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097A - 단열 필름 벽지 - Google Patents

단열 필름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097A
KR20130112097A KR1020120034221A KR20120034221A KR20130112097A KR 20130112097 A KR20130112097 A KR 20130112097A KR 1020120034221 A KR1020120034221 A KR 1020120034221A KR 20120034221 A KR20120034221 A KR 20120034221A KR 20130112097 A KR20130112097 A KR 20130112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layer
air cap
insulating film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원지.엘.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원지.엘.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원지.엘.비
Priority to KR1020120034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2097A/ko
Publication of KR2013011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 채워지는 에어캡이 평면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에어캡에 의해 열의 전도를 억제하도록 하는 단열에어캡층; 단열에어캡층의 양측면에 각각 접합되고, 단열을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조단열필름층; 보조단열필름층 중에서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외부로 표현되기 위한 디자인이 마련되는 표면필름층; 및 보조단열필름층 중에서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건축물의 내벽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력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도록 한 단열 필름 벽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내벽용 단열을 위해 내벽을 따라 다수의 공기층이 분포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공기층의 양측에 단열필름층이 긴밀하게 접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단열, 차열, 보온 및 외풍 차단이 뛰어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쾌적한 실내 환경 제공과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도록 하며, 벽지의 부착에 의해 단열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단열과 마감에 대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도록 하고, 작업자에게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단열 필름 벽지{Insulation film wallpaper}
본 발명은 단열 필름 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벽에 대한 단열 및 외풍 차단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의 제공과 에너지의 절감에 기여하도록 하고, 단열과 마감의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도록 하며, 누구나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열 필름 벽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지는 벽면과 같은 피착면에 부착됨으로써 피착면을 보호함과 아울러,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도록 한다. 한편, 벽지가 부착되는 벽면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나 벽돌로 이루어져서 미세한 기공이 존재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냉기 또는 열기가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건축물에 대한 냉기 또는 열기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벽지의 시공 전에 단열재가 벽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건축물에 있어서 단열은 냉방과 난방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인데, 이를 위한 단열재로는 소재 자체의 열전도율이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대개는 그렇지 못하므로 열전도율을 작게 하고자 다공성을 가지도록 제작되고, 다공성에 의해 형성된 미세기공 속에 존재하는 공기의 단열성을 이용하여 단열효과를 얻도록 한다.
이러한 단열재로는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구입하기가 용이한 발포 스티렌이 대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 예컨대 발포 스티렌은 단순히 다수의 미세기공 속에 존재하는 공기의 단열성에만 의존하여 열전도율을 저하시킴으로써 단열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그 효과에 한계가 있고, 더 높은 단열 효과를 기대하는 거주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발포 스티렌을 포함한 단열재는 시공을 마친 다음, 별도의 작업으로서 벽지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단열 및 마감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단열성능 저하로 인한 열손실 및 외풍 유입을 차단하고, 단열 성능을 보완하며, 이로 인해 쾌적한 실내 환경 제공과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과 마감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도록 하고, 작업자에게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가 채워지는 에어캡이 평면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캡에 의해 열의 전도를 억제하도록 하는 단열에어캡층; 상기 단열에어캡층의 양측면에 각각 접합되고, 단열을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조단열필름층; 상기 보조단열필름층 중에서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외부로 표현되기 위한 디자인이 마련되는 표면필름층; 및 상기 보조단열필름층 중에서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건축물의 내벽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력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단열 필름 벽지가 제공된다.
