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729B1 -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 - Google Patents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729B1
KR102234729B1 KR1020190159526A KR20190159526A KR102234729B1 KR 102234729 B1 KR102234729 B1 KR 102234729B1 KR 1020190159526 A KR1020190159526 A KR 1020190159526A KR 20190159526 A KR20190159526 A KR 20190159526A KR 102234729 B1 KR102234729 B1 KR 10223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tern
transparent
heating elemen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형근
Original Assignee
곽형근
주식회사 포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형근, 주식회사 포엘 filed Critical 곽형근
Priority to KR102019015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729B1/ko
Priority to PCT/KR2020/005959 priority patent/WO202111234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7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the air layer being enclosed by one or more layers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창에 점착을 위한 점착기능과 공기층에 의해 유리창과의 단열 기능을 부여하는 패턴층; 및 유리창과 맞닿는 반대면 쪽에 형성되어 투명 플레이트에 열부가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의 양 끝단에 형성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실내를 난방시키도록 하기 위한 투명발열코팅층; 및 상기 투명발열코팅층과 상기 패턴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패턴층을 지지하며 투명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는 기재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 고분자 수지 재질을 기반으로 형성하여 유리창 외부에서 시안성을 확보를 하면서도 단열을 확보하기 위한 유리창과의 공간층을 형성하는 패턴의 인쇄가 낭비됨이 없이 깔끔하게 처리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패턴 사이의 공기층을 이용해 단열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실내에 발열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층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단열 기능에 발열 기능을 더 추가하기 위해 패턴층을 형성한 후에 투명발열필름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실제 동절기 창문에 적용시 단열기능에 난방기능이 발휘됨으로써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고, 투명발열필름층 자체도 투명 내지는 반투명 형태로 제공되어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Manufacturing method of transparent film having heat insulation and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transparent film having heat insulation and heat generating func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PET 재질을 기반으로 형성하여 유리창 외부에서 시안성을 확보를 하면서도 단열을 확보하기 위한 유리창과의 공간층을 형성하는 패턴의 인쇄가 낭비됨이 없이 깔끔하게 처리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패턴 사이의 공기층을 이용해 단열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실내에 발열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층을 추가로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한 종류로 단열필름은 주로 동절기에 유리창 내면에 부착식으로 사용되며, 에어캡이 형성된 포장 내장재를 활용하고 있다. 이 경우 포장 내장재형 단열필름은 불투명성으로 인해 시안성이 나빠서, 내부에서 밖을 볼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다음으로 적외선 차단형 단열필름은 열효율 향상을 위한 단열필름으로 시안성이 좋으나 제조 단가가 높아서 시공시 비용적인 부담이 큰 단점이 있어 왔다.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74935호 "단열효과 및 공간절약을 위해 단열필름을 이용한 2중유리 블라인드"는 이중창을 구성하면서 그 내부에 블라인드 단열필름이 구비되어 권취 및 권출 동작에 의해 외부와의 차단이 가능한 블라인드 단열필름이 내장된 이중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창 내부에 블라인드 단열필름이 구비되어서 단열 및 외부 차단력이 더 우수하고, 외부와의 차단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 단열필름이 내장된 이중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05009호 "중공형 마이크로 실리카 캡슐을 포함하는 단열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및 유리 부착용 단열필름(Composition for adiabatic material with hollow micro silica capsule, adiabatic material using there it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adiabatic material, and adiabatic film of glass in building)"은 건축물의 유리 커튼월 및 창호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결로방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리 단열재 조성물 및 유리부착용 단열필름을 제공하기 위해, 단열재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중공형 마이크로실리카 캡슐 및 가소제를 포함하고, 단열필름은 상기한 단열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단열재층, 자외선 차단층 및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67498호 "나노섬유 단열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단열필름(Method for manufacturing nano-fiber insulating film and nano-fiber insulating film using the same)"은 나노섬유에 중공이 형성되어 가시성 및 일조량 확보가 가능한 나노섬유 단열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단열필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내부 내장형이라 제조 공정이 복잡한 한계점이 있으며, 시안성 확보가 미흡하고, 단열 성능에 있어서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었으며, 실내의 난방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출원번호 