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217A - 회전 조출 필기구 - Google Patents
회전 조출 필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8217A KR20220008217A KR1020210080330A KR20210080330A KR20220008217A KR 20220008217 A KR20220008217 A KR 20220008217A KR 1020210080330 A KR1020210080330 A KR 1020210080330A KR 20210080330 A KR20210080330 A KR 20210080330A KR 20220008217 A KR20220008217 A KR 202200082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writing
- tip
- cam
- inle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40 feed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43K24/14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with cam 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06—Pen or pencil bar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선단 개구 구멍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단 필기부가, 곧은 상태(직선 상태)로, 축통의 축중심선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회전 조출 필기구를 제공한다.
축통(2) 내에 복수의 필기체(9)가 수용되어, 각 필기체(9)가 가이드 통(11)에 의해서 축통(2)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축통(2)에 대한 가이드 통(11)의 상대 회전 조작을 받아, 축통 내에 고정된 원통 캠(15)에 의해서, 하나의 필기체(9)의 선단 필기부(9a)가, 축통의 입구부(6)에 마련한 개구 구멍(6a)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된다. 입구부(6)의 개구 구멍(6a)을, 축통의 축중심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개구 구멍(6a)으로부터 선단 필기부(9a)가 돌출된 상태의 필기체(9)는, 직선 상태가 유지된다.
축통(2) 내에 복수의 필기체(9)가 수용되어, 각 필기체(9)가 가이드 통(11)에 의해서 축통(2)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축통(2)에 대한 가이드 통(11)의 상대 회전 조작을 받아, 축통 내에 고정된 원통 캠(15)에 의해서, 하나의 필기체(9)의 선단 필기부(9a)가, 축통의 입구부(6)에 마련한 개구 구멍(6a)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된다. 입구부(6)의 개구 구멍(6a)을, 축통의 축중심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개구 구멍(6a)으로부터 선단 필기부(9a)가 돌출된 상태의 필기체(9)는, 직선 상태가 유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통 내에 복수의 필기체를 수용하고, 필기체의 선단부를 선택적으로 축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키는 회전 조출(繰出, 계속 내보냄)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축통 내에 복수의 필기체(리필)를 수용하고, 소정의 조출 조작에 의해, 축통의 선단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선단 필기부를 돌출시키는 구조의 필기구가 제공되어 있다.
축통에 수용된 복수의 필기체 중 하나를 조출하는 기구로서, 회전 조출식으로 불리는 것이 있고, 이 회전 조출식의 필기구의 상당수는, 전축(前軸)에 대해 후축을 상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전축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 구멍으로부터, 필기체의 선단 필기부를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회전 조출 필기구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개량 및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고, 본 출원인에서도, 상기의 회전 조출 필기구에 대해 몇 개의 제안을 하고 있고, 그 일 예가 일본특허공개 제2012-61605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진 회전 조출 필기구에 의하면, 축통 내에 수용되는 각 필기체의 후단부에, 캠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슬라이딩 피스가 배치된다. 그리고, 전축에 대해 후축 내에 장착된 원통 캠을 후축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원통 캠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 피스를 전후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하나의 필기체의 선단 필기부를, 전축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 구멍으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회전 조출 필기구에 의하면, 축통 내에 수용되는 예를 들면 3개의 필기체(리필)는, 각각 가이드 통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의 3개의 필기체는 축통의 축중심선을 피해, 축중심선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평행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필기체의 선단 필기부가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선단 개구 구멍은, 축통선단부에 배치된 예를 들면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구금(口金)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필기부가 출몰하는 선단 개구 구멍은, 축통의 축중심선 상에 형성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필기를 위해서 선택된 필기체는, 축통의 축중심선을 피한 위치로부터, 그 선단 필기부만이, 축통의 축중심선을 향해 구부러져, 비직선 모양으로 변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선단 개구 구멍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단 필기부는, 축통의 축중심선에 대해서 모두 약간 구부러진 자세가 되고, 이것이 보기에 위화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누구든지 경험하고 있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회전 조출 필기구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선단 개구 구멍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단 필기부가, 곧은 상태(직선 상태)로 축통의 축중심선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기에 상기와 같은 위화감을 느끼게 하지 않는 밸런스가 잡힌 회전 조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조출 필기구는, 축통 내에 복수의 필기체가 수용되어, 각 필기체가 가이드 통에 의해서 축통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축통에 대한 상기 가이드 통의 상대 회전 조작을 받아, 축통 내에 고정된 원통 캠에 의해서, 하나의 상기 필기체의 선단 필기부가 상기 축통의 입구 부재에 마련한 개구 구멍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회전 조출 필기구로서, 상기 입구 부재의 개구 구멍을, 상기 축통의 축중심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구 구멍으로부터 선단 필기부가 돌출된 상태의 상기 필기체가, 직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필기체는 3개 이상이며, 상기 각 필기체의 후단부에는 상기 원통 캠에 슬라이드 접촉하여, 필기체를 축통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피스가 연결되고, 상기 축통 내에 고정된 원통 