 가동 인슐레이터는,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고정 홈을 구비한다.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 1 고정 홈에 지지되는 제 1 기부(基部)와, 상기 제 2 고정 홈에 지지되는 제 2 기부와, 상기 제 1 기부와 접속되고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격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아암부와, 상기 제 1 아암부 및 상기 제 2 기부에 접속되는 제 2 아암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아암부의 최대폭은, 상기 제 2 아암부의 최대폭보다도 작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다른 커넥터의 감합 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다른 커넥터의 감합 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다른 커넥터의 감합 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탑재하는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B-B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비교예의 커넥터의 모식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비교예의 커넥터의 차동(差動)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제 1 변형예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제 2 변형예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 3 변형예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제 4 변형예의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제 5 변형예의 다른 커넥터의 감합 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다른 커넥터의 감합 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다른 커넥터의 감합 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탑재하는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B-B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비교예의 커넥터의 모식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비교예의 커넥터의 차동(差動)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제 1 변형예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제 2 변형예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 3 변형예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제 4 변형예의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제 5 변형예의 다른 커넥터의 감합 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한 것 또한,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실시형태)
도 1은, 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다른 커넥터의 감합 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다른 커넥터의 감합 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다른 커넥터의 감합 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탑재하는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B-B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XYZ 직교 좌표계가 이용된다. X축은, 복수의 콘택트(30)가 늘어서는 방향과 평행한 축이다. Z축은, 커넥터(100) 및 커넥터(200)가 감합할 때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감합 방향)과 평행한 축이다. Y축은, X축 및 Z축의 양방에 대하여 직교하는 축이다. XY 평면은, 기판(300) 및 기판(400)과 평행하다. Z축은, 기판(300) 및 기판(400)에 대하여 직교한다. X축을 따른 방향은 X방향이라고 기재되고, Y축을 따른 방향은 Y방향이라고 기재되고, Z축을 따른 방향은 Z방향이라고 기재된다. Z방향 중 기판(300)으로부터 기판(400)을 향하는 방향을 +Z방향이라고 하고, +Z방향의 반대 방향을 -Z방향이라고 한다. XY 평면에서 보았을 때는, 감합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를 의미한다. YZ 평면에서 보았을 때는,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를 의미한다.
X방향은, 복수의 콘택트(30)가 늘어서는 방향이다. X방향은, 복수의 콘택트(30)가 배열되는 배열 방향이다. X방향은, 기판(300) 및 기판(400)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고정 인슐레이터(10)의 긴 변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 Y방향은, 기판(300) 및 기판(400)에 대하여 직교하면서 또한 복수의 콘택트(30)가 늘어서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Y방향은, 기판(300) 및 기판(400)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고정 인슐레이터(10)의 짧은 변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 Z방향은, 커넥터(100) 및 커넥터(200)가 감합할 때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감합 방향)이다. Z방향은, 기판(300) 및 기판(40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기판(300)에 장착된다. 커넥터(100)는, 다른 커넥터(200)와 접속된다. 커넥터(200)는, 기판(400)에 장착된다. 기판(300) 및 기판(400)은, 커넥터(100) 및 커넥터(200)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기판(300) 및 기판(400)은, 프린트 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이며, 복수의 전자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기판(300) 및 기판(400)은, 플렉시블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FPC)이어도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전자기기(1000)는, 커넥터(100) 및 커넥터(200)를 구비한다. 전자기기(1000)는, 차량 탑재 카메라이다. 전자기기(1000)는,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부(1001)와, 전선을 구비하는 전선부(1002)를 구비한다. 렌즈부(1001) 및 전선부(1002)의 일방에 배치되는 커넥터(100)가, 타방에 배치되는 커넥터(200)와 접속된다. 또한, 커넥터(100) 및 커넥터(200)가 적용되는 전자기기는, 반드시 차량 탑재 카메라가 아니어도 되며,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고정 인슐레이터(10)와, 고정구(40)와, 가동 인슐레이터(20)와, 복수의 콘택트(30)를 구비한다. 커넥터(200)는, 인슐레이터(60)와, 고정구(80)와, 복수의 콘택트(70)를 구비한다.
콘택트(30)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300)에 고정된다. 복수의 콘택트(30)는, 고정 인슐레이터(10) 및 가동 인슐레이터(20)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복수의 콘택트(30)는, 일방향(X방향)을 따라 늘어선다. 콘택트(70)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400)에 고정된다. 복수의 콘택트(70)는, 인슐레이터(60)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복수의 콘택트(70)는, 일방향(X방향)을 따라 늘어선다. 콘택트(70)가 콘택트(30)와 접함으로써, 기판(300)과 기판(4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100) 및 커넥터(200)를 감합할 때, 서로 위치 어긋남을 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 커넥터(200)와 감합하는 가동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커넥터(200)로부터 힘이 가해진다. 동시에, 가동 인슐레이터(20)에 지지되는 콘택트(30)가 인슐레이터(60)에 지지되는 콘택트(70)에 의해 어느 정도 밀린다. 이 때문에, 콘택트(30)와 기판(300)의 접촉 부분에 간접적으로 힘이 가해짐으로써, 콘택트(30)와 기판(300)의 접촉 부분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콘택트(30)를 지지하는 가동 인슐레이터(20)가 콘택트(30)의 탄성부에 의해 고정 인슐레이터(10)에 대하여 이동한다. 이에 의해, 콘택트(30)와 기판(300)의 접촉 부분에 발생하는 힘이 억제된다. 또한, 커넥터(100) 및 커넥터(200)의 감합 시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100)는, 플로팅 커넥터라고 불린다.
