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974A - 용기 입구로부터 병마개를 분리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2피스 원터치 캡의 새로운 구조 - Google Patents

용기 입구로부터 병마개를 분리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2피스 원터치 캡의 새로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974A
KR20220006974A KR1020200086087A KR20200086087A KR20220006974A KR 20220006974 A KR20220006974 A KR 20220006974A KR 1020200086087 A KR1020200086087 A KR 1020200086087A KR 20200086087 A KR20200086087 A KR 20200086087A KR 20220006974 A KR20220006974 A KR 20220006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utlet
blocking plate
bottle ca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riority to KR102020008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974A/ko
Priority to EP21837002.1A priority patent/EP4180351A1/en
Priority to PCT/KR2021/008829 priority patent/WO2022010321A1/ko
Priority to CN202180048559.XA priority patent/CN115776965A/zh
Priority to JP2023501210A priority patent/JP2023533034A/ja
Publication of KR2022000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with devices for removing frangible parts of the pouring element or of its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기존 병마개와 용기가 결합한 제품의 내용물(사이다, 쥬스, 콜라 등)을 음용하려면, 병마개를 개봉, 분리한 후에 용기 입구를 통하여 내용물을 음용한다. 분리한 병마개를 분리한 상태로 방치하여 폐기물로서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새로운 구조의 신 병마개를 발명한다. 신 병마개는 덮개와 몸체 부위가 힌지에 의하여 일체형인 병마개(2 피스 원터치 캡)이며, 그 사용 방법은 1)덮개를 열기 전에 누름판을 누른다. 2)덮개를 개봉한다. 3)유출구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마신다. 4)개봉한 덮개를 몸체 부위에 재결합한다. 즉, 마개와 용기를 분리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획기적 구조를 갖는 병마개의 새로운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 입구로부터 병마개를 분리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2피스 원터치 캡의 새로운 구조{New structure of 2-piece one-touch cap that can be consumed without removing the bottle cap from the container opening}
본 발명은, 용기 입구로부터 병마개를 분리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2피스 원터치 캡의 새로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크루 타입의 기존 병마개(71)가 용기 입구(52)에 결합한 완제품의 내용물(62)을 음용하려면 병마개(71)를 용기 입구(52)로부터 분리해야만 그 내용물(62)을 마실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용기 입구(52)에 장착한 병마개를 용기 입구(52)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용기(51)의 내부 공간(61)에 보관중인 내용물(62)을 음용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신병마개(72)를 개발하려고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개발한다. 분리 상태인 덮개(01)와 몸체 부위(21)가 힌지(73)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존재하는 2피스 원터치 캡인 신병마개(72)의 기존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려고 한다. 덮개(01)는 차단판1(02)과 측면 몸체1(03)로 구성한다. 차단판1(02)의 상부면1(09)은 누름판(04), 누름판 외주선(12), 얇은막(05), 얇은막 외주선(13), 잔여 차단판1(14)으로 구성한다. 차단판1(02)의 하부면1(08)은 분리판(07), 돌출형 분리턱(06), 누름판 외주선(12), 얇은막(05), 얇은막 외주선(13), 잔여 차단판1(14)로 구성한다. 몸체 부위(21)는 차단판2(23)와 측면 몸체2(22)로 구성한다. 차단판2(23)의 상부면2(26)는 유출구판(24), 유출구판 분리선(25), 잔여 차단판2(36)로 구성한다. 차단판2(23)의 하부면2(27)는 유출구판(24), 유출구판 분리선(25), 걸림턱(28), 잔여 차단판2(36) 및 링-가스켓(34)으로 구성한다. 측면 몸체2(22)의 내부면2(30)에는 나사선2(32)와 언더컷(33)을 갖는다. 용기 입구(52)의 외부면3(54)에는 나사선3(56)과 측면 몸체2(22)의 언더컷(33)과 결합하는 돌출턱(57)을 갖는다. 언더컷(33)과 돌출턱(57)이 결합하는 구조는 신병마개(72)가 용기 입구(5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시하는 여러 도면들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2피스 원터치 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용물을 새롭게 음용하는 구조를 발명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환경 보호
기존의 개봉 방법은 기존의 병마개(스크루 타입)를 용기 입구로부터 분리해야 만이 용기 내의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된 병마개는 폐기물로 남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개봉하는 구조 및 방법들을 새롭게 창안하여 분리시키지 않음으로써 분리된 폐기물들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2. 개봉 절차의 편의성 확보
개봉 절차가 간편해져서 소비자가 사용상의 편의성을 확보한다.
3. 기존 생산라인의 신규 투자 불필요
기존 완제품 생산 라인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4. 내용물 보호를 위한 차단성 강화
몸체 부위에 나사선과 링-가스켓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차단성을 강화한다.
도면 1은, 기존 병마개와 용기 입구가 결합한 단면도이다.
