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324A -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324A
KR20180131324A KR1020170132183A KR20170132183A KR20180131324A KR 20180131324 A KR20180131324 A KR 20180131324A KR 1020170132183 A KR1020170132183 A KR 1020170132183A KR 20170132183 A KR20170132183 A KR 20170132183A KR 20180131324 A KR20180131324 A KR 20180131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oarding
companion animal
unit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603B1 (ko
Inventor
이금기
Original Assignee
이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기 filed Critical 이금기
Publication of KR2018013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반려동물이 탑승했을 때, 탑승자가 이를 알리기 위한 버튼을 누르거나, 누르지 못할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엘리베이터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를 이루는 조작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탑승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작부에 구비된 반려동물 탑승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각 층에 구비된 표시부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Check system for boarding situation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에 반려동물이 탑승했을 때, 탑승자가 이를 알리기 위한 버튼을 누르거나, 누르지 못할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의 수직통로 안쪽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아파트 또는 대형상가 등의 다층 구조물에 설치되어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탑승자가 그 외부에서 건물의 다른 층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기 위해 조작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를 통해 탑승자가 위치한 층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동된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리면 탑승자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후, 내부의 조작버튼을 눌러 이동하고자 하는 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각 층과 엘리베이터의 내부에는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방향 및 엘리베이터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한 탑승 대기자가 엘리베이터 외부에서 탑승을 대기할 때,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방향과 엘리베이터의 현재 위치만을 확인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내부의 상황은 엘리베이터가 도착을 하고 난 뒤,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려야만 확인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근자에 들어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렇게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대개 그들의 생활공간에서 반려동물과 밀착된 생활을 누리려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람들의 공동 생활공간을 이루는 아파트 등의 다층 구조물이 반려동물의 생활공간으로도 치부된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이렇게 반려동물과 밀착된 생활을 이루는 다층 구조물, 즉 건물에 설치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반려동물과 함께 탑승하거나,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부주의에 의해 반려동물만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할 경우, 건물의 다른 층에서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대기하는 사람은 엘리베이터가 도착을 하여야만 엘리베이터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엘리베이터의 탑승 대기자가, 반려동물을 무서워하는 어린이이거나, 반려동물에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 사람이거나, 반려동물 자체를 싫어하는 사람일 경우, 도착한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렸을 때, 엘리베이터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해 있음을 확인하게 되면, 놀라거나 당황할 수 있음은 물론, 공포감, 혐오감 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되어 엘리베이터 사용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자 탑승을 대기하는 사람이 엘리베이터 내부의 탑승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시스템, 특히 엘리베이터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해 탑승 대기자가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3894호(2005.11.0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탑승 대기자가 건물의 다른 층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기 위해 엘리베이터 외부에서 조작버튼을 누르기 전에 엘리베이터 내부의 탑승상황, 특히 엘리베이터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를 이루는 조작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탑승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작부에 구비된 반려동물 탑승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각 층에 구비된 표시부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이미 설정된 온도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의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하나 이상의 열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적외선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이미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체온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상황을 감시하는 CCTV 카메라로 이루어지고, 이미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CCTV 카메라의 