인슐레이터(60)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인슐레이터(60)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60)는, XZ 평면과 평행한 측벽(61)을 구비한다. 측벽(61)은, 가동 인슐레이터(20)의 일부를 Y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덮는다. 측벽(61)은, 가동 인슐레이터(20)와 콘택트(30)의 제 2 아암부(34)의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구(80)는, 대략 L자 형상의 금구이다. 고정구(80)는, 인슐레이터(60)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구(80)는, 인슐레이터(60)의 내측에 배치된다. 고정구(80)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400)에 고정된다.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인슐레이터(10)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프레임 형상의 부재이다. 고정 인슐레이터(10)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고정구(40)는, 대략 U자 형상의 금구이다. 고정구(40)는, 고정 인슐레이터(10)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구(40)는, 고정 인슐레이터(10)의 내측에 배치된다. 고정구(40)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300)에 고정된다.
도 6~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인슐레이터(10)는, 2개의 제 1 측벽(17)과, 2개의 제 2 측벽(18)과, 상벽(15)과, 복수의 제 1 고정 홈(11)과, 복수의 격벽(13)을 구비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벽(17)은, XZ 평면과 평행한 벽이다. 2개의 제 1 측벽(17)은, Y방향으로 간극을 띄워서 배치된다. 제 2 측벽(18)은, YZ 평면과 평행한 벽이다. 2개의 제 2 측벽(18)은, X방향으로 간극을 띄워서 배치된다. 제 2 측벽(18)은, 2개의 제 1 측벽(17)의 단부(端部)와 접속된다. 2개의 제 1 측벽(17)과 2개의 제 2 측벽(18)이, XY 평면에서 볼 때에 프레임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벽(15)은, XY 평면과 평행한 벽이다. 상벽(15)은, 제 1 측벽(17) 및 제 2 측벽(18)의 +Z방향에 배치된다. 상벽(15)은, 콘택트(30)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상벽(15)은, XY 평면에서 볼 때에 콘택트(30) 중 적어도 일부와 겹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홈(11)은, 제 1 측벽(17)에 마련된다. 제 1 고정 홈(11)은, Z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 1 고정 홈(11)의 길이 방향은, Z방향과 평행하다. 복수의 제 1 고정 홈(11)은, X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늘어선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13)은, YZ 평면과 평행한 벽이다. 격벽(13)은, 제 1 측벽(17)과 상벽(15)에 접속된다. 복수의 격벽(13)은, X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늘어선다. 복수의 격벽(13)이 늘어서는 간격은, 복수의 제 1 고정 홈(11)이 늘어서는 간격과 동등하다. 격벽(13)은, 극간벽(極間壁)이라고도 불린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13)은, 경사면(131)을 구비한다. 경사면(131)은, 가상 평면(P)을 향하여 후술하는 콘택트(30)의 제 2 아암부(34)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다. 가상 평면(P)은, XY 평면과 평행하며, 후술하는 복수의 제 1 기부(31)의 바닥면을 통과하는 평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인슐레이터(20)는, 절연체로 형성된다. 가동 인슐레이터(20)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가동 인슐레이터(20)는, 고정 인슐레이터(10)의 내측에 배치된다. 가동 인슐레이터(20)는, 기판(30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다. 가동 인슐레이터(20)는, 콘택트(30)를 개재하여 고정 인슐레이터(10)와 접속되어 있다. 가동 인슐레이터(20)는, 콘택트(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고정 인슐레이터(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인슐레이터(20)는, 제 2 고정 홈(21)을 구비한다. 제 2 고정 홈(21)은, Z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고정 홈(21)의 길이 방향은, Z방향과 평행하다. 복수의 제 2 고정 홈(21)은, X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늘어선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30)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판상(板狀)의 부재이다. 콘택트(30)의 두께 방향은, X방향(배열 방향)과 평행하다. 콘택트(30)의 두께(X방향의 길이)는, 일정하다. 콘택트(30) 중 X방향을 향한 표면은, 모두 YZ 평면과 평행한 평탄면이다. 콘택트(30)의 두께(X방향의 길이)는, 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콘택트(30)의 최소 길이보다도 작다. 콘택트(30)는, 예를 들면 금속판을 프레스기에 의해 펀칭함으로써 형성된다. 콘택트(30)는, 소위 포크 타입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30)는, 제 1 기부(31)와, 제 2 기부(32)와, 제 1 아암부(33)와, 제 2 아암부(34)와, 접촉부(38)를 구비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부(31)는, 고정 인슐레이터(10)의 제 1 고정 홈(11)에 지지되는 볼록부(311)를 구비한다. 볼록부(311)는, 제 1 고정 홈(11)에 압입(壓入)된다. 제 1 기부(31)의 바닥면은, 기판(300)과 접속된다. 또한, 제 1 기부(31)는, 오목부(313)를 구비한다. 오목부(313)는, 제 1 기부(31)의 제 1 아암부(33)와의 접속 부분에 배치된다. 오목부(313)가 마련됨으로써, 가동 인슐레이터(20)가 이동할 때의 콘택트(30)의 기판(300)의 고정 부분(납땜의 부분)에 대한 부하가 경감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부(32)는, 가동 인슐레이터(20)의 제 2 고정 홈(21)에 지지된다. 제 2 기부(32)는, 제 2 고정 홈(21)에 압입된다. 접촉부(38)는, 커넥터(200)의 콘택트(70)와 접촉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부(33)는, 제 1 기부(31) 및 제 2 아암부(34)에만 접속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부(33)는, X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격벽(13)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부(33)의 폭은, 일정하다. 