도면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와 용기 입구가 결합한 사용 전 측면 단면도( 대표도 )이다.
도면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와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에서 누름판을 누른 후의 단면도이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와 용기 입구가 결합한 측면 입체도이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의 덮개와 몸체 부위를 분리(사용 전)한 측면 입체도이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의 덮개 차단판1의 사용 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의 덮개 차단판1의 사용 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 8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의 덮개 차단판1의 상부면1의 확대도이다.
도면 9는,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의 덮개 차단판1의 하부면1의 확대도이다.
도면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의 몸체 부위의 차단판2에 대한 상부면 확대도이다.
도면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의 몸체 부위의 차단판2에 대한 하부면 확대도이다.
도면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돌출형 분리턱이 유출구판을 관통하기 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돌출형 분리턱이 유출구판 분리선을 관통한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돌출형 분리턱이 유출구판 분리선을 관통한 후의 몸체 부위의 차단판2에 있어서 하부면2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15는,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의 힌지 부위의 결합턱(凸) 및 결합홈(凹)의 구조에 관한 입체도이다.
도면 16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힌지 부위의 결합턱(凸) 및 결합홈(凹)을 설치한 측면 입체도이다.
도면 17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힌지 부위의 결합턱(凸) 및 결합홈(凹)이 결합한 측면 입체도이다.
도면 18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덮개의 차단판1 하부면1에 있어서 분리판 및 돌출형 분리턱의 다양한 구조에 대한 하부도이다.
도면 19는,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몸체 부위의 차단판2 하부면2에 유출구가 생성되는 다양한 구조에 대한 하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덮개 부문(01 ~ 20)
01 : 덮개 02 : 차단판1(덮개)
03 : 측면 몸체1(덮개) 04 : 누름판
05 : 얇은막 06 : 돌출형 분리턱
07 : 분리판 08 : 하부면1(덮게 차단판)
09 : 상부면1(덮개 차단판) 11 : 외부면1(측면 몸체)
12 : 누름판 외주선 13 : 얇은막 외주선
14 : 잔여 차단판1 15 : 개봉용 손잡이
16 : 누름 부위1(누름판+누름판 외주선+얇은막+ 얇은막 외주선)
17 : 누름 부위2(분리판+돌출형 분리턱+누름판 외주선+얇은막+얇은막 외주선)
18 : 유출구판 고리용 간격(유출구판 고리 생성용)
* 몸체 부문(21 ~ 50)
21 : 몸체 부위 22 : 측면 몸체2(몸체 부위)
23 : 차단판2(몸체 부위) 24 : 유출구판
25 : 유출구판 분리선 26 : 상부면2(차단판/몸체 부위)
27 : 하부면2(차단판/몸체 부위) 28 : 걸림턱(유출구판)
29 : 유출구 30 : 내부면2(측면 몸체/몸체 부위)
31 : 외부면2(측면 몸체/몸체 부위) 32 : 나사선2
33 : 언더컷 34 : 링-가스켓1
35 : 경사면(내용물 유출이 쉽도록) 36 : 잔여 차단판2
37 : 분리 흔적
38 : 유출구판 고리(분리된 유출구 판과 차단판을 연결하는 기능)
39 : 분리된 유출구판(차단판2로부터 분리)
* 용기 부문(51 ~ 70)
51 : 용기 52 : 용기 입구
53 : 상부면(용기 입구) 54 : 외부면3(용기 입구)
55 : 내부면3(용기 입구) 56 : 나사선3(용기 입구 외부면)
57 : 돌출 턱(몸체 부위의 언더컷과 결합) 58 : 허리 부위(용기)
59 : 몸체(용기) 60 : 바닥 부위(용기)
61 : 내부 공간(용기) 62 : 내용물
* 공통 부문(71 ~90)
71 : 기존 병마개(스크루 타입) 72 : 신병마개(덮개 + 몸체 부위)
73 : 힌지 74 : 분리선