렌즈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적외선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이미 설정된 텍스트 또는 이모티콘으로 발광 또는 점멸을 이루어 반려동물의 탑승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내부의 반려동물 탑승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건물 각 층의 표시부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하도록 제어부가 프로그래밍 됨으로써, 다른 층의 탑승 대기자가 건물의 해당 층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기 위해 엘리베이터 외부에서 조작버튼을 누르기 전에 엘리베이터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반려동물을 무서워하거나, 반려동물에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거나, 반려동물 자체를 싫어하는 탑승 대기자의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에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결정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가 상술한 반려동물 탑승 여부의 표시를 엘리베이터 내부의 표시부에서도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 됨으로써, 반려동물과 탑승을 동반한 탑승자가 반려동물 탑승버튼을 누르지 못했을 경우, 이를 인지하도록 해 반려동물 탑승버튼의 누름을 유도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감지부와 인식부의 구성을 통해, 반려동물과 탑승을 동반한 탑승자가 반려동물 탑승버튼을 누르지 못함은 물론 엘리베이터 내부의 표시부도 확인하지 못했을 경우, 또는 탑승자의 부주의에 의해 반려동물만이 탑승한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힐 경우에도, 제어부가 건물 각층의 표시부에 반려동물의 탑승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의 신뢰는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맹인안내견과 탑승을 동반한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도, 건물 다른 층의 탑승 대기자에게 공포감, 혐오감 또는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부담감이나 불안감을 억제하면서 편안하게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각층의 엘리베이터 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각층의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반려동물이 탑승했을 때, 탑승자가 이를 알리기 위한 버튼을 누르거나, 누르지 못할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0) 내부 및 엘리베이터(10)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20)를 이루는 조작버튼(21)을 누름에 따라 엘리베이터(10)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30)는 탑승자가 엘리베이터(10) 내부의 조작부(20)에 구비된 반려동물 탑승버튼(22)을 누름과 동시에 엘리베이터(10)의 내부 및 엘리베이터(10)가 설치된 건물 각 층에 구비된 표시부(40)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0), 이 엘리베이터(10)의 내부 및 엘리베이터(10)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20)와 표시부(40),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가동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30)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가동 시스템의 구성들과 그 형상, 구조, 조작방법, 표시방법 또는 제어방법 등이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술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 탑승버튼(22)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엘리베이터(10) 내부에서, 건물의 각 층, 엘리베이터 도어의 닫힘 또는 열림, 긴급상황 알림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조작버튼(21)들로 이루어진 조작부(20)에 조작버튼(21)들과 함께 탑승자가 눌러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엘리베이터(10)의 탑승자가 반려동물 탑승버튼(22)을 누름과 동시에, 도 3 및 도 4와 같이, 건물 각 층의 엘리베이터(10) 도어 상측에 구비된 표시부(40) 또는 건물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20)에 구비된 표시부(40)에 엘리베이터(10)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해 있음을 표시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여기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20)는,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10)를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 대기자가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조작버튼(21)들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조작부(20)에 구비되거나 엘리베이터(10) 도어의 상측에 구비된 표시부(40)는 엘리베이터(10)의 현재 위치 또는 엘리베이터(10)가 이동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구성된 엘리베이터 가동 시스템에 의해, 도 5와 같이, 탑승자가 엘리베이터(10) 내부의 조작부(20)에 구비된 반려동물 탑승버튼(22)을 누름과 동시에, 제어부(30)가 건물 각 층의 표시부(40)에 반려동물의 탑승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층의 탑승 대기자가 건물의 해당 층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기 위해 엘리베이터(10) 외부에서 조작버튼(21)을 누르기 전에 조작부(20)에 구비된 표시부(40)를 보고 엘리베이터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엘리베이터(10) 외부의 조작부(20)에 구비된 표시부(40)를 확인하지 못한 채, 엘리베이터(1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작하는 조작버튼(21)을 누른 상태에서도, 건물 각 층의 엘리베이터(10) 도어 상측에 구비된 표시부(40)를 확인하여 엘리베이터(10) 내부의 반려동물 탑승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반려동물을 무서워하거나, 반려동물에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거나, 반려동물 자체를 싫어하는 탑승 대기자의 경우, 엘리베이터(10)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에 엘리베이터(10)의 탑승을 결정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10)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표시부(40)는 이미 설정된 텍스트 또는 이모티콘으로 발광 또는 점멸을 이루어 반려동물의 탑승 여부를 표시함에 따라, 엘리베이터(10) 탑승 대기자로 하여금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는 후술할 엘리베이터(10)의 내부의 