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419A -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 Google Patents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419A
KR20130064419A KR1020110131017A KR20110131017A KR20130064419A KR 20130064419 A KR20130064419 A KR 20130064419A KR 1020110131017 A KR1020110131017 A KR 1020110131017A KR 20110131017 A KR20110131017 A KR 20110131017A KR 20130064419 A KR20130064419 A KR 20130064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glass window
embossing
resin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김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철 filed Critical 김경철
Priority to KR102011013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4419A/ko
Publication of KR20130064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에 단열성을 부여하여 난방효과를 높임으로써 에너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수지로 성형되며 내부에는 에어포켓(12)들이 상호 구획되도록 형성된 수지시트(10)와, 상기 수지시트(10)의 저면에 도포된 점착제층(20)과, 상기 점착제층(20)의 저면에 부착된 이형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점착제층(20)을 이용해 유리창(2)에 부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Insulation sheet for window}
본 발명은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에 단열성을 부여하여 난방효과를 높임으로써 에너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채광과 환기 등을 위해 유리창이 설치된다. 그러나 유리창의 단열성이 낮기 때문에 유리창을 통해 열손실이 발생되며, 따라서 냉난방비용이 증가된다.
특히, 동절기는 하절기에 비해 길기 때문에, 동절기의 난방비로 인해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가정이 많다. 따라서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구되는데, 유리창을 통한 열손실을 막음으로써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도 요구된다.
유리창을 통한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구조의 단열유리창을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중단열 유리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기존 주택의 경우에는 이중단열 유리창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사를 하여야 하므로 번거롭다. 특히, 이중 단열유리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벽두께가 이중 단열 유리창을 설치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하므로, 건물의 벽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에는 이중 단열유리창을 설치하기도 곤란하다.
한편, 건물에 단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열시트가 제공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단열시트는 건물의 시공시 사용되는 전문가용으로서, 일반 소비자들이 구입하여 직접 시공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종래의 단열시트는 단열성을 가지는 재료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코스트도 높다.
더욱이 종래의 단열시트는 불투명시트이기 때문에 유리창에 부착하면, 유리창이 불투명하게 된다. 따라서 단열시트에 의해 유리창의 채광성과 투시성이 손실되어 유리창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84772호(1998. 12. 0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창에 단열성을 부여하여 냉난방효과를 높임으로써 에너지절감효과가 우수하고, 유리창의 채광성과 투시성이 유지되는 새로운 구성의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투명수지로 성형되며 내부에는 에어포켓(12)들이 상호 구획되도록 형성된 수지시트(10)와, 상기 수지시트(10)의 저면에 도포된 점착제층(20)과, 상기 점착제층(20)의 저면에 부착된 이형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점착제층(20)을 이용해 유리창(2)에 부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지시트(10)는 평편한 베이스필름(14)과, 상기 엠보싱돌기(15)들이 상호 이격되도록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필름(14)의 상면에 부착되는 엠보싱필름(16)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에어포켓(12)은 상기 엠보싱돌기(15)에 의해 베이스필름(14)과 엠보싱필름(16)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점착제층(20)은 상기 베이스필름(14)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엠보싱필름(16)의 상면에는 투명수지로 이루어진 커버필름(11)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에어포켓(42)들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수지시트(40)와, 내부에 에어포켓(52)들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지시트(4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수지시트(50)와,
상기 제1수지시트(40)의 저면에 도포된 점착제층(20)과, 상기 점착제층(20)의 저면에 부착된 이형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수지시트(40,50)는 각각 투명수지로 이루어진 평편한 베이스필름(44,54)과,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며 엠보싱돌기(45,55)들이 상호 이격되도록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필름(44,54) 상면에 부착되는 엠보싱필름(46,56)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엠보싱돌기(45,55)에 의해 에어포켓(42,52)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수지시트(40,50)는 베이스필름(44,54)이 외향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먼저, 에어포켓에 의해 우수한 단열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단열시트를 유리창에 부착하면 유리창에 단열성이 부여되어 난방효율이 상승되고, 이에 따라 난방비가 절감되어 경제적이다.