75 : 결합턱(凸, 덮개, 힌지 부위 결합용)
76 : 결합홈(凹, 몸체 부위 또는 용기 허리 부위, 힌지 부위 결합용)
78 : 널(Knurl) 79 : 힌지 부위(힌지 + 결합턱 + 결합홈)
80 : 나사선1(기존 스크루 병마개) 81 : 링-가스켓(기존 스크루 캡)
82 : 스커트(기존 스크루 캡) 83 : 브리지(기존 스크루 캡)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여러 도면들을 기준으로 구체적인 내용들을 설명한다. 도면 1은, 기존 병마개와 용기 입구가 결합한 단면도이다. 스크루 타입의 기존 병마개(71)와 나사선1,3(80, 56)에 의하여 용기 입구(52)가 결합한 단면도이다. 기존 병마개(71)의 측면 몸체 내부면에 원주를 따라 설치한 나사선1(80)과 용기 입구(52) 외부면3(54)의 원주를 따라 설치한 나사선3(56)이 결합한다. 측면 몸체의 하단 부위에 브리지(83)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된 스커트(82)와, 용기 입구(52) 외부면3(54)의 나사선3(56) 아래 위치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한 돌출 부위와 결합한다. 차단판 하부면에 원주를 따라 설치한 링-가스켓(81)은 용기 입구(52) 내부면3(55)과 밀착 결합한다. 도면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와 용기 입구가 결합한 사용 전 측면 단면도( 대표도 )이다. 신병마개(72)의 덮개(01)와 몸체 부위(21)는 힌지(73)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한다. 덮개(01)는 차단판1(02)과 측면 몸체1(03)로 구성한다. 차단판1(02)은 누름판(04), 상하로 접힘이 가능한 기능을 갖는 누름판 외주선(12)을 따라 일체형으로 얇은막(05)을 설치한다. 얇은막(05)과 잔여 차단판1(14)은 얇은막 외주선(13)에 의하여 연결한다. 누름판(04)과 얇은막(05)의 위치는 원형인 차단판1(02)의 중심점을 기준하여 원주의 중심에서 개봉용 손잡이(15) 방향으로 치우친 편심형을 기본형으로 갖는다(도면 9, 10 참고). 편심형인 누름판(04)의 하부면에는 차단판2(23)의 유출구판 분리선(25)의 일부를 분리 또는 관통하여 기존의 유출구판(24)에서 유출구판 고리(38) 만을 남기는 기능을 갖는 상하로 일정한 높이와 말단 부위가 날카로운(유출구판 분리선[25]을 관통 가능한 구조임) 돌출형 분리턱(06)을 갖는다. 돌출형 분리턱(06)은 누름판(04)을 위로부터 누르면 유출구판 분리선(25)을 관통하여 유출구(29)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구조이다. 원형이 기본형인 돌출형 분리턱(06)의 원주 내부 공간에는 분리된 유출구판(24)을 걸림턱(28) 방향으로 젖힘 역할을 하는 일정한 수직 높이의 분리판(07)을 갖는다. 덮개(01)과 몸체 부위(21)가 결합한 상태일 때에는 돌출형 분리턱(06)과 유출구 판분리선(25)은 상하로 서로 맞닿아 있는 구조이다. 몸체 부위(21)는 차단판2(23)와 측면 몸체2(22)로 구성한다. 차단판2(23)의 상부면2(26)는 유출구판(24), 유출구판 분리선(25), 잔여 차단판2(36)로 구성한다. 차단판2(23)의 하부면2(27)에는 링-가스켓1(34)을 설치하여 용기 입구(52)의 내부면3(55)과 결합하여 차단 기능을 갖도록 한다. 측면 몸체2(22)의 내부면2(30)에는 나사선2(32)를 설치하고, 그 나사선2(32)의 아래 위치에는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하나 이상의 언더컷(33)을 설치한다. 이와 결합하는 용기 입구(52)의 외부면3(54)에도 나사선3(56)과 언더컷(33)과 결합하는 돌출턱(57)을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덮개(01)와 몸체 부위(21)를 연결하는 힌지(73)의 반대 위치에 개봉용 손잡이(15)를 측면 몸체1(03)의 외부면1(11)에 설치한다. 힌지(73)의 상부 위치인 덮개(01)의 측면 몸체1(03)의 외부면1(11)에는 다양한 구조의 결합턱(75, 凸)을 설치하며, 힌지(73)의 하부 위치인 몸체 부위(21)의 측면 몸체2(22)의 외부면2(31)에 설치한 결합홈(76, 凹)과 서로 결합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덮개(01)를 개봉하여 180°이상 젖히면, 힌지(73)를 중심에 두고 결합턱(75, 凸)과 결합홈(76, 凹)이 서로 결합하는 위치와 구조를 갖는다. 결합홈(76, 凹)과 결합턱(75, 凸)은 서로 바꾸어서 설치할 수 있으며, 용기(51)의 허리 부위(58)의 외부면에 결합턱(75, 凸) 또는 결합홈(76, 凹)을 설치할 수 있다(도면 16, 17을 참고한다). 도면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와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에서 누름판을 누른 후의 단면도이다. 