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654A -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천자 코어 어셈블리, 천자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천자 코어 어셈블리, 천자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654A
KR20220011654A KR1020217039692A KR20217039692A KR20220011654A KR 20220011654 A KR20220011654 A KR 20220011654A KR 1020217039692 A KR1020217039692 A KR 1020217039692A KR 20217039692 A KR20217039692 A KR 20217039692A KR 20220011654 A KR20220011654 A KR 20220011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uture
puncture
power transmission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오펑 선
예 후앙
Original Assignee
풀브라이트 메디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풀브라이트 메디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풀브라이트 메디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2001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91Sewing machines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3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sealing trocar wounds through abdominal w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46Type of implements
    • A61B2017/00663Type of implements the implement being a su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having at least one proximally pointing needle loc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strument, e.g. for suturing trocar puncture wounds starting from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2Multiple-needled, e.g. double-needled,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7Double-armed sutures, i.e. sutures having a needle attached to each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54Details of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54Details of tips
    • A61B2017/346Details of tips with w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with means acting on inner surface of valve or seal for expanding or protecting, e.g. inner pivoting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천자 코어 어셈블리, 천자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되, 상기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수행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 및 천자 팁을 포함하며, 상기 천자 팁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초기 상태 및 해제 상태를 가지며, 상기 초기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천자 팁과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일부분 사이에는 폐쇄된 봉합사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해제 상태에서,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은 노출된다.

Description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천자 코어 어셈블리, 천자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본 발명은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천자 코어 어셈블리, 및 천자 코어 어셈블리가 구비된 봉합 가능 천자 장치,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의료 기기 분야에 속한다.
복부 수술, 흉부 수술 등과 같은 최소 침습 수술에서, 천자 장치는 인체의 체강 벽에 진입 채널을 구축하여 스테이플러 또는 다른 수술 기구(예를 들어, 내시경 등)가 체강 내로 들어가도록 하고, 검사 또는 수술을 위한 가스 유입 및 유출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천자 장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 및 슬리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수술 시, 의사는 일반적으로 먼저 환자의 인체 조직에 하나의 작은 절개구를 낸 다음,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천자 팁을 작은 절개구에 조준하여 좌우 왕복하면서 회동시키는 동시에 천자 장치를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환자의 인체 조직의 표피를 관통하도록 슬리브 어셈블리를 가이드한다. 그 다음,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빼내고, 스테이플러 또는 다른 수술 기구가 슬리브 어셈블리를 통해 환자의 체강으로 들어가고 나오면서 작동될 수 있다. 기존의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천자 역할만 하므로, 슬리브 어셈블리가 인체 복부 절개구에서 환자 체내에 들어가도록 가이드한 후 폐기된다.
수술이 끝나면 천자구에서 슬리브 어셈블리를 꺼내고 천자구를 봉합한다. 최소 침습 수술은 천자구가 작고 깊은데, 특히 비만 환자의 인체 조직이 두껍기 때문에, 봉합이 부적절할 경우 환장에서 수술 후 천자 탈장 등 합병증이 발생하기 쉽다. 위와 같은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천자구를 봉합할 때 전용 봉합 기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추가적인 수술 기구가 필요하여 봉합 비용이 높으며 수술 기구가 많고 조작이 불편하며, 또한, 천자구 봉합을 위한 전용 봉합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하다. 따라서, 봉합 기능을 갖는 천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봉합 기능을 갖는 천자 장치는 봉합사가 천자 코어 어셈블리에 따라 천자구 내로 들어가도록 봉합사를 천자 코어 어셈블리 내에 수용해야 한다. 출원 번호가 CN201811283165.9인 중국 특허에서는 봉합 기능을 갖는 천자 장치를 개시하였는 바, 이는 천자 장치 및 천자 슬리브에 삽입된 봉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 어셈블리는 외부 튜브, 푸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튜브의 헤드에는 후크가 있는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의 후크의 헤드에는 니들이 구비되며; 상기 니들의 측면 구멍에는 대응되는 사양의 봉합사가 구비되고; 상기 푸시 로드의 헤드에는 후크가 있는 기어와 맞물리는 래크가 구비되며; 상기 래크는 후크가 있는 기어와 맞물려 니들의 호형 회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는 아래로 눌려 후크는 열렸다가 다시 닫히고, 니들은 봉합 부위를 관통한 후 천자 장치의 슬리브 헤드의 대칭 구멍에 삽입된 후, 봉합 어셈블리는 열리며, 니들과 후크는 분리되어 봉합사 끝이 천자 장치의 측벽 내에 남아 있도록 한다.
하지만, 출원 번호가 CN201811283165.9인 중국 특허의 천자 장치는 봉합사가 천자 장치의 측벽 외부에 흩어져 있게 하므로 수용에 불리하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천자 코어 어셈블리 및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천자 장치를 제공한다.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수행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 및 천자 팁을 포함하며, 상기 천자 팁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초기 상태 및 해제 상태를 가지며, 상기 초기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천자 팁과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일부분 사이에는 폐쇄된 봉합사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해제 상태에서,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은 노출된다.
또한, 상기 천자 팁은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일부분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일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동하여 나오도록 함으로써,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가 상기 초기 상태와 상기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상기 천자 팁에 대해 고정되는 잠금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상기 잠금 실린더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잠금 실린더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천자 팁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잠금 실린더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제1 홀딩부 및 제2 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딩부 및 상기 제2 홀딩부는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제1 홀딩부에 매칭 연결되어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가 상기 초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제2 걸림 연결부에 매칭 연결되어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가 상기 해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잠금 실린더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는 축방향 안내 메커니즘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동력 전달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로드는 상기 잠금 실린더에 당접(
Figure pct00001
, 맞닿다)되어 상기 잠금 실린더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추진한다.
또한, 상기 잠금 실린더에는 개구 홈이 설치되고, 상기 개구 홈은 상기 잠금 실린더의 근단으로부터 원단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개구 홈의 원단은 폐쇄되어 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동력 전달 로드의 원단부는 상기 개구 홈의 원단면에 당접되어 상기 잠금 실린더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추진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로드는 축방향에서 상기 잠금 실린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 실린더는 상기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상기 잠금 실린더는 상기 관통홀 외부의 원단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천자 팁에 고정 연결된다.
천자 코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어느 하나에 따른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작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봉합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합 메커니즘은 봉합 작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 작동 어셈블리 및 상기 봉합 작동 어셈블리는 동일한 작동 어셈블리이다.
또한,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봉합 니들 고정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봉합 니들 고정 메커니즘은 봉합 니들 고정 작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봉합 니들 고정 작동 어셈블리, 상기 봉합 작동 어셈블리, 상기 해제 작동 어셈블리는 동일한 작동 어셈블리이다.
또한, 상기 동일한 작동 어셈블리는 오작동 방지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오작동 방지 메커니즘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제1 부재는 조절 블록 및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조절 블록에 당접되고, 타단은 다른 조절 블록에 당접되거나 상기 조절 블록을 제외한 제1 부재의 다른 부분에 당접되며; 제2 부재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제1 가이드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 블록은 제2 가이드 경사면을 구비하고;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은 상기 제2 가이드 경사면에 당접되며,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제1 부재의 힘이 상기 스프링의 탄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상기 차단부는 제1 부재가 오작동되어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절 블록에 당접되고; 작동 힘이 증가될 경우, 상기 힘은 상기 조절 블록이 상기 가이드 경사면을 따라 상기 다른 조절 블록 또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다른 부분으로 향해 이동하도록 스프링의 탄력을 극복하며, 상기 조절 블록이 상기 차단부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제1 부재는 작동되어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이동한다.
또한, 상기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봉합사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봉합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합 메커니즘은 봉합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와 상기 봉합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동력 전달 로드를 공유하며, 상기 동력 전달 로드는 봉합 구동부, 봉합사 해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 구동부는 상기 동력 전달 로드의 측면에 설치된 톱니 부분이며, 상기 봉합사 해제 구동부는 상기 동력 전달 로드의 원단부이다.
천자 코어 어셈블리 및 슬리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에 제거 가능하게 씌움 설치되고;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어느 하나에 따른 천자 코어 어셈블리이다.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봉합 가능 천자 장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 및 슬리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에 제거 가능하게 씌움 설치되며,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제1 작동 어셈블리, 제2 작동 어셈블리, 제3 작동 어셈블리, 포지셔닝 블레이드, 봉합 부재, 봉합사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 부재는 봉합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천자 팁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천자 팁과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는 봉합사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사용 방법은,
상기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외부로 회동하고 또한 상기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상기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1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1;
상기 봉합 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2;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봉합사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3; 및
상기 봉합 니들이 홀딩되도록 상기 제3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계 S1에서, 상기 작동은 회동이다.
또한, 상기 단계 S1은, 상기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외부로 회동하여 봉합 채널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계 S2 및 상기 단계 S3에서, 상기 작동은 모두 누름(pressing)이다.
또한,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는 프레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S3은, 상기 천자 팁이 아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싱 커버를 눌러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봉합침의 회전과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의 노출은 동시에 시작된다.
또한, 단계 S1과 단계 S2 사이에 상기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포지셔닝을 구현하도록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 또는 상기 봉합 가능 천자 장치를 위로 당기는 단계 S11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계 S4는, 상기 제3 작동 어셈블리를 아래로 눌러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추진시키고, 상기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의 추진에 의해 이동 가능 부재를 아래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 가능 부재의 슬릿에 의해 상기 봉합 니들을 홀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 방법은,
상기 봉합 부재가 리턴되도록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5;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이 폐쇄되도록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6;
상기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내부로 회동하도록 제1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7; 및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 또는 상기 봉합 가능 천자 장치를 위로 당기는 단계 S8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계 S5 및 상기 단계 S6에서, 상기 작동은 당김이다.
또한, 상기 단계 S7에서, 상기 작동은 회동이다.
또한,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는 프레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S6은, 상기 천자 팁이 위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을 폐쇄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싱 커버를 당겨 위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갖는 바, 고정 부재를 설치하므로, 초기 상태에서, 고정 부재와 천자 팁 사이에 폐쇄된 봉합사 수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천자 코어 어셈블리가 봉합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봉합사는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에 잘 수용될 수 있어 흩어진 봉합사가 수술의 정상적인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 부재와 천자 팁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봉합사를 수납함으로써, 천자 팁의 형태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환자의 표피를 관통하는 천자 팁의 작동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천자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포지셔닝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포지셔닝의 구현에 필요한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회전 링과 포지셔닝 부재의 연결 모식도이다.
도 6은 포지셔닝을 수행한 후 포지셔닝의 구현에 필요한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프레싱 커버에 의해 구동되어 이동되는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하나의 각도에서 나타낸 프레싱 커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다른 하나의 각도에서 나타낸 도 8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조절 프레임 및 조절 블록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니들 아웃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의 봉합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접수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3은 니들 아웃 동작, 니들 접수 동작, 봉합사 해제 동작이 완료된 경우의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가 도 12의 상태일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니들 접수 동작, 니들 고정 동작의 구현에 필요한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6은 구동 플래튼이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17은 니들 고정이 완료된 경우의 니들 고정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8은 봉합 어셈블리가 리셋된 후의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사시 분해도이다.
도 20은 다른 하나의 각도에서 나타낸 도 19에 도시된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부분 부재의 사시 분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며, 이때,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초기 상태에 위치한다.