폭은, 중심선(C)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이다. 중심선(C)은, 제 1 아암부(33) 및 제 2 아암부(34)의, 두께 방향(X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한 2개의 외주면으로부터 등거리인 점을 연결하는 선이다. 중심선(C)이 곡선이 되는 위치에 있어서는, 폭은, 중심선(C)의 접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이다. 폭은, 제 1 아암부(33) 및 제 2 아암부(34)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부(33)는, 제 1 슬릿(330)과, 제 1 직선부(331)와, 제 1 굴곡부(332)와, 제 2 직선부(333)와, 제 2 굴곡부(334)와, 접속부(335)를 구비한다. 또한, 도 14의 파선은, 제 1 측벽(17)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격벽(13)의 Y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4의 파선의 좌측이 격벽(13)에 끼워져 있는 공간이다. 도 14의 파선의 우측이 격벽(13)에 끼워져 있는 공간의 외측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슬릿(330)은, 제 1 아암부(33)를 X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다. 제 1 슬릿(330)의 수는, 1개이다. 제 1 슬릿(330)의 폭은, 단부를 제외하고 일정하다. 제 1 슬릿(330)의 폭방향의 중심의 위치는, 제 1 아암부(33)의 폭방향의 중심의 위치와 같다. 이 때문에, 제 1 아암부(33)에 있어서의 제 1 슬릿(330)의 양측의 부분의 폭은, 단부를 제외하고 일정하며, 서로 동등하다. 즉, 제 1 아암부(33)에 있어서의 제 1 슬릿(330)의 일방의 부분의 폭(W3)은, 제 1 아암부(33)에 있어서의 제 1 슬릿(330)의 타방의 부분의 폭(W4)과 동등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직선부(331)는, 제 1 기부(31)와 접속된다. 제 1 직선부(331)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직선상(狀)이다. 제 1 직선부(331)의 두께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한 2개의 외주면은, 서로 평행한 평면상(狀)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굴곡부(332)는, 제 1 직선부(331)와 접속된다. 제 1 굴곡부(332)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곡선상(狀)이다. 제 1 굴곡부(332)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굴곡되어 있다. 제 1 굴곡부(332)의 두께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한 2개의 외주면은, 곡면상(狀)이다. 제 1 굴곡부(332)는, 제 2 기부(32)를 향하여 볼록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직선부(333)는, 제 1 굴곡부(332)와 접속된다. 제 2 직선부(333)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직선상이다. 제 2 직선부(333)의 두께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한 2개의 외주면은, 서로 평행한 평면상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굴곡부(334)는, 제 2 직선부(333)와 접속된다. 제 2 굴곡부(334)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곡선상이다. 제 2 굴곡부(334)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굴곡되어 있다. 제 2 굴곡부(334)의 두께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한 2개의 외주면은, 곡면상이다. 제 2 굴곡부(334)는, 제 1 기부(31)를 향하여 볼록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335)는, 제 2 굴곡부(334)와 접속된다. 접속부(335)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직선상이다. 접속부(335)의 두께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한 2개의 외주면은, 서로 평행한 평면상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아암부(34)는, 제 1 아암부(33) 및 제 2 기부(32)에만 접속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아암부(34)는, 격벽(13)보다도 제 2 기부(32)측에 배치된다. 제 2 아암부(34)는, 2개의 격벽(13)에 끼워져 있는 공간의 밖에 배치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아암부(34)의 폭은, 일정하지 않다. 제 2 아암부(34)의 폭은, 제 1 아암부(33)와 접속되는 부분에서 최소가 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아암부(34)는, 제 2 슬릿(340)과, 접속부(341)와, 제 1 직선부(342)와, 제 1 굴곡부(343)와, 제 2 직선부(344)와, 제 2 굴곡부(345)와, 제 3 직선부(346)를 구비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슬릿(340)은, 제 2 아암부(34)를 X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다. 제 2 슬릿(340)의 수는, 1개이다. 제 2 슬릿(340)은, 제 1 슬릿(330)과 연결되어 있다. 제 2 슬릿(340)의 폭은, 일정하지 않다. 제 1 슬릿(330)의 폭방향의 중심의 위치는, 제 2 아암부(34)의 폭방향의 중심의 위치와 같다. 제 2 아암부(34)에 있어서의 제 2 슬릿(340)의 양측의 부분의 폭은, 단부를 제외하고 일정하며, 서로 동등하다. 즉, 제 2 아암부(34)에 있어서의 제 2 슬릿(340)의 일방의 부분의 폭(W5)은, 제 2 아암부(34)에 있어서의 제 2 슬릿(340)의 타방의 부분의 폭(W6)과 동등하다. 폭(5 및 W6)은, 제 1 아암부(33)의 폭(W3 및 폭 4)과 동등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341)는, 제 1 아암부(33)의 접속부(335)와 접속된다. 접속부(341) 중 +Z방향을 향한 외주면의 일부는, 평면상이다. 접속부(341)의 +Z방향을 향한 외주면과, 접속부(335)의 +Z방향을 향한 외주면이, 평면상의 대향면(35)을 형성하고 있다. 대향면(35)은, 고정 인슐레이터(10)의 상벽(15)과 대향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직선부(342)는, 접속부(341)와 접속된다. 제 1 직선부(342)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직선상이다. 제 1 직선부(342)의 두께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한 2개의 외주면은, 서로 평행한 평면상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굴곡부(343)는, 제 1 직선부(342)와 접속된다. 제 1 굴곡부(343)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곡선상이다. 