표시부(4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30)는, 엘리베이터(10)의 탑승자가 상술한 반려동물 탑승버튼(22)을 누름과 동시에, 건물 각 층의 표시부(40)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함과 더불어, 엘리베이터(10) 내부의 도어 상측에 구비된 표시부(40)와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작부(20)에 구비된 표시부(40)에도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려동물과 탑승을 동반한 탑승자가 반려동물 탑승버튼(22)을 누르지 못했을 경우, 엘리베이터(10) 내부의 표시부(40)를 보고 반려동물의 탑승이 표시되지 않았음을 인지하도록 해, 반려동물 탑승버튼(22)의 누름을 유도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가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반려동물 탑승버튼(22)은 엘리베이터(10) 내부에 통상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장애인용 조작부에도 구비하여 장애인의 엘리베이터(10) 사용에 따른 편의성도 확보하도록 할 수 있고, 예컨대 엘리베이터(10) 내부에 제어부(30)와 연결을 이루는 통상의 마이크 또는 소리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가 "반려동물도 탑승했어요"와 같은 소리를 내었을 때에도 엘리베이터(10) 내부와 건물 각 층의 표시부(40)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이 엘리베이터(10)를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은, 엘리베이터(10), 조작부(20), 제어부(30) 및 표시부(40)를 구비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0)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감지부(50) 및 이미 설정된 온도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의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10) 내부에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를 제어부(30)로 전달하는 인식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인식부(60)로부터 엘리베이터(10) 내부에 반려동물이 탑승하였음이 인식된 반려동물 탑승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3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엘리베이터(10) 내부와 건물 각 층의 표시부(40)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반려동물과 탑승을 동반한 탑승자가 반려동물 탑승버튼(22)을 누르지 못함은 물론 엘리베이터(10) 내부의 표시부(40)도 확인하지 못했을 경우, 또는 탑승자의 부주의에 의해 반려동물만이 탑승한 상황에서 엘리베이터(10) 도어가 닫힐 경우에도, 제어부(30)가 건물 각층의 표시부(40)에 반려동물의 탑승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가동의 신뢰는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맹인안내견과 탑승을 동반한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도, 건물 다른 층의 탑승 대기자에게 공포감, 혐오감 또는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부담감이나 불안감을 억제하면서 편안하게 엘리베이터(1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감지부(50)는 엘리베이터(10) 내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열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적외선 카메라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10)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대표적인 반려동물인 강아지나 고양이의 경우, 그 체온이 사람보다는 1 내지 2℃ 높은데, 감지부(50)로부터 감지된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의 체온 신호를 전달받은 인식부(60)는 이미 설정된 온도범위에 따라, 사람만이 탑승하였는지, 사람과 반려동물이 함께 탑승하였는지 또는 반려동물만이 탑승하였는지를 가늠함으로써,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를 제어부(30)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표시부(40)는, 제어부(30)로부터 엘리베이터(10) 내부의 탑승상황을 표시하고자 할 때,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이미 설정된 텍스트 또는 이모티콘으로 발광 또는 점멸을 이루어 반려동물의 탑승 여부를 표시할 수 있고, 이미 설정된 색상으로, 예를 들어 사람은 초록색, 반려동물은 빨간색으로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50)는 이미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체온의 감지를 수행하여,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 체온 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이로 인한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 인식의 정확성 또한 확보함으로써,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가동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엘리베이터(10) 도어가 열였을 때, 도어가 열린지 1초 후, 도어가 열린지 2초 후, 도어가 닫히기 2초 전, 도어가 닫히기 1초 전과 같이, 단계별로 엘리베이터(10) 내부의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여, 그 온도신호를 인식부(60)로 전달할 수 있고, 온도신호를 전달받은 인식부(60)는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의 인식정보를 제어부(30)로 전달하여 엘리베이터(10) 도어가 닫힘과 동시에 엘리베이터(10) 내부 및 건물 각 층의 표시부(40)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지부(50)는, 도 7과 같이,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10) 내부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10) 내부의 상황을 감시하는 CCTV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감지부(50)가 통상의 CCTV 카메라로 이루어질 경우, 감지부(50)는 이미 설정된 시간 동안 CCTV 카메라의 렌즈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적외선 필터(51)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적회선 필터(51)를 통해, 감지부(50)는 엘리베이터(10)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한 다음, 그 온도신호를 인식부(6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적외선 필터(51)가 CCTV 카메라의 렌즈 전방에 인접한 배치를 이루는 시간은, 예컨대 엘리베이터(10)의 도어가 열린 순간부터 닫히는 순간까지 일 수 있고, 이 시간 동안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한 후에는, CCTV 카메라의 전방으로부터 이탈되는 설치를 이루도록 하여, 엘리베이터(10)의 도어가 닫히게 되면, 그 내부의 안전상황을 감시하는 CCTV 카메라 본연의 기능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10) 내부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CCTV 카메라에 적외선 필터(51)만을 구비한 구성을 통해, 엘리베이터(10) 탑승상황을 확인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 엘리베이터 20 : 조작부