도 22은 도 19에 도시된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다른 부분 단면도이며, 이때,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해제 상태에 위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상기 실시예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여러개"는 달리 명확하게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사에 가까운 모든 부재의 일단을 "근단" 또는 "상측"으로 설정하고, 의사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 즉 환자 신체에 가까운 일단을 "원단" 또는 "하측"으로 설정한다. 연결은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을 포함한다. 달리 명확하게 한정되지 않는 한, 연결은 고정 연결 또는 이동 가능한 연결, 분리 가능한 연결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천자 장치를 제공하되, 천자 장치는 슬리브 어셈블리(미도시) 및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 내에 부분적으로 씌움 설치된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작동 어셈블리(1), 당접 디스크(2), 로드 벽관(3), 동력 전달 어셈블리(4), 지지 어셈블리(5), 수행 어셈블리(6), 천자 팁(7), 삽입 블록 어셈블리(8) 및 커버체(9)를 포함한다. 커버체(9)는 당접 디스크(2)의 상부 표면을 커버하여 이물질이 당접 디스크(2)로 떨어져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기능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체(9)의 중앙에는 배럴(91)이 설치되고, 배럴(91)은 작동 어셈블리(1)의 외측에 씌움 설치되며, 작동 어셈블리(1)가 배럴(91)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은 의사에 의해 조작될 수 있고, 배럴(91) 내부에서, 작동 어셈블리(1)는 동력 전달 어셈블리(4)에 연결된다. 당접 디스크(2)의 중앙에는 배럴(91)과 동일축인 중앙 관통홀(21)이 개방 설치되고, 동력 전달 어셈블리(4)는 중앙 관통홀(21)에 관통 설치된다. 동력 전달 어셈블리(4)의 하측은 지지 어셈블리(5)이고, 지지 어셈블리(5)는 수행 어셈블리(6)를 지지하고 보호한다. 지지 어셈블리(5)는 각각 제1 지지 부재(51) 및 제2 지지 부재(52)인 구조가 동일한 2개의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로드 벽관(3)은 동력 전달 어셈블리(4)의 외측에 씌움 설치되고, 로드 벽관(3)의 근단은 당접 디스크(2)의 하부 표면에 연결되며 또한 로드 벽관(3)은 중앙 관통홀(21)과 동일축이고, 로드 벽관(3)의 원단은 지지 어셈블리(5)의 상반부분(5')을 감싸여 상반부분(5')에 고정 연결된다. 지지 어셈블리(5)의 하반부분(5")은 로드 벽관(3)과 천자 팁(7) 사이에 노출되고, 또한 하반부분(5")의 외부 표면은 로드 벽관(3)의 외부 표면과 동일면이므로,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방해받지 않고 천자구에 들어가고 나갈 수 있다. 로드 벽관(3)의 외부 표면은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이다. 로드 벽관(3)의 원단의 단면은 아래로 연장되어 2개의 대칭된 변형 시트(32)를 형성하고, 상반부분(5')과 하반부분(5")의 경계 위치에는 후퇴 요홈(54)이 구비되며,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 요홈(54)의 홈벽(541)은 변형 시트(32)의 원단의 단면과 로드 벽관(3)의 원단의 단면 사이에 위치하고, 로드 벽관(3)이 상반부분(5')의 외부에 씌움 설치된 후, 후퇴 요홈(54)은 변형 시트(32)가 만곡되도록 제공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변형 도구를 사용하여 변형 시트(32)를 내부로 만곡하여 후크(미도시)를 형성하며, 후크가 홈벽(541)에 당접되도록 하므로, 홈벽(541)은 후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로드 벽관(3)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로드 벽관(3)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홀(미도시)이 개방 설치되고, 지지 어셈블리(5)의 상반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핀 홀(미도시)이 개방 설치되며, 제1 핀 홀과 제2 핀 홀이 동일축으로 되도록, 로드 벽관(3)이 지지 어셈블리(5)의 상반부분의 외측에 씌움 설치된 후, 고정 핀(미도시)을 사용하여 동일축인 제1 핀 홀 및 제2 핀 홀에 순차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로드 벽관(3)과 지지 어셈블리(5)의 상반부분을 고정시키며, 로드 벽관(3)과 지지 어셈블리(5)를 연결시킨다. 로드 벽관(3)의 외측은 슬리브 어셈블리에 씌움 설치되고, 슬리브 어셈블리의 근단은 당접 디스크(2)의 하부 표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삽입 블록 어셈블리(8)는 상기 분리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고, 삽입 블록 어셈블리(8)는 2개의 대칭된 삽입 블록 부재(미도시)를 포함하며, 각각의 삽입 블록 부재는 버튼(81), 후크(82) 및 스프링(83)을 포함한다. 버튼(81)은 당접 디스크(2)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크(82)는 버튼(81)에 고정 연결되며 또한 버튼(81)으로부터 당접 디스크(2)의 하측까지 연장되고, 스프링(83)은 커버체(9) 내에 위치하며, 그 일단은 버튼(81)에 당접되고, 타단은 당접 디스크(2)의 수직 부분에 당접된다.
후크(82)는 슬리브 어셈블리에 걸림 연결될 수 있고, 버튼(81) 및 스프링(83)은 후크(82)를 이동시켜 슬리브 어셈블리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당접 디스크(2)와 슬리브 어셈블리의 근단을 분리시키는데, 상기 삽입 블록 어셈블리(8)는 종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락한다. 본 발명에서, 도 2에 도시된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천자 코어 어셈블리에서 천자 팁(7)이 위치한 일단을 원단 또는 하측이라고 하고, 천자 코어 어셈블리에서 작동 어셈블리(1)가 위치한 일단을 근단 또는 상측이라고 하며, 로드 벽관(3)의 중심축선에 가까운 일측을 내측이라고 하고, 로드 벽관(3)의 중심축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측을 외측이라고 하며, 로드 벽관(3)의 반경 방향을 방사 방향이라고 하고, 로드 벽관(3)의 중심축선의 방향을 축방향이라고 하며, 축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을 가로 방향이라고 하고, 가로 방향은 방사 방향을 포함하며, 로드 벽관(3)의 중심축선에 수직되고 로드 벽관(3)의 원주에 평행되는 방향을 원주 방향으로 정의하고, 원주 방향에 평행되는 면을 원주 방향 면으로 정의한다. 로드 벽관(3)의 중심축선은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중심축선이다. 로드 벽관(3)의 상기 각 방향은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대응되는 각 방향이고, 로드 벽관(3)의 상기 각 면은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대응되는 각 면이다.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은 로드 벽관(3)의 외부 표면을 의미한다.
수술 시, 의사는 먼저 환자의 복부에 작은 절개구를 내고, 본 발명에 따른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천자 팁(7)을 이용하여 인체 조직을 천자하여 천자구를 형성하며, 슬리브 어셈블리의 하단 부분을 인체 내에 삽입하고, 삽입 블록 어셈블리(8)를 눌러 천자 코어 어셈블리와 슬리브를 분리시키며, 슬리브로부터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빼낸 다음, 수술 기구를 슬리브 안으로 넣어 수술을 진행하고, 수술이 완료된 후, 수술 기구를 제거하고,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슬리브에 다시 삽입하며, 삽입 블록 어셈블리(8)를 통해 천자 코어 어셈블리와 슬리브 어셈블리를 다시 걸림 연결시킴으로써, 봉합 조작을 시작한다. 조작 순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사용한 봉합 조작 과정은 포지셔닝, 봉합 채널 형성, 니들 아웃 봉합, 봉합사 해제, 니들 접수, 니들 고정, 리셋 등 동작 또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천자 코어 어셈블리가 리셋된 후, 의사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빼내고 봉합사를 매듭지을 수 있다. 여기서, 니들 아웃 봉합 동작 및 봉합사 해제 동작은 동시에 시작되고, 봉합사 해제 동작은 니들 아웃 봉합 동작보다 먼저 완료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의사는 작동 어셈블리(1)를 조작하여 구동력을 발생하고, 상기 구동력은 동력 전달 어셈블리(4)에 의해 수행 어셈블리(6) 및 천자 팁(7)에 전달되어, 수행 어셈블리(6) 및 천자 팁(7)이 봉합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 어셈블리(1)는 위에서 아래로 프레싱 커버(12) 및 턴테이블(11)을 포함하고, 동력 전달 어셈블리(4)는 안에서 밖으로 씌움 설치된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 및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를 포함하며, 수행 어셈블리(6)는 포지셔닝 어셈블리(61), 봉합 어셈블리(62), 접수 어셈블리(63) 및 니들 고정 어셈블리(6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턴테이블(11)이 회동되도록 조작하고, 턴테이블(11)은 회동되어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가 회동하도록 구동하며,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는 포지셔닝 어셈블리(61)를 회동시키고, 포지셔닝 동작을 수행하고 봉합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포지셔닝 어셈블리(61)를 회동시켜 포지셔닝 동작과 봉합 채널 형성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한다. 프레싱 커버(12)가 이동하도록 조작하고, 프레싱 커버(12)의 이동은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 및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가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는 이동하여 봉합 어셈블리(62)의 작동과 천자 팁(7)의 열림을 동시에 수행시키고, 봉합 어셈블리(62)는 작동되어 니들 아웃 봉합 동작을 수행하고, 천자 팁(7)은 열려 봉합사 해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니들 아웃 동작과 봉합사 해제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한다. 니들 접수 어셈블리(63)는 구동될 필요없이, 니들 접수 어셈블리(63)는 니들 접수 동작을 수행한다.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가 이동하여 니들 고정 어셈블리(64)를 이동시키고, 니들 고정 어셈블리(64)는 이동하여 니들 고정 동작을 수행한다. 리셋은 포지셔닝 어셈블리(61), 봉합 어셈블리(62) 및 천자 팁(7)의 리셋을 의미한다. 포지셔닝 작동 어셈블리는 턴테이블(11)을 포함하고, 봉합 작동 어셈블리, 봉합사 해제 작동 어셈블리 또는 봉합 니들 고정 작동 어셈블리는 모두 프레싱 커버(12)를 포함하며, 포지셔닝 어셈블리는 포지셔닝 수행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봉합 어셈블리는 봉합 수행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봉합 수행 어셈블리는 봉합침을 포함한다. 천자 팁은 봉합사 해제 수행 어셈블리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포지셔닝 동력 전달 어셈블리라고 지칭될 수도 있고,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봉합 동력 전달 어셈블리, 봉합사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라고 지칭될 수도 있으며,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봉합 니들 고정 동력 전달 어셈블리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도 4, 도 6을 참조하면, 턴테이블(11)은 일체로 성형된 부재로 하우징(111), 시프팅 암(112)을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중앙 관통홀(21) 상측의 동력 전달 어셈블리(4)를 보호하기 위해 당접 디스크(2) 상측에 씌움 설치된다. 커버체(9)는 하우징(111)에 씌움 설치된다. 시프팅 암(112)의 외측단은 커버체(9)의 외측에 위치하고, 시프팅 암(112)은 커버체(9)의 원주 방향 관통홀(92) 및 하우징(1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시프팅 암(112)의 내측단은 하우징(111)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주 방향 관통홀(92)은 시프팅 암(112)이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계속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시프팅 암(112)의 외측단은 작동단이고, 내측단은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의 제1 동력 전달 튜브(411)에 걸림 연결된다. 로드 벽관(3)은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에 씌움 설치되고,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는 위에서 아래로 상기 제1 동력 전달 튜브(411), 2개의 대칭된 동력 전달 암(412), 회전 링(413)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제1 동력 전달 튜브(411)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 튜브이고, 제1 동력 전달 튜브(411)의 근단은 중앙 관통홀(21) 상측에 위치하며 시프팅 암(112)의 내측단에 걸림 연결되고, 제1 동력 전달 튜브(411)의 원단은 동력 전달 암(412)의 근단에 고정 연결된다. 2개의 대칭된 동력 전달 암(412)은 모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동력 전달 암(412)의 근단은 제1 동력 전달 튜브(411)의 외측에 고정되며, 동력 전달 암(412)의 원단과 회전 링(413)은 일체로 성형된다. 회전 링(413)은 제1 지지 부재(51)와 제2 지지 부재(52)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 링(413)은 포지셔닝 어셈블리(61)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포지셔닝 어셈블리(61)는 대칭되게 설치되고 구조가 동일한 2개의 포지셔닝 부재(미도시)를 포함하고, 그 중 하나의 포지셔닝 부재는 제1 지지 부재(51)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포지셔닝 부재는 제2 지지 부재(52)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포지셔닝 부재의 상단에는 축방향을 따라 위로 연장된 돌출 연장부(614)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연장된 돌출 연장부(614)가 구비되며, 제1 지지 부재(51) 및 제2 지지 부재(52)는 모두 축방향을 따라 위로 및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용 홀(55)이 구비되고, 돌출 연장부(614)는 대응되는 수용 홀(55)에 수용되고 또한 수용 홀(55)에서 회동될 수 있음으로써, 하나의 포지셔닝 부재가 제1 지지 부재(51)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포지셔닝 부재가 제2 지지 부재(52)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구현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제1 지지 부재(51)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포지셔닝 부재만 설명한다. 포지셔닝 부재는 이동 보조 암(611), 피벗 축(612) 및 포지셔닝 블레이드(613)를 포함한다. 피벗 축(612)은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이동 보조 암(611)은 피벗 축(612)에 수직되며 또한 이동 보조 암(611)은 회전 링(413)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회전 링(413)의 회동이 이동 보조 암(611)이 상하 2개의 돌출 연장부(614)의 연결선을 축선(즉 피벗 축(612)이 위치한 축선)으로 회동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구현하고, 나아가, 회전 링(413)의 회동이 포지셔닝 부재가 피벗 축(612)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구현한다. 상기 구동 가능한 연결은 회전 링(413)의 회동이 이동 보조 암(611)이 회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회전 링(413)에는 위로 돌출 연장된 돌출 연장부(이동 보조체라고도 함)(미도시)가 설치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보조 암(611)에는 허리 모양 홈(6111)이 구비되며, 이동 보조체는 허리 모양 홈(6111)에 수용되고, 허리 모양 홈(6111)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회전 링(413)이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경우, 이동 보조체도 이에 따라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이동 보조체는 허리 모양 홈(6111)에서 이동하고 또한 허리 모양 홈(6111)이 피벗 축(612)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허리 모양 홈(6111)이 위치한 이동 보조 암(611)도 피벗 축(612)을 축선으로 회동함으로써, 포지셔닝 블레이드(613)가 피벗 축(612)을 축선으로 하여 외부로 회동하거나 내부로 회동하도록 한다. 제1 지지 부재(51)는 후퇴 공간(511)을 포함하고, 이동 보조 암(611)은 후퇴 공간(511) 내에 위치하며, 이동 보조 암(611)의 일단과 피벗 축(612)의 근단은 일체로 성형된다. 피벗 축(612)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포지셔닝 블레이드(613)는 피벗 축(612)의 원단에 일체로 성형된다. 포지셔닝 블레이드(613)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즉, 닫힌 상태), 포지셔닝 블레이드(613)는 로드 벽관(3) 및 제1 지지 부재(51)의 외부 표면과 동일면이다. 포지셔닝 블레이드(613)가 회전되면(즉 열린 상태), 포지셔닝 블레이드(613)는 로드 벽관(3) 및 제1 지지 부재(5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2개의 포지셔닝 블레이드(613)는 회전 후 로드 벽관(3)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천자구 양측의 조직에 당접함으로써, 포지셔닝 기능을 구현하는데, 이때 봉합 어셈블리(62)는 봉합 가능한 위치에 있다. 포지셔닝 블레이드(613)의 상부 표면이 조직과 면접촉을 이루고, 또한 상기 상부 표면이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축선과 서로 수직되므로, 포지셔닝이 비교적 정확하다. 포지셔닝 블레이드(613)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하나의 축방향을 중심축선으로 하여 회전하므로, 포지셔닝 블레이드(613)와 조직 사이의 접촉 면적이 포지셔닝 블레이드(613)의 회전 후의 위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포지셔닝 블레이드(613)의 상부 표면은 조직과 점첩족이 아닌 면접촉을 이루므로, 포지셔닝이 비교적 정확하다.