제 1 굴곡부(343)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굴곡되어 있다. 제 1 굴곡부(343)의 두께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한 2개의 외주면은, 곡면상이다. 제 1 굴곡부(343)는, 제 2 기부(32)를 향하여 볼록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직선부(344)는, 제 1 굴곡부(343)와 접속된다. 제 2 직선부(344)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직선상이다. 제 2 직선부(344)의 두께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한 2개의 외주면은, 서로 평행한 평면상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굴곡부(345)는, 제 2 직선부(344)와 접속된다. 제 2 굴곡부(345)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곡선상이다. 제 2 굴곡부(345)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굴곡되어 있다. 제 2 굴곡부(345)의 두께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한 2개의 외주면은, 곡면상이다. 제 2 굴곡부(345)는, 제 1 기부(31)를 향하여 볼록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직선부(346)는, 제 2 굴곡부(345) 및 제 2 기부(32)와 접속된다. 제 3 직선부(346)는, YZ 평면에서 볼 때에 직선상이다. 제 3 직선부(346)의 두께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을 향한 2개의 외주면은, 서로 평행한 평면상이다. 제 3 직선부(346)는, 경사 내벽(3461)을 구비한다. 경사 내벽(3461)은, 제 2 슬릿(340)에 면하는 제 3 직선부(346)의 내벽이다. 경사 내벽(3461)은, 제 2 기부(32)를 향하여 제 2 슬릿(340)의 폭이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아암부(34)의 폭은, 제 2 굴곡부(345)에 있어서 최대가 된다. 제 2 슬릿(340)의 폭은, 제 2 굴곡부(345)에 있어서 최대가 된다. 제 1 아암부(33)의 최대폭(Wa)은, 제 2 아암부(34)의 최대폭(Wb)보다도 작다. 제 1 슬릿(330)의 최대폭(W1)은, 제 2 슬릿(340)의 최대폭(W2)보다도 작다.
도 15는, 비교예의 커넥터의 모식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비교예의 커넥터의 차동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콘택트(30)에는, 고속 전송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를 위해서는,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콘택트는,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30)와는 다른 형상을 가진다. 비교예에 있어서는, 제 1 아암부(33)에 대응하는 부분의 최대폭은, 제 2 아암부(34)에 대응하는 부분의 최대폭과 동등하다.
도 16은, 같은 실험 조건에 있어서의,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와 비교예의 콘택트의 특성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콘택트의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는,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보다도 크다.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30)에 의하면,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30) 중 격벽(13)에 끼워져 있는 공간에 배치되는 부분(제 1 아암부(33))은,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가 지나치게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콘택트(30)에 있어서는, 제 1 아암부(33)의 최대폭(Wa)이 제 2 아암부(34)의 최대폭(Wb)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가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콘택트(30)의 형상은, 상기 서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택트(30)는, 적어도, 제 1 아암부(33)의 최대폭이 제 2 아암부(34)의 최대폭보다도 작으면, 상기 서술한 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슬릿(330) 및 제 2 슬릿(340)의 수는, 반드시 각각 1개가 아니어도 된다. 콘택트(30)는, 복수의 제 1 슬릿(330), 또는 복수의 제 2 슬릿(340)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콘택트(30)의 볼록부(311)는, 고정 인슐레이터(10)의 제 1 고정 홈(11)에 압입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볼록부(311)와 제 1 고정 홈(11)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된다. 콘택트(30)의 제 2 기부(32)는, 가동 인슐레이터(20)의 제 2 고정 홈(21)에 압입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2 기부(32)와 제 2 고정 홈(21)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된다. 또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볼록부(311)와 제 1 고정 홈(11)이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또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2 기부(32)와 제 2 고정 홈(21)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고정 인슐레이터(10)와, 가동 인슐레이터(20)와, 복수의 콘택트(30)를 구비한다. 가동 인슐레이터(20)는, 고정 인슐레이터(10)의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고정 인슐레이터(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콘택트(30)는, 고정 인슐레이터(10) 및 가동 인슐레이터(20)에 장착된다. 고정 인슐레이터(10)는, 복수의 콘택트(30)가 늘어서는 배열 방향(X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고정 홈(11)과, 인접하는 2개의 콘택트(3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13)을 구비한다. 가동 인슐레이터(20)는, 배열 방향(X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고정 홈(21)을 구비한다. 콘택트(30)는, 제 1 고정 홈(11)에 지지되는 제 1 기부(31)와, 제 2 고정 홈(21)에 지지되는 제 2 기부(32)와, 제 1 기부(31)와 접속되고 또한 인접하는 2개의 격벽(1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아암부(33)와, 제 1 아암부(33) 및 제 2 기부(32)에 접속되는 제 2 아암부(34)를 구비한다. 제 1 아암부(33)의 최대폭(Wa)은, 제 2 아암부(34)의 최대폭(Wb)보다도 작다.
