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795U -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795U
KR20220002795U KR2020210001583U KR20210001583U KR20220002795U KR 20220002795 U KR20220002795 U KR 20220002795U KR 2020210001583 U KR2020210001583 U KR 2020210001583U KR 20210001583 U KR20210001583 U KR 20210001583U KR 20220002795 U KR20220002795 U KR 202200027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tting area
unit
insulation sheet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740Y1 (ko
Inventor
박기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양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양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양스토리
Priority to KR2020210001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740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7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5Sl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553/02Shock absorbing
    • B32B2553/026Bubble fil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는, 제1면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에어캡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제1필름부, 상기 제1필름부의 상기 제1면의 반대 면인 제2면에 접착되어 상기 에어캡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제2필름부 및 상기 제1필름부의 상기 제1면 측에서 상기 에어캡의 표면에 접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전체 길이 중 커팅이 이루어질 커팅영역의 전후와, 양측 단부가 열 융착되어, 상기 커팅영역에 대한 커팅이 이루어져 단위 길이로 나뉘어진 상태에서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Air Insulation Sheet Having Fusion Part Adjoining Cutting Area and Its Manufacturing Apparatus}
본 고안은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 단부와 더불어 커팅영역의 전후가 열 융착되어 단위 길이로 나뉘어진 상태에서도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캡(Air Cap)이라 불리는 작은 공기 주머니가 엠보싱 처리되어 있는 포장용 단열시트는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포장용 단열시트는 물건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건을 포장하는 용도로 활용되거나, 에어캡 내부에 충진된 공기로 인한 단열 효과 얻는 용도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토목·건설 분야에서도, 콘트리트 양생을 원활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에어캡이 형성된 단열시트를 콘크리트가 타설된 표면에 덮어 단열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이때 에어캡이 형성된 단열시트는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되므로, 작업자는 콘크리트 타설 면 위에 단열시트의 롤을 풀어서 배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롤이 중간에 끊기거나, 현장 여건에 따라 단열시트를 소정 길이로 잘라 사용해야 할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다만, 단열시트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필름이 합지된 형태를 가지므로,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잘린 부위가 개방되어 수분과 공기가 쉽게 침투하게 되며, 이는 단열시트의 단열 효과를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뒷처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5276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고안으로서, 소정 단위 길이로 커팅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에어 단열시트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는, 제1면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에어캡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제1필름부, 상기 제1필름부의 상기 제1면의 반대 면인 제2면에 접착되어 상기 에어캡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제2필름부 및 상기 제1필름부의 상기 제1면 측에서 상기 에어캡의 표면에 접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전체 길이 중 커팅이 이루어질 커팅영역의 전후와, 양측 단부가 열 융착되어, 상기 커팅영역에 대한 커팅이 이루어져 단위 길이로 나뉘어진 상태에서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에어 단열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는, 제1면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에어캡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제1필름부의 상기 제1면과 반대 면인 제2면에 제2필름부를 접착하는 제1합지유닛, 상기 제1필름부의 제1면 측에서 상기 에어캡의 표면에 커버부를 접착하는 제2합지유닛 및 상기 제1합지유닛 및 상기 제2합지유닛에 의해 상기 제1필름부, 상기 제2필름부 및 상기 커버부가 서로 접착된 에어 단열시트의 양측 단부를 열 융착하는 단부 실링유닛 및 상기 에어 단열시트의 전체 길이 중 커팅이 이루어질 커팅영역의 전후를 열 융착하는 커팅영역 실링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팅영역 실링유닛은, 상기 에어 단열시트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 단열시트와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는 제1이동블록과, 상기 제1이동블록으로부터 상기 커버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융착모듈을 포함하는 제1융착 어셈블리 및 상기 에어 단열시트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2필름부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 단열시트와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는 제2이동블록과, 상기 제2이동블록으로부터 상기 제2필름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융착모듈과 함께 열 융착을 수행하는 제2융착모듈을 포함하는 제2융착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융착모듈 및 상기 제2융착모듈 각각은 한 쌍이 서로 에어 단열시트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에어 단열시트의 상기 커팅영역 전후에 열 융착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융착 어셈블리는, 상기 한 쌍의 제1융착모듈 사이에서 상기 커버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융착 어셈블리 및 상기 제2융착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커팅영역 전후에 열 융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커팅영역에 위치된 에어캡을 파단시키는 에어캡 파단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융착모듈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필름부 측을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융착모듈은 길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 측에서 상기 제2융착모듈 