턴테이블(11)이 회동하지 않고 초기 위치에 있을 경우, 시프팅 암(112)은 원주 방향 관통홀(92)의 일단에 위치한다. 의사는 제1 원주 방향을 따라 시프팅 암(112)을 시프팅하고, 시프팅 암(112)은 원주 방향 관통홀(92) 내에서 제1 원주 방향을 따라 회동하며,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를 제1 원주 방향을 따라 회동시키고, 제1 동력 전달 튜브(411)는 제1 원주 방향을 회동하며, 제1 동력 전달 튜브(411)는 동력 전달 암(412)을 제1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동력 전달 암(412)은 회전 링(413)을 제1 원주 방향을 따라 회동시키며, 회전 링(413)은 포지셔닝 어셈블리(61)의2개의 대칭된 이동 보조 암(611)을 회동시키고, 2개의 대칭된 이동 보조 암(611)은 각각 2개의 피벗 축(612)을 자체 회전시키며, 2개의 피벗 축(612)은 각각 2개의 포지셔닝 블레이드(613)를 외부로 피벗시켜, 2개의 포지셔닝 블레이드(613)가 로드 벽관(3)의 외부 표면과 동일면인 상태에서 로드 벽관(3)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데, 즉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고, 2개의 포지셔닝 블레이드(613)는 로드 벽관(3)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천자구 양측의 조직에 당접할 수 있음으로써, 포지셔닝 기능을 구현한다. 시프팅 암(112)이 원주 방향 관통홀(92)의 타단까지 회동할 경우, 원주 방향 관통홀(92)의 홀벽은 시프팅 암(112)이 계속하여 제1 원주 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포지셔닝 블레이드(613)가 회동을 중지하도록 하는데, 이때 턴테이블(11)은 종료 위치에 있다. 포지셔닝 어셈블리(61)가 리셋 동작을 수행할 경우, 제2 원주 방향을 따라 시프팅 암(112)을 시프팅하고, 상기 제1 원주 방향과 상기 제2 원주 방향은 반대이며, 상기 동작 전달 관계에 따라,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는 제2 원주 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2개의 피벗 축(612)을 반대 방향으로 자체 회전시키고, 2개의 피벗 축(612)은 각각 2개의 포지셔닝 블레이드(613)를 내부로 피벗시킴으로써, 2개의 포지셔닝 블레이드(613)가 로드 벽관(3)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로드 벽관(3)의 외부 표면과 동일면인 상태로 회복되도록 하는데, 즉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회복되도록 함으로써, 포지셔닝 어셈블리(61)의 리셋을 구현한다.
제1 지지 부재(51)와 제2 지지 부재(52) 사이에는 간격 공간이 구비되되, 상기 간격 공간을 수용 공간 A로 정의하고, 상기 수용 공간 A는 봉합 어셈블리(62)를 수용한다.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 포지셔닝 블레이드는 수용 공간 A에서 봉합 어셈블리(62)가 위치한 부분을 폐쇄하고;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회전되면, 수용 공간 A에서 봉합 어셈블리(62)가 위치한 부분을 노출시켜 봉합 채널(53)을 노출시킨다. 봉합 어셈블리(62)는 봉합 채널(53)을 관통하여 로드 벽관(3)의 외측까지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니들 아웃 동작을 수행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싱 커버(12)는 가압 디스크(121), 원주 벽(123) 및 2개의 대칭된 푸시 풋(124)을 포함하고, 가압 디스크(121)는 커버체(9) 밖에 노출되며, 원주 벽(123)의 근단 및 2개의 푸시 풋(124)의 근단은 모두 가압 디스크(121)의 하부 표면에 일체로 성형되며 모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원주 벽은 두 곳에 대칭되는 노치(122)가 구비되고, 두 곳의 노치(122)는 모두 원주 벽(123)의 일부분이 제거된 후 형성된 것이다. 노치(122)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2개의 슬릿(122a)을 포함하고, 각각의 슬릿(122a)의 내측의 양측은 방사 방향을 따라 내부로 돌출 연장되어 2개의 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2개의 리브를 한 그룹의 리브라고 하고, 각 그룹의 리브를 리브 그룹(1221)으로 정의하며, 2개의 리브 그룹(1221) 및 2개의 푸시 풋(124)은 엇갈리게 배치된다. 각각의 푸시 풋(124)의 축방향 길이는 모두 원주 벽(123)의 축방향 길이보다 크고, 푸시 풋(124)의 원단은 방사 방향을 따라 내부로 돌출 연장되어 푸시 풋 플레이트(1241)를 형성하며, 프레싱 커버(12)가 눌리지 않아 제1 위치에 있을 경우, 각각의 리브 그룹(1221)은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의 조절 블록(422)에 당접된다. 프레싱 커버(12)를 누르면, 리브 그룹(1221)은 조절 블록(422)을 아래로 눌러 조절 블록(422)이 위치한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는 아래로 이동하여 봉합 어셈블리(62)가 니들 아웃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천자 팁(7)이 봉합사 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니들 아웃 봉합 동작이 완료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 커버(12)는 제2 위치까지 이동한다. 계속하여 프레싱 커버(12)를 누르면, 2개의 푸시 풋 플레이트(1241)는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의 상부 동력 전달 링(431)에 당접하고, 계속하여 프레싱 커버(12)를 눌러 푸시 풋 플레이트(1241)가 상부 동력 전달 링(431)을 아래로 누르도록 하여, 상부 동력 전달 링(431)이 위치한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는 아래로 이동하여 니들 고정 어셈블리(64)가 니들 고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니들 고정 동작이 완료되면, 프레싱 커버(12)는 제3 위치까지 이동한다. 봉합 어셈블리, 천자 팁 및 니들 고정 어셈블리는 프레싱 커버(12)를 공유하여 작동됨으로써, 작동 어셈블리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는 조절부(미도시), 동력 전달 로드(424) 및 래크(425)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절부는 탄성 부재(423), 조절 프레임(421), 2개의 대칭된 조절 블록(422)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423)는 스프링이고, 탄성 부재(423)는 2개의 조절 블록(422) 사이에 위치하며, 각각의 조절 블록(422)은 그 일부분이 조절 프레임(421)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방사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조절 프레임(421)의 중간 부분은 2개의 푸시 풋(124) 사이에 수용된다. 프레싱 커버(12)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 또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 있을 경우, 탄성 부재(423)의 탄력으로 인해, 2개의 조절 블록(422) 사이는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고, 조절 블록(422)의 일부는 조절 프레임(421) 밖에 노출되며, 조절부는 제1 상태이고, 각각의 리브 그룹(1221)은 동일측의 조절 블록(422)에 당접한다. 프레싱 커버(12)가 제2 위치에서 아래로 향해 제3 위치까지 이동할 경우, 탄성 부재(423)는 수축하고, 조절 블록(422)은 조절 프레임(421) 내에 수용되며, 조절부는 제2 상태이다. 아래로 연장된 조절 프레임(421)의 원통형 부분은 동력 전달 로드(424)의 근단(424a)에 고정 연결되고, 동력 전달 로드(424)의 근단(424a)은 2개의 푸시 풋 플레이트(1241) 상측에 위치하며, 2개의 푸시 풋 플레이트(1241) 사이의 방사 방향 거리는 근단(424a)의 폭보다 작으므로, 프레싱 커버(12)가 당겨질 경우, 푸시 풋 플레이트(1241)는 동력 전달 로드(424)의 근단(424a)에 당접됨으로써, 근단(424a)이 위치한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가 위로 이동하도록 당기고,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는 위로 이동하여 봉합 어셈블리(62) 및 천자 팁(7)이 리셋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동력 전달 로드(424)는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고,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를 관통한 후 원단(424b)을 형성하며, 원단(424b)은 래크(425)에 연결된다. 래크(425)의 양측에는 톱니가 설치되고, 양측의 톱니는 위에서 아래로 각각 상부 톱니 부분(425a)과 하부 톱니 부분(425b)인 두 부분으로 나뉘며, 상부 톱니 부분(425a)은 양측에 톱니가 대칭되게 설치되고, 봉합 어셈블리(62)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봉합 어셈블리(62)가 니들 아웃 봉합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하며, 하부 톱니 부분(425b)은 적어도 일측에 톱니가 설치되고, 천자 팁(7)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천자 팁(7)이 봉합사 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봉합 어셈블리(62)는 구조가 동일한 봉합 부재(621, 622)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봉합 부재(621)만 설명한다. 봉합 부재(621)는 기어(623), 회전 축(624), 제1 봉합 암(625), 제2 봉합 암(626) 및 봉합 니들(627)을 포함한다. 상부 톱니 부분(425a) 일측의 톱니와 기어(623)는 맞물리고, 기어(623)는 회전 축(624)에 씌움 설치되어 고정되며, 회전 축(624)의 일단은 제1 지지 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지지 부재(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축(624)은 제1 봉합 암(625)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1 봉합 암(625)은 후퇴 굴곡이 구비된 암이고, 상기 굴곡은 봉합 부재(622)의 회전 축과 봉합 부재(621)의 회전 축(624)이 동일한 가로 방향 평면에 위치하도록 봉합 부재(622)의 회전 축에 자리를 내주기 위한 것이며, 제1 봉합 암(625)의 타단은 제2 봉합 암(626)의 일단에 고정된다. 제2 봉합 암(626)은 만곡된 암이고, 제2 봉합 암(626)의 타단은 봉합 니들(627)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봉합사의 일단부를 봉합 니들(627)에 묶고, 봉합사의 타단부를 봉합 부재(622)의 봉합 니들에 묶는다. 래크(425)가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할 경우, 상부 톱니 부분(425a) 일측의 톱니는 기어(623)를 회전시키고, 기어(623)는 회전하여 회전 축(624)을 제1 방향을 따라 자체 회전시키며, 회전 축(624)은 제1 봉합 암(625), 제2 봉합 암(626) 및 봉합 니들(627)을 제1 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봉합 니들(627)이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할 경우, 봉합사의 일단부를 천자 코어 어셈블리 내부에서 천자 코어 어셈블리 외부까지 회전시키고, 천자구 일측의 인체 조직을 관통시킨다. 상부 래크(425a) 타측의 톱니는 봉합 부재(622)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방향을 따라 회전시켜, 봉합사의 타단부도 천자 코어 어셈블리 내부에서 천자 코어 어셈블리 외부까지 회전하고 천자구 타측의 인체 조직을 관통하도록 한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반대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봉합 니들은 봉합사의 단부가 천자구 주변의 인체 조직을 관통한 후 접수 어셈블리(63)에 의해 접수되도록 한다. 접수 어셈블리(63)는 지지 어셈블리(5)의 상반부분(5')에 설치된다. 접수 어셈블리(63)는 구조가 동일한 2개의 접수 부재(631, 632)를 포함한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이하 접수 부재(631)만 설명한다. 접수 부재(631)는 접수부(6311), 접수부(6311)의 양측에 위치한 홀딩부(6312), 및 접수부(6311)의 중앙에 위치한 접수 시트(6313)를 포함한다. 접수부(6311)와 홀딩부(6312)는 일체로 성형되고, 홀딩부(6312)는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지지 어셈블리(5)에는 홀딩부(6312)의 형상과 매칭되는 수용 공간이 개방 설치되고, 제1 지지 부재(51)는 일측의 홀딩부(6312)를 고정하며, 제2 지지 부재(52)는 타측의 홀딩부(6312)를 고정하여, 접수부(6311)가 수용 공간 A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접수부(6311)가 봉합 부재(621)의 회전 경로에 위치하도록 한다. 구조가 동일한 2개의 접수 부재(631, 632)를 통해 제1 지지 부재(51)와 제2 지지 부재(52)를 연결시킨다. 접수 시트(6313)는 접수부(6311)에 설치되고, 접수 시트(6313)는 탄성 그리드 시트 또는 중공 구조를 갖는 탄성 중공 시트이고, 탄성 그리드 시트의 그리드 또는 탄성 중공 시트의 중공 구조는 봉합 니들(627)을 홀딩한다. 로드 벽관(3)에는 윈도우(31)가 개방 설치되고, 접수 시트(6313)는 윈도우(31) 내에 위치하며, 봉합 니들(627)은 천자구 일측의 인체 조직을 관통한 후, 윈도우(31)를 관통하여 접수 시트(6313)에 의해 홀딩되고, 봉합 부재(622)의 봉합 니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접수 부재(632)의 접수 시트에 의해 동시에 홀딩됨으로써, 봉합 니들의 접수를 구현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천자구는 구멍으로 간주되고, 구멍 상측은 체외이며, 구멍 하측은 체내이고, 구멍 주변은 인체의 체강 벽 조직이며, 천자구의 측면은 구멍의 측벽을 의미하고, 천자구 양측의 인체 조직은 구멍 주변의 인체의 체강 벽 조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자구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봉합하도록 선택하는데, 즉 봉합 니들은 봉합사가 천자구 양측의 조직의 최하층(즉, 근막층)으로부터 관통되어 들어가고 천자구의 측면으로부터 관통되어 나오도록 함으로써, 근막층을 잘 봉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자 코어 어셈블리에서, 봉합사의 2개의 단부를 각각 봉합 부재(621, 622)의 봉합 니들에 묶으므로, 상기 봉합 방식을 사용하면, 니들 아웃 봉합 전에, 어떻게 봉합사의 2개의 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체강 내로 공급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봉합사의 2개의 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해제 부분으로 정의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제 부분이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하반부분에 따라 함께 천자구를 관통하여 체강 내로 들어가도록 하되, 구체적으로, 봉합사의 해제 부분을 천자 팁(7)에 수용시켜 해제 부분이 천자 팁(7)에 따라 천자구를 관통하여 체강 내로 들어가도록 한다. 