추가로 고속 전송에 대응하기 위해서,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커넥터의 콘택트에 있어서는, 특성 임피던스의 미세한 조정을 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콘택트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할 수 있는 커넥터가 요망되고 있다.
콘택트(30)는, 제 1 아암부(33)의 최대폭(Wa)이 제 2 아암부(34)의 최대폭(Wb)보다도 작은 것에 의해, 탄성 변형하기 쉬워진다. 커넥터(100)가 다른 커넥터(200)와 감합할 때 또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가동 인슐레이터(20)가 이동하기 쉬워진다. 커넥터(100)에 의하면, 플로팅 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제 1 슬릿(330)의 최대폭(W1)이 제 2 슬릿(340)의 최대폭(W2)보다도 작은 것에 의해, 격벽(13)에 끼워져 있는 제 1 아암부(33)의 특성 임피던스가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커넥터(100)에 있어서, 제 2 아암부(34)는, 격벽(13)보다도 제 2 기부(32)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콘택트(30)의 가동 영역이 확대된다.
커넥터(100)에 있어서, 콘택트(30)의 두께 방향은, 배열 방향이다. 이에 의해, 금속판을 프레스기에 의해 펀칭함으로써 용이하게 콘택트(30)를 제조할 수 있다.
커넥터(100)에 있어서, 제 1 아암부(33) 및 제 2 아암부(34) 중 적어도 일방은, 직선상의 직선부(예를 들면 제 1 직선부(342))와, 굴곡된 굴곡부(예를 들면 제 1 굴곡부(343))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가동 인슐레이터(20)의 이동할 때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콘택트(30)가 탄성 변형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플로팅 시의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100)에 있어서, 제 1 아암부(33)는, 배열 방향(X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인 제 1 슬릿(330)을 구비한다. 제 2 아암부(34)는, 배열 방향(X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인 제 2 슬릿(340)을 구비한다. 제 1 슬릿(330)의 최대폭(W1)은, 제 2 슬릿(340)의 최대폭(W2)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콘택트(30)는, 보다 탄성 변형하기 쉬워진다. 커넥터(100)에 의하면, 플로팅 시의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격벽(13)에 끼워져 있는 제 1 아암부(33)의 특성 임피던스가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이 보다 억제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100)는,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커넥터(100)에 있어서, 제 1 슬릿(330)의 수 및 제 2 슬릿(340)의 수는, 1개이다. 이에 의해, 콘택트(30)의 형상이 단순하게 되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제 1 아암부(33)에 있어서의 제 1 슬릿(330)의 양측의 부분의 폭(폭(W3) 및 폭(W4))은, 제 2 아암부(34)에 있어서의 제 2 슬릿(340)의 양측의 부분의 폭(폭(W5) 및 폭(W6))과 동등하다. 이에 의해, 제 1 슬릿(330)과 제 2 슬릿(340)의 사이의 정전 용량이 안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콘택트(30)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할 수 있다.
커넥터(100)에 있어서, 제 2 아암부(34)는, 제 2 기부(32)를 향하여 볼록한 제 1 굴곡부(343)와, 제 1 기부(31)를 향하여 볼록한 제 2 굴곡부(345)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콘택트(30)가 탄성 변형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플로팅 시의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100)에 있어서, 제 2 슬릿(340)의 폭은, 제 2 굴곡부(345)에 있어서 최대가 된다. 이에 의해, 콘택트(30)가 탄성 변형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플로팅 시의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100)에 있어서, 제 2 아암부(34)는, 제 2 기부(32)와 제 2 굴곡부(345)의 사이에, 제 2 기부(32)를 향하여 제 2 슬릿(340)의 폭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 내벽(3461)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경사 내벽(3461)의 강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콘택트(30)를 가동 인슐레이터(20)의 제 2 고정 홈(21)에 압입할 때에, 경사 내벽(3461)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100)에 있어서, 격벽(13)은, 복수의 제 1 기부(31)의 바닥면을 통과하는 가상 평면(P)을 향하여 제 2 아암부(34)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131)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가동 인슐레이터(20)가 이동할 때에, 제 2 아암부(34)가 격벽(13)에 접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제 2 아암부(34)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100)는, 플로팅 시의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커넥터(100)는, 제 2 아암부(34)가 격벽(13)에 접함으로써 격벽(13)이 깎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추가로, 본 개시의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형하여도 된다.
(제 1 변형예)
도 17은, 제 1 변형예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의 콘택트(30A)는, 상기 서술한 제 1 아암부(33)와는 다른 제 1 아암부(33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부(33A)는, 2개의 제 1 슬릿(330A)과, 중간부(336)를 구비한다. 제 1 슬릿(330A)은, 제 1 아암부(33A)를 X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다. 1개의 제 1 슬릿(330A)은, 제 1 직선부(331)로부터 제 2 직선부(333)에 걸쳐서 마련된다. 또다른 1개의 제 1 슬릿(330A)은, 제 2 직선부(333)로부터 접속부(335)에 걸쳐서 마련되며, 제 2 슬릿(340)과 연결된다. 제 1 슬릿(330A)의 폭은, 단부를 제외하고 일정하다. 제 1 슬릿(330A)의 폭방향의 중심의 위치는, 제 1 아암부(33A)의 폭방향의 중심의 위치와 같다. 이 때문에, 제 1 아암부(33A)에 있어서의 제 1 슬릿(330A)의 양측의 부분의 폭은, 단부를 제외하고 일정하며, 서로 동등하다. 제 1 슬릿(330A)의 최대폭(W1)은, 제 2 슬릿(340)의 최대폭(W2)보다도 작다. 제 1 아암부(33A)의 최대폭(Wa)은, 제 2 아암부(34)의 최대폭(Wb)보다도 작다.