덮개(01)의 누름판(04)을 누르면 돌출형 분리턱(06)이 유출구 판 분리선(25)을 관통하면서 유출구판 고리(38)만 남기고 유출구판(24)을 분리시켜서 상하가 관통하는 유출구(29)를 만들고 유출구판(24)을 걸림턱(28)에 고정시키는 그림이다. 도면 2의 기본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참고한다. 분리된 유출구판(24)을 유출구판 고리(38) 방향으로 열어젖히는 기능을 갖는 분리판(07)에 의하여 유출구(29)가 발생한다. 유출구판 고리(38)만 남은 유출구판(24)은 걸림턱(28)에 의하여 고정되며, 유출구판(24)의 기존 자리에는 유출구(29)가 생긴다. 돌출형 분리턱(06)은 유출구 분리선(25)의 일부를 관통하여 유출구판 고리(38)를 만드는 기능을 갖는다. 차단판2(23)의 하부면에 있어서, 돌출형 분리턱(06)의 하강에 따른 유출구판 분리선(25)은 분리되며 유출구판 고리(38)만 남게 된다. 유출구 판(24)이 젖혀지면서 분리된 유출구판 고리(38)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28)을 하나 이상 갖는다(도면13, 14, 19-1, 19-2 참조). 다시 설명하면 잔여 차단판2(36)의 하부면은 측면 몸체2(22)로부터 유출구(29) 방향으로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35)을 갖도록 한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와 용기 입구가 결합한 측면 입체도이다. 도면 2 및 도면 3의 설명을 참고한다. 덮개(01)의 측면 몸체1(03)의 외부면1(11) 좌측에 돌출형인 개봉용 손잡이(15)를 설치하며그 반대 위치인 덮개(01)와 몸체 부위(21)의 측면 몸체1, 2(03, 22)의 외부면1, 2(11, 31)를 힌지(73)가 일체형으로 연결한다. 몸체 부위(21)의 측면 몸체2(22)와 용기 입구(52)의 외부면3(54)이 결합한 입체도이다. 힌지(73)의 상부 위치이며 덮개(01)의 측면 몸체1(03)의 외부면1(11)에 결합턱(75, 凸)을 설치하고 힌지(73)의 하부 위치이며 몸체 부위(21)의 측면 몸체2(22)의 외부면2(31)에 결합홈(76, 凹)을 설치한다. 상기한 결합턱(75)과 결합홈(76)은 서로 결합이 가능한 구조이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의 덮개와 몸체 부위를 분리(사용전)한 측면 입체도이다. 개봉용 손잡이(15)를 이용하여 덮개(01)를 몸체부위(21)로부터 개봉한 사용 전(누름판을 누르기 전)입체도이다. 몸체 부위(21)의 차단판2(23)의 상부면2(26)에는 유출구판(24), 유출구판 분리선(25), 잔여 차단판2(36)를 설치한다. 유출구판(24), 유출구판 분리선(25)의 설치 위치는 개봉용 손잡이(15) 방향의 측면 몸체(22)의 위치에 근접하게 설치한다. 덮개(01)의 차단판1(02)의 하부면1(08)에는 돌출형 분리턱(06)과 분리판(07)을 설치한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의 덮개 차단판1의 사용 전 에 대한 단면도이다. 차단판1(02)에 설치한 누름판(04)을 위 방향에서 아래 방향으로 누르기 전의 그림이다. 누름판 외주선(12)은 얇은 막(05)과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연결한다. 얇은막 외주선(13)은 잔여 차단판1(14)과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차단판1(02)의 하부면1(08)에는 돌출형 분리턱(06)을 설치하고 그 내부 공간에는 분리판(07)을 설치한다. 본 그림은 편심형(기본형)으로서 누름판(04)의 원주의 중심 위치는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면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의 덮개 차단판1의 사용 후 에 대한 단면도이다. 차단판1(02)에 설치한 누름판(04)을 위 방향에서 아래 방향으로 누른 후의 그림이다. 누름판(04)을 위에서 누르면, 요철형인 누름판 외주선(12)과 얇은막 외주선(13)은 아래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하강하며 동시에 누름판(04)도 하강한다. 하강하는 누름판(04)의 하부면에 설치한 돌출형 분리턱(06)과 분리판(07)도 동시에 하강한 그림이다. 도면 8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의 덮개 차단판1의 상부면 확대도이다. 원형인 차단판1(02)에 있어서, 누름판(04)과 얇은막(05)은 개봉용 손잡이(15) 방향으로 치우친 편심형(기본형)을 도시한 상부면의 확대도이다. 차단판1(02)의 상부면1(09)은 누름 부위1(16), 잔여차단판1(14), 측면 몸체1(03), 외부면1(11), 널(78, Knurl)로 구성하며. 누름 부위1(16)이 개봉용 손잡이(15) 방향으로 치우친 편심형(기본형)을 도시한 상부면의 확대도이다. 도면 9는,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의 덮개 차단판1의 하부면1의 확대도이다. 