해제 부분이 천자 팁(7)에 따라 천자구에 들어간 후, 봉합 동작을 수행할 경우, 봉합사의 길이가 충분하도록 봉합사를 해제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봉합사를 해제하는 동작은 천자 팁(7)에 의해 수행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천자 팁(7)은 원추형이다. 상기 천자 팁(7) 내부에는 첨단 내부 캐비티가 구비되고, 상기 첨단 내부 캐비티는 봉합사의 해제 부분을 수용하며, 천자 팁(7)이 열릴 경우, 봉합사의 해제 부분은 중력 및 자체 탄성 작용으로 인해, 천자 팁(7) 하측에서 확장되어 곡선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봉합사 해제 기능을 구현한다. 천자 팁(7)이 열릴 수 있도록, 천자 팁(7)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제1 벽 쉘(71) 및 제2 벽 쉘(72)을 포함하고,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은 결합되면 첨단 내부 캐비티를 형성한다.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은 서로 걸림 연결되어 양자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벽 쉘(71) 및 제2 벽 쉘(72) 중 하나의 벽 쉘의 측면에는 홈(미도시)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벽 쉘의 측면에는 돌기(73)가 설치되며, 돌기(73)는 홈에 홀딩되어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이 걸림 연결되도록 한다. 걸림 연결은 천자 팁이 천자할 때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는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 사이의 걸림 연결을 해제시켜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을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벽 쉘(71) 및 제2 벽 쉘(72)은 각자 피벗됨으로써, 양자 간의 상호 분리를 구현한다. 상기 피벗은 제1 벽 쉘(71)이 지지 어셈블리(5)에 대해 피벗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해 제1 벽 쉘(71) 및/또는 제2 벽 쉘(72)이 지지 어셈블리(5)에 대해 피벗되는 것을 의미하고,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는 제1 벽 쉘(71)에 설치되고,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는 제1 지지 홀을 통해 제1 지지축(712)에 씌움 설치되며, 제1 지지축(712)의 일단은 제1 지지 부재(51)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 지지 부재(52)에 고정되어, 제1 지지축(712)과 지지 어셈블리(5)를 고정시키고, 제1 벽 쉘(71)은 제1 지지축(712)을 둘러싸며 피벗될 수 있다. 톱니가 구비된 부재(721)는 제2 벽 쉘(72)에 설치되고, 톱니가 구비된 부재(721)는 제2 지지 홀을 통해 제2 지지축(722)에 씌움 설치되며, 제2 지지축(722)의 일단은 제1 지지 부재(51)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 지지 부재(52)에 고정어, 제2 지지축(722)과 지지 어셈블리(5)를 고정시키고, 제2 벽 쉘(72)은 제2 지지축(722)을 둘러싸며 피벗될 수 있다. 제1 벽 쉘(71)이 제1 지지축(712)을 둘러싸며 피벗되고 제2 벽 쉘(72)이 제2 지지축(722)을 둘러싸며 피벗되도록,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 721)에는 여러개의 톱니가 설치되고, 상기 여러개의 톱니와 래크(425)의 하부 톱니 부분(425b)의 톱니는 선택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 사이의 상대적인 피벗, 봉합 부재(621, 622)의 회전은 래크(425)에 의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상대적인 피벗은 제1 벽 쉘(71) 및 제2 벽 쉘(72)이 모두 피벗되는 것, 제1 벽 쉘(71) 및 제2 벽 쉘(72) 중 하나가 피벗되고 다른 하나가 움직이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벽 쉘(71) 및 제2 벽 쉘(72) 중 하나만 피벗되어야 할 경우, 래크(425)의 하부 톱니 부분(425b)의 일측에 톱니를 설치하고 타측에 톱니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이하 제1 벽 쉘(71) 및 제2 벽 쉘(72)이 모두 피벗되는 경우만 설명한다. 천자 팁(7)이 초기 상태(즉, 열리지 않음)에 위치할 경우, 래크(425)의 하부 톱니 부분(425b)과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 721)는 서로 맞물린다. 래크(425)가 아래로 이동할 경우, 상부 톱니 부분(425a) 일측의 톱니는 기어(623)가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기어(623)는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회전 축(624), 제1 봉합 암(625), 제2 봉합 암(626) 및 봉합 니들(627)을 제1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고, 하부 톱니 부분(425b) 일측의 톱니는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가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하며,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는 제1 벽 쉘(71)을 제1 방향을 따라 피벗시킨다. 동시에, 상부 톱니 부분(425a) 타측의 톱니는 봉합 부재(622)가 제2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하부 톱니 부분(425b) 타측의 톱니는 톱니가 구비된 부재(721)가 제2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하며, 톱니가 구비된 부재(721)는 제2 벽 쉘(72)을 제2 방향을 따라 피벗시킴으로써, 제1 벽 쉘(71) 및 제2 벽 쉘(72)가 모두 피벗되는 것을 구현하고, 천자 팁(7)이 열릴 경우, 봉합사를 해제하는데, 이때 천자 팁(7)은 종료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 천자구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봉합하므로, 각각의 봉합 부재의 봉합 니들의 이동 궤적은, 천자 코어 어셈블리 내부에서 천자 코어 어셈블리 외부까지 회전하여 천자구 일측의 인체 조직을 관통하는 것인데, 이러한 이동 궤적은 각각의 봉합 부재를 180도 회전해야 하므로, 래크(425)는 봉합 부재(621 및 622)가 180도 회전할 수 있도록 아래로 충분한 길이만큼 이동해야 한다. 하지만, 제1 벽 쉘(71) 및 제2 벽 쉘(72)이 피벗되는 최대 각도와 래크(425)가 아래로 이동하는 길이를 고려하면, 제1 벽 쉘(71) 및/또는 제2 벽 쉘(72)이 최대 각도까지 피벗된 후, 래크(425)는 여전히 아래로 이동하여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 및 톱니가 구비된 부재(721)가 하부 톱니 부분(425b)과 더 이상 맞물리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이때 상기 목적에 도달하도록, 하부 톱니 부분(425b)이 구동되어 리셋될 때까지 천자 팁(7)이 종료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의 하나의 측면은 가로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되어 제1 리미팅 돌출 블록(7111)을 형성하며, 제1 지지 부재(51) 또는 제2 지지 부재(52)의 내부 표면에는 상기 제1 리미팅 돌출 블록(7111)이 슬라이딩하도록 제공되는 제1 리미팅 걸림 홈(미도시)이 구비되고, 제1 리미팅 걸림 홈의 일부분의 사이즈를 감소시켜 제1 리미팅 돌출 블록(7111)과 억지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제1 리미팅 걸림 홈의 일부분은 제1 벽 쉘(71)이 최대 각도까지 피벗될 때 제1 리미팅 돌출 블록(7111)이 제1 리미팅 걸림 홈에서 위치한 위치에 대응되고, 제1 벽 쉘(71)이 제1 방향을 따라 피벗될 경우, 제1 리미팅 돌출 블록(7111)은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에 따라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하되, 회전 과정에서, 제1 리미팅 돌출 블록(7111)은 제1 리미팅 걸림 홈에 들어가 제1 리미팅 걸림 홈 내에서 슬라이딩하며, 제1 벽 쉘(71)이 최대 각도까지 피벗된 후, 제1 리미팅 돌출 블록(7111)은 제1 리미팅 걸림 홈 내에 걸림 연결되어, 제1 리미팅 돌출 블록(7111)이 위치한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는 위치를 유지하여 제1 벽 쉘(71)이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및/또는, 톱니가 구비된 부재(721)의 하나의 단면은 가로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 연장되어 제2 리미팅 돌출 블록(미도시)을 형성하고, 제1 지지 부재(51) 또는 제2 지지 부재(52)의 내부 표면에는 상기 제2 리미팅 돌출 블록이 슬라이딩하도록 제공되는 제2 리미팅 걸림 홈(미도시)이 구비되며, 제2 리미팅 걸림 홈의 일부분의 사이즈를 감소시켜 제2 리미팅 돌출 블록과 억지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제2 리미팅 걸림 홈의 상기 일부분은 제2 벽 쉘(72)이 최대 각도까지 피벗될 때 제2 리미팅 돌출 블록이 제2 리미팅 걸림 홈에서 위치한 위치에 대응되고, 제2 벽 쉘(72)이 제2 방향을 따라 피벗될 경우, 제2 리미팅 돌출 블록은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에 따라 제2 방향을 따라 회전하되, 회전 과정에서, 제2 리미팅 돌출 블록은 제2 리미팅 걸림 홈에 들어가 제2 리미팅 걸림 홈 내에서 슬라이딩하며, 제2 벽 쉘(72)이 최대 각도까지 피벗된 후, 제2 리미팅 돌출 블록은 제2 리미팅 걸림 홈 내에 걸림 연결되어, 제2 리미팅 돌출 블록이 위치한 톱니가 구비된 부재(721)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톱니가 구비된 부재(721)는 위치를 유지하여 제2 벽 쉘(72)이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제1 벽 쉘(71) 및/또는 제2 벽 쉘(72)이 열림 상태를 유지하면, 천자 팁(7)이 종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봉합 부재(621 및 622)가 180도 회전하여 봉합 니들이 접수 어셈블리(63)에 의해 접수되고 니들 고정 어셈블리(64)에 의해 고정된 후, 봉합 어셈블리(62) 및 제1 벽 쉘(71) 및/또는 제2 벽 쉘(72)이 리셋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싱 커버(12)를 위로 당겨, 푸시 풋 플레이트(1241)가 동력 전달 로드(424)의 근단(424a)에 당접되도록 하고, 푸시 풋 플레이트(1241)는 동력 전달 로드(424)를 당겨 동력 전달 로드(424)가 위치한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가 위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래크(425)가 위로 이동하도록 하며, 래크(425)의 상부 톱니 부분(425a) 일측의 톱니는 기어(623)를 제2 방향을 따라 자체 회전시키고, 기어(623)는 제2 방향을 따라 자체 회전하여 회전 축(624), 제1 봉합 암(625), 제2 봉합 암(626) 및 봉합 니들(627)을 제2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며, 래크(425)가 위로 소정의 거리 만큼 이동한 후, 하부 톱니 부분(425b) 일측의 톱니는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와 만나며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와 맞물림으로써,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가 제2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톱니가 구비된 부재(711)는 제1 벽 쉘(71)을 제2 방향을 따라 피벗시킨다. 동시에, 상부 톱니 부분(425a) 타측의 톱니는 봉합 부재(622)가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하부 톱니 부분(425b) 타측의 톱니는 톱니가 구비된 부재(721)를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하며, 톱니가 구비된 부재(721)는 제2 벽 쉘(72)을 제1 방향을 따라 피벗시킴으로써,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이 결합되어 천자 팁(7)을 형성할 때까지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이 대향하여 피벗되도록 하는데, 이때 천자 팁(7)은 초기 상태로 회복함으로써, 봉합 어셈블리(62)와 제1 벽 쉘(71), 제2 벽 쉘(72)이 리셋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구현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은 비대칭되는 2개의 구조이고, 본 실시예에서, 천자력이 제2 벽 쉘(72)에 집중되어 천자 시 천자력 집중점에 대한 인체 조직의 반작용력의 구동 하에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이 의도치 않은 분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1 벽 쉘(71)은 제2 벽 쉘(72)보다 작게 형성된다. 봉합 어셈블리(62)와 천자 팁(7)은 하나의 래크를 공유하여 구동됨으로써, 양자의 동기화 작동을 구현하고, 두 동작 간의 논리적 관계를 만족하며, 또한 천자 장치의 배치 공간을 절약한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는 위에서 아래로 상부 동력 전달 링(431), 2개의 대칭된 연결 로드(432), 제3 동력 전달 튜브(433), 하부 동력 전달 링(434) 및 2개의 대칭된 푸시 보조 암(435)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부 동력 전달 링(431), 제3 동력 전달 튜브(433) 및 하부 동력 전달 링(434)은 동일축이고 또한 외경이 같다. 상부 동력 전달 링(431)은 연결 로드(432)의 근단에 고정되고, 2개의 연결 로드(432) 사이는 시프팅 암(112)이 관통되어 제1 동력 전달 튜브(411)에 걸림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연결 로드(432)의 원단은 제3 동력 전달 튜브(433)의 근단에 고정된다. 제3 동력 전달 튜브(433)는 로드 벽관(3)과 제1 동력 전달 튜브(411) 사이에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3 동력 전달 튜브(433)의 원단은 하부 동력 전달 링(434)에 고정된다. 하부 동력 전달 링(434)은 푸시 보조 암(435)의 근단에 고정된다. 푸시 보조 암(435)은 제1 지지 부재(51)와 제2 지지 부재(52)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에서 푸시 보조 암(435)의 회전은 제1 지지 부재(51) 및 제2 지지 부재(52)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의 회전이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제1 리미팅부(56) 및/또는 제2 리미팅부(57)의 외부 표면에는 볼록점(미도시)이 구비되고, 하부 동력 전달 링(434)의 내벽에는 요함(미도시)이 구비되며, 볼록점은 요함에 수용됨으로써, 하부 동력 전달 링(434)이 중력으로 인해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나아가, 하부 동력 전달 링(434)이 위치한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가 프레싱 커버(12)에 의해 아래로 눌리지 않을 때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한다.
