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439A -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 Google Patents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439A
KR20180085439A KR1020170008952A KR20170008952A KR20180085439A KR 20180085439 A KR20180085439 A KR 20180085439A KR 1020170008952 A KR1020170008952 A KR 1020170008952A KR 20170008952 A KR20170008952 A KR 20170008952A KR 20180085439 A KR20180085439 A KR 20180085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cooling load
reducing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룡
김인태
홍병화
정상현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인태
홍병화
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인태, 홍병화, 정상현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8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5439A/ko
Publication of KR20180085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17/002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for flat glass, e.g. float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1Coloured fluid flow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개구된 벽면에 형성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결합되며 창틀을 따라 이동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에 결합되며 외풍을 막고 햇볕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유리와, 상기 유리에 형성되며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여 냉방부하를 감소시키는 광변색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A window having a photochromic material to be capable of reducing an indoor cooling load}
본 발명은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광변색 물질을 유리에 도포하여 빛을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는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축하는 아파트, 주상복합, 사무용 빌딩 등 크고, 작은 건축물은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확 트인 전망을 확보하기 위해 건물 외벽 전체나 일부를 유리로 마감 처리하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유리는 건축물에 있어서 건물의 외형을 아름답고 다양하게 해 줄 수 있는 재료이나, 건축물에 있어서 유리는 몇 가지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유리는 단열성이 떨어짐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벽에 비해 에너지의 소모를 증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건축물에서 유리의 비중이 높을수록 태양을 가릴 블라인드, 버티컬, 커튼과 같은 차양장치를 겸비해야하기 때문에 부대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유리는 태양으로부터 뜨거운 직사광선을 그대로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실내의 열을 그대로 밖으로 유출시킴으로써 건물 내에서 에너지 손실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게 된다.
즉, 겨울철에는 유리로 인한 실내의 열이 밖으로 그대로 유출되기 때문에 난방비가 올라가고, 여름철에는 외부의 열이 유리를 통과하여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냉방비가 상승하는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통상 유리를 이용한 창호(Window)는 건물 내외부를 관통하는 중요한 매개체이나 이 창호는 벽체에 비해 열전도율이 10배 이상으로 취약하여 창호를 통해 발생하는 열 손실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64419호는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수지로 성형되며 내부에는 에어포켓(12)들이 상호 구획되도록 형성된 수지시트(10)와, 수지시트(10)의 저면에 도포된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의 저면에 부착된 이형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점착제층을 이용해 유리창에 부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에어포켓에 의한 단열성을 가져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는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단열시트의 에어포켓에 의해 단열성은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투시성이 떨어지고 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6441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시켜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그림이 유리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지는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창호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는 건축물의 개구된 벽면에 형성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결합되며 창틀을 따라 이동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에 결합되며 외풍을 막고 햇볕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유리와, 상기 유리에 형성되며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여 냉방부하를 감소시키는 광변색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의 상기 광변색 코팅층은 필름형태로 상기 유리에 부착되도록 형성되거나 액체상태로 상기 유리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의 상기 광변색 코팅층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색상이 변하고,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색상이 사라져 투명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의 상기 광변색 코팅층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색상이 변하면서 동물 및 식물 형상의 그림이나 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의 상기 광변색 코팅층은 상기 유리 면적의 2/3 만큼 형성되며, 상기 유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시켜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에 의하면 온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그림이 유리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에 의하면 기존 창호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의 코팅층 위치를 달리한 시험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를 테스트하기 위해 시험체 내부에 온도센서와 조도센서를 형성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의 코팅층 위치에 따라 시험체 내부의 온도가 변하는 모습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의 코팅층 위치에 따라 시험체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 및 조도의 변화 값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광변색 물질을 유리에 도포하여 빛을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는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는 건축물의 개구된 벽면에 형성되는 창틀(도시되지 않음)과, 창틀(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며 창틀(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이동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창문(100)과, 창문(100)에 결합되며 외풍을 막고 햇볕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유리(200)와, 유리(200)에 형성되며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여 냉방부하를 감소시키는 광변색 코팅층(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틀(도시되지 않음)은 건축물의 벽에 실리콘으로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창틀(도시되지 않음) 내부에는 창문(100)이 결합되어 창틀(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때 창문(100)에는 실외에서 조사되는 빛이 내부로 인입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리(200)는 이중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단열성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변색 코팅층(300)은 유리(200)에 형성되어 있으며 자외선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면 색상이 변하며, 가역성을 가지고 있어 온도 변화로 변색된 후 열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는 감온변색성색소로 이루어져 있다.