원형인 차단판1(02)에 있어서, 누름 부위2(17)가 개봉용 손잡이(15) 방향으로 치우친 편심형(기본형)을 도시한 하부면1(08)의 확대도이다. 차단판1(02)의 하부면1(08)에 있어서, 누름판(04)의 하부면에는 분리판(07), 돌출형 분리턱(06) 및 유출구판 고리용 간격(18), 누름판 외주선(12), 얇은막(05), 얇은막 외주선(13), 잔여 차단판1(14), 측면 몸체1(03)로 구성한다. 도면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의 몸체 부위 의 차단판2에 대한 상부면2의 확대도이다. 덮개(01)의 차단판1(02)에 설치한 누름판(04)을 위 방향에서 아래 방향으로 누르기 전(사용 전)의 몸체 부위(21)의 차단판2(23)의 상부면2(26)의 편심형 구조의 확대 그림이다. 덮개(01)의 누름 부위1(16)과 누름 부위2(17)의 돌출형 분리턱(06)의 위치에 맞추어 유출구판(24), 유출구판 분리선(25)을 설치한 그림이다. 원형인 차단판2(23)에 있어서, 차단판2(23)의 상부면2(26)는 편심형 위치인 유출구판(24), 유출구판 분리선(25)과 잔여 차단판2(36), 측면 몸체2(22), 널(78,Knurl)로 구성한다. 도면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신 병마개의 몸체 부위의 차단판2에 대한 하부면 확대도이다. 덮개(01)의 차단판1(02)에 설치한 누름판(04)을 위방향에서 아래 방향으로 누르기 전(사용 전)의 몸체 부위(21)의 차단판2(23)의 하부면2(27)의 편심형 구조의 확대 그림이다. 원형인 차단판2(23)의 하부면2(27)의 구조는, 유출구판(24), 유출구판 분리선(25), 걸림턱(28), 링-가스켓(34)을 포함하고 경사면(35)인 잔여 차단판2(36), 나사선2(32), 언더컷(33), 측면 몸체2(22), 널(78, Knurl)로 구성한다. 경사면(35)은 측면 몸체2(22)와 연결되는 잔여 차단판2(36)의 외주선으로부터 새롭게 형성될 유출구(29)의 중심점까지 내림 방향으로 다양한 경사각을 갖는다[음용 시에 내용물(62)이 유출구(29) 방향으로 잘 흐를 수 있는 구조임]. 덮개(01) 누름판(04)의 하부면에 설치한 편심형(기본형)인 돌출형 분리턱(06)과 몸체 부위(21)의 차단판2(23)의 상부면2(26)에 설치한 유출구판 분리선(25)은 덮개(01)와 몸체부위(21)를 결합시켰을 때에 서로 일치하는 구조와 위치를 갖는다. 도면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돌출형 분리턱이 유출구판을 관통하기 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덮개(01)의 누름판(04)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기 전의 단면도이다. 돌출형 분리턱(06)이 유출구판 분리선(25)과 맞닿아 있다. 분리판(07))이 유출구판(24)과 상하로 마주 하고 있다. 도면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돌출형 분리턱이 유출구판 분리선을 관통한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덮개(01)의 누름판(04)을 아래 방향으로 누른 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돌출형 분리턱(06)이 하강하여 유출구판(24)을 몸체 부위(21)의 차단판2(23)로부터 분리시키고 유출구(29)에 박혀있는 상태의 그림이다. 도면 3을 참고한다. 위에서 누르는 힘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하강하는 구조(기능)를 갖는 누름판 외주선(12)과 얇은막 외주선(13)에 의하여 얇은막(05)이 아래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누름판(04)이 하강한다. 누름판(04)의 하부면1(08)에 원주를 따라 일정한 길이로 설치한 돌출형 분리턱(06)은 하강하면서 유출구 판 분리선(25)을 유출구판 고리(38)만 남기고 관통(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구조이다. 분리된 유출구판(24)은 분리판(07)에 의하여 한 쌍의 걸림턱(28)에 고정되며 유출구판(24)의 기존 위치에는 유출구(29)가 생긴다. 걸림턱(28)의 위치는, 유출구판 분리선(25) 밖의 잔여 차단판2(36)에 하나 이상 수직 돌출벽의 구조(원주형)로서, 유출구판 고리(38)의 양쪽 위치에 설치한다. 도면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돌출형 분리턱이 유출구판 분리선을 관통한 후의 몸체 부위의 차단판2에 있어서 하부면2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13의 설명을 참고한다. 돌출형 분리턱(06)이 하강하여 유출구판(24)을 몸체 부위(21)의 차단판2(23)로부터 분리시키고 유출구(29)를 생성한 상태(돌출형 분리턱이 분리된 상태)의 그림이다. 유출구판(24)의 기존 위치에는 유출구(29)가 새롭게 생긴다. 유출구판(24)은 유출구판 고리(38)에 의하여 차단판2(23)와 연결된다. 