중간부(336)는, 제 2 직선부(333)에 배치된다. 중간부(336)는, 2개의 제 1 슬릿(330A)의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중간부(336)는, 반드시 제 2 직선부(333)에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중간부(336)는, 제 1 직선부(331), 제 1 굴곡부(332), 제 2 굴곡부(334), 또는 접속부(335)에 마련되어도 된다.
(제 2 변형예)
도 18은, 제 2 변형예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의 콘택트(30B)는, 상기 서술한 제 1 아암부(33)와는 다른 제 1 아암부(33B)와, 제 2 아암부(34)와는 다른 제 2 아암부(34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부(33B)는, 볼록부(337)를 구비한다. 볼록부(337)는, 제 2 직선부(333)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이 때문에, 제 1 아암부(33B)의 폭은, 일정하지 않다. 또한, 볼록부(337)는, 제 2 직선부(333)의 내주면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볼록부(337)는, 제 1 직선부(331), 제 1 굴곡부(332), 제 2 굴곡부(334), 또는 접속부(335)에 마련되어도 된다.
제 2 아암부(34B)는, 볼록부(347) 및 볼록부(348)를 구비한다. 볼록부(347)는, 제 1 직선부(342)의 외주면 및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볼록부(348)는, 제 2 직선부(344)의 외주면 및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때문에, 제 2 아암부(34B)의 폭은, 일정하지 않다. 또한, 볼록부(347) 및 볼록부(348)는, 접속부(341), 제 1 굴곡부(343), 제 2 굴곡부(345), 또는 제 3 직선부(346)에 마련되어도 된다. 제 1 아암부(33B)의 최대폭(Wa)은, 제 2 아암부(34B)의 최대폭(Wb)보다도 작다.
(제 3 변형예)
도 19는, 제 3 변형예의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변형예의 콘택트(30C)는, 상기 서술한 제 1 아암부(33)와는 다른 제 1 아암부(33C)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부(33C)는, 2개의 제 1 슬릿(330C)과, 중간부(339)를 구비한다. 제 1 슬릿(330C)은, 제 1 아암부(33C)를 X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다. 2개의 제 1 슬릿(330C)은, 폭방향으로 이웃이 되도록 배치된다. 2개의 제 1 슬릿(330C)은, 제 1 직선부(331)로부터 접속부(335)에 걸쳐서 마련된다. 2개의 제 1 슬릿(330C)의 폭은, 단부를 제외하고 일정하다. 제 1 슬릿(330C)의 폭방향의 중심은, 제 1 아암부(33C)의 폭방향의 길이를 3등분하는 선 상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 1 아암부(33C)에 있어서의 제 1 슬릿(330C)으로 사이를 두고 있는 부분의 폭은, 단부를 제외하고 일정하며, 서로 동등하다. 도 19에 나타내는, 폭(W13), 폭(W14) 및 폭(W15)은, 서로 동등하다. 또한, 제 1 슬릿(330C)의 최대폭(W11) 및 최대폭(W12)은, 제 2 슬릿(340)의 최대폭(W2)보다도 작다. 제 1 아암부(33C)의 최대폭(Wa)은, 제 2 아암부(34)의 최대폭(Wb)보다도 작다.
중간부(339)는, 접속부(335)에 배치된다. 중간부(336)는, 2개의 제 1 슬릿(330C)과 제 2 슬릿(340)의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중간부(339)는, 반드시 접속부(335)에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중간부(339)는, 제 1 직선부(331), 제 1 굴곡부(332), 제 2 직선부(333), 또는 제 2 굴곡부(334)에 마련되어도 된다.
(제 4 변형예)
도 20은, 제 4 변형예의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변형예의 콘택트(30D)는, 상기 서술한 제 1 기부(31)와는 다른 제 1 기부(31D)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부(31D)는, 고정 인슐레이터(10)의 제 1 고정 홈(11)에 끼이는 볼록부(311D)를 구비한다. 볼록부(311D)는, 제 1 고정 홈(11)에 압입된다. 볼록부(311D)는, 제 1 기부(31)의 일부를 복수의 콘택트(30)가 늘어서는 배열 방향(X방향)으로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제 5 변형예)
도 21은, 실시형태의 커넥터 및 제 5 변형예의 다른 커넥터의 감합 후의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변형예의 다른 커넥터(200E)는, 인슐레이터(60E)를 구비한다. 인슐레이터(60E)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인슐레이터(60E)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인슐레이터(60E)는, 상기 서술한 측벽(61)을 구비하지 않는다. 고정 인슐레이터(10)와 가동 인슐레이터(20)의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므로, 콘택트(30)의 탄성 변형 시에 콘택트(30)가 측벽(61)에 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벽(61)을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배열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Y방향)으로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격벽(13)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상 평면(Q)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가상 평면(Q)은, XY 평면과 평행하며 고정 인슐레이터(10)의 바닥면을 통과하는 평면이다.