상기 단열에어캡층은, 상기 보조단열필름층이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외층지 사이에 상기 에어캡이 다수로 성형된 중층지가 열압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상기 외층지가 상기 에어캡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단열에어캡층과 상기 보조단열필름층은, 동일한 재질로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면필름층은, 폴리프로필렌의 필름시트로 이루어져서 상기 보조단열필름층에 열압착으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과 이에 접하는 보조단열필름층 사이에 접합되고, 상기 건축물의 내벽에 형성된 기공이나 틈을 통해서 불어오는 외풍을 차단하기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풍차단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풍차단필름층은, 폴리에틸렌의 필름시트로 이루어져서 상기 보조단열필름층에 열압착으로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필름 벽지에 의하면, 건축물의 내벽용 단열을 위해 내벽을 따라 다수의 공기층이 분포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공기층의 양측에 단열필름층이 긴밀하게 접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단열, 차열, 보온 및 외풍 차단이 뛰어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쾌적한 실내 환경 제공과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와 벽지를 대체하여 벽지의 부착에 의해 단열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단열과 마감에 대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도록 하고, 작업자에게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필름 벽지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필름 벽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필름 벽지의 단열에어캡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필름 벽지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필름 벽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필름 벽지(100)는 단열에어캡층(110)과, 보조단열필름층(120)과, 표면필름층(130)과, 접착층(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축물 중에서 실내의 내벽(1)에 부착되는 단열재와 벽지를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단열에어캡층(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채워지는 에어캡(113)이 평면적, 예컨대 전후 및 좌우로 2차원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에어캡(113)에 의해 열의 전도를 억제하도록 한다.
단열에어캡층(110)은 보조단열필름층(120)이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외층지(111) 사이에 에어캡(113)이 다수로 성형된 중층지(112)가 열압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외층지(111)가 에어캡(113)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고, 이로 인해 양측에 접합되는 보조단열필름층(120)이 가능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에어캡(113)이 서로 간격을 두고서 평면적으로 배열되더라도 시공의 외측면, 즉 표면필름층(130)의 평탄도가 뛰어나도록 한다.
단열에어캡층(110)의 제조를 위해, 한 쌍의 외층지(111)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중층지(112)가 롤러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외층지(111)가 중충지(112)에 가열 및 압착에 의해 접합되도록 하되, 이전 과정에서 브러워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중충지(112)에 에어캡(113)이 형성되도록 하여, 중충지(112)와 외층지(111)간의 접합에 의해 에어캡(113)이 내측에 부피 대비 75% 내지 95%의 공기가 채워진 상태에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폐되게 한다.
보조단열필름층(1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단열에어캡층(110)의 양측면에 각각 접합되고, 단열을 위한 재질, 예컨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보조단열필름층(120)은 단열에어캡층(110)과 함께 동일한 재질로서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단열에어캡층(110)은 외층지(111)와 중층지(112)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열압착 및 에어캡(113)의 성형에 유리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보조단열필름층(120)이 단열에어캡층(110)과 동일한 폴리에틸렌의 필름시트로 이루어짐으로써 단열에어캡층(110)과의 열압착에 의한 접합력이 우수하도록 한다.
표면필름층(130)은 보조단열필름층(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외부로 표현되기 위한 디자인이 마련됨으로써 심미감을 제공하며, 일례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지는 무광택 또는 유광택의 필름시트로 이루어져서 보조단열필름층(120)에 열압착으로 접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풍 차단 기능까지 가질 수 있다.
표면필름층(130)은 디자인이 외측을 향하는 면에 인쇄되거나 보조단열필름층(120)에 접하는 내측면에 인쇄될 수 있는데, 디자인이 내측면에 인쇄시 디자인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투과성을 가지도록 한다.
단열에어캡층(110), 보조단열필름층(120), 그리고 표면필름층(130)은 서로간의 열압착을 위하여 모두 포개진 상태에서 열압착을 위한 롤러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가열 및 압착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140)은 보조단열필름층(120) 중에서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건축물의 내벽(1)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력을 가지도록 마련되는데, 접착력을 가지기 위하여, 일례로 시트 형태의 접착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예로서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착층(140)은 건축물의 내벽(1)에 부착되기까지 보호를 위하여 이형지 등의 박리지가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140)과 이에 접하는 보조단열필름층(120) 사이에는 외풍차단필름층(150)이 접합될 수 있다.
외풍차단필름층(150)은 건축물의 내벽(1)에 형성된 기공이나 틈을 통해서 불어오는 외풍을 차단하기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례로 폴리에틸렌의 필름시트로 이루어져서 보조단열필름층(120)에 열압착으로 접합될 수 있는데, 단열에어캡층(110), 보조단열필름층(120), 그리고 표면필름층(130)이 한꺼번에 열압착시 함께 열압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필름 벽지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필름 벽지(100)는 건축물의 내벽(1)에 접착층(140)으로 손쉽게 부착됨으로써 시공 작업을 마칠 수 있고, 단열에어캡층(110)에서 공기가 채워진 에어캡(113)이 평면적으로 다수로 배열됨으로써 열의 전도를 억제하도록 하며, 단열에어캡층(110)의 양측면에 긴밀하게 접합된 보조단열필름층(120)으로 인해 단열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며, 이로 인해 건축물의 단열 성능 저하로 인한 열 손실을 차단하고, 단열 성능을 보완하며, 쾌적한 환경 제공 및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도록 한다.
또한, 접착층(140)과 보조단열필름층(120) 사이에 개재된 외풍차단필름층(150)에 의해 내벽(1)에 형성된 기공이나 틈을 통해서 침입하는 외풍을 차단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외풍으로 인한 열 손실을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표면필름층(130)의 디자인에 의해 심미감 내지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하고, 접착층(140)에 의해 건축물의 내벽(1)에 손쉽게 부착하고, 이러한 부착 작업에 의해 벽지와 단열재를 대체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단열과 마감의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도록 하고, 작업자에게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건축물의 내벽
110 : 단열에어캡층
111 : 외층지
112 : 중층지
113 : 에어캡
120 : 보조단열필름층
130 : 표면필름층
140 : 접착층
150 : 외풍차단필름층