캠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 캠 평탄부와, 상기 캠 평탄부의 양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첨형(尖形, 끝이 뾰족한 형상)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캠 경사면과, 상기 한 쌍의 캠 경사면의 선단이 연결되는 소정폭의 캠 꼭대기부를 가지며, 상기 필기체에 연결된 슬라이딩 피스가, 상기 캠 꼭대기부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필기체의 선단 필기부가 상기 입구 부재의 개구 구멍으로부터 돌출되고, 이 상태에서, 다른 필기체에 연결된 슬라이딩 피스는, 상기 캠 평탄부에 위치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 부재에서의 축통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비정원(非正圓) 형상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통은 전축 및 후축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입구 부재는, 상기 전축의 전단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전축에 대해 후축이 축커플링을 매개로 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축통이 구성되고, 상기 입구 부재와 축커플링 중 어느 일방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위치 맞춤 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입구 부재와 축커플링 중 어느 타방에는, 상기 위치 맞춤 개구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볼록 모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축 내에서, 상기 위치 맞춤 개구에 대해서 볼록 모양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입구 부재와 축커플링과의 사이에서, 서로 축회전 방향의 위치 맞춤 기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선단 필기부로서 볼펜 팁이 이용되고, 해당 볼펜 팁에는, 그 최대 외경 부분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외경이 오목 곡면 모양으로 점감(漸減, 점차 감소)하는 축경부(縮徑部)가 마련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필기체 중 하나가 전자기기 단말의 화면에 조작 가능한 입력 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조출 필기구에 의하면, 축통 내에 수용된 복수개의 필기체는, 수동에 의해 회전 조작을 받는 가이드 통에 의해서, 각각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가이드 통이 회전 운동을 받음으로써, 축통 내에 고정된 원통 캠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하나의 필기체의 선단 필기부가, 축통의 입구 부재에 마련한 개구 구멍으로부터 순차 선택적으로 돌출된다.
이 경우, 입구 부재의 개구 구멍은 축통의 축중심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개구 구멍으로부터 선단 필기부가 돌출되는 상기 필기체는, 축통 내에서 거의 직선 상태(곧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단 필기부가 축통의 축심에 대해서 구부러진 자세로 돌출되는 종래의 회전 조출 필기구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필기체의 선단 필기부를 돌출시키는 원통 캠에는, 전방으로 첨형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캠 경사면이 실시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통의 회전 조작이 좌우 어느 방향이라도, 선단 필기부의 교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축통 내에 3개 이상의 필기체가 수용된 이런 종류의 회전 조출 필기구에서, 필요로 하는 필기체의 선택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조출 필기구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조출 필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전축을 떼어내고 필기체(리필)를 교환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축통을 떼어내고 선단 필기부를 조출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축통을 떼어내고 선단 필기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회전 조출 필기구를 부품 단위로 분해한 전개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전축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9a는, 입구 부재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9b는, 입구 부재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E)는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F)는 천지(天地)를 반전하여 후단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G)는 좌측면도, (H)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후축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중앙 단면도, (D)는 우측면도이다.
도 11a는, 원통 캠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중앙 단면도, (D)는 저면도이다.
도 11b는, 원통 캠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E)는 사시도, (F)는 좌측면도, (G)는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후축에 원통 캠을 장착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중앙 단면도, (C)는 사시도, (D) 축방향으로부터 본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가이드 통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상면도, (C)는 정면도, (D)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14는, 축커플링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중앙 단면도, (D)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이얼 손잡이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조출 필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전축을 떼어내고 필기체(리필)를 교환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축통을 떼어내고 선단 필기부를 조출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축통을 떼어내고 선단 필기부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회전 조출 필기구를 부품 단위로 분해한 전개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전축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9a는, 입구 부재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9b는, 입구 부재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E)는 선단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F)는 천지(天地)를 반전하여 후단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G)는 좌측면도, (H)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후축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중앙 단면도, (D)는 우측면도이다.
도 11a는, 원통 캠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중앙 단면도, (D)는 저면도이다.