제10-2018-0002952(2018.01.09)호인 "열효율 향상을 위한 단열필름(Adiabatic film for improving thermal efficiency)" 그라비아 프린팅 방식으로 도트 프린팅하여 단열필름을 만드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시안성 확보와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 따르면, 폼 실린더 상의 표면에 양각부(돌출부)와 음각부(함입부)가 교대로 구성된 원통형 실린더로서 압착롤러와의 사이에 투명 PET 필름이 통과되면서 음각부에 수용되어 있던 점착형 PET 유닛이 투명 PET 필름에 묻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그라비아 방식을 통해 점착제가 담긴 그릇에 홈을 갖는 롤러를 돌려서 홈에 점착액이 묻도록 한 후에 블레이드를 이용해 점착제 조성물을 긁어내서 홈 부분에 있는 것만 필름지에 묻어나도록 하는 방식의 경우, 도트를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깔끔하지 않고 형상이 제각기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를 통해 점착제가 제거되는 방식을 통해 점착제 조성물이 낭비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또한, 이 기술도 실내의 난방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74935호 "단열효과 및 공간절약을 위해 단열필름을 이용한 2중유리 블라인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05009호 "중공형 마이크로 실리카 캡슐을 포함하는 단열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및 유리 부착용단열필름(Composition for adiabatic material with hollow micro silica capsule, adiabatic material using there it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adiabatic material, and adiabatic film of glass in building)"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67498호 "나노섬유 단열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단열필름(Method for manufacturing nano-fiber insulating film and nano-fiber insulating film using the sam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02952호 "열효율 향상을 위한 단열필름(Adiabatic film for improving thermal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 PET 재질을 기반으로 형성하여 유리창 외부에서 시안성을 확보를 하면서도 단열을 확보하기 위한 유리창과의 공간층을 형성하는 패턴의 인쇄가 낭비됨이 없이 깔끔하게 처리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패턴 사이의 공기층을 이용해 단열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실내에 발열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층을 추가로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 기능에 발열 기능을 더 추가하기 위해 패턴층을 형성한 후에 투명발열필름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실제 동절기 창문에 적용시 단열기능에 난방기능이 발휘됨으로써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고, 투명발열필름층 자체도 투명 내지는 반투명 형태로 제공되어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은, 유리창에 점착을 위한 점착기능과 공기층에 의해 유리창과의 단열 기능을 부여하는 패턴층; 및 유리창과 맞닿는 반대면 쪽에 형성되어 투명 플레이트에 열부가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의 양 끝단에 형성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실내를 난방시키도록 하기 위한 투명발열코팅층; 및 상기 투명발열코팅층과 상기 패턴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패턴층을 지지하며 투명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는 기재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발열코팅층에서 상기 기재층이 맞닿는 반대면에 부착되어 공기층을 통해 상기 유리창과의 단열 성능을 확보하도록 하는 추가 패턴층; 및 상기 추가 패턴층을 지지하며 투명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는 기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추가 패턴층; 및 상기 추가 패턴층을 지지하는 기재층은 2-레이어(layer)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투명발열코팅층은 2-레이어 구조의 추가 패턴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레이트는, 플렉시블한 투명 아크릴 재질, PVC 재질, PET 재질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점착형 수지 도트가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수행하는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를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의 내부에 회전형으로 보관되는 수지가 프린팅 홈 스크린의 내부에 구성된 스퀴지에 의해 프린팅 홈 스크린의 슬롯을 통해 외부로 밀어져서 상기 기재층에 형성된 것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을 상기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 및 압착롤러 사이에 투입하여 상기 패턴층을 형성시, 원통 형상의 롤러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이 오픈 셀 또는 클로즈 셀 구조의 슬롯을 통해 스퀴지에서 제공되는 공기압 또는 수압에 의해 상기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 내부와 조성물 수용/배출부 외부 공간 사이에서 위치하는 수지를 상기 기재층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은, 투명 수지 재질을 기반으로 형성하여 유리창 외부에서 시안성을 확보를 하면서도 단열을 확보하기 위한 유리창과의 공간층을 형성하는 패턴의 인쇄가 낭비됨이 없이 깔끔하게 처리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패턴 사이의 공기층을 이용해 단열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실내에 발열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층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은, 단열 기능에 발열 기능을 더 추가하기 위해 패턴층을 형성한 후에 투명발열필름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실제 동절기 창문에 적용시 단열기능에 난방기능이 발휘됨으로써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고, 투명발열필름층 자체도 투명 내지는 반투명 형태로 제공되어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 중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1100)에서 투명 고분자 수지가 흘러나올 수 있는 슬롯(1101)의 형상에 