10
고정 인슐레이터
11 제 1 고정 홈
13 격벽
15 상벽
17 제 1 측벽
18 제 2 측벽
20 가동 인슐레이터
21 제 2 고정 홈
30, 30A, 30B, 30C, 30D 콘택트
31,31D 제 1 기부
32 제 2 기부
33, 33A, 33B, 33C, 33D 제 1 아암부
34, 34B 제 2 아암부
35 대향면
38 접촉부
40 고정구
60, 60E 인슐레이터
61 측벽
70 콘택트
80 고정구
100 커넥터
131 경사면
200, 200E 커넥터
300 기판
311, 311D 볼록부
313 오목부
330, 330A, 330C 제 1 슬릿
331 제 1 직선부
332 제 1 굴곡부
333 제 2 직선부
334 제 2 굴곡부
335 접속부
336 중간부
337 볼록부
339 중간부
340 제 2 슬릿
341 접속부
342 제 1 직선부
343 제 1 굴곡부
344 제 2 직선부
345 제 2 굴곡부
346 제 3 직선부
347, 348 볼록부
400 기판
1000 전자기기
3461 경사 내벽
C 중심선
P 가상 평면
11 제 1 고정 홈
13 격벽
15 상벽
17 제 1 측벽
18 제 2 측벽
20 가동 인슐레이터
21 제 2 고정 홈
30, 30A, 30B, 30C, 30D 콘택트
31,31D 제 1 기부
32 제 2 기부
33, 33A, 33B, 33C, 33D 제 1 아암부
34, 34B 제 2 아암부
35 대향면
38 접촉부
40 고정구
60, 60E 인슐레이터
61 측벽
70 콘택트
80 고정구
100 커넥터
131 경사면
200, 200E 커넥터
300 기판
311, 311D 볼록부
313 오목부
330, 330A, 330C 제 1 슬릿
331 제 1 직선부
332 제 1 굴곡부
333 제 2 직선부
334 제 2 굴곡부
335 접속부
336 중간부
337 볼록부
339 중간부
340 제 2 슬릿
341 접속부
342 제 1 직선부
343 제 1 굴곡부
344 제 2 직선부
345 제 2 굴곡부
346 제 3 직선부
347, 348 볼록부
400 기판
1000 전자기기
3461 경사 내벽
C 중심선
P 가상 평면
Claims (12)
- 고정 인슐레이터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 인슐레이터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 및 상기 가동 인슐레이터에 장착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는, 복수의 상기 콘택트가 늘어서는 배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고정 홈과,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콘택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인슐레이터는,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고정 홈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 1 고정 홈에 지지되는 제 1 기부와, 상기 제 2 고정 홈에 지지되는 제 2 기부와, 상기 제 1 기부와 접속되고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격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아암부와, 상기 제 1 아암부 및 상기 제 2 기부에 접속되는 제 2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아암부의 최대폭은, 상기 제 2 아암부의 최대폭보다도 작은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암부는, 상기 격벽보다도 상기 제 2 기부측에 배치되는 커넥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두께 방향은, 상기 배열 방향인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부 및 상기 제 2 아암부 중 적어도 일방은, 직선상의 직선부와, 굴곡한 굴곡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부는, 상기 배열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인 제 1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아암부는, 상기 배열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인 제 2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슬릿의 최대폭은, 상기 제 2 슬릿의 최대폭보다도 작은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의 수 및 상기 제 2 슬릿의 수는, 1개인 커넥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부에 있어서의 제 1 슬릿의 양측의 부분의 폭은, 상기 제 2 아암부에 있어서의 제 2 슬릿의 양측의 부분의 폭과 동등한 커넥터.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암부는, 상기 제 2 기부를 향하여 볼록한 제 1 굴곡부와, 상기 제 1 기부를 향하여 볼록한 제 2 굴곡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릿의 폭은, 상기 제 2 굴곡부에 있어서 최대가 되는 커넥터.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암부는, 상기 제 2 기부와 상기 제 2 굴곡부의 사이에, 상기 제 2 기부를 향하여 상기 제 2 슬릿의 폭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 내벽을 구비하는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복수의 상기 제 1 기부의 바닥면을 통과하는 가상 평면을 향하여 상기 제 2 아암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138318A JP6687790B1 (ja) | 2019-07-26 | 2019-07-26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JPJP-P-2019-138318 | 2019-07-26 | ||
PCT/JP2020/027734 WO2021020152A1 (ja) | 2019-07-26 | 2020-07-16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4967A true KR20220024967A (ko) | 2022-03-03 |
Family
ID=7041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2598A KR20220024967A (ko) | 2019-07-26 | 2020-07-16 | 커넥터 및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2003049B2 (ko) |
EP (1) | EP4007077A4 (ko) |
JP (1) | JP6687790B1 (ko) |
KR (1) | KR20220024967A (ko) |
CN (1) | CN114041245A (ko) |
WO (1) | WO202102015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87790B1 (ja) * | 2019-07-26 | 2020-04-28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CN113488789B (zh) | 2021-05-31 | 2022-09-09 |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 导体结构及电连接模块 |
WO2023243471A1 (ja) * | 2022-06-15 | 2023-12-21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29109A (ja) | 2010-12-16 | 2012-07-05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タクト |
Family Cites Families (4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84756A (ja) * | 2006-09-28 | 2008-04-10 | I-Pex Co Ltd | コネクタ装置 |
JP5590991B2 (ja) * | 2010-06-30 | 2014-09-17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499191B1 (ja) * | 2013-01-28 | 2014-05-2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116056B2 (ja) * | 2013-08-07 | 2017-04-1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481594B1 (ja) * | 2013-08-09 | 2014-04-23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
JP5946804B2 (ja) * | 2013-08-09 | 2016-07-0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コネクタ |
KR101514919B1 (ko) * | 2014-02-25 | 2015-04-23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와 리셉터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JP6553843B2 (ja) | 2014-03-18 | 2019-07-3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849166B1 (ja) * | 2014-12-12 | 2016-01-27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基板間接続構造 |
JP6662633B2 (ja) * | 2015-12-28 | 2020-03-11 | 京セラ株式会社 |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
CN109565123B (zh) | 2016-08-10 | 2020-12-22 | 京瓷株式会社 | 连接器 |