도 11b는, 원통 캠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E)는 사시도, (F)는 좌측면도, (G)는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후축에 원통 캠을 장착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중앙 단면도, (C)는 사시도, (D) 축방향으로부터 본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가이드 통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상면도, (C)는 정면도, (D)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14는, 축커플링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중앙 단면도, (D)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이얼 손잡이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중앙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조출 필기구에 대해서, 필기체로서 볼펜 리필을 이용한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각 도면에서는, 동일 부분을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있지만, 일부의 도면에서는 지면의 사정으로 대표적인 부분에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에 대해서는, 각 부품 단위로 나타낸 각각의 도면에 붙인 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이 회전 조출 필기구(1)는, 도 1 및 도 2에 전체 구성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외곽을 구성하는 축통(2)은, 전축(3) 및 후축(4)에 의해 구성되고, 전축(3)과 후축(4)은 축커플링(5)을 매개로 하여 직선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축(3)의 전단부에는 입구 부재(6)가 장착되고, 이 입구 부재(6)로부터 필기체로서의 볼펜 리필(9)의 선단 필기부(볼펜 팁)(9a)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후축(4)의 후단부에는 다이얼 손잡이(7)가, 후축(4)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다이얼 손잡이(7)를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입구 부재(6)로부터 돌출되는 볼펜 팁(9a)이 선택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후축(4)과 다이얼 손잡이(7)의 경계 부분에서, 와이어 클립(8)의 기단부가 후축(4)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축통(2) 내에는, 도 4에도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필기체로서, 3개의 볼펜 리필(9)이 축통(2)의 축선에 평행하게 되도록 수용되어 있다. 이들 3개의 볼펜 리필(9)은, 후축(4)의 후단측에 축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 가이드 통(11)에서, 각각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볼펜 리필(9)은, 적어도 하나가 전자기기 단말의 화면에 조작 가능한 입력 펜으로 함으로써, 필기와 단말에의 입력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어, 폭넓은 복합형 필기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통(11)에는, 상기의 3개의 볼펜 리필(9)의 후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후술하는 가이드 구멍(11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구멍(11a) 내에는 도 5~도 7에도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피스(12)가 수용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피스(12)는, 가이드 통(11)의 전단부에 장착된 스프링 받이(14)와의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코일 스프링(13)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구멍(11a)의 내저부를 향해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피스(12)의 전단부에 돌출하도록 하여 형성된 소(小)돌기(12a)(도 2 참조)가 볼펜 리필(9)의 잉크 수용관의 후단부에 감합됨으로써, 볼펜 리필(9)이 슬라이딩 피스(12)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볼펜 리필(9)을 교환하려고 할 때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축(3)을 축커플링(5)으로부터 빼내어, 전축 유닛(U1)을 후축 유닛(U2)으로부터 분리하고, 이 상태에서, 교환하려고 하는 볼펜 리필(9)을 바로 앞으로 당기는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 피스(12)는 가이드 통(11) 내를 전진하고, 코일 스프링(13)이 가장 압축된 상태에서, 볼펜 리필(9)의 후단부가, 슬라이딩 피스(12)의 소돌기(12a)로부터 빠진다. 그래서, 새로운 볼펜 리필(9)을 삽입함으로써, 볼펜 리필(9)의 후단부가 슬라이딩 피스(12)의 소돌기(12a)에 감합되고, 이것에 의해 새로운 볼펜 리필(9)은, 슬라이딩 피스(12)에 의해서 다시 유지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볼펜 리필(9)을 교환하려고 할 때에는, 도 4에 근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후축 유닛(U2)으로부터 전축 유닛(U1)을, 축방향을 따라서 빼냄으로써 행해진다. 또, 전축 유닛(U1)을 후축 유닛(U2)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전축 유닛(U1)을 후축 유닛(U2)으로 향하게 하여, 축방향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전축 유닛(U1)은 후축 유닛(U2)측의 축커플링(5)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감합(이른바 헐거운 감합)되어 장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통(11)의 후단부측에는, 후술하는 축체(11c)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체(11c)의 단부에, 상기의 다이얼 손잡이(7)가 장착된다. 따라서 다이얼 손잡이(7)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통(11)은 3개의 볼펜 리필(9)을 장착한 채로, 축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가이드 통(11)의 후반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원통 캠(15)이 후축(4) 내에 장착되어 있다.
원통 캠(1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원통 캠(15)을 단품 구성으로 나타낸 도 11a 및 도 11b에 근거하여 후에 설명하지만, 상기의 다이얼 손잡이(7)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가이드 통(11)이 회동하고, 이것에 따라서 슬라이딩 피스(12)에 형성된 볼록부(12b)(도 2, 도 5, 도 6 참조)가, 원통 캠(15)의 후술하는 캠 경사면(15b)을 따라서 올라가고,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 피스(12)는 전진한다.
전진하는 슬라이딩 피스(12)가 장착된 볼펜 리필(9)의 선단 필기부(볼펜 팁)(9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부재(6)의 개구 구멍(6a)으로부터 돌출되고, 필기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하, 상기의 회전 조출 필기구(1)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부품 단위로 나타낸 도면에 기초하여 개개로 설명한다.
도 8은, 전축(3)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전축(3)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에 의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전단부는 경사지게 컷 되어 경사 컷부(3a)를 형성하고, 후단부는 축에 직교한 상태로 컷 마무리되어 있다. 그리고, 전축(3)의 외측의 원통면에는 축방향을 따른 얕은 절입() 홈(3b)이, 축 둘레의 몇군데에서, 각각 집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전축(3)은 회전 조출 필기구(1)를 파지했을 때에, 그립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 전축(3)의 후단부 내주는,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간 두꺼운 모양으로 형성되어 두께부(3c)를 구성하고 있다. 이 두께부(3c)는, 전축(3)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예를 들면 놋쇠 등에 의해 형성되는 얇은 모양의 파이프 부재(21)(도 7 참조)의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된다. 즉, 파이프 부재(21)는 전축(3)의 전단부측의 경사 컷부(3a)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전축(3) 내에 배치되고,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두께부(3c)에 의해서 위치 결정된다.
도 9a 및 도 9b는, 입구 부재(6)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입구 부재(6)는, 예를 들면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등의 수지 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전축(3)의 전단부에 장착된다.
입구 부재(6)의 전단부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볼펜 팁(9a)이 돌출되는 개구 구멍(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입구 부재(6)의 후단부측에는 원통부(6b)가 형성되고, 이 원통부(6b)가 상기의 전축(3) 내에 배치된 파이프 부재(21)에 감합 한 상태에서, 전축(3)에 장착된다.
또, 입구 부재(6)에는 전축(3)의 경사 컷부(3a)를 따라서 맞닿는 맞닿음부(6c)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진 맞닿음부(6c)를 경계로 한 입구 부재(6)의 후반부가, 전축(3) 내에 수용되어 장착되게 된다.