따라 오픈 셀(Open cell) 및 클로즈 셀(Closed cell)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 롤러(1100b)를 펼쳐놓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에서 투명발열코팅층(130)의 다양한 발열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 중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1100)에서 수지가 흘러나올 수 있는 슬롯(1101)의 형상에 따라 오픈 셀(Open cell) 및 클로즈 셀(Closed cell)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 롤러(1100b)를 펼쳐놓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에서 투명발열코팅층(130)의 다양한 발열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면,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은 패턴층(110), 기재층(120), 투명발열코팅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층(110)은 유리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 기능도 보유하고 있으며 유리(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층(110)은 고분자 수지(예: PET) 유닛으로 기재층(120)과 패턴층(110) 간의 점착 방식은 도 3과 같이 기재층(120)을 프린팅 홈 스크린(1100) 및 압착롤러(1400) 사이에 기재층(120)를 투입하여 패턴층(110)을 도트 인쇄시, 원통 형상의 롤러 형태로 형성되는 프린팅 홈 스크린(1100)는 슬롯(1101)을 통해 스퀴지(1300)에서 제공되는 공기압 또는 수압에 의해 프린팅 홈 스크린(1100) 내부와 조성물 수용/배출부(1200) 외부 공간 사이에서 위치하는 고분자 수지를 기재층(120)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수용/배출부(1200)는 수지를 외부로부터 공급하기 위한 배관과 연결된 구조로 정방향(시계 방향)(F1)으로 회전하는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내부에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중앙점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 영역에 프린팅 홈 스크린(1100) 내부에서 스퀴지(130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분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 수용/배출부(1200)의 분출구(1201)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내부에서 프린팅 홈 스크린(1100)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점착제를 수용하는 내부단(1201)과 내부단(1201)의 외부를 형성하는 외부단(120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출구의 외측을 구성하는 외부단(1202)은 고정된 상태에서, 분출구의 내측을 구성하는 내부단(1201)이 회전을 통해 내측 분출구와 외측 분출구가 포개지는 지점으로 내부단(1201)이 회전을 통해 위치하는 경우 내측 및 외측 분출구를 통해 고분자 수지가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내부의 하단 영역으로 흘러나갈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을 통해 수지가 굳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린팅 홈 스크린(1100)과 수평 방향에서 기재층(120)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영역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압착롤러(1400)는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인 역방향(반시계 방향)(F2)으로 회전함으로써, 프린팅 홈 스크린(1100)과의 상호 작용으로 압착롤러(1400)를 상호 밀착시켜 기재층(120)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스퀴지(1300)는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슬롯(1101)을 통해 점착제 조성물이 하나의 성분으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경우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회전하는 방향인 정방향(시계방향)(F1)의 9시에서 10시 방향 사이에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를 향하는 공기압을 분사하여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하부에서 정방향(시계방향(F1)으로 회전하여 하단부 중 원심력이 작용하는 영역(도 1 상의 좌측)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고분자(예: PET) 수지에 대해서 회전하는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슬롯(1101)을 통해 수지가 외부로 분출하여 압착롤러(1400)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층(120)의 외부면에 슬롯(1101)의 형상에 따라 도트 형상의 수지가 도포 되도록 할 수 있다.
기재층(120)을 프린팅 홈 스크린(1100) 및 압착롤러(1400) 사이에 통과시키면서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슬롯(1101)을 통해 분출되어 패턴층(110)에 도포된 수지가 기재층(120) 표면에 도트 인쇄될 수 있으며, 이후, 도트 인쇄된 기재층(120)을 경화 챔버를 통과시켜 패턴층(110)를 경화시킨 뒤, 경화 챔버를 통과한 기재층(120)의 패턴층(110) 방향에 이형지(20)를 압착하여 합지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도트 인쇄된 기재층(120)을 경화 챔버를 통과시키면서 패턴층(110)를 일정 정도 경화시키는 경우 경화 챔버로는 자외성(UV) 경화기, 열경화기, 전자빔 경화기, 건조 온풍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경화 챔버를 통과시키기 전에 기재층(120) 상에 패턴층(110)가 도트 인쇄된 상태에서 고주파 가열압착 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재층(120)으로는 각종의 플라스틱 시트나 종이류 중 투명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또는 그 발포 필름을 이용할 수 있고, 기재층(120)의 두께는 통상 1100 내지 1300㎛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패턴층(110)에 대해서 프린팅 홈 스크린(1100) 내부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가 공급되고, 스쿼지(1300) 내부에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여 상호간의 적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의 본 발명 이전에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18-0002952 (2018.01.09)호인 "열효율 향상을 위한 단열필름(Adiabatic film for improving thermal efficiency)"에서 사용하는 그라비아 프린팅 방식으로 도트 프린팅하여 단열필름을 만드는 방식과 달리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으로 도트 프린팅하여 단열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즉, 기존 