또, 점착제를 이용해 유리창에 부착시키는 것이므로 시공이 간단하다. 시공이 간단하므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필요에 따라 간당하게 시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 유리창에 부착하여 사용하다가 단열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리창에서 떼어내면 되므로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에어포켓이 형성된 수지시트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코스트도 저렴한다.
또, 단열시트의 수지시트가 투명수지로 성형되기 때문에 단열시트를 유리창에 부착하여도 유리창의 채광성과 투시성이 유지된다. 즉, 유리창의 채광성과 투시성이 다소 낮아지기는 하나 채광성과 투시성이 어느 정도는 유지되므로 유리창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지 않는다.
또한, 수지시트(10)의 엠보싱필름(16) 상면에 커버필름(11)이 추가로 부착되면, 커버필름(11)에 의해 엠보싱필름(16)의 엠보싱돌기(15), 즉, 에어포켓(12)이 커버회되므로 에어포켓(12)이 터져서 단열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수지시트(10)가 상하로 적층되는 경우에는 단열시트의 단열성이 한층 더 상승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이며, 도 3은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개의 에어포켓(12)들이 구획형성된 수지시트(10)와, 상기 수지시트(10)의 저면에 도포된 점착제층(20)과, 상기 점착제층(20)의 저면에 부착된 이형지(30)로 이루어진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이다.
상기 수지시트(10)는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는 평편한 형태의 베이스필름(14)과, 역시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며 일정 패턴으로 엠보싱돌기(15)가 형성되어 베이스필름(14)의 상면에 부착되는 엠보싱필름(16)으로 이루어진다. 엠보싱필름(16)이 베이스필름(14)에 부착되면 엠보싱돌기(15)에 의해 베이스필름(14)과 엠보싱필름(16) 사이에 에어포켓(1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엠보싱필름(16)은 상기 엠보싱돌기(15)에 대응되는 오목홈이 형성된 금형에 열풍으로 흡착되어 성형되며, 엠보싱필름(16)과 베이스필름(14)은 상호 열융착된다.
그리고 상기 점착제층(20)은 점착제를 수지시트(10)에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20)은 상기 베이스필름(14)의 저면에 도포된다. 점착제층(20)이 수지시트(10)의 엠보싱필름(16) 표면에 도포될 수도 있으나, 엠보싱필름(16)의 표면이 엠보싱돌기(15)에 의해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점착제층(20)을 도포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엠보싱필름(16) 표면에 점착제층(20)이 형성되면, 표면이 울퉁불통한 엠보싱필름(16)이 유리창에 부착되므로 되므로 베이스필름(14)의 표면에 점착제층(20)이 형성된 경우에 비해 단열시트와 유리창(2)의 접착면적도 줄어들어서 단열시트의 부착력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20)의 저면에는 점착제층(2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형지(30)가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소정 폭을 갖도록 길에 두루마리형태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단열시트를 붙이고자 하는 유리창의 크기에 맞게 시트를 절단하여 사용한다. 절단된 단열시트의 이형지(30)를 박리시키고 유리창에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단열시트의 에어포켓(12)에 의해 유리창(2)에 단열성이 부여된다. 따라서 유리창에 의한 열손실이 방지되므로 난방효율이 상승되고, 이에 따라 난방비용이 상당히 절감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하절기에 냉방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수지시트(10)가 투명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열시트를 유리창에 부착하여도 유리창(2)의 채광성 및 투시성이 확보된다. 즉, 단열시트에 의해 유리창의 채광성과 투시성이 다소 저하되기는 하나 유리창(2)의 채광성과 투시성이 완전히 손실되지 않으므로 유리창의 유리창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지 않는 것이다.