분리된 유출구판(24)은 잔여 차단판2(36)에 설치한 걸림턱(28)들에 의하여 젖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용기(51) 내의 내부 공간(61)에 보관 중인 내용물(62)은 유출구(2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도면 15는,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힌지 부위의 결합턱(凸) 및 결합홈(凹)을 설치한 입체도이다. 개봉용 손잡이(15)의 위치와 정 반대 위치에 힌지 부위(79=73+75+76)를 설치한다. 힌지(73)의 상부 위치인 측면 몸체1(03)의 외부면1(11)에는 돌출형으로 결합턱(75, 凸)을 설치하고, 하부 위치인 측면 몸체2(22)의 외부면2(31)에는 상기한 결합턱(75, 凸)과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결합홈(76, 凹)을 설치한다. 도면 16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힌지 부위의 결합턱(凸) 및 결합홈(凹)을 설치한 측면 입체도이다. 덮개(01)를 몸체 부위(21)로부터 개봉하여 결합턱(75, 凸)과 결합홈(76, 凹)이 결합한 상태의 측면 입체도이다. 측면몸체1(03)의 외부면1(11)의 일정 위치에는 개봉용 손잡이(15)를 설치한다. 그 정 반대 위치에는 덮개(01)와 몸체 부위(21)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힌지(73)를 설치한다. 힌지(73)의 상부에 위치하는 결합턱(75, 凸)과 힌지(73)의 하부 위치인 몸체 부위(21)의 측면 몸체2(22)의 외부면2(31)에는 상기한 결합턱(75, 凸)과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결합홈(75, 凹)을 설치한다. 결합홈(76, 凹)을 용기(51)의 허리 부위(58)에 설치할 수 있다(허리 부위에 결합홈을 설치한 도면은 생략함). 도면 17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힌지 부위의 결합턱(凸) 및 결합홈(凹)이 결합한 측면 입체도이다. 덮개(01)를 몸체 부위(21)로부터 개봉한다. 약 180°열어젖혀서 덮개(01)의 결합턱(75, 凸)과 몸체부위(21)의 결합홈(76, 凹)을 결합시킨 상태의 측면 입체도이다. 도면 18은,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덮개의 차단판1 하부면1에 있어서 분리판 및 돌출형 분리턱의 다양한 구조에 대한 하부도이다. 도면 18-1은, 하나의 분리판(07)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돌출형 분리턱(06) 및 유출구판 고리용 간격(18)에 대한 확대 하부도이다. 도면 18-2는, 두개의 분리판(07)과 돌출형 분리턱(06)이 분리판(07)을 두 개로 구분하고, 두개의 분리판(07)을 둘러싸고 있는 돌출형 분리턱(06) 및 유출구판 고리용 간격(18)에 대한 확대 하부도이다. 도면 19는, 본 발명에 의한 신병마개에 있어서 몸체 부위의 차단판2 하부면2에 유출구가 생성된 상태의 확대 하부도이다. 도면 19-1은, 도면 기준으로 우측으로 분리된 유출구판(24)이 젖혀져서 분리 흔적(37)의 밖의 위치로서 우측 상하에 각각 설치한 걸림턱(28)들과 유출구판 고리(38)에 의하여 분리된 유출구판(39)으로 고정되고, 기존 위치에는 유출구(29)가 새롭게 생성된다. 도면 19-2는, 1/2로 분리된(도면 18-2 참조) 각각의 유출구판(24)들이 분리 흔적(37)의 밖으로 상하 및 좌우에 각각 설치한 걸림턱(28)들과 유출구판 고리(38)에 의하여 상하로 분리된 유출구 판(39)이 고정되고 기존 위치에는 유출구(29)가 새롭게 생성된다. 상기한 도면을 근거로 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1)덮개(01)의 차단판1(02)에 설치한 누름판(04)을 엄지손가락으로 위에서 누른다. 2)개봉용 손잡이(15)를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덮개(01)를 개봉한다. 3)개봉한 덮개(01)를 180°이상 젖혀서 결합턱(75, 凸)과 결합홈(76, 凹)을 결합시킨다(사용자가 내용물을 편하게 마시기 위하여 유출구 위치에 입을 갖다 대었을 때에 코가 개봉한 덮개의 하부 부위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 4) 유출구(29)를 통하여 내용물(62)을 마신 후에, 덮개(01)를 원래의 위치인 몸체 부위(21)에 결합하여 별도로 보관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여러 구조들은 그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병마개 등에 적용(응용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다른 기계류 및 기구류에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용(응용 포함)할 수 있다.