프레싱 커버(12)가 제2 위치로부터 눌려 제3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프레싱 커버(12)의 푸시 풋 플레이트(1241)는 상부 동력 전달 링(431)에 당접되어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밀어, 하부 동력 전달 링(434)이 볼록점의 저항력을 극복하며 이동하도록 하고, 하부 동력 전달 링(434)은 아래로 이동하여 푸시 보조 암(435)이 제1 지지 부재(51)와 제2 지지 부재(52) 사이에서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니들 고정 어셈블리(64)가 니들 고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수용 홀(55)이 위치한 단면은 제1 지지 부재(51)와 제2 지지 부재(52)의 상단면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프레싱 커버(12)는 각각의 봉합 부재가 180도 회전하도록 충분한 변위만큼 아래로 이동해야 하므로, 즉 봉합 니들이 접수 어셈블리(63)에 의해 접수되도록 한 후에만 니들 고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충분한 변위를 h로 정의하면, 프레싱 커버(12)가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프레싱 커버(12)가 제1 위치로부터 눌려 아래로 이동할 경우, 각각의 봉합 부재가 회전하도록,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의 상부 동력 전달 링(434)과 푸시 풋 플레이트(1241)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h보다 크고, 프레싱 커버(12)가 아래로 변위 h 만큼 이동할 때까지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는 고정을 유지하며, 프레싱 커버(12)가 아래로 변위 h 만큼 이동한 후, 각각의 봉합 부재는 이미 180도 회전하였는데, 이때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는 고정되어 봉합 어셈블리(62)를 더 이상 작동시키지 않고, 푸시 풋 플레이트(1241)는 아래로 이동하여 상부 동력 전달 링(434)에 당접할 수 있음으로써, 니들 고정 어셈블리(64)가 니들 고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니들 고정 어셈블리(64)는 니들 접수 어셈블리(63) 상측에 설치되고, 니들 고정 어셈블리(64)는 2개의 대칭된 이동 가능 부재(641, 642)를 포함하며, 이동 가능 부재(641)는 접수 부재(631) 축방향의 상측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 부재(642)는 접수 부재(632) 축방향의 상측에 위치하며,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이하 이동 가능 부재(641)만 설명한다. 이동 가능 부재(641)의 근단은 푸시 보조 암(435)의 외측에 고정되고, 이동 가능 부재(641)의 원단은 개방형 단부이며, 상기 개방형 단부는 리미팅 슬릿(641a)의 개방 설치를 통해 구현되고, 리미팅 슬릿(641a)은 이미 접수 시트(6313)에 홀딩된 봉합 니들(627)을 진일보로 홀딩한다. 프레싱 커버(12)가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프레싱 커버(12)를 누르면, 프레싱 커버(12)는 아래로 이동하여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는 이동 가능 부재(641)를 아래로 이동시키며, 이동 가능 부재(641)는 아래로 이동하여 봉합 니들(627)이 리미팅 슬릿(641a)의 근단에 걸림될 때까지 봉합 니들(627)과 리미팅 슬릿(641a)이 대체적으로 수직을 유지하면서 리미팅 슬릿(641a)에 들어가도록 하고, 봉합 니들(627)은 리미팅 슬릿(641a)의 근단이 계속하여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이동 가능 부재(641)와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가 모두 계속하여 아래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프레싱 커버(12)가 계속하여 아래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데, 이때 프레싱 커버(12)는 제3 위치에 위치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이동 가능 부재(641)의 원단은 방사 방향에서 접수 부재(631)와 차단 암(6314)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차단 암(6314)은 홀딩부(6312)에서 접수부(631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프레싱 커버(12)가 제3 위치에 위치할 경우, 프레싱 커버(12)를 당기면, 푸시 풋 플레이트(1241)는 위로 이동하여 동력 전달 로드(424)의 근단(424a)에 당접되고, 푸시 풋 플레이트(1241)가 위로 이동하여 동력 전달 로드(424)의 근단(424a)에 당접되는 거리는 프레싱 커버(12)가 제3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이동하는 거리와 같으며, 푸시 풋 플레이트(1241)는 동력 전달 로드(424)를 당겨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가 전체적으로 위로 이동하도록 당기고,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는 봉합 어셈블리(62)가 리셋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봉합 어셈블리(62)가 리셋 동작을 수행할 경우, 래크(425)는 축방향을 따라 위로 이동하고, 상부 톱니 부분(425a) 일측의 톱니는 기어(623)를 회전시키며, 기어(623)는 회전하여 회전 축(624)을 제2 방향을 따라 자체 회전시키고, 회전 축(624)은 제1 봉합 암(625), 제2 봉합 암(626)을 제2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며, 제2 봉합 암(626)은 회전 시 봉합 니들(627)을 이동시키고자 하지만, 봉합 니들(627)의 이동은 접수 시트(6313) 및 이동 가능 부재(641)에 의해 차단되되, 이 과정에서, 봉합 니들(627)은 접수 시트(6313) 및 이동 가능 부재(641)에 반작용력을 부여하고, 상기 반작용력은 이동 가능 부재(641)를 들어 올리지만, 상기 들어 올림은 차단 암(6314)의 내부 표면에 의해 차단되고, 이동 가능 부재(641)가 봉합 니들(627)을 홀딩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하므로, 봉합 니들(627)은 홀딩되어 제2 봉합 암(626)과 분리되며, 분리된 후, 제1 봉합 암(625), 제2 봉합 암(626)은 천자 코어 어셈블리 외부로부터 회전하여 수용 공간 A로 리턴되며, 봉합 니들(627)은 계속하여 접수 부재(631)에 홀딩됨으로써, 봉합 니들(627)의 고정을 구현한다. 봉합사의 일단부를 봉합 니들(627)에 묶으므로, 봉합사의 상기 단부도 접수 부재(631), 이동 가능 부재(641)에 고정되고, 천자 코어 어셈블리가 체외로 당겨진 후, 봉합사의 상기 단부도 체외로 이동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봉합 부재(622)의 봉합 니들이 이동 가능 부재(64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구현함으로써, 봉합사의 타단부도 접수 부재(632), 이동 가능 부재(641)에 고정되고, 마찬가지로 천자 코어 어셈블리에 의해 체외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가능 부재(641)는 봉합 니들에 대한 고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동 가능 부재(641)는 차단 암(6314)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봉합 어셈블리(62)는 니들 아웃 동작을 수행하고, 천자 팁(7)은 봉합사 해제 동작을 수행하며, 니들 고정 어셈블리(64)는 니들 고정 동작을 수행하여 잘못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잘못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잘못 구동되는 것을 방지함에 의해 구현된다. 여기서, 니들 아웃 동작 및 봉합사 해제 동작이 잘못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턴테이블(11)을 통해 프레싱 커버(12)가 제1 위치에 있을 경우 잘못 눌리는 것을 차단함에 의해 구현되고, 니들 고정 동작이 잘못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턴테이블(11)을 통해 프레싱 커버(12)가 제2 위치에 있을 경우 잘못 눌리는 것을 차단함에 의해 구현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턴테이블(11)이 프레싱 커버(12)가 제1 위치에 있을 경우 잘못 눌리는 것을 차단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이 의미하는 바, 턴테이블(11)은 2개의 대칭된 차단 날개(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차단 날개는 차단 날개 본체 및 차단 시트(113)를 포함하며, 하우징(111) 상부의 외부 표면에서 방사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 연장되어 스트립 모양의 차단 날개 본체(미도시)를 형성하고, 차단 날개 본체의 최상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위로 돌출 연장되어 하우징(111)의 상단면을 초과하여 차단 시트(113)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1)이 초기 위치에 있을 경우, 차단 시트(113)는 프레싱 커버(12)의 원주 벽(123)에 당접되어, 차단 시트(113)가 프레싱 커버(12)가 제1 위치에 있을 경우 잘못 눌리는 것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니들 아웃 동작 및 봉합사 해제 동작이 잘못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1)이 초기 위치에서 종료 위치까지 회동할 경우, 턴테이블(11)은 제1 원주 방향을 따라 차단 시트(113)까지 회전하여 원주 벽(123)과 엇갈리고 노치(122)와 정렬되며, 차단 시트(113)는 프레싱 커버(12)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더 이상 차단하지 않고, 프레싱 커버(12)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합 어셈블리(62)가 니들 아웃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하고 천자 팁(7)이 봉합사 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면, 턴테이블(11)이 프레싱 커버(12)가 제2 위치에 있을 경우 잘못 눌리는 것을 차단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이 의미하는 바, 2개의 차단 시트(113)의 최상부에 모두 제1 가이드 경사면(113a)이 설치되고, 조절 블록(422)에는 저면과 측면 사이에서 연장된 제2 가이드 경사면(422a)이 구비되며, 제1 가이드 경사면(113a)과 제2 가이드 경사면(422a)은 매칭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 커버(12)가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 가이드 경사면(113a)은 제2 가이드 경사면(422a)에 당접되고, 제1 가이드 경사면(113a)은 조절 블록(422)이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며, 나아가, 조절 블록(422)은 리브 그룹(1221)이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리브 그룹(1221)이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프레싱 커버(12)가 제2 위치에 있을 경우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니들 고정 동작이 잘못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싱 커버(12)를 누르는 힘을 증가시켜, 조절 블록(422)에 대한 리브 그룹(1221)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조절 블록(422)에 대한 리브 그룹(1221)의 압력을 증가시켜 제1 가이드 경사면(113a)에 대한 제2 가이드 경사면(422a)의 압력을 증가시키며, 제1 가이드 경사면(113a)에 대한 제2 가이드 경사면(422a)의 압력을 증가키므로 인해 제2 가이드 경사면(422a)에 대한 제1 가이드 경사면(113a)의 반작용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반작용력은 제2 가이드 경사면(422a)에 의해 분해되어 방사 방향 힘 및 축방향 힘을 형성하며, 상기 방사 방향 힘은 방사 방향을 따라 내부로 향하여 2개의 조절 블록(422)이 서로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탄성 부재(423)를 수축시키고, 2개의 조절 블록(422)은 서로 접근되어 조절 블록(422)이 조절 프레임(421) 밖에 일부 노출된 상태에서 조절 프레임(421)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며, 제1 가이드 경사면(113a)은 제2 가이드 경사면(422a)에 더 이상 당접되지 않고, 조절부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제2 상태에서, 조절부의 방사 방향 길이는 감소되고, 조절 블록(422)은 리브 그룹(1221)이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더 이상 차단하지 않는다. 미리 설치된 제1 가이드 경사면(113a) 및 제2 가이드 경사면(422a)의 경사 각도는, 조절 블록(422)이 리브 그룹(1221)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극복하여 이동하는 것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프레싱 커버(12)를 누르면, 조절 프레임(421)의 방사 방향 길이가 2개의 차단 시트(113) 사이의 방사 방향 거리보다 작으므로, 조절 프레임(421)이 2개의 차단 시트(113) 사이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때, 2개의 조절 블록(422)은 탄성 부재(423)의 탄력 작용을 받아 각각 2개의 차단 시트(113) 중 하나의 내부 표면에 당접되어, 조절 프레임(421)이 2개의 차단 시트(113)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조절 블록이 리브 그룹(1221)이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더 이상 차단하지 않으므로, 프레싱 커버(12)가 계속하여 아래로 이동할 경우, 차단 시트(113)는 슬릿(122a) 내에 들어가고, 차단 시트(113)가 슬릿(122a) 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프레싱 커버(12)는 조절부와 접촉하지 않아, 조절부가 위치한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가 구동력을 받지 않아 고정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프레싱 커버(12)의 푸시 풋 플레이트(1241)는 아래로 이동하여 상부 동력 전달 링(431)과 접촉됨으로써, 상부 동력 전달 링(431)을 밀며, 나아가, 전체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하고,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가 아래로 이동하여 니들 고정 어셈블리(64)가 니들 고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니들 고정 동작이 완료된 후, 프레싱 커버(12)는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조절 블록(422)의 정지 또는 이동 과정에서, 탄성 부재(423)가 조절 블록(422)을 조절 프레임(421)에서 완전히 튕겨 나가게 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조절 블록(422)의 이동 과정에서, 조절 블록(422)과 조절 프레임(421)이 서로 마찰되어 격렬하게 흔들리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 10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블록(422)의 측면은 외부로 돌출 연장되어 가이드 돌출 블록(4221)을 형성하고, 조절 프레임(421)에는 가이드 돌출 블록(4221)이 방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되는 가이드 홈(4212)이 설치된다. 조절 블록(422)이 정지할 경우, 가이드 돌출 블록(4221)은 가이드 홈(4212) 내에 위치하고, 가이드 홈(4212)은 조절 블록(422)을 리미팅하여 조절 블록(422)이 조절 프레임(421)에서 완전히 튕겨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조절 블록(422)이 이동할 경우, 가이드 돌출 블록(4221)은 가이드 홈(4212) 내에서 이동하고, 가이드 홈(4212)은 조절 블록(422)이 이동할 때 흔들리는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조절 블록(422)의 이동 안정성을 더 강화하기 위해, 조절 블록(422)의 표면에 흔들림 방지 돌출 스트립(4222)을 설치하고, 흔들림 방지 돌출 스트립(4222)은 조절 블록(422)과 조절 프레임(421)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양자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구동, 동력 전달, 및 봉합 동작을 수행하는 부재를 구비한다. 봉합 시, 천자 코어 어셈블리와 슬리브 어셈블리의 일부분은 천자구 외부에 위치하고, 일부분은 천자구 내부에 위치한다. 