측으로 가압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는, 전체 길이 중 커팅이 이루어질 커팅영역의 전후와 양측 단부가 열 융착됨에 따라 커팅영역에 대한 커팅이 이루어져 단위 길이로 나뉘어진 상태에서도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에어 단열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는, 에어 단열시트의 전체 길이 중 커팅이 이루어질 커팅영역의 전후를 열 융착하는 커팅영역 실링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가 형성된 에어 단열시트의 제조를 전면 자동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에어 단열시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원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커팅영역 실링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원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커팅영역 실링유닛을 통해 에어 단열시트의 커팅영역 전후를 열 융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원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의해 커팅영역 전후에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가 형성된 에어 단열시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원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커팅영역 실링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원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커팅영역 실링유닛의 제1융착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에어 단열시트(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단열시트(10)는 제1면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에어캡(21)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제1필름부(20)와, 제1필름부(20)의 제1면 반대 면인 제2면에 접착되어 에어캡(21)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제2필름부(30), 그리고 제1필름부(20)의 제1면 측에서 에어캡(21)의 표면에 접착되는 커버부(40)가 서로 합지되어 접착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1필름부(20), 제2필름부(30) 및 커버부(40)는 폴리에틸렌(PE) 재질일 수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에어 단열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본원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는, 제1필름부(20) 및 제2필름부(30)를 서로 접착하는 제1합지유닛과, 제1필름부(20)의 에어캡(21) 표면에 커버부(40)를 접착하는 제2합지유닛과, 제1합지유닛 및 상기 제2합지유닛에 의해 제1필름부(20), 제2필름부(30) 및 커버부(40)가 서로 접착된 에어 단열시트(10)의 양측 단부를 열 융착하는 단부 실링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제1합지유닛, 제2합지유닛 및 단부 실링유닛을 비롯하여 제1필름부(20), 제2필름부(30) 및 커버부(40)를 서로 접착하는 공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들에 대한 도시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원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와 더불어 에어 단열시트(10)의 전체 길이 중 커팅이 이루어질 커팅영역(C, 도 4 참조)의 전후를 열 융착하는 커팅영역 실링유닛(100, 도 2 참조)을 더 포함한다.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 단열시트(10)를 소정 길이로 잘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필름부(20), 제2필름부(30) 및 커버부(40)의 잘린 부위가 개방되어 내부 공간으로 수분과 공기가 쉽게 침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원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는 커팅영역 실링유닛(100)을 포함하여, 에어 단열시트(10)의 전체 길이 중 커팅이 이루어질 커팅영역(C, 도 4 참조)의 전후를 열 융착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팅영역 실링유닛(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원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커팅영역 실링유닛(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커팅영역 실링유닛(100)은 제1융착 어셈블리(110) 및 제2융착 어셈블리(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융착 어셈블리(110)는 에어 단열시트(10)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에어 단열시트(10)의 커버부(40) 외측 방향에 구비되며, 제2융착 어셈블리(150)는 에어 단열시트(10)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에어 단열시트(10)의 제2필름부(30) 외측 방향, 즉 제1융착 어셈블리(110)의 반대 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1융착 어셈블리(110)는 에어 단열시트(10)와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는 제1이동블록(120)과, 제1이동블록(120)으로부터 에어 단열시트(10)의 커버부(40) 방향으로 돌출된 제1융착모듈(130)을 포함한다.
또한 제2융착 어셈블리(150)는 에어 단열시트(10)와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는 제2이동블록(160)과, 제2이동블록(160)으로부터 에어 단열시트(10)의 제2필름부(30)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융착모듈(130)과 함께 열 융착을 수행하는 제2융착모듈(170)을 포함한다.
즉 제1이동블록(120) 및 제2이동블록(160)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를 위한 별도의 선형 액추에이터 또는 구동모터와 기어박스 등과 같은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융착모듈(130) 및 제2융착모듈(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고온을 발생시키는 발열부가 구비되어 에어 단열시트(10)에 대한 열 융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원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커팅영역 실링유닛(100)을 통해 에어 단열시트(10)의 커팅영역(C) 전후를 열 융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원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의해 커팅영역(C) 전후에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50)가 형성된 에어 단열시트(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융착모듈(130) 및 제2융착모듈(170)은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융착모듈(130) 및 한 쌍의 제2융착모듈(170) 각각은 서로 에어 단열시트(10)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이동블록(120) 및 제2이동블록(16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서로 대응되는 제1융착모듈(130)과 제2융착모듈(170)이 에어 단열시트(10)를 사이에 두고 접촉됨에 따라 에어 단열시트(10)의 커팅영역(C) 전후에 열 융착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예서 제2융착모듈(170)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필름부 측을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1융착모듈(130)은 길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부(40) 측에서 제2융착모듈(170) 측으로 가압을 수행하는 형태를 가진다.