Claims (6)

  1. 원형이 기본형인 덮개(차단판1 + 측면 몸체1)와 원형인 몸체부위(차단판2 + 측면 몸체2)가 힌지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2피스 원터치 캡에 있어서,
    누름 부위1(16, 누름판[04], 누름판 외주선[12], 얇은막[05], 얇은막 외주선[13])을 편심형 또는 중심형으로 설치하고 남은 공간을 잔여 차단판1(14)로 구성하는 덮개 차단판1(02)의 상부면1(09)과;
    누름 부위2([17], 분리판[07], 돌출형 분리턱[06], 누름판 외주선[12], 얇은막[05], 얇은막 외주선[13])를 편심형 또는 중심형으로 설치하고 남은 공간을 잔여 차단판1(14)로 구성하는 덮개 차단판1(02)의 하부면1(08)과;
    유출구판(24), 凹형인 유출구판 분리선(25)을 편심형 또는 중심형으로 설치하고 남은 공간을 잔여 차단판2(36)로 구성하는 몸체 부위 차단판2(23)의 상부면2(26)와;
    유출구 판(24), 凹형인 유출구 판 분리선(25)를 편심형 또는 중심형으로 함께 설치하고 남은 공간을 잔여 차단판2([36], 걸림턱 및 링-가스켓을 일체형으로 설치함)로 구성하는 몸체 부위(21)의 차단판2(36)의 하부면2(27)와;
    생성될 유출구(29)의 중심점 방향으로 낮은 경사면(35)을 갖는 잔여 차단판 2(36)와;
    원주를 따라 나사선2(32)를 설치하고 그 아래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 돌출형으로 다양한 높이의 언더컷(33)을 설치한 측면 몸체2(22)의 내부면2(30)와;
    원주를 따라 나사선3(56)를 설치하고 그 아래에 돌출형인 돌출턱(57)을 설치한 용기 입구(52)의 외부면3(54)과;
    설치한 위치가 힌지(73)의 상부 위치이며 측면몸체1(03)의 외부면1(11)에 설치하는 결합턱(75, 凸)과;
    설치한 위치가 힌지(73)의 하부 위치이며 측면몸체2(22)의 외부면2(31)에 설치하는 결합홈(76, 凹)과;
    결합한 신 병마개(72, 덮개[01]와 몸체 부위[21])가 용기 입구(52)와 결합한 후에, 신병마개(72)를 용기 입구(52)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용기(51)에 이미 저장한 내용물(62)을 음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에 관한 모든 것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누르는 힘에 의하여 누름 부위1(16, 누름판[04], 누름판 외주선[12], 얇은막[05], 얇은막 외주선[13])가 하강 시에,
    누름판(04)을 누르는 힘에 의하여 접혀지면서 누름판(04)이 하강하는 기능을 갖는 누름판 외주선(12)과 얇은막 외주선(13)과;
    유출구판 분리선(25)에서 유출구판 고리(38) 만을 남겨두고 유출구판(24)을 차단판2(23)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그 말단 부위가 송곳처럼 날카롭게 설치한 돌출형 분리턱(06)과;
    분리되어 젖혀지는 유출구판(24)이 걸림턱(28)을 지나서 고정되면서 상하가 관통하는 유출구(29)를 생성하는 것과;
    원주를 따라 돌출형, 일체형이며 서로 결합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는 나사선2(32) 및 나사선3(56)와 언더컷(33) 및 돌출턱(57)과;
    덮개(01)를 몸체 부위(21)로부터 개봉하여 180°이상 젖히면 힌지(73)를 중심에 두고 서로 결합하는 결합턱(75, 凸)과 결합홈(76, 凹)과;
    결합 홈(76)을 용기(51)의 허리 부위58의 외부면에 돌출형,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과;
    상기한 모든 구조들이 서로 작용하여 본 발명에서 기술한 기능을 이룰 수 있는 모든 것
  3. 청구항 1, 2에 있어서,
    결합턱(75)과 결합홈(76)의 위치를 서로 맞바꾸어 설치하는 것과;
    누름 부위1(16, 누름판[04], 누름판 외주선[12], 얇은막[05], 얇은막 외주선[13])의 중심점을 차단판1(02)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과 누름 부위1(16)의 직경의 크기를 다양하게 설치하는 것과;
    기능의 극대화(유출구를 통한 내용물의 유출 효과)를 위하여 다양한 구조(예: ∩,∪,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기타)를 유출구판(24)의 면에 갖는 것과;
    덮개(01)와 몸체 부위(21)가 결합 시에 서로 맞닿는 분리판(07), 돌출형 분리턱(06)과 유출구판(24), 유출구판 분리선(25)의 다양한 구조들과 다양한 위치 선정에 대한 모든 것
  4. 청구항 1, 2, 3에 있어서,
    누름 부위1, 2(16, 17) 및 유출구판(24)의 중심점의 위치가 덮개 측면몸체1(03)의 외부면1(11)에 설치한 개봉용 손잡이(15, 힌지와 정 반대 위치)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편심형 또는 중심형) 하는 것
  5. 원형인 덮개(01, 차단판1[02] + 측면 몸체1[03])와 원형인 몸체부위(21, 차단판2[23] + 측면 몸체2[22])가 분리된 상태이며 힌지(73)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2피스 원터치 캡에 있어서,
    설치한 위치가 힌지(73)의 상부이며 측면몸체1(03)의 외부면1(11)에 설치하는 결합턱(75, 凸)과;
    설치한 위치가 힌지(73)의 하부이며 측면몸체2(22)의 외부면2(31)에 설치하는 결합홈(76, 凹)과;
    설치한 위치가 힌지(73)의 하부인 용기(51)의 허리 부위(58)에 결합홈(76, 凹)을 설치하는 것과;
    상기한 결합턱(75, 凸)과 결합홈(76, 凹)을 서로 위치를 맞바꾸어 설치할 수 있는 것과, 서로 결합 시에 결합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들을 서로 갖는 것
  6. 원형인 덮개와 원형인 몸체 부위가 일체형이며 상기한 두 부위의 측면 몸체들의 일정한 위치에 힌지를 갖는 1 피스 원터치 캡(제품 실례 : 유통 중인 완제품인 껌 용기에 장착한 병마개[듀마캡])에 있어서,
    설치한 위치가 힌지의 상부이며 측면몸체의 외부면에 설치하는 결합턱(凸)과;
    설치한 위치가 힌지의 하부이며 측면몸체의 외부면에 설치하는 결합홈(凹)과;
    설치한 위치가 힌지의 하부인 용기의 허리 부위에 결합홈(凹)을 설치하는 것과;