발명의 폼 실린더는 표면에 양각부(돌출부)와 음각부(함입부)가 교대로 구성된 원통형 실린더로서 압착롤러와의 사이에 기재층(120)이 통과되면서 음각부에 수용되어 있던 패턴층(110)가 상기 기재층(120)에 묻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그라비아 방식을 통해 점착제 조성물이 담긴 그릇에 홈을 갖는 롤러를 돌려서 홈에 점착제 조성물이 묻도록 한 후에 블레이드를 이용해 점착액을 긁어내서 홈 부분에 있는 것만 필름지에 묻어나도록 하는 방식인 반면, 본 발명은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수행하는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을 로터리 롤러로 사용하여 내부에 고분자 수지를 담고 있다가 슬롯(1101)을 통해 스퀴지(1300)가 밀어내도록 하여 도트 방식으로 수지 조성물이 기재층(120)에 인쇄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차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리 스크린 방식을 통해 기존의 그라비아 프린팅 방식에 비해 점착제가 매우 깔끔하게 처리될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를 통해 점착제가 제거되는 방식을 통해 점착제가 낭비되는 문제점도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쿼지(1300) 내부에는 점착제 조성물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패턴층(110) 상부에 붓 또는 롤러, 스프레이 등을 활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고, 기재층(120)의 상부에 해당하는 점착층 방향으로 이형지(20)를 압착하여 합지한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점착층을 형성하기 전에 패턴층(110)가 상부에 형성된 기재층(120)을 경화 챔버를 통과시키면서 패턴층(110)에 대해서 일정 정도 경화시키는 경우 경화 챔버로는 자외성(UV) 경화기, 열경화기, 전자빔 경화기, 건조 온풍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재층(120)에 대해서 살펴보면, 기재층(120)의 소재가 되는 투명 고분자 수지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압출장치를 이용해 압출하여 압출 용융물을 형성하는데, 여기서 24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용용상태의 압출 용융물을 통과시 T-die 방식으로 필름 타입의 투명 수지 시트를 형성하며, 다이의 출구에 부착된 냉각장치를 필름 타입의 투명 수지 시트를 냉각시킨다. 냉각시 필름 타입의 투명 수지 시트에 대한 냉각을 수행한 뒤, 냉각을 위해 가이드 롤러로 전달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냉각장치는 펠티어 소자와 온도 센서, 그리고 아두이노 기판을 활용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로 필름 타입의 투명 수지 시트에 대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설정 범위는 실온 상태에 해당하는 가이드 롤러에 의한 냉각과 압출 용융물에 대한 다이에 의한 T-die 방식을 이용해 필름 타입의 투명 수지 시트 생성 직후의 온도 차를 고려하여 7℃ 내지 14.5℃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가이드 롤러에 의해 냉각된 필름 타입의 투명 수지 시트를 연신장치로 안내되며, 가이드 롤러에 의해 필름 타입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대한 연신 장치로의 이송을 수행하면서, 가이드 롤러의 전체 길이 설정에 따른 실온 상태에서 열안정화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연신장치는 가이드 롤러를 통과한 필름 타입의 투명 PET 수지 시트를 박막 필름이 되도록 눌러 잡아당기는 연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신시 필름 타입의 투명 수지 시트에 대한 가열, 가압 상태에서 넓이 방향의 연신을 수행함으로써, 최종 생산물인 기재층(120)에 대한 연신 전후의 면적 비율이 1 : 6.8 내지 8.2 배가 증가하도록 한다. 여기서, 연신시 가열 온도는 350 내지 370 ℃, 가압 상태는 130 내지 180mbar 상태이며, 기재층(120)의 두께를 1200㎛로 생산시 바람직하게는 365 ℃, 173mbar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신시 상술한 바람직한 온도 범위 내인 가열 온도는 350 내지 370 ℃에서 행하여져야 한다. 온도 범위보다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분자의 자유도가 높아져 분자의 배향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온도 범위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는 연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폴리프로필렌 시트가 연신되지 못하고 끊어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한편, 기재층(120)에 대한 연신 후 열안정화 과정 사이에 기재층(120)에 대한 연성화와 함께 메쉬 공정에 따라 다이아몬드 형상 구조, 그물 형상, 사각형 형상을 갖는 균일한 격자 구조(메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유연성을 제공하고, 다수의 메쉬구조의 기재층(120)을 적층하고 발포함으로써,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기재층(120)에 대해서 겹겹이 적층한 뒤, 발포폼의 제조 공정과 같이 전체 공정은 투입된 합성수지 입자를 부풀려 발포시키는 발포단계와, 발포된 입자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발포 입자에 고온 증기를 공급하여 발포 입자가 서로 엉켜 결합되게 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형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코팅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은 내부에 조성물 수용/배출부(1200)로부터 흘러나온 점착제 조성물이 스퀴지(Squeegee)(1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슬롯(1101)을 구비하며, 슬롯(1101)이 이루어진 타입에 따라 도 4와 같은 오픈 셀(Open cell), 그리고 도 5 및 도 6과 같은 클로즈 셀(Closed cell)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오픈 셀 구조를 살펴보면,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1100) 상에서 형성된 슬롯(1101)이 도 4의 원형뿐만 아니라, 직선형, 그 밖의 다각형 형상으로 오픈 홀(1100a)이 도 4와 같은 펼쳐진 형상을 갖는 원통 형상의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 롤러(1100b) 상에 격자 무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고분자 수지의 배출을 기재층(120)에 미리 설정된 좌표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패턴층(110)을 도포함으로써, 패턴층(11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의 클로즈 셀 구조를 살펴보면, 도 5 및 도 6과 같은 펼쳐진 형상을 갖는 원통 형상의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 롤러(1100b) 상에서 도 5a와 같은 허니콤, 도 5b와 같이 사각,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삼각형(도 6a 상하 대칭형 삼각형, 도 6b 물결 무늬 삼각형) 중 하나에 