감온변색성색소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안료로서 마이크로 캡슐 파우더 타입과 액상 슬러리 타입이 존재하며, 상온을 기준 고온일 경우 일정한 색을 띠고 있다가 설정온도가 되면 색이 없어지고 저온용의 경우, 무색투명하다가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색이 나타나게 되는 특징이 있다.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경우 크기가 약 1-10㎛이며, 캡슐안에는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를 구성 물질로 되어 있어 온도 상승시 이 물질들이 결합하여 색상을 나타내고 온도 하강시 분리되어 투명해지게 된다.
즉, 유리(200)에 광변색 코팅층(300)을 형성시킴으로써 외부 온도에 따라 생상이 변하여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차단 또는 줄일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여름철 실내 냉방 중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에 의해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열을 감소시켜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겨울철의 경우 외부 온도가 낮기 때문에 광변색 코팅층(300)은 색상이 투명한 상태로 유지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온전히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계절 내내 별도의 조작 없이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광변색 코팅층(300)은 필름형태로 유리(200)에 부착되도록 형성되거나 액체상태로 유리(200)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변색 코팅층(300)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색상이 변하면서 동물 및 식물 형상의 그림이나 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 사용되던 유리(200)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액체상태의 시온원료을 유리(200)창에 도포하거나 필름형태로 제조된 시온원료를 유리(200)에 부착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필름 형태의 경우 시온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패턴을 형성시키거나 온도에 따라 다른 색으로 형성시킨 그림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여 색상이 변하게 되면 지정된 그림이 나타나 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직사광선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온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는 점을 고려하여 필름을 다층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필름은 서로 다른 온도에서 색상이 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서로 다른 그림이 나타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필름에 형성된 그림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된 후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고온으로 인해 모든 필름에 새겨진 그림이 나타나도록 형성하고, 겨울철에는 낮은 온도에서 반응하도록 형성된 필름의 그림만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름에 패턴을 형성시킨 경우 스테인 글라스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필름을 통해 투과되는 빛의 색상 서로 달라지므로 실내 분위기를 다르게 만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의 코팅층 위치를 달리한 시험체(30)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를 테스트하기 위해 시험체(30) 내부에 온도센서(20)와 조도센서(10)를 형성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의 코팅층 위치에 따라 시험체(30) 내부의 온도가 변하는 모습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의 코팅층 위치에 따라 시험체(30)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 및 조도의 변화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난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는 광변색 코팅층(300)은 유리(200) 면적의 2/3 만큼 형성되며, 유리(2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변색 코팅층(300)을 유리(200)전체에 형성시키는 경우 여름철에 실내로 유입되는 빛이 적어져 냉방부하가 감소되나 조명기구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조명기구에 의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시험체(30)의 내부에 온도센서(20)와 조도센서(10)를 배치한 후 전면에 형성된 유리(200)창에 광변색 코팅층(300)의 면적을 달리하여 시험체(30) 내부의 온도와 조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측정하였다.
이때 A는 광변색 코팅층(300)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 유리(200)를 사용하였으며, B는 유리(200) 면적의 1/3만큼 유리(200) 상부에 광변색 코팅층(300)을 형성시켰으며, C는 유리(200) 면적의 1/2만큼 유리(200) 상부에 광변색 코팅층(300)으로 형성시켰으며, D는 유리(200) 면적의 2/3만큼 유리(200)의 상부와 하부에 광변색 코팅층(300)을 형성시켰다.
각각의 시험체(30)는 시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직사광선에 의해 온도가 증가하였으며, 광변색 코팅층(300)이 형성되지 않은 A 시험체(30)가 온도 상승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B, C 시험체(30)가 뒤를 이었으며, D 시험체(30)의 경우 가장 낮은 온도 상승을 보였다.
또한 조도의 경우 유리(200)의 1/2면적만큼 유리(200) 상부에 광변색 코팅층(300)을 형성시킨 C 시험체(30)가 차단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D 시험체(30)가 뒤를 이었다.