봉합 동작을 시작할 경우, 먼저 제1 원주 방향을 따라 턴테이블(11)의 시프팅 암(112)을 시프팅하고, 시프팅 암(112)은 제1 원주 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를 회동시키며,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는 포지셔닝 어셈블리(61)의 포지셔닝 블레이드를 외부로 회전시키고, 포지셔닝 블레이드는 외부로 피벗된 후 로드 벽관(3)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로 당겨 포지셔닝 블레이드의 상단이 천자구 양측의 근막층에 당접되도록 함으로써, 포지셔닝을 구현한다.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피벗된 후, 수용 공간 A에서 봉합 어셈블리(62)가 위치한 공간을 노출시키고, 상기 위치한 공간은 바로 봉합 채널(53)이다. 프레싱 커버(12)를 아래로 눌러 프레싱 커버(12)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하고, 프레싱 커버(12)는 아래로 이동하여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의 래크(425)의 상부 톱니 부분(425a)은 아래로 이동하여 봉합 어셈블리(62)를 회전시키고, 봉합 어셈블리(62) 중의 봉합 부재(621)는 제1 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봉합 부재(622)는 제2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니들 아웃 봉합을 구현한다. 2개의 봉합 니들은 회전한 후 접수 어셈블리(63)에 들어가고, 봉합 부재(621)의 봉합 니들(627)은 접수 부재(631)에 의해 접수되며, 봉합 부재(622)의 봉합 니들은 접수 부재(632)에 의해 접수된다. 래크(425)의 하부 톱니 부분(425b)은 아래로 이동하여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이 상대적으로 피벗되도록 함으로써, 첨단 내부 캐비티를 열고, 첨단 내부 캐비티 내의 봉합사 해제 부분은 중력 및 봉합사 자체의 탄력 작용 하에 내부 캐비티로부터 이탈되고 전개되어 곡선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봉합사의 해제를 구현한다. 계속하여 프레싱 커버(12)를 아래로 눌러 프레싱 커버(12)가 이동하도록 하는데, 이때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 및 봉합 어셈블리(62)는 고정을 유지하고, 푸시 풋(124)은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를 아래로 밀며,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는 이동 가능 부재(641, 642)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밀고, 이동 가능 부재(641)의 리미팅 슬릿(641a)은 봉합 니들(627)을 홀딩하며, 이동 가능 부재(642)의 리미팅 슬릿은 봉합 부재(622)의 봉합 니들을 홀딩함으로써, 니들 고정을 구현한다. 프레싱 커버(12)를 위로 당기면, 프레싱 커버(12)는 위로 이동하여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를 위로 이동시키고, 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42)의 래크(425)의 상부 톱니 부분(425a)은 봉합 어셈블리(6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봉합 어셈블리(62)의 2개의 제2 봉합 암은 각자 연결된 봉합 니들과 분리되고, 제1 봉합 암 및 제2 봉합 암은 회전하여 수용 공간 A로 리턴됨으로써, 봉합 어셈블리(62)의 리셋을 구현한다. 래크(425)의 하부 톱니 부분(425b)은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이 상대적으로 피벗되도록 하고, 제1 벽 쉘(71)과 제2 벽 쉘(72)은 다시 결합됨으로써, 천자 팁(7)의 리셋을 구현한다. 프레싱 커버(12)를 위로 당기는 과정에서, 푸시 풋(124)은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43) 및 니들 고정 어셈블리(64)는 움직이지 않는다. 프레싱 커버(12)를 제1 위치까지 당긴 후, 제2 원주 방향을 따라 시프팅 암(112)을 시프팅하고, 시프팅 암(112)은 제2 원주 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를 제2 원주 방향을 따라 회동시키며, 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41)는 포지셔닝 블레이드를 내부로 피벗시키고, 포지셔닝 블레이드는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포지셔닝 어셈블리(61)의 리셋을 구현하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어서, 전체 천자 장치를 위로 당기면, 봉합사의 2개의 단부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에 의해 천자구 밖으로 이동되고, 봉합사를 절단하여 봉합사의 각 일단이 봉합사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되도록 하며, 봉합사를 천자구 밖으로 뽑아내어 천자구를 조이고, 봉합사를 매듭지음으로써, 봉합 동작을 완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가능한 위치"는, 봉합 어셈블리(62)의 봉합 니들이 회전되어 천자구 주변의 조직을 관통하여 들어가고 천자구 측면으로부터 관통하여 나와 니들 접수 어셈블리(63) 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봉합 어셈블리(62)를 구동할 때 천자 코어 어셈블리가 위치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천자 코어 어셈블리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이 상이한 구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수행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천자 팁을 포함하며, 천자 팁은 제1 벽 쉘 및 제2 벽 쉘을 포함하고, 제1 벽 쉘 및/또는 제2 벽 쉘은 지지 어셈블리에 대해 피벗됨으로써, 초기 상태와 종료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며, 초기 상태에서, 제1 벽 쉘과 제2 벽 쉘은 결합되어 내부 캐비티를 형성하고, 내부 캐비티는 봉합사를 수용하며; 종료 상에서, 제1 벽 쉘과 제2 벽 쉘은 분리되고, 봉합사는 해제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수행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99) 및 천자 팁(7')을 포함하며, 천자 팁(7')은 수용부(98)를 구비하고, 고정 부재(99)는 수용부(98)에 일부 수용되며,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초기 상태 및 해제 상태를 가지고, 도 21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 천자 팁(7')과 고정 부재(99) 사이에는 폐쇄된 봉합사 수용 공간(97)이 형성하며, 도 22에 도시된 해제 상태에서, 봉합사 수용 공간(97)은 노출된다.
해제 수행 어셈블리를 초기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시킬 경우, 봉합사 자체가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봉합사 수용 공간(97)이 노출되면, 봉합사는 봉합사 수용 공간(97)으로부터 자동적으로 튕겨 나가 봉합사 해제 기능을 구현하고, 후속의 봉합 동작을 위해 준비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봉합사의 해제는 하나의 과정이므로, 해제 상태는 하나의 위치에서만 있는 것이 아니라, 봉합사 수용 공간(97)으로부터 시작하여 최대 노출 정도까지 노출되고, 봉합사 수용 공간이 노출되는 과정은 모두 해제 상태로 간주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또한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계속하여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고정 부재(99)는 지지 어셈블리(5)와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99)는 상대적으로 근단에 위치한 엔드 플레이트(96)를 포함한다. 엔드 플레이트(96)의 근단면에는 제1 장착부(95)가 설치되고, 제1 장착부(95)와 지지 어셈블리(5)는 제1 체결 핀(94)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고정 부재(99)와 지지 어셈블리(5)를 고정시킨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99)는 권선부(93)를 포함하고, 초기 상태에서, 봉합사는 권선부(93)에 감겨 봉합사가 봉합사 수용 공간(97)에 정연하게 수용되도록 한다. 초기 상태에서, 권선부(93)의 외부 표면과 천자 팁(7')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수용부(98)의 내부 표면 사이에는 봉합사 수용 공간(97)이 형성된다.
권선부(93)는 엔드 플레이트(96)의 원단 단면에 연결된다. 권선부(93)의 축방향 길이는 엔드 플레이트(96)의 두께보다 큼으로써, 봉합사가 감기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96)의 폭은 권선부(93)의 폭보다 크다. 초기 상태에서, 천자 팁(7')의 근단면은 엔드 플레이트(96)의 원단면에 당접됨으로써, 봉합사 수용 공간(97)을 상대적으로 폐쇄시켜, 봉합사가 봉합사 수용 공간(97)으로부터 튕겨 나올 수 없도록 한다.
고정 부재(99)는 인터셉트 플레이트(102)를 더 포함하고, 인터셉트 플레이트(102)는 권선부(93)의 원단에 연결되며, 인터셉트 플레이트(102)의 폭은 권선부(93)의 폭보다 큼으로써, 봉합사가 권선부(93)에 확실하게 감길 수 있도록 엔드 플레이트(96), 권선부(93), 인터셉트 플레이트(102)의 축방향 절단면은 대체로 "工"자형이다.
엔드 플레이트(96)의 폭(즉 직경)은 인터셉트 플레이트(102)의 폭(즉 직경)보다 크다, 비교적 넓은 엔드 플레이트(96)는 초기 상태에서 천자 팁(7')의 근단면을 폐쇄할 수 있음으로써, 천자 팁(7')과 결합되어 봉합사 수용 공간(97)을 형성하고, 비교적 좁은 인터셉트 플레이트(102)는 권선 효과를 확보하는 전제 하에 고정 부재(99) 원단의 폭을 감소시키되, 고정 부재(99) 엔드 플레이트(96) 아래의 부분은 천자 팁(7')의 수용부(98)에 수용되고, 고정 부재(99) 엔드 플레이트(96) 아래의 부분에서 인터셉트 플레이트(102)의 폭이 가장 크므로, 인터셉트 플레이트(102)의 폭을 감소시키면 고정 부재(99), 천자 팁(7')의 사이즈를 더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사이즈 요구를 만족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천자 팁의 제1 벽 쉘과 제2 벽 쉘은 상대적으로 피벗되어 초기 상태와 해제 상태의 전환을 구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천자 팁(7')은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해제 수행 어셈블리가 초기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천자 팁(7')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벽 쉘 및 제2 벽 쉘을 더 이상 포함하지 않고, 천자 팁(7')은 일체로 성형되며 전체적으로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초기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의 전환을 구현한다. 천자 팁(7')은 일체로 성형되므로, 부재와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천자 팁(7')의 구조가 보다 안정적인 구조로 함으로써, 천자 팁(7')이 조직을 천자할 때 보다 원할하게 조직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천자 팁(7')은 전체적으로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태의 전환을 구현하고, 봉합사 해제 어셈블리의 작동 어셈블리(101)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므로, 봉합사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천자 팁(7')과 고정되는 잠금 실린더(90)를 포함하고,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잠금 실린더(9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잠금 실린더(90)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천자 팁(7')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잠금 실린더(90)를 통해 천자 팁(7')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천자 팁(7')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동시에, 관련된 축방향 안내 메커니즘(후술됨), 잠금 메커니즘(후술됨)은 잠금 실린더(90)에 설치될 수 있어, 구조 설계가 합리적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동력 전달 로드(89)를 포함하고, 동력 전달 로드(89)는 잠금 실린더(90)에 당접되어 잠금 실린더(9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추진하며, 최종적으로 천자 팁(7')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초기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한다. 구조는 매우 간단하고 조작이 간단하며 효과적이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봉합사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와 봉합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동력 전달 로드(89)를 공유하고, 동력 전달 로드(89)는 봉합 구동부, 봉합사 해제 구동부를 포함하며, 봉합 구동부는 동력 전달 로드(89)의 측면에 설치된 (상부) 톱니 부분이다. 제1 실시형태와의 구별점은 다음과 같은 바, 제1 실시형태에서 봉합사 해제 구동부는 하부 톱니 부분이고, 하부 톱니 부분과 상부 톱니 부분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하부 톱니 부분과 제1 벽 쉘 및/또는 제2 벽 쉘에 장착된 톱니가 구비된 부재가 마물릴 경우, 하부 톱니 부분은 톱니가 구비된 부재를 통해 제1 벽 쉘 및/또는 제2 벽 쉘의 피벗을 구동하고; 본 실시형태에서, 봉합사 해제 구동부는 동력 전달 로드(89)의 원단부(88)이며, 원단부(88)와 잠금 실린더(90)가 당접될 때 잠금 실린더(9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추진할 수 있음으로써, 천자 팁(7')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최종적으로 초기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하부 톱니 부분은 톱니가 구비된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동력 전달 로드(89)는 축방향에서 잠금 실린더(90)에 분리 가능하게 당접될 수 있다. 즉, 동력 전달 로드(89)와 잠금 실린더(90)의 조합은 2개의 상태를 갖는데, 도 21에 도시된 제1 상태에서, 동력 전달 로드(89)는 축방향에서 잠금 실린더(90)를 추진시키지 않고, 도 22에 도시된 제2 상태에서, 동력 전달 로드(89)는 축방향에서 잠금 실린더(90)에 당접되고 작동 부재의 구동 하에 잠금 실린더(90)를 초기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추진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동력 전달 로드(89) 및 잠금 실린더(90)의 이동은 하나의 과정이므로, 제1 상태인지 제2 상태인지와 관계없이, 하나의 위치만 포함하는 것이 아니고, 도 21 및 도 22는 각각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하나의 위치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잠금 실린더(90)에는 개구 홈(87)이 설치되고, 개구 홈(87)은 잠금 실린더(90)의 근단으로부터 원단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개구 홈(87)의 원단은 폐쇄되어 원단면(86)을 형성하고, 동력 전달 로드(89)의 원단부(88)는 개구 홈(87)의 원단면(86)에 당접되어 잠금 실린더(9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추진한다. 이로 인해, 개구 홈(87)은 동력 전달 로드(89)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원단부(88)가 개구 홈(87)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동력 전달 로드(89)의 원단부(88)의 폭은 개구 홈(87)의 폭보다 약간 작다. 개구 홈(87)은 잠금 실린더(90)의 중앙 위치에 설치되어, 잠금 실린더(90)의 구조가 정연하도록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동력 전달 로드(89)가 제1 상태에 있든 제2 상태에 있든, 동력 전달 로드(89)의 원단부(88)는 모두 개구 홈(87)에 수용되는데, 구별점은, 도 21에 도시된 제1 상태에서, 동력 전달 로드(89)의 원단부(88)와 개구 홈(87)의 원단면(86)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도 22에 도시된 제2 상태에서, 동력 전달 로드(89)의 원단부(88)는 개구 홈(87)의 원단면(86)에 당접되는 것이다.