해당하는 클로즈 홀(1100c)이 상호 이웃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클로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고분자 수지의 배출을 통해 기재층(120)에 미리 설정된 좌표 중심이 아닌 표면적에 넓게 도포하여 전체적으로 유리창(10)과 맞닿는 경우의 점착력을 증대시키도록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도포함으로써, 패턴층(11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 롤러(1100b) 상에서 오픈 홀(1100a) 및 클로즈 홀(1100c)의 구조를 달리하는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1100)는 도 3에서 조성물 수용/배출부(1200), 스퀴지(Squeegee)(1300), 압착롤러(Impression cylinder)(1400)를 제외하고 독자적으로 교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4와 같은 오픈 셀 구조를 갖는 경우 제작된 하이브리드 셀 기반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투명 단열필름을 미리 설정된 제 1 면적(예, 100mm×100mm 이상에서 500mm×500mm 미만)으로 절단하여 좁은 면적에 사용하는 경우에 점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과 같은 클로즈 셀 구조를 갖는 경우 제작된 하이브리드 셀 기반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투명 단열필름을 제 1 면적보다 큰 미리 설정된 제 2 면적 이상(예, 500mm×500mm 이상에서 2000mm×2000mm 미만)으로 절단하여 넓은 면적에 사용하는 경우에 점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투명발열코팅층(130)은 도 7 내지 도 11과 같은 형태로 투명 플레이트(131), 발열체(132), 전원선(13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132)는 도 7 내지 도 11과 같이 프린팅되는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으로 형성되되, 패턴층(110)에서 제공하는 유리창(1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엠보싱 구조의 공기 접촉점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여 발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발열체(132)는 일반적인 사각의 루프 형태, 원형의 루프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명 플레이트(131)가 투명 아크릴 재질, PVC 재질, PET 재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발열체(132)가 투명발열코팅층(130)과 기재층(120)이 맞닿는 내측 또는 투명발열코팅층(130)의 외측에 점착되어 형성됨으로써,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을 구성하는 기재층(120)에서 발생하는 습기 또는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132)는 도 7과 같은 원형 형상, 도 8과 같은 허니콤, 도 9와 같이 사각, 도 10과 같은 삼각형(상하 대칭형 삼각형), 도 11과 같은 삼각형(물결 무늬 삼각형) 중 하나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즉, 도 7의 원형 형상의 발열체(132)는 도 4와 같은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1100) 상에 형성된 슬롯(1101)이 원형의 격자무늬로 된 오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생성된 패턴층(110)의 각 원형의 테두리와 일치되는 원형의 격자무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과 동일한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활용하여 플렉시블 타입의 투명 플레이트(131)에 미리 설정된 좌표를 중심으로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발열체(132) 용융액을 도포함으로써 발열체(132)를 형성하거나, 미리 원형 격자무늬의 발열체(132) 형상을 형성하고, 접착제를 통해서 투명 프레이트(131)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활용하는 경우 오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발열체(132) 용융액의 배출을 투명 플레이트(131)에 미리 설정된 좌표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발열체(132) 용융액을 도포함으로써, 발열체(132)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1의 허니콤 형상의 발열체(132), 사각 형상의 발열체(132), 삼각형(상하 대칭형 삼각형) 형상의 발열체(132), 삼각형(물결 무늬 삼각형) 형상의 발열체(132)는 도 5 내지 도 6와 같이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1100) 상에 형성된 슬롯(1101)이 허니콤, 사각, 삼각형(상하 대칭형 삼각형, 물결 무늬 삼각형)으로 된 클로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생성된 패턴층(110)의 각 허니콤, 사각, 삼각형의 테두리와 일치되는 격자무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과 동일한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활용하여 플렉시블 타입의 투명 플레이트(131)에 미리 설정된 좌표를 중심으로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발열체(132) 용융액을 도포함으로써, 발열체(132)를 형성하거나 미리 원형 격자무늬의 발열체(132) 형상을 형성하고, 접착제를 통해서 투명 프레이트(131)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활용하는 경우 클로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발열체(132) 용융액의 배출을 투명 플레이트(131)에 미리 설정된 좌표 중심이 아닌 표면적에 넓게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발열체(132) 용융액을 도포함으로써, 발열체(132)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열체(132) 용융액은 실버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투명 플레이트(131)에 전도성 잉크로 실버 발열선인 발열체(132) 패턴을 인쇄하고, 발열체(132) 패턴이 인쇄된 두 개의 투명 플레이트(131) 사이를 점착층으로 접착함으로써, 발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발열체(132) 패턴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두 개의 DC 전원단자(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DC 전원단자(133) 또는 AC 전원단자를 통해 발열체(132)로 전원을 공급시 발열체(132) 자체에서 25 내지 35℃ 정도의 열이 발생해서 실내를 난방시키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게 패턴층(110), 기재층(120), 투명발열코팅층(130)을 포함하며, 투명발열코팅층(130)에서 기재층(120)으로 향하는 내측이 아닌 반대 방향인 외측으로는 추가 패턴층(140, 1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a의 경우는 패턴층이 2층으로 형성된 2-레이어(layer) 구조이고, 도 2b 및 도 2c는 패턴층이 3층으로 형성된 3-레이어(layer) 구조이다.