21 : 조작버튼 22 : 반려동물 탑승버튼
30 : 제어부 40 : 표시부
50 : 감지부 51 : 적외선 필터
60 : 인식부

Claims (6)

  1. 엘리베이터(10)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10)가 설치된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부(20)를 이루는 조작버튼(21)을 누름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10)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탑승자가 상기 엘리베이터(10) 내부의 조작부(20)에 구비된 반려동물 탑승버튼(22)을 누름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엘리베이터(10)의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10)가 설치된 건물 각 층에 구비된 표시부(40)에 반려동물의 탑승을 표시하도록 프로그래밍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10)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감지부(50); 및
    이미 설정된 온도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의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10) 내부에 탑승자 또는 반려동물을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30)로 전달하는 인식부(6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50)는 하나 이상의 열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적외선 카메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50)는 이미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체온의 감지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50)는, 상기 엘리베이터(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10) 내부의 상황을 감시하는 CCTV 카메라로 이루어지고, 이미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CCTV 카메라의 렌즈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적외선 필터(5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40)는 이미 설정된 텍스트 또는 이모티콘으로 발광 또는 점멸을 이루어 반려동물의 탑승 여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KR1020170132183A 2017-05-31 2017-10-12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KR102096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67974 2017-05-31
KR1020170067974 2017-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324A true KR20180131324A (ko) 2018-12-10
KR102096603B1 KR102096603B1 (ko) 2020-04-02

Family

ID=6467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183A KR102096603B1 (ko) 2017-05-31 2017-10-12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374A (ko) * 2020-07-01 2022-01-10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673A (ko) * 1999-06-02 2001-01-05 이방현 인체 감지 장치
JP2005001801A (ja) * 2003-06-11 2005-01-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5239325A (ja) * 2004-02-25 2005-09-0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KR20050103894A (ko) 2005-10-11 2005-11-01 황철현 무탑승방지용 승강기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673A (ko) * 1999-06-02 2001-01-05 이방현 인체 감지 장치
JP2005001801A (ja) * 2003-06-11 2005-01-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5239325A (ja) * 2004-02-25 2005-09-0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KR20050103894A (ko) 2005-10-11 2005-11-01 황철현 무탑승방지용 승강기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374A (ko) * 2020-07-01 2022-01-10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603B1 (ko)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2505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8958910B2 (en) Elevator system that autonomous mobile robot takes together with person
JP5951834B1 (ja) エレベータ
JP5709331B2 (ja) エレベータ用案内システム
JP201510785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乗場呼びシステム
CN102753465B (zh) 电梯的引导装置
JP2011236036A (ja) エレベータかご内異常通報システム
EP3366629A1 (en) Method for detecting trapped passengers in elevator car
JP201503798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113682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80131324A (ko) 엘리베이터의 탑승상황 확인시스템
JP6567196B1 (ja) エレベーターと自立走行車との連携運行システム
JP6567195B1 (ja) エレベーターと自立走行車との連携運行システム
JP6306110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14136624A (ja) エレベーター運転制御システム
KR102357910B1 (ko) 애완동물 인식 열림 시간 연장 시스템 및 방법
JP6729619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6256831A (ja) エレベータの防犯システム
KR100959337B1 (ko)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491464B1 (ko) 안심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210121625A (ko) 반려동물 탑승 확인 및 안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KR20210129332A (ko) 엘리베이터 음성정보 안내 시스템
JP4884680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6705683B2 (ja) 建物、及び、建物における避難誘導方法
TW201412629A (zh) 智慧型電梯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