또한 이 입구 부재(6)는, 도 9a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부재(6)의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 구멍(6a)이, 축통(2)의 축중심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축통(2)의 축중심선(L1)은, 입구 부재(6)에 형성한 원통부(6b)의 축선에 상당하고, 입구 부재(6)의 개구 구멍(6a)의 축선은 부호 L2로 나타내게 된다.
이것은, 입구 부재(6)의 개구 구멍(6a)으로부터 선단 필기부(볼펜 팁)(9a)가 돌출되는 볼펜 리필(9)은, 축통(2)의 축중심선(L1)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것에 맞추어 개구 구멍(6a)의 위치를 억지로 편심시키게 된다.
이것에 의해, 선단 필기부(9a)가 개구 구멍(6a)으로부터 돌출되는 볼펜 리필(9)을, 축통(2) 내에서, 곧은 상태(직선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의 입구 부재(6)는, 상기의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원추형의 입구 부재는 채용하지 않고, 입구 부재(6)에서의 축통(2)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비정원 형상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입구 부재(6)에는, 상기의 원통부(6b)로부터 더 후단측을 향하여, 원호 모양으로 만곡한 볼록 모양부(6d)가, 원통부(6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 모양부(6d)의 원호 모양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3개의 리브(6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 모양부(6d)는, 후술하는 축커플링(5)에 형성된 위치 맞춤 개구(5b)와의 사이에서, 축회전 방향의 위치 맞춤 기구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상기 3개의 리브(6e)는, 축회전 방향의 위치 맞춤이 되어 있지 않은 채, 입구 부재(6)에 축커플링(5)을 맞닿게 한 경우에, 축커플링(5)의 일부가, 입구 부재(6)에 형성된 볼록 모양부(6d)의 원호 모양 내주면에 올라탄 상태에서 조립되는 것을 저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 부재(6)의 개구 구멍(6a)을, 축통(2)의 축중심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선단 필기부가 개구 구멍(6a)으로부터 돌출되는 볼펜 리필(9)을, 축통(2) 내에서 곧은 상태(직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이것에 더하여, 이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볼펜 리필(9)은, 선단 필기부(볼펜 팁)(9a)의 형상에서도 고안이 행하여져 있다.
즉 도 4에, 볼펜 리필(9)의 선단 필기부(볼펜 팁)(9a)를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볼펜 리필(9)에 이용되는 볼펜 팁(9a)에는, 볼펜 팁(9a)의 최대 외경 부분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외경이 오목 곡면 모양으로 점감(漸減, 점차 감소)하는 축경부(縮徑部)(9b)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 축경부(9b)는 측면이 오목 곡면으로 되어 있고, 이 볼펜 팁(9a)의 가는 지름의 선단부에 필기 볼(9c)이, 코킹 가공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다.
이 볼펜 팁(9a)을 이용함으로써, 펜 끝이 원추 모양의 테이퍼부를 가지는 종래의 볼펜 리필에 비해, 펜 끝을 가늘게 보이게 하는 의장 효과를 초래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기 중에서의 선단의 묘선 부분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필기 가능 상태가 되는 볼펜 리필(9)은, 축통(2) 내에서 곧은 상태(직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그 선단의 볼펜 팁(9a)이, 오목 곡면 모양의 축경부(9b)를 가지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이들 구성이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이런 종류의 회전 조출 필기구(1)에서, 독자적인 미관을 갖게 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후축(4)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후축(4)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여,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정육각 통 모양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 전단부는 개구되고, 후단부에는 절곡 가공에 의해, 단면(端面)(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면(4a)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서 한 쌍의 절결부(4b)가 형성되어 있고, 이 한 쌍의 절결부(4b)가 상기의 와이어 클립(8)의 한 쌍의 기단부의 삽통공(揷通孔)으로서 이용된다.
또, 상기 단면(4a)의 중앙부는 개구되어, 후술하는 브리치(breech) 축커플링(16)에 마련된 수나사(16a) 등의 삽통공(4c)을 구성하고 있다.
이 후축(4)의 전단부 개구측으로부터는, 다음에 설명하는 원통 캠(15), 가이드 통(11), 축커플링(5)이 순차 삽입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후축 유닛(U2)이 구성된다. 이하, 이들 각 부재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원통 캠(15)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원통 캠(15)은, POM(폴리아세탈) 등의 수지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도 11a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반부(15A)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캠 형성부를 구성하고, 후반부(15B)는 소경으로 형성되어 원통 캠의 장착 및 베어링 구멍 등을 구성하고 있다.