여기서, 추가 패턴층(140, 160)은 패턴층(11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고, 패턴층(110)이 오픈 셀 구조인 경우 추가 패턴층(140, 160)은 패턴층(110)과 동일한 패턴의 오픈 셀 구조로 제공되거나 패턴층(110)과 다르게 클로즈 셀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추가 패턴층(140, 160)은 패턴층(110)이 클로즈 셀 구조인 경우 추가 패턴층(140, 160)은 패턴층(110)과 동일한 패턴의 클로즈 셀 구조로 제공되거나 패턴층(110)과 다르게 오픈 셀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추가 패턴층(140, 160)은 투명발열코팅층(13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되기 위해 도 3과 같은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투명발열코팅층(130)과 추가 패턴층(140, 160) 간의 점착 방식은 도 3과 같이 투명발열코팅층(130)을 프린팅 홈 스크린(1100) 및 압착롤러(1400) 사이에 투명발열코팅층(130)을 추가 패턴층(140, 160)을 인쇄시, 원통 형상의 롤러 형태로 형성되는 프린팅 홈 스크린(1100)는 슬롯(1101)을 통해 스퀴지(1300)에서 제공되는 공기압 또는 수압에 의해 프린팅 홈 스크린(1100) 내부와 조성물 수용/배출부(1200) 외부 공간 사이에서 위치하는 패턴 조성물을 투명발열코팅층(130)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수용/배출부(1200)는 패턴 조성물을 외부로부터 공급하기 위한 배관과 연결된 구조로 정방향(시계 방향)(F1)으로 회전하는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내부에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중앙점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 영역에 프린팅 홈 스크린(1100) 내부에서 스퀴지(130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분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 수용/배출부(1200)의 분출구(1201)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내부에서 프린팅 홈 스크린(1100)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패턴 조성물을 수용하는 내부단(1201)과 내부단(1201)의 외부를 형성하는 외부단(120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출구의 외측을 구성하는 외부단(1202)은 고정된 상태에서, 분출구의 내측을 구성하는 내부단(1201)이 회전을 통해 내측 분출구와 외측 분출구가 포개지는 지점으로 내부단(1201)이 회전을 통해 위치하는 경우 내측 및 외측 분출구를 통해 패턴 조성물가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내부의 하단 영역으로 흘러나갈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을 통해 패턴 조성물이 굳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 조성물은 수지 점착제 및 PET 수지가 혼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프린팅 홈 스크린(1100)과 수평 방향에서 투명발열코팅층(130)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영역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압착롤러(1400)는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인 역방향(반시계 방향)(F2)으로 회전함으로써, 프린팅 홈 스크린(1100)과의 상호 작용으로 압착롤러(1400)를 상호 밀착시켜 투명발열코팅층(130)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스퀴지(1300)는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슬롯(1101)을 통해 패턴 조성물이 하나의 성분으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경우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회전하는 방향인 정방향(시계방향)(F1)의 9시에서 10시 방향 사이에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를 향하는 공기압을 분사하여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하부에서 정방향(시계방향(F1)으로 회전하여 하단부 중 원심력이 작용하는 영역(도 3 상의 좌측)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점착제에 대해서 회전하는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슬롯(1101)을 통해 패턴 조성물이 외부로 분출하여 압착롤러(1400) 사이에 위치하는 투명발열코팅층(130)의 외부면에 슬롯(1101)의 형상에 따라 도트 형상의 패턴 조성물이 도포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패턴 조성물이 한쪽의 주면에 해당하는 투명발열코팅층(130)과 접촉된 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걸쳐서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본질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패턴 조성물 영역"과, 그 패턴 조성물 층의 다른 쪽의 주면에 해당하는 유리창(10)과 맞닿는 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투명한 점착성의 "굴절률 조정용 패턴 조성물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스퀴지(1300)는 내부에 굴절률 조정용 패턴 조성물을 외부의 배관으로부터 공급받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쿼지(1300)에서 공급되는 굴절률 조정용 패턴 조성물과 함께,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패턴 조성물이 스쿼지(1300)에서 제공되는 굴절률 조정용 패턴 조성물에 대한 유압에 의해 투명발열코팅층(130)에 상하로 함께 회전하는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슬롯(1101)을 통해 외부로 분출하여 압착롤러(1400) 사이에 위치하는 투명발열코팅층(130)의 외부면에 슬롯(1101)의 형상에 따라 도트 형상의 패턴 조성물이 도포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발열코팅층(130)을 프린팅 홈 스크린(1100) 및 압착롤러(1400) 사이에 통과시키면서 프린팅 홈 스크린(1100)의 슬롯(1101)을 통해 분출되어 투명발열코팅층(130)에 도포된 패턴 조성물이 투명발열코팅층(130) 표면에 도트 인쇄될 수 있으며, 이후, 도트 인쇄된 투명발열코팅층(130)을 경화 챔버를 통과시켜 추가 패턴층(140, 160)을 경화시킨 뒤, 경화 챔버를 통과한 투명발열코팅층(130)의 추가 패턴층(140) 방향에 이형지(20)를 압착하여 합지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도트 인쇄된 투명발열코팅층(130)을 경화 챔버를 통과시키면서 추가 패턴층(140, 160)을 일정 정도 경화시키는 경우 경화 챔버로는 자외성(UV) 경화기, 열경화기, 전자빔 경화기, 건조 온풍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경화 챔버를 통과시키기 전에 투명발열코팅층(130) 상에 추가 패턴층(140, 160)가 도트 인쇄된 상태에서 고주파 가열압착 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명발열코팅층(130)의 두께는 통상 1300 내지 1500㎛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추가 패턴층(140, 160)에 대해서 프린팅 홈 스크린(1100) 내부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지 점착제가 공급되고, 스쿼지(1300) 내부에는 고분자 수지를 제공하여 상호 혼합되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프린팅 홈 스크린(1100) 내부에 고분자(예:PET) 수지를 제공하고 스쿼지(1300) 내부에서 수지 점착제를 제공하는 방식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발열코팅층(130)은 3-layerd 구조의 경우 위치가 가변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발열코팅층은 2-레이어 구조의 추가 패턴층 사이에 형성되되, 기재층(150)과 추가패턴층(14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기재층(150)과 추가패턴층(16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
