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374A -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374A
KR20220003374A KR1020200081095A KR20200081095A KR20220003374A KR 20220003374 A KR20220003374 A KR 20220003374A KR 1020200081095 A KR1020200081095 A KR 1020200081095A KR 20200081095 A KR20200081095 A KR 20200081095A KR 20220003374 A KR20220003374 A KR 20220003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opening time
pet
animal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910B1 (ko
Inventor
황교철
추동엽
Original Assignee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9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 상기 엘리베이터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를 촬영하는 내부카메라 및 상기 조작부를 구성하는 조작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내부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동물의 탑승을 감지하면, 각 층에 구비된 상기 조작부에 동물의 탑승을 알리는 펫 표시부를 점등하고, 각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정지 시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에 일정 시간을 추가하여 연장시키는 승강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PET RECOGNITION OPENING TIME EXTEN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승객이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애완동물 동승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엘리베이터의 열림 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의 수직 통로 안쪽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아파트 또는 대형 상가 등의 다층 구조물에 설치되어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각 층과 엘리베이터의 내부에는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방향 및 엘리베이터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렇게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대개 그들의 생활공간에서 반려동물과 밀착된 생활을 누리려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람들의 공동 생활공간을 이루는 아파트 등의 다층 구조물이 반려동물의 생활공간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반려동물과 밀착된 생활을 이루는 다층 구조물, 즉 건물에 설치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반려동물과 함께 탑승하거나,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부주의에 의해 반려동물만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할 경우, 건물의 다른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대기하는 사람은 엘리베이터가 도착을 하여야만 엘리베이터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탑승 대기자가, 반려동물을 무서워하는 어린이이거나, 반려동물에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 사람이거나, 반려동물 자체를 싫어하는 사람일 경우, 도착한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렸을 때 엘리베이터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해 있음을 확인하게 되면, 놀라거나 당황할 수 있음은 물론, 공포감, 혐오감 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되어 엘리베이터 사용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30644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애완동물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엘리베이터 열림 시간을 연장하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 동승 시 애완동물의 협착 등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방지하고, 애완동물이 엘리베이터 탑승 시 각 층의 승강 위치표시기에 동물 탑승 알림을 표시하여 동물에 대해 거부감 또는 공포감이 있는 다른 승객에게 미리 알림으로써,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도록 유도하여 동물과 동승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해당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 상기 엘리베이터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를 촬영하는 내부카메라 및 상기 조작부를 구성하는 조작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내부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동물의 탑승을 감지하면, 각 층에 구비된 상기 조작부에 동물의 탑승을 알리는 펫 표시부를 점등하고, 각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정지 시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에 일정 시간을 추가하여 연장시키는 승강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안면 인식 과정을 통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탑승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린 후 닫힐 때까지 잔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부는 상기 내부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동물의 탑승이 감지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으로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방법은 엘리베이터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를 구성하는 조작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를 촬영하는 내부카메라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동물의 탑승을 감지하는 탐지단계, 상기 탐지단계를 통하여 동물이 탐지되면, 각 층에 구비된 상기 조작부에 동물의 탑승을 알리는 펫 표시부를 점등하는 점등단계 및 각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정지 시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에 일정 시간을 추가하여 연장시키는 연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탐지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안면 인식 과정을 통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탑승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계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린 후 닫힐 때까지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계는 상기 내부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동물의 탑승이 감지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애완동물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엘리베이터 열림 시간을 연장하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 동승 시 애완동물의 협착 등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방지하고, 애완동물이 엘리베이터 탑승 시 각 층의 승강 위치표시기에 동물 탑승 알림을 표시하여 동물에 대해 거부감 또는 공포감이 있는 다른 승객에게 미리 알림으로써,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도록 유도하여 동물과 동승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을 통하여 탑승자를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내부조작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고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을 통하여 탑승자를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내부조작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은, 내부조작부(20), 외부조작부(70), 내부카메라(100), 펫 표시부(200), 승강제어부(300) 및 도어구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내부조작부(20)는 엘리베이터(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외부조작부(70)는 엘리베이터(10)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될 수 있다.
내부조작부(20)는 내부조작버튼(21)과 내부표시부(2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내부조작버튼(21)은 탑승자가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층수 선택, 엘리베이터 도어의 닫힘 또는 열림, 긴급상황 알림 등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표시부(23)는 내부조작버튼(21)에서 희망하는 층수를 선택하였을 때 선택한 층수, 엘리베이터(10)의 현재 위치 또는 엘리베이터(10)가 이동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내부표시부(23)는 엘리베이터(10) 도어가 열린 후 닫힐 때까지 잔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10) 내부에서 도어의 상측에 내부위치표시부(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내부위치표시부(40)에도 엘리베이터(10)의 현재 위치 또는 엘리베이터(10)가 이동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외부조작부(70)는 외부조작버튼(71)과 외부표시부(7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외부조작버튼(71)은 엘리베이터(10)를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자가 엘리베이터(1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고, 외부표시부(73)는 엘리베이터(10)의 현재 위치 또는 엘리베이터(10)가 이동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10) 외부에서 도어의 상측에 외부위치표시부(5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위치표시부(50)에도 엘리베이터(10)의 현재 위치 또는 엘리베이터(10)가 이동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내부카메라(100)는 엘리베이터(10) 내측의 상면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10)에 탑승한 탑승자 또는 동물을 촬영할 수 있다.