전반부(15A)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 캠 평탄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캠 평탄부(15a)의 양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첨형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캠 경사면(15b)을 가진다. 이 한 쌍의 캠 경사면(15b)은, 각각 축방향을 따라서 좌우가 대칭이 되는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은, 소정 폭을 가지는 캠 꼭대기부(15c)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캠 꼭대기부(15c)는, 선택된 필기체(볼펜 리필)(9)에 연결된 슬라이딩 피스(12)의 볼록부(12b)(도 5, 도 6 참조)가 맞닿는 부위이기 때문에,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 완만한 오목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캠 평탄부(15a)와 캠 경사면(15b)과의 경계 부분에는, 한 쌍의 오목부(15d)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15d)에는, 선택되지 않은 다른 2개의 필기체에 연결된 슬라이딩 피스(12)의 볼록부(12b)가,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오목부(15d)에, 각각 슬라이딩 피스(12)의 볼록부(12b)가 끼워질 때에, 적당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원통 캠(15)의 후반부(15B)는, 소경부(15e)를 구성하고 있고, 이 소경부(15e)에는, 상하를 향해 한 쌍의 걸림 볼록부(15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소경부(15e)와 걸림 볼록부(15f)를 이용하여, 링 모양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브리치 축커플링(16)(도 7, 도 12 참조)이 장착된다. 이 브리치 축커플링(16)은 원통 캠(15) 및 와이어 클립(8)의 기단부를, 후축(4)의 후부 내에 기계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리고, 도 11a의 (C)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소경부(15e) 내에는 축 구멍(15g)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 구멍(15g)에는 가이드 통(15)의 축체(11c)가 삽통되어, 가이드 통(15)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캠 평탄부(15a)와 소경부(15e)와의 사이의 원통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4개의 리브(15h)가 평행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리브(15h)는, 원통 캠(15)을 후축(4) 내에 삽입 고정할 때에, 정육각 통 모양으로 형성된 후축(4)의 내각부(內角部) 4개소에 각각 접함으로써, 후축(4)에 대한 원통 캠(15)의 축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도 12는, 원통 캠(15)을 후축(4) 내에 삽입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원통 캠(15)을 후축(4) 내에 삽입함에 있어서는, 원통 캠(15)의 소경부(15e)에, 브리치 축커플링(16)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원통 캠(15)의 소경부(15e)에는, 한 쌍의 걸림 볼록부(15f)가 형성되어 있다. 브리치 축커플링(16)은, 한 쌍의 걸림 볼록부(15f)에 의해서 회전 멈춤된 상태에서, 소경부(15e)에 장착된다.
그리고, 정육각 통 모양으로 형성된 후축(4)에 형성된 한 쌍의 절결부(4b)에 끼워진 면(4d)〔(도 12의 (C) 참조〕의 이면측에, 원통 캠(15)의 캠 꼭대기부(15c)가 내접하도록 하여, 후축(4) 내에 원통 캠(15)을 삽입한다.
또,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리치 축커플링(16)에는, 수나사(16a)가 마련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상태에서, 후축(4)에 형성된 한 쌍의 절결부(4b)에 대해서, U자 모양으로 성형된 와이어 클립(8)의 좌우의 기단부를 삽입하고, 그대로 원통 캠(15)을 후축(4) 내의 후부를 향해 밀어넣으면, 원통 캠(15)의 소경부(15e), 브리치 축커플링(16)의 수나사(16a)가, 후축(4)의 수나사 삽통공(4c)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후축(4)의 후부로 돌출된 브리치 축커플링(16)의 수나사(16a)에 대해서, 단면(端面)에 차양이 붙은 링 모양의 브리치(17)(도 7 참조)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원통 캠(15)과 와이어 클립(8)이, 후축(4)의 후부에 장착된다.
또, 도 3은 후축(4)의 후부에 장착된 원통 캠(15)과 와이어 클립(8)을 포함하는 주요부에 대해서, 그 장착 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가이드 통(11)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가이드 통(11)에 대해서는, 앞서 그 일부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는데, 이 가이드 통(11)은 전체가 PC(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 수지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반부에는 3개의 볼펜 리필(9)의 각각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11a)이, 축 둘레로 등간격으로 또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구멍(11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통(11)의 측면에 연통하도록 슬릿(11b)이, 가이드 구멍(11a)마다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1b)에는, 가이드 구멍(11a) 내에 수용된 슬라이딩 피스(12)의 볼록부(12b)(도 2, 도 5, 도 6 참조)가 외측을 향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피스(12)의 볼록부(12b)는, 상기의 원통 캠(15)의 캠 경사면(15b) 등에 접하여, 가이드 구멍(11a) 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볼펜 리필(9)을 전진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가이드 통(11)의 각 가이드 구멍(11a)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 피스(12)의 전 측에는, 코일 스프링(13)이 수용되어, 가이드 통(11)의 전단부에 장착된 스프링 받이(14)에 의해서, 각 코일 스프링(13)의 전단부가 걸려진다.
이것에 의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피스(12)의 전단부에 돌출하도록 하여 형성된 소돌기(12a)(도 2 참조)가, 볼펜 리필(9)의 잉크 수용관의 후단부에 감합됨으로써, 볼펜 리필(9)이 슬라이딩 피스(12)에 의해서 유지되고, 각 볼펜 리필(9)을 코일 스프링(13)에 의해서 후퇴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통(11)의 후반부에는, 원기둥 모양을 구성하는 소경의 축체(11)가 형성되어 있고, 축체(11)의 후단부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짧고 작은 홈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부(11d)를 따르도록 하여, 외경이 축방향을 따라서 요철 상태로 된 감합부(11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체(11)는, 후축(4)의 후단부 내에 장착된 원통 캠(15)의 축 구멍(15g)에 내접하여, 가이드 통(11)을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며, 또, 상기 홈부(11d)와 감합부(11e)는, 회전 조출 필기구(1)를 조립한 상태에서, 후축(4)으로부터 돌출하여 다이얼 손잡이(7)를 장착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14는, 축커플링(5)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축커플링(5)도 상기의 입구 부재(6)와 마찬가지로 ABS 등의 수지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후축(4)의 전단부에 장착된다.