다만, 이와 같은 제1융착모듈(130) 및 제2융착모듈(170)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제1융착모듈(130) 및 제2융착모듈(170)은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융착모듈(130)과 제2융착모듈(170)에 의해 열 융착이 수행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단열시트(10)의 커팅영역(C)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50)가 형성된다.
즉 커팅영역 실링유닛(100)에 의해 에어 단열시트(10)의 전체 길이 중 커팅이 이루어질 커팅영역(C)의 전후에는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50)가 형성되며, 이후 커팅영역(C)을 커팅하더라도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50)에 의해 단위 길이로 커팅된 에어 단열시트(10)는 밀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고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원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커팅영역 실링유닛(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원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팅영역 실링유닛(100)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나, 제1융착 어셈블리(110)에 에어캡 파단모듈(140)이 더 구비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에어캡 파단모듈(140)은 한 쌍의 제1융착모듈(130) 사이에서 제1이동블록(120)으로부터 에어 단열시트(10)의 커버부(4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1융착 어셈블리(130) 및 제2융착 어셈블리(170)에 의해 커팅영역(C) 전후에 열 융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커팅영역(C)에 위치된 에어캡(21)을 파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커팅영역(C) 전후에 위치된 한 쌍의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5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50) 사이, 즉 커팅영역(C)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에어캡(21)에 의해 열 융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에어캡 파단모듈(140)은 한 쌍의 제1융착모듈(130) 사이에서 커팅영역(C)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에어캡 파단모듈(140)의 개수는 커팅영역(C)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에어캡(21)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에어캡 파단모듈(140)은 끝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어 에어캡(140)을 파단시키는 과정과 함께 커팅영역(C)의 길이 방향에 걸친 절취선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이후 작업자는 커팅영역(C)을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커팅영역 실링유닛(100)의 제1융착 어셈블리(1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는 커팅영역 실링유닛(100)의 제1융착 어셈블리(110)에 구비된 제1융착모듈(230)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이동블록(120)에 구비된 한 쌍의 제1융착모듈(230)은, 에어 단열시트(10)의 진행 방향 반대 측으로 돌출된 제1곡선돌출부(231)와 에어 단열시트(10)의 진행 방향 측으로 돌출된 제2곡선돌출부(232)가 연속되어, 전체 길이에 걸쳐 물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융착모듈(230)은, 에어 단열시트(10)의 제1필름부(20)에 복수 개의 열을 이루면서 배열된 에어캡(21) 중 서로 인접한 열에 배치된 에어캡(21)이 서로 엇갈린 위치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융착모듈(230)은 전체적으로 물결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에어 단열시트(10)의 커팅영역(C) 전후를 열 융착하는 과정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에어캡(21)을 손상시키지 않고 에어캡(21)이 위치되지 않는 영역, 즉 에어캡(21)의 사이사이를 따라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에어 단열시트
20: 제1필름부
21: 에어캡
30: 제2필름부
40: 커버부
50: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
C: 커팅영역
100: 커팅영역 실링유닛
110: 제1융착 어셈블리
120: 제1이동블록
130, 230: 제1융착모듈
140: 에어캡 파단모듈
150: 제2융착 어셈블리
160: 제2이동블록
170: 제2융착모듈

Claims (6)

  1. 제1면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에어캡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제1필름부;
    상기 제1필름부의 상기 제1면의 반대 면인 제2면에 접착되어 상기 에어캡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제2필름부; 및
    상기 제1필름부의 상기 제1면 측에서 상기 에어캡의 표면에 접착되는 커버부;
    를 포함하며,
    전체 길이 중 커팅이 이루어질 커팅영역의 전후와, 양측 단부가 열 융착되어, 상기 커팅영역에 대한 커팅이 이루어져 단위 길이로 나뉘어진 상태에서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에어 단열시트.