고정 부재(99)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85)이 설치되고, 잠금 실린더(90)는 관통홀(85)에 일부 수용되며 또한 관통홀(85)에서 이동할 수 있다. 관통홀(85)은 잠금 실린더(9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잠금 실린더(90)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고정 부재(99)에 대한 잠금 실린더(9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잠금 실린더(90)와 고정 부재(99) 사이에는 축방향 안내 메커니즘이 설치된다. 축방향 안내 메커니즘은 잠금 실린더(90)에 설치된 안내 홈(84), 고정 부재(99)에 설치된 안내 핀(80)을 포함하고, 안내 홈(84)은 축방향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안내 핀(80)은 가로 방향으로 안내 홈(84)에 관통 설치되어, 잠금 실린더(90)가 안내 홈(84)과 안내 핀(80)의 협동에 의해 한정된 축방향 경로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잠금 실린더(90)는 본체(79)를 포함하고, 안내 홈(84)은 가로 방향으로 본체(79)에 관통 설치된다. 고정 부재(99)에는 핀 홀(78)이 설치되고, 안내 핀(80)과 핀 홀(78)은 단단히 결합된다. 고정 부재(99)는 제2 장착부(77)를 포함하고, 제2 장착부(77)는 인터셉트 플레이트(102)에 연결되고 인터셉트 플레이트(102)에 대해 고정 부재(99)의 원단에 위치하며, 안내 핀(80)이 장착된 핀 홀(78)은 제2 장착부(77)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구조 설계가 합리적이다.
잠금 실린더(90)는 고정 부재(99)의 관통홀(85) 외부의 원단 부분(76)에 위치하여 천자 팁(7')에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잠금 실린더(90)와 천자 팁(7')의 상대적인 고정은 제2 체결 핀(75), 및 잠금 실린더(90)에 설치된 핀 홀(58), 천자 팁(7')의 핀 홀(48)의 단단한 결합에 의해 구현되므로, 설명을 생략하다. 이로 인해, 잠금 실린더(90)는 천자 팁(7')이 고정 부재(99)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봉합사 수행 어셈블리가 초기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한다.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초기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고, 이와 대응되게, 안내 홈(84)의 양단은 폐쇄되며, 안내 핀(80)이 안내 홈(84)의 원단에 당접될 경우, 봉합사 수행 어셈블리는 초기 상태에 위치하고, 안내 핀(80)이 안내 홈(84)의 근단에 당접될 경우, 봉합사 수행 어셈블리는 해제 상태의 최종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안내 홈(84)의 양단부는 잠금 실린더(90) 및 천자 팁(7')의 축방향의 이동을 리미팅할 수 있다.
해제 수행 어셈블리가 초기 상태 및 해제 상태의 최종 위치를 유지하도록, 잠금 실린더(90)와 고정 부재(99) 사이에는 잠금 메커니즘이 설치된다. 잠금 메커니즘은 잠금 실린더(90)에 설치된 후크, 고정 부재(99)에 설치된 제1 홀딩부(74) 및 제2 홀딩부(69)를 포함하고, 제1 홀딩부(74) 및 제2 홀딩부(69)는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후크와 제1 홀딩부(74)가 매칭 연결될 경우,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초기 상태를 유지하고; 후크와 제2 걸림 연결부(69)가 매칭 연결될 경우,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해제 상태의 최종 위치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잠금 실린더(90)는 본체(79) 및 본체(79)의 근단에 설치된 제1 로드부(68), 제2 로드부(67)를 포함한다. 제1 로드부(68)와 제2 로드부(67)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1 로드부(68)의 근단에는 제1 후크(66)가 설치되고, 제2 로드부(67)의 근단에는 제2 후크(65)가 설치된다. 제1 로드부(68) 및 제2 로드부(67)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정한 탄성을 가지며, 제1 로드부(68) 및 제2 로드부(67)는 제1 후크(66) 및 제2 후크(65)를 각각 이동시키도록 탄성 변형되는데, 이는 제1 후크(66), 제2 후크(65)가 잠금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잠금 상태는 후크와 홀딩부가 매칭 연결된 상태이고, 해제 상태는 후크가 홀딩부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다.
제1 홀딩부(74)는 고정 부재(99)의 근단면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 엔드 플레이트(96)의 근단면에 설치된다. 제2 홀딩부(69)는 걸림 연결 홈이고, 걸림 연결 홈은 권선부(93)의 측벽을 관통한다. 후크의 개수와 대응되게, 걸림 연결 홈의 개수도 2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99)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85)이 설치되고, 잠금 실린더(90)는 관통홀(85)에 일부 수용되며 또한 관통홀(85)에서 이동할 수 있다. 호선은 제1 홀딩부(74)의 횡단면에 형성된 직선 부분과 관통홀(85)을 형성하는 측벽의 횡단면에 형성된 호선 부분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환되어, 후크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실린더(90)에는 개구 홈(87)이 설치되고, 개구 홈(87)은 동력 전달 로드(89)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 홈(87)은 제1 로드부(68)와 제2 로드부(67)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천자 장치의 포지셔닝 메커니즘, 봉합 메커니즘, 니들 고정 메커니즘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지셔닝 메커니즘, 봉합 메커니즘, 니들 고정 메커니즘의 작업 과정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의 작업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 봉합사의 양단부는 봉합침에 연결되고, 봉합사의 중간 부분은 권선부(93)에 감기며, 후크는 제1 홀딩부(74)에 매칭 연결되고, 천자 팁(7')의 근단은 고정 부재(99)의 엔드 플레이트(96)의 원단면(86)에 당접되며, 천자 팁(7')과 고정 부재(99) 사이에는 폐쇄된 봉합사 수용 공간(97)이 형성되고, 권선부(93)에 감긴 봉합사는 봉합사 수용 공간(97)에 수용된다.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조직을 봉합해야 하는 경우, 도 21 내지 도 22의 변화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작동 어셈블리(101)를 아래로 눌러 동력 전달 로드(89)가 축방향으로 아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동력 전달 로드(89)가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동력 전달 로드(89)의 상부 톱니 부분은 봉합 메커니즘이 조직을 봉합하도록 구동하며, 동력 전달 로드(89)가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동력 전달 로드(89)의 원단부(88)는 잠금 실린더(9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동시에 도 20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 로드(89)가 아래로 이동하여 그 원단부(88)가 잠금 실린더(90)의 개구 홈(87)의 원단면(86)에 당접될 경우, 작동 어셈블리(101)를 계속 아래로 누르면, 동력 전달 로드(89)는 계속 아래로 이동하고, 동력 전달 로드(89)에 의해 제공된 추진력은 제1 로드부(68), 제2 로드부(67)의 탄성 변형을 발생시켜 제1 후크(66) 및 제2 후크(65)를 이동시키며, 제1 후크(66), 제2 후크(65)는 제1 홀딩부(74)로부터 이탈되고, 동력 전달 로드(89)는 잠금 실린더(90)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계속하여 추진하며, 잠금 실린더(90)는 아래로 이동하여 천자 팁(7')을 아래로 이동시키고, 천자 팁(7')의 근단면은 엔드 플레이트(96)의 원단면(86)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떨어지며, 봉합사 수용 공간(97)은 노출되기 시작하고, 노출된 공간이 충분히 클 경우, 봉합사는 자체 탄력 작용 하에 봉합사 수용 공간(97)으로부터 점차적으로 튕겨 나오기 시작한다.