즉, 상기의 원통 캠(15), 가이드 통(11)을 후축(4) 내에 삽입한 후에, 마지막에 축커플링(5)이 후축(4)의 전단부에 장착된다.
이 축커플링(5)은, 전체가 원통형을 구성하고, 그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는, 대경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대경부(5a)의 전반부(도 14의 좌측)가, 상기의 전축(3)의 후단부에 삽입되어, 전축(3)의 전단부에 삽입된 입구 부재(6)와의 사이에서, 축회전 방향의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축커플링(5)의 전단부에는, 원통체의 측면의 일부를 절결한 형태의 비교적 폭이 넓은 위치 맞춤 개구(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맞춤 개구(5b)에 대해서, 전축(3)의 전단부에 장착된 입구 부재(6)의 볼록 모양부(6d)가 들어가도록 하여, 서로 위치 맞춤함으로써, 입구 부재(6)와 축커플링(5)과의 사이의 축회전 방향의 위치 맞춤이 이루어진다.
축커플링(5)에서의 폭이 넓은 위치 맞춤 개구(5b)와, 상기의 대경부(5a)와의 사이에는 원통부(5c)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부(5c)의 일부에는 폭이 넓은 위치 맞춤 개구(5b)에 연속하여 폭이 좁은 슬릿(5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5c)에는, 얇은 모양의 금속 등의 소재에 의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감합 슬리브(22)(도 4, 도 7 참조)가 장착되고, 이 감합 슬리브(22)를 매개로 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축 유닛(U1)을 구성하는 전축(3)의 후단부가, 헐거운 감합이 된다.
이 때문에, 감합 슬리브(22)는 손상되기 쉽고, 교환이 필요하게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원통부(5c)에 형성된 슬릿(5d)은, 감합 슬리브(22)의 교환시에, 원통부(5c)의 외경을 축소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축커플링(5)에서의 후반부측은, 후축(4)으로의 감합부(5e)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외면이 정육각 기둥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감합부(5e)는 정육각 통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의 후축(4)의 전단 개구 내에 삽입 감합됨으로써, 후축(4)의 전단부에 축커플링(5)이 장착된다.
후축(4)으로의 축커플링(5)의 감합시에는, 축커플링(5)에 형성된 위치 맞춤 개구(5b)의 위치가, 후축(4)에 먼저 장착된 와이어 클립(8)의 반대측이 되도록 위치 맞춤한 다음에, 감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의 위치 맞춤을 하여, 후축(4)에 축커플링(5)을 장착함으로써, 축커플링(5)에 형성된 위치 맞춤 개구(5b)에 대해서, 전축(3)의 전단부에 장착된 입구 부재(6)의 볼록 모양부(6d)가 들어가, 이것에 의해, 입구 부재(6)와 축커플링(5)과의 사이의 축회전 방향의 위치 맞춤을 행할 수 있다.
이 위치 맞춤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축 유닛(U1)을 후축 유닛(U2)에 장착할 때에도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필기부로서 선택된 볼펜 리필(9)의 볼펜 팁(9a)은, 축통의 축중심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입구 부재(6)의 개구 구멍(6a)으로부터, 곧은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후축(4)에 축커플링(5)을 장착하면, 후축(4) 내에 수용된 가이드 통(11)은 후축(4)으로 밀려, 축체(11c)에 형성된 홈부(11d)와, 감합부(11e)가, 후축(4)의 후부로 돌출된다. 이 축체(11c)에 형성된 홈부(11d)와 감합부(11e)를 이용하여, 다이얼 손잡이(7)가, 후축(4)의 후단부에 장착된다.
도 15는, 다이얼 손잡이(7)의 단품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다이얼 손잡이(7)에는, 후단부측을 향해 외경을 작게 하는 손잡이부(7a)가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는, 둘레를 따른 3개소에 도색이 마련된 오목부, 즉 마커 오목부(7b)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마커 오목부(7b)에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조출 필기구(1)에 장착되는 볼펜 리필(9)의 각 잉크색(예를 들면, 적, 녹, 흑)에 대응한 도색이 실시된다.
한편, 다이얼 손잡이(7)의 축심에는, 내경을 계단 모양으로 좁게 한 장착 구멍(7c)이 형성되고, 이 장착 구멍(7c)의 가장 안쪽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내경이 요철 모양으로 된 감합부(7d)와,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7e)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다이얼 손잡이(7)는, 후축(4)의 후부로 돌출된 가이드 통(11)의 축체(11c)에, 그 장착 구멍(7c)을 밀어넣음으로써 장착된다.
이 때, 후축(4)의 후부로 돌출되어 있는 원통 캠(15)의 소경부(15e)에는, 바람직하게는 O링(18)(도 2, 도 7 참조)이 장착되고, 다이얼 손잡이(7)의 장착 구멍(7c) 내에는 볼(19)(도 2, 도 7 참조)이 삽입된다.