또, 점착제층(20)을 이용해 유리창에 누구나 손쉽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단열성 물질들을 다단으로 적층시켜 제조되는 종래의 단열시트와 달리 구성도 간단하고, 제조도 용이하여 코스트도 저렴하다. 또한, 동절기에 유리창에 부착하여 사용하다가,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유리창에서 떼어내면 되므로 상당히 편리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엠보싱필름(16)의 상면에 투명수지로 성형된 커버필름(11)이 더 부착된 것을 보인 것이다. 상기 수지시트(10)는 엠보싱필름(16)이 외부로 노출되어, 엠보싱돌기(15), 즉, 에어포켓(12)에 외력이 가해져서 에어포켓(12)이 터질 우려가 높다. 에어포켓이(12)이 터지면 단열시트의 단열성이 저하되므로 에어포켓(12)이 터지지 않도록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커버필름(11)이 엠보싱필름(16)에 부착되면, 엠보싱돌기(15)가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수지시트(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이 평면을 이루므로, 에어포켓(12)이 외력에 의해 터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수지시트가 상하로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제1, 2수지시트(40,50)가 상하로 적층되는데, 이들 제1,2수지시트(40,50)는 평편한 베이스필름(44,54)에 엠보싱돌기(45,55)가 형성된 엠보싱필름(46,56)이 부착되어, 상기 엠보싱돌기(45,55)에 의해 내부에 에어포켓(42,52)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제1, 2수지시트(40,50)는 엠보싱필름(46,56)이 상호 접하도록 되어 베이스필름(44,54)이 외향된다. 그리고 하측에 위치되는 제1수지시트(40)의 베이스필름(44)의 저면에 점착제층(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2수지시트(40,50)가 적층되면, 단열시트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포켓(42,52)의 개수가 많아지므로 단열시트의 단열성이 향상된다. 물론, 수지시트에 상대적으로 큰 에어포켓을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로 형성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상대적으로 큰 에어포켓이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에어포켓이 여러 개 형성되는 경우가 단열성이 더 높기 때문에 에어포켓이 구획되도록 배열형성된 각각 수지시트를 상하로 적층시킨 것이다.
또한, 제1,2수지시트(40,50)가 적층되면, 제1, 2수지시트(40,50)에 형성된 에어포켓(42,52) 사이에 새로운 에어포켓(60)이 형성되어 에어포켓의 개수가 증가되므로 단열성이 더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제2수지시트(50)의 베이스필름(52)이 외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별도의 커버필름을 부착하지 않아도 에어포켓(42,52)이 보호된다.

Claims (4)

  1. 투명수지로 성형되며 내부에는 에어포켓(12)들이 상호 구획되도록 형성된 수지시트(10)와, 상기 수지시트(10)의 저면에 도포된 점착제층(20)과, 상기 점착제층(20)의 저면에 부착된 이형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점착제층(20)을 이용해 유리창(2)에 부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시트(10)는 평편한 베이스필름(14)과, 상기 엠보싱돌기(15)들이 상호 이격되도록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필름(14)의 상면에 부착되는 엠보싱필름(16)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에어포켓(12)은 상기 엠보싱돌기(15)에 의해 베이스필름(14)과 엠보싱필름(16)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점착제층(20)은 상기 베이스필름(14)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필름(16)의 상면에는 투명수지로 이루어진 커버필름(11)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4. 내부에 에어포켓(42)들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수지시트(40)와, 내부에 에어포켓(52)들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지시트(4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수지시트(50)와,
    상기 제1수지시트(40)의 저면에 도포된 점착제층(20)과, 상기 점착제층(20)의 저면에 부착된 이형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수지시트(40,50)는 각각 투명수지로 이루어진 평편한 베이스필름(44,54)과,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며 엠보싱돌기(45,55)들이 상호 이격되도록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필름(44,54) 상면에 부착되는 엠보싱필름(46,56)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엠보싱돌기(45,55)에 의해 에어포켓(42,52)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수지시트(40,50)는 베이스필름(44,54)이 외향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KR1020110131017A 2011-12-08 2011-12-08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KR20130064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17A KR20130064419A (ko) 2011-12-08 2011-12-08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017A KR20130064419A (ko) 2011-12-08 2011-12-08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419A true KR20130064419A (ko) 2013-06-18