Claims (6)

  1. 공기가 채워지는 에어캡이 평면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캡에 의해 열의 전도를 억제하도록 하는 단열에어캡층;
    상기 단열에어캡층의 양측면에 각각 접합되고, 단열을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조단열필름층;
    상기 보조단열필름층 중에서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외부로 표현되기 위한 디자인이 마련되는 표면필름층; 및
    상기 보조단열필름층 중에서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건축물의 내벽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력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필름 벽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에어캡층은,
    상기 보조단열필름층이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외층지 사이에 상기 에어캡이 다수로 성형된 중층지가 열압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상기 외층지가 상기 에어캡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필름 벽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에어캡층과 상기 보조단열필름층은,
    동일한 재질로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필름 벽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필름층은,
    폴리프로필렌의 필름시트로 이루어져서 상기 보조단열필름층에 열압착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필름 벽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이에 접하는 보조단열필름층 사이에 접합되고, 상기 건축물의 내벽에 형성된 기공이나 틈을 통해서 불어오는 외풍을 차단하기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풍차단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필름 벽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풍차단필름층은,
    폴리에틸렌의 필름시트로 이루어져서 상기 보조단열필름층에 열압착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필름 벽지.
KR1020120034221A 2012-04-03 2012-04-03 단열 필름 벽지 KR20130112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221A KR20130112097A (ko) 2012-04-03 2012-04-03 단열 필름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221A KR20130112097A (ko) 2012-04-03 2012-04-03 단열 필름 벽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097A true KR20130112097A (ko) 2013-10-14

Family

ID=4963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221A KR20130112097A (ko) 2012-04-03 2012-04-03 단열 필름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20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149A (ko) * 2015-02-11 2016-08-22 주식회사 피앤아이 단열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81666A (ko) 2017-01-07 2018-07-17 이병길 가습 기능을 갖는 단열 에어캡 시트
KR102125182B1 (ko) 2020-01-30 2020-06-19 장세훈 다기능 에어캡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2795U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보양스토리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149A (ko) * 2015-02-11 2016-08-22 주식회사 피앤아이 단열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81666A (ko) 2017-01-07 2018-07-17 이병길 가습 기능을 갖는 단열 에어캡 시트
KR102125182B1 (ko) 2020-01-30 2020-06-19 장세훈 다기능 에어캡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2795U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보양스토리 커팅영역 인접 융착부를 포함하는 에어 단열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2097A (ko) 단열 필름 벽지
CN205840237U (zh) 一种建筑用新型木塑地板
RU2016114906A (ru) Сборные строительные панели
KR20130064419A (ko)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CN202787532U (zh) 内墙保温隔热复合气泡膜
JP2016037791A (ja) 遮熱及び断熱壁構造物の製造方法並びに遮熱及び断熱壁構造物
KR20180000916U (ko) 난연, 흡음 및 방습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KR101619510B1 (ko) 초슬림형 단열커튼월 시스템
CN106437067A (zh) 一种新型外墙多功能的保温板
CN206279711U (zh) 一种新型外墙多功能的保温板
CN103397716A (zh) 具有火灾防护功能的三层保温墙体
CN103422601A (zh) 一种节能型防水幕墙
CN103397715A (zh) 具有通风功能的三层保温墙体
KR101313983B1 (ko) 건축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3186878U (ja) 金属屋根用通気性遮熱断熱材
CN206319511U (zh) 一种阻燃并能加固墙面的无缝墙布
CN206667504U (zh) 一种建筑外保温复合板
CN103331977A (zh) 一种高阻燃复合型保温材料
CN205444545U (zh) 绿色环保隔热保温节能墙体
CN204940677U (zh) 一种复合保温砖
CN204370590U (zh) 气泡层铝箔复合隔热膜
CN103206022A (zh) 建筑保温防火结构
CN211115521U (zh) 隔热节能中空双层安全防爆门窗玻璃、玻璃门及玻璃窗
CN207348300U (zh) 一种建筑用自保温砌块
CN202831469U (zh) 可与风冷设备配套使用的饰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