  2. 제1면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에어캡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제1필름부의 상기 제1면과 반대 면인 제2면에 제2필름부를 접착하는 제1합지유닛;
    상기 제1필름부의 제1면 측에서 상기 에어캡의 표면에 커버부를 접착하는 제2합지유닛; 및
    상기 제1합지유닛 및 상기 제2합지유닛에 의해 상기 제1필름부, 상기 제2필름부 및 상기 커버부가 서로 접착된 에어 단열시트의 양측 단부를 열 융착하는 단부 실링유닛; 및
    상기 에어 단열시트의 전체 길이 중 커팅이 이루어질 커팅영역의 전후를 열 융착하는 커팅영역 실링유닛;
    을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영역 실링유닛은,
    상기 에어 단열시트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 단열시트와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는 제1이동블록과, 상기 제1이동블록으로부터 상기 커버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융착모듈을 포함하는 제1융착 어셈블리; 및
    상기 에어 단열시트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2필름부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 단열시트와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는 제2이동블록과, 상기 제2이동블록으로부터 상기 제2필름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융착모듈과 함께 열 융착을 수행하는 제2융착모듈을 포함하는 제2융착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융착모듈 및 상기 제2융착모듈 각각은 한 쌍이 서로 에어 단열시트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에어 단열시트의 상기 커팅영역 전후에 열 융착을 수행하도록 형성된,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융착 어셈블리는,
    상기 한 쌍의 제1융착모듈 사이에서 상기 커버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융착 어셈블리 및 상기 제2융착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커팅영역 전후에 열 융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커팅영역에 위치된 에어캡을 파단시키는 에어캡 파단모듈을 더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융착모듈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필름부 측을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융착모듈은 길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 측에서 상기 제2융착모듈 측으로 가압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에어 단열시트 제조장치.
KR2020210001583U 2021-05-18 2021-05-18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 KR200496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83U KR200496740Y1 (ko) 2021-05-18 2021-05-18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83U KR200496740Y1 (ko) 2021-05-18 2021-05-18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95U true KR20220002795U (ko) 2022-11-25
KR200496740Y1 KR200496740Y1 (ko) 2023-05-16

Family

ID=8423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583U KR200496740Y1 (ko) 2021-05-18 2021-05-18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74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7264A (ko) * 2012-02-24 2013-09-03 이영식 포장공간이 넓게 형성되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2097A (ko) * 2012-04-03 2013-10-14 주식회사 중원지.엘.비 단열 필름 벽지
KR20140055276A (ko) 2012-10-31 2014-05-09 김종암 창문용 ?볕 열반사 에어캡시트의 제조방법
JP5912574B2 (ja) * 2012-01-26 2016-04-27 ユニチカ株式会社 農業用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農業用シート
KR101683617B1 (ko) * 2016-07-19 2016-12-07 박성철 파우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2574B2 (ja) * 2012-01-26 2016-04-27 ユニチカ株式会社 農業用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農業用シート
KR20130097264A (ko) * 2012-02-24 2013-09-03 이영식 포장공간이 넓게 형성되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2097A (ko) * 2012-04-03 2013-10-14 주식회사 중원지.엘.비 단열 필름 벽지
KR20140055276A (ko) 2012-10-31 2014-05-09 김종암 창문용 ?볕 열반사 에어캡시트의 제조방법
KR101683617B1 (ko) * 2016-07-19 2016-12-07 박성철 파우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740Y1 (ko)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7751B2 (en) Anvil and ultrasonic sealing apparatus
KR101897428B1 (ko)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
EP0359057B1 (e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the manufacture of a laminated material strip
JP6259351B2 (ja) 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ITMO20110258A1 (it) Confezione sigillata monodose con apertura a rottura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confezione sigillata monodose con apertura a rottura
KR200496740Y1 (ko)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
WO2021024626A1 (ja) ブリスタ包装機及びブリスタパックの製造方法
JP6822406B2 (ja) 超音波シール方法
JP7113615B2 (ja) 包装袋、包装袋の製造方法
JP6873505B2 (ja) プラスチック袋の製造方法
IT201600122901A1 (it)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una busta protettiva, busta protettiva ottenuta mediante detta macchina e procedimento per realizzare detta busta protettiva
KR102511972B1 (ko) 거셋 백 제조 방법
KR20170057251A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US20230134346A1 (en) A process for forming a container
JP2006156161A (ja) 密閉型電池
US11731387B2 (en) Bag making machine and bag making method
KR20040029801A (ko) 공기포장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943255B1 (ko) 진공 단열재
JP4244302B2 (ja) 易開封包装袋
ITUB20155888A1 (it) Procedimento di confezionamento di un prodotto alimentare e foglio di incarto impiegato nel processo
EP4067246A1 (en) Filling/packaging machine and lateral sealing device used in same
JP2019031032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の製造方法
JP7022378B2 (ja) パウチの製造方法及び製袋機
EP1055608A1 (en) Seal for a sack or bag
WO2019207672A1 (ja) シール機構及びシール方法並びに縦型充填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