110 : 패턴층
120, 150, 170 : 기재층
130 : 투명발열코팅층
140, 160 : 추가 패턴층

Claims (7)

  1.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패턴층(110), 기재층(120), 투명발열코팅층(130)을 포함하는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에 있어서,
    기재층(120) 상에 패턴층(110) 형성 방식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1100) 상에서 형성된 슬롯(1101)이 원형, 직선형, 그 밖의 다각형 형상으로 오픈 홀(1100a)으로 펼쳐진 형상을 갖는 원통 형상의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 롤러(1100b) 상에 격자 무늬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의 오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고분자 수지의 배출을 기재층(120)에 미리 설정된 좌표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패턴층(110)을 도포함으로써, 패턴층(110)을 형성하거나,
    원통 형상의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 롤러(1100b) 상에서 허니콤, 사각, 삼각형(상하 대칭형 삼각형), 삼각형(물결 무늬 삼각형) 중 하나에 해당하는 클로즈 홀(1100c)이 상호 이웃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클로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고분자 수지의 배출을 통해 기재층(120)에 미리 설정된 좌표 중심이 아닌 표면적에 넓게 도포하여 전체적으로 유리창(10)과 맞닿는 경우의 점착력을 증대시키도록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도포함으로써, 패턴층(110)을 형성한 상태에서,
    투명발열코팅층(130)은,
    투명 플레이트(131), 발열체(132), 전원선(133)으로 형성되며,
    투명 플레이트(131)는,
    투명 아크릴 재질, PVC 재질, PET 재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발열체(132)가 투명발열코팅층(130)과 기재층(120)이 맞닿는 내측 또는 투명발열코팅층(130)의 외측에 점착되어 형성됨으로써,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100)을 구성하는 기재층(120)에서 발생하는 습기 또는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발열체(132)는,
    프린팅되는 패턴으로 형성되되, 패턴층(110)에서 제공하는 유리창(1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엠보싱 구조의 공기 접촉점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여 발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형 형상, 허니콤, 사각, 삼각형(상하 대칭형 삼각형), 삼각형(물결 무늬 삼각형) 중 하나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형 형상의 발열체(132)는,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1100) 상에 형성된 슬롯(1101)이 원형의 격자무늬로 된 오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생성된 패턴층(110)의 각 원형의 테두리와 일치되는 원형의 격자무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활용하여 플렉시블 타입의 투명 플레이트(131)에 미리 설정된 좌표를 중심으로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발열체(132) 용융액을 도포함으로써 발열체(132)를 형성하거나, 미리 원형 격자무늬의 발열체(132) 형상을 형성하고 접착제를 통해서 투명 프레이트(131)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활용하는 경우 오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발열체(132) 용융액의 배출을 투명 플레이트(131)에 미리 설정된 좌표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발열체(132) 용융액을 도포함으로써, 발열체 패턴을 형성하며,
    허니콤 형상의 발열체(132), 사각 형상의 발열체(132), 삼각형(상하 대칭형 삼각형) 형상의 발열체(132), 삼각형(물결 무늬 삼각형) 형상의 발열체(132)는 하이브리드 프린팅 홈 스크린(1100) 상에 형성된 슬롯(1101)이 각각 허니콤, 사각, 삼각형(상하 대칭형 삼각형), 삼각형(물결 무늬 삼각형)으로 된 클로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생성된 패턴층(110)의 각 허니콤, 사각, 삼각형(상하 대칭형 삼각형), 삼각형(물결 무늬 삼각형)의 테두리와 일치되는 격자무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활용하여 플렉시블 타입의 투명 플레이트(131)에 미리 설정된 좌표를 중심으로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발열체(132) 용융액을 도포함으로써, 발열체(132)을 형성하거나 미리 원형 격자무늬의 발열체(132) 형상을 형성하고, 접착제를 통해서 투명 프레이트(131)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하며,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1000)를 활용하는 경우 클로즈 셀 구조의 슬롯(1101)을 활용하여 발열체(132) 용융액의 배출을 투명 플레이트(131)에 미리 설정된 좌표 중심이 아닌 표면적에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방식을 통해 발열체(132) 용융액을 도포함으로써, 발열체(132) 패턴을 형성하며,
    사용되는 발열체(132) 용융액은 실버 재질이며, 투명 플레이트(131)에 전도성 잉크로 실버 발열선인 발열체(132) 패턴을 인쇄하고, 발열체(132) 패턴이 인쇄된 두 개의 투명 플레이트(131) 사이를 점착층으로 접착함으로써, 발열 성능을 향상시키며,
    발열체(132) 패턴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두 개의 DC 전원단자로 형성가능한 전원선(133)이 형성되며, DC 전원단자를 통해 발열체(132)로 전원을 공급시 발열체(132) 자체에서 25 내지 35℃ 사이의 열이 발생해서 실내를 난방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며,