작동 어셈블리(101)를 계속 아래로 누르면, 동력 전달 로드(89)는 계속 아래로 이동하고,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후크(66), 제2 후크(65)는 고정 부재(99)의 관통홀(85) 내에서 슬라이딩하며, 제1 후크(66), 제2 후크(65)와 제2 홀딩부(69)가 대향될 경우, 제1 후크(66), 제2 후크(65)는 변형을 회복하고, 제1 후크(66) 및 제2 후크(65)는 대응되는 제2 홀딩부(69)에 각각 걸림되며, 봉합사 수용 공간이 최대 노출 정도에 도달하여 해제 상태의 최종 위치에 도달하면, 봉합사는 완전히 해제될 수 있고, 물론, 봉합사는 해제 상태의 최종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완전히 해제될 수도 있는데, 이는 봉합사의 탄력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당업자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해 변경, 수정, 대체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1-작동 어셈블리,
11-턴테이블, 111-하부 하우징, 112-시프팅 암, 113-차단 시트, 113a-제1 가이드 경사면,
12-프레싱 커버, 121-가압 디스크, 122-노치, 122a-슬릿, 1221-리브 그룹, 123-원주 벽, 124-푸시 풋, 1241-푸시 풋 플레이트,
2-당접 디스크, 21-중앙 관통홀,
3-로드 벽관, 31-윈도우, 32-변형 시트,
4-동력 전달 어셈블리,
41-제1 동력 전달 어셈블리, 411-제1 동력 전달 튜브, 412-동력 전달 암, 413-회전 링,
42-제2 동력 전달 어셈블리, 421-조절 프레임, 4212-가이드 홈, 422-조절 블록, 422a-제2 가이드 경사면, 4221-가이드 돌출 블록, 4222-흔들림 방지 돌출 스트립, 423-탄성 부재, 424-동력 전달 로드, 424a-근단, 424b-원단, 425-래크, 425a-상부 톱니 부분, 425b-하부 톱니 부분,
43-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 431-상부 동력 전달 링, 432-연결 로드, 433-제3 동력 전달 튜브, 434-하부 동력 전달 링, 435-푸시 보조 암,
5-지지 어셈블리, 5'-상반부분, 5"-하반부분, 51-제1 지지 부재, 511-후퇴 공간, 52-제2 지지 부재, 53-봉합 채널, 54-후퇴 요홈, 541, 542-홈벽, 55-수용 홀,
6-수행 어셈블리,
61-포지셔닝 어셈블리, 611-이동 보조 암, 6111-허리 모양 홈, 612-피벗 축, 613-포지셔닝 블레이드, 614-돌출 연장부,
62-봉합 어셈블리, 621, 622-봉합 부재, 623-기어, 624-회전 축, 625-제1 봉합 암, 626-제2 봉합 암, 627-봉합 니들,
63-접수 어셈블리, 631, 632-접수 부재, 6311-접수부, 6312-홀딩부, 6313-접수 시트, 6314-차단 암,
64-니들 고정 어셈블리, 641, 642-이동 가능 부재, 641a-리미팅 슬릿,
7-천자 팁, 71-제1 벽 쉘, 72-제2 벽 쉘, 711, 721-톱니가 구비된 부재, 7111-제1 리미팅 돌출 블록, 712-제1 지지축, 722-제2 지지축, 73-돌기,
8-삽입 블록 어셈블리, 81-버튼, 82-후크, 83-스프링,
9-커버체, 91-원형 홀, 92-원주 방향 관통홀

Claims (27)

  1.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수행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 및 천자 팁을 포함하며, 상기 천자 팁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초기 상태 및 해제 상태를 가지며, 상기 초기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천자 팁과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일부분 사이에는 폐쇄된 봉합사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해제 상태에서,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자 팁은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일부분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일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동하여 나오도록 함으로써,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가 상기 초기 상태와 상기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는 상기 천자 팁에 대해 고정되는 잠금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상기 잠금 실린더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잠금 실린더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천자 팁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실린더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제1 홀딩부 및 제2 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딩부 및 상기 제2 홀딩부는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제1 홀딩부에 매칭 연결되어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가 상기 초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제2 걸림 연결부에 매칭 연결되어 상기 해제 수행 어셈블리가 상기 해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실린더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는 축방향 안내 메커니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동력 전달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로드는 상기 잠금 실린더에 당접되어 상기 잠금 실린더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추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실린더에는 개구 홈이 설치되고, 상기 개구 홈은 상기 잠금 실린더의 근단으로부터 원단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개구 홈의 원단은 폐쇄되어 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동력 전달 로드의 원단부는 상기 개구 홈의 원단면에 당접되어 상기 잠금 실린더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추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로드는 축방향에서 상기 잠금 실린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 실린더는 상기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실린더는 상기 관통홀 외부의 원단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천자 팁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위한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11. 천자 코어 어셈블리로서,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작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봉합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합 메커니즘은 봉합 작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 작동 어셈블리 및 상기 봉합 작동 어셈블리는 동일한 작동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봉합 니들 고정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봉합 니들 고정 메커니즘은 봉합 니들 고정 작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봉합 니들 고정 작동 어셈블리, 상기 봉합 작동 어셈블리, 상기 해제 작동 어셈블리는 동일한 작동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작동 어셈블리는 오작동 방지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오작동 방지 메커니즘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제1 부재는 조절 블록 및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조절 블록에 당접되고, 타단은 다른 조절 블록에 당접되거나 상기 조절 블록을 제외한 제1 부재의 다른 부분에 당접되며; 제2 부재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제1 가이드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 블록은 제2 가이드 경사면을 구비하고;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은 상기 제2 가이드 경사면에 당접되며,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제1 부재의 힘이 상기 스프링의 탄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상기 차단부는 제1 부재가 오작동되어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절 블록에 당접되고; 작동 힘이 증가될 경우, 상기 힘은 상기 조절 블록이 상기 가이드 경사면을 따라 상기 다른 조절 블록 또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다른 부분으로 향해 이동하도록 스프링의 탄력을 극복하며, 상기 조절 블록이 상기 차단부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제1 부재는 작동되어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은 봉합사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봉합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합 메커니즘은 봉합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 해제 동력 전달 어셈블리와 상기 봉합 동력 전달 어셈블리는 동력 전달 로드를 공유하며, 상기 동력 전달 로드는 봉합 구동부, 봉합사 해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 구동부는 상기 동력 전달 로드의 측면에 설치된 톱니 부분이며, 상기 봉합사 해제 구동부는 상기 동력 전달 로드의 원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
  16. 천자 코어 어셈블리 및 슬리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가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에 제거 가능하게 씌움 설치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로서,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천자 코어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
  17.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봉합 가능 천자 장치는 천자 코어 어셈블리 및 슬리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상기 슬리브 어셈블리에 제거 가능하게 씌움 설치되며,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제1 작동 어셈블리, 제2 작동 어셈블리, 제3 작동 어셈블리, 포지셔닝 블레이드, 봉합 부재, 봉합사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 부재는 봉합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는 천자 팁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천자 팁과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는 봉합사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사용 방법은,
    상기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외부로 회동하고 또한 상기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상기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1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1;
    상기 봉합 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2;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봉합사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3; 및
    상기 봉합 니들이 홀딩되도록 상기 제3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에서, 상기 작동은 회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은, 상기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외부로 회동하여 봉합 채널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2 및 상기 단계 S3에서, 상기 작동은 누름(press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는 프레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S3은, 상기 천자 팁이 아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싱 커버를 눌러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봉합침의 회전과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의 노출은 동시에 시작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단계 S1과 단계 S2 사이에 상기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포지셔닝을 구현하도록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 또는 상기 봉합 가능 천자 장치를 위로 당기는 단계 S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4는, 상기 제3 작동 어셈블리를 아래로 눌러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추진시키고, 상기 제3 동력 전달 어셈블리의 추진에 의해 이동 가능 부재를 아래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 가능 부재의 슬릿에 의해 상기 봉합 니들을 홀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부재가 리턴되도록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5;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이 폐쇄되도록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6;
    상기 포지셔닝 블레이드가 내부로 회동하도록 제1 작동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 S7; 및
    상기 천자 코어 어셈블리 또는 상기 봉합 가능 천자 장치를 위로 당기는 단계 S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5 및 상기 단계 S6에서, 상기 작동은 당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7에서, 상기 작동은 회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어셈블리는 프레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S6은, 상기 천자 팁이 위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봉합사 수용 공간을 폐쇄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싱 커버를 당겨 위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 가능 천자 장치의 사용 방법.
KR1020217039692A 2019-05-02 2020-05-01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천자 코어 어셈블리, 천자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KR202200116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67365.0 2019-05-02
CN201910367365 2019-05-02
PCT/CN2020/088552 WO2020221370A1 (zh) 2019-05-02 2020-05-01 缝合线释放机构、穿刺芯组件、穿刺器及其使用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654A true KR20220011654A (ko) 2022-01-28

Family

ID=730296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672A KR20220011653A (ko) 2019-05-02 2020-05-01 천자 코어 어셈블리 및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천자 장치
KR1020217039692A KR20220011654A (ko) 2019-05-02 2020-05-01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천자 코어 어셈블리, 천자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672A KR20220011653A (ko) 2019-05-02 2020-05-01 천자 코어 어셈블리 및 천자 코어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천자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220240917A1 (ko)
EP (2) EP3977948A4 (ko)
JP (3) JP7309914B2 (ko)
KR (2) KR20220011653A (ko)
CN (2) CN111870292B (ko)
BR (2) BR112021021943A2 (ko)
CA (2) CA3138815A1 (ko)
IL (2) IL287714A (ko)
MX (2) MX2021013453A (ko)
WO (2) WO2020221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5186B (zh) * 2021-09-24 2023-08-04 陈兵 一种可自固定的无需穿刺刀的穿刺器
CN114010279B (zh) * 2021-11-05 2023-09-26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脊柱穿刺定位装置
CN114081592B (zh) * 2021-11-15 2023-11-21 北京天助畅运医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穿刺装置
CN114271765B (zh) * 2021-12-23 2022-07-12 青岛钰仁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复合光穿透增强成像系统及增强成像方法
CN116407181A (zh) * 2021-12-29 2023-07-11 江苏风和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用于缝合器的缝合线收纳结构及缝合器
CN117137554B (zh) * 2023-10-23 2024-04-02 邦士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腹腔筋膜缝合穿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40126C (de) * 1934-07-29 1936-12-24 Bruno Loewel Dr Trokar
DE4137218C1 (ko) * 1991-11-13 1993-02-11 Heidmueller, Harald, 5000 Koeln, De
US5540704A (en) * 1992-09-04 1996-07-30 Laurus Medical Corporation Endoscopic suture system
US5814073A (en) * 1996-12-13 1998-09-29 Bonutti; Peter M.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suture anchor
DE4315135C1 (de) * 1993-05-07 1994-12-08 Vygon Gmbh & Co Kg Trokar mit einer Spreizeinrichtung
US5527321A (en) * 1993-07-14 1996-06-1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Instrument for closing trocar puncture wounds
US5470338A (en) * 1993-10-08 1995-11-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Instrument for closing trocar puncture wounds
FR2824253B1 (fr) * 2001-05-04 2005-02-18 Francis Navarro Intrument permettant de fermer par suture sous-cutanee un orifice realise dans la paroi abdominale d'un patient
WO2010011777A1 (en) * 2008-07-22 2010-01-28 Spirx Closure, Llc Methods and devices for delivering sutures in tissue
US8409085B2 (en) * 2009-02-25 2013-04-02 Joint Product Solutions, Llc Surgical retention port and method of use
US8109943B2 (en) * 2009-04-10 2012-02-07 Gordian Surgic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uture anchor deployment
EP2611366B1 (en) * 2010-08-30 2014-07-02 St. Jude Medical Puerto Rico LLC Disengagable cam system for tissue puncture closure device
US8764680B2 (en) * 2010-11-01 2014-07-01 Devicor Medical Products, Inc. Handheld biopsy device with needle firing
WO2013063153A2 (en) * 2011-10-24 2013-05-02 Facseal Llc Jawed trocar tip assembly
WO2013101730A2 (en) * 2011-12-27 2013-07-04 Coopersurgical, Inc. Suture passer guides and related kits and methods
CN103149981B (zh) * 2013-02-27 2016-06-01 联宝(合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单手开合的卡扣结构及其工作方法
WO2015040617A1 (en) * 2013-09-17 2015-03-26 Gordian Surgical Ltd. Trocar and wound closure device
KR101594082B1 (ko) * 2014-11-21 2016-02-15 김기성 복강경 포트 사이트 폐쇄 장치
CN108261227B (zh) * 2016-12-30 2020-02-18 江苏风和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穿刺芯组件及具有其的穿刺器
CN108261228B (zh) * 2016-12-30 2020-02-04 江苏风和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穿刺器
CN106974706B (zh) * 2017-03-30 2023-05-05 盛君玉 带缝合功能的穿刺鞘
CN108652711B (zh) * 2017-04-01 2021-08-06 江苏风和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具有缝合功能的穿刺芯组件及其穿刺器
US10702263B2 (en) * 2017-05-30 2020-07-07 Suture Ease, Inc. Biological tissue access and closur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CN109589161B (zh) * 2017-06-03 2023-06-30 成都五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卡盘式变径套管装置及穿刺器
US11389192B2 (en) * 2017-06-29 2022-07-19 Cilag Gmbh International Method of suturing a trocar path incision
US10639029B2 (en) * 2017-06-29 2020-05-05 Ethicon Llc Suture grasping instrument
US10939937B2 (en) * 2017-06-29 2021-03-09 Ethicon Llc Trocar with oblique needle insertion port and perpendicular seal latch
CN109674517B (zh) * 2017-10-18 2020-09-11 江苏风和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高度调节装置
CN111374738B (zh) * 2018-12-29 2023-05-05 江苏风和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穿刺芯组件和穿刺器
CN111374737A (zh) * 2018-12-29 2020-07-07 江苏风和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穿刺芯组件和穿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38816A1 (en) 2020-11-05
KR20220011653A (ko) 2022-01-28
CN111870292A (zh) 2020-11-03
EP3970644A1 (en) 2022-03-23
MX2021013454A (es) 2022-01-24
IL287714A (en) 2021-12-01
JP2022531430A (ja) 2022-07-06
BR112021022066A2 (pt) 2021-12-28
CN111870292B (zh) 2024-04-02
JP7311630B2 (ja) 2023-07-19
IL287790A (en) 2022-01-01
EP3970644A4 (en) 2022-12-28
JP2023126948A (ja) 2023-09-12
CA3138815A1 (en) 2020-11-05
EP3977948A1 (en) 2022-04-06
MX2021013453A (es) 2022-01-24
US20220240913A1 (en) 2022-08-04
EP3977948A4 (en) 2023-08-30
JP2022531431A (ja) 2022-07-06
US20220240917A1 (en) 2022-08-04
JP7309914B2 (ja) 2023-07-18
BR112021021943A2 (pt) 2021-12-21
WO2020221370A1 (zh) 2020-11-05
CN111870321A (zh) 2020-11-03
WO2020221369A1 (zh)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1654A (ko) 봉합사 해제 메커니즘, 천자 코어 어셈블리, 천자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US10010326B2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US9675340B2 (en) Stitching device with long needle
US7175648B2 (en) Deep endoscopic staple and stapler
JP4154500B2 (ja) 外科用針
US8992549B2 (en) Laparoscopic port site closure tool
US10045763B2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set
US11304726B2 (en) Tissue-fastening tool indwelling system and method for indwelling tissue-fastening tool
US20180228487A1 (en) Wound closure device including direct-driven needle
EP2305129A2 (en) Wound closure device including ferrule ejector systeme
JP2009502419A (ja) コイル式の自動タンピングシステムを備えた組織穿刺閉鎖装置
EP3251609A2 (en) Endoscopic stitching device
CN216060625U (zh) 一种用于吻合器的环形结构
WO2022267998A1 (zh) 具有筋膜闭合功能的腹腔镜穿刺器
CN115517731B (zh) 一种吻合器
CN117442267A (zh) 缝合器
CN216060626U (zh) 一种用于吻合器的驱动机构
CN212490018U (zh) 一种缝合线植入装置以及缝合线
CN114732465A (zh) 一种吻合器
CN114732461A (zh) 一种吻合器
CN117814955A (zh) 收线装置及经导管瓣环成形系统
CN111466972A (zh) 一种缝合线植入装置以及缝合线
CN116269559A (zh) 医用锁切集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