그리고, 가이드 통(11)의 축체(11c)에 형성된 홈부(11d)에, 다이얼 손잡이(7)의 장착 구멍(7c)에 마련된 리브(7e)를 일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다이얼 손잡이(7)를 축체(11c)를 향해 밀어넣는 조작을 행한다. 이 밀어넣음 조작에 의해, 다이얼 손잡이(7)의 요철 모양의 감합부(7d)가, 축체(11c)측의 요철 모양의 감합부(11e)에 감합하여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 손잡이(7)의 회동 조작에 따라서, 후축(4) 내의 가이드 통(11)에 회동 동작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축체(11c)의 홈부(11d)에, 다이얼 손잡이(7)의 장착 구멍(7c)에 마련된 리브(7e)가 일치하도록 장착되므로, 와이어 클립(8)측에 위치하는 마커 오목부(7d)에 대응한 잉크색의 선단 필기부(9a)가, 입구 부재(6)의 개구 구멍(6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연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회전 조출 필기구에 의하면, 다이얼 손잡이(7)의 회동 조작에 의해, 축통(2) 내의 가이드 통(11)이 회동하고, 가이드 통(11)의 회동에 따라서, 축통(2) 내에 고정된 원통 캠(15)의 캠 경사면(15b)을 따라서, 슬라이딩 피스(12)가 전진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 피스(12)에 연결된 필기체(9)는 전진하여, 선단 필기부(9a)가 입구 부재(6)의 개구 구멍(6a)으로부터 돌출되어, 필기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이얼 손잡이(7)의 추가적인 회동 조작에 의해, 필기체(9)는 스프링(13)의 가압력을 받아 후퇴하고, 새롭게 선택된 인접하는 필기체(9)가 상기와 마찬가지로 전진하여, 필기가 가능해지는 상태가 반복된다.
이 경우, 입구 부재(6)의 개구 구멍(6a)은, 축통의 축중심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개구 구멍(6a)으로부터 선단 필기부(9a)가 돌출되는 필기체(9)는, 축통 내에서 거의 직선 상태(곧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단 필기부(9a)가, 축통의 축심에 대해서 구부러진 자세로 돌출되는 종래의 회전 조출 필기구의 볼품이 나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필기체(9)의 선단 필기부(9a)를 돌출시키는 원통 캠(15)에는, 전방으로 첨형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캠 경사면(15b)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다이얼 손잡이(7)의 회전 조작이 좌우 어느 방향이라도, 선단 필기부(9a)의 출몰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축통 내에 3개 이상의 필기체(9)가 수용된 이런 종류의 회전 조출 필기구에서, 필요로 하는 필기체의 선택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등, 상기의 발명의 효과의 란에 기재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회전 조출 필기구가 제공된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의 축커플링(5)측과, 입구 부재(6)측과의 사이에서 구성되는 축회전 방향의 위치 맞춤 기구는, 축커플링(5)측에 위치 맞춤 개구(5b)를 형성하고, 입구 부재(6)측에 상기 위치 맞춤 개구(5b)에 삽입되는 볼록 모양부(6d)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치 맞춤 개구(5b)와 볼록 모양부(6d)를 교호로 바꿔 넣어, 입구 부재(6)측에 위치 맞춤 개구(5b)에 상당하는 기구를 마련하고, 축커플링(5)측에 볼록 모양부(6d)에 상당하는 기구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위치 맞춤 기구를 실현시킬 수 있다.
1 : 회전 조출 필기구
2 : 축통
3 : 전축 4 : 후축
5 : 축커플링 5a : 대경부
5b : 위치 맞춤 개구 6 : 입구 부재
6a : 개구 구멍 6d : 볼록 모양부
7 : 다이얼 손잡이 8 : 와이어 클립
9 : 필기체(볼펜 리필) 9a : 선단 필기부(볼펜 팁)
9b : 축경부 9c : 필기 볼
11 : 가이드 통 11a : 가이드 구멍
11c : 축체 12 : 슬라이딩 피스
12a : 소돌기 12b : 볼록부
13 : 코일 스프링 15 : 원통 캠
15a : 캠 평탄부 15b : 캠 경사면
15c : 캠 꼭대기부 16 : 브리치 축커플링
17 : 브리치 L1 : 축통의 축중심선
L2 : 입구 부재 개구 구멍의 축선 U1 : 전축 유닛
U2 : 후축 유닛
3 : 전축 4 : 후축
5 : 축커플링 5a : 대경부
5b : 위치 맞춤 개구 6 : 입구 부재
6a : 개구 구멍 6d : 볼록 모양부
7 : 다이얼 손잡이 8 : 와이어 클립
9 : 필기체(볼펜 리필) 9a : 선단 필기부(볼펜 팁)
9b : 축경부 9c : 필기 볼
11 : 가이드 통 11a : 가이드 구멍
11c : 축체 12 : 슬라이딩 피스
12a : 소돌기 12b : 볼록부
13 : 코일 스프링 15 : 원통 캠
15a : 캠 평탄부 15b : 캠 경사면
15c : 캠 꼭대기부 16 : 브리치 축커플링
17 : 브리치 L1 : 축통의 축중심선
L2 : 입구 부재 개구 구멍의 축선 U1 : 전축 유닛
U2 : 후축 유닛
Claims (6)
- 축통 내에 복수의 필기체가 수용되어, 각 필기체가 가이드 통에 의해서 축통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축통에 대한 상기 가이드 통의 상대 회전 조작을 받아, 축통 내에 고정된 원통 캠에 의해서, 하나의 상기 필기체의 선단 필기부가 상기 축통의 입구 부재에 마련한 개구 구멍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회전 조출(繰出) 필기구로서,
상기 입구 부재의 개구 구멍을, 상기 축통의 축중심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구 구멍으로부터 선단 필기부가 돌출된 상태의 상기 필기체가, 직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출 필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필기체의 후단부에는 상기 원통 캠에 슬라이드 접촉하여, 필기체를 축통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피스가 연결되고,
상기 축통 내에 고정된 원통 캠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 캠 평탄부와, 상기 캠 평탄부의 양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첨형(尖形)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캠 경사면과, 상기 한 쌍의 캠 경사면의 선단이 연결되는 소정폭의 캠 꼭대기부를 가지며,