    상기한 결합턱(凸)과 결합홈(凹)을 서로 위치를 맞바꾸어 설치할 수 있는 것과, 결합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들을 서로 갖는 것
KR1020200086087A 2020-07-09 2020-07-09 용기 입구로부터 병마개를 분리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2피스 원터치 캡의 새로운 구조 KR20220006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087A KR20220006974A (ko) 2020-07-09 2020-07-09 용기 입구로부터 병마개를 분리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2피스 원터치 캡의 새로운 구조
EP21837002.1A EP4180351A1 (en) 2020-07-09 2021-07-09 Container cap and container to which same is coupled
PCT/KR2021/008829 WO2022010321A1 (ko) 2020-07-09 2021-07-09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CN202180048559.XA CN115776965A (zh) 2020-07-09 2021-07-09 容器盖及与其结合的容器
JP2023501210A JP2023533034A (ja) 2020-07-09 2021-07-09 容器キャップ及びそれが結合された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087A KR20220006974A (ko) 2020-07-09 2020-07-09 용기 입구로부터 병마개를 분리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2피스 원터치 캡의 새로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974A true KR20220006974A (ko) 2022-01-18

Family

ID=7955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087A KR20220006974A (ko) 2020-07-09 2020-07-09 용기 입구로부터 병마개를 분리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2피스 원터치 캡의 새로운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180351A1 (ko)
JP (1) JP2023533034A (ko)
KR (1) KR20220006974A (ko)
CN (1) CN115776965A (ko)
WO (1) WO2022010321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3160B2 (ja) * 1988-06-15 1997-11-0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シール押し破り機能を有する容器蓋
JP5059641B2 (ja) * 2008-01-30 2012-10-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JP4276283B1 (ja) * 2008-02-04 2009-06-10 エム・エフ・ヴィ株式会社 キャップ
KR200445206Y1 (ko) * 2008-10-22 2009-07-07 박인경 액체 용기용 마개
JP5650389B2 (ja) * 2009-10-09 2015-01-07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開封具付き注出具
JP2013133123A (ja) 2011-12-26 2013-07-08 Shionogi & Co Ltd 固形物溶解用容器、および固形物溶解用キット
KR20160024539A (ko) 2014-08-26 2016-03-07 제이씨텍(주) 음료용기용 마개
KR102261135B1 (ko) 2016-05-09 2021-06-03 안진희 용기 입구 내부면과 결합하는 내캡의 걸림 및 차단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76965A (zh) 2023-03-10
EP4180351A1 (en) 2023-05-17
JP2023533034A (ja) 2023-08-01
WO2022010321A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217B1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JP6094078B2 (ja) 口栓
KR100634354B1 (ko)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US9834348B2 (en) Closure
KR102110373B1 (ko)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KR20220006974A (ko) 용기 입구로부터 병마개를 분리하지 않고 음용이 가능한 2피스 원터치 캡의 새로운 구조
JP5090021B2 (ja) キャップおよび閉止装置ならびに飲料入り閉止装置
JP3938306B2 (ja) 注出キャップ
JP3439182B2 (ja) 容 器
JP3579881B2 (ja) 閉鎖膜付チューブ容器
JP4458463B2 (ja) 栓部材および容器
US3229842A (en) Crown closure
CN216862345U (zh) 一种可顶穿瓶盖及包装容器瓶
JP4815981B2 (ja) 中栓及び中栓付きキャップ
JP7460364B2 (ja) キャップ
KR100547266B1 (ko) 위조방지용 첨가제 첨가용 이중마개
JP3905033B2 (ja) 液注出容器のキャップ
JP2003012017A (ja) 合成樹脂製ネジキャップ
KR20050103807A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JP2004067186A (ja) 打栓構造
KR20210141283A (ko) 기존 병마개에 알약을 저장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새로운 구조
KR20220016749A (ko) 외캡에 알약을 저장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새로운 구조
JP6449705B2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3124442A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24011417A (ja) 合成樹脂製の注出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