JP6806529B2 (ja) * | 2016-11-02 | 2021-01-0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
JP6446109B1 (ja) * | 2017-10-10 | 2018-12-26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408106B1 (ja) | 2017-10-25 | 2018-10-17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US10199761B1 (en) * | 2017-11-22 | 2019-02-05 | Greenconn Corp. |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and floating connector |
JP6582082B2 (ja) * | 2018-03-09 | 2019-09-25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JP2019192527A (ja) * | 2018-04-26 | 2019-10-3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US10320124B1 (en) | 2018-05-02 | 2019-06-11 | All Best Precision Technolog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nal terminals having opposite sides located from connector internal sidewalls |
JP7109303B2 (ja) * | 2018-08-07 | 2022-07-2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JP7093273B2 (ja) * | 2018-09-07 | 2022-06-2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TWI712227B (zh) * | 2018-09-11 | 2020-12-01 |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 浮動連接器及連接機構總成 |
JP7002432B2 (ja) * | 2018-10-23 | 2022-01-20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
JP7207975B2 (ja) * | 2018-11-29 | 2023-01-18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EP3955391A4 (en) * | 2019-04-10 | 2022-06-01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
JP6687790B1 (ja) * | 2019-07-26 | 2020-04-28 | 京セラ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CN114175409A (zh) * | 2019-07-29 | 2022-03-11 | 意力速电子行业 | 连接器 |
JP7297622B2 (ja) * | 2019-09-20 | 2023-06-2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
JP7161463B2 (ja) * | 2019-10-10 | 2022-10-2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JP7393980B2 (ja) * | 2020-03-05 | 2023-12-0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回路基板付電気コネクタ |
JP7467236B2 (ja) * | 2020-05-28 | 2024-04-1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
JP7467234B2 (ja) * | 2020-05-28 | 2024-04-1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
JP7411505B2 (ja) * | 2020-06-03 | 2024-01-11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シールド部材、シールド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
JP7557983B2 (ja) * | 2020-07-15 | 2024-09-3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
JP2023009427A (ja) * | 2021-07-07 | 2023-01-20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TWI836299B (zh) * | 2021-12-02 | 2024-03-21 |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 浮動式多端子連接器 |
JP2023113312A (ja) * | 2022-02-03 | 2023-08-1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2023139951A (ja) * | 2022-03-22 | 2023-10-0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
JP2023141246A (ja) * | 2022-03-23 | 2023-10-05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セット及び第一コネクタ |
CN114784533A (zh) * | 2022-04-08 | 2022-07-22 | 厦门广泓工贸有限公司 | 一种电连接件和浮动式连接器 |
US20230396008A1 (en) * | 2022-06-01 | 2023-12-07 | Amphenol Commercial Products (Chengdu) Co., Ltd. |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
-
2019
- 2019-07-26 JP JP2019138318A patent/JP6687790B1/ja active Active
-
2020
- 2020-07-16 WO PCT/JP2020/027734 patent/WO2021020152A1/ja unknown
- 2020-07-16 US US17/618,822 patent/US12003049B2/en active Active
- 2020-07-16 KR KR1020227002598A patent/KR2022002496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07-16 EP EP20847265.4A patent/EP4007077A4/en active Pending
- 2020-07-16 CN CN202080047483.4A patent/CN114041245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29109A (ja) | 2010-12-16 | 2012-07-05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タク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020152A1 (ja) | 2021-02-04 |
EP4007077A4 (en) | 2023-08-16 |
JP2021022488A (ja) | 2021-02-18 |
US12003049B2 (en) | 2024-06-04 |
EP4007077A1 (en) | 2022-06-01 |
US20220239026A1 (en) | 2022-07-28 |
JP6687790B1 (ja) | 2020-04-28 |
CN114041245A (zh) | 2022-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024967A (ko) | 커넥터 및 전자기기 | |
US10916875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US11349240B2 (en) | Flo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 |
KR101232437B1 (ko) | 보드간 컨넥터 | |
US20220216633A1 (en) |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 |
KR102486351B1 (ko) | 커넥터 및 전자 기기 | |
US20200313327A1 (en) |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 |
JP6941131B2 (ja)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
CN112652900A (zh) |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 |
US20190132966A1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JP7379408B2 (ja)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
US11322870B2 (en) |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 |
US20230011865A1 (en) | Connector | |
JP7002432B2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 |
US10617019B2 (en) | Board holding apparatus | |
CN110366876B (zh) | 具有压配结构的控制单元 | |
CN107251659B (zh) | 柔性基板、带柔性基板的部件以及带柔性基板的部件的制造方法 | |
JP2019160489A (ja)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
JP6002636B2 (ja) |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 |
JP2019125583A (ja)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
JP2019091729A (ja)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
WO2011145003A2 (en) | Board assembly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