상기 필기체에 연결된 슬라이딩 피스가, 상기 캠 꼭대기부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필기체의 선단 필기부가 상기 입구 부재의 개구 구멍으로부터 돌출되고, 이 상태에서, 다른 필기체에 연결된 슬라이딩 피스는, 상기 캠 평탄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출 필기구.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구 부재에서의 상기 축통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비정원(非正圓)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출 필기구.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축통은 전축 및 후축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입구 부재는, 상기 전축의 전단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전축에 대해 후축이 축커플링을 매개로 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축통이 구성되고,
상기 입구 부재와 축커플링 중 어느 일방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위치 맞춤 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입구 부재와 축커플링 중 어느 타방에는, 상기 위치 맞춤 개구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볼록 모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축 내에서, 상기 위치 맞춤 개구에 대해서 볼록 모양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입구 부재와 축커플링과의 사이에서, 서로 축회전 방향의 위치 맞춤 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출 필기구.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단 필기부로서 볼펜 팁(tip)이 이용되며, 상기 볼펜 팁의 최대 외경 부분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외경이 오목 곡면 모양으로 점감(漸減)하는 축경부(縮徑部)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출 필기구.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기체 중 적어도 하나가 전자기기 단말의 화면에 조작 가능한 입력 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출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119696A JP7553273B2 (ja) | 2020-07-13 | 2020-07-13 | 回転繰出筆記具 |
JPJP-P-2020-119696 | 2020-07-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8217A true KR20220008217A (ko) | 2022-01-20 |
Family
ID=7927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0330A KR20220008217A (ko) | 2020-07-13 | 2021-06-21 | 회전 조출 필기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553273B2 (ko) |
KR (1) | KR20220008217A (ko) |
CN (1) | CN113928042A (ko)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73530A (en) * | 1959-01-21 | 1961-07-26 | Miller Jack | Fountain type lettering pen |
JPS6026891U (ja) * | 1983-07-29 | 1985-02-23 | アキ貿易株式会社 | 筆記具 |
JPH0966695A (ja) * | 1995-08-30 | 1997-03-11 | Mitsubishi Pencil Co Ltd | 複式筆記具 |
JP3758796B2 (ja) * | 1997-02-25 | 2006-03-22 | 三菱鉛筆株式会社 | 複式筆記具 |
JP4476696B2 (ja) * | 2004-05-25 | 2010-06-09 | 株式会社壽 | 複合筆記具 |
JP5783697B2 (ja) | 2010-09-14 | 2015-09-24 | 三菱鉛筆株式会社 | 複式筆記具 |
JP6445754B2 (ja) | 2013-07-05 | 2018-12-26 | 三菱鉛筆株式会社 | ボールペンチップ及びこのボールペンチップを利用したボールペン |
-
2020
- 2020-07-13 JP JP2020119696A patent/JP7553273B2/ja active Active
-
2021
- 2021-06-21 KR KR1020210080330A patent/KR20220008217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7-08 CN CN202110772325.1A patent/CN113928042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553273B2 (ja) | 2024-09-18 |
CN113928042A (zh) | 2022-01-14 |
JP2022016772A (ja) | 2022-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24087031A (ja) | 筆記具 | |
KR20220008217A (ko) | 회전 조출 필기구 | |
JP7547567B2 (ja) | 筆記具 | |
JP5006110B2 (ja) | 筆記具の軸構造 | |
CN210132909U (zh) | 笔具 | |
US6309129B1 (en) | Writing utensils | |
JP2008307803A (ja) | 両頭回転繰出式多芯筆記具 | |
WO2015087852A1 (ja) | ボールペン | |
JP2018099794A (ja) | 回転出没式万年筆 | |
JP3946094B2 (ja) | 多芯筆記具 | |
JP7304774B2 (ja) | 筆記具 | |
JP2023070598A (ja) | 入力ペン | |
JP6259650B2 (ja) | ボールペン | |
JPS6222396Y2 (ko) | ||
JP7444510B1 (ja) | 複式筆記具 | |
JP3407472B2 (ja) | 筆記具 | |
JP7117147B2 (ja) | 筆記具 | |
KR970005842B1 (ko) | 필기구용 교체 유닛 | |
JPS6127199B2 (ko) | ||
JP2022055074A (ja) | ノック式筆記具 | |
JP2007283537A (ja) | 回転繰出式筆記具 | |
JP2017140716A (ja) | 複式筆記具 | |
KR200214559Y1 (ko) | 심회전식 필기구 | |
KR910004178Y1 (ko) | 다용도 필기구 | |
JP2019219974A (ja) | タッチペ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