펫 표시부(200)는 엘리베이터(10)에 탑승한 탑승자를 포함하여 개, 고양이 등의 동물이 탑승하면, 동물의 탑승을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것으로, 내부위치표시부(40), 내부표시부(23), 각 층의 외부위치표시부(50) 및 외부표시부(73)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펫 표시부(200)는 동물 모양 형태의 이미지가 점등(ON) 상태 또는 소등(OFF) 상태로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 엘리베이터(10)에 동물이 탑승하지 않았으면, 소등 상태가 되어 내부위치표시부(40), 내부표시부(23), 각층의 외부위치표시부(50) 및 외부표시부(73)에 아무 표시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10)에 동물이 탑승한 상태이면, 점등 상태가 되어 내부위치표시부(40), 내부표시부(23), 각 층의 외부위치표시부(50) 및 외부표시부(73)에 동물 모양 표시가 나타날 수 있다.
도어구동부(500)는 승강제어부(300)의 제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10) 도어가 닫힘 동작하거나 또는 열림 동작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승강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10) 내부의 내부조작버튼(21) 및 엘리베이터(10)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외부조작버튼(71)을 누름에 따라 엘리베이터(10)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10)에 탑승자가 탑승하면, 내부카메라(100)를 통하여 탑승자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탑승자 영상에서 안면 인식 과정을 통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탑승을 감지할 수 있다.
승강제어부(300)는 탑승자 영상을 통하여 동물의 탑승을 감지하면, 펫 표시부(200)를 점등시켜, 내부위치표시부(40), 내부표시부(23), 각 층의 외부위치표시부(50) 및 외부표시부(73)에 동물 모양 표시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승강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10)에 동물이 탑승한 상태이면, 각 층에 엘리베이터(10) 정지 시 엘리베이터(10)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에 일정 시간을 추가하여 엘리베이터(10) 도어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도어구동부(5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승강제어부(300)는 동물이 엘리베이터에서 내린 후, 내부카메라(100)를 통하여 촬영한 엘리베이터(10) 탑승자 영상에서 동물의 탑승이 감지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10)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으로 복원할 수 있다.
한편, 각 층의 엘리베이터(10) 도어의 상측에는 외부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승강제어부(300)는 외부카메라를 통하여 엘리베이터(10)를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자를 촬영할 수 있다.
이어서, 대기자 영상에서 안면 인식 과정을 통하여 동물의 대기를 감지하면, 펫 표시부(200)를 점등시켜, 내부위치표시부(40), 내부표시부(23), 각 층의 외부위치표시부(50) 및 외부표시부(73)에 동물 모양 표시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제어부(300)는 내부카메라(100) 또는 외부카메라를 통하여 동물을 감지함과 동시에 내부위치표시부(40), 내부표시부(23), 각 층의 외부위치표시부(50) 및 외부표시부(73)에 펫 표시부(200)를 통하여 동물의 탑승을 표시하고, 다른 층의 탑승 대기자는 건물의 해당 층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기 위해 엘리베이터(10) 외부에서 외부조작버튼(71)을 누르기 전에 외부표시부(73)에 표시된 펫 표시부(200)를 보고 엘리베이터 내부에 동물이 탑승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외부표시부(73)에 표시된 펫 표시부(200)를 확인하지 못한 채, 엘리베이터(10)의 외부조작버튼(71)을 누른 상태에서도, 건물 각 층의 외부위치표시부(50)를 확인하여 엘리베이터(10) 내부에 동물 탑승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동물을 무서워하거나, 동물에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거나, 동물 자체를 싫어하는 탑승 대기자의 경우, 엘리베이터(10) 내부에 동물이 탑승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에 엘리베이터(10)의 탑승을 결정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10)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엘리베이터(10)를 탑승하는 탑승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동물의 동승을 자동 인식하고, 엘리베이터(10) 도어의 열림 시간을 별도 지정 시간만큼 연장함으로써 동물이 엘리베이터(10) 도어에 다치는 등의 사고를 피할 수 있게 되어 동물 탑승 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이 도 7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엘리베이터(10)를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자가 외부조작버튼(71)을 통하여 엘리베이터를 해당 층으로 호출한 후 엘리베이터(10)에 탑승할 수 있다(S110).
이어서, 내부카메라(100)를 통하여 엘리베이터(10)에 탑승한 탑승자 또는 동물을 촬영할 수 있고(S120), 촬영한 영상에서 안면 인식 과정을 통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탑승을 감지할 수 있다(S130).