    추가로, 투명발열코팅층(130)에서 기재층(120)으로 향하는 내측이 아닌 반대 방향인 외측으로는 추가 패턴층(140, 160)과 각 추가 패턴층을 지지하는 별도의 기재층(150, 170)이 더 형성되며, 추가 패턴층을 포함한 패턴층은 전체적으로 2층으로 형성된 2-레이어(layer) 구조나, 3층으로 형성된 3-레이어(layer) 구조로 형성되며, 추가 패턴층(140, 160)은 패턴층(11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고, 패턴층(110)이 오픈 셀 구조인 경우 추가 패턴층(140, 160)은 패턴층(110)과 동일한 패턴의 오픈 셀 구조로 제공되거나 패턴층(110)과 다르게 클로즈 셀 구조로 제공되거나, 추가 패턴층(140, 160)은 패턴층(110)이 클로즈 셀 구조인 경우 추가 패턴층(140, 160)은 패턴층(110)과 동일한 패턴의 클로즈 셀 구조로 제공되거나 패턴층(110)과 다르게 오픈 셀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59526A 2019-12-04 2019-12-04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 KR102234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526A KR102234729B1 (ko) 2019-12-04 2019-12-04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
PCT/KR2020/005959 WO2021112346A1 (ko) 2019-12-04 2020-05-06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526A KR102234729B1 (ko) 2019-12-04 2019-12-04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729B1 true KR102234729B1 (ko) 2021-04-01

Family

ID=7544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526A KR102234729B1 (ko) 2019-12-04 2019-12-04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4729B1 (ko)
WO (1) WO202111234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419A (ko) * 2011-12-08 2013-06-18 김경철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KR20160074935A (ko) 2014-12-19 2016-06-29 케이엔피솔루션(주) 유량센서를 이용한 능동형 난방제어시스템
KR20180135277A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참트론 발열 진공 유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1343B2 (en) * 2008-02-19 2016-03-29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Window-glass heating device
JP5781735B2 (ja) * 2010-03-02 2015-09-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熱線遮蔽複層ガラス
KR101665608B1 (ko) * 2014-07-16 2016-10-13 한승우 다중 창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419A (ko) * 2011-12-08 2013-06-18 김경철 유리창용 점착식 단열시트
KR20160074935A (ko) 2014-12-19 2016-06-29 케이엔피솔루션(주) 유량센서를 이용한 능동형 난방제어시스템
KR20180135277A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참트론 발열 진공 유리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05009호 "중공형 마이크로 실리카 캡슐을 포함하는 단열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및 유리 부착용단열필름(Composition for adiabatic material with hollow micro silica capsule, adiabatic material using there it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adiabatic material, and adiabatic film of glass in building)"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67498호 "나노섬유 단열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단열필름(Method for manufacturing nano-fiber insulating film and nano-fiber insulating film using the sam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02952호 "열효율 향상을 위한 단열필름(Adiabatic film for improving thermal effici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346A1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017B1 (ko) 열효율 향상을 위한 단열필름
KR102234727B1 (ko)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투명 단열필름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투명 단열필름
US20150079363A1 (en) Vacuum glazing pillars delivery films and methods for insulated glass units
JP2002535170A5 (ko)
KR102234729B1 (ko)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투명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필름
JP4620211B2 (ja) 断熱化粧材及び断熱化粧部材
KR102234728B1 (ko) 하이브리드 셀 기반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투명 단열필름 제조 방법, 이에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로터리 스크린 도트 프린팅 장치,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투명 단열필름
CN107921463B (zh) 用于形成具有不均一图案化涂层的制品的方法和设备
CN109731318A (zh) 一种运动滑板的制作方法
CN101586009A (zh) 透气胶带及其制造方法和设备
KR102431132B1 (ko) 단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벽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및 발열 벽지
TW200412290A (en) Articles and methods for applying color on surfaces
JP2001193183A (ja) 建装部材用断熱性シートおよび断熱性建装部材
CN206614897U (zh) 一种多功能复合机
ITMI20100480A1 (it) Lucernario integrabile in una struttura di copertura in lamiere coibentate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KR101207291B1 (ko) 단열재의 제조방법
TWI724330B (zh) 紙力增強劑塗佈裝置、片材製造裝置及紙力增強劑塗佈方法
KR102408690B1 (ko) 열효율 향상을 위한 건축난방 반사 단열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207594514U (zh) 一种新型立体烫印卷标生产装置
KR20160009121A (ko) 순차압공 방식에 의한 허니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69264B1 (ko) 가전제품 부착용 패널에 필름을 트리밍하여 라미네이팅하는방법
JP2517690B2 (ja) 装飾ウエブ、シ―トまたはパネルの製造法
JPH11334292A (ja) ラッピング転写法
JP2002036406A (ja) 手切れ性に優れた積層フィルム
JP2000240182A (ja) 建装部材用断熱性複合シートおよび断熱性建装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