즉, 시험체(30) 내부의 온도 상승을 낮추면서 내부 밝기를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유리(2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리(200) 면적의 1/3만큼 광변색 코팅층(300)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직사광선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내부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냉방부하 및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시켜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에 의하면 온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그림이 유리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에 의하면 기존 창호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조도센서
20 : 온도센서
30 : 시험체
100 : 창문
200 : 유리
300 : 광변색 코팅층

Claims (5)

  1. 건축물의 개구된 벽면에 형성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결합되며 창틀을 따라 이동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창문과;
    상기 창문에 결합되며 외풍을 막고 햇볕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유리와;
    상기 유리에 형성되며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여 냉방부하를 감소시키는 광변색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색 코팅층은 필름형태로 상기 유리에 부착되도록 형성되거나 액체상태로 상기 유리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색 코팅층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색상이 변하고,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색상이 사라져 투명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색 코팅층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색상이 변하면서 동물 및 식물 형상의 그림이나 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색 코팅층은 상기 유리 면적의 2/3 만큼 형성되며, 상기 유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KR1020170008952A 2017-01-19 2017-01-19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KR20180085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952A KR20180085439A (ko) 2017-01-19 2017-01-19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952A KR20180085439A (ko) 2017-01-19 2017-01-19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39A true KR20180085439A (ko) 2018-07-27

Family

ID=6307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952A KR20180085439A (ko) 2017-01-19 2017-01-19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54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228B1 (ko) * 2020-04-29 2021-02-03 김용철 차음수단이 구비된 복합창호 및 제조방법
KR20210061098A (ko) 2019-11-19 2021-05-2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효율성이 개선된 고효율 복합창호시스템
KR20220071440A (ko) 2020-11-24 2022-05-3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효율성이 개선된 고효율 복합창호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419A (ko) 2011-12-08 2013-06-18 김경철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419A (ko) 2011-12-08 2013-06-18 김경철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098A (ko) 2019-11-19 2021-05-2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효율성이 개선된 고효율 복합창호시스템
KR102212228B1 (ko) * 2020-04-29 2021-02-03 김용철 차음수단이 구비된 복합창호 및 제조방법
KR20220071440A (ko) 2020-11-24 2022-05-3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효율성이 개선된 고효율 복합창호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osh et al. Evaluation of optical properties and protection factors of a PDLC switchable glazing for low energy building integration
Nundy et al. Thermal and visual comfort analysis of adaptive vacuum integrated switchable suspended particle device window for temperate climate
US20140047783A1 (en) Window with modifiable transparency
CN203201442U (zh) 一种智能遮阳中空玻璃
JP5350234B2 (ja) 角度選択的な透過性を有する日光防御装置
KR20180085439A (ko) 실내 냉방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변색 물질이 형성된 창호
Park et al. Dynamic daylight control system implementing thin cast arrays of polydimethylsiloxane-based millimeter-scale transparent louvers
CN103370986A (zh) 管理建筑物中的光的颜色的用于主动式窗户玻璃的控制系统
NO129198B (ko)
Lin et al. Potential building energy savings by passive strategies combining daytime radiative coolers and thermochromic smart windows
US20160003445A1 (en) Artistic lighting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6639075A (zh) 一种玻璃幕墙及其中空玻璃
Jakubowsky et al. Façade elements for room illumination with integrated microstructures for daylight redirection and LED lighting
CN105569233A (zh) 智能幕墙采光顶
Qahtan et al. Smart double glazing integrate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for enhancing building's thermal performance in hot-arid climate
CN108286394A (zh) 一种具有隔热与调光功能的外窗
US11782261B2 (en) Visibility controlling device
CN206189669U (zh) 一种玻璃幕墙及其中空玻璃
CN203230325U (zh) 具有内置窗帘的中空玻璃
KR200287060Y1 (ko) photocromic(광변색)과 thermocromic(온변색)효과를함께갖는 썬팅필름,썬팅유리
KR20200031910A (ko) 영상스크린을 구비한 이중창호 유리창
CN211007305U (zh) 一种商用建筑外墙的玻璃结构
CN204940623U (zh) 一种玻璃幕墙
CN104141449A (zh) 具有内置窗帘的中空玻璃
TW201925324A (zh) 智慧窗戶之結構及其製備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