이어서, 동물의 탑승이 감지되면(S140), 각 층에 엘리베이터(10) 정지 시 엘리베이터(10)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에 일정 시간을 추가하여 엘리베이터(10) 도어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S150).
이어서, 펫 표시부(200)를 점등시켜, 내부위치표시부(40), 내부표시부(23), 각 층의 외부위치표시부(50) 및 외부표시부(73)에 동물 모양 표시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S160).
승강제어부(300)는 동물이 엘리베이터에서 내린 후, 내부카메라(100)를 통하여 촬영한 엘리베이터(10) 탑승자 영상에서 동물의 탑승이 감지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10)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으로 복원할 수 있다(S17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동물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엘리베이터 열림 시간을 연장하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 동승 시 애완동물의 협착 등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방지하고, 애완동물이 엘리베이터 탑승 시 각 층의 승강 위치표시기에 동물 탑승 알림을 표시하여 동물에 대해 거부감 또는 공포감이 있는 다른 승객에게 미리 알림으로써,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도록 유도하여 동물과 동승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110 내지 단계 S170에 따른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을 프로그램화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기록 매체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내부조작부 70: 외부조작부
100: 내부카메라 200: 펫 표시부
300: 승강제어부 500: 도어구동부

Claims (9)

  1. 엘리베이터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
    상기 엘리베이터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를 촬영하는 내부카메라; 및
    상기 조작부를 구성하는 조작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내부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동물의 탑승을 감지하면,
    각 층에 구비된 상기 조작부에 동물의 탑승을 알리는 펫 표시부를 점등하고,
    각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정지 시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에 일정 시간을 추가하여 연장시키는 승강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안면 인식 과정을 통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탑승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린 후 닫힐 때까지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4. 청구항 1에서,
    상기 승강제어부는,
    상기 내부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동물의 탑승이 감지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으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5. 엘리베이터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를 구성하는 조작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를 촬영하는 내부카메라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동물의 탑승을 감지하는 탐지단계;
    상기 탐지단계를 통하여 동물이 탐지되면, 각 층에 구비된 상기 조작부에 동물의 탑승을 알리는 펫 표시부를 점등하는 점등단계; 및
    각 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정지 시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에 일정 시간을 추가하여 연장시키는 연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탐지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안면 인식 과정을 통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탑승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계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린 후 닫힐 때까지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방법.
  8. 청구항 5에서,
    상기 연장단계는,
    상기 내부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엘리베이터 탑승자 영상에서 동물의 탑승이 감지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된 평상시 열림 시간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방법.
  9. 청구항 5항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의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200081095A 2020-07-01 2020-07-01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 KR102357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95A KR102357910B1 (ko) 2020-07-01 2020-07-01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95A KR102357910B1 (ko) 2020-07-01 2020-07-01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74A true KR20220003374A (ko) 2022-01-10
KR102357910B1 KR102357910B1 (ko) 2022-02-03

Family

ID=7934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095A KR102357910B1 (ko) 2020-07-01 2020-07-01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5185A (zh) * 2022-07-11 2022-10-21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电梯关门控制方法、系统、装置及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669A (ja) * 1992-01-30 1993-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戸管制装置
JP2009071517A (ja) * 2007-09-12 2009-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
KR20100050808A (ko) * 2008-11-06 2010-05-14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30644A (ko) 2013-03-19 2014-11-11 (주)파슨텍 지능형 영상데이터 검색시스템
KR20180131324A (ko) * 2017-05-31 2018-12-10 이금기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669A (ja) * 1992-01-30 1993-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戸管制装置
JP2009071517A (ja) * 2007-09-12 2009-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
KR20100050808A (ko) * 2008-11-06 2010-05-14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30644A (ko) 2013-03-19 2014-11-11 (주)파슨텍 지능형 영상데이터 검색시스템
KR20180131324A (ko) * 2017-05-31 2018-12-10 이금기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5185A (zh) * 2022-07-11 2022-10-21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电梯关门控制方法、系统、装置及介质
CN115215185B (zh) * 2022-07-11 2023-12-19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电梯关门控制方法、系统、装置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910B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1834B1 (ja) エレベータ
JP6125842B2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JP2008195468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4171236B2 (ja)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KR102357910B1 (ko)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
JP6545851B1 (ja) 2方向エレベータおよび2方向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636436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94823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7084238A (ja) エレベータ
JP2006256831A (ja) エレベータの防犯システム
JP7478690B2 (ja) エレベーター
KR102096603B1 (ko)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JP6756109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101657360B1 (ko) Id카드 식별 기반의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8056402A (ja) エレベータ運転システム
JP2013237515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2197126A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JP6089909B2 (ja) 車椅子専用エレベータ
KR20100137761A (ko) 엘리베이터 호출신호 제어방법 및, 그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210121625A (ko) 반려동물 탑승 확인 및 안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JP7086482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20045240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5407820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4415637B2 (ja) エレベータ
WO2023053372A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制御方法、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