Family

ID=4886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017A KR20130064419A (ko) 2011-12-08 2011-12-08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441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439A (ko) 2017-01-19 2018-07-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KR20190084799A (ko) * 2018-01-09 2019-07-17 곽형근 열효율 향상을 위한 단열필름
KR20200002710U (ko) * 2019-06-05 2020-12-15 조중환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KR102234729B1 (ko) * 2019-12-04 2021-04-01 곽형근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
WO2021066273A1 (ko) * 2019-10-01 2021-04-08 곽형근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투명 단열필름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투명 단열필름
KR102264070B1 (ko) 2019-12-26 2021-06-11 이원정 조류 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단열 시트
KR20220007785A (ko) * 2020-07-10 2022-01-19 곽형근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해 제조된 단열벽지, 그리고 이를 위한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단열벽지의 제조 방법
KR20220062699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포엘 투명 단열필름을 이용한 마이크로 에어 단열창호,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및 제어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439A (ko) 2017-01-19 2018-07-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KR20190084799A (ko) * 2018-01-09 2019-07-17 곽형근 열효율 향상을 위한 단열필름
KR20200002710U (ko) * 2019-06-05 2020-12-15 조중환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WO2021066273A1 (ko) * 2019-10-01 2021-04-08 곽형근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투명 단열필름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투명 단열필름
KR102234729B1 (ko) * 2019-12-04 2021-04-01 곽형근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
WO2021112346A1 (ko) * 2019-12-04 2021-06-10 곽형근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
KR102264070B1 (ko) 2019-12-26 2021-06-11 이원정 조류 충돌 방지 기능을 가지는 단열 시트
KR20220007785A (ko) * 2020-07-10 2022-01-19 곽형근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해 제조된 단열벽지, 그리고 이를 위한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단열벽지의 제조 방법
KR20220062699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포엘 투명 단열필름을 이용한 마이크로 에어 단열창호,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및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4419A (ko)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JP6479172B2 (ja) 絶縁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当該スペーサを有する絶縁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当該スペーサの製造方法及び使用
WO2009124098A3 (en) A solar panel back sheet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JP2009539648A5 (ko)
WO2014025693A1 (en) Insulation material
IN2014MN02249A (ko)
WO2020014849A1 (zh) 抗紫外平面光源光学结构、抗紫外扩散层及led平板灯
KR20130112097A (ko) 단열 필름 벽지
KR200436555Y1 (ko) 공기층이 형성된 단열재
WO2015025679A1 (ja) 複層ガラス
JP3186878U (ja) 金属屋根用通気性遮熱断熱材
JP2011032721A (ja) 採光断熱材の取り付け施工方法及び簡易断熱窓
KR100711233B1 (ko) 단열층을 구비한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KR101822681B1 (ko) 에어캡층을 갖는 벽지
JP3167874U (ja) 内障子
JP3232068U (ja) エアコン室外機用断熱ボード
KR20040034298A (ko) 필름을 이용한 단열창호
KR20150054437A (ko) 경량 단열창
WO2009034864A1 (ja) シンチレータパネル
CN203093171U (zh) 应用于建筑玻璃窗的保护膜
JP2009287274A (ja) 低放射率建材及びそれを用いた内装仕上げ構造
KR102068779B1 (ko) 공동주택의 내벽 단열구조
KR20230001703U (ko) 단열 및 방습 기능을 갖는 벽지
JP3183674U (ja) アルミサッシ用の断熱ボード
JP3174923U (ja) 窓の結露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